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676A - 조인트 및 그에 사용되는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조인트 및 그에 사용되는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676A
KR20130058676A KR1020127027311A KR20127027311A KR20130058676A KR 20130058676 A KR20130058676 A KR 20130058676A KR 1020127027311 A KR1020127027311 A KR 1020127027311A KR 20127027311 A KR20127027311 A KR 20127027311A KR 20130058676 A KR20130058676 A KR 20130058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joint
cap
exterior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395B1 (ko
Inventor
노부히코 하야시
하지메 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온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온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온다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058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관부(15)와 외관부(16)는 플라스틱 파이프(11)의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조인트 본체(13)에 일체로 형성된다. 캡(29)은 요철식 맞물림에 의해 외관부(16)에 연결된다.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의 리테이너 장치(27)는 상기 외관부(16)와 캡(29) 사이에 구비된다. 절단부(20)는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되고, 볼록 맞물림부(24)는 상기 절단부(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외주면은 요철식 맞물림에 의해 캡(29)에 연결된다. 결속부는 상기 절단부(20)와 볼록 맞물림부(24)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는 제 1 테이퍼 면(21)과 제 2 테이퍼 면(2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테이퍼 면(21)은 절단부(20)에 구비되어서 외부의 말단 쪽으로 폭이 줄어든다. 상기 제 2 테이퍼 면(25)은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에 구비되어서 상기 제 1 테이퍼 면(21)과 맞물려진다.

Description

조인트 및 그에 사용되는 스페이서{JOINT AND SPACER USED THEREIN}
본 발명은 급수 시스템 또는 온수 공급 시스템의 파이프 계통에 사용되는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인트 본체의 삽입 공간에 삽입된 파이프에 강력한 이탈력이 작용할 때 캡을 계속 보유할 수 있는 조인트 및 상기 조인트에 사용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급수 시스템 또는 온수 공급 시스템의 파이프 계통에 사용되는 종래의 조인트에서, 파이프 삽입 공간은 조인트 본체의 축선 방향으로 확장하고 있는 내관부 및 외관부 사이에 형성되고, 캡(덮개)은 외관부의 외측에 체결된다.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된 파이프를 계속 보유하기 위한 리테이너 장치는 상기 외관부와 캡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파이프는, 이탈력이 상기 파이프에 작용할 때 상기 리테이너 장치에 의해 계속 보유된다.
이러한 타입의 조인트는 특허문헌 1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었다. 상기 조인트는 파이프가 안으로 삽입되는 삽입 공간(삽입 챔버)을 갖는 조인트 본체 및 상기 삽입 공간을 감싸기 위한 캡(덮개)을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 본체와 캡은 조인트 부분에서 서로 연결되고, 리테이너는 상기 캡의 외주면에 체결된다. 상기 조인트 본체와 캡은 톱니모양의 잠금부에 의해 잠금된다. 상기 삽입 공간 내에 삽입된 파이프를 계속 보유하기 위한 리테이너 링은 상기 외관부와 캡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조인트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캡과 조인트 부분을 보유하여 감싸고 있으므로, 상기 파이프에 이탈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캡과 조인트 부분은 원래의 상태대로 계속 유지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8-25659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설명된 종래기술의 조인트에서, 워터 해머로 인한 강한 충격을 기반으로 한 이탈력인 강력한 이탈력이 삽입 공간 내에 삽입된 파이프에 작용하게 될 때에는, 상기 리테이너 링을 통해 고강도의 이탈력이 캡에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조인트 본체와 캡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톱니모양의 잠금부가 그라인딩과 같은 작용을 받게 되어, 상기 캡이 움직여서 떨어지게 된다. 상기 파이프에 더 큰 고강도의 이탈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된다면, 잠금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캡이 조인트 본체의 외부로 빠져 나오게 되며, 파이프가 조인트로부터 분리될 위험성이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탈력이 파이프에 작용할 때, 캡의 부착력을 유지하여 파이프를 보유하는 조이트 및 그에 사용되는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서, 조인트 본체, 상기 조인트 본체에 형성된 내관부와 외관부, 캡 및 리테이너 장치를 포함하는 조인트가 제공된다. 상기 내관부와 외관부는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캡은 외관부의 외측에 체결되어서 볼록하고 오목한 요철식 맞물림에 의해 연결된다. 리테이너 장치는 상기 파이프를 보유하며 상기 외관부와 캡 사이에 구비된다. 절단부는 상기 외관부에 형성된다. 상기 절단부와 맞물려지는 맞물림 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맞물림 부재는 요철식 맞물림에 의해 외주부에서 캡에 연결된다. 상기 캡이 풀려져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속부는 상기 절단부와 맞물림 부재 사이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절단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절단부의 외부 말단 쪽으로 폭이 좁아드는 제 1 테이퍼 면 및 상기 맞물림 부재에 구비되어서 상기 절단부에 형성된 제 1 테이퍼 면과 맞물려지는 제 2 테이퍼 면으로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외관부에 형성된 절단부는 180˚로 이격된 정반대의 위치에 구비된 두개의 절단부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맞물림 부재가 양쪽의 절단부와 맞물려지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조인트 본체는 상기 내관부와 외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조인트 본체는 상기 파이프가 삽입 공간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파이프와 외관부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스페이서에 구비된다.
상술한 조인트에 사용되는 스페이서가 제공된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삽입 공간 안으로 삽입된 파이프 및 외관부 사이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는 유도부가 상기 외관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가이드부와 맞물려져서 상기 맞물림 부재를 상기 절단부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부는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유도부는 홈으로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홈의 내단부에는 내부의 말단 쪽으로 폭이 확장하는 테이퍼형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조인트에서, 파이프에 대한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내관부와 외관부는 조인트 본체에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는 외관부의 외측에 체결되어서 볼록하고 오목한 요철식 맞물림에 의해 연결되는 캡을 구비한다. 캡의 리테이너 장치는 상기 외관부와 캡 사이에 구비된다. 절단부는 외관부에 형성된다. 상기 절단부와 맞물려지는 맞물림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요철식 맞물림에 의해 그 외주부에서 캡에 연결된다. 상기 캡이 풀려져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속부는 상기 절단부와 맞물림 부재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파이프에 이탈력이 작용할 때, 이탈 방향으로의 힘은 리테이너 장치를 통해 캡에 작용하게 되는 한편, 상기 외관부의 절단부와 맞물려진 맞물림 부재의 이동은 결속부에 의해 제한된다. 그러므로, 맞물림 부재가 외관부에 계속 유지되므로, 요철식 맞물림에 의해 상기 맞물림 부재에 연결된 캡도 제위치에 계속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리테이너 장치도 그대로 계속 유지되고, 상기 파이프가 조인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인트에 따르면, 이탈력이 파이프에 작용할 때, 캡의 부착이 그대로 유지되고, 또한 파이프도 그대로 보유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를 도시하고 있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인트를 도시하고 있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인트를 도시하고 있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파이프가 삽입된 조인트를 부분 절개와 함께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 파이프에 이탈력이 작용하는 상태를 부분 절개와 함께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상태에 있는 조인트를 부분 절개와 함께 도시하고 있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상태에 있는 조인트를 부분 절개와 함께 도시하고 있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상태로부터 파이프에 추가의 강력한 이탈력이 확대되는 방식으로 작용할 때의 조인트를 부분 절개와 함께 도시하고 있는 확대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의 정면도로서, 맞물림 부재가 외관부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조인트를 도시하고 있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조인트의 외관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한쌍의 가이드 돌기부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조인트의 외관부의 내주면 상의 가이드 돌기부들을 도시하고 있는 부분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조인트의 외관부의 내주면 상의 가이드 돌기부들을 도시하고 있는 부분적으로 확대된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조인트의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스페이서의 가이드 홈을 도시하고 있는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스페이서가 조인트의 외관부에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의 (a)는 스페이서의 일부가 조인트의 외관부 안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7의 (b)는 스페이서가 삽입될 때, 상기 스페이서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스페이서가 조인트의 외관부에 삽입되고 맞물림 부재가 절단부에 맞물림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정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 1 맞물림 오목부가 외관부의 절단부에 형성된 조인트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스페이서의 볼록 맞물림부의 제 1 맞물림 돌기부가 도 20의 조인트의 절단부 내의 제 1 맞물림 오목부와 맞물림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21의 (a)는 볼록 맞물림부를 갖는 스페이서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21의 (b)는 도 21의 (a)의 스페이서를 도시하고 있는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 2 맞물림 오목부가 외관부의 절단부에 형성된 조인트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스페이서의 볼록 맞물림부의 제 2 맞물림 돌기부가 도 23의 조인트의 절단부 내의 제 2 맞물림 오목부와 맞물림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24의 (a)는 볼록 맞물림부를 갖는 스페이서를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도 24의 (b)는 도 24의 (a)의 스페이서를 도시하고 있는 우측면도이다.
도 25는 외관부의 절단부에 형성된 제 2 맞물림 오목부를 도시하고 있는 부분적으로 확대된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10)는 조이트 본체(13)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 본체(13)는 플라스틱 파이프(11)를 연결하기 위한 3개의 원통형 파이프 조인트부(12)들을 구비한다. 상기 3개의 원통형 파이프 조인트부(12)들은 역으로 된 T-형을 형성하게 3개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파이프 조인트부(12)들은 각각 고무와 혼합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와 같은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는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뷰텐)과 같은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 조인트부(12)들은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파이프 조인트(12)들 중 하나의 파이프 조인트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조인트 본체(13)에서, 플라스틱 파이프(11)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14)을 형성하는 내관부(15) 및 외관부(16)는 일체로 형성된다. 환(環)형을 형성하는 한쌍의 체결 홈(17)은 내관부(15)의 외주면에서 조인트 본체(13)의 축선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EM) 고무로 각각 이루어진 밀봉 부재(18)는 한쌍의 체결 홈(17)에 각각 끼워 맞춰져 체결된다. 이러한 밀봉 부재(18)에 의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의 내주면과 상기 내관부(15)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은,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가 삽입 공간(14) 내부로 삽입될 때 수밀 방식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한쌍의 체결 홈(17)들은 상기 조인트 본체(13)의 길이가 짧게 설계될 수 있도록 상기 외관부(16)의 외단부보다 내단부에 더 인접하게 위치되게 구비된다. 상기 내관부(15)의 내측 공간은 물이 흐르는 유동적인 통로(19)이다.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절단부(20)는 180˚로 이격된 정반대의 위치에서 그 외단부로부터 조인트 본체(13)의 축선 방향에 있는 외관부(16)에 구비된다. 외단부 쪽으로 폭이 더 좁아지는 제 1 테이퍼 면(21)은 절단부(20)들 각각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두개의 로킹 돌기부(22)들은 상기 조인트 본체(13)의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원형으로 연장하여 상기 축선 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하도록 외관부(16)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원통형의 스페이서(23)는 상기 삽입 공간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가 상기 삽입 공간(14)에 삽입될 때, 상기 스페이서(23)는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와 외관부(16)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페이서(23)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수지(나일론 12)와 같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페이서(23)의 내측을 꿰뚫어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3)는 상기 삽입 공간(14)으로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맞물림 부재인 한쌍의 볼록 맞물림부(24)들은 상기 스페이서(23)의 외단부의 외주면에 180˚로 이격된 정반대의 위치에 형성된다. 외단부 쪽으로 폭이 더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절단부(20)의 제 1 테이퍼 면(21)과 꼭 맞게 밀착하여 접촉하게 되는 제 2 테이퍼 면(25)은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양 측면에 구비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3)의 내단부는 상기 삽입 공간(14) 안으로 삽입되고, 상기 볼록 맞물림부(24)는 상기 외관부(16)의 절단부(20) 안으로 끼워 맞춰져서 상기 외관부(16)의 폭이 더 넓어지게 한다. 또한, 두개의 로킹 돌출부(26)들은 상기 볼록 맞물림부(24)가 상기 외관부(16)의 절단부(20)에 끼워 맞춰져 체결될 때 상기 외관부(16)의 두개의 로킹 돌기부(22)와 동일한 위치에서 돌출하도록 상기 잠금 맞물림부(24)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 공간(14)에 삽입된 플라스틱 파이프(11)를 보유하기 위한 리테이너 장치(27)는 외관부(16) 및 스페이서(23) 보다 외단부에 더 인접한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리테이너 장치(27)의 구성요소인 리테이너 링(28)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테이너 링의 내부 주변부에는 리테이너 피스(28a)가 형성되어 내단부 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 피스(28a)는 상기 삽입 공간(14) 내에 삽입된 플라스틱 파이프(11)의 외부 주변부와 꽉 맞물려져서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를 보유하게 된다. 상기 리테이너 링(28)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로 이루어져서 상기 외관부(16)에 체결되는 캡(29)과, 폴리옥시메틸렌(POM)으로 이루어진 압착 링(30) 사이에 부착된다.
상기 캡(29)에 관하여 설명하면, 상기 캡의 내주면에 형성된 두개의 로킹 오목부(31)가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두개의 로킹 돌기부(22)와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에 형성된 두개의 로킹 돌출부(26)에 의해 잠금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캡(29)은 오목하고 볼록한 요철식 맞물림에 의해 상기 외관부(16)와 스페이서(23)에 연결된다. 상기 외관부(16)의 절단부(20)에 형성된 상기 제 1 테이퍼 면(21)과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에 형성된 제 2 테이퍼 면(25)은 상기 캡(29)이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부를 구성한다.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로 이루어진 분할 링(32)은 리테이너 링(28)과 캡(29)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테이너 피스(28a)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테이너 링(28), 압착 링(30), 캡(29) 및 분할 링(32)은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에 대한 리테이너 장치(27)를 구성한다.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의 말단면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삽입 가이드(33)는 상기 삽입 공간(14) 내에 배치된다.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캡 커버(34)는, 상기 캡 커버(34)의 일단부를 상기 캡(29)의 외주면에 있는 장착 홈(29a)에 체결함으로써 캡(29)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관부(16)와 체결된 캡(29)을 수용하고 보유하게 된다. 상기 삽입 공간(14) 내에 삽입된 플라스틱 파이프(11)의 존재 유무를 점검하기 위한 체크 홀(35)은 상기 조인트 본체(13)를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조인트 본체(13)의 내단부에 형성된다.
상술한 외관부(16)와 내관부(15)를 구비한 조인트 본체(13)는 분할 몰드, 슬라이드 코어 및 인서트로 구성된 사출성형용 몰드를 이용하여 용융수지를 주입함으로써 성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와 유사하게 블록 맞물림부(24)를 구비한 스페이서(23)는 분할 몰드 및 슬라이드 코어로 구성된 사출성형용 몰드를 이용함으로써 성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조인트(10)의 작동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23)의 내단부가 조인트 본체(13)의 삽입 공간(14) 내로 삽입되고 상기 스페이서(23)의 외단부에 형성된 볼록 맞물림부(24)가 외관부(16)의 외단부를 넓어지게 하면서 상기 외관부(16)의 절단부(20)와 맞물려 삽입될 때,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제 2 테이퍼 면(25)은 상기 외관부(16)의 절단부(20)에 형성된 제 1 테이퍼 면(21)과 밀착하여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리테이너 장치(27)가 상기 외관부(16)의 외단부에 배치되고 캡(29)이 상기 외관부(16) 상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캡(29)의 내주면 내의 로킹 오목부(31)는 상기 외관부(16)의 외주면에 있는 로킹 돌기부(22)들 및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외주면에 있는 로킹 돌출부(26)에 의해 꼭 맞게 끼워져 잠금 및 부착된다. 또한, 상기 캡(29)의 외주면의 외측에 캡 커버(34)를 체결함으로써, 캡(29)의 지름에 대한 확장이 억제된다.
이후, 플라스틱 파이프(11)가 조인트(10)의 삽입 공간(14) 내로 삽입될 때,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는 삽입 가이드(33)에 의해 가이드되어 조이트 본체(13)의 내관부(15)와 스페이서(23)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는 리테이너 장치(27)에 의해 계속 보유되어 상기 조인트(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에 이탈력이 작용한다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력이 상기 캡(29) 쪽으로 인가되게 되므로, 상기 이탈력은 리테이너 링(28)의 리테이너 피스(28a)를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와 꽉 맞물리게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캡(29)은 플라스틱 파이프(11)의 이탈 방향인 외단부 쪽으로 조금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관부(16)의 외주면에 형성된 잠금 돌기부(22)는 캡(29)의 내주면에 있는 로킹 오목부(31)의 의해 갈려져서, 로킹 오목부(31)들과 로킹 돌기부(22)들 간의 잠금력이 더 저하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에 더 강한 이탈력이 작용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29)의 로킹 오목부(31)는 도 8에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외관부(16)의 로킹 돌기부(22)의 원래의 위치로부터 외단부 쪽으로 밀려 풀리게 된다. 즉, 상기 외관부(16)의 로킹 돌기부(22)는 캡(29)의 로킹 오목부(31)에 의해 갈려져서 손상되고, 상기 로킹 돌기부(22)와 로킹 오목부(31) 간의 잠금력은 점점 소멸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 1 실시예의 조인트(10)는, 스페이서(23)의 볼록 맞물림부(24)가 내부에 삽입되어 외관부(16)의 절단부(20)와 맞물림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절단부(20)에 형성된 제 1 테이퍼 면(21)과 볼록 맞물림부(24)에 형성된 제 2 테이퍼 면(25)이 서로 맞물림되어 결속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볼록 맞물림부(24)가 외단부 쪽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하면, 제 1 테이퍼 면(21)과 제 2 테이퍼 면(25)의 폭이 외단부 쪽으로 더 좁아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테이퍼 면(21)과 제 2 테이퍼 면(25)의 맞물림은 더욱 강화된다. 따라서, 상기 볼록 맞물림부(24)는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절단부(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고,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외주면에 형성된 로킹 돌출부(26)와 상기 캡(29)의 내주면에 있는 로킹 오목부(31) 간의 잠금 상태는 계속 유지되어서, 상기 캡(29)은 조인트 본체(13)에 계속 체결된 채로 유지된다.
이하,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장점이 설명될 것이다.
(1) 상기 제 1 실시예의 조인트(10)에서, 절단부(20)는 조인트 본체(13)의 외관부(16)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20)와 맞물려지게 볼록 맞물림부(24)가 배열된다. 상기 볼록 맞물림부(24)는 캡(29)과 연결되되 상기 캡은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외주부와 요철식 맞물림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캡(29)이 연결해제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결속부는 상기 절단부(20)와 볼록 맞물림부(24)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에 이탈력이 작용할 때, 이탈 방향으로의 힘은 리테이너 장치(27)를 통해 캡(29)에 작용하게 되는 한편, 상기 외관부(16)의 절단부(20)와 맞물려진 볼록 맞물림부(24)의 이동은 결속부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볼록 맞물림부(24)가 외관부(16)에 계속 유지되므로, 요철식 맞물림에 의해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에 연결된 캡(29)도 계속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리테이너 장치(27)도 그대로 계속 유지되고,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가 조인트(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제 1 실시예의 조인트(10)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에 이탈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캡(29)의 부착이 그대로 유지되고, 또한 플라스틱 파이프(11)도 계속 보유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장점이 달성될 수 있다.
(2) 결속부는 상기 절단부(20)에 구비되어서 외단부 쪽을 향하여 더 좁아지는 폭을 갖는 제 1 테이퍼 면(21)과,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에 구비되어서 상기 절단부(20)에 형성된 제 1 테이퍼 면(21)과 맞물림되는 제 2 테이퍼 면(2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부의 구성은 단순화될 수 있고, 상기 캡(29)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3)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한쌍의 절단부(20)들은 180˚로 이격된 정반대의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볼록 맞물림부(24)가 양쪽의 절단부(20)들과 맞물림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캡(29)은 정상적인 밸런스를 유지한 채 안정적인 상태에서 상기 결속부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4) 플라스틱 파이프(11)가 삽입 공간(14)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볼록 맞물림부(24)는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와 외관부(16)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23)에 구비된다. 따라서, 볼록 맞물림부(24)를 별도의 새로운 부재로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으며, 상기 볼록 맞물림부(24)는 상기 스페이서(23)가 제조될 때 스페이서와 함께 동시에 얻어질 수 있다.
(5) 상기 내관부(15)와 외관부(16)가 일체로 형성된 조인트 본체(13) 및 볼록 맞물림부(24)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관부(16)는,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절단부(20) 내에 상기 볼록 맞물림부(24)를 끼워 맞춰 체결할 수 있도록 구부려지고 변형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가 도 9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부분이 주로 설명되고, 동일한 부분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10)는 플라스틱 파이프(11)를 연결하기 위해 세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세개의 파이프 조인트부(12)들을 구비한다. 한쌍의 절단부(20)는 파이프 조인트부(12)들 각각의 외관부(16)에, 정반대의 위치(도 11에서 좌우 위치)에서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절단부(20)는 정면도에서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단부의 양 측면은 외관부(16)의 축선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정면도에서 산의 형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로킹 오목부(45)는 상기 절단부(20)들 각각의 양 측면에 정반대의 위치에서 결속부로서 구비된다. 따라서, 외관부(16)는 원주 방향에서 상기 절단부(20)에 의해 분할되고, 절단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정반대의 위치에 배열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의 일부인 가이드 돌기부(46)는 상기 외관부(16)의 내주면의 정반대 위치(도 11에서 상부 및 하부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반원주형 구획부를 갖고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부(46)는 상기 외관부(16)의 외단부로부터 내단부까지 일직선으로 연장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부(46)는 외단부에서는 폭이 더 좁고 내단부로 갈수록 폭이 더 넓게 약간 경사가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부분을 갖게 모서리를 깍은 가이드 단부(46a)는 상기 가이드 돌기부(46)의 외단부에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23)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서 조인트(10)의 삽입 공간(14)에 삽입된 플라스틱 파이프(11)와 외관부(16)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페이서(23)는 폴리아미드 수지인 나일론 12를 이용하는 사출성형법에 의해 성형된다. 맞물림 부재인 한쌍의 볼록 맞물림부(24)들은 상기 스페이서(23)의 외단부 상의 정반대 위치에서 돌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볼록 맞물림부(24)들은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절단부(20)들과 맞물림되게 구성된다. 정면도에서 산의 형상을 형성하는 로킹 돌출부(47)는 상기 볼록 맞물림부(24)들 각각의 양 측면들 각각에 결속부로서 구비되고, 상기 로킹 돌출부(47)들은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로킹 오목부(45)들과 각각 맞물려지며, 상기 스페이서(23)에 형성된 볼록 맞물림부(24)는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절단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가이드의 일부인 가이드 홈(48)들은, 상기 볼록 맞물림부(24)들이 상기 스페이서(23)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지 않은 부분들에 서로 대치하여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각각의 가이드 홈(48)은 외단부에 U자형 절개부를 가지면서 상기 스페이서(23)의 축선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선형 홈(49)과, 상기 선형 홈(49)의 내부에서 계속 연장되면서 내단부 쪽을 향하여 폭이 점점 확장하는 테이퍼형 홈(50)을 포함한다. 상기 선형 홈(49)은, 내단부가 상기 외관부(16)의 가이드 돌기부(46)들과 대응되게 폭이 약간 넓어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부(46)들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형 홈(50)은 상기 스페이서(23)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45˚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확장하여 양쪽으로 경사진 에지부(50a)들을 갖는다.
특히, 상기 가이드 홈(48) 내의 테이퍼형 홈(50)은 상기 조인트(10)의 삽입 공간(14) 내부로 상기 스페이서(23)를 유도하고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절단부(20)에 대하여 스페이서(23)에 형성된 볼록 맞물림부(24)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한다. 원주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는 두개의 로킹 돌출부(26)는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복수개의 얇은 홀(51)들은 볼록 맞물림부(24)의 외부 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함몰을 방지할 수 있고 재료를 절약할 수 있게 한다.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3)가 조인트(10)의 삽입 공간(14) 내에 삽입될 때, 상기 외관부(16)의 가이드 돌기부(46)는 상기 가이드 홈(48)의 테이퍼형 홈(50)에 체결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부(46)는 상기 선형 홈(49)에 체결되면서 상기 스페이서(23)의 삽입이 가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23)의 볼록 맞물림부(24)는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절단부(20)에 유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조인트(10)와 스페이서(23)의 작동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3)가 원주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조인트(10)에 부착되게 작동될 때, 상기 스페이서(23)의 볼록 맞물림부(24)는 상기 조인트(10)의 외관부(16)에 형성된 절단부(20)를 대치하여 상기 스페이서(23)가 상기 외관부(16)의 정면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인트(10)의 삽입 공간(14) 내에 스페이서(23)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외관부(16)의 가이드 돌기부(46)는 상기 선형 홈(49)에 잇달아 상기 스페이서(23)의 테이퍼형 홈(50)에 끼워 맞춰지고, 상기 스페이서(23)이 삽입은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된다. 이때, 아치형 부분을 갖는 가이드 단부(46a)가 상기 외관부(16)의 가이드 돌기부(46)의 외단부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페이서(23)의 내단부가 상기 외관부(16)의 외단부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스페이서(23)는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23)의 원주 방향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스페이서(23)의 선형 홈(49)의 위치가 상기 외관부(16)의 가이드 돌기부(46)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3)가 상기 조인트(10)의 삽입 공간(14)에 삽입됨과 동시에 주변을 둘러싸게 회전하여, 상기 외관부(16)의 가이드 돌기부(46)가 상기 스페이서(23)에 형성된 테이퍼형 홈(50)의 경사진 에지부(50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스페이서(23)가 더 깊숙이 삽입되면, 상기 외관부(16)의 가이드 돌기부(46)는 상기 스페이서(23)의 선형 홈(49)에 끼워 맞춰지고, 상기 스페이서(23)가 상기 삽입 공간(14)에 깊숙이 삽입되게 유도된다. 이러한 작동은 상기 스페이서(23)가 원주 방향에서 어느 방향으로 변경되든지 간에 유사하게 실행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23)는, 상기 스페이서(23)의 선형 홈(49)을 상기 외관부(16)의 가이드 돌기부(46)에 정확히 위치시키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결합되게 위치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관부(16)의 가이드 돌기부(46)의 내단부는 폭이 약간 더 넓어지도록 경사가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페이서(23)의 선형 홈(49)은 그 내단부의 폭이 약간 더 넓어지도록 경사가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23)가 삽입될 때, 상기 외관부(16)의 가이드 돌기부(46)는 상기 스페이서(23)의 선형 홈(49) 안으로 쉽게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3)의 삽입에 따라, 상기 선형 홈(49)과 상기 가이드 돌기부(46)의 결합력은 더 강해져서 더 이상의 덜걱거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절단부(20)에 상기 스페이서(23)의 볼록 맞물림부(24)의 삽입에 의한 결합이 정확히 달성된다.
이어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3)를 상기 조인트(10)의 삽입 공간(14)으로 강하게 삽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23)의 로킹 돌출부(47)가 상기 외관부(16)의 로킹 오목부(45)에 잠금되고, 상기 스페이서(23)의 볼록 맞물림부(24)가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절단부(20)에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캡(29)을 상기 외관부(16)의 외측 상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캡(29)의 내주면에 있는 로킹 오목부(31)가 상기 스페이서(23)의 외주면에 있는 로킹 돌기부(22), 그리고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외주면에 있는 로킹 돌출부(26)와 맞물려져서, 상기 캡(29)은 상기 외관부(16)에 결합된다. 그 다음에, 플라스틱 파이프(11)가 상기 조인트(10)의 삽입 공간(14)에 삽입되어 상기 조인트(1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이하의 장점이 달성된다.
(6) 상기 조인트(10)에 대한 스페이서(23)의 결합은, 가이드의 일부인 가이드 돌기부(46)가 상기 외관부(16)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가이드의 일부인 가이드 홈(48)이 상기 스페이서(23)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7) 상기 가이드 홈(48)의 내단부에서 내부의 말단 쪽으로 폭이 더 넓어지는 테이퍼형 홈(5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23)가 조인트의 외관부와 결합될 때, 상기 스페이서(23)의 볼록 맞물림부(24)의 원주 방향으로의 위치가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절단부(20)에 대하여 변경되더라도, 상기 조인트(10)에 대한 스페이서(23)의 결합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제 2 실시예는 이하와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13)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을 갖는 절단부(20)는 상기 조인트 본체(13)의 외관부(16)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20)의 양 측면의 외부의 단부에 제 1 맞물림 홈부(36)가 형성된다. 도 2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볼록 맞물림부(24)들은 상기 스페이서(23)의 외단부의 외주면 상에 180˚로 이격된 정반대의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한쌍의 로킹 돌출부(26)들은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상기 볼록 맞물림부의 외단부의 양 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제 1 맞물림 돌기부(37)가 구비된다. 그 다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3)는 상기 조인트 본체(13)의 삽입 공간(14)으로 삽입되고,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제 1 맞물림 돌기부(37)는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절단부(20)의 제 1 맞물림 홈부(36)와 맞물려진다. 상기 외관부(16)의 제 1 맞물림 홈부(36)와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제 1 맞물림 돌기부(37)는 결속부를 구성하여, 캡(29)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 맞물림 홈부(36)와 상기 제 1 맞물림 돌기부(37)의 결속력은 상기 제 1 맞물림 홈부(36)의 깊이와 상기 제 1 맞물림 돌기부(37)의 높이에 의해 조정될 수 있고, 또한 복수개의 제 1 맞물림 홈부(36)와 복수개의 제 1 맞물림 돌기부(37)를 구비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조인트 본체(13)는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사출성형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외관부(16)의 제 1 맞물림 홈부(36)는 상기 조인트 본체(13)가 성형된 이후에 절단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이 이루어지면, 상기 플라스틱 파이프(11)에 이탈력이 작용할 때,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제 1 맞물림 돌기부(37)가 상기 외관부(16)의 제 1 맞물림 홈부(36)와 맞물려지게 되므로, 상기 볼록 맞물림부(24)가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절단부(20)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캡(29)의 로킹 오목부(31)와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로킹 돌출부(26) 간의 잠금 상태는 계속 유지되고, 상기 캡(29)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 본체(13)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면들을 갖는 절단부(20)는 상기 조인트 본체(13)의 외관부(16)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20)의 양 측면들의 중간부, 즉 두개의 로킹 돌기부(22)들 사이에는 제 2 맞물림 홈부(38)가 형성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맞물림 홈부(38)는 삼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그 장측면(40)의 길이(L2)는 단측면(41)의 길이(L1)보다 더 길다(L1〈 L2). 또한, 상기 절단부(20)의 측면과 상기 단측면(41)에 의해 형성된 각도(α)는 90˚보다 작고(α〈 90˚), 상기 각도(α)는 상기 절단부(20)의 측면과 장측면(40)에 의해 형성된 각도(β) 이상이다(α≥β).
도 2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볼록 맞물림부(24)는 스페이서(23)의 외단부의 외주면 상에 180˚로 이격된 정반대의 위치에 구비되고, 한쌍의 로킹 돌출부(26)들은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삼각단면을 가지면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제 2 맞물림 돌기부(39)는 중간부의 양 측면에 구비된다. 그 다음,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3)는 상기 조인트 본체(13)의 삽입 공간(14)으로 삽입되고,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제 2 맞물림 돌기부(39)는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된 절단부(20)의 제 2 맞물림 홈부(38)와 맞물려진다. 상기 외관부(16)의 제 2 맞물림 홈부(38)와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제 2 맞물림 돌기부(39)는 결속부를 구성하여, 캡(29)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캡(29)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볼록 맞물림부(24)의 양측의 제 2 맞물림 홈부(38)들은 내부의 말단 쪽으로 갈수록 장측면(40)의 폭이 더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절단부(20)에 대한 볼록 맞물림부(24)의 삽입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본체(13)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 또는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23)의 볼록 맞물림부(24)를 적절히 얇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캡(29)의 결합을 유지하는 캡 커버(34)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맞물림 부재인 볼록 맞물림부(24)의 개수는 하나 또는 세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볼록 맞물림부(24)는 상기 스페이서(23)와 떨어져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내관부(15)와 외관부(16)는 상기 조인트 본체(13)와 떨어져 개별적으로 형성된 다음, 열 융합 본딩 또는 접착에 의해 상기 조인트 본체(13)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이프 조인트부(12)가 양 방향, 네 방향과 같이 되도록 조인트(1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인트 본체(13)는 폴리아세탈(polyacetal ; POM), 폴리프탈아미드(polyphthalamide ; PPA), 폴리페닐설폰(polyphenylsulfone ; PPSU) 등과 같은 합성수지(엔지니어링 수지)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이프로서는, 플라스틱 파이프 이외에 동 파이프와 같은 연질 금속으로 이루어진 파이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인트(10)는 급수 시스템 및 온수 공급 시스템용 파이프 이외에, 바닥 난방용 파이프 및 로드 히팅용 파이프 등을 연결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23)의 가이드 홈(48)에 형성된 테이퍼형 홈(50)은 상기 스페이서(23)의 외주면의 내부 말단으로부터 상기 볼록 맞물림부(24)까지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테이퍼형 홈(50)의 경사진 에지부(50a)의 경사 각도는 적절히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외관부(16)의 가이드 부분인 가이드 돌기부(46)와 상기 스페이서(23)의 가이드 부분 가이드 홈(48)는 각각 하나 또는 세개 이상의 부위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외관부(16)의 가이드 부분인 가이드 돌기부(46)는 상기 외관부(16)의 외부 말단의 일부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돌기부(46) 대신에 점 모양의 돌기가 상기 외관부(16)의 외단부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가이드의 일부인 가이드 홈은 상기 외관부(16)에 형성될 수도 있고, 가이드의 일부인 가이드 돌기부는 상기 스페이서(23)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의 가이드 홈(48)과 가이드 돌기부(46)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조인트(10),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르게 변형된 조인트(10), 그리고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르게 변형된 조인트(10) 각각의 스페이서(23)와 외관부(16)에 구비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조인트 본체;
    상기 조인트 본체에 형성되어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내관부와 외관부;
    상기 외관부의 외측에 체결되고 요철식 맞물림에 의해 연결되는 캡; 및
    상기 파이프를 보유하기 위해 상기 외관부와 캡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리테이너 장치를 포함하는 조인트로서,
    상기 외관부에는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부와 맞물려지는 맞물림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맞물림 부재는 요철식 맞물림에 의해 외주부에서 캡에 연결되고,
    상기 절단부와 맞물림 부재 사이에는 상기 캡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속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절단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절단부의 외부 말단 쪽으로 폭이 좁아드는 제 1 테이퍼 면 및 상기 맞물림 부재에 구비되어서 상기 절단부에 형성된 제 1 테이퍼 면과 맞물려지는 제 2 테이퍼 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부에 형성된 절단부는 180˚로 이격된 정반대의 위치에 구비된 두개의 절단부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맞물림 부재가 양쪽의 절단부와 맞물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본체는 상기 내관부와 외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삽입 공간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파이프와 외관부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배치되되,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스페이서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부의 내주면에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가이드부와 맞물려져서, 상기 맞물림 부재를 상기 절단부로 가이드하는 유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유도부는 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내단부에는 내부의 말단 쪽으로 폭이 확대되는 테이퍼형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9.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인트에 사용되는 스페이서로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삽입 공간 안으로 삽입된 파이프 및 외관부 사이에 배치되게 구성되고, 상기 외관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가이드부와 유도부가 맞물려져서 상기 맞물림 부재를 상기 절단부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유도부는 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내단부에는 내부의 말단 쪽으로 폭이 확장하는 테이퍼형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KR1020127027311A 2011-09-14 2012-02-22 조인트 및 그에 사용되는 스페이서 KR101453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00917 2011-09-14
JP2011200917 2011-09-14
PCT/JP2012/054235 WO2013038724A1 (ja) 2011-09-14 2012-02-22 継手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スペー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676A true KR20130058676A (ko) 2013-06-04
KR101453395B1 KR101453395B1 (ko) 2014-11-03

Family

ID=4788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311A KR101453395B1 (ko) 2011-09-14 2012-02-22 조인트 및 그에 사용되는 스페이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759753B1 (ko)
KR (1) KR101453395B1 (ko)
CN (1) CN103109124B (ko)
WO (1) WO20130387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2042B2 (ja) * 2010-03-19 2014-04-02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継手
CN116075327A (zh) * 2021-04-09 2023-05-05 东洋克斯株式会社 管接头及配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5734B2 (ja) * 1998-09-25 2002-06-24 東拓工業株式会社 継手付き合成樹脂管
JP4289706B2 (ja) * 1998-11-06 2009-07-01 東邦化成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JP2003074779A (ja) * 2001-04-20 2003-03-12 San-Ei Faucet Mfg Co Ltd 樹脂パイプと継手の接続構造
JP2003172490A (ja) 2001-12-03 2003-06-20 Onda Seisakusho:Kk ヘッダー
US6851728B2 (en) * 2002-07-10 2005-02-08 Hakko Metal Industries Ltd. Pipe-coupling device
CN1607350A (zh) * 2003-10-14 2005-04-20 纳利思科姆罗查娜普 推—拉锁定的管子接头
WO2005106311A1 (en) * 2004-04-28 2005-11-10 Tabuchi Co. Ltd. Snap joint for resin pipe
CN2777330Y (zh) * 2005-01-08 2006-05-03 王欣 钢丝增强复合管
JP4747048B2 (ja) 2006-07-19 2011-08-10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継手
JP2009144740A (ja) 2007-12-11 2009-07-02 Onda Seisakusho Seki Kojo:Kk アダプターを備えた継手
CN101329000B (zh) * 2008-07-11 2012-10-03 多升投资有限公司 流体管连接装置及其配套的拆管工具
AU2010206066A1 (en) * 2009-08-03 2011-02-17 Gsa Industries (Aust.) Pty. Ltd. Pipe coupling
JP5689618B2 (ja) * 2010-06-15 2015-03-25 株式会社キッツ 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59753A1 (en) 2014-07-30
KR101453395B1 (ko) 2014-11-03
CN103109124A (zh) 2013-05-15
WO2013038724A1 (ja) 2013-03-21
CN103109124B (zh) 2015-03-25
EP2759753A4 (en) 2015-07-22
EP2759753B1 (en)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752B2 (en) Joint and spacer used therein
KR100992297B1 (ko) 버클
KR101708495B1 (ko) 밀봉 조립체 리테이너를 가진 급속 커넥터
EP1892450B1 (en) Quick connector with conductive path
KR100989423B1 (ko) 실링부재 및 이러한 실링부재가 적용된 관체
KR101426947B1 (ko) 혼합식 급속 커넥터
EP2204599B1 (en)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KR101620975B1 (ko) 유체 라인용 벽 관통 요소와 벽 관통 구조
CN106715993B (zh) 管连接器
CN103982726A (zh) 联接单元
JP2017228408A (ja) シール部材及び防水コネクタ
US9742097B2 (en) Fluidproof connector
KR20190021464A (ko) 특히 자동차에서의 유압 클러치 작동 장치용 마스터 실린더
EP2519766B1 (en) A quick connector element
KR20130058676A (ko) 조인트 및 그에 사용되는 스페이서
US9310006B2 (en) Hose connector
JP2016200159A (ja) 管継手
JP2016109170A (ja) 差込み式管継手
JP6276558B2 (ja) 管継手
KR101866356B1 (ko) 파이프 연결 구조
JP2007287611A (ja) コネクタ
JP2018115739A (ja) 管継手
JP2008068748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JP2018109422A (ja) 管継手
KR200414093Y1 (ko) 관로 연결용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