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160A -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화수명 연장 방법 - Google Patents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화수명 연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160A
KR20130059160A KR1020110125330A KR20110125330A KR20130059160A KR 20130059160 A KR20130059160 A KR 20130059160A KR 1020110125330 A KR1020110125330 A KR 1020110125330A KR 20110125330 A KR20110125330 A KR 20110125330A KR 20130059160 A KR20130059160 A KR 20130059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life
weight
parts
cut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아
이종석
이풍옥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2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9160A/ko
Publication of KR2013005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 A01N3/02Keeping cut flowers fresh chemic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크로즈 300 중량부에 대하여 황산알루미늄 0.8 내지 1.2 중량부, 아스코르브산 7.5 내지 10 중량부, 질산마그네슘 1.5 내지 2.5 중량부 및 염화칼슘을 0.4 내지 0.6 중량부로 포함하는 절화수명 연장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절화의 수명을 현저히 연장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고온에서도 절화의 수명 연장효과가 우수하여 절화 유통 시 저온유지 비용 등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화수명 연장 방법{COMPOSITION FOR EXTENDING VASE LIFE OF CUT FLOWER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절화의 수명연장 및 품질 유지를 위해 절화에 처리하는 절화수명연장 조성물 즉, 절화수명 연장제와 이를 이용한 절화수명 연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훼농가에서 생산된 절화의 포장, 운송 및 판매와 관련하여 유통 과정 중 절화의 고품질 및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출하조절을 통한 소득증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절화의 수명연장이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절화의 수확 직후 전처리를 하지 않거나 저온유지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상온에서 수송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온도 등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특히 고온기에 온도 상승으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관상기간이 비교적 짧은 절화의 경우 수확에서부터 판매에 이르기까지 발생할 수 있는 위조, 개화불량 등은 절화의 상품가치를 급격히 떨어뜨리게 된다. 최근 화훼수출이 매우 증가하고 있으나, 그 대상국이 일본 등 비교적 가까운 나라에 머물고 있는 이유도 절화의 보존, 저장 방식의 한계가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 여러 종류의 당(sugar), HQS(8-hydroxy quinoline sulfate), HQC(8-hydroxy quinoline citrate), STS(silver thiosulfate), silver nitrate, 구연산(citric acid), 크리잘 RVB, 락스 또는 지베렐린 등이 절화수명 연장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주로 화학약품들로서 절화의 호흡작용, 증산작용, 그리고 노화를 억제하거나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나, 적정농도 및 사용 시기의 선정 등이 까다롭고 약에 의한 피해를 입히기 쉽다. 또한 절화의 종류에 따라 작용 정도와 효과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비교적 수명연장기간이 짧으며, 별도의 저온시설 및 저온운반시설을 필요로 한다는 점 그리고 공해배출위험이 있다는 점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처리제 중 하나인 STS(silver thiosulfate)는 물질이 불안정하여 상품으로서의 장기보관이 불가능하고, 특히 노화시 많은 양의 에틸렌 가스를 발생하지 않는 장미와 같은 절화류에 대하여 수명 연장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중금속인 은(Ag)을 함유하고 있어 환경오염 유발물질로 분류되어 국제적으로 사용이 제한되거나 금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원활한 유통과 수출증대는 물론 내수시장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농가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유통시 폐기되는 절화의 양을 줄이고 고품질의 절화를 공급할 수 있도록 경제적이면서도 사용이 용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절화수명 연장제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KR 2002-0048057 A KR 10-035661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절화의 수명 연장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종래의 연장제보다 절화수명 연장 효과 및 절화의 품질 유지 효과가 뛰어난 절화수명 연장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크로스(sucrose) 300 중량부에 대하여 황산알루미늄(aluminum sulfate) 0.8 내지 1.2 중량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7.5 내지 10 중량부, 질산마그네슘(magnesium nirate) 1.5 내지 2.5 중량부 및 염화칼슘(calcium chloride)을 0.4 내지 0.6 중량부로 포함하는 절화수명 연장제를 제공한다.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에서 상기 절화는 장미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로 상기 절화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화수명 연장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절화수명 연장방법은 절화수명 연장제로 처리한 절화를 10℃ 내지 40℃에서 온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절화의 수명 연장과 관련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종래의 연장제보다 절화수명 연장 효과 및 절화의 품질 유지 효과가 뛰어난 절화수명 연장제에 관해 연구하던 중, 수크로스(sucrose), 황산알루미늄(aluminum sulfat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질산마그네슘(magnesium nirate) 및 염화칼슘(calcium chloride)을 최적의 함량으로 혼합하는 경우, 즉, 수크로스(sucrose) 300 중량부에 대하여 황산알루미늄(aluminum sulfate) 1 중량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8.8 중량부, 질산마그네슘(magnesium nirate) 2 중량부 및 염화칼슘(calcium chloride)을 0.5 중량부로 혼합하여 제조된 절화수명 연장제는 절화의 품질 유지 효과 및 절화수명 연장효과가 다른 함량비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크로스(sucrose), 황산알루미늄(aluminum sulfat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질산마그네슘(magnesium nirate) 및 염화칼슘(calcium chloride)을 포함하는 절화수명 연장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크로스(sucrose)는 D-글루코스와 D-프럭토스로 이루어지는 이당류를 의미하고, 자당 또는 사카로스라고도 불린다. 상기 수크로스는 광합성 능력이 있는 모든 식물에서 발견된다. 상기 수크로스는 절화 후 일어나는 생화학 및 생리적 과정의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공급하여 절화의 노화가 진행되는 것을 지연시키고, 절화의 증산을 조절하여 수분 불균형을 개선하며, 수분 흡수 증가를 도모하고, 미토콘드리아의 구조 및 기능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통하여 절화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상기 황산알루미늄(aluminum sulfate)은 알루미늄의 황산염을 의미하고, 황산반토라고도 한다. 화학식 Al2(SO4)3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황산알루미늄은 세균의 발육을 저지하여 식물의 유관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용액의 pH를 저하시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절화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다.
상기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은 수용성 비타민의 하나로, 화학식 C6H8O6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아스코르브산은 환원성이 매우 강해 식물체 내에서 탈수소아스코르브산이 되는데, 이 반응은 가역반응으로 식물체 내의 산화환원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절화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상기 질산마그네슘(magnesium nirate)은 마그네슘의 질산염으로 화학식 Mg(NO3)2 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질산마그네슘은 절화의 잎이 황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살균제로서 역할을 하므로 절화의 도관을 막아 절화수명을 단축시키는 미생물이 화병 속에서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절화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다. 또한 칼슘과 길항작용을 하여 칼슘의 흡수를 도와 절화의 수명연장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염화칼슘(calcium chloride)은 염소와 칼슘의 화합물로, 습성이며 물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염화칼슘은 세포벽을 구성하고 있는 펙틴과 반응하여 세포벽을 견고하게 하고, 자체 펙틴 분해효소인 폴리갈락투로나아제(polygalacturonase, PG), 폴리메틸갈락투로나아제(polymethylglacturonase, PMG), 펙티나제(pectinase), 베타칼랄토시다제(β-galatosidase) 또는 셀룰라아제(cellualse) 등의 활성을 못하게 해서 세포 조직의 연화를 방지하여 병원균의 침입을 방지하며, 메티오닌으로부터 에틸렌 생성 경로를 방해하여 에틸렌에 의한 화훼의 시들음을 최대한 연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는 상기 수크로스 3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황산 알루미늄 0.8 내지 1.2 중량부, 상기 아스코르브산 7.5 내지 10 중량부, 상기 질산마그네슘 1.5 내지 2.5 중량부 및 상기 염화캄슘을 0.4 내지 0.6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산 알루미늄은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황산알루미늄이 0.8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절화수명 연장 효과가 미미하고, 1.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사용량 증가에 따른 생산비용이 증가하고 오히려 잎의 마름, 줄기 갈변, 흰 꽃잎의 황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아스코르브산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아스코르브산이 7.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경우 상술한 효과가 감소하고, 10 중량부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사용량 증가에 따라 생산 비용의 증가 되고 오히려 절화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질산마그네슘이 1.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살균 및 절화의 황화를 억제하는 미미하고, 2.5 중량부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절화 내 마그네슘 과잉을 초래하여 꽃잎의 청변 현상이 발생하거나 오히려 절화의 수명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염화칼슘이 0.4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그 연장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0.6 중량부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칼슘함량이 높아져 석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화는 관상을 위하여 재배되고 절단되어 유통되는 모든 식물을 의미하고, 일 예로 장미, 백합, 국화, 안개꽃, 목화, 수국, 튤립, 해바라기, 카네이션 및 후리지아 등이 있고, 바람직하게 장미일 수 있다. 상기 장미는 일 예로 데니스(Denis), 뉴맨(New Man), 핑크홀릭(Pink Holic), 매직 스칼렛(Magic Scalet), 마루샤(Maroussia), 레드선샤인(Red Sunshine) 또는 옐로우킹(Yellow King)등 일 수 있다.
상기 절화수명은 절단된 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하고,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는 이러한 절화의 유통 기간과 관상 기간을 길게하기 위해 식물체에 처리하여 이용하는 제제를 의미한다.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는 바람직하게는 전처리제를 의미하고, 상기 전처리제는 보다 상세하게 절화의 유통 전에 상기 제제를 상기 절화에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절화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의 pH는 pH 2.8 내지 pH 5.5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H 3.0 내지 pH 4.5 일 수 있다.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의 pH가 pH 2.8 내지 pH 5.5 범위 내인 경우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여 절화의 도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절화 자체에 산에 의한 피해를 입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의 제형은 고상 또는 액상일 수 있다.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가 액상인 경우, 절화수명 연장제 1L에 대하여 수크로스 28 내지 32 g, 황산알루미늄 0.08 내지 0.12g, 아스코르브산 0.75 내지 1.0 g, 질산마그네슘 0.15 내지 0.25 g 및 염화칼슘을 0.04 내지 0.06 g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하는 경우 절화수명 연장 효과 및 품질 유지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로 절화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절화수명 연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로 상기 절화를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절화를 상기 연장제에 담그거나, 꽂아 놓거나 또는 상기 연장제를 상기 절화에 뿌리는 등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에 상기 절화를 담그는 침지처리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지처리는 바람직하게는 10시간 내지 75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내지 40시간,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4시간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침지처리는 30℃ 이하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2 내지 28 ℃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침지처리를 저온에서 수행하더라도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으나 저온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므로 2℃ 이상에서 실시하는 것이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고, 상기 절화를 30℃ 이상의 고온에서 침지처리 하는 경우 꽃잎의 증산량이 수분 흡수량보다 많아지므로 꽃잎의 위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30℃ 이하에서 수행하는 바람직하다.
상기 절화수명 연장방법은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로 처리한 상기 절화를 온도처리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처리는 열처리, 스팀 등으로 열을 가하거나 저온을 가하여 보존성을 증대시키는 처리를 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로 처리된 상기 절화를 일정 온도가 유지되는 분위기에서 일정 시간 동안 보관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절화를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로 처리한 후 상기 온도처리를 하는 경우 장기간 고온에서 절화를 유통하는 경우에도 절화의 품질 및 보존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
상기 온도처리하는 온도는 1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7℃, 더욱 바람직하게는 33 내지 36℃ 일 수 있다. 상기 절화를 10℃ 미만으로 처리하는 경우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하고, 40℃를 초과하는 온도로 처리하는 경우 꽃잎 시들음이나 개화를 촉진하게 되어 절화수명을 오히려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온도처리는 12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고, 18 내지 36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절화의 수명을 연장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본 절화수명 연장방법에 따라 절화를 처리하면 절화를 고품질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기간이 길어 지므로, 절화의 수출범위가 더욱 확대되는 산업, 경제적인 효과가 인정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절화수명 연장제는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종래의 처리제와 비교하여 절화의 수명을 더욱 길게 연장할 수 있고, 특히 고온에서의 연장 효과가 우수하여 절화 운송시 저온유지 비용의 절감효과가 있고, 절화를 고품질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기간이 길어 수출 범위가 확대되어 화훼산업의 경제적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절화수명 연장제 조성물의 당의 함량에 따른 절화의 수명 연장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사진의 좌측부터 황산알루미늄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수크로스를 각각 100 중량부, 200 중량부, 300 중량부, 500 중량부 및 1000 중량부로 포함하는 연장제를 처리한 날로부터 7일 후 절화의 품질을 나타낸다.
도 2는 절화수명 연장제 조성물의 황산알루미늄의 함량에 따른 절화의 수명 연장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사진의 좌측부터 수크로스 3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황산알루미늄을 각각 0.5 중량부, 1 중량부, 2 중량부, 4 중량부로 포함하는 연장제 및 황산 알루미늄을 포함하지 않는 연장제로 각각 처리한 날로부터 7일 후 절화의 품질을 나타낸다.
도 3은 절화수명 연장제 조성물의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에 따른 절화의 수명 연장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사진의 좌측부터 수크로스 3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아스코르브산을 각각 1.76 중량부, 8.8 중량부 및 17.6 중량부로 포함하는 연장제로 각각 처리한 날로부터 7일 후 절화의 품질을 나타낸다.
도 4는 절화수명 연장제 조성물의 질산마그네슘의 함량에 따른 절화의 수명 연장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사진의 좌측부터 수크로스 3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질산마그네슘을 각각 0.5 중량부, 1 중량부, 2 중량부, 4 중량부로 포함하는 연장제 및 질산마그네슘을 포함하지 않는 연장제로 각각 처리한 날로부터 7일 후 절화의 품질을 나타낸다.
도 5는 절화수명 연장제 조성물의 염화칼슘의 함량에 따른 절화의 수명 연장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사진의 좌측부터 수크로스 3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염화칼슘을 각각 0.25 중량부, 0.5 중량부, 1 중량부, 2중량부로 포함하는 연장제 및 염화칼슘을 포함하지 않는 연장제로 각각 처리한 날로부터 7일 후 절화의 품질을 나타낸다.
도 6은 화경장을 50㎝로 자르고, 잎을 제거하고, 절화수명 연장제 처리한 데니스와 뉴맨의 처리 후 증류수에 꽂은 날로부터 5일째 되는 날의 품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상부의 흰색장미가 데니스이고, 하부의 분홍색 장미가 스프레이계열인 뉴맨 을 나타낸다. 사진의 왼쪽부터 무처리구(DW), 비교예19, 실시예1, 비교예20, 비교예21, 대조구1 및 대조구2를 나타낸다.
도 7은 화경장을 50㎝로 자르고, 잎을 제거하고, 절화수명 연장제 처리한 데니스와 뉴맨의 처리 후 생체중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세로축은 생체중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처리 후 경과 일 수를 나타낸다. 좌측 그래프가 데니스, 우측 그래프가 뉴맨의 생체중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화경장을 50㎝로 자르고, 잎을 제거하지 않고, 절화수명 연장제 처리한 데니스와 뉴맨의 처리 후 증류수에 꽂은 날로부터 5일째 되는 날의 품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상부의 흰색장미가 데니스이고, 하부의 분홍색 장미가 스프레이계열인 뉴맨 을 나타낸다. 사진의 왼쪽부터 무처리구(DW), 비교예19, 실시예1, 비교예20, 비교예21, 대조구1 및 대조구2를 나타낸다.
도 9는 화경장을 50㎝로 자르고, 잎을 제거하고, 절화수명 연장제 처리한 데니스와 뉴맨의 처리 후 생체중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세로축은 생체중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처리 후 경과 일 수를 나타낸다. 좌측 그래프가 데니스, 우측 그래프가 뉴맨의 생체중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화경장을 70㎝로 자르고, 잎을 제거하지 않고, 절화수명 연장제 처리한 데니스의 처리 후 증류수에 꽂은 날로부터 6일째 되는 날의 품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사진의 왼쪽부터 무처리구(DW), 비교예19, 실시예1, 비교예20, 비교예21, 대조구1 및 대조구2를 나타낸다.
도 11은 화경장을 70㎝로 자르고, 잎을 제거하고, 절화수명 연장제 처리한 데니스와 뉴맨의 처리 후 생체중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세로축은 생체중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처리 후 경과 일 수를 나타낸다. 좌측 그래프가 데니스, 우측 그래프가 뉴맨의 생체중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절화수명 연장제로 처리한 절화장미를 24시간 동안 20, 25, 30 및 35℃에서 각각 온도처리 하고, 온도처리 후 3일째 되는 매직 스칼렛의 품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3은 절화수명 연장제로 처리한 절화장미를 24시간 동안 20, 25, 30 및 35℃에서 각각 온도처리 하고, 온도처리 후 매직 스칼렛의 생체중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세로축은 생체중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처리 후 경과 일 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함량별 절화수명 연장 효과
실시예1 -1. 장미의 준비 및 실험
절화수명 연장제가 장미의 절화수명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스탠다드(standard)계에 대하여 실험을 하였다. 장미는 줄기를 절단하여 물올림을 한 후, 절화장을 50 ㎝로 준비하였다.
물올림한 장미는 각 절화수명 연장제에 16시간 동안 침지처리 한 후, 재절단하고, 3매 하나만 남기고 제거한 뒤 3송이씩 3반복으로 증류수에 꽂았다. 상기 절화수명은 23℃ 항온실에서 증류수에 꽂은 첫날부터 꽃잎이 완전히 노화되는 날까지의 일수를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은 당(sucrose, S), 황산알루미늄(aluminum Sulfate, AS),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ASA), 질산마그네슘(Mg(NO3)2) 및 염화칼슘(CaCl2)을 포함하는 것으로 각 구성 성분의 함량별 절화수명 연장 효과를 평가하였다.
각 실험의 결과는 Duncan의 5% 수준의 다중검정방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1 -2. 당의 함량별 절화수명 연장 효과 확인
절화수명 연장제에서 당의 함량에 따른 절화수명 연장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고, 각 절화수명 연장제에 장미를 16시간 침지처리한 후 각 장미의 절화수명을 측정하였다.
구성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1
조성물
(중량부)
S 100 200 500 1000 300
AS 1 1 1 1 1
AsA 8.8 8.8 8.8 8.8 8.8
Mg(NO3)2 2 2 2 2 2
CaCl2 0.5 0.5 0.5 0.5 0.5
절화수명 (일수) 5.8 4.7 5.2 6.2 8.8
당의 함량에 따른 장미의 수명 연장효과를 살펴 본 결과 당이 300 중량부로 포함된 경우 절화의 수명이 8.8일로 가장 길어, 현저히 우수한 수명 연장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절화수명 연장제 처리 후 7일째 장미의 품질을 평가한 경우에도 당의 함량이 300 중량부인 경우가 가장 우수하여(도 1), 이하 당 300 중량부에 대하여 다른 성분의 함량별 절화수명 연장효과를 평가하였다.
실시예1 -3. 황산알루미늄의 함량별 절화수명 연장 효과 확인
절화수명 연장제에서 황산알루미늄의 함량에 따른 절화수명 연장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고, 각 절화수명 연장제에 장미를 16시간 침지 처리한 후 각 장미의 절화수명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구성성분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실시예1
조성물
(중량부)
S 300 300 300 300 300
AS 0.5 2 4 - 1
AsA 8.8 8.8 8.8 8.8 8.8
Mg(NO3)2 2 2 2 2 2
CaCl2 0.5 0.5 0.5 0.5 0.5
절화수명 (일수) 6.7 3.2 4.2 6.2 8.3
상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산알루미늄의 함량에 따른 장미의 수명 연장효과를 살펴 본 결과 당 300 중량부에 대하여 황산알루미늄이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 절화의 수명이 8.3일로 현저히 길었고, 황산알루미늄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우 오히려 장미의 절화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절화수명 연장제 처리 후 7일 째 장미의 품질을 평가한 경우에도 당 함량 300 중량부에 대하여 황산알루미늄이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가 장미의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1 -4. 아스코르브산의 함량별 절화수명 연장 효과 확인
절화수명 연장제에서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이 절화수명 연장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고, 각 절화수명 연장제에 장미를 16시간 침지처리한 후 각 장미의 절화수명 일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구성성분 비교예9 비교예10 실시예1
조성물
(중량부)
S 300 300 300
AS 1 1 1
AsA 1.76 17.6 8.8
Mg(NO3)2 2 2 2
CaCl2 0.5 0.5 0.5
절화수명 (일수) 6.2 5.3 9.0
상기 표 3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에 따른 장미의 수명 연장효과를 살펴 본 결과, 당 3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스코르브산이 8.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 절화의 수명이 9.0일로 현저히 길었고,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이 상기 8.8 중량부 보다 더 증가하는 경우 오히려 장미의 절화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절화수명 연장제 처리 후 7일째 장미의 품질을 평가한 경우에도 당 함량 3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스코르브산이 8.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가 장미의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1 -5. 질산마그네슘의 함량별 절화수명 연장 효과 확인
절화수명 연장제에서 질산마그네슘의 함량이 절화수명 연장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고, 각 절화수명 연장제에 장미를 16시간 침지 처리한 후 각 장미의 절화수명 일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4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구성성분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비교예14 실시예1
조성물
(중량부)
S 300 300 300 300 300
AS 1 1 1 1 1
AsA 8.8 8.8 8.8 8.8 8.8
Mg(NO3)2 - 0.5 1 4 2
CaCl2 0.5 0.5 0.5 0.5 0.5
절화수명 (일수) 4.8 7.7 3.5 5.2 8.0
상기 표 4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질산마그네슘의 함량에 따른 장미의 수명 연장효과를 살펴 본 결과, 당 300 중량부에 대하여 질산마그네슘이 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 절화의 수명이 8.0일로 현저히 길었고, 질산마그네슘의 함량이 상기 2 중량부 보다 적거나 많은 경우 오히려 장미의 절화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절화수명 연장제 처리 후 7일째 장미의 품질을 평가한 경우에도 당 함량 300 중량부에 대하여 질산마그네슘이 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가 장미의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1 -6. 염화칼슘의 함량별 절화수명 연장 효과 확인
절화수명 연장제에서 염화칼슘의 함량이 절화수명 연장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고, 각 절화수명 연장제에 장미를 16시간 침지 처리한 후 각 장미의 절화수명 일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5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구성성분 비교예15 비교예16 비교예17 비교예18 실시예1
조성물
(중량부)
S 300 300 300 300 300
AS 1 1 1 1 1
AsA 8.8 8.8 8.8 8.8 8.8
Mg(NO3)2 2 2 2 2 2
CaCl2 - 0.25 1 2 0.5
절화수명 (일수) 6.3 6.7 7.8 4.0 8.0
상기 표 5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화칼슘의 함량에 따른 장미의 수명 연장효과를 살펴 본 결과, 당 3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칼슘이 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 절화의 수명이 8.0로 현저히 길었고, 염화칼슘의 함량이 0.5 중량부 보다 적거나 많은 경우 오히려 장미의 절화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절화수명 연장제 처리 후 7일째 되는 날 장미의 품질을 평가한 경우에도 당 함량 3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칼슘이 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경우가 장미의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2> 절화수명 연장 효과 확인
실시예2 -1. 장미의 준비 밀 실험방법
절화수명 연장제의 장미의 절화수명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장미는 스탠다드(standard)계와 스프레이(spray)계 각각에 대하여 줄기를 절단한 후 물올림하여 절화장을 스탠다드계는 50㎝와 70㎝로, 스프레이계는 50㎝로 준비하고, 절화장 50㎝의 장미는 잎을 제거한 줄기와 제거하지 않은 줄기로 나눠 실험을 하였다.
무처리(DW)와 절화수명 연장제로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미사키(Misaki)(100배, 10ml/L)를 대조구1로, 플로랄라이프(Floralife)(100배: 10ml/L)를 대조구2로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물올림 한 장미는 각 절화수명 연장제에 16시간 동안 침지처리 한 후, 50cm 절화장의 길이는 40cm로 재절단한 후 3매엽 하나만 남기고 제거한 후 3송이씩 3번 반복으로 증류수에 꽂았고, 절화장 70cm 장미도 증류수가 든 2L 비이커에 20송이씩 3반복으로 꽂았다. 절화수명은 23℃ 항온실에서 증류수에 꽂은 첫날부터 꽃잎이 완전히 노화되는 날까지의 일수를 계산하여 측정하였고, 생체중 및 품질상태도 함께 조사하였다.
각 실험의 결과는 Duncan의 5% 수준의 다중검정방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단위: 중량부)
비교예19 비교예20 비교예21 실시예1
S(Sucrose) 100 100 100 300
AS(Aluminum Sulfate) 1 - - 1
AsA(Ascorbic acid) 8.8 - - 8.8
HQS - 2 2 -
Mg(NO3)2 2 2 2 2
CaCl2 0.5 - 0.5 0.5
실시예2 -2. 장미의 절화장 , 잎의 제거 여부에 따른 절화수명 연장 효과
(단위: 일수)
데니스(Denis) 뉴맨(New Man)
잎 유지 잎 제거 잎 유지 잎 제거
화경장 50cm 70cm 50cm 50cm 70cm 50cm
무처리(DW) 4.5 b 4.7 d 4.4 ab 4.0 c 4.0 b 4.0 b
비교예20 4.3 b 6.5 c 4.3 b 5.1 bc 4.1 b 5.3 a
비교예21 4.3 b 8.0 b 4.9 ab 7.5 a 4.2 b 4.5 ab
비교예22 4.6 b 7.2 bc 4.9 ab 5.4 abc 4.5 ab 4.0 b
대조구1 5.8 a 6.8 c 4.9 ab 5.4 abc 4.1 b 4.9 ab
대조구2 4.1 b 6.7 c 5.4 a 5.3 bc 4.1 b 4.0 b
실시예1 5.6 a 12.0 a 5.4 ab 6.8 ab 4.7 a 4.9 ab
잎을 제거한 절화장 50cm 절화장의 데니스의 경우 무처리는 4.4일이었으나, 실시예1 처리와 대조구2의 처리에서는 5.4일로 절화수명이 1일 정도 연장되었다. 뉴맨은 실시예1의 경우 대조구2보다 우수하고 대조구1과 동등한 절화수명 연장효과가 있고, 절화의 품질면에서는 실시예1을 처리한 경우에 절화의 품질이 가장 우수하여 실시예1의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잎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50cm 절화장의 데니스의 경우 실시예1을 처리한 경우 대조구1과 거의 동등한 우수한 수준의 절화수명 연장효과가 확인되었다. 뉴맨의 경우 비교예3을 처리한 경우가 연장효과가 7.5일로 가장 우수했고, 실시예1을 처리한 경우도 6.8일로 유의적으로 현저히 우수한 연장효과를 보였다(도 8).
절화장 70cm의 데니스 장미는 잎을 제거하지 않고 실시예1로 처리한 경우 절화수명이 12.0일간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무처리구 보다 약 7일 이상으로 절화수명을 현저히 연장시켰으며 품질유지에도 그 효과가 뚜렷이 확인되었다(도 10).
스탠다드계 및 스프레이계 장미 모두에 대하여 실시예1의 연장제를 처리한 경우 장미의 절화수명 연장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고, 스탠다드계 장미의 경우 잎을 제거한 경우보다 잎을 제거하지 않고 처리하였을 경우 절화수명 연장 효과 및 품질유지효과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화경장과 잎의 제거 유무와 관계없이 실시예1의 절화수명 연장제가 절화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하고 우수한 상태로 품질을 유지하는 효과가 전체적으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2 -3. 장미의 품질 및 생체중 변화 확인
생체중 변화는 절화장의 길이와 잎의 제거유무와 관계없이 실시예1을 처리한 경우에 전처리 후 2~3일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4일째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생체 중 변화도 가장 적게 일어났고, 장미의 품질도 절화장의 길이와 잎의 제거 유무와 관계없이 실시예1을 처리한 경우 가장 우수하게 유지되었다(도 7, 9 및 11).
실시예2 -4. 연장제 처리후 온도처리에 따른 절화수명 연장 효과
전처리후 보관 온도에 따른 절화 장미의 수명 연장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1의 절화수명 연장제와 무처리구(DW) 및 대조구1로 미사키(Misaki)(100배, 10ml/L), 대조구2로 플로랄라이프(Floralife)(100배: 10ml/L)를 사용하여 침지처리한 스프레이계인 매직 스칼렛(Magic Scalet)에 대하여 20, 25, 30 및 35℃ 각각에서 24시간 동안 온도처리 후 절화의 수명을 측정하여, 하기 표 8,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었다.
(단위: 일수)
매직 스칼렛
20℃ 25℃ 30℃ 35℃
무처리(DW) 5.2 6.6 6.2 5.7
실시예1 7.4 8.0 8.4 8.8
대조구1 5.4 6.8 6.5 6.5
대조구2 5.3 6.3 6.8 7.0
상기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로 처리한 후 온도처리를 하는 경우, 처리 온도가 높아질 수록 절화의 수명 연장 효과가 더욱 우수하게 나타나는바, 본 발명의 절화수명 연장제에 의하여 절화를 처리하고, 상기 연장제로 처리한 절화를 35℃에서 온도처리를 하는 경우 절화의 수명을 더욱 길게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장미와 같은 절화는 줄기의 절단 후에도 많은 양의 에틸렌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아, 수확 후 호흡의 영향이 적어 온도의 영향도 적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의 절화수명 연장제의 경우 절화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확인되었고, 수크로스 300 중량부에 황산알루미늄을 0.8 내지 1.2 중량부로 포함하는 경우 종래의 절화수명 연장제보다 더욱 우수한 절화수명 연장효과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절화수명 연장제로 처리한 절화를 고온에서 보관하는 경우에 절화의 수명 연장 효과가 더욱 우수한바, 절화 유통시 별도의 저온 운송 시스템을 요구하지 않게 하므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운송비 절감, 에너지 절감 효과도 예상할 수 있다.

Claims (4)

  1. 수크로스(sucrose) 300 중량부에 대하여
    황산알루미늄(aluminum sulfate) 0.8 내지 1.2 중량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7.5 내지 10 중량부, 질산마그네슘(magnesium nirate) 1.5 내지 2.5 중량부 및 염화칼슘(calcium chloride)을 0.4 내지 0.6 중량부로 포함하는 절화수명 연장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화는 장미인 것인 절화수명 연장제.
  3. 제1항에 따른 절화수명 연장제로 절화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절화수명 연장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화수명 연장방법은 상기 절화수명 연장제로 처리한 상기 절화를 10℃ 내지 40℃로 온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절화수명 연장방법.
KR1020110125330A 2011-11-28 2011-11-28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화수명 연장 방법 KR20130059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330A KR20130059160A (ko) 2011-11-28 2011-11-28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화수명 연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330A KR20130059160A (ko) 2011-11-28 2011-11-28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화수명 연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160A true KR20130059160A (ko) 2013-06-05

Family

ID=4885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330A KR20130059160A (ko) 2011-11-28 2011-11-28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화수명 연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916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990B1 (ko) 2015-10-30 2016-08-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가금류 알의 흰자에서 추출한 리소좀 또는 리소좀 유래 효소를 포함하는 절화 수명 연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화 수명 연장 방법
CN107183017A (zh) * 2017-06-30 2017-09-22 广西现代园林绿化工程种苗有限公司 一种花卉保鲜方法
KR20200048850A (ko) * 2018-10-31 2020-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훼류 건식유통 시 절화수명 연장을 위한 물올림용 전처리제
KR20200050248A (ko) * 2018-11-01 2020-05-11 (주)아모레퍼시픽 수크로스, 인돌-3-아세트산 및 로즈힙 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절화의 수명 연장 및 수분 손실 억제용 조성물
KR20230086374A (ko) 2021-12-08 2023-06-15 (주)누보 황련 추출물을 이용한 절화수명연장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6376A (ko) 2021-12-08 2023-06-15 (주)누보 치자 추출물을 이용한 절화수명연장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0127A (ko) 2021-12-28 2023-07-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우팜 숙취해소와 간보호 효능을 가지는 발효헛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주원료로 제조한 음료 조성물
CN117044711A (zh) * 2023-10-11 2023-11-14 东北林业大学 一种绿铃草鲜切花保鲜剂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990B1 (ko) 2015-10-30 2016-08-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가금류 알의 흰자에서 추출한 리소좀 또는 리소좀 유래 효소를 포함하는 절화 수명 연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화 수명 연장 방법
CN107183017A (zh) * 2017-06-30 2017-09-22 广西现代园林绿化工程种苗有限公司 一种花卉保鲜方法
KR20200048850A (ko) * 2018-10-31 2020-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훼류 건식유통 시 절화수명 연장을 위한 물올림용 전처리제
KR20200050248A (ko) * 2018-11-01 2020-05-11 (주)아모레퍼시픽 수크로스, 인돌-3-아세트산 및 로즈힙 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절화의 수명 연장 및 수분 손실 억제용 조성물
KR20230086374A (ko) 2021-12-08 2023-06-15 (주)누보 황련 추출물을 이용한 절화수명연장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6376A (ko) 2021-12-08 2023-06-15 (주)누보 치자 추출물을 이용한 절화수명연장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0127A (ko) 2021-12-28 2023-07-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우팜 숙취해소와 간보호 효능을 가지는 발효헛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주원료로 제조한 음료 조성물
CN117044711A (zh) * 2023-10-11 2023-11-14 东北林业大学 一种绿铃草鲜切花保鲜剂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17044711B (zh) * 2023-10-11 2024-01-09 东北林业大学 一种绿铃草鲜切花保鲜剂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9160A (ko) 절화수명 연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화수명 연장 방법
CN103548994B (zh) 果蔬保鲜剂及其应用
CN101019571B (zh) 一种防褐型广谱水果保鲜剂及其制备方法
Seyf et al. Study on the effect of aluminum sulfate treatment on postharvest life of the cut rose'Boeing'(Rosa hybrida cv. Boeing).
CN107691001A (zh) 一种提高桃树嫁接成活率的方法
KR101339971B1 (ko) 절화수명 연장 방법
Downs et al. Bud-opening treatments to improve Gypsophila quality after transport
JPH03204802A (ja) 切り花用延命剤及び切り花の処理方法
EP2098118A1 (en) Methods of protecting crops from post harvest microbial decay
KR20170140711A (ko) 절화수명 연장용 절화보존 조성물
KR102143245B1 (ko) 화훼류 건식유통 시 절화수명 연장을 위한 물올림용 전처리제
CN107518064A (zh) 柑桔贮藏保鲜方法
CN110352977B (zh) 含氯吡脲、独角金内酯和γ-氨基丁酸的农药组合物
CN101223909A (zh) 用一氧化氮贮藏保鲜肥城桃的方法
Roh et al.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flower by NaOCl and sucrose treatment as wet harvesting solution in standard chrysanthemum ‘Baekma’
EP4129063A1 (en) Method for extending vase life of cut flowers
KR101524591B1 (ko) 원예작물 저장성 증진방법
CN111011366A (zh) 一种鲜切花预处理保鲜剂及制备和使用方法
KR102610350B1 (ko) 수크로스, 인돌-3-아세트산 및 로즈힙 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절화의 수명 연장 및 수분 손실 억제용 조성물
CN105830577A (zh) 一种高发芽率且抗病的玉米种子处理方法
KR102649204B1 (ko) 치자 추출물을 이용한 절화수명연장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6025A (ko) 절화수명 연장 방법
CN110583632A (zh) 一种鲜切花保鲜剂、其制备方法及瓶插液
EP0562898A2 (en) Agent for retaining vitality of cut flower and method for retaining the same
KR102359231B1 (ko) 절화 수명 연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화 수명 연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