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879B1 -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879B1
KR102512879B1 KR1020207027238A KR20207027238A KR102512879B1 KR 102512879 B1 KR102512879 B1 KR 102512879B1 KR 1020207027238 A KR1020207027238 A KR 1020207027238A KR 20207027238 A KR20207027238 A KR 20207027238A KR 102512879 B1 KR102512879 B1 KR 102512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s
media player
touch
manipulatio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884A (ko
Inventor
정재헌
류대원
조민경
조성용
최진원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32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Abstract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을 통해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재생, 재생중지, 컨텐츠 선택, 컨텐츠 내 탐색, 볼륨 조절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간단히 처리할 수 있도록 UX(user experience) 및/또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아래의 설명은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재생, 재생중지, 컨텐츠 선택, 컨텐츠 내 탐색, 볼륨 조절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간단히 처리할 수 있도록 UX(user experience) 및/또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는 제어 방법, 상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장치,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기 위한 종래기술에서는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한 다양한 조작들 각각에 대응하는 물리적 키 버튼을 제공하거나 또는 다양한 조작들 각각에 대응하는 가상의 버튼을 화면에 나열하는 형태의 UX(user experience) 및/또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19241호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의 대기화면상에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내장된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재생, 재생중지, 컨텐츠 선택, 컨텐츠 내 탐색, 볼륨 조절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간단히 처리할 수 있도록 UX(user experience) 및/또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는 제어 방법, 상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장치, 그리고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그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미디어 플레이어의 제어를 위한 계층화된 복수의 객체들을 관리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의 실행과 연계된 컴퓨터 장치의 터치스크린 화면의 제1 위치에서 터치 입력이 제1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상기 복수의 객체들 중 상위 계층의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된 상위 계층의 객체들 중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되어 제2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된 하위 계층의 객체들 중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제3 위치로 이동되어 제3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계층화된 복수의 객체들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해 기정의된 복수의 조작들을 분류한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상위 계층의 객체들 및 상기 복수의 조작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카테고리들은, (1) 이전 컨텐츠 선택 조작, 다음 컨텐츠 선택 조작,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 및 재생 중지 조작을 포함하는 제1 카테고리, (2)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방향 탐색 조작 및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역방향 탐색 조작을 포함하는 제2 카테고리, 그리고 (3) 볼륨 증가 조작 및 볼륨 감소 조작을 포함하는 제3 카테고리 중 둘 이상의 카테고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제2 위치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기 위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위치가 상기 제2 위치에 가까울수록 상기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기 위한 정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제3 위치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기 위한 정도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기 위한 정도는, 상기 제2 객체의 종류에 따라 탐색 속도의 감소의 정도, 탐색 속도의 증가의 정도, 볼륨 감소의 정도 및 볼륨 증가의 정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위 계층의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상위 계층의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하위 계층의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유지 및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피드백을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미디어 플레이어의 제어를 위한 계층화된 복수의 객체들을 관리하고,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의 실행과 연계된 컴퓨터 장치의 터치스크린 화면의 제1 위치에서 터치 입력이 제1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상기 복수의 객체들 중 상위 계층의 객체들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된 상위 계층의 객체들 중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되어 제2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된 하위 계층의 객체들 중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제3 위치로 이동되어 제3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재생, 재생중지, 컨텐츠 선택, 컨텐츠 내 탐색, 볼륨 조절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간단히 처리할 수 있도록 UX(user experience)/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위 계층의 객체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위 계층의 객체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은 이후 설명될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컴퓨터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디바이스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디바이스 1(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 1(110)은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디바이스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컨텐츠 제공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검색 서비스, 메일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앞서 도 1에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통신 환경의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은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 각각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110)가 서버(150)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일 수 있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디바이스(110)가 서버(150)와의 별도의 통신 없이 전자 디바이스(110)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에는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200)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원 재생 공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0, 120, 130, 140)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터치스크린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프로그램 코드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코드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도 3의 제어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310 내지 34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미디어 플레이어의 제어를 위한 계층화된 복수의 객체들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단계(310)에서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해 기정의된 복수의 조작들을 분류한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위 계층의 객체들 및 복수의 조작들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들은 (1) 이전 컨텐츠 선택 조작, 다음 컨텐츠 선택 조작,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 및 재생 중지 조작을 포함하는 제1 카테고리, (2)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방향 탐색(seek) 조작 및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역방향 탐색 조작을 포함하는 제2 카테고리, 그리고 (3) 볼륨 증가 조작 및 볼륨 감소 조작을 포함하는 제3 카테고리 중 둘 이상의 카테고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현재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 및 재생 중지하기 위한 제1 조작, 현재 선택된 컨텐츠의 이전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조작 및 현재 선택된 컨텐츠의 다음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3 조작이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1 카테고리는 상위 계층의 객체 1-1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위 계층의 객체 1-1은 제1 조작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 2-1, 제2 조작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 2-2 및 제3 조작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 2-3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의 객체 1-1이 선택되는 경우, 하위 계층의 객체 2-1, 객체 2-2 및 객체 2-3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방향 탐색을 위한 제4 조작 및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역방향 탐색을 위한 제5 조작이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2 카테고리는 상위 계층의 객체 1-2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위 계층의 객체 1-2는 제4 조작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 2-4 및 제5 조작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 2-5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의 객체 1-2가 선택되는 경우, 하위 계층의 객체 2-4 및 객체 2-5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볼륨 증가를 위한 제6 조작 및 볼륨 감소를 위한 제7 조작이 제3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3 카테고리는 상위 계층의 객체 1-3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위 계층의 객체 1-3은 제6 조작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 2-6 및 제7 조작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 2-7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의 객체 1-3이 선택되는 경우, 하위 계층의 객체 2-6 및 객체 2-7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객체들의 계층화는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해 기정의된 조작들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셋 이상으로 계층화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객체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재생을 위한 조작과 재생 중지를 위한 조작이 제3 계층을 통해 개별 객체들로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동영상의 재생을 위해 화면의 밝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조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미디어 플레이어의 실행과 연계된 컴퓨터 장치의 터치스크린 화면의 제1 위치에서 터치 입력이 제1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화면의 제1 위치에서 터치 입력이 1초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복수의 객체들 중 상위 계층의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터치 입력의 최초 위치인 제1 위치에 기초하여 상위 계층의 객체들이 터치스크린 화면 상에서 표시되는 위치, 즉 상위 계층의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위치는, 터치스크린 화면 상에서 임의의 객체가 다른 객체들 및 다른 화상 요소들과 구분되어 표시되는 영역에 포함된 점들 중 어느 하나의 점(일례로, 중심점)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제1 카테고리, 제2 카테고리 및 제3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위 계층의 객체 1-1, 객체 1-2 및 객체 1-3 각각의 중심점이 터치 입력의 최초 좌표(일례로, 터치스크린 화면상에서의 좌표)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면서 정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도록 객체 1-1, 객체 1-2 및 객체 1-3 각각의 위치를 동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만약, 상위 계층의 객체가 두 개인 경우에는 두 개의 객체 각각의 중심점이 터치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위치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면서 터치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위치의 상하, 좌우 또는 기설정된 각도 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두 개의 객체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위 계층의 객체가 네 개인 경우에는 네 개의 객체들 각각의 중심점이 정사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면서 터치 입력의 최초 좌표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네 개의 객체들 각각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객체들의 배열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그 표시 위치가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라 동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객체 1-1, 객체 1-2 및 객체 1-3 각각은 동적으로 계산된 위치에 상기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표시될 수 있다. 만약, 단계(320)에서 터치 입력이 해제(release)되면, 컴퓨터 장치(200)는 상위 계층의 객체들의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터치 입력이 제1 위치로부터 표시된 상위 계층의 객체들 중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되어 제2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제1 위치에서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 후 0.5초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제1 객체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의 객체들로서 객체 1-1, 객체 1-2 및 객체 1-3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의 위치가 객체 1-1이 표시된 영역 상의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객체 1-1, 객체 1-2 및 객체 1-3 대신 객체 1-1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 2-1, 객체 2-2 및 객체 2-3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200)는 제 2 위치에 기초하여 하위 계층의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320)에서 터치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위치는 객체 1-1, 객체 1-2 및 객체 1-3의 중심점일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의 위치가 객체 1-1이 표시된 위치로 이동 및 유지되는 경우, 컴퓨터 장치(200)는 해당 위치(제2 위치)를 기준으로 객체 1-1의 하위 계층의 객체들인 객체 2-1, 객체 2-2 및 객체 2-3 각각의 위치를 동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컴퓨터 장치(200)는 객체 2-1, 객체 2-2 및 객체 2-3 각각의 중심점이 터치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위치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면서 정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도록 객체 2-1, 객체 2-2 및 객체 2-3 각각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객체들의 배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그 표시 위치가 이동되어 유지되고 있는 터치 입력의 현재 좌표에 따라 동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단계(34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터치 입력이 제2 위치로부터 표시된 하위 계층의 객체들 중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제3 위치로 이동되어 제3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제2 위치에서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제3 위치로 이동 후 0.5초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조작을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320)에서 객체 1-1이 선택되어 단계(330)에서 객체 2-1, 객체 2-2 및 객체 2-3이 표시되고, 단계(340)에서 객체 2-1이 선택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객체 2-1은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재생 및 재생 중지를 위한 제1 조작에 대응할 수 있으며, 미디어 플레이어에는 재생 조작 또는 재생 중지 조작이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선택된 컨텐츠가 재생중인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에는 재생 중지 조작이 적용될 수 있으며,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선택된 컨텐츠가 재생되기 이전인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에는 재생 조작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화면을 터치한 후, 터치의 위치를 객체 1-1로 이동시킨 후 다시 객체 2-1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한 재생 조작 또는 재생 중지 조작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객체들의 표시 위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에 기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한 손으로 간편하게 이러한 재생 조작 또는 재생 중지 조작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단계(320)에서 객체 1-1이 선택되어 단계(330)에서 객체 2-1, 객체 2-2 및 객체 2-3이 표시되고, 단계(340)에서 객체 2-2가 선택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객체 2-2는 현재 선택된 컨텐츠의 이전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조작에 대응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역시 터치스크린 화면을 터치하여, 터치의 위치를 객체 1-1로 이동시킨 후, 객체 2-2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이전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터치의 위치를 객체 1-1로 이동시킨 후, 객체 2-3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다음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는 터치의 위치를 객체 1-2나 객체 1-3으로 이동시킨 후, 하위 계층의 객체(상위 계층의 객체 1-2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 2-4나 객체 2-5 또는 상위 계층의 객체 1-3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 2-6이나 객체 2-7)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한 손 동작만으로 정방향 탐색, 역방향 탐색, 볼륨 조절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위 계층의 객체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앞서 설명한 컴퓨터 장치(200)의 예로서 스마트폰(400)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1 화면(410)에서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앨범의 트랙 이미지(420)가 표시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사용자가 제1 화면(410)에서 제1 위치(430)를 터치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스마트폰(400)은 제2 화면(440)에서와 같이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상위 계층의 객체들로서 재생 조작을 위한 객체(450), 탐색 조작을 위한 객체(460) 및 볼륨 조작을 위한 객체(47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터치는 제1 위치(430)에 유지되고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가 해제되는 경우 객체들(450, 460, 470)의 표시 역시 해제될 수 있다. 이때, 객체들(450, 460, 470)의 표시와 관련된 터치의 인식은 제1 화면(410)의 전체 영역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제1 화면(410)의 기설정되는 일부 영역으로 한정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유지되고 있는 터치의 위치를 표시되어 있는 객체들(450, 460, 470)의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위 계층의 객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마트폰(400)은 선택된 상위 계층의 객체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위 계층의 객체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의 제1 화면(510)은 도 4의 제2 화면(440)에서 사용자가 유지되고 있는 터치의 위치를 제1 위치(430)에서 재생 조작을 위한 객체(450)상의 제2 위치(520)로 이동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재생 조작을 위한 객체(450)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들이 제2 위치(520)에 기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5의 제2 화면(530)은 재생 조작을 위한 객체(450)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들로서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 및 재생중지를 위한 객체(540), 이전 컨텐츠의 선택을 위한 객체(550) 및 다음 컨텐츠의 선택을 위한 객체(560)를 제2 위치(520)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터치가 유지되는 위치를 하위 계층의 객체들 중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하위 계층의 객체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이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위치를 제2 위치(520)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 및 재생중지를 위한 객체(540)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재생이 개시 또는 중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터치 위치를 제2 위치(520)에서 이전 컨텐츠의 선택을 위한 객체(550)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재생 목록에서 현재 선택된 컨텐츠의 이전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터치 위치를 제2 위치(520)에서 다음 컨텐츠의 선택을 위한 객체(560)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재생 목록에서 현재 선택된 컨텐츠의 다음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
도 6의 제1 화면(610)은 도 4의 제2 화면(440)에서 사용자가 유지되고 있는 터치의 위치를 제1 위치(430)에서 탐색 조작을 위한 객체(460)상의 제3 위치(620)로 이동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탐색 조작을 위한 객체(460)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들이 제3 위치(620)에 기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6의 제2 화면(630)은 탐색 조작을 위한 객체(460)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들로서 정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40) 및 역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50)를 제3 위치(620)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터치가 유지되는 위치를 하위 계층의 객체들 중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하위 계층의 객체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이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위치를 제3 위치(620)에서 정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40)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방향 탐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정방향 탐색의 정도는 사용자의 터치가 정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40)상에 계속 위치하고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정방향 탐색의 정도는 사용자의 터치의 정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40)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의 정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40)상에서의 터치 위치가 제3 위치(620)에 가까울수록 정방향으로의 탐색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제3 위치(620)로부터 멀어질수록 정방향으로의 탐색 속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정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40)상에서의 터치 위치가 정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40)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정방향으로의 탐색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정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40)의 가장자리에 가까울수록 정방향으로의 탐색 속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제3 위치(620)에서 역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50)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역방향 탐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역방향 탐색의 정도는 사용자의 터치가 역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50)상에 계속 위치하고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역방향 탐색의 정도는 사용자의 터치의 역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50)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의 역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50)상에서의 터치 위치가 제3 위치(620)에 가까울수록 역방향으로의 탐색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제3 위치(620)로부터 멀어질수록 역방향으로의 탐색 속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역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50)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역방향으로의 탐색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역방향 탐색을 위한 객체(650)의 가장자리에 가까울수록 역방향으로의 탐색 속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도 7의 제1 화면(710)은 도 4의 제2 화면(440)에서 사용자가 유지되고 있는 터치의 위치를 제1 위치(430)에서 볼륨 조작을 위한 객체(470)상의 제4 위치(720)로 이동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볼륨 조작을 위한 객체(470)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들이 제4 위치(720)에 기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7의 제2 화면(730)은 볼륨 조작을 위한 객체(470)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들로서 볼륨 증가를 위한 객체(740) 및 볼륨 감소를 위한 객체(750)를 제4 위치(720)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터치가 유지되는 위치를 하위 계층의 객체들 중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킴에 따라 하위 계층의 객체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이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위치를 제4 위치(720)에서 볼륨 증가를 위한 객체(740)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볼륨이 증가될 수 있다. 이때, 볼륨의 증가 정도는 사용자의 터치가 볼륨 증가를 위한 객체(740)상에 계속 위치하고 있는 시간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볼륨 증가의 정도는 사용자의 터치의 볼륨 증가를 위한 객체(740)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의 볼륨 증가를 위한 객체(740)상에서의 터치 위치가 제4 위치(720)에 가까울수록 볼륨 증가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제4 위치(720)로부터 멀어질수록 볼륨 증가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볼륨 증가를 위한 객체(740)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볼륨 증가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볼륨 증가를 위한 객체(740)의 가장자리에 가까울수록 볼륨 증가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제4 위치(720)에서 볼륨 감소를 위한 객체(750)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에 따른 볼륨이 감소될 수 있다. 이때, 볼륨 감소의 정도는 사용자의 터치가 볼륨 감소를 위한 객체(750)상에 계속 위치하고 있는 시간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볼륨 감소의 정도는 사용자의 터치의 볼륨 감소를 위한 객체(750)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의 볼륨 감소를 위한 객체(750)상에서의 터치 위치가 제4 위치(720)에 가까울수록 볼륨 감소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제4 위치(720)로부터 멀어질수록 볼륨 감소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볼륨 감소를 위한 객체(750)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볼륨 감소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볼륨 감소를 위한 객체(750)의 가장자리에 가까울수록 볼륨 감소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실시예들에서 터치스크린 화면에 객체들이 표시되는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조작하는 중임을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객체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딤드(deemed)되거나 또는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에 도미넌트 컬러(dominant color)를 적용하여 객체들이 부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의 터치가 객체상으로 이동함에 따른 피드백이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사용자의 하나의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이동됨에 따라 미디어 플레이어가 조작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객체의 선택을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터치가 객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술한 스마트폰(400)은 진동, 화면의 밝기 조절, 객체 조작(일례로, 객체가 흔들리는 모습을 화면에 표시) 등과 같은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미디어 플레이어의 조작을 위한 계층화된 객체들이 사용자의 터치 위치에 기반하여 계층별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계층화된 객체들을 손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재생, 재생중지, 컨텐츠 선택, 컨텐츠 내 탐색, 볼륨 조절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간단히 처리할 수 있도록 UX(user experience) 및/또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이러한 기록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으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제어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미디어 플레이어의 제어를 위한 계층화된 복수의 객체들을 관리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의 실행과 연계된 상기 컴퓨터 장치의 터치스크린 화면의 제1 위치에서 터치 입력이 제1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상기 복수의 객체들 중 상위 계층의 객체들을 상기 제1 위치와 연계된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된 상위 계층의 객체들 중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되어 제2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표시된 상위 계층의 객체들의 표시를 해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위치와 연계된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된 하위 계층의 객체들 중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제3 위치로 이동되어 제3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화된 복수의 객체들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해 기정의된 복수의 조작들을 분류한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상위 계층의 객체들 및 상기 복수의 조작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관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들은, (1) 이전 컨텐츠 선택 조작, 다음 컨텐츠 선택 조작,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 및 재생 중지 조작을 포함하는 제1 카테고리, (2)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방향 탐색 조작 및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역방향 탐색 조작을 포함하는 제2 카테고리, 그리고 (3) 볼륨 증가 조작 및 볼륨 감소 조작을 포함하는 제3 카테고리 중 둘 이상의 카테고리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제2 위치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기 위한 정도를 조절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위치가 상기 제2 위치에 가까울수록 상기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기 위한 정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제3 위치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기 위한 정도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기 위한 정도는, 상기 제2 객체의 종류에 따라 탐색 속도의 감소의 정도, 탐색 속도의 증가의 정도, 볼륨 감소의 정도 및 볼륨 증가의 정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의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상위 계층의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하위 계층의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유지 및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피드백을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0. 미디어 플레이어의 제어를 위한 계층화된 복수의 객체들을 관리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의 실행과 연계된 컴퓨터 장치의 터치스크린 화면의 제1 위치에서 터치 입력이 제1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상기 복수의 객체들 중 상위 계층의 객체들을 상기 제1 위치와 연계된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된 상위 계층의 객체들 중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되어 제2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표시된 상위 계층의 객체들의 표시를 해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위치와 연계된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된 하위 계층의 객체들 중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제3 위치로 이동되어 제3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화된 복수의 객체들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해 기정의된 복수의 조작들을 분류한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상위 계층의 객체들 및 상기 복수의 조작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관리하는,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제2 위치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기 위한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의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상위 계층의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하위 계층의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유지 및 상기 터치 입력의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피드백을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7.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미디어 플레이어의 제어를 위한 계층화된 복수의 객체들을 관리하고,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의 실행과 연계된 컴퓨터 장치의 터치스크린 화면의 제1 위치에서 터치 입력이 제1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상기 복수의 객체들 중 상위 계층의 객체들을 상기 제1 위치와 연계된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된 상위 계층의 객체들 중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되어 제2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표시된 상위 계층의 객체들의 표시를 해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을 통해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상기 제1 객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위치와 연계된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된 하위 계층의 객체들 중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제3 위치로 이동되어 제3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제2 객체에 대응하는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는,
    컴퓨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해 기정의된 복수의 조작들을 분류한 카테고리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상위 계층의 객체들 및 상기 복수의 조작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하위 계층의 객체들을 관리하는,
    컴퓨터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3 위치와 상기 제2 위치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을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에 적용하기 위한 정도를 조절하는,
    컴퓨터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하위 계층의 객체들의 표시 위치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207027238A 2018-04-12 2018-04-12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12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4287 WO2019198844A1 (ko) 2018-04-12 2018-04-12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884A KR20200132884A (ko) 2020-11-25
KR102512879B1 true KR102512879B1 (ko) 2023-03-22

Family

ID=6816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238A KR102512879B1 (ko) 2018-04-12 2018-04-12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83295B6 (ko)
KR (1) KR102512879B1 (ko)
WO (1) WO201919884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463B1 (ko) * 2008-12-09 2010-12-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JP2012168939A (ja) * 2011-02-11 2012-09-06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情報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4178B2 (en) * 2007-06-12 2011-12-06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feedback display
KR20120031776A (ko) * 2010-09-27 2012-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115186B1 (ko) * 2013-11-22 202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92630A (ko) * 2014-02-05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561200B1 (ko) * 2014-02-10 202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JP2016115208A (ja) * 2014-12-16 2016-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入力装置、ウェアラブル端末、携帯端末、入力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入力装置の動作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463B1 (ko) * 2008-12-09 2010-12-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JP2012168939A (ja) * 2011-02-11 2012-09-06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情報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884A (ko) 2020-11-25
JP2021528713A (ja) 2021-10-21
JP7183295B2 (ja) 2022-12-05
WO2019198844A1 (ko) 2019-10-17
JP7183295B6 (ja)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35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keyword search using messaging service
KR102137240B1 (ko)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20190196683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N105191327A (zh) 用于显示多面体图形用户界面的显示装置和显示方法
US11341966B2 (en) Output for improving information delivery corresponding to voice request
US11567638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reputation badge for video chat
JP2021044804A (ja) 映像通話をしながら使用する360度パノラマ背景提供方法および装置
US11343468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communication using video call bot
US20220300144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chatroom in 3d form
KR101949493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200177967A1 (en) Adjustments to video playing on a computer
US1023503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512879B1 (ko)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700685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20186B1 (ko) 사용자 피드백을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KR101918705B1 (ko) 인지 부하를 줄이기 위한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493345B1 (ko)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영상 탐색 방법 및 시스템
US202203910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posing online content
KR102257442B1 (ko) 사용자의 상황에 반응하는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027738A (ko) 음원 재생목록 생성 방법
US20220134235A1 (en) Software ownership validation of optical discs using secondary device
KR20230157692A (ko) 영상 콘텐츠 내 사용자 감정표현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210029635A (ko) 영상 통화를 하면서 사용하는 360도 파노라마 배경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00140A (ko) 공간 단위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2020165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