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135A - 안과장치 및 안과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안과장치 및 안과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135A
KR20130072135A KR1020120145101A KR20120145101A KR20130072135A KR 20130072135 A KR20130072135 A KR 20130072135A KR 1020120145101 A KR1020120145101 A KR 1020120145101A KR 20120145101 A KR20120145101 A KR 20120145101A KR 20130072135 A KR20130072135 A KR 20130072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mode
drive system
joystick
acquis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8225B1 (ko
Inventor
카즈아키 우메카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33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user inpu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75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adjusting devices, e.g. operated by control le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회전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에서 피검안에 대한 취득부의 얼라인먼트를 행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안과장치가 제공된다. 안과장치는, 피검안의 고유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 취득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동작과, 피검안에 대하여 취득 유닛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 경도 동작과, 피검안에 대하여 취득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 경도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조이스틱; 및 취득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을 상기 회전 동작에서 전후 경도 동작으로 변경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과장치 및 안과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OPHTHALMOLOGIC APPARATUS AND OPHTHALMOLOGIC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피검안의 고유 정보를 취득하는(눈 특성의 측정·검사·촬영 등을 행한다) 안과장치 및 안과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피검안의 눈 굴절력을 측정하는 종래의 안과장치에 있어서, 피검안에 대한 취득부(장치 측정부)의 전후, 좌우, 상하의 각 방향에 있어서의 얼라인먼트(alignment) 상태가 소정범위 내가 될 때까지 자동으로 조정을 행하는 경우(오토 얼라인먼트)가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얼라인먼트가 완료해도, 백내장 등의 질환에 의해, 측정이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메뉴얼로 측정 위치를 동공 중심으로부터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측정 가능한 위치를 탐색하면서 복수 회의 측정을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만 피검안에 대한 취득부의 얼라인된 상태를 소정범위 내가 되도록 자동으로 계속해서 조정하고(오토 트래킹(automatic tracking)), 좌우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메뉴얼 조작에 의해 조정을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특허 제4428987호).
그렇지만, 일본특허 제4428987호에 기재되어 있는 안과 장치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전동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전후 방향으로만 오토 트래킹을 행하고,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는 메뉴얼로 얼라인먼트를 행함으로써, 조작에는 조작하기 어려운 회전 동작이 포함되어 있다. 다시 말해, 일본특허 제4428987호에 기재되어 있는 안과 장치에서는, 조이스틱을 이용해서 취득부(장치 측정부)를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조이스틱을 좌우 방향으로 기울여서, 회전시켜야 한다. 또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취득부를 이동시키면서 측정을 행하기 위해서, 조이스틱을 회전시키면서, 조이스틱의 상부에 있는 스위치를 눌려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 동작을 포함하는지 않는 상태에서 피검안에 대한 취득부의 얼라인먼트를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는, 피검안의 고유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 상기 취득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동작과, 상기 피검안에 대하여 상기 취득 유닛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 경도(傾倒) 동작과, 상기 피검안에 대하여 상기 취득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 경도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조이스틱; 및 상기 취득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을 상기 회전 동작에서 상기 전후 경도 동작으로 변경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는, 피검안의 고유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 회전에 의한 제1 동작으로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를 위한 입력, 좌우 경도에 의한 제2 동작으로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를 위한 입력, 및 전후 경도에 의한 제3 동작으로 전후 방향으로의 변위를 위한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조이스틱; 상기 취득부를 피검안에 대하여 변위시키기 위해서, 상기 조이스틱의 상기 제1 동작, 상기 제2 동작, 및 상기 제3 동작에 따라 상하 방향, 좌우 방향, 전후 방향으로 상기 취득부를 구동할 수 있는 제1 구동계, 제2 구동계, 및 제3 구동계; 및 상기 제1 구동계, 상기 제2 구동계, 및 상기 제3 구동계를 구동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갖고,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이스틱의 상기 제1 동작, 상기 제2 동작, 및 상기 제3 동작으로 각각 상기 제1 구동계, 상기 제2 구동계, 및 상기 제3 구동계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구동변경으로서, 상기 제1 동작에 의한 상기 제1 구동계의 구동을 저지하고, 상기 제2 동작으로 상기 제2 구동계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 동작으로 상기 제1 구동계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과 제어방법은, 피검안의 고유 정보를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하는 취득 스텝; 및 상기 취득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동작과, 상기 피검안에 대하여 상기 취득 유닛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 경도 동작과, 상기 피검안에 대하여 상기 취득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 경도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조이스틱에 대하여 상기 취득 유닛을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을, 상기 회전 동작에서 상기 전후 경도 동작으로 변경하는 제어 스텝을 포함한다.
또한, 안과 제어 프로그램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조이스틱의 구동변경을 행함으로써, 회전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에서 피검안에 대한 취득부의 얼라인먼트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조이스틱의 제1, 제2, 제3 동작에 따라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취득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제2, 제3 구동계를 구동 및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로서의 눈 굴절계의 외관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눈 굴절계에 있어서의 측정 광학계의 배치도다.
도 4는, 측정 광학계의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의 사시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눈 굴절계의 시스템 블럭도다.
도 6은, 얼라인먼트에 있어서의 지표로서의 각막 반사 화상을 포함하는 전안부(anterior ocular segment)의 화상의 설명도다.
도 7a는 수정 렌즈에 혼탁이 있는 경우의 투조(transillumination)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b는 수정 렌즈에 혼탁이 있는 경우에 촬상된 링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눈 굴절계의 흐름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눈 굴절계의 흐름도다.
《제1 실시예》
(전체 구성)
본 발명을 예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장치로서의 눈 굴절계(eye refractometer)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베이스(100)에 대하여 프레임 102는 좌우 방향(이하,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X축 방향의 구동기구는, 베이스(100) 위에 고정된 X축 모터 103과, 모터 출력 축에 연결된 이송 나사(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이송 나사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프레임 102에 고정된 너트(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103의 회전에 의해, 이송나사 및 너트를 통해서 프레임 102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프레임 102에 대하여 프레임 106은 상하 방향(이하,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Y축 방향의 구동기구는, 프레임 102 위에 고정된 Y축 모터 104과, 모터 출력 축에 연결된 이송나사 108과, 이송나사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프레임 106에 고정된 너트 114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104의 회전에 의해, 이송나사 및 너트를 거쳐서 프레임 106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프레임 106에 대하여 프레임 107은 전후 방향(이하, Z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Z축 방향의 구동기구는, 프레임 107 위에 고정된 Z축 모터 105과, 모터 출력 축에 연결된 이송나사 109과, 이송나사를 따라 Z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프레임 106에 고정된 너트 115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105의 회전에 의해, 이송나사 109 및 너트를 통해서 프레임 107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프레임 107 위에는, 피검안의 고유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로서의 측정 유닛(110)이 고정되어 있다. 측정 유닛(110)의 피검자측 단부에는, 얼라인먼트를 행하기 위한 광원(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과 각막 곡률을 측정하기 위한 광원 유닛(111)이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100)에는, 피검안 E에 대하여 측정 유닛(110)을 얼라인하기 위한 조작 부재인 조이스틱(101)이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 시에는, 조이스틱(101)을 기울여서 얼라인먼트를 행할 수 있다.
굴절력을 측정할 때는, 피검자는 턱받침(112) 위에 턱을 싣고, 베이스(100)에 고정되어 있는 얼굴 받이 프레임(face reeceiving frame)(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의 이마받침 부분에 이마를 눌러서 피검안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턱받침(112)은, 피검자의 얼굴의 사이즈에 따라 턱받침 구동기구(턱받침 구동 모터)(113)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조정가능하다. 측정 유닛(110)의 검자측 단부에는, 피검안 E를 관찰하기 위한 표시부재로서의 LCD 모니터(116)가 설치되어 있고, 그 위에 측정 결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눈 굴절력 측정 광학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측정 유닛(110) 내부의 눈 굴절력 측정 광학계의 배치도다. 파장 880nm의 빛을 조사하는 눈 굴절력 측정용 광원(201)으로부터 피검안 E에 이르는 광로 01을 따라, 렌즈 202, 피검안 E의 동공 Ep과 거의 공역한 조리개(203), 천공된 미러(perforated mirror)(204), 및 렌즈 205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피검안 E측에서 파장 880nm 이하의 적외 및 가시광선을 전반사하고, 파장 880nm 이상의 광속을 일부 반사하는 다이클로익 미러(dichroic mirror)(206)가, 피검안 E에 대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천공된 미러(204)의 반사 방향의 광로 02를 따라, 동공 Ep과 거의 공역한 환형의 슬릿(annular slit)을 구비한 조리개 207, 광속 분광 프리즘(208), 렌즈 209, 및 촬상소자 210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전술한 광학계는 눈 굴절력 측정용이다. 측정용 광원(201)으로부터 발생한 광속은, 조리개 203에 의해 광속의 폭이 감소하고, 렌즈 202에 의해 렌즈 205의 앞에서 일차 결상된다. 그리고나서, 광속이 렌즈 205 및 다이클로익 미러 206을 투과해서, 피검안 E의 동공 중심에 도달한다. 광속은 안저에 의해서 반사되고, 안저 반사광은 동공 중심을 투과하여 다시 렌즈 205에 입사된다. 입사된 광속은, 렌즈 205을 투과한 후에, 천공된 미리(204)의 주변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광속은, 피검안의 동공 Ep과 대략 공역한 조리개 207 및 광속 분광 프리즘(208)에서 동공 분리에 의해 분리되어, 촬상소자 210의 수광면에 링 화상으로서 투영된다.
피검안 E가 정시안(emmetropic eye)이면, 이 투영된 링 화상은 소정의 원이 된다. 피검안 E가 근시안(short-sighted eye)이면, 투영된 원이 정시안의 것보다 작아진다. 피검안 E가 원시안(long-sighted eye)이면, 투영된 원이 정시안의 것보다 커진다. 피검안 E에 난시가 있는 경우에는, 투영된 링 화상이 타원이 되고, 수평축과 타원이 이루는 각도가 난시축 각도가 된다. 이 타원의 계수에 근거해, 굴절력을 결정한다.
(얼라인먼트 수광 광학계 및 고시표(fixation target) 투영 광학계)
한편, 다이클로익 미러 206의 반사 방향에는, 고시표 투영 광학계와, 피검안의 전안부(anterior ocular segment) 관찰과 얼라인먼트 검출에 대해서 이용되는 얼라인먼트 수광 광학계가 배치되어 있다. 고시표 투영 광학계의 광로 03 위에는, 렌즈 211, 다이클로익 미러 212, 렌즈 213, 반사 미러 214, 렌즈 215, 고시표 216, 및 고시표 광원 217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고시표 유도시에, 점등된 고시표 광원 217의 투영 광속은, 고시표 216을 뒤쪽에서 조명하고, 렌즈 215, 반사 미러 214, 렌즈 213, 다이클로익 미러 212, 및 렌즈 211을 통해 피검안 E의 안저 Er에 투영된다. 또한, 피검안 E의 시도 유도(eyesight guide)를 행하여 운무(fogging) 상태를 실현하기 위해서 렌즈 215는 고시표 유도 모터 224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한다.
또한, 다이클로익 미러 212의 반사 방향의 광로 04 위에는,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 삽입 및 대피 솔레노이드(alignment prism stop insertion-and-removal solenoid)(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해 삽입 및 대피되는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223), 렌즈 218, 및 촬상소자 220가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223)의 삽입 및 대피에 의해,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223)가 광로 04 위에 있을 때에는, 얼라인먼트를 행할 수 있고, 광로로부터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223)를 대피시킬 때는 전안부 관찰 또는 투조 관찰(transillumination observation)을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4는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223)의 형상을 나타낸다. 원반형의 조리개판에 3개의 개구부 223a, 223b, 223c이 형성되고, 양측의 개구부 223c, 223b의 다이클로익 미러 212 측에는 파장 880nm 부근의 광속만을 투과하는 얼라인먼트 프리즘 301a, 301b이 첨부되어 있다.
도 3으로 되돌아가면, 피검안 E의 전안부의 앞쪽에는, 비스듬하게 780nm정도의 파장을 가지는 전안부 조명 광원(안외(extraocular) 조명 광원) 221a, 221b이 배치되어 있다. 전안부 조명 광원 221a, 221b에 의해 조명된 피검안의 전안부로부터의 광속은, 다이클로익 미러 206, 렌즈 211, 다이클로익 미러 212, 및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의 중앙 개구부 223a을 거쳐서 촬상소자 220의 수광 센서면에 결상한다.
얼라인먼트 검출을 위한 광원은, 눈 굴절력 측정을 위한 측정용 광원(201)으로서도 작동한다. 얼라인먼트 시에는, 확산판 삽입 및 대피 솔레노이드(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해 반투명의 확산판(222)이 광로에 삽입된다.
확산판(222)이 삽입되는 위치는, 전술의 측정용 광원(201)의 투영 렌즈 202에 의한 약 1차 결상 위치이며, 또한 렌즈 205의 초점 위치이다. 이에 따라, 측정용 광원(201)의 화상이 확산판(222) 위에 일단 결상하고, 그것이 2차 광원이 되어, 렌즈 205로부터 피검안 E를 향해서 굵은 평행 광속(thick collimated beam)으로서 투영된다.
이 평행 광속은 피검안의 각막 Ef에 의해 반사되어서 휘점 화상을 형성하고, 광속은 다시 다이클로익 미러 206에 의해 그 일부가 반사된다. 그리고, 광속이 렌즈 211을 통해 다이클로익 미러 212에 의해 반사되어,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의 개구부 223a 및 얼라인먼트 프리즘 301a, 301b을 투과하고, 렌즈 218에 의해 수렴되어서 촬상소자 220에 결상된다.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223)의 중앙의 개구부 223a는, 전안부 조명 광원 221a, 221b으로부터의 파장 780nm 이상의 광속이 통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안부 조명 광원 221a, 221b에 의해 조명된 전안부의 화상의 반사 광속은, 각막 Ef의 반사 광속의 경로와 마찬가지로 관찰 광학계를 통과하고,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223)의 개구부 223a을 거쳐서, 결상 렌즈(218)에 의해 촬상소자 220에 결상된다.
또한, 얼라인먼트 프리즘 301a를 투과한 광속은 아래쪽으로 굴절되고, 얼라인먼트 프리즘 30lb을 투과한 광속은 위쪽으로 굴절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조리개를 통한 광속 간의 위치 관계에 의거해, 피검안 E의 얼라인먼트를 행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
도 5는, 시스템 블럭도다.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있는 시스템 제어부(401)는, 프로그램 저장부, 눈 굴절력 값을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각종 디바이스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부, 및 각종 디바이스로부터 취득된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 처리부를 포함하고 있다.
시스템 제어부(401)에는, 측정 유닛(110)을 피검안 E에 얼라인하고 측정을 개시하는 조이스틱(101)으로부터,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조이스틱(101)을 기울였을 때의 경도(傾倒) 각도 입력(402) 및 조이스틱(101)을 회전시켰을 때의 엔코더 입력(403)이 접속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401)에는 측정 개시 스위치를 눌렀을 때의 측정 개시 스위치 입력(404)이 접속된다. 또한, 조작패널(405)(도 2에 나타낸 베이스(100) 위에 설치) 위에는, 인쇄 버튼 및 턱받침 상하 스위치 등이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 신호 입력시에, 시스템 제어부(401)에 신호가 통지된다.
촬상소자 220에 의해 촬상된 피검안 E의 전안부 화상은, 메모리(408)에 기억되어 있다. 메모리(408)에 기억된 화상으로부터 피검안 E의 동공과 각막 반사 화상을 추출하고, 얼라인먼트 검출을 행한다. 또한, 촬상소자 220에 의해 촬상된 피검안 E의 전안부 화상은, 문자 및 도형의 데이터와 합성되고, 그리고나서 LCD 모니터(116) 위에 전안부 화상이나 측정값 등이 표시된다.
촬상소자 210에 의해 촬영된 눈 굴절력 산출용 링 화상은, 메모리(408)에 기억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410, 411의 각각은, 솔레노이드 구동회로(409)를 통하여, 시스템 제어부(401)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구동 및 제어된다. 또한, X축 모터 103, Y축 모터 104, Z축 모터 105, 턱받침 모터 113, 및 고시표 유도 모터 224는, 모터 구동회로(413)를 통하여 시스템 제어부(401)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구동된다.
측정용 광원(201), 안외 조명 광원 221a, 221b, 및 고시표 광원 217은, 광원 구동회로(412)를 통하여, 시스템 제어부(401)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점등, 소등, 및 광량 변경을 제어한다.
(조이스틱에 관한 제1 모드/메뉴얼 얼라인먼트 모드)
검자는, 조이스틱(101)을 사용하여 회전의 제1 동작으로 상하 방향(Y방향)에서의 변위를 위한 입력을 행하고, 좌우 방향으로 기울이기 위한 의한 제2 동작 및 전후 방향으로 기울이기 위한 제3 동작으로 각각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의 변위를 위한 입력을 행한다. 또, 조이스틱(101)에 의한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입력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401) 및 모터 구동회로(413)는 구동계로서의 모터 104, 103, 105를 각각 구동할 수 있다.
즉, 제1 구동계로서의 모터 104, 제2 구동계로서의 모터 103, 및 제3 구동계로서의 모터 105를 구동시켜서,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취득부로서의 측정 유닛(110)을 각각 변위시킬 수 있다.
메뉴얼 얼라인먼트 모드는, 러프 얼라인먼트 모드(rough alignment mode)로서 사용된다. 피검안에 대하여 취득부로서의 측정 유닛(110)을 어느 정도 얼라인한 후에는, 검자가 소정의 측정 개시 스위치를 눌러서, 이하에 서술하는 오토 얼라인먼트 모드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한다.
(조이스틱과 관련없는 제3 모드/오토 얼라인먼트 모드)
오토 얼라인먼트 모드에서는, 제어부로서의 모터 구동회로(413)는, 각각 피검안에 대한 취득부의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의 얼라인된 상태가 일정하게 될 때까지 Y축 모터 104, X축 모터 103, 및 Z축 모터 105를 조이스틱과는 독립적으로 자동 제어한다. 이하, 얼라인먼트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해당 오토 얼라인먼트 모드에 있어서 LCD 모니터(116)에 표시되는 전안부 화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얼라인먼트 동작 시에는, 각막 Ec에 의해 형성된 각막 휘점 화상은,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223)의 개구부 223a, 223b, 223c 및 프리즘 301a, 30lb에 의해 분할된다. 그리고, 안외 조명 광원 221a, 221b에 의해 조명된 피검안 E와, 안외 조명 광원 221a, 221b의 휘점 화상 221a', 221b'과 함께, 지표 화상인 각막 휘점 Ta, Tb, Tc이 촬상소자 220에 의해 촬상된다.
도 4에 나타낸 얼라인먼트 프리즘 301a를 투과한 광속이 좌측 방향으로 굴절되는 한편, 얼라인먼트 프리즘 30lb을 투과한 광속이 우측 방향으로 굴절됨으로써, 3개의 휘점 Ta, Tb, Tc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각막 휘점 Ta, Tb, Tc을 검출하면, 오토 얼라인먼트 모드로서, 시스템 제어부(401)는 모터 구동회로(413)를 제어하여, 우선, 중심의 휘점 Tc을 중심방향에 일치시키도록 측정 유닛(110)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부(401)는, 각막 휘점 Ta, Tb이 각막 휘점 Tc에 대하여 수평방향(횡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얼라인되도록 측정 유닛(110)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리고, 3개의 각막 휘점 Ta, Tb, Tc이 수평방향으로 얼라인되는 상태에서 얼라인먼트를 완료한다.
또한,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223)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광로 위에 각 조리개가 종방향으로 얼라인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각 조리개가 횡방향으로 얼라인되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이 경우에, 광속은 대응하는 프리즘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굴절되고, 측정부의 전후 방향으로의 얼라인먼트가 완료했을 경우, 3개의 휘점은 상하 방향으로 얼라인된다.
(오토 얼라인먼트 모드에 있어서의 측정)
눈 굴절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시스템 제어부(401)는 오토 얼라인먼트를 위해 광로 01에 삽입되어 있었던 확산판(222)을 광로 01로부터 대피시킨다. 측정용 광원(201)의 광량을 조정하고, 피검안 E의 안저 Er에 측정 광속을 투영한다. 그러면, 안저로부터의 반사광은 광로 02를 따라 지나서, 촬상소자 210에 의해 수광된다. 촬상된 안저 화상은 피검안의 굴절력에 의해, 링 조리개 207에 의해, 링 모양으로 투영된다. 이 링 화상은 메모리(408)에 기억되어 있다. 메모리(408)에 기억된 링 화상의 중심 좌표를 산출하고, 주지의 방법에 의해 타원의 방정식을 결정한다. 결정된 타원의 긴 직경, 짧은 직경 및 장축의 경도 각도를 산출하여, 피검안 E의 눈 굴절력을 산출한다.
결정된 눈 굴절력 값에 근거해, 그 굴절력 값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모터 구동회로(413)에 의해 고시표 유도 모터 224를 구동하고, 렌즈 215를 이동시켜서 피검안 E의 굴절도에 대응하는 굴절도로 고시표 216을 피검안 E에 제시한다. 그 후에, 렌즈 215를 소정량 먼 쪽으로 이동시켜, 고시표 216을 운무시키고, 다시 측정 광원을 점등해서 굴절력을 측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굴절력의 측정→고시표 216에 의한 운무→굴절력의 측정을 반복하여, 굴절력이 안정하게 되는 최종의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조이스틱에 관한 제2 모드/오토 트래킹 모드)
보통 오토 얼라인먼트 모드에서의 측정에 의해 눈 굴절력의 측정이 완료된다. 그렇지만, 수정 렌즈에 혼탁을 가진 피검안의 경우에는, 측정용 광원(201)으로부터의 투영 광속이 혼탁에 의해 안저 Er에 도달하지 않으므로, 촬상소자 210에 의해 반사광의 화상이 취득될 수 없기 때문에 측정을 행할 수 없다. 또한,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탁을 가진 피검안 601에서는, 투영 광속은 안저 Er에 도달했다고 해도, 반사광이 혼탁에 의해 차단된다. 그 결과, 도 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굴절력을 산출하기 위한 링 화상 602의 일부가 드롭 아웃(drop out)하거나 희미해지거나(blurred) 해서, 신뢰도가 낮은 측정 결과만 취득할 수 없다. 또한, 도 7a는, 도 6과 같은 형식으로 LCD 모니터(116)에 표시되는 전안부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7b는 LCD 모니터(116) 위에 표시되는 링 형상 602의 일례를 나타낸다.
따라서, 오토 얼라인먼트 모드에서의 측정에서, 눈 굴절력을 산출하기 위한 링 화상이 취득될 수 없는 경우나, 링 화상의 일부가 드롭 아웃하거나 희미해지거나 해서 정확한 측정 결과가 취득될 수 없는 경우, 측정 모드를 이하에 서술하는 오토 트래킹 모드로 자동으로 이행시킨다. 또한, 안진(nystagmus)이나 각막 이상 등으로 피검안에 대한 얼라인먼트가 소정범위 내가 안 될 경우(오토 얼라인먼트가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도, 측정 모드를 이하에 서술하는 오토 트래킹 모드로 자동으로 이행시킨다.
오토 트래킹 모드에서는, 시스템 제어부(401) 및 모터 구동회로(413)는 피검안에 대한 취득부의 전후 방향으로의 얼라인된 상태를 자동으로 일정하게 계속해서 유지한다. 다시 말해, Z축 모터 105(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3 구동계)는 조이스틱과는 독립적으로 오토 트래킹 제어로서 제어된다.
도 8은, 메뉴얼 얼라인먼트 모드, 오토 얼라인먼트 모드, 및 오토 트래킹 모드를 이 순서대로 이행한 후에 측정 완료에 이르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스텝 S1에서는, 검자는 피검자에게 턱받침(112) 위에 턱을 싣게 해서, 피검안의 Y축 방향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를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구동기구(113)에 의해 조정한다. LCD 모니터(116)에 표시되어 있는 피검안 E의 각막 반사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까지 조이스틱(101)을 조작(메뉴얼 얼라인먼트 모드에서)하고, 측정 개시 스위치를 누른다.
측정 개시 스위치가 눌러지면, 스텝 S2의 오토 얼라인먼트를 개시한다. 메모리(408)에 기억된 피검안 E의 전안부 화상으로부터, 각막 반사 화상을 추출하고, 전술의 얼라인먼트 방법으로 얼라인먼트를 행한다. 스텝 S3에서는, 얼라인먼트를 완료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얼라인먼트가 완료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로 진행된다. 얼라인먼트가 미완료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로 되돌아간다.
얼라인먼트가 완료하면, 스텝 S4에서, 전후 방향으로만 전술의 얼라인먼트 방법으로 오토 트래킹을 개시한다. 그리고, LCD 모니터(116)의 코너 400(도 7a)에, 오토 트래킹 중인 것을 예를 들면 아이콘을 이용해서 표시한다.
(오토 트래킹 모드에 있어서의 구동 변경)
스텝 S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401) 및 모터 구동회로(413)는, 조이스틱(101)이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졌을 때 측정 유닛(11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부에 있어서의 모터의 구동신호의 입력 변경을 행한다. 또한, 조이스틱(101)의 회전으로 측정 유닛(11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이스틱(101)의 구동방향을 변경한다. 도 1은 구동방향을 변경하지 않는 제1 모드와, 구동변경의 변경을 행하는 제2 모드를 나타낸다. 구동방향의 변경은, 모터의 구동신호의 입력 변경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구동 변경 전에는, 시스템 제어부(401) 및 모터 구동회로(413)는, X,Z축 경도 각도 입력(402)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모터 구동회로(413)에 전달하여, X축 모터 103과 Z축 모터 105를 구동한다. 또한, Y축 엔코더 입력(403)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모터 구동회로(413)에 전달하여, Y축 모터(104)를 구동한다. 구동변경을 행하면, 시스템 제어부(401) 및 모터 구동회로(413)는, X,Z축 경도 각도 입력(402)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모터 구동회로(413)에 전달한다. 그리고, X축 모터 103과 Y축 모터 104를 구동하고, Y축 엔코더 입력(403)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모터 구동회로(413)에 전달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의 구동변경 중에, 상기 구동변경을 나타내는 표시 형태를, 예를 들면 LCD 모니터(116)의 코너 400(도 7a)에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저는, 현재 조이스틱 구동의 변경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으므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 S6에서는, 검자가 조이스틱(101)을 기울여서,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측정 위치를 이동시키고, 조이스틱(101) 상부의 측정 스위치를 눌러서 측정을 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측정 개시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7으로 진행된다. 스텝 S7에서는, 전술의 눈 굴절력 측정 방법으로 측정을 행하고, 링 화상과 측정값을 메모리(408)에 저장한다. 스텝 S8에서는, 측정 에러가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측정 에러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6로 되돌아가서 다시 측정을 행한다. 측정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오토 트래킹을 중지하고, 조이스틱(101)의 구동방향을 본래 자리로 되돌리고, 측정을 종료한다.
상기 측정 플로우에서는, 측정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 측정을 종료했지만, 소정회수의 측정값을 취득한 경우나,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오토 트래킹 해제 스위치를 누른 경우에는 측정을 종료한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오토 트래킹의 개시과 오토 트래킹의 중지시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버저(buzzer) 소리로 검자에게 통지해도 된다.
또한, 피검안에 대하여 취득부가 소정범위를 넘어서 이동했을 경우 혹은 소정의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오토 트래킹 모드를 중단시켜도 된다. 전자의 경우의 예로서는, 오토 트래킹에 사용하는 3개의 각막 휘점 Ta, Tb, Tc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 혹은 측정 포인트가 동공의 외측으로 이동했을 경우 등이 있다. 후자의 경우의 예로서는, 조이스틱이 회전하는 경우 등이 있다. 또, 상기 플로우에서는, 스텝 S5에서 조이스틱의 장치 구동방향을 변경하고 있지만, 설정에 의해 구동방향을 변경할 것인지 아닌지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방향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수정 렌즈에 혼탁을 가진 피검안의 경우에도, 측정가능한 측정 위치를 검자가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구동방향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제1 모드로부터 구동방향의 변경을 수반하는 제2 모드로의 전환을 행하는 입력 유닛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제1 모드에 있어서 좌우 경도(傾倒) 동작으로 좌우 방향 구동을 행하는 한편, 전후 경도 동작으로 전후 방향 구동을 행한 후, 입력 유닛을 작용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모드가 아래와 같이 전후 경도 동작의 기능이 변경된 제2 모드가 된다. 다시 말해, 제2 모드는, 피검안의 동공의 투조 관찰이 행해지는 상태에서 실행되고, 좌우 경도 동작으로 좌우 방향 구동을 행한다. 한편, 전후 경도 동작으로 전후 방향이 아니라 상하 방향 구동을 행하도록 구동변경을 행한다.
도 9는, 도 8의 스텝 S4(Z방향에서만 오토 트래킹) 대신에, 스텝 S4(투조 관찰로 변경)을 제공한 본 실시예의 흐름도다. 도 9의 스텝 S1에서는, 검자는 피검자에게 턱받침(112)에 턱을 싣게 해서, 메뉴얼 얼라인먼트 모드에서 피검안의 Y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구동기구(113)에 의해 조정한다.
또한, LCD 모니터(116)에 표시되어 있는 피검안 E의 각막 휘점(지표 반사 화상)이 표시되는 위치까지 조이스틱(101)을 조작하고, 측정 개시 스위치를 누른다. 측정 개시 스위치가 눌러지면, 스텝 S2의 오토 얼라인먼트를 개시하여, 오토 얼라인먼트 모드로 이행한다. 메모리(408)에 기억된 피검안 E의 전안부 화상으로부터, 각막 반사 화상을 추출하고, 전술의 얼라인먼트 방법으로 얼라인먼트를 행한다.
스텝 S3에서는, 얼라인먼트를 완료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얼라인먼트가 완료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4로 진행된다. 얼라인먼트가 미완료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3으로 되돌아간다. 얼라인먼트가 완료하면, 스텝 S4에서, 투조 관찰을 행하기 위해서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223)를 광로로부터 대피시켜서, 투조 관찰을 행할 수 있다.
스텝 S5에서는, 제1 실시예의 도 8에 나타낸 스텝 S5과 마찬가지로, 시스템 제어부(401) 및 모터 구동회로(413)는, 조이스틱(101)을 전후 방향으로 기울여서 측정 유닛(11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변경을 행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401) 및 모터 구동회로(413)는 조이스틱(101)의 회전시에 측정 유닛(11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동변경을 행한다.
스텝 S6에서는, 검자가 조이스틱(101)을 조작하여,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측정 위치를 이동시키고, 조이스틱(101) 상부의 측정 개시 스위치를 눌러서 측정을 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측정을 개시할 것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7로 진행된다. 스텝 S7에서는, 전술의 눈 굴절력 측정 방법으로 측정을 행하고, 링 형상, 측정값 및 투조 관찰 화상을 메모리(408)에 저장한다. 그리고, 측정을 종료한다. 측정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시 측정 개시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재측정이 가능하다.
재차, 오토 얼라인먼트를 행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오토 얼라인먼트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얼라인먼트 프리즘 조리개(223)를 광로에 삽입하여 오토 얼라인먼트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 예1)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눈 굴절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었지만, 안저 카메라, 안압계, 각막 형상 측정계, 안저 혈류계, 근적외 레이저의 광간섭에 의한 안저 단층상의 촬상장치(OCT) 등 다른 안과장치에도 본 발명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저 단층상을 표시부의 소정의 프레임 내에 표시시켰을 경우, 프레임에 대하여 안저 단층상이 기울어져 있을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피검안에 대하여 장치의 광축의 위치를 이동시키면, 안저 단층상을 프레임 내의 종방향에 대하여 대략 선대칭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시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의 구동변경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저 단층상에 있어서의 각 층의 분할의 결과 등을 이용해서, 안저 단층상의 경도(傾倒)를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경도를 검출했을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이스틱의 구동변경을 자동으로 행해도 된다.
(변형 예2)
측정 모드가 구동 방향이 변경되는 제2 모드인 것을 검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유닛으로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모니터의 코너에의 아이콘 표시에 한정하지 않고, 어떠한 형태의 통지 유닛이든 이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시각적 혹은 청각적으로 검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유닛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변형 예3)
또한, 제2 모드로서 오토 트래킹 제어가 행해지는 상태에서, 전후 경도 동작으로 상하 방향의 변위를 행하도록 제1 구동계를 구동시키는 구동변경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선택하는 선택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은, 피검안의 고유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취득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이스틱의 동작을 회전 동작으로부터 전후 경도 동작으로 변경하는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안과 제어방법을 더 제공한다. 여기에서, 조이스틱은, 취득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동작과, 피검안에 대하여 취득 유닛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 경도 동작과, 피검안에 대하여 취득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 경도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안과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이하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다시 말해,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억매체를 통해서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 등)가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피검안의 고유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과,
    상기 취득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동작과, 상기 피검안에 대하여 상기 취득 유닛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 경도(傾倒) 동작과, 상기 피검안에 대하여 상기 취득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 경도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조이스틱과,
    상기 취득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을 상기 회전 동작에서 상기 전후 경도 동작으로 변경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안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취득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을 상기 회전 동작에서 상기 전후 경도 동작으로 변경한 후에, 상기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취득 유닛이 이동되지 못하게 하는, 안과장치.
  3. 피검안의 고유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회전에 의한 제1 동작으로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를 위한 입력, 좌우 경도에 의한 제2 동작으로 좌우 방향으로의 변위를 위한 입력, 및 전후 경도에 의한 제3 동작으로 전후 방향으로의 변위를 위한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조이스틱과,
    상기 취득부를 상기 피검안에 대하여 변위시키기 위해서, 상기 조이스틱의 상기 제1 동작, 상기 제2 동작, 및 상기 제3 동작에 따라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상기 취득부를 구동할 수 있는 제1 구동계, 제2 구동계, 및 제3 구동계와,
    상기 제1 구동계, 상기 제2 구동계, 및 상기 제3 구동계를 구동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갖고,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이스틱의 상기 제1 동작, 상기 제2 동작, 및 상기 제3 동작으로 각각 상기 제1 구동계, 상기 제2 구동계, 및 상기 제3 구동계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구동변경으로서, 상기 제1 동작에 의한 상기 제1 구동계의 구동을 저지하고, 상기 제2 동작으로 상기 제2 구동계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 동작으로 상기 제1 구동계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안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이스틱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3 구동계를 자동으로 제어하고, 전후 방향으로 오토 트래킹 제어를 행하는, 안과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의 전환을 행하는 입력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동작으로 상기 조이스틱에 의한 전후 방향으로 구동시킨 후에, 상기 입력 유닛을 통해서 상기 조이스틱에 의한 상기 제3 동작으로 상하 방향으로 구동변경을 행하는, 안과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가, 상기 피검안의 동공의 투조 관찰(transillumination observation)이 행해지는 상태에서 실행되는, 안과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토 얼라인먼트 모드로서의 제3 모드를 갖고, 상기 제3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검안에 대한 상기 취득부의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의 얼라인된 상태가 일정하게 될 때까지 상기 제1 구동계, 상기 제2 구동계, 및 상기 제3 구동계를 각각 상기 조이스틱과는 독립적으로 자동으로 제어하는, 안과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취득부에 의해 상기 피검안의 고유 정보가 정확하게 취득될 수 없는 경우 또는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조이스틱이 조작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자동으로 변하는, 안과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인 것을 검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유닛을 포함하는, 안과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유닛은 검자에게 시각적으로 혹은 청각적으로 통지하는, 안과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검안에 대하여 상기 취득부가 전후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범위를 넘어서 변위되었을 경우 혹은 미리 정해진 조작 이외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상기 제2 모드를 중단시키는, 안과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로서 상기 오토 트래킹 제어가 행해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3 동작으로 상기 제1 구동계를 구동시키도록 구동변경을 행할 것인지 또는 상기 제3 동작으로 상기 제3 구동계를 구동시키도록 구동변경을 행하지 않을 것인지를 선택하는 선택 유닛을 더 구비하는, 안과장치.
  13. 피검안의 고유 정보를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동작과, 상기 피검안에 대하여 상기 취득 유닛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좌우 경도 동작과, 상기 피검안에 대하여 상기 취득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 경도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조이스틱에 대하여 상기 취득 유닛을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을, 상기 회전 동작에서 상기 전후 경도 동작으로 변경하는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안과 제어방법.
  14. 청구항 13에 기재된 안과 제어방법의 취득 스텝과 제어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안과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20145101A 2011-12-21 2012-12-13 안과장치 및 안과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1548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79584A JP5954982B2 (ja) 2011-12-21 2011-12-21 眼科装置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JP-P-2011-279584 2011-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135A true KR20130072135A (ko) 2013-07-01
KR101548225B1 KR101548225B1 (ko) 2015-08-28

Family

ID=4865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101A KR101548225B1 (ko) 2011-12-21 2012-12-13 안과장치 및 안과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85773B2 (ko)
JP (1) JP5954982B2 (ko)
KR (1) KR101548225B1 (ko)
CN (1) CN1032115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1064B2 (en) 2014-02-11 2015-12-15 Welch Allyn, Inc. Fundus imaging system
US9237847B2 (en) 2014-02-11 2016-01-19 Welch Allyn, Inc. Ophthalmoscope device
KR20150101915A (ko) * 2014-02-27 2015-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gui 화면의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CN104161495B (zh) * 2014-08-25 2016-08-31 苏州四海通仪器有限公司 视力检查预测装置
US10799115B2 (en) 2015-02-27 2020-10-13 Welch Allyn, Inc. Through focus retinal image capturing
US11045088B2 (en) 2015-02-27 2021-06-29 Welch Allyn, Inc. Through focus retinal image capturing
US10136804B2 (en) 2015-07-24 2018-11-27 Welch Allyn, Inc. Automatic fundus image capture system
US10772495B2 (en) 2015-11-02 2020-09-15 Welch Allyn, Inc. Retinal image capturing
WO2017120217A1 (en) 2016-01-07 2017-07-13 Welch Allyn, Inc. Infrared fundus imaging system
JP7080075B2 (ja) * 2018-03-16 2022-06-03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096574B2 (en) 2018-05-24 2021-08-24 Welch Allyn, Inc. Retinal image capturing
US10993613B2 (en) * 2018-12-21 2021-05-04 Welch Allyn, Inc. Fundus image capturing
CN112001367B (zh) * 2020-09-29 2021-04-16 江苏鼎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人脸识别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3453B2 (ja) * 1997-06-30 2004-04-26 株式会社ニデック 検眼装置
JP4267133B2 (ja) * 1999-07-15 2009-05-27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屈折力測定装置
JP4428987B2 (ja) * 2003-11-17 2010-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JP2006325936A (ja) 2005-05-26 2006-12-07 Topcon Corp 眼科装置
JP4899368B2 (ja) * 2005-07-29 2012-03-21 ソニー株式会社 金属的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破壊方法、半導体的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集合体の製造方法、半導体的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薄膜の製造方法、半導体的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破壊方法、金属的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集合体の製造方法、金属的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薄膜の製造方法、電子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fetの製造方法
JP4824400B2 (ja) 2005-12-28 2011-11-30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装置
JP4959249B2 (ja) * 2006-08-01 2012-06-20 株式会社レクザム 眼科装置
US7878653B2 (en) 2007-11-08 2011-02-01 Nidek Co., Ltd. Fundus camera
CN101770282B (zh) 2008-12-29 2011-09-28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可变形游戏控制器
JP5627248B2 (ja) 2010-02-17 2014-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そのプログラム
US9089295B2 (en) 2011-02-25 2015-07-28 Canon Kabushiki Kaisha Ophthalm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54982B2 (ja) 2016-07-20
US8985773B2 (en) 2015-03-24
US20130162950A1 (en) 2013-06-27
CN103211571B (zh) 2015-06-17
JP2013128647A (ja) 2013-07-04
KR101548225B1 (ko) 2015-08-28
CN103211571A (zh)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225B1 (ko) 안과장치 및 안과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JP5955193B2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703920B2 (en) Ophthalmic apparatus
KR101637944B1 (ko) 안과장치 및 얼라인먼트 방법
JP6143447B2 (ja) 眼科装置及び眼測定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089715A (ja) 眼屈折力測定装置
JP5342211B2 (ja) 眼屈折力測定装置
KR101647287B1 (ko) 안과장치 및 안과방법
JP2014209993A (ja) 眼科装置、眼科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130162945A1 (en)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ophthalmologic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736356B2 (ja) 眼科装置
JP2002238852A (ja) 検眼装置
JP7266375B2 (ja) 眼科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JP6057061B2 (ja) 眼屈折力測定装置
JP2008073415A (ja) 眼科装置
JP3504380B2 (ja) 眼科装置
JP6098094B2 (ja) 眼科装置
JP2005006869A (ja) 眼科装置及び模擬眼
JP2020044281A (ja) 眼科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CN117752294A (zh) 眼科装置
JP2019208856A (ja) 眼科測定装置
JP2003126037A (ja) 眼科測定装置
JP2001309888A (ja) 眼屈折測定装置
JPH09131314A (ja) 眼科装置
JP2015139526A (ja) 眼科装置及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