KR20130080760A -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760A
KR20130080760A KR1020120140818A KR20120140818A KR20130080760A KR 20130080760 A KR20130080760 A KR 20130080760A KR 1020120140818 A KR1020120140818 A KR 1020120140818A KR 20120140818 A KR20120140818 A KR 20120140818A KR 20130080760 A KR20130080760 A KR 20130080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air
sunshade
saddl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만
Original Assignee
황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만 filed Critical 황성만
Publication of KR20130080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760A/ko
Priority to KR1020130151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28Other additional equipment, e.g. back-rest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8Covers for saddles or other seats; Paddings
    • B62J1/26Paddings involving other resilient material, e.g. sponge rubber with inflatabl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62J17/083Frame mounted hoods specially adapted for rider propelled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20Arrangement of reflectors, e.g. on the wheel spokes ; Lighting devices mounted on wheel spok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에 설치되는 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전거의 안장 받침대에 구비되는 차양막 장착부와 상기 차양막 장착부에 설치되어 자전거 안장의 상부 일정 높이에서 에어프레임으로 일정 형태를 유지하는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빗물가림막과 자전거 안장 및 상기 차양막 설치부에 장착되는 에어쿠션을 구비하고, 상기 차양막과 빗물가림막 및 에어쿠션을 날씨 또는 행사를 비롯한 자전거 운행조건 또는 운전자의 피로도 등의 상황에 따라 어느 하나의 구성을 선택하여 장착하거나 또는 상기 구성 모두를 장착함으로써 자전거 운전자를 보호하는 자전거의 부수장치이다.

Description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Driver Protection Device Bicycle Circulation}
본 발명은 자전거에 설치되는 부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에 에어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차양막과 빗물가림막 및 에어쿠션을 설치하여, 자전거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자외선 또는 우천시 빗물을 차단하면서 운전자에게 완충 쿠션을 제공하고, 차양막에 광고문구를 인쇄하여 자전거를 홍보매체로 활용하며, 자전거를 탑승한 상태에서 쓰러지더라도 차양막에 의해 운전자가 보호되는 자전거의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체에너지를 이용한 무공해 이동수단이며 현대인의 운동기구로서 근래 들어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자전거에 있어서, 햇볕이나 빗물, 바람, 충격 등으로부터 자전거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자전거 부수장치 관한 것이다.
자전거에 설치되는 햇볕이나 빗물을 차단하는 부수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은 우산을 핸들에 장착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전거 우산장치는 자전거의 핸들부분에 우산을 장착하는 것이어서 핸들 조작이 불편할 뿐 아니라, 설치된 우산의 형태가 원형이므로 자전거 주행중에 공기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빠른 주행이 곤란한 것은 물론, 보행자나 도로 주변의 설치물과 충돌할 위험성이 있고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038호에 자전거용 우산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계로 접철되는 접철식 우산대(100)을 자전거의 안장 받침대에 고정하고, 우산대에 우산막(101)을 설치하며, 우산막(101)의 타단을 고정용 끈(102)으로 자전거의 앞쪽 프레임에 연결하여 우산막(101)이 일정 폭으로 유지되면서 자전거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장방형으로 길게 펼쳐질 수 있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접철식 우산대는 좌우로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어 우천시 자전거 주행중 좌우방향에서 들이치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고, 우산막의 설치 위치를 자전거 운전자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절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전후 방향으로 경사져 입사되는 햇볕이나 빗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전거 주행중 돌발적 상황으로 인해 운전자가 자전거를 탑승한 상태에서 넘어지는 경우 운전자는 장착된 우산살에 의해 상처를 입을 수 있는 안전상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전거 구조에서 안장을 설치하는 안장 받침대에 에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차양막과 빗물가림막을 설치하고 일조시 또는 우천시 차양막이나 빗물가림막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전거 운행시 자외선과 빗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자전거 운전자가 자전거를 탑승한 상태에서 쓰러지더라도 에어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차양막에 의해 운전자가 다치거나 상처를 입는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차양막의 표면에 광고를 비롯한 각종 안내용 문구를 인쇄하여 자전거를 홍보매체로 이용할 수 있는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자전거 운전자가 자전거 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여 편안한 상태로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자전거의 안장에 쿠션 기능을 가지는 에어쿠션을 구비하고 등받이 기능이 병행되는 차양막 설치용 구조물에 쿠션 기능을 가지는 에어쿠션을 구비하여 탑승 쿠션이 보강된 운전자 보호용 자전거 부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여러 가지 구조와 이에 따른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전거에 설치되는 부수장치에 있어서, 자전거의 안장 받침대에 구비되는 차양막 장착부와 상기 차양막 장착부에 설치되어 자전거 안장의 상부 일정 높이에서 에어프레임으로 일정 형태를 유지하는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에 착탈식으로 부착되거나 별도로 구비되는 빗물가림막과 자전거 안장 및 상기 차양막 장착부에 장착되는 에어쿠션을 구비하고, 상기 차양막과 빗물가림막 및 에어쿠션을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자전거에 설치하여 자전거 운행시 자외선 또는 빗물을 차단하거나 탑승 쿠션을 보강할 수 있는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차양막은 꼭지점 3곳을 절단한 삼각형 모양으로 몸체부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에는 밑변부에 복수개의 열로 형성되며 일측단부에 이중체크밸브식 공기주입구와 타측 단부에 일면 마개식 개폐밸브식 공기배출구가 구비되는 제1공기튜브와 상기 몸체부의 빗변부 테두리에 각각 구비되는 제2공기튜브와 상기 제1공기튜브와 제2공기튜브 사이 중간부를 가로질러 제1공기튜브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3공기튜브와 상기 제1공기튜브와 수직으로 구비되는 제4공기튜브로 형성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공기튜브는 공기튜브간 공기가 유통되는 비접착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차양막 장착부는 자전거 안장을 설치하는 안장 설치대에 결합되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의 일측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차양막암을 고정하는 차양막 설치부와 상기 차양막 설치부에 결합되어 차양막을 지지하며 길이 신축이 가능한 차양막암과 상기 차양막 설치부를 작동하는 작동케이블을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에어쿠션은, 자전거 안장을 감싸면서 표면에 다수개의 공기튜브가 형성된 안장용 에어쿠션과 차양막 설치부의 등받이면에 다수개의 공기튜브가 형성된 등받이용 에어쿠션을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용 에어쿠션의 상단부에 일정한 크기의 포켓을 연결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빗물가림막은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절곡이 자유로운 비닐재로 형성하되, 자전거 운전자의 상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치마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빗물가림막의 상단 개구부에 제2벨크로테이프를 부착하며, 상기 빗물가림막의 개구부 상단부와 하단부에 일정한 폭으로 야광체를 부착하여 야간 운행시 자전거 식별이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상기 빗물가림막의 상부에 개구되는 부위는 자전거 운전자의 머리부위가 통과되어 어깨부위에 걸쳐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원형링을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지지부는 4각형관으로 형성하되, 상기 4각형관의 좌우면에는 일정길이의 가이드슬롯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슬롯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핀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4각형관의 내부에 차양막 장착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차양막 설치부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중앙사각관과 상기 중앙사각관의 일측면 중앙부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톱니가 형성되어 차양막 설치부를 고정지지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제어하는 2개의 고정판과 원형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중앙사각관의 양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차양막암을 설치하는 차양막암 설치대와 차양막암 설치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구와 등받이용 에어쿠션을 장착하는 등받이판과 복수개의 관절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차양막암을 형성하여, 상기 차양막 설치부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차양막이 설치되는 경사각을 조절하며 뒷바퀴 측으로 회전시켜 짐받이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양막과 빗물가림막 및 안장과 등받이에 구비되는 안장용 에어쿠션과 등받이용 에어쿠션은 운전자가 날씨 또는 행사를 비롯한 자전거 운행조건 또는 운전자의 피로도 등의 상황에 따라 어느 하나의 구성을 선택하여 장착하거나 또는 상기 구성 모두를 장착함으로써 자전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전거에 차광막과 빗물가림막을 제공하여 자전거 운행시 운전자 받게 되는 햇볕을 가려 자외선을 차단함으로써 노출된 신체가 그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우천시 빗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우중 자전거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자전거 운전자가 자전거를 탑승한 상태에서 쓰러지더라도 공기튜브에 의한 에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차양막에 의해 충격을 완화하여 운전자가 다치거나 상처를 입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자전거에 에어쿠션 기능을 가지는 안장과 등받이를 구비하여 탑승 피로를 덜어주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차양막의 표면에 광고를 비롯한 각종 안내용 문구를 인쇄하여 자전거를 이동용 홍보매체로 활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도 1은 차양막이 설치된 자전거의 종래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양막, 빗물가림막, 에어쿠션이 설치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양막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빗물가림막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쿠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양막 장착부를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양막 장착부에 구비되는 고정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차양막 장착부의 고정지지부에 연결되는 차양막 장착대에 차양막암 설치대과 차양막암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차양막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차양막암 설치대에 차양막암을 결합하고 차양막암에 차양막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차양막 설치대에서 차양막암을 분리하고 보조안장과 짐받이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차양막 장착부에 구비되는 힌지핀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쉽고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고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거의 안장 받침대에 구비되는 차양막 장착부(3)와 상기 차양막 장착부에 설치되어 자전거 안장의 상부 일정 높이에서 에어프레임으로 일정 형태를 유지하는 차양막(1)과 상기 차양막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빗물가림막(2)과 자전거 안장 및 상기 차양막 장착부에 장착되는 에어쿠션(4)을 구비하고, 상기 차양막(1)과 빗물가림막(2) 및 에어쿠션(4)을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자전거에 설치하여 자전거 운행시 자외선 또는 빗물을 차단하거나 탑승 쿠션을 보강할 수 있는 운전자 보호용 자전거 부수장치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양막(1)은 몸체부(1a)를 꼭지점 3곳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삼각형 모양의 몸체부(1a) 밑변부에 복수열의 제1공기튜브(1b)를 형성하고, 빗변부 테두리에 제2공기튜브(1c)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1공기튜브(1b)와 제2공기튜브(1c) 사이 중간부를 가로질러 제1공기튜브(1b)와 나란하게 제3공기튜브(1d)를 형성하고, 상기 제1공기튜브(1b)와 수직으로 제4공기튜브(1e)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공기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튜브가 차양막(1)의 에어프레임 기능을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양막(1)의 제1공기튜브(1b)의 양단부에는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공기주입구(1f)와 공기배출구(1g)를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공기주입구(1f)는 일측을 가압할 경우 공기배출이 이루어지는 이중체크밸브식을 장착하고,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1g)는 마개를 열면 공기가 그대로 배출되는 개폐밸브를 장착하여, 다수개의 공기튜브에 공기 주입이 쉽도록 하며, 공기를 빼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양막(1)의 제1공기튜브(1b) 양측 단부에는 상기 차양막(1)을 장착하는 차양막 장착부(3)의 차양막암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와 폭을 가지는 에어포켓(1h)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포켓(1h)은 차양막암이 삽입된 상태에서 공기를 충전하면 제1공기튜브(1b)가 팽창되어 차양막암이 고정되는 크기로 폭과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양막(1)의 몸체부(1a)는 0.15mm ~ 0.2mm 두께를 가지는 우레탄 필름(1i)을 주재료로 하여, 한쪽면에 폴리에스터 또는 나이론 재료로 이루어진 망사천(1j)을 접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공기튜브는 상기 우레탄 필름(1i)을 맞대어 일정폭으로 고주파 접착부(1k)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주입구(1f)에서 공기를 주입하면 막대형상의 공기튜브 모두에 공기압력이 충전되어 에어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배출구(1g)에서 공기를 배출하면 모든 공기튜브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튜브들 간에 공기가 유통되는 비접착부(1m)를 다수 곳에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차양막(1)의 에어프레임에 일정 압력의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에어포켓(1h)에 차양막 장착부와 결합되는 차양막암을 삽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둥근형태의 차양막이 형성되고, 상기 차양막의 외측면에 광고 또는 안내용 문구 등을 인쇄하여 이동용 광고매체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빗물가림막(2)은 자전거 운전자의 상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치마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차양막(1)의 좌우측과 후방측 단부에 연하여 제1벨크로테이프(2a)를 형성하며, 상기 빗물가림막(2)의 상단부에 제2벨크로테이프(2b)를 형성하여, 상기 빗물가림막(2)의 제2벨크로테이프(2b)를 차양막(1)의 제1벨크로테이프(2a)에 탈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빗물가림막(2)의 상부에 개구되는 부위는 자전거 운전자의 머리부위가 통과되어 어깨부위에 걸쳐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원형링을 결합하여 형성하고, 우천시 상기 빗물가림막(2)을 소매없는 우의처럼 자전거 운전자의 어깨부위에 걸쳐서 착용(미도시)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구비함에 따라 우천시 자전거 운전자는 차양막(1)에 의해 머리측을 빗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빗물가림막(2)을 차양막(1)에 설치하여 빗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비가 오지 않는 때에 빗물가림막(2)을 탈거하고 자전거를 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빗물가림막(2)은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절곡이 자유로운 비닐재질을 채용하고, 상기 빗물가림막(2)의 상단 개구부에 제2벨크로테이프(2b)가 장착되며, 그 반대면과 개구부 하단에 일정한 폭으로 야광테입 또는 야광도색과 같은 야광체(2c)를 부착하여 야간 운행시 자전거 식별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 및 차양막 장착부에 장착되는 에어쿠션(4)은 안장을 감싸면서 안장 표면에 다수개의 공기튜브가 형성되는 안장용 에어쿠션(4a)과 상기 차양막 장착부(3)에 구비되며 등받이의 외부를 감싸면서 등받이면에 다수개의 공기튜브가 형성되는 등받이용 에어쿠션(4b)을 일체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등받이용 에어쿠션의 상단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포켓을 연결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등받이용 에어큐션(4b) 상부 양측단부에는 다수개의 공기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쿠션 공기주입구(4c)와 공기를 배출하는 쿠션 공기배출구(4d)를 설치한다.
상기 안장 및 등받이용 에어쿠션은 상기 차양막(1)의 몸체부(1a)와 마찬가지로 0.15mm ~ 0.2mm 두께를 가지는 우레탄 필름(1i)을 주재료로 하여, 한쪽면에 폴리에스터 또는 나이론재로 이루어진 망사천(1j)을 접착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다수개의 공기튜브는 상기 우레탄 필름(1i)을 맞대어 일정폭으로 고주파 접착하여 형성하며, 상기 쿠션 공기주입구(4c)에서 공기를 주입하면 막대형상의 공기튜브 모두에 공기압력이 충전되어 에어쿠션을 형성하고, 상기 쿠션 공기배출구(4d)에서 공기를 배출하면 모든 공기튜브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튜브들 간에 공기가 유통되는 비접착부를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등받이용 에어쿠션(4b)의 상단부에는 본 발명의 부수장치를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 부수장치 저장용 포켓(4e)을 상기 등받이에 상당하는 크기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차양막(1)과 빗물가림막(2), 안장용 에어쿠션(4a) 및 등받이용 에어쿠션(4b)은 운전자가 날씨 또는 행사를 비롯한 자전거 운행조건 또는 자전거 운전자의 피로도 등의 상황에 따라 어느 하나의 구성을 선택하여 장착하거나 또는 상기 구성 모두를 장착함으로써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양막(1)과 안장용 에어쿠션(4a) 및 등받이용 에어쿠션(4b)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충전된 공기를 빼고 부피를 최소화하여 빗물가림막과 함께 휴대하기 간편한 상태로 접어서 상기 부수장치 저장용 포켓(4e)에 넣을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차양막(1)을 장착하는 차양막 장착부(3) 구성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 장착부(3)는 자전거 안장을 설치하는 안장 설치대(5)에 결합되는 고정지지부(6)와 상기 고정지지부(6)의 일측단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차양막(1)을 설치하는 차양막 설치부(7)를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지지부(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안장을 설치하는 안장설치대(5)에 한쌍의 원형브라켓(5a)을 일정거리 이격시켜 용접 설치하고, 상기 한쌍의 원형브라켓(5a) 사이에 4각형관(6a)을 삽입하여 체결볼트(5b)로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4각형관(6a)과 원형브라켓(5b)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4각형관(6a)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체결볼트 결합용 홀을 길이가 길은 장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4각형관(6a)이 안장설치대(5)에 접촉되는 부위를 일정각도로 경사시켜 4각형관(6a)을 원형브라켓(5b)에 장착할 때 안장설치대(5)에 단부가 밀착되도록 하여 차양막 설치부(7)에서 발생되어 4각형관(6a)에 전달되는 회전 모멘트에 대항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4각형관(6a)에는 안장설치대(5)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곳의 좌우면에 일정길이를 가지는 가이드슬롯(6b)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슬롯(6b)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핀(10)이 체결되는 힌지핀 관통홀(6c)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4각형관(6a)의 하면에는 차양막 설치부(7)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케이블 설치용 관통홀(6d)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4각형관(6a)의 내부에는 차양막(1)의 상부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차양막 설치부(7)를 조정하는 조절레버(6e)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상기 조절레버(6e)는 일정두께를 가지는 강판재를 T자 모양으로 형성하며, T자 모양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스톱퍼(6f)가 상기 4각형관(6a)의 좌우면에 형성된 가이드슬롯(6b)에서 노출되어 차양막 설치부(7)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T자 모양의 하단부에는 상기 작동케이블(6g)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고 타측 단부는 스프링(6h)을 장착하며, 상기 스프링의 일측을 안장설치대의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조절레버(6e)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동케이블(6g)의 타측 단부는 자전거 핸들에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에 연결(미도시)하도록 하며, 상기 핸들에 설치된 레버의 조작에 따라 조절레버(6e)가 가이드슬롯(6b)에 가이드되어 전후로 이동되어 차양막 설치부(7)에 구비되는 고정판(7b)의 톱니와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조절레버(6e)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차양막 설치부(7)와 연결이 해제되고,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차양막 설치부(7)가 연결되도록 하여, 자전거 운전자가 상기 레버를 조작하면서 차양막 설치부(7)의 경사를 조절하여, 차양막(1)의 상부를 전방, 중앙 또는 후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고, 상기 차양막 설치부(7)를 운전자의 등받이에 적합한 위치와 짐받이 기능이 수행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 설치부(7)는 중앙사각관(7a)과 상기 차양막 설치부(7)를 고정지지부(6)에서 회전하는 것을 제어하는 고정판(7b)과 차양막암(9)을 설치하는 차양막암 설치대(7c), 차양막암 설치대(7c)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구(7d)와 차양막암(9)을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중앙사각관(7a)은 그 양단부에 차양막암 설치대(7c)를 고정 설치하고, 일측면 중앙부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톱니가 형성된 2개의 고정판(7b)을 상기 고정지지부에 형성되는 4각형관(6a)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정도로 이격시켜 용접 고정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암 설치대(7c)는 차양막 설치부(7)의 양단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경사져 넓은 간격이 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차양막암 설치대(7c)의 상부 양단부는 일정각도로 경사시켜 절단하고, 절단된 원형 파이프의 양측을 간격구(7d)로 연결하여 차양막암 설치대의 벌어진 간격이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차양막암 설치대(7c)의 절단된 양단부는 차양막암(9)을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관통된 구멍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8,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 설치부(7)의 중앙사각관(7a)에는 일측이 자전거의 안장에 걸쳐져서 안장의 뒤쪽에 추가로 안장을 구비하는 보조안장(7e)을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안장(7e)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판재로 형성하며, 상기 중앙사각관(7a)의 중앙부에 길이가 길고 유연하며 단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너트가 결합될 수 있는 플랙시블 연결구(7f)로 연결하고, 상기 중앙사각관(7a)에서 보조안장(7e)이 유동되는 폭을 크게하여 자전거 안장에 보조안장(7e)의 일측을 쉽게 걸칠수 있도록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암 설치대(7c)에 끼워져 결합되는 차양막암(9)은 상부관절(9a)과 하부관절(9b)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관절(9a)을 회전시켜 하부관절(9b)에서 인출하거나 하부관절(9b)에 삽입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통상의 등산스틱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양막암(9)은 하부관절(9b)의 하단부가 상기 차양막암 설치대(7c)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며, 상부관절(9a)의 상측 단부에는 걸림턱(9c)을 형성하여, 상부관절(9a)의 상단부에 차양막(1)의 에어포켓(1h)에 삽입되어 차양막(1)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양막(1)은 차양막에 형성되는 에어포켓(1h)에 상기 차양막암(9)의 상부관절(9a)의 상부 일측이 삽입되고, 상기 상부관절이 에어포켓(1h)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공기튜브(1b)에 공기를 주입하면 에어포켓(1h)이 팽창되면서 삽입된 차양막암의 걸림턱(9c)이 에포포켓(1h)에 고정되므로, 결국 차양막(1)은 차양막암(9)의 상부관절 상측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자전거 운행시 차양막이 차양막암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 설치부(7)를 안장설치대(5)의 고정지지부(6)에 결합된 상태에서 차양막암(9)을 분리하고 차양막 설치부(7)를 뒷바퀴 측으로 향하도록 회전시켜 고정하여, 자전거 뒷바퀴 상부에 짐받이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 : 차양막 1a : 몸체부
1b ~ 1e : 제1공기튜브 내지 제4공기튜브 1f : 공기주입구
1g : 공기배출구 1h : 에어포켓
1i : 우레탄 필름 1j : 망사천
2 : 빗물가림막 2a ~ 2b : 제1 ~ 제2벨크로테이프
2c : 야광체 3 : 차양막 장착부
4 : 에어쿠션 4a : 안장용 에어쿠션
4b : 등받이용 에어쿠션 4c : 쿠션 공기주입구
4d : 쿠션 공기배출구 4e : 부수장치 저장용 포켓
5 : 안장설치대 6 : 고정지지부
6a : 4각형관 6b : 가이드슬롯
6c : 힌지핀 관통홀 6d : 작동케이블 설치용 관통홀
6e : 조절레버 6f : 스톱퍼
6g : 작동케이블 6h : 스프링
7 : 차양막 설치부 7a : 중앙사각관
7b : 고정판 7c : 차양막암 설치대
7d : 간격구 7e : 보조안장
7f : 연결구
9 : 차양막암
9a : 상부관절 9b : 하부관절
9c : 걸림턱
10 : 힌지핀

Claims (9)

  1. 자전거에 설치되는 부수장치에 있어서,
    자전거의 안장 받침대에 구비되는 차양막 장착부와;
    상기 차양막 장착부에 설치되어 자전거 안장의 상부 일정 높이에서 에어프레임으로 일정 형태를 유지하는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에 착탈식으로 부착되거나 별도로 구비되어 빗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는 빗물가림막과;
    자전거 안장 및 상기 차양막 장착부에 설치되는 에어쿠션을 구비하고,
    상기 차양막과 빗물가림막 및 에어쿠션을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자전거에 설치하여 자전거 운행시 자외선 또는 빗물을 차단하거나 탑승 쿠션을 보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은 꼭지점 3곳을 절단한 삼각형 모양으로 몸체부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에는 밑변부에 복수개의 열로 형성되며 일측단부에 이중체크밸브식 공기주입구와 타측 단부에 일면 마개식 개폐밸브식 공기배출구가 구비되는 제1공기튜브와;
    상기 몸체부의 빗변부 테두리에 각각 구비되는 제2공기튜브와;
    상기 제1공기튜브와 제2공기튜브 사이 중간부를 가로질러 제1공기튜브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3공기튜브와;
    상기 제1공기튜브와 수직으로 구비되는 제4공기튜브로 형성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공기튜브는 공기튜브간 공기가 유통되는 비접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 장착부는 자전거 안장을 설치하는 안장 설치대에 결합되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의 일측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차양막암을 고정하는 차양막 설치부와; 상기 차양막 설치부에 결합되어 차양막을 지지하며 길이 신축이 가능한 차양막암과; 상기 차양막 설치부를 작동하는 작동케이블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은,
    자전거 안장을 감싸면서 표면에 다수개의 공기튜브가 형성된 안장용 에어쿠션과;
    차양막 설치부의 등받이면에 다수개의 공기튜브가 형성된 등받이용 에어쿠션을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용 에어쿠션의 상단부에 일정한 크기의 포켓을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가림막은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절곡이 자유로운 비닐재로 형성하되,
    자전거 운전자의 상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치마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빗물가림막의 상단 개구부에 제2벨크로테이프를 부착하며,
    상기 빗물가림막의 개구부 상단부와 하단부에 일정한 폭으로 야광체를 부착하여 야간 운행시 자전거 식별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가림막은 상부에 개구되는 부위를 자전거 운전자의 머리부위가 통과되어 어깨부위에 걸쳐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원형링을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4각형관으로 형성하되,
    상기 4각형관의 좌우면에는 일정길이의 가이드슬롯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슬롯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핀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4각형관의 내부에 차양막 설치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 설치부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중앙사각관과;
    상기 중앙사각관의 일측면 중앙부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톱니가 형성되어 차양막 설치부를 고정지지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제어하는 2개의 고정판과;
    원형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중앙사각관의 양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차양막암이 설치되는 차양막암 설치대와;
    차양막암 설치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구와;
    안장의 후부측 면적을 연장하는 보조안장과;
    복수개의 관절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차양막암을 형성하여,
    상기 차양막 설치부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 차양막이 설치되는 경사각을 조절하며 뒷바퀴 측으로 회전시켜 짐받이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9.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과 안장용 및 등받이용 에어쿠션은 우레탄 필름을 주재료로 하여, 한쪽면에 폴리에스터재 또는 나이론재로 이루어진 망사천을 접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KR1020120140818A 2012-01-05 2012-12-06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KR20130080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120A KR101390121B1 (ko) 2012-12-06 2013-12-06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493 2012-01-05
KR20120001493 2012-0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760A true KR20130080760A (ko) 2013-07-15

Family

ID=48992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818A KR20130080760A (ko) 2012-01-05 2012-12-06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07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491U (ko) 2016-08-11 2018-02-21 박범진 이륜차용 차광막
KR102202543B1 (ko) * 2020-07-03 2021-01-13 박주성 자전거 보호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491U (ko) 2016-08-11 2018-02-21 박범진 이륜차용 차광막
KR102202543B1 (ko) * 2020-07-03 2021-01-13 박주성 자전거 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18466A1 (es) Estructura para bicicleta
AU718416B2 (en) A protective roof for bicycles or the like
CA2093153C (en) Soft top
US7690390B2 (en) Arched canopy system
KR101390121B1 (ko)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JP4484165B1 (ja) 自転車又はバイク用風防
KR20130080760A (ko)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US8905095B2 (en) Day motorcycle cover/blanket
KR101439025B1 (ko) 자전거 운전자 보호용 부수장치
KR101221334B1 (ko) 탈착식 자전거 덮개
KR200376641Y1 (ko) 자전거의 상부커버
KR200384135Y1 (ko) 자전거용 조립식 텐트
KR20190041568A (ko) 전동 스쿠터용 차양 지붕
KR101687707B1 (ko) 자전거주차대
CN103879482A (zh) 即调式多功能二轮车用遮护篷
JP3139173U (ja) 自転車用屋根
CN203854787U (zh) 摩托车防风雨棚
KR102456101B1 (ko) 주행 중에 임의로 꺾이거나 접히지 않는 자전거용 차양장치
KR200444064Y1 (ko) 2륜차용 가림막
CN101585384A (zh) 一种摩托车遮篷
KR20110013599A (ko) 자전거의 접이식 차양커버
JP3175605U (ja) 多機能型荷台カバー
JP2011157057A (ja) 自転車用ルーフ
JP2003274714A (ja) 施肥装置付き田植機
KR101615487B1 (ko) 자전거용 차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