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408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408A
KR20130077408A KR1020110146102A KR20110146102A KR20130077408A KR 20130077408 A KR20130077408 A KR 20130077408A KR 1020110146102 A KR1020110146102 A KR 1020110146102A KR 20110146102 A KR20110146102 A KR 20110146102A KR 20130077408 A KR20130077408 A KR 20130077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rod member
fix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697B1 (ko
Inventor
정상민
정현성
Original Assignee
정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민 filed Critical 정상민
Priority to KR1020110146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697B1/ko
Priority to JP2014550027A priority patent/JP5941552B2/ja
Priority to RU2014128881/07A priority patent/RU2571426C1/ru
Priority to EP12861638.0A priority patent/EP2799759A4/en
Priority to CN201280069359.3A priority patent/CN104334964B/zh
Priority to PCT/KR2012/011792 priority patent/WO2013100728A1/ko
Priority to US14/369,354 priority patent/US9416945B2/en
Priority to TW101151028A priority patent/TWI535973B/zh
Publication of KR2013007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5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with a lamp housing maintained at a distance from the floor or ground via a support, e.g. standing lamp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6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with a lamp housing maintained at a distance from the floor or ground via a support, e.g. standing lamp for ambient lighting for direct lighting only, e.g. task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 F21V21/28Pivoted arms adjustable in more tha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평평한 면에 놓여지거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봉부재; 상기 봉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된 조명부; 및 상기 봉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조명부를 상호 연결하는 조명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명 연결부는, 상기 봉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된 구멍부; 그 일단부는 상기 구멍부에 끼워지되 회전운동가능도록 끼워져 지지되고, 그 타단부에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된 머리부가 구비된 조명지지부재; 상기 조명지지부재의 머리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머리부를 위와 아래에서 각각 가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머리부를 중심으로 하는 위아래 방향의 회전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로 이루어진 결합부; 및 상기 조명지지부재의 머리부를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가압하도록 구비된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명부는, 광원이 고정된 광원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광원케이스는, 상호 결합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 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단부에는 상부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단부에는 하부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돌출부와 하부돌출부는 상호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간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부드럽게 조명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장치는, 일반적으로 현광등, 백열등, 엘이디(LED) 전구 등 다양한 광원을 포함하며, 그 구체적인 형태는 다양하다.
이러한 조명장치들 중 천정등과 같은 조명장치는 주택이나 사무실의 천정에 설치되어 넓은 범위를 조명하는 장치이고, 스탠드와 같은 조명장치는, 필요에 따라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를 조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명장치이다.
특히, 스탠드와 같은 조명장치는, 책상이나 바닥에 올려져 사용되거나 벽체에 베이스부가 고정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사용자가 책을 읽거나 또는 어떤 필요에 의해 제한적인 공간의 조명이 필요할 때, 필요한 부분을 필요한 조도로서 조명할 수 있도록, 광원을 포함한 조명부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탠드와 같은 조명장치는, 일반적으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연결된 봉부재와, 이러한 봉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며 빛을 발광하는 광원이 구비된 조명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조명장치의 경우, 조명부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기 이루어질 수 있도록, 봉부재가 제1봉부재와 제2봉부재로 구성된다. 제1,2봉부재 상호간을 연결하는 부분에는 관절과 같은 움직임이 가능한 중간 연결부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중간 연결부를 포함한 조명장치는, 중간 연결부의 의 구조상의 한계로 인하여, 제2봉부재의 제1봉부재에 대한 상대 움직임이 만족스럽지 못하여, 사용자가 조명부를 원하는 위치로 변경시키는 것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기 힘들거나 또는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12352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중간 연결부를 포함한 조명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제2봉부재의 제1봉부재에 대한 동작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그리고 적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평한 면에 놓여지거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그 일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제1봉부재; 그 일단부에 조명부가 구비되어 있는 제2봉부재; 및 상기 제1봉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제2봉부재의 타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명기구로서, 상기 중간 연결부는, 상기 제1봉부재의 타단부에 고정된 제1프레임; 상기 제2봉부재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되, 원호를 따라 연장되며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장공; 및 상기 제1,2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되, 상기 가이드 장공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된 가이드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프레임의 각각은, 그 전체적인 형상이 실질적으로 고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장공은, 상기 제1,2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2개 이상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부는 상기 제1,2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되, 상기 각 가이드 장공에 하나씩 대응되도록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가이드 장공의 길이는, 그 가이드 장공에 대응하는 원호의 중심각의 크기가 60도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2프레임의 서로에 대한 회전운동이 60도 이하로 제한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핀부의 일단부는, 상기 제1,2 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핀부의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장공의 폭보다 넓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핀부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몸체부는, 상기 가이드 장공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 베어링부재가 더 구비되어, 그 베어링부재가 상기 가이드 장공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2 프레임이 서로 대면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되되, 다른 하나의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제1,2 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2프레임이 상대 이동하는 경우, 상기 탄성지지부가 이동하는 원호 형태의 이동 궤적을 따라 돌출형성되되, 그 돌출된 높이가 원호를 따라 점차 커지거나 혹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경사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탄성지지부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와, 그 홈부에 구비된 탄성부재와, 그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볼(ball)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봉부재와 상기 제1봉부재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도록,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은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를 더 압박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프레임은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2프레임의 외측에는, 그 제1,2프레임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케이스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조명부의 자세 또는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중간연결부의 동작이 적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중간연결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개략적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도 4의 Ⅶ-Ⅶ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
도 8은, 도 4의 Ⅷ-Ⅷ선에 따른 개념적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중간연결부에 가이드 장공 및 가이드핀부가 하나씩 더 구비된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조명장치가 부분 분해사시도로 예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중간연결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제1,2프레임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주로 책상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일명 스탠드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간 연결부의 구성을 채용한 상태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베이스부를 벽체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조명장치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예시된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는 책상이나 테이블에 놓여 주로 사용되는 스탠드용 조명장치로서, 베이스부(10), 제1봉부재(20), 제2봉부재(30), 조명부(40) 및 중간 연결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책상의 바닥면에 놓여져 사용되며,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나머지 구성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베이스부(10)는 다른 구성들의 동작시 안정감을 주기 위해 무겁게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부는 벽체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바닥면에 놓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부(10)는, 상호 결합된 상부케이스(102)와 하부케이스(104)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102)는 하부케이스(10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봉부재(20)는, 베이스부(10)에 그 일단부(22)인 하단부가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24)인 상단부는 중간연결부(50)에 결합되어 있다. 제1봉부재(20)는, 얇고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의 부재로서,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일 수도 있고, 횡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인 봉 부재일 수도 있다.
상기 제2봉부재(30)는, 그 일단부(32)에 조명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제2봉부재(30)도, 제1봉부재와 마찬가지로, 얇고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의 부재로서,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일 수도 있고, 횡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인 봉 부재일 수도 있다.
상기 중간 연결부(50)는, 제1봉부재(20)의 타단부(24)와, 제2봉부재(30)의 타단부(34)를 상호 연결한다. 중간 연결부(50)는, 제2봉부재(30)가 제1봉부재(20)에 대해 상대 운동을 하며 원하는 위치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간 연결부(50)는, 제1프레임(52), 제2프레임(54), 가이드 장공(56) 및 가이드핀부(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52)은, 제1봉부재(20)의 타단부(24)에 고정된다. 제1프레임(52)의 일측에는 제1봉부재(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1프레임 지지축(522)이 구비되어 있다. 제1프레임 지지축(522)은 나사(523)들에 의해 제1프레임(52)의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 제2프레임(54)은 제2봉부재(30)의 타단부(34)에 고정된다. 제2프레임(54)은 제1프레임(52)에 대응되는 형상이고, 제1프레임(52)에 대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제1프레임(52)에 결합된다.
제2프레임(54)의 일측에는 제2봉부재(3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제2프레임 지지축(542)이 구비되어 있다. 제2프레임 지지축(542)은 나사(543)들에 의해 제2프레임(54)의 일측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2 프레임(52, 54)은, 그 전체적인 형상이 실질적으로 고리 형상이다. 실질적으로 고리 형상이라는 의미는 수학적이나 사전적으로 고리 형상이라는 정의에 반드시 맞아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넛형상이나 가운데가 비어있는 원판 형상과 같은 형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제1,2프레임(52, 54)은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제1,2프레임(52, 54)의 외측에는, 그 제1,2프레임(52, 54)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케이스부(7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케이스부(70)는 제1,2프레임(52, 54)에 각각 접하는 제2케이부(74)와 제1케이스부(72)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1,2 프레임은 상호 상대 원운동만 한다면, 고리 대신 원판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제1프레임은 그 전체적인 형상이 원이 아니고 사각판 형태일 수도 있다. 이때에도, 가이드 장공은 다수가 원주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장공(56)은, 제2프레임(54)에 구비된다. 가이드 장공(56)은, 제2프레임(54)의 원주 상의 원호를 따라 관통된 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가이드 장공(56)은 본 실시예의 경우 모두 3개가 구비되어 있다.
각 가이드 장공(56)의 길이는, 그 가이드 장공에 대응하는 원호의 중심각의 크기가 60도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제1,2프레임(52, 54)의 서로에 대한 회전운동이 60도 이하로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제2프레임(54)에 고정된 제2봉부재(30)는, 제1프레임(52)에 고정된 제1봉부재(20)에 대해, 제1봉부재(20)가 수직으로 있고 제2봉부재(30)는 수평으로 있는 것을 가정하였을때, 제2봉부재(30)는 위로 25도, 아래로 30도 범위에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회전이동가능 범위 각도는, 필요에 따라 더 작게 혹은 더 크게 변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 장공 각각의 길이와, 그리고 구비된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장공이 제1프레임에 형성되고, 가이드핀부가 제2프레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핀부(58)는 제1프레임(52)에 고정되되 가이드 장공(56)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된다. 가이드 핀부(58)는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 장공(56)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모두 3개가 구비된다.
한편, 도 9에, 가이드장공 및 가이드핀부가 각각 4개씩 구비되도록 변형된 중간연결부(50a)가 예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예와 비교하면, 하나의 가이드장공(56a)과 이에 대응되는 하나의 가이드핀부(58a)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1,2프레임이 상호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핀부(58)는, 나사부(581)와, 와셔(582), 핀부(584)와, 베어링부재(587)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부(581)의 머리부는, 가이드핀부(58)의 일단부를 구성하며, 제1프레임(52)에 고정되어 있다. 핀부(584)는 직경확대부(583)와 몸체부(585)로 구성된다. 핀부의 직경확대부(583)는 가이드핀부의 타단부를 구성하며, 그 직경의 크기는 가이드 장공(56)의 폭보다 넓은 크기를 가진다.
상기 핀부의 몸체부(585)는 가이드핀부(58)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몸체부를 구성한다. 몸체부(585)는 가이드 장공(56)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실시예의 경우, 가이드핀부(58)에는, 몸체부(585)의 외측면에 베어링부재(587)가 더 구비되어 있다. 베어링부재(587)는 가이드 장공(56)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가이드핀부(58)가 가이드 장공(56) 내에서 이동하는 것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와셔(582)는 나사부(581)에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지지부(60)와 경사부(62)를 더 구비한다.
상기 탄성지지부(60)는, 제2프레임이 제1프레임과 대면하는 면에 구비된다. 탄성지지부(60)는 제1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탄성지지부(60)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601)와, 그 홈부(601)에 구비된 탄성부재(603)와, 그 탄성부재(60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볼(ball; 605)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볼(605)은 탄성부재(603)에 접하는 볼홀더(604)에 수용된다.
상기 경사부(62)는, 도 4에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4의 원호 Ⅷ-Ⅷ를 따른 개념적인 단면도인 도 8을 참고하면, 경사부(62)는 그 돌출된 높이가 원호를 따라 점차 우측으로 가면서 커지도록 되어 있다. 돌출된 높이와 경사면의 경사 정도는 탄성을 고려하고 조명부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60)가 구비된 제2프레임(54)이 제1프레임(52)에 대해 회전운동을 하면, 탄성지지부(60)가 이동하는 원호 형태의 이동 궤적을 따라 돌출형성된 경사부(62)의 경사면(621)에 의해, 볼(605)이 탄성부재(603)의 탄성력을 이기며 눌리게 된다. 탄성부재(603)의 탄성력에 의한 힘은 조명부 등의 무게에 의해 힘과 평형을 이루게 되어, 제2프레임(54)의 위치는 이동시에도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봉부재(30)와 제1봉부재(20)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도록, 제2프레임(54)이 제1프레임(52)에 대해 회전하게 되면, 경사부(62)의 경사면(621)은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탄성지지부의 탄성부재(603)를 더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2봉부재(30)가 수평에서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탄성부재(603)가 더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제2봉부재(54)는 어떠한 위치에서도 안정적으로 있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수평보다 아래에 있던 제2봉부재(54)를 위로 올리게 되면 탄성부재(603)의 도움을 받아 적은 힘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 탄성지지부와 경사부의 형성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제1,2 프레임 간에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고, 구비된 개수의 변경도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조명장치(1)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 제1,2프레임(52, 54), 가이드 장공(56) 및 가이드핀부(58)를 포함하여 구성된 중간 연결부(5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호 움직임을 정확히 원하는 각도 내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가이드핀부(58)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링 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1,2프레임간의 움직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지지부(60)와 경사부(6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2봉부재(30)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적은 힘으로도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거이 가능하고, 원하는 지점에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제2봉부재(30)에 구비된 조명부(40)가 위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지지부에 접하는 경사부의 부분이 낮은 높이의 부분으로 이동하게 되어 탄성부재(603)의 압축량은 점차 작아지게 되고, 조명부(4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지지부에 접하는 경사부의 부분이 높은 높이를 가지는 부분으로 이동하게 되어 탄성부재(603)의 압축량은 점차 커지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를 포함한 탄성지지부의 탄성력과 조명부를 포함한 부분의 무게가, 상호 힘의 평형을 이루게 되어, 결국 조명부의 위치를 변경함에 있어서, 종래의 중간연결부를 구비한 조명장치와는 비교할 수 없는 정도의 부드러움과 편리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1 ... 조명장치 10 ... 베이스부
20 ... 제1봉부재 30 ... 제2봉부재
40 ... 조명부 50, 50a ... 중간 연결부
52 ... 제1프레임 54 ... 제2프레임
56 ... 가이트 장공 58 ...가이드핀부
60 ... 탄성지지부 62 ... 경사부
70 ... 케이스부

Claims (10)

  1. 평평한 면에 놓여지거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그 일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제1봉부재;
    그 일단부에 조명부가 구비되어 있는 제2봉부재; 및
    상기 제1봉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제2봉부재의 타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명기구로서,
    상기 중간 연결부는,
    상기 제1봉부재의 타단부에 고정된 제1프레임;
    상기 제2봉부재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되, 원호를 따라 연장되며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장공; 및
    상기 제1,2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되, 상기 가이드 장공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된 가이드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프레임의 각각은, 그 전체적인 형상이 실질적으로 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공은, 상기 제1,2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2개 이상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핀부는 상기 제1,2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되, 상기 각 가이드 장공에 하나씩 대응되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 장공의 길이는, 그 가이드 장공에 대응하는 원호의 중심각의 크기가 60도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2프레임의 서로에 대한 회전운동이 60도 이하로 제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부의 일단부는, 상기 제1,2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핀부의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장공의 폭보다 넓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핀부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몸체부는, 상기 가이드 장공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 베어링부재가 더 구비되어, 그 베어링부재가 상기 가이드 장공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프레임이 서로 대면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되되, 다른 하나의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제1,2 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2프레임이 상대 이동하는 경우, 상기 탄성지지부가 이동하는 원호 형태의 이동 궤적을 따라 돌출형성되되, 그 돌출된 높이가 원호를 따라 점차 커지거나 혹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경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탄성지지부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와, 그 홈부에 구비된 탄성부재와, 그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볼(ball)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봉부재와 상기 제1봉부재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도록,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경사부의 경사면은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를 더 압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프레임은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2프레임의 외측에는, 그 제1,2프레임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케이스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10146102A 2011-12-29 2011-12-29 조명 장치 KR101309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102A KR101309697B1 (ko) 2011-12-29 2011-12-29 조명 장치
JP2014550027A JP5941552B2 (ja) 2011-12-29 2012-12-28 照明装置
RU2014128881/07A RU2571426C1 (ru) 2011-12-29 2012-12-28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12861638.0A EP2799759A4 (en) 2011-12-29 2012-12-28 LIGHTING APPARATUS
CN201280069359.3A CN104334964B (zh) 2011-12-29 2012-12-28 照明装置
PCT/KR2012/011792 WO2013100728A1 (ko) 2011-12-29 2012-12-28 조명 장치
US14/369,354 US9416945B2 (en) 2011-12-29 2012-12-28 Lighting apparatus
TW101151028A TWI535973B (zh) 2011-12-29 2012-12-28 發光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102A KR101309697B1 (ko) 2011-12-29 2011-12-29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408A true KR20130077408A (ko) 2013-07-09
KR101309697B1 KR101309697B1 (ko) 2013-09-17

Family

ID=4869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102A KR101309697B1 (ko) 2011-12-29 2011-12-29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416945B2 (ko)
EP (1) EP2799759A4 (ko)
JP (1) JP5941552B2 (ko)
KR (1) KR101309697B1 (ko)
CN (1) CN104334964B (ko)
RU (1) RU2571426C1 (ko)
TW (1) TWI535973B (ko)
WO (1) WO2013100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5966B (zh) * 2016-08-30 2023-06-02 广州市浩洋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元件的旋转装置及具有其的舞台灯光学装置
EP3591286A1 (en) * 2018-07-02 2020-01-08 Signify Holding B.V. Stand and lighting device
USD951529S1 (en) * 2019-12-02 2022-05-10 Jongseok Kim Speed light bracket
USD993502S1 (en) * 2021-07-15 2023-07-25 Steelcase Inc. Desk lamp
USD1017107S1 (en) * 2021-07-15 2024-03-05 Steelcase Inc. Desk lamp
USD990026S1 (en) * 2022-02-19 2023-06-20 Peter Yin Floor lamp
US11746579B1 (en) 2022-04-08 2023-09-05 The Boeing Company Hinge assembly and stackable hinge assembly for rotation about an openi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3497A (en) 1964-12-11 1966-03-29 Dynapower Systems Corp Of Cali Universal support for electrotherapeutic treatment head
JPS4841231U (ko) * 1972-08-31 1973-05-25
JPS5553934Y2 (ko) * 1979-02-22 1980-12-13
US4770384A (en) * 1986-07-28 1988-09-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ovable stand
RU2035006C1 (ru) * 1993-03-12 1995-05-10 Сысун Виктор Викторович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перестраиваемой арматурой
KR100269288B1 (ko) 1997-02-05 2000-10-16 윤종용 메모리테스트용데이터발생회로
KR200157501Y1 (ko) * 1997-05-27 1999-09-15 전주범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
JP3881750B2 (ja) * 1997-07-03 2007-02-14 宇部日東化成株式会社 交差ジョイントの角度調整治具
KR200271019Y1 (ko) * 1999-03-25 2002-04-09 김경중 테이블 고정용 데스크램프
US7152836B2 (en) 2003-01-09 2006-12-26 Csav, Inc. Adjustable tilt mount
JP4368149B2 (ja) 2003-06-24 2009-11-18 株式会社アイ・ライティング・システム 照明器具
RU2244872C1 (ru) * 2003-12-16 2005-01-20 Марков Валерий Николаевич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светодиодный осветитель для контейнера
KR200432747Y1 (ko) * 2006-09-27 2006-12-06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천장 조명등의 위치 조절장치
US7717375B2 (en) * 2008-03-19 2010-05-18 Seed Lighting Design Co., Ltd Rotation control device for support arm of a lamp
KR101007903B1 (ko) 2009-05-15 2011-01-14 (주)대영오앤이 관절 구조가 개선된 스탠드 장치
JP2010287551A (ja) * 2009-06-15 2010-12-24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装置
DE102009037019B4 (de) * 2009-08-10 2013-03-14 Aaron Rauh Mehrgliedrige Leuchte
TWM377970U (en) * 2009-11-17 2010-04-11 Galemed Corp Hanging device and its pivoting mechanism for medical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16945B2 (en) 2016-08-16
US20140355279A1 (en) 2014-12-04
CN104334964A (zh) 2015-02-04
JP2015506551A (ja) 2015-03-02
RU2571426C1 (ru) 2015-12-20
TW201337155A (zh) 2013-09-16
EP2799759A1 (en) 2014-11-05
WO2013100728A1 (ko) 2013-07-04
TWI535973B (zh) 2016-06-01
KR101309697B1 (ko) 2013-09-17
CN104334964B (zh) 2017-05-24
JP5941552B2 (ja) 2016-06-29
EP2799759A4 (en)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697B1 (ko) 조명 장치
KR101309698B1 (ko) 조명 장치
US20130286652A1 (en) Table lamp
US20160377269A1 (en) Table lamp
KR101366690B1 (ko) 조명 장치
KR20080096309A (ko) 조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광섬유 조명용 렌즈체결장치
CN203010349U (zh) 一种led台灯
CN203298064U (zh) 一种可调节高度的led落地灯
KR20130080591A (ko) 지시방향의 조절이 자유로운 구동장치
JP2011008992A (ja) ランプ支持枠
CN202709031U (zh) 灯具调整装置
JP3224264U (ja) 照明器具
JP2013232329A (ja) 照明装置及び照明方法
CN219199076U (zh) 可配合灯具使用的可角度调节装置
KR101252652B1 (ko) 높이조절형 전기스탠드
KR101356137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CN100430644C (zh) 一种灯具伸缩立柱结构
WO2013100730A1 (ko) 조명 장치
JP2004014473A (ja) 埋込型照明器具
JP5906949B2 (ja) 電球用アダプタ
TW201132903A (en) Rotatable reading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