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857B1 - 주조용 몰드 - Google Patents

주조용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857B1
KR101527857B1 KR1020130162664A KR20130162664A KR101527857B1 KR 101527857 B1 KR101527857 B1 KR 101527857B1 KR 1020130162664 A KR1020130162664 A KR 1020130162664A KR 20130162664 A KR20130162664 A KR 20130162664A KR 101527857 B1 KR101527857 B1 KR 101527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clination
steel
casting
carbon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언
조경철
임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2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08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by applying additional compounds or means favouring the 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proced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편을 주조하는 주조용 몰드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기 몰드는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장변 플레이트와, 상기 장변 플레이트의 양쪽에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단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변 플레이트와 상기 장변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코너부에는 모따기 형상의 챔퍼드 면이 형성되며,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주편을 주조하는 강종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하여, 강종에 따라 몰드의 테이퍼를 조절하여 주편의 폭방향(장변방향)에 대한 응고 수축을 적절하게 조절해줌으로써 주편 표면에 발생하는 표면 결함을 억제 혹은 방지하여 주편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조용 몰드{Mold for casting}
본 발명은 주조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연속주조공정에서 주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조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편은 몰드에 수용된 용강이 냉각대를 거쳐 냉각되면서 제조된다. 예컨대, 연속주조공정은 일정한 내부 형상을 갖는 몰드에 용강을 주입하고, 몰드 내에서 반응고된 주편을 연속적으로 몰드의 하측으로 인발하여 슬라브, 블룸, 빌렛, 빔 블랭크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여기에서 주편은 단변과 장변, 즉 두께와 폭의 비가 1:3 이상으로 폭이 훨씬 크기 때문에 장변 플레이트와 단변 플레이트를 조립한 형태의 장방형 몰드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그런데 장방형 몰드의 경우 장변 플레이트와 단변 플레이트가 서로 맞닿는 코너부에서 열이 2면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장변 플레이트나 단변 플레이트의 중앙부위에 비하여 현저한 온도 저하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용강은 몰드를 빠져나와 주편이 굽혀지는 벤딩(bending) 영역이나 주편이 다시 펴지는 언벤딩(unbending) 영역을 통과할 때 강의 연성이 낮아지는 취화 온도 영역을 통과하면 주편 코너에 크랙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특히, 제품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Nb, V, B, Ti, Ni, Cr, Mo 등의 원소가 다량 첨가된 AHSS(Advanced high strength steel)의 경우에는 고온 취화 온도 영역이 일반 탄소강에 비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주편의 코너에 더 많은 크랙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장방형 몰드를 이용하여 제조된 주편의 경우 가열로에서 코너 부분의 온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연질 조직(ferrite)이 쉽게 생성되어 폭 압연 시 코너부분이 과다하게 접혀 에지 스켑결함 발생률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연속 주조 시 장방형 주편의 코너부의 온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도록 2차 냉각 장치를 설계하고, 주편 정정 시 스카핑(scarfing)을 실시하여 코너부를 라운딩(rounding)시키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속주조 시 2차 냉각 패턴 조절에 따라 주편 코너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주편 코너부를 라운딩시킴에 따라 철손이 발생하고 정정 부하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방형 몰드의 코너부를 모따기한 형태의 챔퍼드(chamfered) 몰드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장방형 몰드를 이용하여 주조를 실시할 때 주편의 표면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던 것이 챔퍼드 몰드를 사용으로 주편에 결함이 발생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예컨대 탄소나 망간이 다량 함유된 고탄소강이나 고망간강의 주조 시 모따기한 챔퍼면 및 그 인접 부위에 크랙이 발생하여 주편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58588 A KR 2007-56935 A KR 2007-86125 A KR 2007-89757 A KR 0544924 B
본 발명은 주편 응고 시 강종에 따른 주편의 응고 수축을 효율적으로 보상해줄 수 있는 주조용 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편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조용 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용 몰드는, 주편을 주조하는 주조용 몰드로서, 상기 몰드는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장변 플레이트와, 상기 장변 플레이트의 양쪽에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단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변 플레이트와 상기 장변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코너부에는 모따기 형상의 챔퍼드 면이 형성되며,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주편을 주조하는 강종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챔퍼드 면이 상기 단변 플레이트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고탄소강 및 고망간강을 이용하여 주편을 주조할 수 있다.
상기 고탄소강은 탄소량이 0.15 내지 0.30%이거나 0.31% 이상이고, 상기 고망간강은 망간량이 1.1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극저탄소강, 저탄소강 및 중고탄소강 중 어느 하나를 주조하는 몰드의 경사도보다 큰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챔퍼드 면이 상기 단변 플레이트와 이루는 각도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극저탄소강, 저탄소강 및 중고탄소강 중 어느 하나를 주조하는 몰드의 경사도를 하기의 식1에 의한 몰드의 기준 경사도라 할 때, 상기 고탄소강 또는 고망간강을 주조하는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몰드의 기준 경사도와 하기의 식2에 의한 몰드 경사도 보상량의 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식)1
Figure 112013118474339-pat00001
식2)
Figure 112013118474339-pat00002
(2Δℓ은 몰드의 상단폭과 몰드의 하단폭 간의 차이, θ는 주편의 단변 방향(두께 방향)과 챔퍼드 면이 이루는 각도)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몰드의 기준 경사도보다 5 내지 25% 클 수 있다.
상기 고탄소강의 탄소량이 0.15 내지 0.30중량%인 경우,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몰드의 기준 경사도보다 5 내지 15% 클 수 있다.
상기 고망간강의 망간량이 1.1중량% 이상인 경우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몰드의 기준 경사도보다 5 내지 15% 클 수 있다.
상기 고탄소강의 탄소량이 0.31중량% 이상인 경우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몰드의 기준 경사도보다 15 내지 25% 클 수 있다.
상기 고망간강의 망간량이 15중량% 이상인 경우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몰드의 기준 경사도보다 15 내지 25%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용 몰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주편은 주조 중 표면에 발생되는 결함이 현저하게 억제될 수 있다. 즉, 강종에 따라 몰드의 테이퍼를 조절하여 주편의 폭방향(장변방향)에 대한 응고 수축을 적절하게 조절해줌으로써 주편 표면에 발생하는 표면 결함을 억제 혹은 방지하여 주편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된 주편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후속 공정(압연)에서 발생하는 에지 스캡(edge scab) 등의 결함의 발생을 억제 혹은 방지하여 결함 제거를 위한 정정 작업의 부하도 경감시켜줄 수 있다.
도 1은 연속 주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몰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몰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챔퍼드 몰드를 사용하여 주조된 주편의 사진.
도 6은 종래의 챔퍼드 몰드를 사용하여 주조된 주편을 이용하여 제조된 열연코일의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몰드를 사용하여 주조된 주편의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연속 주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몰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몰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연속 주조 장치를 설명한다.
연속 주조 장치는 제강공정에서 정련된 용강이 담기는 래들(ladle; 10)과, 래들(10)에 연결되는 주입노즐을 통해 용강을 공급받아 이를 일시 저장하는 턴디쉬(tundish; 20)와, 턴디쉬(20)에 저장된 용강을 전달받아 일정한 형상으로 초기 응고시키는 몰드(mold; 30)를 포함한다. 또한, 몰드(30)의 하부에 구비되어 몰드(30)로부터 인발된 미응고 주편(1)을 냉각시키면서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하도록 복수의 세그먼트(segment; 50)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냉각라인(4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몰드(30)는 구리합금으로 제조되며, 내부에 용강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몰드(30)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장변 플레이트(32)와, 장변 플레이트(32)의 양쪽에 연결되는 한 쌍의 단변 플레이트(34)로 이루어지며, 그 외측에는 용강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냉자켓(36)이 구비된다. 이때, 장변 플레이트(32)와 단변 플레이트(34)가 연결되는 몰드(30)의 코너부에는 모따기한 형상의 챔퍼드 면(C)이 형성된다. 몰드(30) 코너부의 챔퍼드 면은 주편의 각 코너부에서의 온도 저하에 따른 주편의 표면 결함을 억제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몰드(30)에서 단변 플레이트(34)는 몰드(30) 내측방향으로 경사(taper)지게 형성된다. 몰드(30)는 상단폭(L+Δℓ)이 하단폭(L)보다 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몰드(30)의 단변 플레이트(34)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주편의 장변방향으로의 응고 수축을 보상해줄 수 있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편 제조 시 강종에 따라 챔퍼드 면(C)이 형성된 부분에서 크랙 등의 표면 결함이 발생하고, 이러한 주편을 압연하여 코일을 제조하는 경우 에지 크랩 등과 같은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결함을 억제하기 위하여 강종에 따라 몰드(30)의 경사도를 조절함으로써 주편의 응고 수축에 따른 보상을 적절하게 하여 결함 발생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실선은 몰드의 경사도를 보상하기 전이고, 점선은 몰드의 경사도를 보상한 후를 나타냄)
이와 같이 강종에 따라 몰드(30)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주편의 결함 발생을 억제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탄소강을 챔퍼드 몰드를 적용하여 주조하는 경우, 특히 탄소량이 높거나 망간량이 높은 특정 강종을 이용하여 주편을 생산할 때 챔퍼드 면이나 챔퍼드 면의 인접부위에 주편의 주조 길이 방향으로 크랙이 발생하거나 주조 길이 방향 및 직각 방향으로 연결된 크랙이 발생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예컨대 탄소를 0.15중량% 이상 함유하는 고탄소강이나 망간을 1.1중량% 이상 함유하는 고망간강의 경우 챔퍼드 몰드를 이용하여 주편을 제조할 때 챔퍼드 면을 따라 주편의 주조 방향을 따라 면세로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의 발명자는 챔퍼드 면 및 그 인접한 영역에 크랙이 발생하는 근본원인을 찾기 위하여 크랙 발생부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주상정 성장방향이 크게 틀어지는 경계면에서 생성되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를 따라 크랙이 발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크랙 내부에 몰드 플럭스(flux)성분이 검출됨에 따라 이렇게 형성되는 면세로 크랙 발생 위치가 몰드 내부이거나 몰드 직하이며, 주조방향과 평행하게 챔퍼드 면이나 경계인접부위를 따라 크랙이 발생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고탄소강과 고망간강의 경우, 액체가 고체로 응고하는 동안 고체와 액체의 공존영역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다른 강종에 비하여 응고 수축이 상당히 크고, 이 때문에 발생하기 쉬운 주편 장변 방향으로의 응고 수축 보상이 적절하지 못하면 주조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면세로 크랙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강종들을 주조하는 경우 챔퍼드 몰드의 경사도를 탄소 함량이 비교적 적은 극저탄소강, 저탄소강, 중고탄소강 등을 주조하는 일반적인 장방형의 챔퍼드 몰드의 경사도보다 큰 경사도를 갖도록 조절하여 주편의 응고 수축을 적절하게 보상해줄 수 있다.
챔퍼드 몰드의 경사도는 다음과 같이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몰드의 경사도, 즉 몰드의 기준 경사도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a와 같이 몰드(30)의 장변(폭방향)과 나란한 길이 방향으로의 응고 수축 보상을 위해 적용된다. 이에 챔퍼드 몰드와 같이 코너부가 장변쪽으로의 θ만큼 꺾여 있는 경우 장방형 몰드(직사각형태)의 코너부의 응고 수축 보상량에 비해서 Δℓcos θ (여기서 Δℓ은 몰드의 상단폭과 하단폭 간의 차이)만큼 줄어들게 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몰드의 기준 경사도는 주편 응고 시 장변 방향의 수축을 보상해주기 위해서 설정해야 하며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에서 몰드의 기준 경사도는 탄소 함량이 0.15중량%보다 낮은 극저탄소강, 저탄소강, 중고탄소강 등을 주조하는 몰드의 경사도를 의미한다.
Figure 112013118474339-pat00003
그러나 챔퍼드 몰드에 장방형 몰드 만큼 수축보상량(2Δℓ)을 주게 되면, 중앙부는 정상적으로 수축 보상(2Δℓ)이 되지만, 코너부는 수축 보상량은 2Δℓcos θ 만큼 줄어들게 된다. 즉, 코너부가 θ 만큼 단변쪽으로 꺽여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챔퍼드 면 단변의 코너부분을 중앙부만큼(2Δℓ) 수축 보상해 주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b와 같이 수축 보상량을 몰드의 일측에서 Δℓ/cos θ 만큼씩 총 2Δℓ/cos θ 증가시켜야 된다. 따라서 코너부의 테이퍼 부족량을 고려하여 적정 몰드의 경사도를 설정해야 된다.
Figure 112013118474339-pat00004
(여기에서 몰드의 양쪽에서 수축 보상을 해주어야 하므로 2배를 한다. )
다시 말해서, 모따기한 주편을 제조하기 위하여 챔퍼드 몰드를 이용하여 주편을 주조하는 경우, 응고 수축량이 큰 강종을 주조할 때 기존의 장방형 몰드를 이용한 주조와 동일하게 몰드의 경사도를 적용할 경우, 몰드 장변이 연장된 것으로 볼 수 있는 챔퍼드 면에 크랙이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동일한 강종을 챔퍼드 몰드를 이용하여 주편을 주조하는 경우 챔퍼드 면의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서 챔퍼드 면 및 인접경계면에 크랙의 발생 유무가 결정되는 것으로부터 챔퍼드 몰드 적용시에는 응고 수축량이 많은 강종에 대해서는 단변 플레이트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몰드의 경사도를 기준 경사도에서 2Δℓ/cos θ 만큼 증량함으로써 응고 수축량에 대해 적절하게 보상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챔퍼드 면의 각도(θ)가 증가하면 몰드 경사도 보상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몰드의 경사도는 챔퍼드 면이 단변 플레이트와 이루는 각도에 비례하게 된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와 반복되는 실험을 통해 하기의 표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탄소함량과 망간함량에 따른 몰드의 경사도 조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강종들에 대한 몰드의 경사도 증량 기준을 조업에 반영함으로써 챔퍼드 몰드 적용 시 문제가 되었던 고탄소강 및 고망간강의 챔퍼드 면 및 그 인접한 부위에서 크랙 등의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여기에서 극저탄소강은 탄소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강을 의미하고, 저탄소강은 탄소 함량이 0.12중량% 미만인 강을 의미하며, 중고탄소강은 탄소 함량이 0.15중량% 미만인 강을 의미한다.
강종 챔퍼드 주형 적용 시 경사도 증가량
극저탄소강 0%(장방형 몰드와 동일 기준, 몰드의 기준 경사도)
저탄소강
중고탄소강
0.15중량%≤[C]≤0.30중량% 강종 장방형 몰드 대비 5 ~ 15% 증량
[Mn]≥1.1중량% 강종
0.31중량%≤[C]강종 장방형 몰드 대비 15 내지 25% 증량
[Mn]≥15중량% 강종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방법으로 제조된 주편의 품질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5는 종래의 챔퍼드 주형을 사용하여 주조된 주편의 사진이고, 도 6은 종래의 챔퍼드 주형을 사용하여 주조된 주편을 이용하여 제조된 열연코일의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형을 사용하여 주조된 주편의 사진이다.
탄소 0.4%, 망간 1.5중량%를 함유하는 고탄소강인 API-K55강재를 본 발명에 따른 챔퍼드 몰드를 사용하여 주조한 경우의 품질을 살펴본다.
상기 고탄소강을 경사도 1.1%를 갖는 기존의 장방형 챔퍼드 몰드를 이용하여 주편을 주조하였다(비교 예).
그리고 동일한 고탄소강을 경사도 1.32%를 갖는 본 발명의 챔퍼드 몰드를 이용하여 주편을 주조하였다(실시 예).
먼저, 기존의 장방형 챔퍼드 몰드를 이용하여 주편을 제조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편의 챔퍼드 면에 길이 방향, 즉 주편의 주조 방향으로 크랙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렇제 제조된 주편을 열간 압연하여 얻어진 코일의 에지부에도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에지 스캡(edge scab)이 발생하였다. 이는 다른 강종에 비해 고탄소강이 응고수축이 크지만, 저탄소강 등과 같은 강종을 주조하는 몰드를 이용하여 주편을 주조하였기 때문에 응고 수축 보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한 결함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챔퍼드 몰드를 적용하여 고탄소강을 주조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편의 챔퍼드 면은 물론 그 인접한 부위에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렇게 주조된 주편을 열간 압연하여 제조된 코일에서도 에지 크랩과 같은 결함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고탄소강의 응고 수축 특성을 고려하여 몰드의 경사도를 기존의 장방향 챔퍼드 몰드에 비해 20% 증가시켜 주편을 제조하였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래들 20: 턴디쉬
22: 침지노즐 30: 몰드
32: 장변 플레이트 34: 단변 플레이트
40: 냉각라인 50: 세그먼트

Claims (12)

  1. 고탄소강 및 고망간강을 이용하여 주편을 주조하는 주조용 몰드로서,
    상기 몰드는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장변 플레이트와, 상기 장변 플레이트의 양쪽에 서로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단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변 플레이트와 상기 장변 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코너부에는 모따기 형상의 챔퍼드 면이 형성되고,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주편을 주조하는 강종에 따라 변경되되, 극저탄소강, 저탄소강 및 중고탄소강 중 어느 하나를 주조하는 몰드의 경사도보다 큰 경사도를 가지며,
    상기 극저탄소강, 저탄소강 및 중고탄소강 중 어느 하나를 주조하는 몰드의 경사도를 하기의 식1에 의한 몰드의 기준 경사도라 할 때,
    상기 고탄소강 또는 고망간강을 주조하는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몰드의 기준 경사도와 하기의 식2에 의한 몰드 경사도 보상량의 합에 의해 결정되는 주조용 몰드.
    식)1
    Figure 112015008098702-pat00014

    식2)
    Figure 112015008098702-pat00015

    (2Δℓ은 몰드의 상단폭과 몰드의 하단폭 간의 차이, θ는 주편의 단변 방향(두께 방향)과 챔퍼드 면이 이루는 각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챔퍼드 면이 상기 단변 플레이트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변경되는 주조용 몰드.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탄소강은 탄소량이 0.15 내지 0.30중량%이거나 0.31 중량 % 이상이고,
    상기 고망간강은 망간량이 1.1 중량 % 이상인 주조용 몰드.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챔퍼드 면이 상기 단변 플레이트와 이루는 각도에 비례하는 주조용 몰드.
  7. 삭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몰드의 기준 경사도보다 5 내지 25% 큰 주조용 몰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탄소강의 탄소량이 0.15 내지 0.30중량%인 경우,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몰드의 기준 경사도보다 5 내지 15% 큰 주조용 몰드.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망간강의 망간량이 1.1중량% 이상인 경우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몰드의 기준 경사도보다 5 내지 15% 큰 주조용 몰드.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탄소강의 탄소량이 0.31중량% 이상인 경우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몰드의 기준 경사도보다 15 내지 25% 큰 주조용 몰드.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망간강의 망간량이 15중량% 이상인 경우 상기 몰드의 경사도는 상기 몰드의 기준 경사도보다 15 내지 25% 큰 주조용 몰드.
KR1020130162664A 2013-12-24 2013-12-24 주조용 몰드 KR101527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664A KR101527857B1 (ko) 2013-12-24 2013-12-24 주조용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664A KR101527857B1 (ko) 2013-12-24 2013-12-24 주조용 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857B1 true KR101527857B1 (ko) 2015-06-10

Family

ID=5350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664A KR101527857B1 (ko) 2013-12-24 2013-12-24 주조용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322A (ko) * 2017-09-12 2019-03-20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2690A (ja) * 1998-07-31 2000-02-15 Kobe Steel Ltd 金属の連続鋳造用鋳型
KR20120110340A (ko) * 2011-03-29 2012-10-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주형, 연주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재 제조방법
KR20130048599A (ko) * 2011-11-02 2013-05-10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KR20130074898A (ko) * 2011-12-27 2013-07-05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 주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2690A (ja) * 1998-07-31 2000-02-15 Kobe Steel Ltd 金属の連続鋳造用鋳型
KR20120110340A (ko) * 2011-03-29 2012-10-10 현대제철 주식회사 주형, 연주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재 제조방법
KR20130048599A (ko) * 2011-11-02 2013-05-10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KR20130074898A (ko) * 2011-12-27 2013-07-05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 주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322A (ko) * 2017-09-12 2019-03-20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KR101969112B1 (ko) * 2017-09-12 2019-04-15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1900B2 (ja) 圧延h形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52054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20190144967A1 (en) Thin duplex stainless steel sheet
KR101360564B1 (ko) 연속주조 주형
KR20170036810A (ko) 전자빔 용해로에서 용제된 열간 압연용 티탄 슬래브와 그 용제 방법 및 열간 압연용 티탄 슬래브의 압연 방법
KR101757548B1 (ko) 포정강의 슬라브 제조 방법
JP5999294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527857B1 (ko) 주조용 몰드
KR101412537B1 (ko) 보론 첨가 고탄소강의 크랙 저감 방법
CN115945659B (zh) 提高铸坯表面质量的方法
KR101795871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를 이용한 고Cu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KR101727803B1 (ko) 고탄소강의 슬라브 제조 방법
JP6149789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WO2020153407A1 (ja) 高マンガン鋼鋳片の製造方法、および、高マンガン鋼鋼片または鋼板の製造方法
JPH07276020A (ja) 連続鋳造方法
KR101675672B1 (ko) 보론강의 제조 방법
KR101660773B1 (ko) 주조용 몰드
KR20190078401A (ko) 재질과 두께의 편차가 작은 무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86892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초주편 폭편차 저감을 위한 연속주조 방법
KR102175425B1 (ko) 연속주조 주편 제조기술 방법
KR20220159078A (ko) 고 니켈강의 연속 주조 방법
KR101435035B1 (ko) 크랙이 저감된 미니밀 공정에 의한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연강판
KR101360626B1 (ko) 고합금강의 제조방법
KR101758476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를 이용한 고Cu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Cu 스테인리스강
KR101421801B1 (ko) 후판의 압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압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