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501Y1 -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 - Google Patents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501Y1
KR200157501Y1 KR2019970012086U KR19970012086U KR200157501Y1 KR 200157501 Y1 KR200157501 Y1 KR 200157501Y1 KR 2019970012086 U KR2019970012086 U KR 2019970012086U KR 19970012086 U KR19970012086 U KR 19970012086U KR 200157501 Y1 KR200157501 Y1 KR 200157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stand
frame
rotating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514U (ko
Inventor
신현득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12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50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75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5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501Y1/ko

Link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탠드의 상단부에 설치된 헤드부를 회전시킬 때, 헤드부가 횡 방향을 중심으로 일정량 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에 가해지는 하중 및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회전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광원이 설치된 헤드부(1)가 횡방향을 중심으로 일정량 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넥크(13)와, 상기 넥크(13)의 일측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헤드부(1)를 지지하는 넥크 프레임(15)으로 구성된 스탠드의 회전부에 있어서, 상기 넥크(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스 와셔(39)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공(40)에 삽입된 스크류에 의해 체결되도록 상기 넥크 프레임(15)의 내부 양측면에 돌출되어 중앙에 나사홈을 갖는 허브(27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
본 고안은 스탠드 상부에 위치해 있는 헤드부의 회전을 위해 설치되어 회전부를 구성하고 있는 프레임 네크의 내측에 나사홈을 갖는 허브를 형성시키고, 넥크 내에 연통공이 형성된 프레스 와셔를 삽입 설치하여 스크류에 의해 체결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스탠드를 회전시킬 때 헤드부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과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회전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스탠드의 주요 구성을 도 1에 도시하였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탠드에서 발생된 빛을 일정 범위에 집중적으로 비출 수 있도록 하측이 개구되어 있는 외부 커버(103)와, 이 외부 커버(103)의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내부 커버(105)와, 상기 내부 커버(105)의 내부에 설치되며 형광등에 의해발생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107)과, 상기 반사판(107)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형광등(109)으로 이루어진 헤드부(101)와, 상기 내부 커버(105)의 하단부 일측과 결합되며 타측은 헤드부(101)가 횡 방향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 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111)와, 상기 회전부(111)는 상기 헤드부(101)의 하단부 일측에 설치되는 넥크(113)와 상기 넥크(113)에 일측이 삽입되며 타측은 헤드부(101)가 상하로 일정량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 조절부(117)를 갖는 넥크 프레임(115)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넥크 프레임(115)에 형성된 상하 조절부(117)와 일측이 연계되며 타측에는 고정축(153)이 형성된 프레임(119)과, 상기 고정축(153)이 삽입되어 스탠드의 상단을 지지하는 파이프(121)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스탠드의 헤드부(101)와 그 주위의 연결 상태를 보면, 헤드부(101)에 구성된 외부 커버(103)의 내부 양측에는 잠금 돌기(123)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지지대(125)에 의해 지지되어 중앙에 나사홈이 형성된 허브(127)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커버(103)의 하부에 설치되는 내부 커버(105)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외부 커버(103)에 형성된 잠금 돌기(123)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고정 돌기(129)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상기 허브(127)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33)을 갖는 보스(1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외부 커버(103)내에 내부 커버(105)가 결합되도록 허브(127)의 나사홈과 보스(131)의 삽입홈(133)에 볼트가 끼워지고, 일측 하단부에 또 하나의 볼트에 의해 내부 커버(105)가 외부 커버(103)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진다.
또한, 내부 커버(105)의 일측 하단부에는 삽입구(135)가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구(135)에 상기 넥크(113)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11)는 먼저 넥크(113)의 양측에는 연계홈(137)이 형성되어 있어 조임 볼트(139)가 삽입되고, 그 일측에는 너트(141)가 체결되어 상기 너트(141)의 회전에 의해 조임력이 발생하도록 조임홈(143)이 상하에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삽입 돌기(1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돌기(145)의 일면 좌우측에는 스토퍼(147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 돌기(145)가 끼워지는 삽입공(149)이 원주상으로 요입 형성되고, 삽입공(149)의 전단부에는 상하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147b)가 있는 넥크 프레임(115)의 타측단에는 인버트 스탠드가 일정량 만큼 상하로 운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151)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상하 조절부(117)가 위치한다.
상기 상하 조절부(117)에 일측이 연계되고 하부에는 고정축(153)이 형성되어 있어 파이프(121)의 상단에 삽입되는 고정축(153)을 상기 파이프(1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프레임(119)의 일측에 돌출된 고정나사홈(152)에 의해 상기 프레임(119)이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탠드의 작용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전원이 입력되면 온 오프 스위치를 사용자가 눌러 형광등(109)에서 불빛이 발생하도록 하며 발생된 빛이 하부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형광등(109)에는 하측이 개구되어 있는 반사판(101)이 씌워지게 된다.
이에따라, 형광등(109)에서 발생된 빛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비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101)를 회전 시키는 과정에서 넥크(113) 내의 일측 좌우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147a)가 상기 넥크(113)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넥크(113)가 일정한 각도 만큼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넥크(113)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넥크 프레임(115)의 좌측단 상하부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47b)를 설치함으로서 넥크(113)의 스토퍼(147a)가 프레임 네크(115)에 형성된 스토퍼(147b)와 접촉함으로서 상기 넥크(113)의 회전을 억제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 프레임 네크(115)의 일측단에 원주상으로 형성된 삽입공(149)에 넥크(113)의 삽입 돌기(145)가 삽입됨으로서 헤드부(101)와 넥크(113)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이 넥크 프레임(115)의 좌측단에 집중하게 되며, 삽입공(149)에 삽입된 삽입 돌기(145)가 넥크 프레임(115)과 접촉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서 헤드부(101)가 자의적으로 회전을 하지 않도록 된다.
또한, 넥크 프레임(115)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일정 범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상하 조절부(117)는 프레임 네크(115)와 프레임(119)이 밀착되어 힌지축(151)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넥크 프레임(115)의 상하 운동에 따라서 힌지축(151)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헤드부(101)가 자체 하측으로 처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탠드에 있어 회전부를 구성하고 있는 작은 크기의 넥크에 삽입되는 넥크 프레임의 원주상으로 삽입공이 형성됨으로서, 넥크 프레임의 두께가 더욱 작아지게 되어 헤드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헤드부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마찰력이 누적되어 회전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스탠드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헤드부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 및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마찰력이 회전부의 넥크 프레임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고 회전부를 견고하게 만듬으로서 회전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스탠드의 일반적인 주요 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 스탠드의 회전부 결합상태를 보인 일측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회전부 결합상태를 보인 일측 단면 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넥크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넥크 프레임의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와셔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부 3 : 외부 커버
5 : 내부 커버 7 : 반사판
9 : 형광등 11 : 회전부
13 : 넥크 14 : 넥크 커버
15 : 넥크 프레임 17 : 상하 조절부
19 : 프레임 21 : 파이프
23 : 잠금 돌기 25 : 지지대
29 : 고정 돌기 31 : 보스
33 : 삽입홈 35 : 삽입구
37 : 관통홈 38 : 리브
39 : 프레스 와셔 40 : 연통공
41 : 볼트 삽입공 43 : 연통홈
45 : 삽입 돌기 47 : 스토퍼
51 : 힌지축 52 : 고정나사홈
53 : 고정축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스탠드의 회전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스탠드의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헤드부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 및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이 발생하더라도 넥크 프레임 내부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 나사홈을 허브를 설치하여 넥크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스 와셔와 허브를 스크류에 의해 결합시켜 견고하게 만듬으로써 회전부가 파손되지 않도록하기 위한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탠드는 전원이 인가되면 빛을 발산하는 형광등(9)과, 상기 형광등(9)의 상부에 씌워져 빛이 하부의 일정 범위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부(1)와, 상기 헤드부(1)가 횡 방향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 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11)와, 상기 헤드부(1)와 상기 회전부(11)가 상하로 설정된 위치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부(11)와 연계되어 있는 상하 조절부(17)와, 상기 헤드부(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 조절부(17)와 연결되어 스탠드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파이프(21)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 헤드부(1)에는 전등에서 발생한 빛을 일정 범위에 집중적으로 비출 수 있도록 하측이 개구되어 있는 외부 커버(3)와, 이 외부 커버(3)의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내부 커버(5)와, 상기 내부 커버(5)의 내에 설치되며 형광등에 의해 발생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7)과, 상기 반사판(7)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형광등(9)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부(11)는 내부 커버(5)의 하단부 일측과 결합되며 타측은 헤드부(1)가 일정 반경 만큼 횡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넥크(13)와, 상기 넥크(13)에 일측이 삽입되며 타측은 헤드부(1)가 상하로 일정 범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상하 조절부(17)를 갖는 넥크 프레임(1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넥크 프레임(15)에 형성된 상하 조절부(17)와 일측이 연계되며 타측에는 고정축(53)이 형성된 프레임(19)과, 상기 고정축(53)이 삽입되어 스탠드의 상단을 지지하는 파이프(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부 커버(3)의 내부 양측에는 잠금 돌기(23)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지지대(25)에 의해 지지되어 중앙에 나사홈이 형성된 허브(27a)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커버(3)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내부 커버(5)의 상부 양측에는 외부 커버(3)에 형성된 잠금 돌기(23)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고정 돌기(29)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상기 허브(27)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3)을 갖는 보스(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외부 커버(3) 내에 내부 커버(5)가 결합되도록 허브(27)의 나사홈과 보스(31)의 삽입홈(33)에 볼트가 끼워지고, 일측 하단부에 또 하나의 볼트에 의해 내부 커버(5)가 외부 커버(3)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진다.
또한, 내부 커버(5)의 일측 하단부에는 삽입구(35)가 요입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구(35)에 상기 넥크(13)가 삽입되어 내부 커버(5)에 고정된다.
도 5 및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1)는 먼저 넥크(13)의 내부에는 관통홈(37)이 형성되어 있어 프레스 와셔(39)가 삽입 설치되고, 프레스 와셔(39)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삽입 돌기(45)와, 상기 삽입돌기의 상하측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47)가 있으며, 넥크(13)의 일측에는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중앙에 나사홈을 갖는 허브(27b)가 리브(38)에 의해 지지되는 넥크 커버(14)가 설치되어 있어 넥크(13)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 삽입공(41)과 상기 나사홈과 연계되어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넥크 프레임(15)의 내부에 연통공(4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통공(40)의 좌우측에는 상기 프레스 와셔(39)와 스크류에 의해 연계되도록 중앙에 나사홈을 갖는 허브(27c)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단에는 상기 헤드부(1)가 일정량 만큼 상하로 운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51)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상하 조절부(17)가 위치한다.
상기 상하 조절부(17)에 일측이 연계되고 하부에는 고정축(53)이 형성되어 있어 파이프(21)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고정축(53)을 상기 파이프(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프레임(19)의 일측에 돌출된 고정나사홈(52)에 의해 상기 프레임(19)이 지지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 형광등(9)에서 발생된 빛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비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1)를 회전 시키는 과정에서 넥크(13)의 일측에 돌출된 삽입 돌기(45)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47)가 상기 넥크(13)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넥크(13)가 일정한 각도 만큼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넥크(13)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넥크 프레임(15) 내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홈(43)의 좌우에 돌출 형성되어 그 중앙에 나사홈을 갖는 허브(27c)에 넥크(13)의 스토퍼(47)가 접촉함으로서 상기 넥크(13)의 회전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프레임 네크에 형성되어 있는 허브(27c)의 나사홈과 연계되는 연통공(40)을 갖는 프레스 와셔(39)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스 와셔(39)는 넥크(13)의 관통홈(37)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47)와 접촉되며 상기 연통공(40)을 통해 삽입되는 스크류에 의해 넥크(13)와 넥크 프레임(15)을 결속시킨다.
프레임 네크(9)의 내부에 형성된 연통홈(43)의 양측에 형성된 허브(27c)와 넥크(13)의 관통홈(37)에 삽입 설치된 프레스 와셔(39)가 볼트에 의해 결속 됨으로서 헤드부(1)와 넥크(13)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은 스크류에 집중하게 되며, 상기 프레스 와셔(39)는 넥크(13)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 돌기(45)와 접촉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서 헤드부(1)가 자의적으로 회전 하지 않게 된다.
또한, 넥크 프레임(15)의 우측에 형성되어 상하로 일정 범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상하 조절부(17)는 프레임 네크와 프레임(19)이 밀착되어 힌지축(51)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넥크 프레임(15)의 상하 운동에 따라 힌지축(51)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헤드부(1)로부터 받는 하중에 의해 헤드부(1)가 하측으로 처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탠드의 회전부가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와 같이 넥크 프레임에 형성된 허브와 넥크 내에 설치된 프레스 와셔가 스크류에 의해 체결되어 회전부가 견고해짐으로써, 헤드부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과 사용자가 헤드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회전부에 마찰이 발생하더라도 파손되지 않는 잇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

  1. 광원이 설치된 헤드부(1)가 횡방향을 중심으로 일정량 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넥크(13)와, 상기 넥크(13)의 일측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헤드부(1)를 지지하는 넥크 프레임(15)으로 구성된 스탠드의 회전부에 있어서, 상기 넥크(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스 와셔(39)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공(40)에 삽입된 스크류에 의해 체결되도록 상기 넥크 프레임(15)의 내부 양측면에 돌출되어 중앙에 나사홈을 갖는 허브(27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
KR2019970012086U 1997-05-27 1997-05-27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 KR200157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086U KR200157501Y1 (ko) 1997-05-27 1997-05-27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086U KR200157501Y1 (ko) 1997-05-27 1997-05-27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514U KR19980067514U (ko) 1998-12-05
KR200157501Y1 true KR200157501Y1 (ko) 1999-09-15

Family

ID=1950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086U KR200157501Y1 (ko) 1997-05-27 1997-05-27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5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697B1 (ko) * 2011-12-29 2013-09-17 정상민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514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9080A (en) Sloped ceiling recessed light fixture
JP4281517B2 (ja) 照明器具
JP2007015499A (ja) 室内照明灯
KR200157501Y1 (ko) 스탠드의 회전부 구조
EP1933082B1 (en) Waterproof universal lamp
US6749327B2 (en) Vehicle headlamp
US7337496B2 (en) Hinge assembly for flat panel display appliance
KR20020005315A (ko) 스탠드용 힌지부 구조
KR200442064Y1 (ko) 배전반용 조명등
JP3944755B2 (ja) 回動軸の回動範囲規制機構および照明器具
JP2893506B2 (ja) 車輌用警光灯
CN214790742U (zh) 一种筒灯
CN217559637U (zh) 一种投射灯及其转动机构
KR100229636B1 (ko) 세탁기의 높낮이 조절장치
JP3304661B2 (ja) 照明器具
JP2563853B2 (ja) 回転照射ユニット
KR0132849Y1 (ko) 인버터스탠드의 램프 설치구조
KR200316212Y1 (ko) 조명장치를 구비한 감시카메라장치
KR100489787B1 (ko)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KR200156514Y1 (ko) 모니터 수상관의 장착 높이 조절구조
JPH0670112U (ja) スポットライト
KR200255471Y1 (ko) 형광등 커버
KR200253825Y1 (ko) 전자레인지의 가열실 램프 장착장치
JP2709575B2 (ja) 天井直付け型の照明器具
KR100440542B1 (ko) 경사조절장치를갖는휴대용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