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513B1 -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513B1
KR101905513B1 KR1020120056470A KR20120056470A KR101905513B1 KR 101905513 B1 KR101905513 B1 KR 101905513B1 KR 1020120056470 A KR1020120056470 A KR 1020120056470A KR 20120056470 A KR20120056470 A KR 20120056470A KR 101905513 B1 KR101905513 B1 KR 101905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screen
image
reproduced
sear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333A (ko
Inventor
장문수
나빈 쿠마 부다
라마고팔라 레디 파루쿠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6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513B1/ko
Priority to US13/904,385 priority patent/US20130322850A1/en
Priority to EP13169760.9A priority patent/EP2670132B1/en
Priority to CN201310206489.3A priority patent/CN103455241B/zh
Publication of KR20130133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메인화면에 영상을 재생하는 도중에 탐색바의 표시 요청에 따라 탐색바를 표시하는 과정과, 탐색바의 소정 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영상을 계속 재생하면서 미리 설정된 크기의 탐색 화면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화면에 상기 선택된 위치에 대응되는 재생위치부터 상기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OVING PICTURE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영상의 재생 및 탐색에 관한 발명이다.
전자기기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근래의 전자기기는 단순한 하나의 기능 대신에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전자책 리더, 문서 편집기 및 게임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휴대단말기의 표시화면이 4인치, 4.3 인치, 4.8인치, 5.3인치 등의 크기를 가지게 됨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의 이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중에서도,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과 같은 동영상의 재생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동영상의 재생 중에 탐색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재생 위치를 탐색하는 기능이 자주 이용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영상 탐색 기능은 탐색바(progress bar)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탐색바의 특정 지점을 터치(예를 들어, 드래그)하여 재생위치의 탐색 및 재생위치의 변경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전술한 탐색바를 이용한 탐색 기능은 별도의 키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수행되는데, 휴대단말기의 표시화면의 한계로 인해 탐색바의 크기 또한 제약되기 때문에, 크기가 제약된 탐색바를 통해서는 탐색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를 탐색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탐색바의 제어(예를 들어, 탐색바에 대한 드래그 입력)를 통해서는 영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재생 위치를 탐색하기 힘든 문제점을 해소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재생 위치를 탐색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영상을 탐색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메인화면에 영상을 재생하는 도중에 탐색바의 표시 요청에 따라 탐색바를 표시하는 과정과, 탐색바의 소정 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영상을 계속 재생하면서 미리 설정된 크기의 탐색 화면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화면에 상기 선택된 위치에 대응되는 재생위치부터 상기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메인화면 및 탐색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재생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메인화면에 영상을 재생하는 도중에 탐색바의 표시 요청에 따라 탐색바를 표시하고, 탐색바의 소정 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영상을 계속 재생하면서 미리 설정된 크기의 탐색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탐색화면에 상기 선택된 위치에 대응되는 재생위치부터 상기 영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생되는 영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재생 위치를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자신이 원하는 재생 위치를 탐색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영상을 탐색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을 재생과 영상의 탐색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과정에 대한 제2예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과정에 대한 제3예시도.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과정에 대한 제4예시도.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과정에 대한 제5예시도.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과정에 대한 제6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피처폰(feature phone), 태블릿(Tablet), windows 8, iOS, Android 및 Bada 등의 모바일 OS로 구동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windows 또는 Mac 환경에서 구동되는 노트북 등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전자기기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25)를 이용하여, 제어부(10)는 영상의 재생시에, 재생되는 영상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 또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등의 터치표시화면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키입력부(27)는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50)는 키입력부(27)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27)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탐색바가 표시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재생 대상에 해당하는 영상(예를 들어, 동영상)에 대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30)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등의 외장형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HDD(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isk) 등과 같은 디스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30)는 재생 대상에 해당하는 영상(예를 들어,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30)에 저장되는 영상은 USB 연결 등을 통해 저장된 영상이거나 통신 연결을 통해 스트리밍되는 영상일 수 있다.
표시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표시부(50)는 정전식(또는 정전용량방식) 또는 감압식 방식 등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는 영상을 재생할 경우, 후술될 메인화면 및 탐색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을 통해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후술될 탐색바의 표시 요청, 탐색화면의 선택 등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입력부(27) 또는 표시부(5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전환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메인화면에 영상을 재생하는 도중에 탐색바의 표시 요청에 따라 탐색바를 표시하는 과정과, 탐색바의 소정 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영상을 계속 재생하면서 미리 설정된 크기의 탐색 화면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화면에 상기 선택된 위치에 대응되는 재생위치부터 상기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의 상세한 동작은 후술되는 바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도 1의 블록도에는, 블루투스 모듈, 카메라 모듈, GPS 모듈, Wi-Fi 모듈, 근접 센서 및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수신기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는 장치들이 미도시 되었으나, 이들 미도시된 장치들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에 포함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을 통해 영상을 스트리밍 받을 수 있으며, 스트리밍되는 영상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화면 및 탐색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화면 및 탐색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3a 내지 3f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내지 제6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201-S203 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인화면을 통해 영상을 재생하는 동안에 재생중인 영상에 대한 탐색바의 표시가 요청되는지 확인하여, 표시가 요청된 것으로 확인되면 탐색바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는 파일 탐색기 또는 영상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영상에 대한 재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재생 요청에 대응하여 제어부(1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미리 설정된 화면(예를 들어, 영상 재생의 메인화면)을 통해 재생 요청된 영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는 재생 요청된 영상을 메인화면(300a)을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는 메인화면(300a)를 통해 재생되는 영상을 감상(시청)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메인화면(300a)를 통해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 재생중인 영상의 재생위치를 탐색(예를 들어, 재생위치의 변경)하기 위해 탐색바가 표시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이 메인화면(300a)를 통해 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입력하거나 메인화면(300a)를 선택하면(예를 들어, 터치하면), 제어부(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바(310)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사용자는 도 3b에 표시된 탐색바(310)를 이용하여 재생중인 영상의 재생위치를 변경하고, 변경된 재생위치부터 영상이 재생되도록 요청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S204-S206 단계에서, 제어부(10)는 탐색바의 소정 위치가 선택되면, 메인화면을 통해 영상을 계속 재생하면서 미리 설정된 크기의 탐색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탐색화면을 통해 탐색바의 선택 위치에 대응되는 재생위치부터 재생중인 영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메인화면(300a)를 통해 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탐색바의 표시 요청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탐색바(310)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탐색바(310)의 특정 위치를 선택(예를 들어, 터치)하여 메인화면(300a)를 통해 재생중인 영상의 재생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탐색바(310)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여 재생중인 영상의 재생 위치를 탐색(변경)하는 것은 종래기술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라 탐색바를 이용하여 영상의 재생 위치를 변경할 경우, 탐색바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위치가 영상에서 사용자가 탐색하기를 원하는 재생 위치에 정확하게 대응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탐색바의 선택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의 재생위치로 변경되어 영상이 메인화면(300a)에 표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제공하며, 다음의 기술 내용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탐색바(310)에 대해서 도 3b에 도시된 320a의 위치가 선택되었을 경우, 제어부(10)는 320a의 위치 주변에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탐색화면(300b)을 생성하고, 탐색화면(300b)을 통해 302a의 위치에 대응되는 재생위치부터 메인화면(300a)에서 재생중인 영상이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탐색화면(300b)을 통해 302a의 위치에 대응되는 재생위치부터 영상이 재생될 때, 메인화면(300a)를 통한 영상의 재생도 계속 진행된다. 즉, 동일한 영상에 대해서 메인화면(300a)을 통한 재생과 탐색화면(300b)을 통한 재생이 동시에 수행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메인화면(300a)을 통해 영상을 감상하면서, 탐색화면(300b)을 통해 특정 재생위치에서 영상이 어떻게 재생될지(어떠한 화면을 가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영상의 재생위치에 대응되는 탐색바(310)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여 생성되는 탐색화면은 미리 설정된 크기의 화면을 가지게 되는데, 탐색화면의 크기는 별도의 설정을 통해 변경하다. 다만 탐색화면의 크기는 메인화면을 통한 영상의 재생이 방해받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탐색화면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탐색화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탐색화면에 대해 핀치 줌인 또는 핀치 줌아웃 등의 입력을 통해서, 자신의 취향에 맞게 탐색화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제어부(10)는 이에 대응하여 크기가 변경된 탐색화면을 통해 영상의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탐색화면은 메인화면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될 수 있는데, 탐색화면에 대한 투명도의 조절을 통해 탐색화면 상에서도 메인화면의 일부(탐색화면의 영역과 겹쳐지는 메인화면의 영역)가 표시될 수 있다.
S207-S208 단계에서, 제어부(10)는 영상이 재생중인 탐색화면이 선택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탐색화면에서 재생중인 영상이 메인화면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도 3b 및 3c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화면(300a)을 통해 재생중인 영상을 감상함과 동시에 탐색화면(300b)를 통해 320b의 위치에 대응되는 재생위치부터 재생중인 영상의 화면 내용을 탐색(확인)하는 도중에, 사용자는 자신이 탐색(또는 재생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영상의 부분이 탐색화면(300b)를 통해 재생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사용자는 도 3c에 도시된 탐색화면(300b)를 통해 재생되는 영상이 도 3d에 도시된 탐색화면(300c)와 같이 재생위치가 변경되어 재생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도 3d의 탐색화면(300c)과 같이 재생되는 영상이 재생 시간이 계속 경과함에 따라 도 3e에 도시된 탐색화면(300d)과 같이 재생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도 3(e)에 도시된 탐색화면(300d)을 통해 재생되는 영상(즉, 영상의 재생위치)이 도 3b를 통해 설명한 탐색바(310)의 위치(320a)를 선택하여 탐색(확인)하고자 했던 영상일 경우, 사용자는 탐색화면(300d)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탐색화면(예를 들어, 300d의 탐색화면)이 도 3e의 320b로 도시된 예와 같이 선택되면, 제어부(10)는 탐색화면(300d)를 통해 재생중인 영상이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화면(300e)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탐색 화면이 생성된 이후에 소정 시간 이내(예를 들어, 5초)에 선택되지 않으면, 생성된 탐색화면이 더 이상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탐색화면을 통한 탐색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5초)을 대기하면, 탐색화면이 더 이상 표시되지 않음으로써, 메인화면을 통해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3a 내지 도 3f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메인화면(300a)를 통해 영상을 감상함과 동시에, 탐색화면(300b)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는(예를 들어, 재생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영상의 정확한 재생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변경하고자 하는 정확한 재생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이 탐색화면을 메인화면을 통해 재생하고자 할 경우, 탐색화면을 선택(예를 들어,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던 재생 위치부터 재생되는 영상을 메인화면을 감상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받게 된다.
한편, 도 3e 및 도 3f를 통해 설명한 것처럼, 탐색화면의 선택을 통해 탐색화면에서 재생중인 영상이 메인화면을 통해 재생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3f와 같이 도 3e에서 표시중이던 탐색바(310)를 더 이상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의 영상 재생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추후, 사용자는 탐색바의 표시를 다시 요청하여 도 2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영상을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6)

  1.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메인화면에 영상의 제1 부분을 재생하는 도중에 탐색바의 표시 요청에 따라 탐색바를 표시하는 과정과,
    탐색바의 소정 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영상의 상기 제1 부분을 계속 재생하면서 미리 설정된 크기의 탐색 화면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의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메인화면에 계속 재생하면서, 상기 탐색화면에 상기 선택된 위치에 대응되는 재생위치부터 상기 영상의 제2 부분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탐색바에서 선택된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화면의 크기를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화면이 선택되면 상기 탐색화면을 통해 재생중인 상기 영상의 제2 부분을 상기 메인화면을 통해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화면을 통해 재생중인 상기 영상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메인화면을 통해 재생되면, 상기 표시된 탐색바를 표시하지 않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바에 대한 소정 위치의 선택은 터치 입력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화면의 선택은 터치 입력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화면이 생성된 이후에 소정 시간 이내에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생성된 탐색화면을 더 이상 표시하지 않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9.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장치에 있어서,
    메인화면 및 탐색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재생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메인화면에 상기 영상의 제1 부분을 재생하는 도중에 탐색바의 표시 요청에 따라 탐색바를 표시하고,
    탐색바의 소정 위치가 선택되면 상기 영상의 상기 제1 부분을 계속 재생하면서 미리 설정된 크기의 탐색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탐색화면에 상기 선택된 위치에 대응되는 재생위치부터 상기 영상의 제2 부분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탐색바에서 선택된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탐색화면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화면이 선택되면 상기 탐색화면을 통해 재생중인 상기 영상의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메인화면을 통해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화면을 통해 재생중인 상기 영상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메인화면을 통해 재생되면, 상기 표시된 탐색바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바에 대한 소정 위치의 선택은 상기 표시부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화면의 선택은 상기 표시부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화면이 생성된 이후에 소정 시간 이내에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생성된 탐색화면이 더 이상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장치.
KR1020120056470A 2012-05-29 2012-05-29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905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70A KR101905513B1 (ko) 2012-05-29 2012-05-29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US13/904,385 US20130322850A1 (en) 2012-05-29 2013-05-29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video in portable terminal
EP13169760.9A EP2670132B1 (en) 2012-05-29 2013-05-29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video in portable terminal
CN201310206489.3A CN103455241B (zh) 2012-05-29 2013-05-29 用于在便携式终端中播放视频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70A KR101905513B1 (ko) 2012-05-29 2012-05-29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333A KR20130133333A (ko) 2013-12-09
KR101905513B1 true KR101905513B1 (ko) 2018-10-10

Family

ID=4867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470A KR101905513B1 (ko) 2012-05-29 2012-05-29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322850A1 (ko)
EP (1) EP2670132B1 (ko)
KR (1) KR101905513B1 (ko)
CN (1) CN1034552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5102B2 (en) 2010-05-21 2020-10-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WO2015108114A1 (ja) 2014-01-16 2015-07-23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アミドイミド溶液、多孔質ポリアミドイ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185072A (zh) * 2014-03-28 2014-12-03 无锡天脉聚源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及装置
US11455086B2 (en) 2014-04-14 2022-09-2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selection
WO2015159128A1 (en) * 2014-04-16 2015-10-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irect access to specific timestamp points of streamed video content during consumption on a limited interaction capability device
KR20150122510A (ko) * 2014-04-23 2015-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1553251B2 (en) 2014-06-20 2023-01-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tent viewing tracking
US10776414B2 (en) 2014-06-20 2020-09-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ynamic content recommendations
CN104105004A (zh) * 2014-07-23 2014-10-15 上海天脉聚源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直播流的处理方法及装置
US10362978B2 (en) 2015-08-28 2019-07-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mputational model for mood
CN105872713B (zh) * 2016-04-22 2020-04-24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附加媒体信息的展示方法及装置
CN110022493B (zh) * 2019-05-21 2020-10-09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播放进度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0874168A (zh) * 2019-09-30 2020-03-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11184672B2 (en) 2019-11-04 2021-11-2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nchronizing content progress
KR102493345B1 (ko) * 2021-03-02 2023-01-30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7752A (zh) * 2010-09-03 2011-01-26 广州市千钧网络科技有限公司 Flash视频预览方法及其系统,flash播放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9903B2 (ja) * 2005-04-15 2010-02-24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方法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再生制御プログラム
KR100747575B1 (ko) * 2005-12-12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신호 재생방법 및 장치
CN1976440B (zh) * 2006-12-11 2011-03-30 中山大学 一种在iptv中精确定位播放进度的方法及系统
US9553947B2 (en) * 2007-07-18 2017-01-24 Google Inc. Embedded video playlists
KR101407636B1 (ko) * 2007-11-05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90153475A1 (en) * 2007-12-14 2009-06-18 Apple Inc. Use of a remote controller Z-direction input mechanism in a media system
KR101566379B1 (ko) * 2009-05-07 2015-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신호 종류 별 사용자 기능 활성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787618B2 (en) * 2010-04-13 2014-07-22 Sony Corporation Content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ntent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
JP5818445B2 (ja) * 2011-01-26 2015-11-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7752A (zh) * 2010-09-03 2011-01-26 广州市千钧网络科技有限公司 Flash视频预览方法及其系统,flash播放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0132B1 (en) 2017-03-29
EP2670132A2 (en) 2013-12-04
CN103455241B (zh) 2018-02-02
EP2670132A3 (en) 2015-06-03
US20130322850A1 (en) 2013-12-05
KR20130133333A (ko) 2013-12-09
CN103455241A (zh)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513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US10444968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114729B1 (ko) 저장된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785323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54794B1 (ko) 영상 표시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구간을 탐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TWI592021B (zh) 生成視頻的方法、裝置及終端
KR10146779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457611B2 (en) Audio file edit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WO2016177296A1 (zh) 一种生成视频的方法和装置
US20090077491A1 (en) Method for inputting user command using user's motion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KR101869095B1 (ko)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00064255A1 (en) Contextual menus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7992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41574B1 (ko) 동영상 장면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201225264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505092A (ja) オーディオデータを再生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401410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452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40333421A1 (en) Remote control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2317619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58747B1 (ko) 휴대단말기의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46779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5245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WO202220939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53152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