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019Y1 - 테이블 고정용 데스크램프 - Google Patents

테이블 고정용 데스크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019Y1
KR200271019Y1 KR2019990005141U KR19990005141U KR200271019Y1 KR 200271019 Y1 KR200271019 Y1 KR 200271019Y1 KR 2019990005141 U KR2019990005141 U KR 2019990005141U KR 19990005141 U KR19990005141 U KR 19990005141U KR 200271019 Y1 KR200271019 Y1 KR 200271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nut
fixing
desk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875U (ko
Inventor
김경중
신석규
Original Assignee
김경중
신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중, 신석규 filed Critical 김경중
Priority to KR2019990005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01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8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019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1)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테이블, 책상, 벽면등에 부착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스크램프에 관한 분야.
(2) 고안의 목적
외관이 미려하고, 조립성과 안전성 등이 뛰어나며 책상이나 테이블은 물론 벽면에도 설치 사용할 수 있는 데스크램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음.
(3) 고안의 구성
데스크램프(1)의 관절구(2)(3)(4)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고, 4개의 4각관체(5)(5a)(5b)(5c) 중 (5)와(5b) 양끝단부에 형성된 홈에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한전선보호구(6)(6a)(6b)(6c)를 끼워고정시키며, 갓(7)과 관절구(2)를 연결하는 연결구(7)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고, 관절구(4)에 삽입관(41)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관(41)이 클램프(14)에 형성된 베이스(13)에 끼워질 수 있게 하되,
상기 베이스(13)에는 수직구멍(131)과 수평구멍(132), 그리고 고정구멍(133)을 가진 고정부(134)를 형성하고, 수평구멍(132) 하측에 조오(141)와 조오고정너트(142)를 체결시킨 ''형 나사봉(142)의 상단부를 삽입시켜서 구성한 것임.
(3) 고안의 효과
외관이 미려단정하고 조립성과 안전성이 높으며, 책상, 테이블, 벽면 등 어느곳에든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따름.

Description

테이블 고정용 데스크램프{Desk lamp}
본고안은 테이블이나 책상등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데스크램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관절구를 비롯하여 전선이 닿는 부분을 합성수지로 사출성형시킴으로써 조립성 향상과, 미려한 외관, 그리고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빛의 반사효율을 높여주게 하며, 더불어 책상이나 테이블의 두께에 관계없이 설치가용이하게 하고, 책상외에 벽면에도 설치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관절 데스크램프는 관절구가 얇은 철금속을 프레스로 성형하여 형성하고, 전선이 통과되는 사각관체의 양끝단 구멍에는 전선이 통과될 수 있게 끔 구멍을 형성하였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즉 관절구가 철금속이고 이와 결합되는 사각관체역시 철금속이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로서 결합시 마찰이 심하게 발생되어 도장 또는 도금부위가 쉽게 벗겨져보기 싫게 되고, 전선이 사각관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끼워지기 때문에 관절부위를 움직일때(즉 사용자가 데스크램프의 각도를 사용하기 편한 위치로 변형시킬때) 전선이 피복부위가 구멍의 가장자리에 닿아 벗겨지면서 심할 경우 누전 및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따를 수밖에 없게 되며, 관절구와 사각관체를 결합하는 볼트와너트가 상측 관절부위에 3개씩, 중간관절부위에는 4개씩, 그리고 하부관절부위에는 3개씩 체결하여야 하는데다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외관이 단정하지 못함과 동시에 옷가지 등이 걸려 찢기는 등의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또한 갓의 내주면에 흰색 스프레이도장 또는 분체도장을 한 것이기에 반사효율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고, 갓과 관절구를 연결하는 연결구 역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 전선의 피복부가 벗겨졌을 경우 항상 누전 및 감전의 위험성이 따를수밖에 없었으며, 더불어 책상이나 테이블에 고정하는 클램프가 단순히 ' '형으로 형성된 상태이기에 체결결합시 견고한 조립이 어려우면서 동시에 책상이나 테이블이 두꺼울 경우에는 데스크램프의 설치가 어려운 점도 따랐으며, 책상이나 테이블 외에 벽면 등에는 설치 사용할 수 없어 설치에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데스크램프의 관절구를 합성수지로(볼트와 너트가 내장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사출성형하여 결합볼트와 너트의 수를 크게 줄여 조립성이 뛰어나게 하고 외관이 매우 미려 단정하게하며 사각관체 양끝단부에 형성되는 구멍에는 전선의 마찰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전선보호구를 사출성형하여 조립하고 갓의 내주면에 알루미늄을 진공증착시켜 반사효율을 극대화시키며 클램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테이블이나 책상의 두께에 관계없이 견고하면서도 손쉽게 결합고정시킬 수 있게하며 책상이나 테이블은 물론 벽면에도 손쉽게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 사시도로서 갓 연결구 및 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분해 사시도로서 프레임과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로서 테이블 고정클램프부분의 사시도임.
도 5는 본 고안의 연결구와 테이블 고정클램프 부분의 단면도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테이블이나 책상등에 고정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다관절 데스크 램프에 있어서,
데스크램프(1)의 관절구(2)(3)(4)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고, 4개의 4각면체(5)(5a)(5b)(5c)중 (5)와 (5b) 양끝단부에 형성된 홈에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한전선보호구(6)(6a)(6b)(6c)를 끼워 고정시키며, 갓(7)과 관절구(2)를 연결하는 연결구(7) 또한 합성수지로 사출형성하였는데,
상기 관절구(2)는 삼각형으로 된 두 개의 결합편(2a)(2b)으로 분리구성하여 두곳의 꼭지점위치에 내측에 4각관체(5)(5a)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돌부(21)를 형성하고, 너머지 한 개의 꼭지점부분에는 연결구(7)를 대고 볼트(10)와 너트(10`)로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너트머리요홈을 가진 구멍(22)과 볼트머리가 삽입되는 요홈을 가진 구멍(22`)을 형성하여 연결구(7)와 두개의 결합편(2a)(2b)이 견고하게체결고정되게 하였으며 결합편(2a)와 (2b) 중앙부분에 중심고정볼트(11)와 너트(12)를 체결고정하여 구성한 것이고,
관절구(3)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두개의 결합편(3a)(3b)으로 분리구성하여 이 또한 꼭지점부분에 4각관체(5)(5a) 후미와 (5b)(5c)의 상단부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결합돌부(31)를 형성하되 사각관체(5a)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볼트(10)와 너트(10`)로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너트머리요홈을 가진 구멍(32)과 볼트머리가 삽입되는 요홈을 가진 구멍(32`)을 형성하고, 사각관체(5)가 결합되는 부분의 관절구(3) 양측면에는 스프링걸림돌부(33)를 형성하여 사각관체(5a)와 인장스프링 (8)으로 연결구성 하였으며, 결합편(3a)(3b) 중앙부분에 중심고정볼트 (11)와 너트(12)를 체결고정하여 구성한 것이고,
관절구(4)는 ''형으로 형성하여 저면에 단차진 삽입관(41)을 형성하고, 4각관체(5b)(5c)의 하단을 볼트(10)와 너트(10`)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되 볼트(10)와 너트(10`)가 관절구(4)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끔 하고, 4각관체(5c)가 위치하는 부분 상측에 스프링걸림돌부(43)를 형성하여 4각관체(5c)의 인장스프링(8)으로 연결구성하였으며, 관절구(4)의 삽입관(41)이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베이스(13)를 가진 클램프(14)를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13)에는 수직구멍(131)과 수평구멍(132), 그리고 고정구멍(133)을 가진 고정부(134)를 형성하고, 수평구멍(132) 하측에 조오(141)와 조오고정너트(142)를 체결시킨 ''형 나사봉(143)의 상단부를 삽입시켜 관절구(4)의 삽입관(41)이 수직구멍(131)에 끼워졌을때는 책상이나 테이블에 고정설치하고, 벽면에 데스크램프를 부착고정시키고자할 때는 ''형 나사봉(143)을 빼내고 고정부(134)를 벽면에 댄후 못 또는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데스크램프(1)의 관절구(2)(3)(4)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고, 볼트(10)와 너트(10`)의 결합부위를 최소화시켰음으로 종래 데스크 램프(1)에 비하여 조립성이뛰어나며, 또 4각관체(5)(5a)(5b)(5c)가 금속으로 형성되었지만 관절구(2)(3)(4)는합성수지로 형성하였으므로 조립하여 사용시 관절운동이 자주 이루어지더라도 4각관체(5)(5a)(5b)(5c)의 도장 또는 도금부위가 벗겨질 염려가 전혀 없게 되고 사각관체들 중 (5)와(5b) 양끝단부에 전선보호구(6)(6a)(6b)(6c)를 결합고정시켰으므로종래처럼 전선이 사각관체 끝의 날카로운 부분에 마찰될 염려가 전혀 없게 되어 전선의 피복부가 벗겨질 염려가 전혀 없게 되며, 이에 따라 누전이나 감전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갓(7)은 내주면에 알루미늄으로 진공증착시켰으므로 조명시 효율이 매우 높고 관절구(2)가 갓(7)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구(7)는 융점이 일반 ABS수지재 보다 배 이상 높은 나일론수지재로 형성함으로써 부러지거나 변형되지 않게 됨은 물론 전기의 도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이기에 누전이나 감전사고 예방에도 그 효과가 탁월한 것이다.
또한 베이스(13)를 가진 클램프(14)는, 베이스(13)에 수직구멍(131)과 수평구멍(132), 그리고 고정구멍(133)을 가진 고정부(134)를 형성하고, 수평구멍(132)하측에 조오(141)와 조오 고정너트(142)를 체결시킨 ''형 나사봉(143)의 상단을삽입시킴으로써 책상이나 테이블에 고정시킬 때 베이스(13) 저면을 책상이나 테이블의 상면에 대고 조오(141)를 책상이나 테이블의 저면에 밀어올린다음 조오고정너트(142)를 체결고정시키면 되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3)를 벽면에 대고 고정시킬때는 베이스(13)로부터 ''형 나사봉(143)을 빼내고 고정부(134)를 벽면에 댄 후 못 또는 나사못등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시키면 수평구멍(132)이 세워지게 되는데, 상기 세워진 수평구멍(132)에 데스크램프(1)의 관절구(4)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관(41)을 끼워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책상이나 테이블은 물론 벽면에도 설치고정하여 사용할 수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관절구(2)(3)(4)와 전선보호구(6)(6a) (6b)(6c), 연결구(7)를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되 보울트 및 너트의 조립부위가 최소화되게끔 하며 조립성이 매우 뛰어나고, 전선피복이 벗겨질 염려가 전혀 없어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성이 없으며, 외관이 미려 단정하여 상품성이 매우 뛰어나고,또 책상이나 테이블은 물론 벽면에도 설치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갓(7) 내부에 알루미늄 진공증착을 하여 빛의 반사효율이 극대화되는 등의 잇점이 따르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테이블이나 책상등에 고정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다관절 데스크 램프에 있어서,
    데스크램프(1)의 관절구(2)(3)(4)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고, 4개의 4각관체(5)(5a)(5b)(5c)중 (5)와 (5b) 양끝단부에 형성된 홈에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한 전선보호구(6)(6a)(6b)(6c)를 끼워 고정시키며, 갓(7)과 관절구(2)를 연결하는 연결구(7) 또한 합성수지로 사출형성하였는데,
    상기 관절구(2)는 삼각형으로 된 두 개의 결합편(2a)(2b)으로 분리구성하여 두곳의 꼭지점위치에 내측에 4각관체(5)(5a)를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돌부(21)를 형성하고, 너머지 한 개의 꼭지점부분에는 연결구(7)를 대고 볼트(10)와 너트(10`)로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너트머리요홈을 가진 구멍(22)과 볼트머리가 삽입되는 요홈을 가진 구멍(22`)을 형성하여 연결구(7)와 두개의 결합편(2a)(2b)이 견고하게 체결고정되게 하였으며, 결합편(2a)와 (2b) 중앙부분에 중심고정볼트(11)와 너트(12)를 체결고정하여 구성한 것이고,
    관절구(3)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두개의 결합편(3a)(3b)으로 분리구성하여 이 또한 꼭지점부분에 4각관체(5)(5a) 후미와 (5b)(5c)의 상단부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결합돌부(31)를 형성하되, 사각관체(5a)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볼트(10)와 너트(10`)로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너트머리요홈을 가진 구멍(32)과 볼트머리가 삽입되는 요홈을 가진 구멍(32`)을 형성하고, 사각관체(5)가 결합되는 부분의관절구(3) 양측면에는 스프링걸림돌부(33)를 형성하여 사각관체(5a)와 인장스프링 (8)으로 연결구성하였으며, 결합편(3a)(3b) 중앙부분에 중심고정볼트(11)와 너트(12)를 체결고정하여 구성한 것이고, 관절구(4)는 ''형으로 형성하여 저면에 단차진 삽입관(41)을 형성하고, 4각관체(5b)(5c)의 하단을 볼트(10)와 너트(10`)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되 볼트(10)와 너트(10`)가 관절구(4)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끔 하고, 4각관체(5c)가 위치하는 부분 상측에 스프링걸림돌부(43)를 형성하여 4각관체(5c)와 인장스프링(8)으로 연결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고정용 데스크램프.
  2. 1항에 있어서,
    관절구(4)의 삽입관(41)이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베이스(13)를 가진 클램프(14)를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13)에는 수직구멍(131)과 수평구멍(132), 그리고고정구멍(133)을 가진 고정부(134)를 형성하고, 수평구멍(132) 하측에 조오(141)와조오 고정너트(142)를 체결시킨 ''형 나사봉(143)의 상단부를 삽입시켜 관절구(4)의 삽입관(41)이 수직구멍(131)에 끼워졌을때는 책상이나 테이블에 고정설치하고, 벽면에 데스크램프를 부착고정시키고자 할 때는 ''형 나사봉(143)을 빼내고 고정부(134)를 벽면에 댄후 못 또는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시켜 사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고정용 데스크램프.
KR2019990005141U 1999-03-25 1999-03-25 테이블 고정용 데스크램프 KR200271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141U KR200271019Y1 (ko) 1999-03-25 1999-03-25 테이블 고정용 데스크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141U KR200271019Y1 (ko) 1999-03-25 1999-03-25 테이블 고정용 데스크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875U KR20000018875U (ko) 2000-10-25
KR200271019Y1 true KR200271019Y1 (ko) 2002-04-09

Family

ID=4036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141U KR200271019Y1 (ko) 1999-03-25 1999-03-25 테이블 고정용 데스크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0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728A1 (ko) * 2011-12-29 2013-07-04 Chung Sang Min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5110A1 (en) * 2007-04-24 2008-10-30 Helmonds Richard P Modular Anchoring System for Pole Supported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728A1 (ko) * 2011-12-29 2013-07-04 Chung Sang Min 조명 장치
US9416945B2 (en) 2011-12-29 2016-08-16 Sang Min Chung Ligh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875U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1632A (en) Combined light socket and mounting bracket
CA2939902C (en) Tube lamp
CN101802327A (zh) 用于家用器具的门把手
US4713734A (en) Wall lamps
KR200271019Y1 (ko) 테이블 고정용 데스크램프
CN203703849U (zh) 一种条形灯
US20020167257A1 (en) Clamping structure assembly of projection lamp
CN205447674U (zh) 一种公母插的连接结构及由其组成的led灯具
CN104879715A (zh) 一种条形灯
KR200247989Y1 (ko) 파이프 연결구
CN219623919U (zh) 一种具有嵌入式弹簧扣结构的灯具
CN216693430U (zh) 一种新型镂空锁紧铝材的灯具配件结构
CN213019136U (zh) 一种筒射灯
CN216644146U (zh) 一种灯条接头
CN208418611U (zh) 一种条形灯的端盖件安装结构
CN218237348U (zh) 一种灯具多功能安装支架
CN217074183U (zh) 一种预安装贯穿式长形尾灯的防水公差调节件
CN211252377U (zh) 一种安装简便且稳定的尺寸限位结构
CN210567579U (zh) 一种条形互联灯具
KR0120565Y1 (ko) 작업등
KR200221686Y1 (ko) 장식용 조명기구의 부품 연결부재
KR960007289Y1 (ko) 전기스탠드의 지지간 꾸부림장치
KR920000027Y1 (ko) 간접조명용 형광램프의 소켓에 의한 반사판 체결장치.
KR20100069042A (ko) 샤워기용 상부본체의 조립구조
KR200179534Y1 (ko) 나선형 연결관의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