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943A - 구형화 천연 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구형화 천연 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943A
KR20130064943A KR1020110131575A KR20110131575A KR20130064943A KR 20130064943 A KR20130064943 A KR 20130064943A KR 1020110131575 A KR1020110131575 A KR 1020110131575A KR 20110131575 A KR20110131575 A KR 20110131575A KR 20130064943 A KR20130064943 A KR 20130064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natural graphite
particles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555B1 (ko
Inventor
안병훈
구창완
배준성
정재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1013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555B1/ko
Priority to JP2014533225A priority patent/JP6356066B2/ja
Priority to PCT/KR2012/010404 priority patent/WO2013085241A1/ko
Priority to CN201280048303.XA priority patent/CN103843179B/zh
Priority to PL12856017T priority patent/PL2752926T3/pl
Priority to EP12856017.4A priority patent/EP2752926B1/en
Publication of KR2013006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555B1/ko
Priority to US14/230,078 priority patent/US985328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4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peak-intensities or a ratio thereof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 흑연들이 응집된 구형의 입자로 이루어져 있고, 입자의 외면에 탄소계 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으며, 입자 표면은 Raman 스펙트럼의 R값 [R=I1350/I1580] (I1350은 1350 cm-1 부근의 Raman 강도, I1580은 1580 cm-1 부근의 Raman 강도)이 0.30 내지 1.0인 범위에서 비정질화도가 0.3 이상인 천연 흑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구형화 천연 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pherical Graphite as Anode Active Material}
본 발명은 구형화 천연 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상 흑연들이 응집된 구형의 입자로 이루어져 있고, 입자의 외면에 탄소계 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으며, 입자 표면은 Raman 스펙트럼의 R값이 0.30 내지 1.0인 범위에서 비정질화도가 0.3 이상인 천연 흑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노트북, 휴대폰, PDA 등 휴대용 전기/전자 장치가 실생활에 넓게 보급됨으로써, 별도의 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휴대용 전기/전자 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때, 이차전지 중에서도 1990년대 초에 개발된 리튬 이차전지는 Ni-MH, Ni-Cd, 황산-납 전지 등의 과거 전지에 비해서 작동 전압이 높고 에너지 밀도가 크다는 장점이 있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더욱 경량화되고 콤팩트한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리튬 이차전지의 고용량화가 개발의 추세이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에는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등의 리튬 함유 복합산화물이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음극에는 여러 가지의 탄소재료가 음극 활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음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탄소재료는 결정질계 흑연과 비정질계 탄소 원료로 구분되며, 결정질계 흑연 재료로는 통상 인조 흑연과 천연 흑연, 그리고 키쉬(kish) 흑연 등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비정질계 탄소 원료로는 석탄계 피치 또는 석유계 피치를 고온에서 소성하여 얻은 소프트 카본(soft carbon), 페놀 수지 등의 고분자 수지를 소성하여 얻은 하드 카본(hard carbon)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결정질계 흑연 재료와 비정질계 탄소 원료는 전압 평탄성과 충방전 효율 및 전해액과의 반응성면에서 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용량 및 고효율의 전지 제조를 위해 두 물질을 피복 등의 방법에 의해 함께 사용하여 전지의 성능을 개선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결정질의 흑연을 표면 코팅 처리하여 주로 사용하고 있고, 천연 음극재 코팅은 수계 음극 코팅방식이 주로 행해지고 있다. 과거에는 비수계 음극 코팅 방식으로 용매로서 NMP(N-메틸-2-프롤리돈)와 바인더로서 PVdF를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수계 음극 코팅 방식에 기반하여 용매로 물을 사용하고 바인더로서 SBR(Styrene Butadiene Rubber)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즉, 비표면적이 큰 천연흑연 음극 활물질을 기존 PVdF의 사용량에 비하여 소량의 SBR을 바인더로 사용하여 음극을 코팅함으로써 전체 음극에서 차지하는 음극 활물질의 절대량을 증가시켜 전지의 고용화를 가능케 하였다.
그러나, 비표면적이 큰 천연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게 될 경우 혼합과정에서 필터 막힘을 유발하거나 슬러리 분산성을 저하시키는 등 전극 공정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천연흑연에 비정질 카본을 코팅한 후 소성하여 얻어진 흑연과 판상형 흑연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의 사용도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천연흑연을 피치로 코팅하거나 소성하는 등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전반적으로 비용적인 측면과 전지의 제조 공정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며, 피치로 코팅하지 않으면서도 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키고 비용 측면과 전지의 제조 공정성 측면에서 모두 향상된 음극재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다양한 실험과 심도있는 연구를 거듭한 끝에, 외면에 탄소계 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는 특정한 구형의 입자로 이루어져 있고 입자 표면이 소정의 비정질화도를 가지는 천연 흑연을 개발하였고, 이를 음극 활물질로서 사용하여 수계 바인더 등과의 조합에 의해 음극을 제조할 경우, 슬러리 공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우수한 수명 특성을 발휘하고, 비용 측면에서도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을 기반으로 완성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은, 판상 흑연들이 응집된 구형의 입자로 이루어져 있고, 입자의 외면에 탄소계 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으며, 입자 표면은 Raman 스펙트럼의 R값 [R=I1350/I1580] (I1350은 1350 cm-1 부근의 Raman 강도, I1580은 1580 cm-1 부근의 Raman 강도)이 0.30 내지 1.0인 범위에서 비정질화도가 0.3 이상인 천연 흑연 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활물질에 포함되어 있는 천연 흑연 입자는, 표면에 탄소계 물질이 별도로 도포되지 않은 구형의 입자로서 표면이 높은 비정질화도를 가짐으로써, 종래와 같이, 표면을 코팅하여야 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에서 우수한 분산성을 발휘함으로써 SBR 등과 같은 수계 바인더와의 조합이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수명 특성 등을 이차전지의 전반적인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천연 흑연 입자는 판상 흑연들이 응집된 구형의 입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입자는, 예를 들어, 판상형 흑연을 블랜딩(예를 들어, dry impact blending)이나 밀링(milling)에 의해 구형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HF, HCl, HNO3 등과 같은 산으로 고순도 처리한 후 물로 세척하는 후처리 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형화한 입자의 표면에 탄소계 물질의 코팅과 같은 별도의 코팅을 행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 흑연 입자는 Raman 스펙트럼의 R값 [R=I1350/I1580]이 0.30 내지 1.0인 범위에서 비정질화도가 0.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이 실험한 바로는, Raman 스펙트럼의 R값과 비정질화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입자 표면이 상기 R값 범위를 만족하면서 높은 비정질화도를 가진 입자는 앞서 설명한 판상형 흑연들을 응집하여 구형화하는 과정이나 그것의 후처리 과정을 적절히 조절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R값이 0.30 내지 0.50일 수 있고, 비정질화도가 0.3 내지 0.5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구형화 과정에서, 입자 표면의 적어도 일부 탄소 원소들에 친수성 치환기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구형 입자를 구성하는 판상 흑연들 중에서 구형 입자의 표면을 형성하는 일부 판상 흑연들의 단부들은 비연속적인 탄소 결합에 의해 흑연 특유의 6각형 결합 구조를 가지지 못하므로, 이러한 단부들의 탄소 원소들은 전반적으로 높은 비정질화도를 제공한다. 또한, 단부의 탄소 원소는 안정화를 위해 비탄소계의 치환기들이 결합될 수 있으며, 특히 친수성 치환기가 결합되어 높은 비정질화도와 함께 구형 입자의 친수성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치환기의 예로는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술폰산기, 설페이트기, 아민기 등을 들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천연 흑연 입자의 평균 입경은 21 ㎛ 내지 25 ㎛일 수 있다.
평균 입경이 21 ㎛ 미만일 경우에는 구형 흑연의 비표면적이 커져서 전극 공정성이 떨어질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전극 제조 과정에서 음극 활물질의 응집에 의한 필터 막힘이나 슬러리 점도 상승에 의한 상 안정성 저하될 수 있으며, 입자와 집전체간의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에, 25 ㎛를 초과한 경우에는 충분한 도전 네트워크를 확보할 수 없어서 전지의 충방전 용량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흑연 입자의 비표면적은 4.5 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한 바, 4.5 미만인 경우에는 방전용량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5.5 초과인 경우에는 앞서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전극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활물질에는 상기와 같은 특정한 천연 흑연 입자 이외에 공지되어 있는 기타 음극 활물질의 입자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음극 활물질의 예로는 천연 흑연, 소프트 카본, 하드 카본, 리튬 금속, 황 화합물, 규소 화합물, 주석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흑연 입자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음극 활물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내지 99 중량%로 함유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과 수계 증점제 및 수계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합제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음극 합제는 음극 활물질 등을 용매에 첨가하여 슬러리의 형태로 제조된 후 집전체에 도포되어 전극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활물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천연 흑연 입자의 우수한 수분산성으로 인해, 슬러리의 제조시 수계 용매를 사용하여 수계 증점제와 수계 바인더를 혼합한 음극 합제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수계 용매로는 물 뿐만 아니라, 에탄올 등의 알코올, N-메틸 피롤리돈(N-methyl pyrrolidone) 등의 환상 아미드류 등의 첨가제를 물에 대해 40 중량% 이하 정도로 첨가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계 증점제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음극 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그것의 바람직한 예로는 CMC(Carboxyl Methyl Cellulose)를 들 수 있지만 그것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계 바인더는 이차전지의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전극 합제 슬러리 내부에서 전극 활물질 등의 구성 요소들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성분이다.
상기 수계 바인더의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SBR(Styrene Butadiene Rubber), 아크릴 고무,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즈, 폴리불화비닐리덴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SBR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수계 바인더는 음극 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음극 합제에 도전재, 충진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제는 이차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음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차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극 합제를 음극 집전체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는 음극을 제공한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음극과 분리막 및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리튬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음극과 양극이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적층되어 있는 전극조립체와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도전제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혼합물에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 + yMn2 - yO4 (여기서, y 는 0 ~ 0.33 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yMy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y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yMy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y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든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분리막의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0.01 ~ 10 ㎛이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5 ~ 300 ㎛이다.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예를 들어, 내화학성 및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전해질로서 폴리머 등의 고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겸할 수도 있다.
상기 리튬염 함유 비수계 전해액은 전해액과 리튬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해액으로는 비수계 유기용매, 유기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된다.
상기 유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폴리머, 폴리 에지테이션 리신(agitation lysine), 폴리에스테르 술파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 불화 비닐리덴, 이온성 해리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Li3N, LiI, Li5NI2, Li3N-LiI-LiOH, LiSiO4, LiSiO4-LiI-LiOH, Li2SiS3, Li4SiO4, Li4SiO4-LiI-LiOH, Li3PO4-Li2S-SiS2 등의 Li의 질화물, 할로겐화물, 황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상기 비수계 전해질에 용해되기 좋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 보란 리튬, 저급 지방족 카르본산 리튬, 4 페닐 붕산 리튬, 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해액에는 충방전 특성, 난연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 인산 트리 아미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 에탄올, 삼염화 알루미늄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 삼불화에틸렌 등의 할로겐 함유 용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고, 고온 보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산화탄산 가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음극 활물질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한 천연 흑연 입자로 인해 우수한 전지 특성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이차전지를 다수 개 포함하는 고출력 대용량의 전지모듈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지모듈은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력저장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음극 활물질은 특정한 외형과 표면 특성을 가진 천연 흑연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서, 전극 제조시 슬러리의 공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우수한 전지 수명 특성을 발휘하고, 전지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슬러리 점도 측정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서 코인 하프셀 수명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판상 흑연을 밀링 방식으로 응집하여, 입경이 21 ㎛이고 입자 표면의 비정질화도가 0.30인 구형화 천연 흑연 입자를 제조한 후, 상기 천연 흑연 입자와 CMC 및 SBR을 중량비 98: 1: 1 (구형화 천연 흑연 입자: CMC: SBR)로 물에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고, 이러한 슬러리를 Cu 호일에 도포한 후 건조 및 압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입경이 23 ㎛이고 입자 표면의 비정질화도가 0.40인 구형화 천연 흑연 입자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입경이 21 ㎛이고 입자 표면의 비정질화도가 0.45인 구형화 천연 흑연 입자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입경이 22 ㎛이고 입자 표면의 비정질화도가 0.23인 구형화 천연 흑연 입자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사용된 상기 천연 흑연 입자들의 비표면적 및 탭 밀도는 하기 표 1에서 같다.
[표 1]
Figure pat00001

[실험예 1] 점도 측정 결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비교예 1에서의 슬러리 점도 및 안정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슬러리 점도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3의 슬러리 점도가 낮으며, 실시예 3의 경우 shear rate가 증가함에 따른 점도 증가 구간이 없는 것으로 보아 슬러리 내에서 음극재 입자의 뭉침 현상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입자 표면의 비정질화도가 클수록 수계 바인더를 사용한 슬러리 내에서 음극 표면과 수계 바인더와의 혼합이 원활하여 점도 및 슬러리 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코인 하프셀 수명특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비교예 1의 음극과, 음극 활물질로서 LiCoO2, 바인더로서 PVdF, 및 도전재로서 천연 흑연을 포함하는 양극과 조합하여 코인 하프셀을 제조하고, 이들을 3.0 내지 4.2V 전압 영역에서 충방전을 진행하면서 수명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비교예 1의 전지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3의 전지의 수명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극 활물질의 밀도가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3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는 바, 음극 활물질의 밀도가 높을수록 전극 내부로의 전해액 함침이 원활하여 전극 내에서 리튬 이온의 이동이 활발하고, 표면 비정질화도가 큰 음극 활물질이 표면에서의 리튬이온 이동이 빠르게 일어나 활물질 표면에서 이온 이동에 대한 저항이 작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4)

  1. 판상 흑연들이 응집된 구형의 입자로 이루어져 있고, 입자의 외면에 탄소계 물질이 도포되어 있지 않으며, 입자 표면은 Raman 스펙트럼의 R값 [R=I1350/I1580] (I1350은 1350 cm-1 부근의 Raman 강도, I1580은 1580 cm-1 부근의 Raman 강도)이 0.30 내지 1.0인 범위에서 비정질화도가 0.3 이상인 천연 흑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값은 0.30 내지 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화도는 0.3 내지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흑연 입자는 입자 표면의 적어도 일부 탄소 원소들에 친수성 치환기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흑연 입자의 평균 입경은 21 ㎛ 내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흑연 입자의 비표면적은 4.5 내지 5.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7. 제 1 항에서, 상기 천연 흑연 입자는 음극 활물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0 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8. 제 1 항에 따른 음극 활물질, 수계 증점제 및 수계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합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증점제는 CMC(Carboxyl Methyl Cellulose)이고 상기 수계 바인더는 SBR(Styrene-Butadiene Rub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합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MC는 음극 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합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SBR는 음극 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합제.
  12. 제 11 항에 따른 음극 합제를 음극 집전체에 도포 및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13. 제 12 항에 따른 상기 음극, 분리막 및 양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14. 제 13 항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KR1020110131575A 2011-12-09 2011-12-09 구형화 천연 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325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575A KR101325555B1 (ko) 2011-12-09 2011-12-09 구형화 천연 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2014533225A JP6356066B2 (ja) 2011-12-09 2012-12-04 球状化天然黒鉛を負極活物質として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PCT/KR2012/010404 WO2013085241A1 (ko) 2011-12-09 2012-12-04 구형화 천연 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201280048303.XA CN103843179B (zh) 2011-12-09 2012-12-04 包含球形天然石墨作为负极活性材料的锂二次电池
PL12856017T PL2752926T3 (pl) 2011-12-09 2012-12-04 Litowa bateria akumulatorowa zawierająca sferyczny grafit naturalny jako materiał aktywny anody
EP12856017.4A EP2752926B1 (en) 2011-12-09 2012-12-04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pherical natural graphite as anode active material
US14/230,078 US9853289B2 (en) 2011-12-09 2014-03-31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pherical graphite as anode active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575A KR101325555B1 (ko) 2011-12-09 2011-12-09 구형화 천연 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943A true KR20130064943A (ko) 2013-06-19
KR101325555B1 KR101325555B1 (ko) 2013-11-05

Family

ID=4857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575A KR101325555B1 (ko) 2011-12-09 2011-12-09 구형화 천연 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53289B2 (ko)
EP (1) EP2752926B1 (ko)
JP (1) JP6356066B2 (ko)
KR (1) KR101325555B1 (ko)
CN (1) CN103843179B (ko)
PL (1) PL2752926T3 (ko)
WO (1) WO201308524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523A (ko) * 2013-10-17 2016-06-28 닛뽄 케미콘 가부시끼가이샤 도전성 카본, 이 카본을 포함하는 전극 재료, 이 전극 재료를 사용한 전극 및 이 전극을 구비한 축전 디바이스
WO2017082546A1 (ko) * 2015-11-11 2017-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산성 향상 및 저항 감소를 위한 이차전지용 음극 슬러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KR20170065238A (ko) * 2015-12-03 201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탄소재,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전지, 및 상기 탄소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5463B (zh) * 2014-03-25 2021-07-16 昭和电工材料株式会社 锂离子二次电池用负极材料及其制造方法、其浆料、锂离子二次电池及用于其的负极
KR102237824B1 (ko) 2014-07-11 2021-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공기전지, 및 공기극 제조방법
KR101685832B1 (ko) 2014-07-29 2016-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흑연 2차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7179463B2 (ja) * 2015-11-27 2022-11-2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接着層用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接着層、及び非水系二次電池
US10710094B2 (en) 2016-05-18 2020-07-14 Syrah Resources Ltd. Method and system for precision spheroidisation of graphite
US10710882B2 (en) 2016-06-27 2020-07-14 Syrah Resources Ltd. Purification process modeled for shape modified natural graphite particles
KR101966144B1 (ko) * 2016-09-29 2019-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천연 흑연 및 인조 흑연을 포함하는 다층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53063B1 (ko) * 2016-10-12 2019-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각 층의 바인더의 함량과 활물질 입경이 상이한 다층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74533B1 (ko) * 2017-05-15 2022-12-05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리튬 이차 전지
EP3641029B1 (en) * 2017-10-30 2022-10-19 LG Energy Solution, Lt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electrochemical device,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JP7201616B2 (ja) * 2017-12-22 2023-01-10 東海カーボ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材の製造方法
KR102278633B1 (ko) 2018-01-25 2021-07-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및 리튬이차전지
KR102475986B1 (ko) 2019-01-17 2022-12-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7189A (ko) *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447B1 (ko) * 2000-01-03 2002-02-28 김순택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리튬 이차 전지
JP4672955B2 (ja) * 2001-08-10 2011-04-20 Jfeケミカル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77970B1 (ko) * 2002-12-26 2005-03-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5044775A (ja) * 2003-01-22 2005-02-17 Hitachi Maxell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US20070092428A1 (en) 2003-10-31 2007-04-26 Showa Denko K.K. Carbon material for battery electrode and production method and use thereof
JP4529445B2 (ja) * 2004-01-13 2010-08-25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材料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401185B2 (ja) * 2004-02-06 2010-01-20 関西熱化学株式会社 二次電池用電極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8637187B2 (en) * 2004-06-30 2014-01-2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same,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JP4859373B2 (ja) * 2004-11-30 2012-0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958781B2 (ja) * 2005-07-04 2007-08-15 昭和電工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負極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US8003257B2 (en) 2005-07-04 2011-08-23 Showa Denko K.K. Method for producing an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node composi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N100459244C (zh) * 2005-08-03 2009-02-04 上海杉杉科技有限公司 一种炭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594543A (zh) * 2005-10-20 2021-11-02 三菱化学株式会社 锂二次电池以及其中使用的非水电解液
JP5671773B2 (ja) * 2005-12-02 2015-02-18 三菱化学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241124B2 (ja) * 2007-03-28 2013-07-17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960139B1 (ko) * 2007-11-20 2010-05-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131937B1 (ko) * 2008-10-10 2012-04-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0050595A1 (ja) * 2008-10-31 2010-05-06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材料
JP5394721B2 (ja) * 2008-12-19 2014-01-22 Jfeケミカル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そのための負極材料および負極
WO2010095716A1 (ja) * 2009-02-20 2010-08-26 三菱化学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炭素材料
JP2010267540A (ja) * 2009-05-15 2010-11-25 Panasonic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754098B2 (ja) * 2009-09-15 2015-07-22 三菱化学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炭素材料
CN102576874B (zh) * 2009-10-27 2015-07-15 日立化成株式会社 锂离子二次电池负极用碳粒子、锂离子二次电池用负极以及锂离子二次电池
KR101837785B1 (ko) * 2010-05-12 2018-03-12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비수계 전해액 2차 전지
JP2011253688A (ja) * 2010-06-01 2011-12-15 Toyota Motor Corp 負極活物質粒子、負電極板、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車両、電池搭載機器、及び、負極活物質粒子の製造方法
KR101181851B1 (ko) * 2010-08-09 2012-09-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523A (ko) * 2013-10-17 2016-06-28 닛뽄 케미콘 가부시끼가이샤 도전성 카본, 이 카본을 포함하는 전극 재료, 이 전극 재료를 사용한 전극 및 이 전극을 구비한 축전 디바이스
WO2017082546A1 (ko) * 2015-11-11 2017-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산성 향상 및 저항 감소를 위한 이차전지용 음극 슬러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US10644316B2 (en) 2015-11-11 2020-05-05 Lg Chem, Ltd. Anode slurry for secondary battery for improving dispersibility and reducing resistance, and anode comprising same
KR20170065238A (ko) * 2015-12-03 201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탄소재,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전지, 및 상기 탄소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28631A (ja) 2014-10-27
EP2752926A4 (en) 2015-05-06
CN103843179B (zh) 2017-12-05
CN103843179A (zh) 2014-06-04
KR101325555B1 (ko) 2013-11-05
EP2752926A1 (en) 2014-07-09
PL2752926T3 (pl) 2020-01-31
WO2013085241A1 (ko) 2013-06-13
US20140212750A1 (en) 2014-07-31
JP6356066B2 (ja) 2018-07-11
EP2752926B1 (en) 2019-10-02
US9853289B2 (en)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555B1 (ko) 구형화 천연 흑연을 음극 활물질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0801637B1 (ko) 양극 활물질 및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리튬 이차전지
KR102590416B1 (ko) 입경이 상이한 흑연 및 실리콘계 소재를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00038168A (ko) 실리콘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0062902B2 (en) Posi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2013537357A (ja) リチウムマンガン酸化物を含む正極活物質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WO2018097451A1 (ko)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리튬 코발트 인산화물을 포함하는 쉘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69314A (ko) 접착력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US11942632B2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article including core containing lithium cobalt oxide and shell containing composite metal ox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590425B1 (ko) 입경이 상이한 흑연 및 실리콘계 소재를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2017152337A (ja) 非水系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その製法及び非水系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70034724A (ko) 무지 부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10017253A (ko) 양극 활물질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140146946A (ko) 수계 바인더를 포함하는 양극을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KR20130004097A (ko) 향상된 레이트 특성의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KR20130136934A (ko)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EP4213229A1 (en) Anode for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id anode
KR20130050473A (ko) 이중 코팅 구조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KR20210013963A (ko) 집전체의 양면에 서로 다른 조성의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합제들이 형성되어 있는 음극을 포함하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0897180B1 (ko) 도전제로서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양극 합제 및그것으로 구성된 리튬 이차전지
KR101514202B1 (ko) 전기화학 소자용 음극 활물질
KR20170034773A (ko) 리튬 이차전지의 집전체용 금속 메쉬 박판,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20220159010A (ko) 양극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KR101527997B1 (ko) 고용량의 혼합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70093730A (ko)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