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4898A - 연속주조 주형 - Google Patents

연속주조 주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4898A
KR20130074898A KR20110142997A KR20110142997A KR20130074898A KR 20130074898 A KR20130074898 A KR 20130074898A KR 20110142997 A KR20110142997 A KR 20110142997A KR 20110142997 A KR20110142997 A KR 20110142997A KR 20130074898 A KR20130074898 A KR 20130074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hort
continuous casting
short s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4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0564B1 (ko
Inventor
우대희
원영목
권상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1014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564B1/ko
Priority to PCT/KR2012/011290 priority patent/WO2013100499A1/ko
Priority to JP2014549977A priority patent/JP5933751B2/ja
Priority to CN201280065213.1A priority patent/CN104023874B/zh
Priority to EP12861285.0A priority patent/EP2799162B1/en
Publication of KR20130074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into moulds having adjusta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06Moulds with special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4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for vertical 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주형은, 하방 테이퍼진 연소주조 주형에 있어서, 두 개의 장변주형; 및 두 개의 상기 장변주형 사이를 밀폐하며 주편의 모서리에 모따기면을 형성시키도록 양측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두 개의 단변주형;을 포함하며, 주편의 수축량이 보상되도록 상기 단변주형의 돌출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연속주조 시 주편의 모서리에 모따기면이 형성됨에 따라 모서리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편의 굽힘 또는 교정 작업시 제3 영역의 취성구간을 회피하게 되어 코너크랙의 발생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주형 내에서의 주편이 하측으로 내려갈수록 응고됨에 따라 수축하게 되는데, 이와 대응되도록 주편의 모따기면과 접하는 돌출부의 경사면과 미돌출된 중앙면의 폭이 작아짐으로써, 주편에서 단변응고층의 수축량이 보상되게 되어 모따기면에서 면세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단변주형의 하부로 갈수록 돌출부 경사각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하측으로 갈수록 단변주형의 테이퍼진 경사율에 비하여 더 감소하는 주편에서의 장변응고층의 수축률이 보상됨에 따라, 단변주형의 마모 정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주조 주형{Mold in continuous casting}
본 발명은 연속주조 주형으로서, 주편의 코너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연속주조 주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속주조장치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속주조장치에서 주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주형을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고, 도 4는 온도에 따른 강의 취성영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액상용강이 래이들(1)에서 턴디쉬(2)를 거쳐 주형(3)으로 주입되어 주편 표면으로부터 응고층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가이드롤이 있는 2차 냉각대(4)를 거치면서 응고가 완료됨으로써 주편이 연속적으로 생산된다.
이때 발생하는 주편에서의 크랙은, 이후 압연공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제품상의 결함으로 잔존하게 되므로 압연전에 스카핑 등의 방법을 통해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주편을 검사하고 크랙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기 때문에 압연 가열로에 주편을 직접 장입할 수 없고 추가적인 인력과 비용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살펴보면 침지노즐(5)을 통해 주형 내부로 용강이 유입되고, 단변주형(6)과 장변주형(7)에서는 탕면에서부터 응고층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성장하며 두꺼워진다.
상기 응고층은 하방으로 갈수록 온도가 낮아지며 수축이 발생하는데, 이를 주형에서 보상해주지 못하면 응고층에 인장력이 발생하여 크랙이 발생한다.
이러한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폭 대비 하단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주형에 경사를 준다. 장변응고층의 수축율은 상단 장변폭(W1T) 대비 하단 장변폭(W1B)을 작게하여 단변 주형(6)에 경사를 주어 보상하고, 단변응고층의 수축율은 단변 주형(6)의 하단폭(W2T)을 상단폭 대비 감소시켜 장변 주형(7)에 경사를 주어 보상한다.
주편에서 발생하는 코너크랙은 강의 취성역역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강은 온도에 따라 세 군데에서 취성영역을 가지고 있는데, 이 중에서 주편의 표면온도가 700~800oC(이하, '제3 영역 취성구간'으로 칭함)영역에서는 연성이 작기 때문에, 스트레인 속도가 작아도 쉽게 크랙이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주편인 경우, 모서리부분에서는 응고층의 장변과 단변 양방향으로 열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주편의 다른 위치에 비해 표면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므로 주조중에 연주기 내에서 제3영역 취성구간에 포함되기 쉽다.
따라서, 연주기에서 주편의 굽힘 혹은 교정 작업시 주편에 응력이 부가되고 이 구간에서 주편 모서리부의 온도가 제3영역 취성구간에 포함되어 코너크랙이 쉽게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편을 모서부가 모따기 된 형상으로 주조하여 모서리부의 온도가 주편내 다른 위치에 비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억제하여 연주기에서 주편의 굽힘 혹은 교정 작업시 모서리부 온도가 취성구간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주편의 모서리부를 모따기 된 형상으로 주조하기 위해 연속주조 주형을 개량한 선행기술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번호 EP0776714호, 특허번호 EP04097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90995호, 출원번호 KR 2002-0084914호 등이 있다.
특허번호 EP0776714호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변주형(5)을 이용하여 주편의 단변부가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주편의 미응고부 압하시 주편의 내부크랙을 저감시키려는 방법이다. 이때, 주편의 모따기면이 평면으로 된 경사면이 아니고 장변에 수직으로 된 면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모따기에 의한 온도 감소 방지 효과가 저감되고, 주편을 압연하는 과정에서 모서리부가 접히는 결함이 발생한다. 또한, 돌출부(5a)의 모양과 크기가 상부와 하부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모따기면에서의 수축율을 보상하지 못하여 크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특허번호 EP0409708호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변주형(6)을 장변홈(7a)에 끼워넣어 주편의 모따기면을 평면인 경사면이 되도록 함으로써 압연재에서의 접힘흠을 방지하는 동시에, 돌출부(6a) 모서리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단변주형(6)의 폭변경이 불가능하고 돌출부(6a)의 상부와 하부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있어 모따기 경사면에서 주편의 수축율을 보상해주기 못하기 때문에 모따기면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90995호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변주형(8)의 양측 단부를 아크 형태로 가공하여 주편의 코너부를 아크 형태로 형성하도록 한 주형이 제안되어 있다. 이 주형은 폭가변이 불가능한 것으로, 코너부가 아크형태로서 코너부 온도 저감 방지 및 코너부 동판의 내구성 향상에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아크형상을 갖는 주편의 모서리부가 상부와 하부에서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아크부 응고층의 수축율을 보상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면세로 크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출원번호 KR 2002-0084914호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변주형(9)에서 주편 모서리에 모따기면을 형성하는 돌출부(9a)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9a)는 하방으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하도록 구성하여 주편의 코너크랙 및 면세로 크랙을 방지하도록 제안되었다. 상기 돌출부(9a)가 하방으로 갈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돌출부(9a)를 제외한 단변주형(9)의 길이는 하방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주편의 수축율을 보상해주는 것이 가능하지만, 주편의 모따기부에서는 돌출부(9a) 경사의 길이가 하방으로 갈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주편의 수축율을 보상해주지 못하여 모따기면에서 면세로 크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주편의 수축률을 보상하고 주형의 마모를 저감시키는 연속주조 주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 주형은, 하방 테이퍼진 연소주조 주형에 있어서, 두 개의 장변주형; 및 두 개의 상기 장변주형 사이를 밀폐하며 주편의 모서리에 모따기면을 형성시키도록 양측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두 개의 단변주형;을 포함하며, 주편의 수축량이 보상되도록 상기 단변주형의 돌출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이때, 상기 단변주형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돌출부 경사면의 폭이 작아지고 미돌출된 중앙면의 폭도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단변주형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돌출부 경사면의 경사각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돌출부 경사면의 경사각은 20°~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 경사면의 경사각에서 상부각도와 하부각도의 차이는 10°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주조 주형은,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연속주조 시 주편의 모서리에 모따기면이 형성됨에 따라 모서리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편의 굽힘 또는 교정 작업시 제3 영역의 취성구간을 회피하게 되어 코너크랙의 발생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주형 내에서의 주편이 하측으로 내려갈수록 응고됨에 따라 수축하게 되는데, 이와 대응되도록 주편의 모따기면과 접하는 돌출부의 경사면과 미돌출된 중앙면의 폭이 작아짐으로써, 주편에서 단변응고층의 수축량이 보상되게 되어 모따기면에서 면세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나아가, 단변주형의 하부로 갈수록 돌출부 경사각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하측으로 갈수록 단변주형의 테이퍼진 경사율에 비하여 더 감소하는 주편에서의 장변응고층의 수축률이 보상됨에 따라, 단변주형의 마모 정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속주조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속주조장치에서 주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형을 나타낸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이다.
도 4는 온도에 따른 강의 취성영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기존의 단변주형들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 주형에서 단변주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변주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a), 도 8(b), 도 8(c)는 도 7의 단변주형에서 돌출부의 경사면에서 하부각도가 상부각도보다 작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변주형을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9(a)는 연속주조 공정에서 단변주형의 조건에 대한 표이고, 도 9(b)는 도 9(a)에서의 단변주형의 조건에 따른 주편 모서리부의 온도측정 결과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 주형에서 단변주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변주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주편의 두께에 대응되게 이격된 장변주형(20)과, 주편의 폭에 대응되게 이격된 단변주형(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장변주형(20)은 용강이 응고되면서 형성되는 주편의 두께에 대응되게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단변주형(40)은 두 개의 상기 장변주형(20) 사이를 밀폐하면서 주편의 폭에 대응되게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장변주형(20)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장변주형(20)과 단변주형(40)으로 이루어지는 연속주조 주형은 상하개방되며 하방 테이퍼진 구조를 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변주형(40)은 주편의 모서리에 모따기면을 형성시키도록 양측 단부에 돌출부(42)가 형성된다.
즉, 단변주형(40)은 주편의 모서리에 모따기면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모따기면과 형합되도록 양측 끝단이 돌출되면서 내측의 중앙면(44a)과 경사져서 형성됨에 따라 돌출부(42)가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부(42)는 주편의 모따기면과 대응되는 경사면(42a)을 가진다.
일례로서 주편이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 모서리 부분에서 응고층의 장변과 단변 양방향으로 열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주편의 다른 위치에 비해 표면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진다. 이에 의해, 주편의 모서리 부분의 온도가 주조 중에 제3 영역 취성구간에 포함되기 쉽기 때문에, 주편의 굽힘 또는 교정 작업시 주편에 응력이 부가되는 과정에서 코너크랙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단변주형(40)에는 돌출부(42)가 형성됨으로써, 연속주조 시 주편의 모서리에 모따기면이 형성됨에 따라 모서리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편의 굽힘 또는 교정 작업시 제3 영역의 취성구간을 회피하게 되어 코너크랙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된 효과를 나타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돌출부(42)의 크기가 단변주형(40)의 두께방향과 폭방향으로 15㎜이상 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돌출부(42)는 주편에서 장변응고층의 수축량을 보상하기 위해 하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변주형(40)은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부(42) 경사면(42a)의 폭이 작아지고, 미돌출된 중앙면(44a)의 폭도 작아진다.
이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경사면(42a)은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아울러 돌출되지 않은 중앙면(44a)의 폭도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나아가, 단변주형(40)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42) 경사면(42a)에서 하부폭(IWB)은 상부폭(IWB)보다 작으며, 미돌출된 중앙면(44a)에서도 하부폭(CWB)은 상부폭(CWB)보다 작으면 된다.
주형 내에서의 주편이 하측으로 내려갈수록 응고됨에 따라 수축하게 되는데, 이와 대응되도록 주편의 모따기면과 접하는 돌출부(42)의 경사면(42a)과 미돌출된 중앙면(44a)의 폭이 작아짐으로써, 단변응고층의 수축량이 보상되어 모따기면에서 면세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 7과 같은 평면도에서 볼 때, 돌출부(42)의 모서리에서 상부모서리와 하부모서리의 거리차이(
Figure pat00001
)는 0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변응고층의 수축량을 보상하고, 미돌출부(44)(42)의 상부중앙면(44a)과 하부중앙면(44a)의 거리차이(
Figure pat00002
)는 0보다 큼으로써 장변응고층의 수축량을 보상한다.
즉, 장변주형(20)은 단변응고층의 수축량을 보상하기 위해 d1(d1>0)의 경사량을 가지고 기울어져 있고, 단변주형(40)은 장변응고층의 수축량을 보상하기 위해 d2(d2>0)의 경사량을 가진다. 이때, d1과 d2는 기존 몰드에서와 같이 0.5% ~ 1.5%의 값을 가진다. (참고로, 상술된 부호인 W1T, W1B, W2T, W2B, d1, d2는 도 2에 기재되었다.)
아울러, 장변응고층의 수축량을 보상하기 위해서, 도 7에 기재된 S는 0보다 큰 값을 가지는 제한이 있다.
또한, 상기 단변주형(40)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돌출부(42) 경사면(42a)의 경사각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이에 대해, 도 8(a), 도 8(b),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돌출된 중앙면(44a)에 대한 돌출부(42) 경사면(42a)의 경사각에 있어서 아래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차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단변주형(40')(40'')(40''')의 돌출부(42) 경사면(42a)에서 하부각도(θB)는 상부각도(θT)보다 작으면 된다.
단변주형의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경사율에 비하여 주편의 수축률이 감소하기 때문에, 단변주형의 상부에서와 비교할 때 하부는 주편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마찰력 증가에 의해 마모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
즉, 응고층 내부가 미응고층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보다는 응고층이 서로 맞닿아 있는 돌출부(42)에서 단변주형과 주편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마모가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단변주형(40')(40'')(40''')의 하부로 갈수록 돌출부(42)의 경사각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하측으로 갈수록 단변주형의 테이퍼진 경사율에 비하여 더 감소하는 주편의 수축률이 보상됨에 따라, 단변주형의 마모 정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각도가 상부각도보다 작음으로써, 돌출부(42)의 경사면(42a)에는 또 하나의 경사면(42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하측의 또 하나의 경사면(42a)의 높이를 'h'로 지칭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42)의 경사면(42a)에는 복수 개의 경사면(4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돌출부(42) 경사면(42a)의 경사각은 20°~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42) 경사면(42a)의 경사각은 0~90°구간에서 결정되는데, 너무 작아지면 즉 바람직하게 20°보다 작아지면 주편의 모서리부에서 모따기 효과가 감소하여 코너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너무 커지면 돌출된 정도가 심하게 되어 주편에 대한 밀착이 커짐으로써 마모가 커지게 되어, 돌출부(42)의 모서리에 대한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어 손상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42) 경사면(42a)의 경사각에서 상부각도(θT)와 하부각도(θB)의 차이는 10°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부(42)의 상면에서의 경사각과 하면에서의 경사각의 차이가 커지면, 주편의 모따기면이 뒤틀림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부각도(θT)와 하부각도(θB)의 차이는 10°이내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a)는 연속주조 공정에서 단변주형의 조건에 대한 표이고, 도 9(b)는 도 9(a)에서의 단변주형의 조건에 따른 주편 모서리부의 온도측정 결과이다.
이때, 표에서 테스트 1은 기존의 주형 조건이고, 테스트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변주형(40)이고, 테스트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변주형(40')에 대한 조건이다.
이들 주형을 이용하여 주편폭 1000~2000mm, 주편두께 250mm의 저탄 및 중탄강의 생산하고 주편의 크랙 발생율 및 동판의 마모 정도를 나타내었다.
단변주형의 경사량은 강의 조성 및 주조폭에 따라 1.0~1.3% 범위에서 변경하였다.
연속주조 공정에서 주편이 연주기내 교정구간에 진입하기 직전의 위치에서 주편의 상면을 폭방향으로 수평운동하는 파이로미터로 주편의 모서리부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도 9(b)에 나타내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주편 모서리부 외측으로 온도가 높게 올라가는 것은 주편의 단변부에서 벌징에 의해 돌출된 부분이 주편의 상면에 수직으로 놓여진 파이로미터에 의해 측정되어 나타난 것이다.
모서리부의 온도를 비교하면, 기존 몰드에서 생산된 직각의 모서리를 갖는 테스트 1의 경우에는 모서리부의 온도가 740oC 정도로 측정되는 반면, 본 발명의 주형을 적용하여 생산된 주편의 경우에는 모따기면 바깥쪽 모서리(단변측 모서리)의 온도는 약 890oC, 안쪽 모서리(장변측 모서리)의 경우는 약 860 oC 정도로 높게 측정되어 제3영역 취성구간을 회피하는데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주편의 코너크랙 발생률은 기존 주형을 이용한 경우 약 4.1%인데 반해, 테스트 2와 테스트 3의 경우 약 0.7% 정도로 감소하였다.
한편, 단변주형(40) 돌출부(42)의 마모에 있어서는 테스트 2에서 기존 주형의 마모 정도에 비해 3배 수준으로 발생하였다.
그러나, 테스트 3의 동판을 이용한 경우에는 기존 동판과 동일한 수준으로 마모 정도가 감소하였다.
즉, 단변주형(40)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돌출부(42) 경사면(42a)의 경사각이 작아지는 경우에는, 마모되는 정도에 있어서 현저하게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돌출부(42)가 형성됨으로써, 연속주조 시 주편의 모서리에 모따기면이 형성됨에 따라 모서리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편의 굽힘 또는 교정 작업시 제3 영역의 취성구간을 회피하게 되어 코너크랙의 발생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주형 내에서의 주편이 하측으로 내려갈수록 응고됨에 따라 수축하게 되는데, 이와 대응되도록 주편의 모따기면과 접하는 돌출부(42)의 경사면(42a)과 미돌출된 중앙면(44a)의 폭이 작아짐으로써, 주편에서 단변응고층의 수축량이 보상되게 되어 모따기면에서 면세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단변주형(40)의 하부로 갈수록 돌출부(42) 경사각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하측으로 갈수록 단변주형(40)의 테이퍼진 경사율에 비하여 더 감소하는 주편에서의 장변응고층의 수축률이 적정하게 보상됨에 따라, 단변주형(40)의 마모 정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40, 40', 40'', 40''' : 단변주형
42 : 돌출부 42a : 경사면
IWT : 상부폭 IWB : 하부폭
θT : 상부각도 θB : 하부각도
44 : 미돌출부 44a : 중앙면
CWT : 상부폭 CWB : 하부폭

Claims (5)

  1. 하방 테이퍼진 연소주조 주형에 있어서,
    두 개의 장변주형(20); 및 두 개의 상기 장변주형(20) 사이를 밀폐하며 주편의 모서리에 모따기면을 형성시키도록 양측 단부에 돌출부(42)가 형성된 두 개의 단변주형(40);을 포함하며,
    주편의 수축량이 보상되도록 상기 단변주형(40)의 돌출부(42)가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주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주형(40)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돌출부(42) 경사면(42a)의 폭이 작아지고 미돌출된 중앙면(44a)의 폭도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주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주형(40)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돌출부(42) 경사면(42a)의 경사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주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2) 경사면(42a)의 경사각은 20°~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주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2) 경사면(42a)의 경사각에서 상부각도와 하부각도의 차이는 10°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 주형.
KR20110142997A 2011-12-27 2011-12-27 연속주조 주형 KR101360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2997A KR101360564B1 (ko) 2011-12-27 2011-12-27 연속주조 주형
PCT/KR2012/011290 WO2013100499A1 (ko) 2011-12-27 2012-12-21 연속주조 주형
JP2014549977A JP5933751B2 (ja) 2011-12-27 2012-12-21 連続鋳造鋳型
CN201280065213.1A CN104023874B (zh) 2011-12-27 2012-12-21 连铸模具
EP12861285.0A EP2799162B1 (en) 2011-12-27 2012-12-21 Continuous casting mo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2997A KR101360564B1 (ko) 2011-12-27 2011-12-27 연속주조 주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898A true KR20130074898A (ko) 2013-07-05
KR101360564B1 KR101360564B1 (ko) 2014-02-24

Family

ID=4869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42997A KR101360564B1 (ko) 2011-12-27 2011-12-27 연속주조 주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799162B1 (ko)
JP (1) JP5933751B2 (ko)
KR (1) KR101360564B1 (ko)
CN (1) CN104023874B (ko)
WO (1) WO201310049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857B1 (ko) * 2013-12-24 2015-06-10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용 몰드
KR20190029322A (ko) * 2017-09-12 2019-03-20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WO2019221469A1 (ko) 2018-05-14 2019-11-21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WO2023101504A1 (ko) *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의 제조 방법 및 주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6085B (zh) * 2014-07-24 2019-04-19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钢的连续铸造方法
CN110252981A (zh) * 2019-06-10 2019-09-20 邢台钢铁有限责任公司 减轻轴承钢大方坯内部质量缺陷的连铸工艺
WO2021256243A1 (ja) * 2020-06-18 2021-12-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方法
JP6954514B1 (ja) * 2020-06-18 2021-10-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連続鋳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4915A5 (de) * 1984-10-26 1988-04-15 Concast Service Union Ag Durchlaufkokille zum stranggiessen von stahlstraengen mit polygonalem querschnitt.
JPH0444300Y2 (ko) * 1987-04-15 1992-10-19
FR2649918B1 (fr) 1989-07-19 1994-06-10 Lorraine Laminage Lingotiere a plaques pour la coulee continue de metal
JPH03169457A (ja) * 1989-11-28 1991-07-23 Hitachi Ltd 薄鋳片連続鋳造機の短辺鋳型
ATE105750T1 (de) * 1991-02-06 1994-06-15 Concast Standard Ag Kokille zum stranggiessen von metallen, insbesondere von stahl.
IT1267244B1 (it) * 1994-05-30 1997-01-28 Danieli Off Mecc Procedimento di colata continua per acciai ad alto contenuto di carbonio
JPH08243688A (ja) * 1995-03-06 1996-09-24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用鋳型
WO1997000747A1 (fr) 1995-06-21 1997-01-09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Coulee continue de pieces minces
JPH11290995A (ja) 1998-04-08 1999-10-26 Sanyo Special Steel Co Ltd 鋳型表面温度を均一化した連続鋳造用鋳型
KR100396592B1 (ko) 2001-05-02 200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간 천이된 pn 스테이트 발생기
KR20020084914A (ko) 2001-05-02 2002-11-16 정태균 음용수 용기
KR100940680B1 (ko) * 2002-12-27 2010-02-08 주식회사 포스코 박슬라브 연속주조용 깔대기형 주형
KR100518331B1 (ko) * 2002-12-27 2005-10-04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브 연속주조 주형
SI1547705T1 (sl) * 2003-12-27 2008-08-31 Concast Ag Postopek kontinuirnega litja gredic in bloomov in votlina forme kokile za kontinuirno litje
KR100685474B1 (ko) * 2005-11-21 2007-02-26 김용호 연속주조용 몰드
DE102005057580A1 (de) * 2005-11-30 2007-06-06 Km Europa Metal Ag Kokille zum Stranggießen von Metall
JP4864559B2 (ja) * 2006-06-15 2012-02-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連続鋳造用鋳型
KR100775091B1 (ko) * 2006-08-07 2007-11-08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장치의 주형
KR20090008826A (ko) * 2007-07-19 2009-01-22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용 몰드설비의 주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857B1 (ko) * 2013-12-24 2015-06-10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용 몰드
KR20190029322A (ko) * 2017-09-12 2019-03-20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WO2019221469A1 (ko) 2018-05-14 2019-11-21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KR20190130430A (ko) 2018-05-14 2019-11-22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WO2023101504A1 (ko) *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의 제조 방법 및 주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0499A1 (ko) 2013-07-04
EP2799162A1 (en) 2014-11-05
CN104023874B (zh) 2015-11-25
JP2015503450A (ja) 2015-02-02
EP2799162B1 (en) 2017-03-22
CN104023874A (zh) 2014-09-03
EP2799162A4 (en) 2015-09-02
JP5933751B2 (ja) 2016-06-15
KR101360564B1 (ko) 201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564B1 (ko) 연속주조 주형
JP5673149B2 (ja) 鋼の連続鋳造用鋳型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CN110709188B (zh) 奥氏体系不锈钢板坯的制造方法
JP2009022971A (ja) 連続鋳造方法及び連続鋳造鋳型
US11192174B2 (en) Side sealing device, twin-roll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st strip
KR100518331B1 (ko) 슬래브 연속주조 주형
KR20170074301A (ko) 쌍롤식 박판주조기의 에지댐
JP2020171954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0940680B1 (ko) 박슬라브 연속주조용 깔대기형 주형
KR100807569B1 (ko) 연속주조시 주편의 코너 근방 표면결함 방지를 위한 단변주형
JPH038863B2 (ko)
JP5769645B2 (ja) 連続鋳造方法
JP5148472B2 (ja) 連続鋳造用鋳型
JPH0252580B2 (ko)
KR100940679B1 (ko) 박슬라브 연속주조용 깔대기형 주형
KR200260645Y1 (ko) 연주주편의 표면결함 및 파단감소를 위한 만곡형 몰드
KR101410087B1 (ko) 테이퍼 기능 몰드
KR100775745B1 (ko) 연주주편 단변부 내부크랙 저감 방법
KR101360691B1 (ko) 쌍롤식 박판 주조장치
KR20200055441A (ko) 연속주조용 단변주형
Okimori et al. Improvement of surface quality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JPS63126651A (ja) ベルト式連続鋳造方法
KR101044759B1 (ko) 쌍롤식 박판주조 공정에서의 주조방법
JP2001205400A (ja) 双ドラム式ストリップ連続鋳造方法および鋳造装置
JPH05185186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