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137B1 -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137B1
KR101356137B1 KR1020120148339A KR20120148339A KR101356137B1 KR 101356137 B1 KR101356137 B1 KR 101356137B1 KR 1020120148339 A KR1020120148339 A KR 1020120148339A KR 20120148339 A KR20120148339 A KR 20120148339A KR 101356137 B1 KR101356137 B1 KR 101356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inclined surface
plate body
upper plate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솔
오연진
Original Assignee
오연진
박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연진, 박한솔 filed Critical 오연진
Priority to KR1020120148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02Free-standing music stands
    • A47B2019/004Free-standing music stands with adjustable feet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은, 독서 공간이 마련되며 하단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는 상판 몸체; 상기 상판 몸체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단에 상기 제1 경사면과 면 접촉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는 받침 몸체; 및 상기 상판 몸체와 상기 받침 몸체를 상호 결합하되, 상기 상판 몸체가 상기 받침 몸체에 대해 상기 제2 경사면을 따라 회전되어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독서 시 상판 몸체를 받침 몸체에 대해 회전시켜 설정된 범위 내에서 독서하기 편한 각도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눈의 피로를 해소하면서도 집중력을 높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조명이 제공되어 야간에 독서가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ANGLE ADJUSTMENT POSSIBILITY DESK FOR READING}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독서 시 책의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야간에 독서가 가능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을 읽거나 글씨를 쓰는데 사용하는 책상은 상판이 수평을 유지하므로 머리를 숙인 상태로 책을 보거나 사무를 보게 되어 목과 어깨가 아프고 장시간에 걸쳐서는 건강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별도의 독서대를 책상에 올려놓고 사용하였다.
그러나, 별도의 독서대를 사용할 경우 책상 옆에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독서대를 찾아서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대부분 별도의 독서대는 작아서 책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3830호,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갖춘 책상’이 개시되었다.
이러한 책상은 별도의 독서대가 일체로 마련되어 문서작업과 독서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책상은 독서대를 사용하기 위한 과정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독서대에 의해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3830호(등록일자: 2006년 04월 05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독서 시 책의 각도를 손쉽게 조절하여 눈의 피로를 해소하면서도 집중력을 높이며, 야간에 독서가 가능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독서 공간이 마련되며 하단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는 상판 몸체; 상기 상판 몸체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단에 상기 제1 경사면과 면 접촉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는 받침 몸체; 및 상기 상판 몸체와 상기 받침 몸체를 상호 결합하되, 상기 상판 몸체가 상기 받침 몸체에 대해 상기 제2 경사면을 따라 회전되어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상판 몸체는, 책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상판; 및 상기 제1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경사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요홈을 갖는 상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 몸체는, 상기 상판 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바닥판 연결부; 및 상기 제2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판 연결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경사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 몸체의 각도조절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받침 몸체에 대해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회전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상판 연결부 및 바닥판 연결부의 요홈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 안내부; 및 상기 회전 안내부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받침 몸체에 대해 회전되어 각도조절되는 상기 상판 몸체의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움직임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22.5°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 몸체는, 상기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에 의해 0°∼45°범위로 각도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 몸체는, 상기 상판의 전방 측에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는 칸막이가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는, 야간 독서가 가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 몸체는, 상기 받침 몸체에 대해 회전되어 각도조절되는 경우, 상기 상판에 안착된 책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책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독서 시 회전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판 몸체를 받침 몸체에 대해 회전시켜 설정된 범위 내에서 독서하기 편한 각도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을 제공함으로써, 눈의 피로를 해소하면서도 집중력을 높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이 제공됨으로써 야간에 독서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의 각도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의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의 각도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서 공간이 마련되는 상판 몸체(110)와, 상판 몸체(1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받침 몸체(120)와, 그리고 상판 몸체(110)가 받침 몸체(120)에 대해 회전되어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도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상판 몸체(110)는 책상(100)의 상부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독서 공간이 마련되는 상판(112)과, 그리고 상판(112)의 하부에 마련되는 상판 연결부(114)를 포함한다.
상판(112)은 독서를 위해 책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칸막이(112A)와, 그리고 책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책 고정부(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판(112)은 책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원형, 사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칸막이(112A)는 상판(112)의 전방 측에 형성되며 조명(119)이 일체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때, 칸막이(112A)는 사용자가 독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상판(112)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형성된다.
조명(119)은 전원의 공급에 따라 발광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조명(119)을 통해 야간에도 독서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명(119)은 엘이디 램프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칸막이(112A)의 내부에는 조명(119)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책 고정부(113)는 상판 몸체(110)가 받침 몸체(120)에 대해 회전되어 각도조절되는 경우에 책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책 고정부(113)는 책의 하면을 지지하는 책 지지부(113A)와, 그리고 책 지지부(113A)에 책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책 고정구(113B)를 포함한다.
여기서 책 지지부(113A)는 상판 몸체(110)가 받침 몸체(120)에 대해 각도조절되어 사용자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책의 하면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책 고정구(113B)는 책 지지부(113A)에 책을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때, 책 고정구(113B)는 책을 고정할 수 있는 탄성체로 형성된다. 즉, 책 고정구(113B)는 책 지지부(113A)에서 책 방향으로 탄성을 형성하는 탄성체로 형성됨에 따라 책 지지부(113A)에 지지된 책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책 고정구(113B)는 책의 양측을 탄성에 의해 고정하도록 책 지지부(113A)에 복수로 마련된다.
상판 연결부(114)는 상판(112)의 하부에 마련되며 하단에 제1 경사면(116)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판 연결부(114)는 상판(112)의 하면으로부터 일정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제1 경사면(116)은 상판 몸체(110)가 받침 몸체(120)에 대해 회전되어 각도조절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제1 경사면(116)은 상판 연결부(114)의 하단에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22.5°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에 상판 몸체(110)는 받침 몸체(120)에 대해 0°∼45°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θ)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제1 경사면(116)은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요홈(118)이 마련되며, 요홈(118)에는 각도 조절부(130)가 수용된다.
받침 몸체(120)는 책상의 하부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바닥판(121)과, 바닥판(1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바닥판 연결부(122)와, 그리고 바닥판 연결부(12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조작부(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닥판(121)은 상판 몸체(1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바닥판 연결부(122)는 바닥판(12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길이로 돌출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회전 조작부(124)는 바닥판 연결부(12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단에 제2 경사면(126)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회전 조작부(124)는 상판 몸체(110)의 각도조절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받침 몸체(120)에 대해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회전 조작부(124)의 표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124A)가 형성된다.
제2 경사면(126)은 상판 몸체(110)가 받침 몸체(120)에 대해 회전되어 각도조절되도록 제1 경사면(116)을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제2 경사면(126)은 제1 경사면(116)과 면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이에 상판 몸체(110)는 회전 조작부(124)의 회전 시 제1 경사면(116)이 안내되는 제2 경사면(126)에 의해 받침 몸체(120)에 대해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각도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경사면(126)은 제1 경사면(116)과 면 접촉되도록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22.5°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 경사면(126)은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요홈(128)이 마련되며, 요홈(128)에는 각도 조절부(130)가 수용된다.
각도 조절부(130)는 상판 몸체(110)가 받침 몸체(120)에 대해 회전되어 각도조절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상판 연결부(114) 및 회전 조작부(124)의 요홈(118, 128)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 안내부(132)과, 그리고 회전 안내부(132)에 양단이 결합되며 받침 몸체(120)에 대해 회전되어 각도조절되는 상판 몸체(110)의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움직임 안내부(134)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도 조절부(130)는 회전 조작부(124)의 조작에 따라 상판 몸체(110)가 받침 몸체(120)에 대해 회전되어 각도조절되는 경우 회전 안내부(132)와 움직임 안내부(134)에 의해 상판 몸체(110)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 안내부(132)는 상판 몸체(110)의 회전을 안내하는 구성이며, 움직임 안내부(134)는 제1 경사면(116)과 제2 경사면(126)에 의한 상판 몸체(110)의 각도조절 시 움직임을 안내하는 구성이다.
이때, 회전 안내부(132)는 베어링으로 형성되며, 움직임 안내부(134)는 유니버셜 조인트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각도 조절부(130)는 상판 몸체(110)가 회전 조작부(124)의 조작에 따라 받침 몸체(120)에 대해 회전되어 설정된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자유롭게 조절되는 경우 상판 몸체(110)의 원활한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100)은 독서 시 회전 조작부(124)의 조작에 따라 상판 몸체(110)를 받침 몸체(120)에 대해 회전시켜 설정된 범위 내에서 독서하기 편한 각도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눈의 피로를 해소하면서도 집중력을 높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조명(119)이 제공되어 야간에 독서가 가능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상판 몸체 112: 상판
114: 상판 연결부 116: 제1 경사면
120: 받침 몸체 121: 바닥판
122: 바닥판 연결부 124: 회전 조작부
126: 제2 경사면 130: 각도 조절부
132: 회전 안내부 134: 움직임 안내부

Claims (7)

  1. 독서 공간이 마련되며 하단에 제1 경사면이 형성되는 상판 몸체;
    상기 상판 몸체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단에 상기 제1 경사면과 면 접촉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는 받침 몸체; 및
    상기 상판 몸체와 상기 받침 몸체를 상호 결합하되, 상기 상판 몸체가 상기 받침 몸체에 대해 상기 제2 경사면을 따라 회전되어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몸체는,
    책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상판; 및
    상기 제1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경사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요홈을 갖는 상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몸체는,
    상기 상판 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바닥판 연결부; 및
    상기 제2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닥판 연결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경사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 몸체의 각도조절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받침 몸체에 대해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회전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상판 연결부 및 회전 조작부의 요홈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 안내부; 및
    상기 회전 안내부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받침 몸체에 대해 회전되어 각도조절되는 상기 상판 몸체의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움직임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22.5°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 몸체는, 상기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에 의해 0°∼45°범위로 각도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몸체는,
    상기 상판의 전방 측에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는 칸막이가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는,
    야간 독서가 가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몸체는,
    상기 받침 몸체에 대해 회전되어 각도조절되는 경우, 상기 상판에 안착된 책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책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KR1020120148339A 2012-12-18 2012-12-18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KR101356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339A KR101356137B1 (ko) 2012-12-18 2012-12-18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339A KR101356137B1 (ko) 2012-12-18 2012-12-18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137B1 true KR101356137B1 (ko) 2014-02-03

Family

ID=5026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339A KR101356137B1 (ko) 2012-12-18 2012-12-18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1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0045A (ja) * 1993-07-16 1997-01-07 ジェイ. ロワン,トーマス 変換可能なテーブル
KR200413830Y1 (ko) 2006-01-23 2006-04-11 김평진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갖춘 책상.
JP3124089U (ja) * 2006-05-26 2006-08-03 章 臼木 回転式物品仕分けテーブル
JP5117736B2 (ja) 2007-02-19 2013-01-16 株式会社内田洋行 位置復帰機能付き椅子用回転式テーブ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0045A (ja) * 1993-07-16 1997-01-07 ジェイ. ロワン,トーマス 変換可能なテーブル
KR200413830Y1 (ko) 2006-01-23 2006-04-11 김평진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갖춘 책상.
JP3124089U (ja) * 2006-05-26 2006-08-03 章 臼木 回転式物品仕分けテーブル
JP5117736B2 (ja) 2007-02-19 2013-01-16 株式会社内田洋行 位置復帰機能付き椅子用回転式テーブ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1426C1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1547592U (zh) 折叠式led台灯
JP2004086199A (ja) 拡大鏡取付読書台
CN213019081U (zh) 安装单元、灯具及台灯
KR101356137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용 책상
CN210372993U (zh) 可调整的照明灯具
KR200478058Y1 (ko) 모니터 사이드 조명이 구비된 문서 거치대
CN212961273U (zh) 可调节光照方向的台灯
JP4915023B1 (ja) 読書台照明装置
KR200450154Y1 (ko) 다용도 독서대
KR200320684Y1 (ko)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독서대
CN205535233U (zh) 一种灯具
CN105972510A (zh) 一种光源均匀型台灯
CN205507695U (zh) 一种计算机键盘
KR101622131B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라이트박스
KR200481012Y1 (ko) 휴대용 led 조명장치
CN210979429U (zh) 一种光照角度可调的工作灯
KR20140060419A (ko) 학습대
JP2003024161A (ja) スライドアーム
CN209788899U (zh) 一种化妆镜
KR20100052987A (ko) 높이조절 독서대
JP3125271U (ja) 電気スタンド用調整構造
KR200465525Y1 (ko) Led가 구비된 독서대
KR200427929Y1 (ko) 회전식 보건 독서대
CN104207530A (zh) 一种双人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