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801B1 - 후판의 압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압연 방법 - Google Patents

후판의 압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압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801B1
KR101421801B1 KR1020120099860A KR20120099860A KR101421801B1 KR 101421801 B1 KR101421801 B1 KR 101421801B1 KR 1020120099860 A KR1020120099860 A KR 1020120099860A KR 20120099860 A KR20120099860 A KR 20120099860A KR 101421801 B1 KR101421801 B1 KR 101421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rolling
amount
roll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3702A (ko
Inventor
천명식
김연태
권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99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8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3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21B37/22Lateral spread control; Width control, e.g. by edg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06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xes of rolls arranged vertically, e.g. 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06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5/00Forming parameters
    • B21B2265/12Rolling load or rolling pressure; roll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판의 열간압연시 슬라브 상하면 폭 차이 또는 슬라브 상하면 온도차이 의해 발생하는 비대칭 표면 흠을 저감하기 위한 에저롤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압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저롤은 후판을 제조하기 위한 슬라브의 폭내기 압연에 사용되는 후판의 압연 장치로서, 폭내기 압연시 상기 슬라브의 상하면 비대칭 변형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각을 갖도록 외주측면이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에저롤이 구비되고, 상기 에저롤은 상기 슬라브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를 수직 압연하되, 작용하는 폭압하량(ΔW*)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ΔW* = ΔW + H×sinθ
여기서, ΔW는 압연패스 스케줄에서 결정된 폭압하량이고, H는 슬라브의 입측 두께이며, θ는 슬라브의 두께 방향 직선에 대해서 상기 에저롤의 외주측면이 경사진 각도임.

Description

후판의 압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압연 방법{ROLLING DEVICE OF STEEL PLATE AND ROLLING METHOD OF STEEL PL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후판의 압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압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판의 열간압연시 슬라브 상하면 폭 차이 또는 슬라브 상하면 온도차이 의해 발생하는 비대칭 표면 흠을 저감하기 위한 후판의 압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압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강공정은 제선, 제강공정을 통해 원료인 철광석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용강을 연속 주조공정의 주형에 주입하여 슬라브(slab) 등을 제조한 후, 최종 생산되는 선재, 코일, 박판, 후판 등의 최종 제품에 따라 적합한 공정을 수행한다.
이처럼 철강공정은 최종 제품에 따라 주조공정 이후에 진행되는 압연공정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 중에서 후판 제조 공정은 압연장치를 사용하여 상기한 주조공정에서 제조된 슬라브를 판 두께가 약 6mm ~ 300mm 정도인 후판(plate)으로 압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후판 제조 공정은 일반적으로 가열로에서 슬라브(S)를 가열하는 공정과, 압연장치를 이용하여 폭내기 압연 및 길이내기 압연을 수행한 후, 예비 교정과 가속냉각 및 열간 교정을 통해 최종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조압연기를 포함하는 압연장치를 이용하여 후판을 압연하는 공정의 경우 조압연기에서는 고르기, 폭내기 및 일정량의 길이내기 압연을 실시하여 중간두께의 제품을 만들고, 사상압연기에서 최종 목표로 하는 제품 두께까지 길이내기 압연을 실시하여 판을 제조하게 된다.
특히, 폭내기 압연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에저 압연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에저 압연기는 편평한 수직 롤(flat edger roll)을 이용하여 폭 압연을 실시하여 폭내기 한 후의 평면형상을 제어하게 되고 수평압연기에 의해 폭내기압연을 실시하여 목표로 하는 판폭을 제조하게 된다.
한편, 후판공정에 공급되는 연주 슬라브는 후술되는 공정특성상 하면 폭 대비 상면 폭이 큰 역사다리꼴 단면 모양으로 주조된다.
슬라브를 제조하는 연주공정에서 액상에서 고상으로 변경하는 구간에 중심부의 기공 및 편석을 줄이기 위하여 롤갭에 변화를 주어 경압하(soft reduction)를 실시하게 되는데, 하부 스트랜드의 롤은 고정되어 있고, 상부 스트랜드의 롤이 이동하여 롤갭을 맞추게 된다. 이때 상부 스트랜드의 롤과 주편 상면 간의 소재 유동량과 하부 스트랜드의 롤과 주편 하면 간의 소재 유동이 서로 차이가 발생하는데 주편의 상면부 폭은 하면부 폭 대비하여 연주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평균적으로 14mm 정도 더 변형되어 폭 단차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압연시 상향 벤딩(up bending)을 방지할 목적으로 가열로에서 슬라브 상하부의 온도는 하면 대비 상부를 10 ~ 30℃ 높게 가열한다.
그리고, 슬라브가 가열로에서 추출되어 디스케일링(descaling)을 목적으로 하는 고압수 분사에 의해 발생되는 상하면 온도차이와, 압연기 입측으로 이동되면서 공냉에 의해 발생되는 상하면 온도강하 차이, 그리고 압연중 롤냉각에 의한 상하면 온도 차이로 인하여 압연 중에 슬라브 상면의 온도가 하면 온도 대비하여 20 ~ 30℃ 높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슬라브(S) 상면 폭의 증가, 상면 온도의 증가에 의하여 폭내기 압연시 슬라브(S) 두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면부의 연신량은 증가하고 하면부의 연신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상면부와 하면부와의 비대칭 변형량을 증가시킨다.(도 1a, 도 1b 및 도 2 참조)
도 1a 및 도 1b는 후판의 비대칭 표면 및 비대칭 표면크랙을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도 2는 슬라브 폭단차에 의한 압연시 변형거동을 나타내는 해석도이며, 도 3은 압연 중 상하면 온도차에 의한 변형거동을 나타내는 해석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에저롤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슬라브 상면부 폭이 하면부 폭 보다 큰 경우 압연패스가 진행할수록 상면부의 폭이 하면부의 폭대비 점점 증가하여 두께방향 비대칭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폭내기 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슬라브 코너부의 하면 유입량도 점점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슬라브의 상면온도가 하면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상면의 변형량이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브 코너부의 하면 유입량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압연시 상하면 비대칭량이 증가하면 슬라브 코너부에서의 온도강하로 인한 열간가공성의 저하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코너부에서 미세한 크랙이 존재하게 되고 표면결함으로 남게 된다. 이와 같이 폭내기 압연량이 증가할수록 비대칭인자에 의하여 슬라브 하면부의 코너부는 이면으로 점점 유입되어 엣지부로부터 흠의 깊이가 증가하게 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도 1a에서와 같이 압연이 진행되면서 상면부와 하면부에서 슬라브(S) 코너부의 위치는 표리면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면부 대비하여 하면부의 표면 흠 유입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코너부 근방에서 가공성 하락으로 발생한 가로 크랙(seam crack)과 크랙 민감강에서 발생하는 엣지성 스타 크랙(star crack)의 발생 폭이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비대칭 표면크랙발생은 전단공정에서의 절단 손실(trimming loss) 을 증가시켜 결국 후판압연 제품의 실수율 하락을 가져오게 된다. 하지만 통상적인 에저롤의 형상은 슬라브 두께방향을 중심으로 대칭 압연을 목적으로 도 4와 같이 편평한 에저롤(1)을 사용하거나, 슬라브 에지면의 표리면 이동량을 억제하기 위하여 에저롤의 형상을 크라운으로 가공하여 볼록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설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슬라브의 초기 단면폭이 상면부와 하면부가 다른 역사다리꼴 단면을 가진 슬라브의 경우 근본적으로 비대칭형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종래에도 후판의 압연시 발생되는 캠버Camber)와 같은 결함을 방지하는 기술이 "후판강의 캠버 방지를 위한 폭내기 압연방법(등록특허 10-0832970)" 등과 같이 제안되어 사용되었지만, 아직까지 슬라브의 상면부와 하면부의 비대칭형상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지 않은 실정이다.
등록특허 10-0832970 (2008. 05. 21)
본 발명은 경사각을 갖는 에저롤을 사용하여 슬라브 상면과 하면의 압연량에 차이를 주어 슬라브 상하면 폭차이와 슬라브 상하면 온도차이에 의한 비대칭 압연량을 저감함에 따라 표면 흠의 하면 유입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후판의 압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압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후판의 압연 장치은 후판을 제조하기 위한 슬라브의 폭내기 압연에 사용되는 후판의 압연 장치로서, 폭내기 압연시 상기 슬라브의 상하면 비대칭 변형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각을 갖도록 외주측면이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에저롤이 구비되고, 상기 에저롤은 상기 슬라브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를 수직 압연하되, 작용하는 폭압하량(ΔW*)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ΔW* = ΔW + H×sinθ
여기서, ΔW는 압연패스 스케줄에서 결정된 폭압하량이고, H는 슬라브의 입측 두께이며, θ는 슬라브의 두께 방향 직선에 대해서 상기 에저롤의 외주측면이 경사진 각도임.
이때 상기 에저롤의 경사각은 상기 슬라브의 두께 방향 직선에 대하여 0.5 ~ 1°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후판의 압연 방법은 슬라브를 길이 방향으로 고르기 압연하는 단계와; 상기 고르기 압연이 완료된 슬라브를 수평 회전시킨 후 폭 방향으로 폭내기 압연을 하되, 슬라브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면부에 작용하는 압하량이 하면부에 작용하는 압하량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폭내기 압연하는 단계와; 상기 폭내기 압연이 완료된 슬라브를 수평 회전시킨 후 길이 방향으로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폭내기 압연하는 단계에서, 상기 슬라브는 폭방향으로 상면의 폭이 하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비대칭 형상을 갖고,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에저롤을 사용하여 상기 슬라브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를 수직 압연시키며, 상기 에저롤에 작용하는 폭압하량(ΔW*)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ΔW* = ΔW + H×sinθ
여기서, ΔW는 압연패스 스케줄에서 결정된 폭압하량이고, H는 슬라브의 입측 두께이며, θ는 슬라브의 두께 방향 직선에 대해서 상기 에저롤의 외주측면이 경사진 각도임.
그리고, 상기 θ는 0.5 ~ 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점점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향경사진 경사각이 형성된 에저롤을 사용하여 슬라브의 폭내기 압연을 실시하면 슬라브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면부에 작용하는 압하량이 하면부에 작용하는 압하량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슬라브 폭차이와 상하면 온도차이에 의해 표면결함이 하면으로 유입되는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슬라브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면부와 하면부의 변형량을 대칭이 되도록 할 수 있어 전단공정에서의 절단 손실(trimming loss)을 감소시켜 후판압연 제품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후판의 비대칭 표면 및 비대칭 표면크랙을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도 2는 슬라브 폭단차에 의한 압연시 변형거동을 나타내는 해석도이며,
도 3은 압연 중 상하면 온도차에 의한 변형거동을 나타내는 해석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에저롤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저롤을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저롤의 경사각에 따른 상하면 폭압하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저롤를 이용하여 압연시 슬라브와의 접촉관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저롤 경사각에 따른 비대칭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해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슬라브 폭단차 그리고 상하면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하면 비대칭 변형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외주측면에 경사각을 갖는 에저롤을 제안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저롤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저롤(10)은 슬라브(S)의 측부면에 접촉되면서 직접 압연시키는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를 압연설비에 장착하기 위한 부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3)로 구분된다.
상기 본체부(11)는 폭내기 압연시 상기 슬라브(S)의 상하면 비대칭 변형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점점 직경이 작아지도록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상기 본체부(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브(S)의 두께방향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편평한 외주측면을 갖는 종래의 에저롤(1)과는 다르게 경사각을 갖도록 외주측면이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하면 폭보다 상면 폭이 큰 것과 같은 폭단차를 갖는 슬라브(S)를 폭압연하는 경우에, 종래와 같은 편평한 외주측면을 갖는 에저롤(1)로는 상면 폭압하량과 하면 폭압하량이 동일하게 압연이 되어 슬라브(S) 단차가 갖고 있는 폭차이를 제어하지 못하였다.
반면에, 도 5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져서 외주측면이 하향 경사진 경사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에저롤(10)을 이용하면 슬라브(S)의 폭압연시 슬라브 두께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면부에는 폭압하량이 증가하고 하면부에는 폭압하량이 감소하게 되어 종래의 문제점인 슬라브(S) 상면부가 크게 되는 비대칭량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때 에저롤(10)의 외주측면 경사각은 슬라브(S) 폭단차가 상면부와 하면부의 변형량이 동일하게 되는 조건에서 결정되는데, 경사각이 너무 크게 되면 슬라브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초기패스에서 폭압하량이 상면부에 과압하되어 압연기의 허용압연하중을 초과하는 문제점과 폭내기 압연시 하면부 폭압하량이 상대적으로 작아 폭내기 종료 후의 평면형상을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에저롤(10)의 외주측면 경사각이 너무 작게 되면 상하 비대칭 개선효과가 크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에저롤(10)의 외주측면 경사각은 상기 슬라브(S)의 두께 방향 직선에 대하여 0.5 ~ 1° 기울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3)는 상기 본체부(11)의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11)를 압연설비에 장착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베이스부(13)의 형상은 압연설비와의 연결을 위하여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구현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저 롤의 경사각에 따른 상하면 폭압하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상하 폭 차이를 갖는 슬라브를 에저롤 경사각에 따라 폭내기 압연시 슬라브 두께방향 변형량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경사각을 증가시킬수록 상면 변형량의 증가에서 하면 변형량의 증가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면 변형량과 하면 변형량이 대칭에 가까운 경사각은 0.5 ~ 1°범위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저롤의 본체부 경사각은 상기 슬라브의 두께 방향 직선에 대하여 0.5 ~ 1°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외주측면에 경사각을 갖는 에저롤을 이용하여 후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저롤(10)을 사용하여 후판을 제조하는 방법은 크게 슬라브(S)를 길이 방향으로 고르기 압연하는 단계와; 상기 고르기 압연이 완료된 슬라브(S)를 수평 회전시킨 후 폭 방향으로 폭내기 압연하는 단계와; 상기 폭내기 압연이 완료된 슬라브(S)를 수평 회전시킨 후 길이 방향으로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폭내기 압연하는 단계에서는 경사각을 갖는 에저롤을 이용하여 슬라브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면부에 작용하는 압하량이 하면부에 작용하는 압하량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폭내기 압연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저 롤를 이용하여 압연시 슬라브와의 접촉관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하기의 표 1은 슬라브(S) 두께별 에저롤(10)의 경사각(θ)에 따른 상하면 폭압하량 증감량을 나타내는 표이다.
[단위: mm, ton]
기준직경\슬라브 두께 400 300 200 100
D1(상부) +3.05 +2.44 +1.83 +0.91
D2(중심부) +0.73 +0.09 -1.83 -0.91
D3(하부) -1.466 -2.13 -2.9 -3.66
* Edging량은 One side 기준
도 7과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통상 후판압연에 공급되는 슬라브(S) 두께는 200 ~ 400mm 범위이므로 최대 슬라브(S) 두께기준으로 상면부는 폭압하량이 3mm 증가하고 하면부는 1.47mm 감소한다. 따라서 압연가능한 폭압하량의 한계를 고려해 볼 때 패스별 폭압하량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하여 압연하여야 한다.
통상, 폭내기 압연시 에저압연은 폭내기비에 따라 1 ~ 2 패스 압연을 실시하게 되며, 폭내기 압연후 90도 회전하여 길이내기 압연을 실시하는 경우 압연조건에 따하 1 ~ 3 패스의 폭압하량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패스별 폭압하량은 압연패스 스케줄에서 계산한 압하량, 최대하중조건에서의 폭압하량과 치입한계 조건에서의 폭압하량중 최소값을 한계 폭압하량으로 결정하게 된다.
에저압연에 의한 치입한계량(ΔWbite)은 에저롤의 반경(Re)과 마찰계수(μ)의 함수로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된다.
[수학식 1] ΔWbite = μ2·Re
여기서, 에저압연에 의한 압연하중(P)은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수학식 2] P = Qp·Km·Le·H
여기서, Qp는 롤바이트(roll bite) 내의 기하학적인 압연하중 계수, Km은 변형저항, Le는 롤과 슬라브 간의 접촉길이, 그리고 H는 슬라브의 입측두께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2]로부터 에저압연기 최대하중조건에서의 허용 폭압하량(ΔWforce)을 계산하며 하기의 [수학식 3]와 같은 함수꼴로부터 결정된다.
[수학식 3] ΔWforce = f(P, r, V, W, H, Re)
여기서, r은 압하율, V는 에저롤 속도, W는 슬라브 폭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으로부터 폭압연 패스별 폭압하량(ΔW* )은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결정된다.
[수학식 4] ΔW* = min (ΔW, ΔWbite, ΔWforce)
여기서, ΔW는 압연패스 스케줄에서 결정된 폭압하량이다. 한편, 에저 압연 패스별 계산된 폭압하량(ΔW)은 경사각을 갖는 에저롤을 사용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수학식 5]에 의해 최종 압연패스에 적용된다.
[수학식 5] ΔW* = ΔW + H×sinθ
여기서, θ는 슬라브의 두께 방향 직선에 대해서 상기 에저롤의 외주측면이 경사진 각도이다.
그래서, 에저롤(10)의 경사각(θ)이 0.5 ~ 1°조건을 사용하고 경사각(θ)에 해당하는 만큼을 폭압하량 설정 수식에 반영하여 허용치 이내에서 폭압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경사각(θ)이 0.5 ~ 1°인 에저롤(10)을 사용하는 경우 슬라브(S) 폭차이와 상하면 온도차이에 의해 표면결함이 하면으로 유입되는 량을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저롤 경사각에 따른 비대칭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해석도로서, 에저롤(10) 변경효과에 대한 슬라브(S) 코너부의 하면 유입량 변경 효과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편평한 에지롤(1)을 사용한 비교예에서는 상면의 코너부 유입량이 9.1mm이고 하면의 코너부 유입량이 10.9mm인 반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경사각(θ)이 0.5°인 에지롤(10)을 사용한 실시예 1은 상면의 코너부 유입량이 9.3mm이고 하면의 코너부 유입량이 9.2mm이고, 경사각(θ)이 1°인 에지롤(10)을 사용한 실시예 2는 상면의 코너부 유입량이 9.8mm이고 하면의 코너부 유입량이 6.9mm이다. 도 8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에저롤(10)의 경사각을 증대시키면 슬라브(S) 코너부의 하면 유입량을 저감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에저롤(10)의 경사각(θ)은 압연하중 허용치 이내에서 폭압연량의 궁극적인 목표인 폭내기 후의 평면형상제어 확보가 가능하도록 0.5 ~ 1°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S: 슬라브 1: 종래의 에저롤
10: 본 발명에 따를 에저롤
11: 본체부 13: 베이스부

Claims (6)

  1. 후판을 제조하기 위한 압연 방법으로서,
    슬라브를 길이 방향으로 고르기 압연하는 단계와;
    상기 고르기 압연이 완료된 슬라브를 수평 회전시킨 후 폭 방향으로 폭내기 압연을 하되, 슬라브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상면부에 작용하는 압하량이 하면부에 작용하는 압하량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폭내기 압연하는 단계와;
    상기 폭내기 압연이 완료된 슬라브를 수평 회전시킨 후 길이 방향으로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폭내기 압연하는 단계에서,
    상기 슬라브는 폭방향으로 상면의 폭이 하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비대칭 형상을 갖고,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각을 갖는 에저롤을 사용하여 상기 슬라브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를 수직 압연시키며, 상기 에저롤에 작용하는 폭압하량(ΔW*)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의 압연 방법.
    ΔW* = ΔW + H×sinθ
    여기서, ΔW는 압연패스 스케줄에서 결정된 폭압하량이고, H는 슬라브의 입측 두께이며, θ는 슬라브의 두께 방향 직선에 대해서 상기 에저롤의 외주측면이 경사진 각도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θ는 0.5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의 압연 방법.
  5. 후판을 제조하기 위한 슬라브의 폭내기 압연에 사용되는 후판의 압연 장치로서,
    폭내기 압연시 상기 슬라브의 상하면 비대칭 변형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각을 갖도록 외주측면이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에저롤이 구비되고, 상기 에저롤은 상기 슬라브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를 수직 압연하되, 작용하는 폭압하량(ΔW*)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판의 압연 장치.
    ΔW* = ΔW + H×sinθ
    여기서, ΔW는 압연패스 스케줄에서 결정된 폭압하량이고, H는 슬라브의 입측 두께이며, θ는 슬라브의 두께 방향 직선에 대해서 상기 에저롤의 외주측면이 경사진 각도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저롤의 경사각은 상기 슬라브의 두께 방향 직선에 대하여 0.5 ~ 1°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저롤.
KR1020120099860A 2012-09-10 2012-09-10 후판의 압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압연 방법 KR101421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860A KR101421801B1 (ko) 2012-09-10 2012-09-10 후판의 압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압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860A KR101421801B1 (ko) 2012-09-10 2012-09-10 후판의 압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압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702A KR20140033702A (ko) 2014-03-19
KR101421801B1 true KR101421801B1 (ko) 2014-07-22

Family

ID=5064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860A KR101421801B1 (ko) 2012-09-10 2012-09-10 후판의 압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압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8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803A (ja) * 1996-09-11 1998-04-07 Sumitomo Metal Ind Ltd シーム疵の少ない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方法
JP2011098352A (ja) * 2009-11-04 2011-05-19 Sumitomo Metal Ind Ltd 厚鋼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803A (ja) * 1996-09-11 1998-04-07 Sumitomo Metal Ind Ltd シーム疵の少ない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方法
JP2011098352A (ja) * 2009-11-04 2011-05-19 Sumitomo Metal Ind Ltd 厚鋼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702A (ko)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174B1 (ko) 열연 규소강 생산방법
CN109465295B (zh) 一种防止热连轧钢板在冷轧中边裂断带的方法
CN104307911B (zh) 提高高表面等级if钢延伸率的方法
KR20150139612A (ko) 금속 스트립 제조 방법
KR20170036810A (ko) 전자빔 용해로에서 용제된 열간 압연용 티탄 슬래브와 그 용제 방법 및 열간 압연용 티탄 슬래브의 압연 방법
KR101421801B1 (ko) 후판의 압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후판의 압연 방법
KR101410130B1 (ko) 후판의 조압연시 패스 라인 설정 방법 및 장치
JP5046944B2 (ja) マグネシウムメルトから金属板を製造する方法
CN115958072A (zh) 一种冷作模具钢及其轧制方法
KR101795871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를 이용한 고Cu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CN109207709B (zh) 一种初轧机轧制纯铁扁钢的加热方法
JP6149789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CN104946872A (zh) 一种制备钢板厚度在8~20mm的低应力热轧高强钢的方法
KR101355601B1 (ko) 압연용 워크롤의 열처리 방법
KR101482461B1 (ko) 에지 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박판의 제조방법
KR101433432B1 (ko) 챔퍼를 형성시키는 단차롤의 설계 방법과, 이를 이용한 후강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27857B1 (ko) 주조용 몰드
KR20150075571A (ko) 연속주조공정의 압연재 생산장치
KR101388074B1 (ko) 구상흑연주철 워크롤의 열처리 방법
RU2403998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штрипса для труб большого диаметра из низколегированной стали на реверсивном толстолистовом стане
KR101786388B1 (ko) 등방성이 우수한 강판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생산된 강판
CN114309083B (zh) 改善高强钢板型的工艺方法
CN112916611B (zh) 一种改善大截面热轧圆钢锭形偏析形态的热轧工艺
KR101353762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공정에서의 표면 품질 제어방법
JP5163417B2 (ja) フランジを有する形鋼の圧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