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298B1 -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298B1
KR101046298B1 KR1020080054019A KR20080054019A KR101046298B1 KR 101046298 B1 KR101046298 B1 KR 101046298B1 KR 1020080054019 A KR1020080054019 A KR 1020080054019A KR 20080054019 A KR20080054019 A KR 20080054019A KR 101046298 B1 KR101046298 B1 KR 101046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over
seat cover
seat back
s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775A (ko
Inventor
정하균
고재용
송준호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ublication of KR20090079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83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sewing, stitching or thr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002/5808Seat coverings comprising opening zones for airbags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에어백이 내부에 구비된 시트백의 시트커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이드에어백의 에어백쿠션 전개시에 에어백쿠션의 전개방향을 상기 시트커버가 올바른 방향으로 유도 및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이드에어백에 의한 승객의 보호성능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시트커버, 시트백, 사이드에어백, 직물, 니트

Description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Seat Cover Structure of Seatback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백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에 어백이 장착된 시트백에 사용되는 시트커버의 단면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의 사이드에어백은 시트백의 차체 외측방향에 설치되어, 차량의 사고 발생시 승객과 차체 내측면 사이로 에어백쿠션이 전개되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에어백이 시트백에 설치된 구조를 살펴보면, 에어백모듈이 시트백의 프레임 일측에 장착되고, 그 외측에 폼패드가 장착되며, 상기 폼패드의 외측에 시트커버가 씌워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커버는 상기 사이드에어백의 전개시 분리되어 에어백쿠션이 적절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개되도록 할 수 있는 위치에 커버봉제선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사고 발생시 사이드에어백이 작동되면, 상기 에어백쿠션은 인플레이터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폼패드와 시트커버를 찢고 돌출되면서 전개되는데, 이때 상기 에어백쿠션은 상기 시트커버의 의도된 커버봉제선을 뜯고 전개되어야, 승객과 차체 사이의 적절한 위치로 전개되어 완충작용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시트커버의 의도된 커버봉제선이 아닌 다른 부위가 파단되어 에어백쿠션의 전개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사이드에어백의 적절한 완충작용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이드에어백의 에어백쿠션 전개시에 에어백쿠션의 전개방향을 올바른 방향으로 유도 및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이드에어백에 의한 승객의 보호성능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는
내부에 에어백모듈이 구비된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의 내측면에는 직물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모듈의 에어백쿠션이 전개될 때 뜯어져서,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개방향을 유도하도록 봉제에 의해 결합된 커버봉제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커버의 단면구조는
시트커버의 외측면을 이루는 외피층이 구비되고;
상기 외피층의 내측에 탄성을 가진 해면상의 다공질물질로 이루어진 완충층이 구비되며;
상기 완충층의 내측면에 상기 직물이 일체로 가열융착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직물은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서, 잘 늘어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파단강도가 상기 커버봉제선의 봉제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이드에어백이 내부에 구비된 시트백의 시트커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이드에어백의 에어백쿠션 전개시에 에어백쿠션의 전개방향을 상기 시트커버가 올바른 방향으로 유도 및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이드에어백에 의한 승객의 보호성능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내부에 에어백모듈이 구비된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1)의 내측면에는 직물(3)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모듈(5)의 에어백쿠션(7)이 전개될 때 뜯어져서, 상기 에어백쿠션(7)의 전개방향을 유도하도록 봉제에 의해 결합된 커버봉제선(9)이 구비된 구조이다.
즉, 상기 시트백(11)에 구비된 사이드에어백의 에어백모듈(5)이 작동되어, 에어백쿠션(7)이 팽창될 때, 상기 에어백쿠션(7)은 상기 시트커버(1)의 직물(3)에 의해 상기 커버봉제선(9) 이외의 부위로 팽창되지 않고, 상기 커버봉제선(9)을 뜯으면서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서 전개되도록 된 것이다.
참고로, 도 1에서 상기 시트커버(1)와 에어백모듈(5) 사이에는 폼패드(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시트커버(1)의 단면구조는 시트커버(1)의 외측면을 이루는 외피층(15)이 구비되고; 상기 외피층(15)의 내측에 탄성을 가진 해면상의 다공질물질로 이루어진 완충층(17)이 구비되며; 상기 완충층(17)의 내측면에 상기 직물(3)이 일체로 가열융착된 구조이다.
상기 외피층(15)은 승객이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서, 통상 가죽이나 인조가죽 또는 비닐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층(17)은 스폰지와 같은 재료가 사용되어 시트커버(1) 자체가 일정한 탄성 내지는 쿠션을 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직물(3)은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서, 잘 늘어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파단강도가 상기 커버봉제선(9)의 봉제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직물(3)은 종래의 시트커버(1)와 본 발명의 시트커버(1)를 구별시키는 중요한 차이점 중의 하나로서, 종래의 시트커버(1)는 본 발명의 직물(3)이 사용된 위치에 상기와 같은 직물(3)이 사용되지 않고, 니트가 사용되어 직물(3)에 비하여 잘 늘어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파단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서, 에어백쿠션(7)에서 가하는 압력에 의해 시트커버(1)가 늘어나면서 임의의 불특정 위치가 파단되어 에어백쿠션(7)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직물(3)은 이와 달리 잘 늘어나지 않아서, 시트커버(1)의 커버봉제선(9)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자체의 파단강 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임의의 불특정 위치가 파단되지 않고 반드시 커버봉제선(9)이 뜯어지도록 하여, 에어백쿠션(7)의 전개가 본래의 설계 의도대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여, 사이드에어백이 작동됨에 의해 상기 에어백쿠션(7)이 팽창하게 되면, 상기 에어백쿠션(7)은 상기 시트커버(1)의 내측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시트커버(1)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시트커버(1)는 상기 커버봉제선(9) 부분이 뜯어져서, 상기 에어백쿠션(7)이 전개될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 공간을 통해 상기 에어백쿠션(7)은 원활하게 정확한 위치로 전개된다.
이때, 상기 에어백쿠션(7)이 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시트커버(1)가 의도되지 않은 임의의 위치가 파단되어 에어백쿠션(7)이 잘못된 방향으로 전개되는 현상은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고 방지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시트커버(1)의 내측에 구비된 직물(3)이 제공하는 물리적 특성에 기인한다.
즉, 상기 직물(3)은 상기 에어백쿠션(7)이 전개하면서 가하는 압력에 의해서 쉽게 늘어나거나 파단되어 임의의 위치가 찢어지지 않는 특성을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7)이 가하는 크고 갑작스러운 압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커버봉제선(9) 이외의 부분이 뜯어지거나 상기 커버봉제선(9)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설계시에 상기 커버봉제선(9)을 뜯어서 형성되는 공간을 통 해 전개되도록 되어 있던 사이드에어백의 에어백쿠션(7)이 당초의 설계 의도대로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한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이드에어백의 에어백쿠션(7)은 승객과 차체 사이의 적절한 위치로 정확하게 전개됨으로써, 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완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능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상기 시트커버(1)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직물(3)은 시트백의 가로방향의 연신율이 세로방향의 연신율에 비해 낮은 연신율을 가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시트커버(1)를 이루는 외피층(15) 및 완충층(17)은 상기한 실시예와 같지만, 상기 완충층(17)의 내측면에 가열융착되는 상기 직물(3)의 가로방향 연신율을 세로방향의 연신율에 비하여 낮게 함으로써, 사이드에어백의 에어백쿠션(7)이 전개될 때, 가로방향으로 늘어나지 않고 바로 상기 커버봉제선(9)을 뜯고 정확한 방향으로 적절한 시기에 에어백쿠션(7)이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커버봉제선(9)은 기본적으로 상기 시트백(11)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직물(3)의 시트백(11)의 가로방향의 연신율을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상기 직물(3)을 경사(經絲)와 위사(緯絲)가 교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직조하는데, 이때 가로방향의 원사(原絲)인 위사(緯絲)는 연신율 105% 미만의 저신축사(低伸縮絲)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상기 직물(3)을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하되, 가로방향의 원사인 위사는 바인더코팅이 이루어져 신축성이 저하된 것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바인더코팅이란 폴리우레탄이나 에폭시 등과 같은 본드류를 위사에 코팅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바인더코팅이 이루어지면 실의 신축성이 저하되므로 이를 이용한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직물(3)은 마찬가지로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이루어지되, 가로방향의 원사인 위사는 상기 경사에 비해 최소 15%이상 굵은 것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트백(11)의 가로방향을 따르는 연신율이 크게 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직물(3)을 이루는 위사에만 특수한 처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직물(3) 자체에 처리를 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바, 시트백(11)의 가로방향의 연신율이 세로방향의 연신율에 비해 낮은 연신율을 가지도록 함과 아울러 파열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코팅이 상기 직물(3) 자체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코팅의 방법으로는, 직물(3) 전체에 대해 상기와 같은 코팅을 하는 방법이 있겠지만, 이와는 달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길이 a가 상기 커버봉제선(9)을 형성할 부분으로부터 100mm 이내의 범위에만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물(3)의 코팅은 상기 커버봉제선(9)을 형성할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봉제선(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는 빗살모양으로 갈라진 상태로 형성된 다수의 부분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직물(3) 자체에 코팅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기본적으로는 시트백(11)의 가로방향 연신율이 작고 파열되지 않도록 하여, 사이드에어백의 에어백쿠션(7)이 당초의 설계 의도대로 상기 커버봉제선(9)을 찢고 정확한 위치에서 적절한 시간에 올바른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를 설명한 것으로서, 시트백을 수평방향으로 절단한 부분단면도,
도 2와 도 3은 각각 직물에 코팅이 이루어진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시트커버 3; 직물
5; 에어백모듈 7; 에어백쿠션
9; 커버봉제선 11; 시트백
13; 폼패드 15; 외피층
17; 완충층

Claims (10)

  1. 내부에 에어백모듈이 구비된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1)의 내측면에는 직물(3)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모듈(5)의 에어백쿠션(7)이 전개될 때 뜯겨지면서 상기 에어백쿠션(7)의 전개방향을 유도하도록 봉제에 의해 결합된 커버봉제선(9)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커버봉제선(9)은 시트백(11)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물(3)은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니트(KNIT)에 비해 연신율이 낮아서 잘 늘어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커버봉제선(9)의 봉제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파단강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직물(3)은 상기 시트백(11)의 가로방향의 연신율이 세로방향의 연신율에 비해 낮은 연신율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가로방향의 원사인 위사는 연신율 105% 미만의 저신축사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2. 내부에 에어백모듈이 구비된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1)의 내측면에는 직물(3)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모듈(5)의 에어백쿠션(7)이 전개될 때 뜯겨지면서 상기 에어백쿠션(7)의 전개방향을 유도하도록 봉제에 의해 결합된 커버봉제선(9)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커버봉제선(9)은 시트백(11)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물(3)은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니트(KNIT)에 비해 연신율이 낮아서 잘 늘어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커버봉제선(9)의 봉제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파단강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직물(3)은 상기 시트백(11)의 가로방향의 연신율이 세로방향의 연신율에 비해 낮은 연신율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가로방향의 원사인 위사는 바인더코팅이 이루어져 신축성이 저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3. 내부에 에어백모듈이 구비된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1)의 내측면에는 직물(3)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모듈(5)의 에어백쿠션(7)이 전개될 때 뜯겨지면서 상기 에어백쿠션(7)의 전개방향을 유도하도록 봉제에 의해 결합된 커버봉제선(9)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커버봉제선(9)은 시트백(11)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물(3)은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니트(KNIT)에 비해 연신율이 낮아서 잘 늘어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커버봉제선(9)의 봉제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파단강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직물(3)은 상기 시트백(11)의 가로방향의 연신율이 세로방향의 연신율에 비해 낮은 연신율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가로방향의 원사인 위사는 상기 경사에 비해 최소 15%이상 굵게 형성되어 신축성이 저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1)의 단면구조는
    상기 시트커버(1)의 외측면을 이루는 외피층(15)이 구비되고;
    상기 외피층(15)의 내측에 탄성을 가진 해면상의 다공질물질로 이루어진 완충층(17)이 구비되며;
    상기 완충층(17)의 내측면에 상기 직물(3)이 일체로 가열융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직물(3)에서 가로방향의 원사인 위사에 코팅된 바인더코팅은 폴리우레탄 본드나 또는 에폭시 본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6. 삭제
  7. 삭제
  8. 내부에 에어백모듈이 구비된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1)의 내측면에는 직물(3)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모듈(5)의 에어백쿠션(7)이 전개될 때 뜯겨지면서 상기 에어백쿠션(7)의 전개방향을 유도하도록 봉제에 의해 결합된 커버봉제선(9)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커버봉제선(9)은 시트백(11)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물(3)은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니트(KNIT)에 비해 연신율이 낮아서 잘 늘어나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커버봉제선(9)의 봉제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파단강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직물(3)은 상기 시트백(11)의 가로방향의 연신율이 세로방향의 연신율에 비해 낮은 연신율을 가지도록 하면서 동시에 파열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상기 직물(3) 자체에 코팅이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직물(3)의 코팅은 상기 커버봉제선(9)을 형성할 부분으로부터 100mm 이내의 범위에만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직물(3)의 코팅은 상기 커버봉제선(9)을 형성할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봉제선(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는 빗살모양으로 갈라진 상태로 형성된 다수의 부분에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KR1020080054019A 2008-01-17 2008-06-10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KR101046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5299 2008-01-17
KR1020080005299 2008-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775A KR20090079775A (ko) 2009-07-22
KR101046298B1 true KR101046298B1 (ko) 2011-07-04

Family

ID=4129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019A KR101046298B1 (ko) 2008-01-17 2008-06-10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145A (ko) 2015-04-22 2016-11-02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용 에어백 시트의 시트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412B1 (ko) * 2011-11-29 2014-02-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을 내장한 시트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910B2 (ja) * 1988-03-29 1996-09-11 鬼怒川ゴム工業株式会社 ウェザ―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JP2002079901A (ja) 2000-09-06 2002-03-19 Honda Motor Co Ltd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3220923A (ja) * 2002-01-31 2003-08-05 T S Tec Kk エアーバッグモジュール装備シート
JP2003341461A (ja) 2002-05-29 2003-12-03 Araco Corp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910B2 (ja) * 1988-03-29 1996-09-11 鬼怒川ゴム工業株式会社 ウェザ―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JP2002079901A (ja) 2000-09-06 2002-03-19 Honda Motor Co Ltd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3220923A (ja) * 2002-01-31 2003-08-05 T S Tec Kk エアーバッグモジュール装備シート
JP2003341461A (ja) 2002-05-29 2003-12-03 Araco Corp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145A (ko) 2015-04-22 2016-11-02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용 에어백 시트의 시트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트
KR101701033B1 (ko) 2015-04-22 2017-02-14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용 에어백 시트의 시트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775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3882B2 (ja) 内部テザーを含むエアバッグ及びそれらを形成する方法
JP4932843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6203945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0143356A (ja) シート用サイドエアバッグ構造
JP6540647B2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2013028241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
KR101046298B1 (ko) 차량 시트백의 시트커버 구조
JP5483586B2 (ja) エアバッグ装置
WO2014109162A1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及びそれを備えるエアバッグ装置、並びに車両構造
KR20200086023A (ko)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장치
JP4308169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810264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551554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1283695B1 (ko) 에어백 쿠션
JP2008221904A (ja)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075427B1 (ko) 사이드 에어백 쿠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145218A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KR101537221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JP2014040222A (ja) シート用表皮材およびシート
KR20090026415A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장치
JP2017001658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2017114242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7065563A (ja) シートベルトエアバッグ用織物
KR101316897B1 (ko)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KR101594776B1 (ko) 커튼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