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947A -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947A
KR20130059947A KR1020110126208A KR20110126208A KR20130059947A KR 20130059947 A KR20130059947 A KR 20130059947A KR 1020110126208 A KR1020110126208 A KR 1020110126208A KR 20110126208 A KR20110126208 A KR 20110126208A KR 20130059947 A KR20130059947 A KR 20130059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airbag
seatback
deployed
vehicle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7412B1 (ko
Inventor
김용운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41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9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량의 사고 발생시 시트백 내부 일측으로부터 시트백 외부로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방향을 일정하게 유도해 주는 별도의 부재가 없었기 때문에, 시트백 내부로부터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될 경우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방향이 올바르지 않아서 탑승자에게 오히려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등받이인 시트백 내부에 설치되어 사고 시에 승객의 측면을 보호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 차량의 시트백(110)의 마감부(120)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가 구비되는 시트백 패드(100);와 차량의 사고 발생시 시트백(110) 내부의 시트백 패드(100)에 구비되는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의 외부 일측으로 전개되도록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에 구비되는 사이드 에어백(200);과 시트백(110)의 마감부(120)보다 신장하기 어려운 소재로 형성되어 시트백 패드(100)의 외측 면에 구비되되, 시트백 패드(100)의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200)이 일 방향으로만 전개되도록 사이드 에어백(200)이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310)가 일측에 구비되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300);로 이루어지며, 시트백(110)의 마감부(120) 일측에는 에어백 전개 유도부(300)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310)와 대응되는 곳에 펀칭 홀(180)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시트백 패드(100)의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200)이 용이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air bag built-in seat structur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이드 에어백이 설치되는 시트백 패드 외측 벽에 시트백의 마감부인 가죽이나 인조가죽 또는 직물 등의 소재보다 신장되기 어려운 소재로 형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를 구비하고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 일측에는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를 형성하여, 차량의 사고로 인해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백의 내부로부터 전개될 때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백의 다른 부위를 통해 전개되지 않고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를 통해서만 전개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안전벨트와 더불어 대표적인 탑승객 보호장치인 것이다.
에어백 시스템은 검지 시스템과 에어백 모듈로 이루어져 있는데, 검지 시스템은 센서·배터리·진단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며,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과 작동기체 팽창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센서에 의해 충돌이 감지되면 작동기체장치가 폭발되며, 폭발가스로 인해 순간적으로 에어백이 부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충돌부터 에어백이 완전히 작동되는 시간은 보통 50/1,000초 정도의 짧은 시간인 것이다.
에어백에 사용되는 가스는 고체의 급격한 연소로 발생되는 고압가스나 고압가스 용기에 저장된 기체를 사용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은 운전석 에어백과 작동 원리는 같으며 측면충돌을 감지하는 센서가 차량 좌.우측 에어백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이드 에어백은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 안에 장착되어 있으며, 차량에 충돌이 감지되면 운전석 에어백과 동시에 전개될 수도 있고 사이드 에어백만 전개될 수도 있는 것이다.
사이드 에어백은 차량의 측면충돌 시 탑승자를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한 에어백이지만, 차량의 정면충돌과 경사충돌 때도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즉, 차량의 시트백의 바깥쪽 측면 내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은 차량의 사고로 인해 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면 전개되어 탑승자를 차량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시트백 내부의 시트백 패드 일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은 센서에 의해 에어백이 전개되면서 시트백 마감부의 봉제부를 통해 시트백의 측면으로 전개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시트백 패드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될 때, 순간적인 폭발력에 의해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의 특성 때문에 미리 정해진 시트백의 봉제부로 전개되지 않고, 다른 곳에 형성되는 봉제부나 또는 마감재를 뚫고 전개되기 때문에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되는 시트백의 봉제부가 견고하게 박음질 되어 있어서, 사고로 인해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될 때,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백의 다른 곳을 뚫고 전개되어 오히려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사고로 인해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백의 내부로부터 전개될 때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백의 다른 부위를 통해 전개되지 않고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를 통해서만 전개될 수 있도록, 사이드 에어백이 설치되는 시트백 패드 외측 벽에 시트백의 마감부인 가죽이나 인조가죽 또는 직물 등의 소재보다 신장되기 어려운 소재로 형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를 구비하고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 일측에는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를 형성하여, 시트백 패드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될 때, 순간적인 폭발력에 의해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의 특성 때문에 미리 정해진 시트백의 봉제부로 전개되지 않고, 다른 곳에 형성되는 봉제부나 또는 마감재를 뚫고 전개되기 때문에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되는 시트백의 봉제부가 견고하게 박음질 되어 있어서, 사고로 인해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될 때,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백의 다른 곳을 뚫고 전개되어 오히려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등받이인 시트백 내부에 설치되어 사고시에 승객의 측면을 보호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 차량의 시트백의 마감부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가 구비되는 시트백 패드;와 차량의 사고 발생시 시트백 내부의 시트백 패드에 구비되는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의 외부 일측으로 전개되도록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에 구비되는 사이드 에어백;과 시트백의 마감부보다 신장하기 어려운 소재로 형성되어 시트백 패드의 외측 면에 구비되되, 시트백 패드의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이 일 방향으로만 전개되도록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가 일측에 구비되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시트백의 마감부 일측에는 에어백 전개 유도부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와 대응되는 곳에 펀칭 홀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시트백 패드의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이 용이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시트백 패드의 외측 면에 구비되는 에어백 전개 유도부를 시트백 패드와 일체로 형성하여, 시트백 패드의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에서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될 경우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방향을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로 유도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이 설치되는 시트백 패드 외측 벽에 시트백의 마감부의 소재보다 신장되기 어려운 소재로 형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를 구비하고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 일측에는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를 형성하여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 시에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를 통해서만 외부로 전개되게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사고로 인해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될 경우 항상 일정한 위치에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되어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백의 내부로부터 전개될 때 시트백의 봉제부가 아닌 별도로 형성되는 펀칭 홀을 통해 전개되게 형성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되는 봉제부가 다른 봉제부보다 견고하게 봉제될 경우 사이드 에어백이 다른 봉제부를 통해 잘못된 위치로 전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의 시트백 패드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의 마감재에 펀칭 홀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의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된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의 시트백 패드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의 마감재에 펀칭 홀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의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된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등받이인 시트백 내부에 설치되어 사고시에 승객의 측면을 보호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 차량의 시트백(110)의 마감부(120)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가 구비되는 시트백 패드(100);와 차량의 사고 발생시 시트백(110) 내부의 시트백 패드(100)에 구비되는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의 외부 일측으로 전개되도록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에 구비되는 사이드 에어백(2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백(110)의 마감부(120)보다 신장하기 어려운 소재로 형성되어 시트백 패드(100)의 외측 면에 구비되되, 시트백 패드(100)의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200)이 일 방향으로만 전개되도록 사이드 에어백(200)이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310)가 일측에 구비되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시트백(110)의 마감부(120) 일측에는 에어백 전개 유도부(300)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310)와 대응되는 곳에 펀칭 홀(180)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시트백 패드(100)의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200)이 용이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시트백 패드(100)의 외측 면에 구비되는 에어백 전개 유도부(300)를 시트백 패드(100)와 일체로 형성하여, 시트백 패드(100)의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에서 사이드 에어백(200)이 전개될 경우 사이드 에어백(200)의 전개방향을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310)로 유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차량의 시트 등받이인 시트백(110) 내부에는 시트백 패드(100)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백 패드(100) 외부에는 시트백(110)의 마감재인 가죽이나 인조가죽 또는 직물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마감부(120)가 구비되는 것이다.
시트백(110) 내부의 시트백 패드(100) 내부 일측에는 사이드 에어백(200)이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렇게, 시트백 패드(100)의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200)은 차량의 사고로 인해 센서가 신호를 보내면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시트백(110) 일측으로부터 전개되는 것이다.
이때, 시트백 패드(100)의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 외측 면에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300)가 구비되는데,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300)는 시트백(110)의 마감부(120) 소재보다 쉽게 신장되지 않도록 강도가 강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200)이 시트백 패드(100)의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에서 전개될 경우, 시트백(110)의 마감부(120)를 통해 외부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300) 일측에는 사이드 에어백(200)이 시트백(110) 외부로 전개될 수 있도록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310)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200)이 시트백(110)의 마감부(120)가 아닌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310)를 통해 정해진 위치로 전개되어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사이드 에어백(200)이 정해진 위치가 아닌 시트백(110)의 다른 부위를 통해 전개되거나, 또는 사이드 에어백(200)이 시트백(110)의 정해진 위치를 통해 전개되더라도 사이드 에어백(200)이 전개되면서 시트백(110)의 다른 부위를 팽창시킬 경우,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300)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200)이 전개될 때 여러 조각의 가죽이나 인조가죽 또는 직물을 봉제하여 형성되는 시트백(110)의 마감부(120)의 정해진 봉제부를 통해 전개되는데, 이때 정해진 봉제부가 다른 봉제부에 비해 견고하게 봉제된 경우, 사이드 에어백(200)이 정해진 봉제부가 아닌 다른 봉제부로 전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이드 에어백(200)이 전개되는 시트백(110)의 마감부(120)에 펀칭 홀(18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이드 에어백(200)이 차량의 사고로 인해 전개될 때, 시트백 패드(100) 외측 벽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300)의 유도로 인해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310)를 통해 마감부(120)의 펀칭 홀(180)을 관통하면서 시트백(110) 일측 외부로 전개되는 것이다.
100 : 시트백 패드 110 : 시트백
120 : 마감부 150 :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
180 : 펀칭 홀 200 : 사이드 에어백
300 :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 310 :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

Claims (3)

  1. 차량의 시트 등받이인 시트백 내부에 설치되어 사고시에 승객의 측면을 보호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
    차량의 시트백(110)의 마감부(120)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가 구비되는 시트백 패드(100);와
    차량의 사고 발생시 시트백(110) 내부의 시트백 패드(100)에 구비되는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의 외부 일측으로 전개되도록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에 구비되는 사이드 에어백(200);과
    시트백(110)의 마감부(120)보다 신장하기 어려운 소재로 형성되어 시트백 패드(100)의 외측 면에 구비되되, 시트백 패드(100)의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200)이 일 방향으로만 전개되도록 사이드 에어백(200)이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310)가 일측에 구비되는 사이드 에어백 전개 유도부(3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백(110)의 마감부(120) 일측에는 에어백 전개 유도부(300)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310)와 대응되는 곳에 펀칭 홀(180)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시트백 패드(100)의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200)이 용이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시트백 패드(100)의 외측 면에 구비되는 에어백 전개 유도부(300)를 시트백 패드(100)와 일체로 형성하여,
    시트백 패드(100)의 사이드 에어백 설치부(150)에서 사이드 에어백(200)이 전개될 경우 사이드 에어백(200)의 전개방향을 사이드 에어백 전개부(310)로 유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
KR1020110126208A 2011-11-29 2011-11-29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 KR101357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208A KR101357412B1 (ko) 2011-11-29 2011-11-29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208A KR101357412B1 (ko) 2011-11-29 2011-11-29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947A true KR20130059947A (ko) 2013-06-07
KR101357412B1 KR101357412B1 (ko) 2014-02-05

Family

ID=48858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208A KR101357412B1 (ko) 2011-11-29 2011-11-29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4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184U (ko) * 1998-12-15 2000-07-05 홍종만 사이드 에어백의 초기 전개를 위한 차량용 시트
KR100794031B1 (ko) 2006-10-31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용 측면에어백의 전개가이드 구조
KR101046298B1 (ko) * 2008-01-17 2011-07-04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KR20100125595A (ko) * 2009-05-21 2010-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412B1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535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9896056B2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nd vehicle
KR101020549B1 (ko)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치
KR101620110B1 (ko) 프리크래쉬 사이드에어백 장치
KR100571888B1 (ko) 후방 승객 보호용 에어백장치
JP2006264672A (ja) 乗員拘束装置
US9676365B2 (en) Side airbag device
KR20140124231A (ko) 에어백 모듈의 승객 목 상해 방지장치
JP2014184852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20152206A (ja) 乗員保護装置
JP2006224776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MX2014010843A (es) Bolsa de aire integrada para pasajeros.
US20190299917A1 (en) Passenger protection apparatus for vehicle
JP5549577B2 (ja) 後席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1357412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
JP2015077844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40028875A (ko) 사이드에어백이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JP5455425B2 (ja) エアバッグ
KR101875919B1 (ko) 에어백 장치
KR100806592B1 (ko)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KR20130068965A (ko) 에어백 장치
JP6803910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
KR100835942B1 (ko) 에어백용 테더의 설치구조
JP5335746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654679B1 (ko) 차량의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