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312A - 다수-편의 스프링 시트를 갖는 스트럿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다수-편의 스프링 시트를 갖는 스트럿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312A
KR20130079312A KR1020127018193A KR20127018193A KR20130079312A KR 20130079312 A KR20130079312 A KR 20130079312A KR 1020127018193 A KR1020127018193 A KR 1020127018193A KR 20127018193 A KR20127018193 A KR 20127018193A KR 20130079312 A KR20130079312 A KR 20130079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eat
seat belt
spring
slot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칼 노왁
Original Assignee
테네코 오토모티브 오퍼레이팅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네코 오토모티브 오퍼레이팅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테네코 오토모티브 오퍼레이팅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7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60G15/063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pring on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2Wound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60G2204/1242Mounting of coil springs on a damper, e.g. MacPerson str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스트럿 어셈블리는 상부 장착 어셈블리, 충격 흡수기, 다수-편의 하부 스프링 시트, 및 상기 상부 장착 어셈블리와 상기 다수-편의 하부 스프링 시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편의 하부 스프링 시트는 상기 스프링을 보유하는 스프링 시트 벨트, 및 상기 충격 흡수기에 부착되고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시트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수-편의 스프링 시트를 갖는 스트럿 어셈블리{STRUT ASSEMBLY HAVING MULTI-PIECE SPRING SEAT}
본 개시물은 자동차용 맥퍼슨(McPherson) 스트럿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물은 맥퍼슨 스트럿 어셈블리의 스프링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부분은 반드시 종래기술은 아닌 본 개시물에 관한 배경기술을 제공한다.
스트럿-타입의 서스펜션 시스템은 자동차 산업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유압 댐퍼를 도입하는 텔레스코픽 스트럿(telescopic strut)은 자동차 바퀴용 위치 부재 중 하나로 사용된다. 스트럿-타입 서스펜션의 가장 흔한 형태는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시스템이다. 맥퍼슨 스트럿 어셈블리는 충격 흡수기인 텔레스코픽 스트럿 주위에 동심원적으로 위치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맥퍼슨 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은, 차량의 휠 아치(wheel arch) 위에서 차량 몸체에 의해 형성된 타워 내에 장착된 상부 장착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은 충격 흡수기 주위에 위치되며, 스트럿 어셈블리용 상부 장착 어셈블리의 일부인 상부 스프링 시트와, 일반적으로 용접에 의해 스트럿 어셈블리의 충격 흡수기에 부착된 하부 스프링 시트 사이에서 연장된다. 스트럿 어셈블리의 스프링 시트는 서스펜션 시스템을 위한 다수의 기능을 갖는다. 스프링 시트는 스프링의 정확한 위치를 지지하고 유지시키며, 차량의 전체 수명 동안 차량의 모든 운행 조건 하에서 스프링에 대한 하중을 지지한다. 스프링 시트는 차량의 수명 동안 기계적으로 견뎌낸다. 스프링 시트는 제동 하중, 변형, 마모, 마멸, 변화 하중, 및 돌과 다른 잔해에 의한 타격에 견딘다. 스프링 시트는 환경적이며, 상이한 온도, 상이한 습도 레벨, 침식성 액체 및 기체에 대해 내부식성을 갖는다. 스프링 시트는 스트럿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를 적절하게 고정시키고, 스트럿 어셈블리를 차량에 용이하게 조립시키는 것을 보장하며, 스트럿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원치 않은 이동 및/또는 회전에 저항한다. 또한, 스프링 시트의 설계는 스프링과 스프링 시트의 접촉이 스프링 또는 스프링 시트의 부식을 촉진시키거나 가속화시키지 않도록 보장한다.
종래의 하부 스프링 시트는 일반적으로 단일 편(single piece)으로 형성된 스프링 시트를 포함한다. 단일 편의 스프링 시트는 스프링의 단부 및 스트럿 어셈블리의 충격 흡수기의 외부 튜브에 용접된 플랜지 부분(flanged portion)과 짝을 이루는 만곡부를 갖는다. 이러한 단일편의 하부 스프링은 형상을 형성하는 공정에 제약이 있고, 스프링 시트를 강화하기 위한 설계에 제약이 있으며, 충격 흡수기에 조립하기 어려우며, 물, 모래, 먼지 및 다른 잔해가 체류되는 문제가 있으며, 스트럿 어셈블리 및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요소와의 상호동작과 관련한 문제가 있으며, 단일 조각의 설계로 인해 상대적으로 무겁다.
본 부분은 본 개시물의 일반적인 요약을 제공하며, 전체 권리범위 또는 특징 전부를 포괄적으로 개시하지는 않는다.
본 개시물은 단일 편으로 설계된 하부 스프링 시트와 관련된 다양한 사안 및 문제점을 해결하는 다수-편의 하부 스프링 시트에 관한 것이다. 다수-편의 하부 스프링 시트의 사용은 특정 응용에 대한 하중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설계를 최적화시킨다. 각각의 개별 구성요소의 재질, 설계, 두께 및 형상은 특정 응용에 최적화될 수 있다. 다수-편의 하부 스프링 시트를 위한 지지부의 개수는 특정 응용을 만족시키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시트 지지부 각각은 하부 스프링 시트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립(rib)으로서 기능하며, 하부 스프링 시트의 개발에 보다 많은 설계 자유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내용으로부터 추가적인 응용 영역이 명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본 부분에 기술된 내용 및 특정 예는 오직 설명의 목적으로만 의도되고, 본 개시물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도면은 오직 선택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모든 가능한 구현예를 설명하지는 않으며, 본 개시물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물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자동차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물에 따른 맥퍼슨 스트럿 어셈블리를 도입한 전방 서스펜션 유닛 중 하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하부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하부 스프링 시트의 사시도로서, 스프링 시트 벨트가 제거되어 있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전형적인 시트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물에 따른 시트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걸쳐 상응하는 도면번호는 상응하는 부분을 지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가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럿 어셈블리를 갖는 서스펜션 시스템을 도입한 차량을 도시하며, 상기 차량은 일반적으로 도면번호 (10)으로 지시된다. 차량(10)은 후방 서스펜션(12), 전방 서스펜션(14) 및 몸체(16)를 포함한다. 후방 서스펜션(12)은 차량의 뒷바퀴(18)를 지지하여 동작하는 횡 연장 후방 차축 어셈블리(미도시)를 갖는다. 후방 차축 어셈블리는 한 쌍의 충격 흡수기(20) 및 한 쌍의 나선형 코일 스프링(22)에 의해 몸체(16)에 연결되어 동작한다. 유사하게, 전방 서스펜션(14)은 차량의 앞바퀴(24)를 지지하도록 동작하는 횡 연장 전방 차축 어셈블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전방 차축 어셈블리는 제 2 쌍의 충격 흡수기(26) 및 한 쌍의 정형된 나선형 코일 스프링(28)에 의해 몸체(16)에 연결되어 동작한다. 충격 흡수기(20 및 26)는 차량(10)의 스프링이 장착되지 않은 부분(즉, 전방 및 후방 서스펜션(12 및 14) 각각)과 스프링이 장착된 부분(즉, 몸체(16))의 상대 운동을 감쇠시키도록 기능한다. 비록 차량(10)이 전방 및 후방 차축 어셈블리를 갖는 승용차로 도시되었으나, 충격 흡수기(20 및 26)는 다른 타입의 차량에 사용되거나, 그리고/또는 독립 전방 및/또는 독립 후방 서스펜션 시스템을 도입한 차량과 같은 다른 타입의 응용에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충격 흡수기(shock absorber)"는 일반적으로 댐퍼(dampers)의 의미로 사용되며, 따라서 맥 퍼슨 스트럿을 포함할 것이다. 또한, 전방 서스펜션(14)이 한 쌍의 맥퍼슨 스트럿 또는 충격 흡수기(26)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원하는 경우 후방 서스펜션(12)이 한 쌍의 맥퍼슨 스트럿 또는 충격 흡수기(26)를 도입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용 앞바퀴 어셈블리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몸체(16)는 차량(10)의 판금을 포함하는 충격 타워(32)를 정의하며, 상기 판금 안에는 충격 흡수기(26)의 형태를 갖는 텔레스코핑 장치, 코일 스프링(28) 및 상부 장착 어셈블리(36)를 포함하는 맥퍼슨 스트럿 어셈블리(34)가 장착된다. 충격 흡수기(26), 코일 스프링(28) 및 상부 장착 어셈블리(36)를 포함하는 맥퍼슨 스트럿 어셈블리(34)는 충격 타워(32)를 사용하여 차량(10)에 부착된다. 상부 장착 어셈블리(36)는 상부 장착부(38), 베어링 어셈블리(40) 및 상부 스프링 시트(42)를 포함한다. 상부 장착부(38)는 일체형 주조 몸체 및 강성 몸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 몸체 부재는 일반적으로 찍어낸 강철(stamped steel)로 만들어진다. 상부 장착 어셈블리(36)는 볼트(48)에 의해 충격 타워(32)에 장착된다. 베어링 어셈블리(40)는 상부 장착부(38) 내에 안착되도록 상부 장착부(38)의 주조된 몸체 내에서 마찰 결합(friction fit)되어, 베어링 어셈블리(40)의 일측은 상부 장착부(38) 및 충격 타워(32)에 대하여 고정된다. 베어링 어셈블리의 제 2 측은 베어링 어셈블리(40)의 제 1 측, 상부 장착부(38) 및 충격 타워(32)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한다.
베어링 어셈블리(40)의 자유 회전측은 베어링 어셈블리(40)의 외부 직경에 틈새 끼워맞춤(clearance fit)된 상부 스프링 시트(42)를 전달한다. 요동 범퍼(jounce bumper)(50)는 상부 스프링 시트(42)와 충격 흡수기(26) 사이에 배치된다. 요동 범퍼(50)는 플라스틱 먼지 쉴드(52)에 의해 보호되는 탄성중합체 물질을 포함한다. 범퍼 캡(54)은 요동 범퍼(50) 및 플라스틱 먼지 쉴드(52)와 상호접촉하도록 충격 흡수기(26) 상에 위치된다.
다수-편의 하부 스프링 시트(60)는 충격 흡수기(26)에 부착되고, 코일 스프링(28)은 몸체(16)를 전방 서스펜션(14)으로부터 고립시키도록 상부 스프링 시트(42)와 다수-편의 하부 스프링 시트(60) 사이에 배치된다. 충격 흡수기(26)는 압력 튜브(62), 피스톤 어셈블리(64) 및 텔레스코핑 로드 또는 피스톤 로드(66)를 포함한다. 충격 흡수기(26)는 단일 튜브 설계로 도시되었으나, 충격 흡수기(26)로 이중(dual) 튜브 충격 흡수기를 이용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또한, 충격 흡수기(26)가 도 2에 도시되었으나, 충격 흡수기(20)가 충격 흡수기(26)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징을 포함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맥퍼슨 스트럿 어셈블리(34)를 차량(10)에 조립하기 전에, 맥퍼슨 스트럿 어셈블리(34)의 사전-조립이 수행된다. 범퍼 캡(54), 요동 범퍼(50) 및 플라스틱 먼지 쉴드(52)가 충격 흡수기(26)에 조립된다. 코일 스프링(28)은 충격 흡수기(26) 위에 조립되고, 다수-편의 하부 스프링 시트(60) 내에 배치된다. 상부 스프링 시트(42)는 충격 흡수기(26)에 조립되고, 코일 스프링(28)에 대하여 올바르게 배치된다. 베어링 어셈블리(40)는 상부 스프링 시트(42)의 상부 상에 배치되고, 상부 장착부(38)는 베어링 어셈블리(40)의 상부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전체 어셈블리는 코일 스프링(28)을 압축하는 어셈블리 기계장치 내에 배치되어, 피스톤 로드(66)의 단부는 상부 장착 어셈블리(36) 내에 위치된 보어를 통해 연장된다. 맥퍼슨 스트럿 어셈블리(34)의 조립을 고정시키도록 유지용 너트(68)가 피스톤 로드(66)의 단부 상에 나사 체결되어 수용된다.
상부 장착부(38)는 차량의 우측 및 좌측에 대하여 동일한 구성요소로 설계되지만, 차량의 우측 또는 좌측 상에 배치되는 경우, 충격 흡수기(26) 및 그와 관련된 브래킷(bracketry)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배향을 갖는다.
이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다수-편의 하부 스프링 시트(60)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다수-편의 하부 스프링 시트(60)는 스프링 시트 벨트(70), 복수의 시트 지지부(72) 및 강화 링(74)을 포함한다.
스프링 시트 벨트(70)는 코일 스프링(28)을 감싸는 일반적으로 U자형의 단면을 갖는 환형 부재이다. 스프링 시트 벨트(70)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스프링 시트 벨트(70)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경우, 추가적으로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28)으로부터의 마모가 감소되고, 보다 나은 내부식성이 달성된다. 플라스틱의 스프링 시트 벨트를 사용함으로써, 코일 스프링(28)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없게 된다. 스프링 시트 벨트(70)를 위한 바람직한 플라스틱은 50%의 유리 섬유를 갖는 PA66이다.
스프링 시트 벨트(70)는 복수의 선택적인 탭(76)을 갖는다. 각각의 탭(76)은 복수의 시트 지지부(72) 각각에 형성된 각각의 슬롯(78)에 삽입되도록 설계된다. 탭(76)과 슬롯(78)이 짝을 이루는 것은 스프링 시트 벨트(70)가 복수의 시트 지지부(72)에 적절하게 안착되고 배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6은 복수의 시트 지지부(72) 중 하나를 도시한다. 복수의 시트 지지부(72) 중 오직 하나만이 상세하게 도시되었으나, 이어지는 시트 지지부(72)에 대한 설명은 복수의 시트 지지부(72) 전부에 적용된다. 각각의 시트 지지부(72)는 튜브 부착부(80),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부(82) 및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84)를 포함한다.
튜브 부착부(80)는 충격 흡수기(26)의 압력 튜브(62)와 짝을 이루도록 형성된 아치형 플랜지 섹션이다. 복수의 시트 지지부(72)가 단일-튜브 충격 흡수기(26)의 압력 튜브(62)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시트 지지부(72)를 이중-튜브 충격 흡수기의 비축 튜브(reserve tube)에 부착하는 것도 본 개시물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튜브 부착부(80)의 아치형 플랜지부는 시트 지지부(72)를 압력 튜브(62)에 돌기 용접(projection welding)하기 위한 용접 돌기인 복수의 돌기(86)를 정의한다. 아치형 섹션은 튜브 부착부(80)를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부(82)에 연결시킨다.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부(82)는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부(82)를 보강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강화 립(reinforcement rib)(88)을 정의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섹션이다.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84)는 스프링 시트 벨트(70)를 감싸며 슬롯(78)을 정의하는 일반적으로 U자형의 섹션이다.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84)는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부(82) 상에서 보강 립(88)의 연속일 수 있는 보강 립(90)을 정의한다.
각각의 시트 지지부(72)는 시트 지지부(72)가 배치된 위치의 특정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도록 개별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은 네 개의 시트 지지부(72)를 도시하지만, 응용에서 요구하는 대로 본 개시물은 네 개보다 적거나 네 개보다 많은 시트 지지부(72)를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시트 지지부(72)는 특정 응용의 요구사항에 따라 서로 다른 재질, 서로 다른 두께 및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강화 링(74)은 각각의 시트 지지부(72)의 상부를 고정시키는 환형 구성요소이다. 각각의 시트 지지부(72)는 내부에 강화 링(74)이 위치하는 슬롯(92)을 정의한다. 강화 링(74)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강화 링(74)은 스프링 시트 벨트(70)를 통해 코일 스프링(28)으로부터 복수의 시트 지지부(72)에 작용되는 하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시트 지지부의 회전에 저항한다.
본 개시물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돌기(86)가 없는 시트 지지부(72)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강화 링(74)의 사용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이중-튜브 충격 흡수기가 사용되는 경우, 충격 흡수기의 비축 튜브는 스웨이징되어(swaged) 다수-편의 스프링 시트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견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물의 시트 지지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시트 지지부(72')는 강화 링(74) 없이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시트 지지부(72')는 강화 링(74)을 수용하는 슬롯(92)이 제 2 복수의 돌기(86)를 포함하는 제 2 또는 상부 튜브 부착부(80)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고 시트 지지부(72)와 동일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튜브 부착부(80)의 방사상 배치는 하부 튜브 부착부(80)로부터 오프셋(offset)되어, 시트 지지부(72')가 고정된 스웨이징된 튜브를 수용한다. 튜브 상에 형철이 없는 경우, 상부 및 하부 부착부의 위치는 동일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총망라하거나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의 개별적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일반적으로 해당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 도시되거나 기술되지 않았더라도, 적용 가능한 경우 상호변경 가능하고 선택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구성요소가 많은 방식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간주되지 않을 것이며, 이러한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8)

  1. 상부 스프링 시트를 포함하는 상부 장착 어셈블리;
    상기 상부 장착 어셈블리에 부착된 충격 흡수기;
    상기 충격 흡수기에 부착된 다수-편의 하부 스프링 시트; 그리고
    상기 상부 스프링 시트와 상기 다수-편의 하부 스프링 시트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편의 하부 스프링 시트는:
    상기 스프링과 체결된 스프링 시트 벨트; 그리고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에 부착되고, 상기 충격 흡수기에 부착된 복수의 시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 지지부 각각과 체결된 강화 링을 더 포함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 지지부 각각은:
    상기 충격 흡수기에 부착된 튜브 부착부;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에 부착된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 그리고
    상기 튜브 부착부와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수직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는 슬롯 및 탭 중 하나를 정의하고,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는 상기 슬롯 및 상기 탭 중 다른 하나를 정의하고,
    상기 탭은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를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에 대하여 배치시키도록 상기 슬롯과 체결되는 스트럿 어셈블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부는 강화 립을 정의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는 강화 립을 정의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는 강화 립을 정의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부착부는 상기 튜브와 체결되는 돌기를 정의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는 탭 및 슬롯 중 하나를 정의하고,
    상기 복수의 시트 지지부 중 하나는 상기 슬롯 및 상기 탭 중 다른 하나를 정의하고,
    상기 탭은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를 상기 복수의 시트 지지부 중 하나에 대하여 배치하도록 상기 슬롯과 체결되는 스트럿 어셈블리.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는 복수의 탭 및 복수의 슬롯 중 하나를 정의하고,
    상기 복수의 시트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슬롯 및 상기 복수의 탭 중 다른 하나를 정의하고,
    각각의 탭은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를 상기 복수의 시트 지지부에 대하여 배치하도록 각각의 슬롯과 체결되는 스트럿 어셈블리.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 지지부 각각은 강화 립을 정의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 지지부 각각은:
    상기 튜브에 부착된 아치형 플랜지부;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에 부착된, 일반적으로 U자형의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 그리고
    상기 아치형 플랜지부와 상기 일반적으로 U자형의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형 수직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는 슬롯 및 탭 중 하나를 정의하고,
    상기 일반적으로 U자형의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는 상기 슬롯 및 상기 탭 중 다른 하나를 정의하고,
    상기 탭은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를 상기 일반적으로 U자형의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에 대하여 배치하도록 상기 슬롯과 체결되는 스트럿 어셈블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형 수직 지지부는 강화 립을 정의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적으로 U자형의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는 강화 립을 정의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 벨트 지지부는 강화 립을 정의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플랜지부는 상기 튜브와 체결되는 돌기를 정의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KR1020127018193A 2010-05-03 2011-04-18 다수-편의 스프링 시트를 갖는 스트럿 어셈블리 KR201300793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72,459 2010-05-03
US12/772,459 US8196941B2 (en) 2010-05-03 2010-05-03 Strut assembly having multi-piece spring seat
PCT/US2011/032834 WO2011139534A2 (en) 2010-05-03 2011-04-18 Strut assembly having multi-piece spring se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312A true KR20130079312A (ko) 2013-07-10

Family

ID=4485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193A KR20130079312A (ko) 2010-05-03 2011-04-18 다수-편의 스프링 시트를 갖는 스트럿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96941B2 (ko)
JP (1) JP5781155B2 (ko)
KR (1) KR20130079312A (ko)
CN (1) CN102712231B (ko)
BR (1) BR112012028071A2 (ko)
DE (1) DE112011101557B4 (ko)
WO (1) WO20111395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1423B4 (de) * 2010-03-15 2020-01-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ederbeinlager mit einer Federauflage und einer Aufnahme für einen Anschlagpuffer
US8408569B2 (en) * 2011-01-17 2013-04-02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tube reinforcement sleeve
US8696004B2 (en) * 2011-12-08 2014-04-15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Spring seat having an installation land/step
JP5877068B2 (ja) * 2012-01-05 2016-03-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プリングシート
JP5961128B2 (ja) * 2013-03-21 2016-08-02 Kyb株式会社 スプリングラバーシート及びストラット型サスペンション
US9108484B2 (en) * 2013-07-25 2015-08-1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Recuperating passive and active suspension
KR20150022108A (ko) * 2013-08-22 2015-03-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현가장치의 스트럿 모듈
US9802454B2 (en) 2014-07-28 2017-10-31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Plastic spring seat having integrated crash member
US9849746B2 (en) 2014-11-04 2017-12-26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Impact reinforced composite spring seat for a shock absorber
WO2016123064A1 (en) * 2015-01-26 2016-08-04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Impact reinforced composite spring seat for a shock absorber
US10434835B2 (en) 2016-02-24 2019-10-0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Monotube active suspension system having different system layouts for controlling pump flow distribution
US9873303B2 (en) 2016-03-22 2018-01-23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having reinforced catcher
IT201600106303A1 (it) * 2016-10-21 2018-04-21 Sistemi Sospensioni Spa Piatto di appoggio della molla per ammortizzatore strutturale.
CN108237860A (zh) * 2018-02-05 2018-07-03 芜湖安博帝特工业有限公司 一种改进型弹簧盘及其生产方法
US11459035B1 (en) * 2021-03-16 2022-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hock absorber assembly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4127Y2 (ko) * 1976-12-17 1982-09-29
JPS5814084Y2 (ja) * 1977-06-28 1983-03-1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高調整装置
JPS6119221Y2 (ko) * 1980-10-16 1986-06-10
DE3105170A1 (de) 1981-02-13 1982-09-02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Schwingungsdaempfer oder federbein mit mindestens einem am behaelterrohr angeordneten beschlag
US4366969A (en) * 1981-07-21 1983-01-04 Moog Automotive, Inc. Adjustable leveling suspension unit for vehicles
JPS58175232U (ja) * 1982-05-18 1983-11-24 株式会社昭和製作所 油圧緩衝器の下部ばね受け部材
US4721325A (en) * 1986-11-19 1988-01-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Suspension strut with quick take-apart upper mount
US4822072A (en) * 1987-05-12 1989-04-18 Maremont Corporation Spring guard for a vehicle suspension strut
JPH01255732A (ja) 1988-04-04 1989-10-12 Mazda Motor Corp 車両のショックアブソーバ及びその組立方法
JP3316775B2 (ja) * 1994-03-31 2002-08-19 トキコ株式会社 緩衝器
US5467971A (en) * 1994-08-08 1995-11-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trut assembly with integral bearing and spring seat
US5487535A (en) * 1994-12-05 1996-01-30 Chrysler Corporation Suspension strut metal-to-metal jounce stop
JPH09184531A (ja) * 1996-01-08 1997-07-15 Unisia Jecs Corp 液圧緩衝器のスプリングシート
US6082749A (en) * 1998-09-23 2000-07-04 Chrysler Corporation Alignment pin and slot structure for a spring and strut module of an automotive vehicle
US6155543A (en) * 1999-01-27 2000-12-05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pring seat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GB2347908B (en) * 1999-03-15 2002-06-26 Delphi Tech Inc Steering knuckle and suspension module
US6149171A (en) 1999-03-31 2000-11-21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pring isolator for a motor vehicle suspension
US6254072B1 (en) * 1999-03-31 2001-07-03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pring isolator and jounce bumper for a motor vehicle suspension
JP2002070915A (ja) 2000-08-31 2002-03-08 Hks Co Ltd 油圧緩衝器の車高調整装置
US6692012B2 (en) * 2001-03-09 2004-02-17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damper assembly and method
US20030222386A1 (en) 2001-11-27 2003-12-04 Markus Duerre Combined spring seat isolator and mass damper
CN2750964Y (zh) * 2004-09-16 2006-01-11 张海峰 汽车转向阻尼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12231A (zh) 2012-10-03
US20110266765A1 (en) 2011-11-03
JP5781155B2 (ja) 2015-09-16
WO2011139534A3 (en) 2012-02-23
WO2011139534A2 (en) 2011-11-10
CN102712231B (zh) 2015-06-03
DE112011101557B4 (de) 2019-06-06
JP2013528520A (ja) 2013-07-11
US8196941B2 (en) 2012-06-12
DE112011101557T5 (de) 2013-02-07
BR112012028071A2 (pt)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9312A (ko) 다수-편의 스프링 시트를 갖는 스트럿 어셈블리
JP5997268B2 (ja) ダンパーチューブ強化スリーブ
US8696004B2 (en) Spring seat having an installation land/step
KR101497634B1 (ko) 댐퍼 튜브 보강 슬리브
US20060043659A1 (en) Dual spring jounce bumper assembly
JP7083229B2 (ja) 補強されたキャッチャを有するダンパ
US20160031282A1 (en) Shock absorber
US20110085848A1 (en) Stabilizer link mounting unit for shock absorber
US7314224B2 (en) Automatic orientation of top mount
US20060049605A1 (en) McPherson front corner module assembly with banana or s-shaped spring
CA2691602C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US20060049015A1 (en) Automatic nut running to torque without the possibility of slip
US20180345746A1 (en) Vehicle suspension support
US10363789B2 (en) Top mount assembly with bushing having integral anti-vibration feature
KR101361246B1 (ko) 자동차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CN108622192B (zh) 用于车辆悬架系统的转向节机构
CN112539241A (zh) 用于阻尼器的基座构件
KR100953318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마운팅 유닛
KR10048205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암
US20190160904A1 (en) Vehicle Wheel Suspension
JP2010242818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構造
JP2005282742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70064972A (ko) 스트럿 가변 인슐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