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345B1 -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345B1
KR102493345B1 KR1020210027612A KR20210027612A KR102493345B1 KR 102493345 B1 KR102493345 B1 KR 102493345B1 KR 1020210027612 A KR1020210027612 A KR 1020210027612A KR 20210027612 A KR20210027612 A KR 20210027612A KR 102493345 B1 KR102493345 B1 KR 102493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ocation
touch
processor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3976A (ko
Inventor
박송현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345B1/ko
Priority to JP2022029814A priority patent/JP2022134116A/ja
Publication of KR2022012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탐색 방법은 프로그래스 바에 대한 영역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터치의 위치가 프로그래스 바 상에서 영상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의 영역이 아닌 경우, 영상의 재생과 무관하게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노출하는 단계 및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상에서 기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고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영상의 재생과 무관하게 변경된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EEKING VIDEO USING PROGRESS BAR}
아래의 설명은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영상을 감상하는 도중 원하는 장면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플레이어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 또는 탐색바(seek bar))를 조작하여 영상의 재생 위치를 조절해야 한다. 일례로, 프로그래스 바에는 영상의 현재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로서의 썸(thumb)이 존재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썸의 프로그래스 바 내에서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영상의 재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어는 프로그래스 바에서 이동하는 썸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의 재생 시간 정보 및/또는 썸의 위치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재생 위치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프로그래스 바의 썸이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고,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드래그하여 썸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 서비스는 이동 중인 썸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의 재생 시간 및/또는 썸네일과 같은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영상 서비스는 사용자의 터치가 해제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의 위치를 현재 재생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멀티미디어 탐색 방법은 프로그래스 바의 썸 자체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현재 재생 중인 영상의 재생 흐름에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다. 일례로, 영상 서비스는 터치 앤 드래그를 통한 썸의 이동에 따라 현재 재생중인 영상을 일시 정지한 후, 터치가 해제되는 순간의 썸의 위치에 따라 영상의 재생 위치를 조절한 후 다시 영상을 재생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단순히 영상의 다른 재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잠깐 얻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얻고자 하는 재생 위치에 대한 탐색을 통해 정보를 얻고, 이후에 다시 기존 재생 위치를 찾기 위한 탐색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1267872호
재생중인 영상에 대한 프로그래스 바에서 썸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대한 터치 동작을 이용하여 재생중인 영상의 재생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영상의 다른 재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영상의 재생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영상의 이전 재생 위치를 저장하고, 기설정된 취소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현재 재생 위치를 저장된 이전 재생 위치로 변경하여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전 재생 위치를 빠르게 다시 찾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의 영상 탐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래스 바에 대한 영역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가 상기 프로그래스 바 상에서 영상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의 영역이 아닌 경우, 상기 영상의 재생과 무관하게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상에서 기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고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영상의 재생과 무관하게 상기 변경된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탐색 방법을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영상 탐색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감지된 터치가 해제되는 경우, 노출된 영상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영상 탐색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상에서 상기 기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노출된 영상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영상의 재생 위치를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영상 탐색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영상의 이전 재생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취소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변경된 재생 위치를 상기 저장된 이전 재생 위치로 재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취소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의 위치가 상기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취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취소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이전 재생 위치의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취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취소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이전 재생 위치에 기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유지되는 마커를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된 마커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취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영상 탐색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가 상기 프로그래스 바 상에서 영상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의 영역이고, 상기 감지된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동시키고, 상기 인디케이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영상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래스 바에 대한 영역의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가 상기 프로그래스 바 상에서 영상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의 영역이 아닌 경우, 상기 영상의 재생과 무관하게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노출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상에서 기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고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영상의 재생과 무관하게 상기 변경된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재생중인 영상에 대한 프로그래스 바에서 썸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대한 터치 동작을 이용하여 재생중인 영상의 재생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영상의 다른 재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의 재생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영상의 이전 재생 위치를 저장하고, 기설정된 취소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현재 재생 위치를 저장된 이전 재생 위치로 변경하여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전 재생 위치를 빠르게 다시 찾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탐색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정보를 노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취소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탐색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탐색 방법은 영상 탐색 시스템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탐색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영상 탐색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컨텐츠 제공 서비스, 그룹 통화 서비스(또는 음성 컨퍼런스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메일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지도 서비스, 번역 서비스, 금융 서비스, 결제 서비스, 검색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탐색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탐색 방법은 영상 탐색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도 3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311 내지 321)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311)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프로그래스 바에 대한 영역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는 터치스크린 환경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래스 바는 재생중인 영상의 타임라인을 나타낼 수 있으며, 프로그래스 바 상에서 재생중인 영상의 현재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로서의 썸(thum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프로그래스 바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312)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감지된 터치의 위치가 썸의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썸의 영역은 감지된 터치를 썸에 대한 터치로 인식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감지된 터치의 위치가 썸의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썸을 이동시켜 현재 재생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일반적인 동작이기 때문에 컴퓨터 장치(200)는 썸의 이동에 따라 영상의 현재 재생 위치를 조절한 후, 해당 터치에 대한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일반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반면, 감지된 터치의 위치가 썸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313)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313)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의 재생 시간 정보,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의 썸네일 및/또는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메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정보의 노출은 영상의 재생과는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영상의 재생에 대한 끊김 없이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단계(314)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기설정된 시간은 0.5초와 같이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에서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은, 감지된 터치의 위치가 드래그 등을 통해 변경되거나 또는 터치가 해제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는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315)를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는 단계(318)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315)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터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터치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는 영상의 다른 재생 위치에 대한 영상 정보를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다시 단계(313)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316)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316)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터치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터치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터치가 해제되는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317)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터치가 해제되지도 않는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314)를 다시 수행하여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317)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노출된 영상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는 터치가 해제됨에 따라 노출된 영상 정보를 제거하고 해당 터치에 대한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단계(318)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노출된 영상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는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는 영상의 현재 재생 위치를 터치의 위치로 조절하고자 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표시되던 영상 정보를 제거한 후, 단계(319)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319)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영상의 재생 위치를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썸은 감지된 터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는 해당 터치에 의해 변경되기 전의 이전 재생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취소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취소 이벤트는 단계(319)에서의 재생 위치의 변경을 취소하기 위한 이벤트로써 단계(319)에서 변경된 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전 재생 위치로 다시 변경하기 위한 이벤트일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는 터치가 감지된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의 위치가 드래그 등을 통해 설정된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취소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컴퓨터 장치(200)는 이전 재생 위치의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취소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컴퓨터 장치(200)는 이전 재생 위치에 기설정된 시간(일례로, 3초) 동안 마커를 노출할 수 있으며, 노출된 마커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취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취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단계(321)이 수행될 수 있고, 취소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해당 터치에 대한 프로세스가 종료될 수 있다.
단계(321)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영상의 재생 위치를 저장된 이전 재생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31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전 재생 위치를 저장할 수 있으며, 취소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영상의 재생 위치를 저장된 이전 재생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의 변경된 재생 위치를 저장된 이전 재생 위치로 재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 장치(200)는 프로그래스 바에서 현재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썸의 이동이 아닌, 썸의 영역 이외의 프로그래스 바 영역에 대한 터치에 기반하여 영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재생중인 영상의 재생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영상의 다른 재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시간 이상의 터치가 유지됨에 따라 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기설정된 취소 이벤트를 통해 영상의 이전 재생 위치로 빠르게 돌아갈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장치(200)는 영상 정보로서 썸네일을 제공하기 위해, 영상의 썸네일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미리 영상의 구간별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를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는 서버로 구간별 이미지를 요청하여 썸네일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컴퓨터 장치(200)가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미디어 데이터(영상)를 로드하고, 직접 이미지를 추출하여 썸네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는 매번 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도록 한번 추출한 이미지를 캐시에 저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는 영상의 프레임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장치(200)는 프로그래스 바의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해, 일례로 영상의 길이에 따라 영상 구간을 나누어서 영상 구간의 대표 시간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의 길이가 120초 미만인 경우에, 컴퓨터 장치(200)는 1초마다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래스 바의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는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시간을 소수점 반올림한 시간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시간이 05.35초라면, 5초(round(5))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의 길이가 120 이상 300초 미만인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2초마다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래스 바의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는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시간을 2로 나누고 소수점 버림한 시간에 2를 곱한 후 1을 더한 시간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시간이 05.35초라면 5초(rounddown(5.35/2)*2+1)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정보를 노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영상 재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는 영상 표시 영역(410), 프로그래스 바(420) 및 썸(430)을 나타내고 있다. 영상이 재생중인 경우, 썸(430)은 지속적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영상의 현재 재생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썸(430)을 이동시켜 영상의 재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썸(430)의 이동은 썸(430)의 영역에 대한 터치 앤 드래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프로그래스 바(420)의 영역 중 썸(430)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터치를 통해 터치의 위치에 대한 영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프로그래스 바(420)에서 썸(430)의 영역을 제외한 제1 위치(440)를 터치함에 따라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위치(제1 점선박스(450)에 표시된 재생 시간 정보 "01:23") 및 재생 위치에 대응하는 썸네일 1(460)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영상은 끊김 없이 지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터치가 유지된 상태로 제1 위치(440)에서 제2 위치(510)로 드래그됨에 따라 제2 위치(510)에서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위치(제2 점선박스(520)에 표시된 재생 시간 정보 "01:50") 및 재생 위치에 대응하는 썸네일 2(530)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영상은 끊김 없이 지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이때,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들에서 영상 정보가 표시되는 것은 도 3의 단계(31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는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는 영상의 재생 위치가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제2 위치(510)에서의 터치가 기설정된 시간이상 유지되는 경우, 썸(430)이 제2 위치(510)로 이동되고, 영상이 제2 위치(510)에 해당하는 재생 위치부터 재생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200)는 이전 재생 위치(610)를 저장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취소 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터치가 감지된 위치인 제2 위치(510)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일례로, 점선 원(610)으로 표시된 범위)가 설정되고,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의 위치가 드래그 등을 통해 설정된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취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전 재생 위치(610)로 변경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썸(430)이 이동하는 것으로 재생 위치의 변경을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터치를 통해 재생 위치(일례로, 제2 위치(510))를 변경한 후, 드래그를 통해 재생 위치를 이전 재생 위치(일례로, 이전 재생 위치(610))로 쉽게 재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이전 재생 위치(610)의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이벤트가 발생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이러한 스와이프 이벤트의 발생을 취소 이벤트의 발생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전 재생 위치(610)로 변경할 수 있다. 도 8에서도 썸(430)이 이동하는 것으로 재생 위치의 변경을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터치를 통해 재생 위치(일례로, 제2 위치(510))를 변경한 후, 스와이프 이벤트를 통해 재생 위치를 이전 재생 위치(일례로, 이전 재생 위치(610))로 쉽게 재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이전 재생 위치(610)에 기설정된 시간(일례로, 3초) 동안 마커(910)를 노출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만약, 마커(910)가 노출되어 있는 동안 노출된 마커(910)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취소 이벤트의 발생을 인식할 수 있으며, 영상의 재생 위치를 이전 재생 위치(610)로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터치를 통해 재생 위치(일례로, 제2 위치(510))를 변경한 후, 단순히 노출되는 마커(910)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재생 위치를 이전 재생 위치(일례로, 이전 재생 위치(610))로 쉽게 재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생중인 영상에 대한 프로그래스 바에서 썸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대한 터치 동작을 이용하여 재생중인 영상의 재생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영상의 다른 재생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의 재생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 영상의 이전 재생 위치를 저장하고, 기설정된 취소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현재 재생 위치를 저장된 이전 재생 위치로 변경하여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전 재생 위치를 빠르게 다시 찾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의 영상 탐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래스 바에 대한 영역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가 상기 프로그래스 바 상에서 영상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의 영역이 아닌 경우, 상기 영상의 재생과 무관하게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노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상에서 기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고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영상의 재생과 무관하게 상기 변경된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상에서 상기 기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노출된 영상 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영상의 재생 위치를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위치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탐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탐색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감지된 터치가 해제되는 경우, 노출된 영상 정보를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탐색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탐색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영상의 이전 재생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취소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변경된 재생 위치를 상기 저장된 이전 재생 위치로 재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탐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취소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의 위치가 상기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취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탐색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취소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이전 재생 위치의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취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탐색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취소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이전 재생 위치에 기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유지되는 마커를 노출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된 마커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취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탐색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탐색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가 상기 프로그래스 바 상에서 영상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의 영역이고, 상기 감지된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동시키고, 상기 인디케이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영상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탐색 방법.
  9.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래스 바에 대한 영역의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가 상기 프로그래스 바 상에서 영상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의 영역이 아닌 경우, 상기 영상의 재생과 무관하게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노출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상에서 기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고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영상의 재생과 무관하게 상기 변경된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를 노출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가 동일한 위치상에서 상기 기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노출된 영상 정보를 제거하고, 상기 영상의 재생 위치를 상기 감지된 터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재생 위치로 변경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감지된 터치가 해제되는 경우, 노출된 영상 정보를 제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영상의 이전 재생 위치를 저장하고,
    취소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취소 이벤트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변경된 재생 위치를 상기 저장된 이전 재생 위치로 재변경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210027612A 2021-03-02 2021-03-02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 KR102493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612A KR102493345B1 (ko) 2021-03-02 2021-03-02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
JP2022029814A JP2022134116A (ja) 2021-03-02 2022-02-28 プログレスバーを利用した映像探索方法およ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612A KR102493345B1 (ko) 2021-03-02 2021-03-02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976A KR20220123976A (ko) 2022-09-13
KR102493345B1 true KR102493345B1 (ko) 2023-01-30

Family

ID=8322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612A KR102493345B1 (ko) 2021-03-02 2021-03-02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2134116A (ko)
KR (1) KR1024933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453B1 (ko) * 2011-12-15 2018-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05513B1 (ko) * 2012-05-29 2018-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170108653A (ko) * 2016-03-18 2017-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34116A (ja) 2022-09-14
KR20220123976A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558B1 (ko) 동영상 내 하이라이트 댓글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9640188B (zh) 视频预览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37240B1 (ko)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9977584B2 (en) Navigating media playback using scrollable text
US20110145745A1 (en) Method for providing gui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JP7273163B2 (ja) 画像表示方法と装置
JP2015130172A (ja) シームレスなコンテンツ転送
US20190028768A1 (en)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attached media information
MX2011007439A (es) Aparato y metodo para procesar datos.
US202100759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60-degree panoramic background during video call
US10884601B2 (en) Animating an image to indicate that the image is pannable
US20160103574A1 (en) Selecting frame from video on user interface
KR101949493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493345B1 (ko)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
US20230054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udiovisual work, device, and medium
KR101447283B1 (ko)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101827863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12879B1 (ko)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76789B1 (ko) 동영상 편집 방법 및 장치
KR102035945B1 (ko) 조그 다이얼을 제공하는 동영상 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60144445A (ko) 확장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마일스톤, 및 스토리라인
KR102487558B1 (ko) 재생 중인 라이브 영상의 탐색을 위한 썸네일을 요청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56859A (ko) 동영상 콘텐츠의 미리보기 동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US202203910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posing online content
KR102172611B1 (ko)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