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243A -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243A
KR20130064243A KR1020110130768A KR20110130768A KR20130064243A KR 20130064243 A KR20130064243 A KR 20130064243A KR 1020110130768 A KR1020110130768 A KR 1020110130768A KR 20110130768 A KR20110130768 A KR 20110130768A KR 20130064243 A KR20130064243 A KR 20130064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ressure
audio
received
uni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325B1 (ko
Inventor
정문식
심상원
배동환
지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325B1/ko
Priority to US13/706,514 priority patent/US9184715B2/en
Priority to EP12195813.6A priority patent/EP2602978B1/en
Priority to JP2012269392A priority patent/JP6322361B2/ja
Priority to CN201210529950.4A priority patent/CN103219026B/zh
Publication of KR2013006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2Control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2Manually-operated control
    • H03G3/04Manually-operated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8Visual indication of individual signal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 환경에 따라 녹음되는 소리의 음압을 조절하여 오디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은 마이크로부터 오디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음압 값을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를 기반으로 오디오의 입력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녹음 및 재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는 녹음, 녹화, 오디오 재생 및 비디오 재생을 할 수 있도록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및 방송 수신 모듈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이러한 녹음 및 재생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는 주변 환경에 따라 녹음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단지, 재생되는 소리의 크기 즉, 음량(volume)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될 뿐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마이크는 녹음을 하는데 있어서 성능의 한계가 있다. 한 개의 마이크만을 사용하는 상황에서 다양한 소리(sound)가 녹음될 경우, 입력되는 소리의 강도 즉, 음압(sound pressure; 보통 단위는 데시벨(decibel; dB)임)을 제어하기가 쉽지 않고,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는 오디오의 손상이 초래된다. 즉 휴대 단말기에 허용되는 최대 음압 이상의 음압을 갖는 오디오가 녹음되고 이러한 오디오가 재생되면, 음압의 포화(saturation)로 인해 음의 왜곡 현상이 발생된다. 마치 귀에 거슬리는 찢어지는 소리가 출력된다. 또한 종래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는 재생되는 오디오의 음압 상태 즉, 오디오의 손상 여부 등을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단지, 사용자는 출력되는 소리를 듣고 음압 상태를 주관적으로 인지할 뿐이다.
본 발명은 주변 환경에 따라 녹음되는 소리의 음압을 조절하여 오디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의 음압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손상된 오디오를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한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은 마이크로부터 오디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음압 값을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를 기반으로 오디오의 입력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장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의 음압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음압 값을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 상태를 판별하며, 상기 판별 결과를 기반으로 오디오의 입력 이득을 조절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판별된 음압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를 저장하고 상기 판별된 음압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변 환경에 따라 녹음되는 소리의 음압을 조절하여 오디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오디오의 음압 상태를 안내하고 손상된 오디오를 편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음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량 바(volume bar)의 예시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음압 상태'는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포화(saturation) 상태는 오디오의 음압이 포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포화 상태는 오디오의 음압이 휴대 단말기에서 허용되는 최대 음압보다 높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최대 음압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 및 스피커의 성능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즉 최대 음압은 해당 휴대 단말기에서 음압의 포화로 인해 음의 왜곡 현상이 발생되는 임계점을 의미한다. 적정(reasonable) 상태는 오디오의 음압이 포화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로우 레벨(low level) 상태는 오디오의 음압이 포화되지는 않으나 그 크기가 너무 낮은 상태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로우 레벨 상태는 휴대 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최저 음압보다 낮은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최저 음압과 최대 음압 사이의 음압이 상기 적정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핸드헬드(hand-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는 녹음 시 오디오의 음압을 적정 상태로 조절하는 기능과, 재생 시 오디오의 음압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기능과, 오디오를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들에 대해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10), 키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무선통신부(150), 카메라(160), 마이크(170), 스피커(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표시부(130)의 전면에 장착되고,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90)는 터치스크린(100)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이벤트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제스처는 터치(Touch), 탭(Tap), 더블 탭(Double Tap), 프레스(Press),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및 스윕(Sweep)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즉, 드롭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조작이며, 프레스는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손가락을 떼는 조작이며, 스윕은 튀기듯이, 손가락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킨 다음 떼는 조작을 의미한다. 여기서, 드래그는 스크롤이라고도 하며 스윕은 플릭(Flick)이라고도 한다. 제어부(190)는 이동 속도로 스윕과 드래그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10)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및 압력 방식(pressure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키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키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10)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된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제어부(190)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형태의 이미지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이하 줄여 '앱(App)'이라 한다) 실행 화면, 메뉴 화면, 키패드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인터넷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부(130)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한 특정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9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다수의 앱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앱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앱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해당 앱 예컨대, 레코딩 앱을 실행한다. 그리고 표시부(130)는 선택된 앱의 실행을 위한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상기 화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화면을 서브 화면으로써 상기 메인 화면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30)는 앱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그 위에 키패드 화면을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크게 데이터 영역과 프로그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의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된 데이터 및 이러한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는 연락처, 문서,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속성 정보는 용량 정보(byte), 카테고리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데이터가 오디오인 경우 속성 정보는 음압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표시부(130)에 의해 표시되는 상술한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붙여 넣기 등을 위해 사용자가 메시지, 사진, 웹페이지, 문서 등에서 복사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예, 녹음 시 음압 자동 조절 여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의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부팅 및 상술한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프로그램 영역은 녹음, 녹화 및 재생 기능을 구비한 레코딩 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레코딩 앱은 녹음 시 오디오의 음압을 적정 상태로 조절하는 기능과, 재생 시 오디오의 음압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기능과, 오디오를 편집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50)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5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근거리 통신 모듈(예컨대, 와이파이(Wi-Fi) 모듈) 및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6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제어부(190)로 출력한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카메라와 휴면에 배치되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7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외부로부터 소리를 받아서 그 진동에 따른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스피커(18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제어부(190)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90)는 아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녹음부, 재생부 및 편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음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이러한 녹음부는 제어부(190)의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90)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 즉, 녹음부(200)는 인코더(210), 입력 음압 계산부(220), 음압 조절부(230) 및 표시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인코더(210)는 마이크(17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를 인코딩한다. 구체적으로 인코더(210)는 (211),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212, Analog Digital Converter; ADC), 대역폭 조절부(213) 및 디지털 증폭기(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 증폭기(211)는 마이크(17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ADC(212)는 증폭된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를 AD 변환하여 출력한다. 대역폭 조절부(213)는 ADC(21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의 대역폭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즉 대역폭 조절부(213)는 ADC(212)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에서 가청음에 해당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의 오디오를 제거(filtering)한다. 디지털 증폭기(214)는 대역폭 조절부(213)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를 증폭하고, 이를 저장부(140) 및 입력 음압 계산부(220)로 전달한다. 저장부(140)는 디지털 증폭기(21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를 미리 정해진 오디오 포맷으로 압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입력 음압 계산부(220)는 디지털 증폭기(214)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의 입력 음압을 계산한다. 음압 조절부(230)는 입력 음압 계산부(220)로부터 계산된 음압 값을 수신한다. 그리고 음압 조절부(230)는 수신된 음압 값을 기반으로 마이크(17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의 음압을 조절한다. 즉 음압 조절부(230)는 수신된 음압 값을 기반으로 아날로그 증폭기(211)와 디지털 증폭기(214)의 이득(gain)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음압 조절부(230)는 수신된 음압 값이 포화 상태에 해당되면, 증폭기들(211, 214)의 이득을 하향 조절한다. 또한 음압 조절부(230)는 수신된 음압 값이 로우 레벨 상태에 해당되면, 증폭기들(211, 214)의 이득을 상향 조절한다. 이러한 이득 조절은 음압 조절부(230)가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득 조절은 터치스크린(110)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수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음압 조절부(230)는 음압 자동 조절 여부와 관련한 설정값을 저장부(130)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설정값이 '자동 조절'이면 이득 조절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그렇지 않고 '수동 조절'이면 이득 조절을 사용자의 제어 하에 수동으로 수행한다. 또한 자동 이득 조절은 녹음 개시 전에 또는 개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코딩 앱이 실행되면 음압 조절부(230)는 자동 이득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레코딩 앱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녹음을 개시하기 위한 시작 버튼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110)은 이러한 터치이벤트를 음압 조절부(230)로 전달한다. 그러면, 음압 조절부(230)는 이를 감지하여 자동 이득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음압 조절부(230)는 수신된 음압 값의 음압 상태 정보를 표시 제어부(240)로 전달한다. 표시 제어부(240)는 수신된 음압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또한 음압 조절부(230)는 수신된 음압 값의 음압 상태 정보를 저장부(14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저장부(140)는 디지털 증폭기(214)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와 연계하여 음압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음부(200)는 마이크(17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를, 손상 없이, 적정 상태로 유지하며 녹음할 수 있다. 또한 녹음부(200)는 사용자에게 녹음되는 오디오의 음압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이러한 재생부는 제어부(190)의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90)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 즉, 재생부(300)는 디코더(310), 출력 음압 계산부(320) 및 표시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디코더(310)는 오디오를 디코딩하는 것으로서, 터치스크린(110) 등을 이용한 사용자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디코더(310)는 저장부(140)로부터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코더(310)는 무선 통신부(150)로부터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는 실시간 재생이 가능한 스트리밍(streaming)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디코더(310)는 수신된 오디오를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로 변환하는 DAC(Digital Analog Converter)와 DAC로부터 수신된 오디오를 증폭하여 스피커(180)로 출력하는 아날로그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음압 계산부(320)는 디코더(310)에서 스피커(180)로 출력되는 오디오를 AD 변환하고 이렇게 AD 변환된 오디오의 출력 음압을 계산한다. 그리고 출력 음압 계산부(320)는 계산된 음압 값을 표시 제어부(330)로 전달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330)는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의 음압 상태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40)를 제어한다. 이때 표시되는 음압 상태는 입력 음압 또는 출력 음압의 상태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제어부(330)는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와 관련된 입력 음압의 상태 정보를 저장부(140) 또는 무선 통신부(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330)는 수신된 입력 음압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재생 중인 오디오가 무선 통신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리밍 데이터이면, 표시 제어부(330)는 입력 음압의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부(150)로부터 못 받을 수 있다. 또한 재생 중인 오디오가 저장부(140)로부터 수신됨에도 관련된 입력 음압의 상태 정보가 저장부(140)에 없으면, 표시 제어부(330)는 입력 음압의 상태 정보를 저장부(140)로부터 못 받는다. 이러한 경우 표시 제어부(330)는 출력 음압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제어부(330)는 출력 음압을 계산하도록 출력 음압 계산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330)는 출력 음압 계산부(320)로부터 계산된 음압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압 값이 어떤 음압 상태에 해당되는지를 결정하며, 결정된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부(300)는 오디오를 재생하면서 음압 상태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이러한 편집부는 제어부(190)의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90)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부(40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에 효과음 삽입, 오디오를 부분적으로 제거 또는 수정 등과 같은 오디오를 편집하는 것으로써, 터치스크린(110) 등을 이용한 사용자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특히 편집부(400)는 오디오에서 포화 상태에 해당되는 영역을 제거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 및 GPS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휴대 단말기(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입력부는 상술한 터치스크린(110) 및 키입력부(120) 이외에, 터치패드, 트랙볼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들을 갖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오디오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대기 상태에서 레코딩 앱의 실행 요청과 관련된 터치제스처가 감지되면 단계 501에서 제어부(190)는 레코딩 앱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레코딩 앱의 실행 화면 예컨대, 카메라(160)가 촬영하고 있는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리뷰(preview) 상태(즉, 아직 레코딩은 되지 않고 단지 카메라(160)가 실시간으로 촬영한 이미지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디오 촬영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단계 502에서 제어부(190)는 마이크(170)를 구동하고 마이크(170)로부터 오디오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503에서 제어부(190)는 수신된 오디오를 인코딩한 다음, 단계 504로 진행하여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을 계산한다. 다음으로 단계 505에서 제어부(190)는 계산된 음압 값이 적정한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적정하면 단계 506에서 제어부(190)는 사용자에게 오디오의 입력 음압이 적정 상태임을 안내한 후 단계 512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적정 상태에서 비디오 촬영 및 녹음이 개시될 수 있다.
단계 505에서의 판별 결과 적정하지 못하면 단계 507에서 제어부(190)는 계산된 음압 값이 포화 상태인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포화 상태이면 단계 508에서 제어부(190)는 사용자에게 오디오의 입력 음압이 포화 상태임을 안내한다. 이러한 포화 상태에서는 비디오 촬영 및 녹음이 개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단계 509에서 제어부(190)는 오디오의 입력 음압이 적정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인코더(210)의 입력 이득을 하향 조절한 후 단계 512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이득의 하향 조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507에서의 판별 결과 포화 상태가 아니고 로우 레벨 상태이면 단계 510에서 제어부(190)는 사용자에게 오디오의 입력 음압이 로우 레벨 상태임을 안내한다. 그리고 단계 511에서 제어부(190)는 오디오의 입력 음압이 적정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인코더(210)의 입력 이득을 상향 조절한 후 단계 512로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이득의 상향 조절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512에서 제어부(190)는 레코딩 시작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계 512에서 제어부(190)는 오디오의 입력 음압이 적정 상태가 아니거나 레코딩 시작 요청과 관련한 터치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으면, 단계 502로 복귀한다. 반면, 단계 512에서 제어부(190)는 오디오의 입력 음압이 적정 상태이거나 혹은 레코딩 시작 요청과 관련한 터치제스처가 감지되면, 단계 513으로 진행하여 오디오를 녹음한다. 다음으로 단계 514에서 제어부(190)는 레코딩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계 514에서 제어부(190)는 레코딩 종료 요청과 관련한 터치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으면 계속 녹음한다. 반면 레코딩 종료 요청과 관련한 터치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190)는 녹음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적정 상태에서 녹음이 개시되었음에도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오디오의 입력 음압이 포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녹음 중에 입력 음압의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1에서 레코딩이 시작되면 단계 602에서 제어부(190)는 마이크(170)를 구동하고 마이크(170)로부터 오디오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603에서 제어부(190)는 수신된 오디오를 인코딩한 다음, 단계 604로 진행하여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을 계산한다. 다음으로 단계 605에서 제어부(190)는 계산된 음압 값이 적정한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적정하면 단계 606에서 제어부(190)는 수신된 오디오를 녹음한다.
단계 605에서의 판별 결과 적정하지 못하면 단계 607에서 제어부(190)는 계산된 음압 값이 포화 상태인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포화 상태이면 단계 608에서 제어부(190)는 오디오의 입력 음압이 적정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인코더(210)의 입력 이득을 하향 조절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단계 606으로 진행하여, 포화 상태에서 적정 상태로 변경된 오디오를 녹음한다.
단계 607에서의 판별 결과 포화 상태가 아니고 로우 레벨 상태이면 단계 609에서 제어부(190)는 오디오의 입력 음압이 적정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인코더(210)의 입력 이득을 상향 조절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단계 606으로 진행하여, 로우 레벨 상태에서 적정 상태로 변경된 오디오를 녹음한다.
제어부(190)는 단계 606을 수행한 후 단계 610으로 진행하여, 레코딩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계 610에서 제어부(190)는 레코딩 종료 요청과 관련한 터치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으면 단계 602로 복귀한다. 반면 레코딩 종료 요청과 관련한 터치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190)는 녹음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녹음과 동시에 입력 음압의 상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01에서 레코딩이 시작되면 단계 702에서 제어부(190)는 마이크(170)를 구동하고 마이크(170)로부터 오디오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703에서 제어부(190)는 수신된 오디오를 인코딩한 다음, 단계 704로 진행하여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을 계산한다. 다음으로 단계 705에서 제어부(190)는 오디오를 녹음한다. 그리고 단계 705에서 제어부(190)는 상기 계산된 음압 값이 어떤 상태인지를 판별하고 판별된 음압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단계 706에서 제어부(190)는 레코딩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계 706에서 제어부(190)는 레코딩 종료 요청과 관련한 터치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으면 단계 702로 복귀한다. 반면 레코딩 종료 요청과 관련한 터치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190)는 녹음을 종료한다.
이하에서는 다수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부(13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프리뷰 화면(80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뷰 화면(800)은 카메라(160)가 실시간으로 촬영한 이미지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프리뷰 화면(800)에 레코딩의 개시 및 종료를 위한 버튼(810)을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촬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820)을 프리뷰 화면(800)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모드는 사진 촬영 모드와 비디오 촬영 모드를 포함하며, 도 8은 비디오 촬영 모드로 선택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비디오 촬영 모드로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90)는 마이크(170)를 구동하고 마이크(17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의 음압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계산된 음압 값을 기반으로 입력 음압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130)는 제어부(190)가 판별한 입력 음압의 상태 정보(830)를 프리뷰 화면(800)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음압 상태는 포화 상태, 적정 상태 및 로우 레벨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로우 레벨 상태는 사용 환경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입력 음압의 상태가 포화되었는지 여부만을 판별하고 이에 따라 표시부(130)는 포화 여부와 관련한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포화 상태 정보, 적정 상태 정보 및 로우 레벨 상태 정보는 색상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 정보(830)는 기본적으로 마이크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음압의 상태가 포화 상태인 경우 상기 마이크는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적정 상태인 경우 상기 마이크는 파란색으로 표시되고 로우 레벨 상태인 경우 상기 마이크는 노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물론 포화 상태 정보, 적정 상태 정보 및 로우 레벨 상태 정보는 별도의 기호, 문자, 아이콘 등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 음압의 상태가 포화 상태이면, 제어부(190)는 경고의 의미로 상태 정보(830) 즉, 마이크가 깜박 깜박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비디오 촬영 모드로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90)는 입력 음압이 적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입력 음압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계산된 음압 값이 포화 상태에 해당되면, 마이크(13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의 증폭 이득을 하향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계산된 음압 값이 로우 레벨 상태에 해당되면, 입력된 오디오의 증폭 이득을 상향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촬영 모드로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 레코딩 개시 및 종료 버튼(810)이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먼저 상기 자동 이득 조절을 수행한 후에 녹음 및 녹화를 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이득 조절은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수동 조절의 일 예를 도 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부(13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프리뷰 화면(90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레코딩 개시 및 종료 버튼(910), 촬영 모드 선택 버튼(920) 및 입력 음압의 상태 정보(930)을 프리뷰 화면(900)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입력 음압을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 음압 조절 바(940)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마이크(17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의 음압이 포화 상태이면, 입력 음압 조절 바(940)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음압 조절 바(940)는 현재 마이크(17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의 음압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지시자(941)와, 해당 휴대 단말기에서 입력 음압의 포화가 시작되는 임계점 즉, 최대 음압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지시자(9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입력 음압 조절 바(940)는 입력 음압이 현재 포화 상태임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제1지시자(941)를 왼쪽으로 드래그하여 입력 음압을 적정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제1지시자(941)에 대한 왼쪽으로의 드래그를 감지하면, 제1지시자(941)가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증폭 이득을 하향 조절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부(13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녹화 화면(100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녹화 화면(1000)은 제어부(190)가 이미지를 카메라(160)로부터 수신하여 녹화하는 이미지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녹화 상태에서 표시부(130)는 녹화 시간(1010)을 녹화 화면(1000)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녹화 중임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해 레코딩 개시 및 종료 버튼(1020)을 깜박거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녹화가 시작되면 그와 동시에 녹음을 시작할 수 있다. 녹음이 시작되면 제어부(190)는 녹음되는 오디오의 입력 음압을 계산하고, 계산된 음압 값을 기반으로 입력 음압의 상태를 판별하며, 판별된 음압 상태 정보를 녹음되는 오디오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판별된 음압 상태 정보(1030)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녹음이 시작되면 제어부(190)는 입력된 오디오의 음압이 적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입력 음압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화면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11 (a)를 참조하면, 표시부(13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재생 화면(110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 화면(1100)는 재생되는 이미지로 정의되며,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네트워크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실시간 다운로드되는 이미지이거나 저장부(14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비디오에서 재생되는 이미지의 위치 및 재생 구간 등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재생 진행 바(1110)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 진행 바(1110)는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자(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재생 진행 바(1110)는 이미지와 함께 현재 재생되는 오디오의 음압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시자(1120)가 이러한 음압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시자(1120)는 음압의 상태에 따라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지시자(1120)는 음압의 상태가 포화 상태이면 빨간색이고, 적정 상태이면 파란색이며, 로우 레벨 상태이면 노란색이 될 수 있다. 물론 지시자(1120)는 음압의 상태에 따라 별도의 기호, 문자, 아이콘 등의 형태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1 (b)를 참조하면, 지시자(1120)는 음압의 상태가 포화 상태이면, 깜박 깜박 거릴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입력 음압 또는 출력 음압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음압 또는 출력 음압의 상태 정보는 상기 지시자(1120)에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입력 음압의 상태 정보는 저장부(140)에 오디오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의 속성 정보이거나 무선 통신부(150)로부터 오디오와 함께 다운로드되는 오디오의 속성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출력 음압의 상태 정보는 제어부(190)가 디코더(310)에서 스피커(180)로 출력되는 오디오의 출력 음압을 계산하고, 계산된 음압 값을 기반으로 판별한 상태 정보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90)는 오디오 및 비디오에 대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90)는 입력 음압이 포화 상태에 해당되는 오디오 및 이와 관련된 비디오 프레임을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정은 입력 음압이 적정 상태가 되도록 해당 오디오 구간의 입력 음압의 설정 값을 수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부(13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편집 화면(1200)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집 화면(1200)은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정보는 썸네일(thumbnail; 1210)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진 않지만 비디오 정보는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편집 화면(1200)은 재생 화면(1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편집 화면(1200)은 상기 재생 화면(1220)을 통해 재생 중인 비디오의 프레임들을 표시하기 위한 프레임 화면(1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편집 화면(1200)은 재생 중인 오디오의 음압 상태 정보(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압 상태 정보(1240)는 음압 상태에 따라 색상별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2에서 도면 부호 1241은 포화 상태를 나타내고 반면, 도면 부호 1242는 적정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편집 화면(1200)을 통해 오디오 및 비디오를 편집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포화 상태(1241)인 오디오 구간 및 이에 해당되는 비디오 구간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포화 상태(1241)인 오디오 구간을 수정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량 바(volume bar)의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부(13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음량 바(130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음량 바(1300)는 마이크(17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의 음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술한 프리뷰 화면, 녹화 화면, 재생 화면 및 편집 화면 등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음량 바(1300)는 이득이 조절되기 전의 음량과 이득이 조절된 후의 음량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3 (a)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1310은 하향 조절 전의 음량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1320은 하향 조절 후의 음량을 나타낸다. 한편 도 13 (b)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1330은 상향 조절 전의 음량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1340은 상향 조절 전의 음량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휴대 단말기
110: 터치스크린 120: 키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무선 통신부 160: 카메라
170: 마이크 180: 스피커
190: 제어부
200: 녹음부 210: 인코더
211: 아날로그 증폭기 212: ADC
213: 대역폭 조절부 214: 디지털 증폭기
220: 입력 음압 계산부 230: 음압 조절부
240: 표시 제어부
300: 재생부 310: 디코더
320: 출력 읍압 계산부 330: 표시 제어부
400: 편집부

Claims (20)

  1. 마이크로부터 오디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음압 값을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를 기반으로 오디오의 입력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이 포화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이 포화 상태인 경우, 상기 입력 이득을 하향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이 상기 포화 상태에서 적정 상태로 바뀌도록 상기 입력 이득을 하향 조절한 후, 오디오를 녹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이 포화되지 않고 적정 상태이면, 오디오를 녹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이득에 대한 하향 조절 결과 오디오의 음압이 상기 포화 상태에서 적정 상태로 바뀌면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이 포화 상태이면, 음압을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 음압 조절 바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음압 조절 바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의 음압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1 지시자와, 음압의 포화가 시작되는 임계점인 최대 음압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지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지시자의 위치 변동에 따라 오디오의 입력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된 음압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된 음압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음압 상태 정보와 관련된 오디오가 재생되면, 상기 저장된 음압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에서 입력 음압이 포화 상태인 오디오 구간을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포화 상태인 오디오 구간 및 이와 관련된 비디오 프레임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15. 오디오를 출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의 음압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음압 값을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 상태를 판별하며, 상기 판별 결과를 기반으로 오디오의 입력 이득을 조절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판별된 음압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를 저장하고 상기 판별된 음압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를 녹음하는 녹음부를 포함하되,
    상기 녹음부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를 인코딩하는 인코더;
    상기 인코더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의 음압을 계산하는 입력 음압 계산부;
    상기 입력 음압 계산부로부터 수신되는 음압 값을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오디오의 음압 상태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인코더의 입력 이득을 조절하며, 상기 판별된 음압 상태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 전달하는 음압 조절부; 및
    상기 음압 조절부로부터 수신되는 음압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 1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더는,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를 증폭하는 아날로그 증폭기;
    상기 아날로그 증폭기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를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에서 가청음에 해당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대역폭 조절부; 및
    상기 대역폭 조절부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를 증폭하는 디지털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재생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를 디코딩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디코더; 및
    상기 재생 중인 오디오와 관련된 음압 상태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압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 2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디코더에서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를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오디오의 출력 음압을 계산하는 출력 음압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표시 제어부는 상기 출력 음압 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출력 음압 값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에서 입력 음압이 포화 상태인 오디오 구간을 편집하는 편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장치.







KR1020110130768A 2011-12-08 2011-12-08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873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768A KR101873325B1 (ko) 2011-12-08 2011-12-08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US13/706,514 US9184715B2 (en) 2011-12-08 2012-12-0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in mobile terminal
EP12195813.6A EP2602978B1 (en) 2011-12-08 2012-12-0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in Mobile Terminal
JP2012269392A JP6322361B2 (ja) 2011-12-08 2012-12-10 携帯端末機のオーディオ処理方法及び装置
CN201210529950.4A CN103219026B (zh) 2011-12-08 2012-12-10 在移动终端中处理音频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768A KR101873325B1 (ko) 2011-12-08 2011-12-08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243A true KR20130064243A (ko) 2013-06-18
KR101873325B1 KR101873325B1 (ko) 2018-07-03

Family

ID=4752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768A KR101873325B1 (ko) 2011-12-08 2011-12-08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84715B2 (ko)
EP (1) EP2602978B1 (ko)
JP (1) JP6322361B2 (ko)
KR (1) KR101873325B1 (ko)
CN (1) CN10321902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5489A (zh) * 2016-08-31 2017-02-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确定上行语音数据的方法及移动终端
WO2018084351A1 (ko) * 2016-11-01 2018-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4239B2 (en) * 2012-11-06 2019-01-29 Nokia Technologies Oy Multi-resolution audio signals
TWI559781B (zh) * 2014-08-21 2016-11-21 國立交通大學 壓電揚聲器驅動系統和其驅動方法
EP3018917B1 (en) 2014-11-06 2016-12-28 Axis AB Method and system for audio calibration of an audio device
KR102130068B1 (ko) * 2016-11-14 2020-07-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이크로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마이크로폰
US10396740B2 (en) * 2016-11-14 2019-08-27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icrophone driving device and digital microphone including the same
CN107071127A (zh) * 2017-04-28 2017-08-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录音方法和移动终端
WO2019033438A1 (zh) * 2017-08-18 2019-02-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信号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1145792B (zh) * 2018-11-02 2022-06-14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音频处理方法和装置
CN110213695A (zh) * 2019-05-31 2019-09-06 广州市锐丰智能科技有限公司 提高扩声系统的输出音频信噪比的方法及智能扩声系统
CN113079332B (zh) * 2021-03-16 2023-04-07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录屏方法
KR102356915B1 (ko) * 2021-09-29 2022-02-08 주식회사 인피닉 음성 인식 학습을 위한 음성 데이터 녹음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3623A (ja) * 2002-06-19 2004-01-22 Canon Inc 表示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4260046B2 (ja) * 2004-03-03 2009-04-3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音声明瞭度改善装置及び音声明瞭度改善方法
WO2007106384A1 (en) * 2006-03-10 2007-09-20 Plantronics, Inc. Music compatible headset amplifier with anti-startle feature
CN101558660B (zh) * 2006-05-22 2013-08-21 奥迪欧彼塞尔斯有限公司 用于产生压强波的装置和方法
JP4816334B2 (ja) * 2006-08-29 2011-1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ノイズ低減装置、撮像装置、ノイズ低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80440B1 (ko) * 2006-09-19 200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포화 감지를 이용한 음압 조절 방법
US8352052B1 (en) * 2006-10-23 2013-01-08 Adobe Systems Incorporated Adjusting audio volume
US7983426B2 (en) * 2006-12-29 2011-07-19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for autonomously monitoring and reporting sound pressure level (SPL) exposure for a user of a communication device
JP2008182555A (ja) * 2007-01-25 2008-08-07 Fujifilm Corp 録音再生装置
JP5202342B2 (ja) * 2009-01-05 2013-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47852A (ko)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환경에 적응 가능한 음원녹음장치 및 그 방법
CN102118135B (zh) * 2009-12-31 2015-12-02 骅讯电子企业股份有限公司 信号自动增益调整方法与应用该方法的装置
JP2011176731A (ja) * 2010-02-25 2011-09-08 Nikon Corp 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5489A (zh) * 2016-08-31 2017-02-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确定上行语音数据的方法及移动终端
CN106385489B (zh) * 2016-08-31 2019-01-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确定上行语音数据的方法及移动终端
WO2018084351A1 (ko) * 2016-11-01 2018-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19026B (zh) 2017-04-26
CN103219026A (zh) 2013-07-24
JP6322361B2 (ja) 2018-05-09
EP2602978A1 (en) 2013-06-12
KR101873325B1 (ko) 2018-07-03
US20130148826A1 (en) 2013-06-13
EP2602978B1 (en) 2017-04-19
JP2013121181A (ja) 2013-06-17
US9184715B2 (en)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325B1 (ko)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200634B2 (en) Video generatio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WO2016177296A1 (zh) 一种生成视频的方法和装置
JP7414842B2 (ja) コメント追加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
JP5739451B2 (ja) 携帯端末におけるマルチメディアファイルの区間設定方法及びその装置
CN105872253B (zh) 一种直播声音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1743192B1 (ko) 녹음방법, 재생방법, 장치, 단말기,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WO2016066092A1 (zh) 多媒体播放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KR101905513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WO2015198488A1 (ja) 電子機器及び音声再生方法
WO2019062541A1 (zh) 一种实时数字音频信号混音的方法及装置
US20120140102A1 (en) Digital multimedia playbac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83168B2 (en) Audio file re-record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10205394A (ja) 音源再生装置及び音源選択再生方法
CN104636110B (zh) 控制音量的方法及装置
CN103247310A (zh) 多媒体播放控制方法、播放控制模块和播放终端
KR20140126153A (ko) 수화음 누출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KR20100086678A (ko) 멀티미디어 아이템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140129508A (ko) 사용자 디바이스의 기능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403015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5943050B2 (ja) 音楽再生装置、及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JP5751200B2 (ja) オーディオ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電話機
CN106789943B (zh) 蓝牙设备的播放方法及装置
JP2014007671A (ja) 電子機器及び音出力方法
KR20140040494A (ko) 동영상 캡처 방법과 그 동영상 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