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898A -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898A
KR20130051898A KR1020120126627A KR20120126627A KR20130051898A KR 20130051898 A KR20130051898 A KR 20130051898A KR 1020120126627 A KR1020120126627 A KR 1020120126627A KR 20120126627 A KR20120126627 A KR 20120126627A KR 20130051898 A KR20130051898 A KR 20130051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eth
adhesive sheet
monomer
monomer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오리 미키
마사히토 니와
다카히로 노나카
마사토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1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9J1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실온의 점착성 및 저온의 리워크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당해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며, 상기 단량체 성분은 탄소수가 10 내지 13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광학 부재의 접합이나 광학 제품의 제조 등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러가지 분야에서 액정 디스플레이(LCD) 등의 표시 장치나, 터치 패널 등의 상기 표시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입력 장치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들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제조 등에 있어서는,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용도에 투명한 점착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이나 렌즈 등과 표시 장치(LCD 등)와의 부착에 투명한 점착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389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254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31723호 공보
상기 용도로 사용되는 점착 시트에 대해서는, 최근, 광학 부재끼리를 접합한 후, 재부착 등이 필요해진 경우에, 재박리(리워크)(특히 저온에서의 재박리)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높아져 왔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점착 시트, 특히 점착제층에서는, 특히 유리(유리판) 등의 고강성의 광학 부재끼리를 접합한 경우에는 리워크가 곤란해져, 상기 요구를 충분히 만족할 수 없었다.
또한, 광학 부재 중에는 인쇄 단차 등의 단차를 갖는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가 증가되어 왔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상에 프레임 형상의 인쇄가 실시된 렌즈 부재를 양면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접합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용도에 있어서는, 점착 시트, 특히 점착제층에는 인쇄 단차 등의 단차를 메우는 성능, 즉 우수한 단차 흡수성(「단차 추종성」이라고도 칭함)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리워크성은 광학 부재와 접합하는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용도에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온의 점착성 및 저온의 리워크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한 조성의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가 리워크성, 단차 흡수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함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당해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며, 상기 단량체 성분은 탄소수가 10 내지 13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단량체 성분은 극성기 함유 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는,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및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 성분은, 탄소수가 1 내지 9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 성분은,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10 내지 13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는 라우릴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점착제층 중의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의 함유량은 5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시트는 광학용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박리 시험에 있어서, -30℃의 점착력이 20N 미만이고, 또한 적어도 한쪽 점착면에서의 23℃의 180° 박리 점착력(유리에 대한 박리 점착력, 인장 속도: 300mm/분)이 2.0N/20mm 이상인 광학용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박리 시험: 양면 점착 시트(크기: 길이 26mm×폭 30mm)의 한쪽 점착면을 하기 피착체 A의 표면에 부착하고, 다른쪽 점착면을 하기 피착체 B의 표면에 부착하여 피착체 A/양면 점착 시트/피착체 B의 구성을 갖는 시험편을 제작하고, 상기 시험편을 압력 5atm, 온도 50℃의 조건에서 15분간 처리한 후, -30℃의 환경 하에서 30분간 정치하여 상기 피착체 A를 고정하고, 상기 피착체 B를 두께 방향으로 인장 속도 300mm/분의 속도로 인장하여 피착체 A와 피착체 B가 박리될 때의 최대 하중을 측정한다.
피착체 A: 유리판(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0.7mm, 크기: 길이 100mm×폭 50mm)
피착체 B: 슬라이드 글래스(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1.0mm, 크기: 길이 76mm×폭 26mm)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박리 시험에 있어서, 피착체 A와 피착체 B를 파손시키지 않고 박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구성을 갖기 때문에, 실온의 점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저온의 리워크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실온의 점착성 및 저온의 리워크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특히 광학 부재의 접합이나 광학 부재, 광학 제품의 제조 등에 사용되는 광학용 점착 시트로서 유용하다.
도 1은 실시예에서의 리워크성의 평가에 사용한 평가 샘플을 도시하는 개략도(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의 리워크성의 평가에 사용한 연실을 건 상태의 평가 샘플을 도시하는 개략도(A-A 단면도)이다.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당해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제, 가교제, 용제,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하여도 된다.
또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아크릴」 및 「메타크릴」 중 한쪽 또는 양쪽)을 의미하며, 이하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알킬기」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의미한다.
상기 단량체 성분은 1종의 단량체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의 단량체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소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소위 용제형의 점착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이란, 단량체 성분 중 1 또는 2 이상의 성분이 부분적으로 중합한 것을 의미한다. 즉, 예를 들어 단량체 성분과 당해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과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소수가 8 내지 24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C8-24 알킬에스테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C8-24 알킬에스테르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수가 10 내지 18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0 내지 16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0 내지 13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C8-24 알킬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 (메트)아크릴산 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 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 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 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 도코실, (메트)아크릴산 이소도코실, (메트)아크릴산 테트라코실, (메트)아크릴산 이소테트라코실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 데실, (메트)아크릴산 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 운데실, (메트)아크릴산 도데실, (메트)아크릴산 트리데실이 바람직하고, 아크릴산 도데실(라우릴아크릴레이트)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C8-24 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성분은, 탄소수가 1 내지 9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C1-9 알킬에스테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및/또는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지환식 단량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C1-9 알킬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에틸,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메트)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 n-부틸, (메트)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 s-부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 (메트)아크릴산 펜틸, (메트)아크릴산 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 헥실, (메트)아크릴산 헵틸, (메트)아크릴산 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노닐, (메트)아크릴산 이소노닐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가 1 내지 6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n-부틸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n-부틸이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C1-9 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환식 단량체는 지환식 화합물인 단량체이며, 즉 분자 내에 비방향족성 환을 갖는 단량체이다. 상기 비방향족성 환으로서는 비방향족성 지환식 환(시클로펜탄환, 시클로헥산환, 시클로헵탄환, 시클로옥탄환 등의 시클로알칸환; 시클로헥센환 등의 시클로알켄환 등), 비방향족성 가교환(예를 들어, 피난, 피넨, 보르난, 노르보르난, 노르보르넨 등에서의 2환식 탄화수소환; 아다만탄 등에서의 3환식 탄화수소환 외에 4환식 탄화수소환 등의 가교식 탄화수소환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환식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시클로펜틸, (메트)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 시클로헵틸, (메트)아크릴산 시클로옥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시클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보르닐, (메트)아크릴산 이소보르닐,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2환식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트리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환 이상의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환식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환식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 시클로헥실(CHA), 메타크릴산 시클로헥실(CHMA), 아크릴산 이소보르닐(IBXA), 메타크릴산 이소보르닐(IBXMA)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 성분은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이란, 불가피적으로 혼입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능동적으로 배합은 하지 않는 것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단량체 성분 중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이, 단량체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0.05중량%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미만이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AA),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산 무수물(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기 함유 단량체)도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단량체 성분은 극성기 함유 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성분 중에 극성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시킴으로써, 극성기 함유 단량체가 적당한 극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은 적당한 점착력을 발현할 수 있다.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는 분자 내에 극성기를 갖는 단량체(특히,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극성기 함유 단량체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제외한 극성기 함유 단량체(분자 내에 카르복시기를 제외한 극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6-히드록시헥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등의 히드록실기(수산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 메틸글리시딜 등의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이나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N-비닐-2-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등의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 비닐술폰산나트륨 등의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단량체;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등의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시적으로 점착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관점에서,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및/또는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이다.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는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단량체이다.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나 상기 복소환 함유 비닐계 단량체 중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것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N-비닐-2-피롤리돈(NVP), N-비닐카프로락탐(NVC),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DMAA)가 바람직하다. 상기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 성분은 다관능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다관능 단량체(다관능성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가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성분은, 상기 (메트)아크릴산 C8-24 알킬에스테르, 상기 (메트)아크릴산 C1-9 알킬에스테르, 상기 지환식 단량체,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 상기 다관능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그 밖의 단량체)를 포함하여도 된다.
그 밖의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계 단량체 등의 전술한 (메트)아크릴산 C8-24 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C1-9 알킬에스테르, 극성기 함유 단량체, 지환식 단량체, 및 다관능 단량체 이외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또한,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에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류 또는 디엔류; 비닐알킬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그 밖의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량체 성분 중의 (메트)아크릴산 C8-24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량체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45 내지 10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중량%이다. 상기 함유량을 45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는 저온(-60 내지 20℃ 정도)에서의 리워크성이 보다 우수하다.
단량체 성분 중에 (메트)아크릴산 C1-9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량체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0중량% 초과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중량%이다. 상기 함유량을 50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보다 적당한 탄성률을 갖고, 상온(23℃ 정도)에서 보다 높은 점착력을 발현할 수 있다.
단량체 성분 중에 지환식 단량체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량체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0중량% 초과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중량%이다. 상기 함유량을 50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보다 적당한 탄성률을 갖고, 상온(23℃ 정도)에서 보다 높은 점착력을 발현할 수 있다.
단량체 성분 중에 (메트)아크릴산 C1-9 알킬에스테르 및 지환식 단량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특히 그 함유량(합계 함유량)이, 단량체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0중량% 초과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중량%이다.
단량체 성분 중에 극성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량체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0중량% 초과 2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중량%이다. 상기 함유량을 20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경시적으로 점착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단량체 성분 중의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 및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의 함유량의 합계량(합계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량체 성분 중에 다관능 단량체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의 겔분율을 바람직한 범위로 제어하는 관점에서, 단량체 성분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0중량% 초과 1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08중량%이다. 상기 함유량을 1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의 겔분율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고,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의 단차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관능 단량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관능 단량체를 상기의 함유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 C8-24 알킬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 C1-9 알킬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또는 지환식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는, 극성기 함유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는, 다관능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그 밖의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여도 된다. 각 구성 단위는 각각 1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100중량%) 중의 (메트)아크릴산 C8-24 알킬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5 내지 10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중량%이다. (메트)아크릴산 C1-9 알킬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0중량% 초과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중량%이다. 지환식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0중량% 초과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중량%이다. (메트)아크릴산 C1-9 알킬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 및 지환식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0중량% 초과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3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중량%이다. 극성기 함유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0중량% 초과 2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중량%이다. 다관능 단량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0중량% 초과 1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08중량%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형태로서, 탄소수가 10 내지 13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C10-13 알킬에스테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당해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형태에서는 단량체 성분에 탄소수가 10 내지 13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온에서는 점착성을 갖지만, 저온(-60 내지 20℃ 정도)에서는 점착력이 저하되어 박리되기 쉬워져 저온의 리워크성이 보다 우수하다.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 C10-13 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함으로써, (메트)아크릴산 C10-13 알킬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측쇄가 결정화하는 성질(측쇄 결정성)을 갖는다. 상기 측쇄로부터 형성되는 결정은 -60 내지 20℃ 정도에서 결정 융해 온도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이에 의해, 상기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온(23℃ 정도)에서는 비결정 상태가 되지만, 저온(-60 내지 20℃ 정도)에서는 (메트)아크릴산 C10-13 알킬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측쇄가 결정화한다. 그로 인해, (메트)아크릴산 C10-13 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서 구성된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온에서는 점착성을 갖지만, 저온에서는 탄성률이 높아지고, 점착력이 저하되어 박리되기 쉬워져 리워크성이 우수하다.
또한, 점착 시트, 특히 점착제층을 부착하는 부분의 재질이 금속이나 금속 산화물(예를 들어, ITO 필름 등의 투명 도전성 필름의 투명 도전막 등)인 경우에는, 피착체에 부식을 발생시키지 않는 특성(「내부식성」이라고도 칭함)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용도 확대에 수반하여, 상기 점착 시트, 특히 점착제층에는 다양한 환경 하에서 충분한 점착 시트 특성을 발휘하는 것이 요구되어 오고 있으며, 예를 들어 고온 환경 하나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발포나 박리를 발생시키지 않는 성질(내발포 박리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의 단차 흡수성, 내부식성이나 내발포 박리성은 광학 부재와 접합하는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용도에서 요구되고 있다.
상기 형태에서는 (메트)아크릴산 C10-13 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단량체 성분으로 함으로써,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온에서는 적절하게 부드럽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인쇄 단차를 가진 유리판 등의 단차를 갖는 부재라도, 얻어지는 점착 시트는 단차 부분에 추종하기 쉬워 단차 흡수성이 보다 우수하다.
상기 형태에서는 단량체 성분에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얻어지는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점착 시트를 부착하는 부분의 재질이 ITO 필름 등의 금속이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투명성 도전막인 경우라도 피착체를 부식시키지 않고, 내부식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온에서의 단차 흡수성도 우수하고, 경시에 의해 점착력이 증대되기 어렵다.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는 내부식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아크릴계 중합체의 상온에서의 단차 흡수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거나, 박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에서는 단량체 성분 중에 (메트)아크릴산 C1-9 알킬에스테르 및/또는 지환식 단량체가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당해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은 상온에서의 응집력 및 탄성률이 보다 높아지고, 내발포 박리성이 보다 향상되어 취급이 한층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형태에서는 탄소수가 10 내지 13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탄소수가 10 내지 13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하지 않아도, 탄소수가 1 내지 9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와, 탄소수가 14 내지 24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병용함으로써, 마찬가지의 리워크성을 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합 방법)
상기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예를 들어 상기 단량체 성분이나, 당해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단량체 성분과 당해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의 혼합물 등)을 공지 관용의 중합 방법에 의해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성분이나 당해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방법, 유화 중합 방법, 괴상 중합 방법,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중합 방법(열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수성, 비용 등의 점에서 용액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성분이나,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산소와의 접촉을 피하여(예를 들어 질소 분위기 하 등) 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중합(광중합)시에 조사되는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에너지, 조사 시간, 조사 방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광중합 개시제를 활성화시켜 단량체 성분의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된다.
상기의 용액 중합시에는 각종 일반적인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제로서는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량체 성분, 또는 당해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의 중합시에는, 중합 반응의 종류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광개시제)나 열중합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단량체 성분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중량부이다.
상기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α-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1-[4-(2-히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디메틸케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도데실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액 중합에 의해 중합시킬 때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조계 중합 개시제,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디벤조일퍼옥시드, tert-부틸퍼말레에이트 등),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9411호 공보에 개시된 아조계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조계 중합 개시제로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리안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조계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단량체 성분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중량부이다.
(가교제)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는 가교제가 포함되어도 된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 요소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2-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밖에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닛본 폴리우레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L」],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닛본 폴리우레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HL」] 등도 사용된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다관능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디글리시딜아닐린,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탄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아디프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o-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S-디글리시딜에테르 외에,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테트래드 C」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의 겔분율을 바람직한 범위 내로 제어하는 관점에서, 단량체 성분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중량부이다.
(용제)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는 용제가 포함되어도 된다. 상기 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첨가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가교 촉진제, 점착 부여 수지(로진 유도체, 폴리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유용성 페놀 등), 노화 방지제, 충전제, 착색제(안료나 염료 등),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가소제, 연화제,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그 밖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함유하여도 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당해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 및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상기 중합 개시제, 상기 용제, 상기 그 밖의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상기 중합 개시제, 상기 용제, 상기 그 밖의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상기 다른 첨가제 등을 용제에 용해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의 중합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취급이나 도포 시공에 적합한 점도로 하는 점에서 5 내지 2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중량%이다.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의 중합률은,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해진다.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시료로 한다. 상기 시료를 정칭하고 그 중량을 구하여 「건조 전의 부분 중합물의 중량」으로 한다. 이어서, 시료를 130℃에서 2시간 건조하고, 건조 후의 시료를 정칭하고 그 중량을 구하여 「건조 후의 부분 중합물의 중량」으로 한다. 그리고, 「건조 전의 부분 중합물의 중량」 및 「건조 후의 부분 중합물의 중량」으로부터 130℃에서 2시간의 건조에 의해 감소한 시료의 중량을 구하여 「중량 감소량」(휘발분, 미반응 단량체 중량)으로 한다.
얻어진 「건조 전의 부분 중합물의 중량」 및 「중량 감소량」으로부터, 하기 식으로부터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의 중합률(중량%)을 구한다.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의 중합률(중량%)=[1-(중량 감소량)/(건조 전의 부분 중합물의 중량)]×100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상기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때의 점착제 조성물로서 사용된다.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우수한 저온 리워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피착체끼리를 일단 접합한 후에, 다시 박리(재박리)한 경우에도, 박리한 피착체를 재이용할 수 있는 재박리가 가능한 점착 시트(재박리형 점착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워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하기 박리 시험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박리 시험)
양면 점착 시트(크기: 길이 26mm×폭 30mm)의 한쪽 점착면을 하기 피착체 A의 표면에 부착하고, 다른쪽 점착면을 하기 피착체 B의 표면에 부착하여 피착체 A/양면 점착 시트/피착체 B의 구성을 갖는 시험편을 제작한다. 이어서, 상기 시험편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압력 5atm, 온도 50℃의 조건에서 15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였다. 이어서, 상기 시험편을 -30℃의 환경 하에 30분간 방치한 후, -30℃의 환경 하에서 상기 피착체 A를 고정하고, 상기 피착체 B를 두께 방향으로 인장하여 피착체 A와 피착체 B를 박리시키는 시험을 행한다. 또한, 피착체 A와 피착체 B가 박리될 때의 최대 하중을 측정하고, 이것을 -30℃의 점착력(N)으로 한다.
피착체 B를 박리시킬 때의 인장 속도는 10 내지 1000mm/분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mm/분이다. 상기 「두께 방향」이란, 예를 들어 피착체 A의 길이 100mm, 폭 50mm인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다.
상기 피착체 A는 유리판(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0.7mm, 크기: 길이 100mm×폭 50mm)이다. 또한, 상기 피착체 B는 슬라이드 글래스(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1.0mm, 크기: 길이 76mm×폭 26mm)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평가)의 「(5) 리워크성」에 기재된 방법으로 행하는 시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일 형태로서는, 상기 박리 시험에 있어서 피착체 A와 피착체 B를 박리할 수 있는(특히, 피착체 A와 피착체 B를 파손시키지 않고 박리할 수 있는) 양면 점착 시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리 시험에 있어서, 피착체 A와 피착체 B를 파손시키지 않고 박리할 수 있는 양면 점착 시트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이어도 되고,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지 않는 점착 시트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다른 형태로서는, 상기 박리 시험에 있어서 -30℃의 점착력이 20N 미만이고, 또한 적어도 한쪽 점착면에서의 23℃의 180° 박리 점착력(유리에 대한 박리 점착력, 인장 속도: 300mm/분)이 2.0N/20mm 이상인 광학용 양면 점착 시트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있어서, 상온(23℃)에서의 180° 박리 점착력(180° 박리 점착력)(유리에 대한 박리 점착력, 인장 속도: 300mm/분, 온도 23℃)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N/20mm 이상(예를 들어 2.0 내지 50N/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N/20mm 이상(예를 들어 2.5 내지 40N/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4.0N/20mm 이상(예를 들어 4.0 내지 30N/20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N/20mm 이상(예를 들어 6.0 내지 20N/20mm)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양면 점착 시트인 경우에는, 적어도 한쪽 점착면의 상온(23℃)에서의 180° 박리 점착력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측의 점착면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80° 박리 점착력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평가)의 「(7) 180° 박리 점착력」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박리 시험에서의 -30℃의 점착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N 미만(예를 들어 3N 이상 내지 20N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N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N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2N 미만(예를 들어 5N 이상 12N 미만)이다. -30℃의 점착력이 20N 미만인 것에 의해, 저온(-60 내지 20℃ 정도)에서 점착력이 저하하여 피착체를 박리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양면 점착 시트인 경우에는, 어느 점착면을 피착체 A에 부착한 경우에도 -30℃의 점착력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30℃의 점착력이 20N 미만(예를 들어 3N 이상 20N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N)이며, 또한 적어도 한쪽 점착면에서의 23℃의 180° 박리 점착력(유리에 대한 박리 점착력, 인장 속도: 300mm/분)이 2.0N/20mm 이상(예를 들어 2.0 내지 50N/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N/2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30N/20mm)인 양면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온(23℃)에서의 180° 박리 점착력이 2.0N/20mm 이상이며, 또한 -30℃의 점착력이 20N 미만인 양면 점착 시트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이어도 되고,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지 않는 점착 시트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술한 본 발명에 관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본 발명의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적어도 1층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에도 기재, 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 등을 가져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층(예를 들어, 중간층, 하도층 등)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의 층은 각각 1층만 형성되어도 되고, 2층 이상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점착 시트」에는 「점착 테이프」의 의미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테이프 형상의 형태를 갖는 점착 테이프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상기 시트의 편면만이 점착제층 표면(점착면)인(즉, 본 발명의 점착제층 표면인) 편면 점착 시트이어도 되고, 상기 시트의 양면이 점착제층 표면인 양면 점착 시트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착체끼리의 접합에 사용하는 등의 관점에서 양면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의 양면이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표면인 양면 점착 시트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기재(기재층)을 갖지 않는 점착 시트, 소위 「무(無)기재 타입」의 점착 시트(「무(無)기재 점착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어도 되고,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이어도 된다. 상기 무기재 점착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나, 본 발명의 점착제층과 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다른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의 편면측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갖는 편면 점착 시트나, 기재의 양면측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나, 기재의 한쪽 편면측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갖고, 다른쪽 편면측에 다른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투명성 등의 광학 물성 향상의 관점에서 무기재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갖지 않는 양면 점착 시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기재를 갖는 점착 시트인 경우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공성의 관점에서 기재의 양면측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기재(기재층)」란,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피착체(광학 부재 등)에 사용(부착)할 때에는, 점착제층과 함께 피착체에 부착되는 부분이며, 점착 시트의 사용(부착)시에 박리되는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는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기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플라스틱 필름, 반사 방지(AR) 필름, 편광판, 위상차판 등의 각종 광학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 등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상품명 「아톤(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JSR제)」, 상품명 「제오노아(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닛본 제온제)」 등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기재로서는 투명 기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기재」란, 예를 들어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전광선 투과율(JIS K 7361-1에 준함)이 85% 이상인 기재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8% 이상인 기재를 말한다. 또한, 기재의 헤이즈(JIS K 7136에 준함)는 예를 들어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상기 투명 기재로서는 PET 필름이나, 상품명 「아톤」, 상품명 「제오노아」 등의 무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2 내지 75㎛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는 단층 및 복층의 어느 형태를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물리적 처리, 하도 처리 등의 화학적 처리 등의 공지 관용의 표면 처리가 적절하게 실시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를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100중량% 중의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리워크성, 단차 흡수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이 형성되는 관점에서, 점착제층의 중량 100중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내지 1mm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50㎛이다. 상기 두께가 10㎛ 이상인 것에 의해, 단차 부분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추종하기 쉬워져 단차 흡수성이 향상된다. 상기 두께가 1mm 이하인 것에 의해, 점착제층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려워져 가공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내지 9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중량%이다. 상기 겔분율을 90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어느 정도 작아져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부드러워지기 때문에, 단차 부분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추종하기 쉬워져 단차 흡수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겔분율이 20중량% 미만에서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부드러워지기 때문에 점착 시트의 가공성이 저하된다. 또한, 고온 환경 하나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기포나 들뜸이 발생하기 쉬워 내발포 박리성이 저하된다. 상기 겔분율은 다관능 단량체 및/또는 가교제의 종류나 함유량(사용량)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겔분율(용제 불용분의 비율)은 아세트산 에틸 불용분으로서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아세트산 에틸 중에 실온(23℃)에서 7일간 침지한 후의 불용분의 침지 전의 시료에 대한 중량분율(단위: 중량%)로서 구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겔분율이란 이하의 「겔분율의 측정 방법」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겔분율의 측정 방법)
점착제층을 약 1g 채취하여 그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중량을 「침지 전의 점착제층의 중량」으로 한다. 이어서, 채취한 점착제층을 아세트산 에틸 40g에 7일간 침지한 후, 아세트산 에틸에 불용해된 성분(불용해 부분)을 모두 회수하고, 회수한 전체 불용해 부분을 130℃에서 2시간 건조시켜 아세트산 에틸을 제거한 후, 그 중량을 측정하여 「불용해 부분의 건조 중량」(침지 후의 점착제층의 중량)으로 한다. 그리고, 얻어진 수치를 이하의 식에 대입하여 산출한다.
겔분율(중량%)=[(불용해 부분의 건조 중량)/(침지 전의 점착제층의 중량)]×100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서의 가용분(졸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105 내지 5.0×106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5 내지 2.0×106, 더욱 바람직하게는 3.0×105 내지 1.0×106이다. 상기 졸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105 미만에서는 점착력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졸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106보다 크면 탄성률이 상승하고 점착력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의 「가용분(졸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산출된다.
(가용분(졸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
본 발명의 점착제층 약 1g을 채취하여, 평균 구멍 직경 0.2㎛의 다공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시트(상품명 「NTF11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로 감싼 후, 연실로 묶는다(「샘플」이라고 칭함). 이어서, 샘플을 아세트산 에틸로 채운 50ml 용기에 넣어 23℃에서 1주일(7일간) 정치한다. 그 후, 용기 중의 아세트산 에틸 용액(추출된 졸분을 포함함)을 취출하고 감압 건조시켜 용매(아세트산 에틸)를 휘발시켜 졸분을 얻는다.
상기 졸분을 테트라히드로푸란(THF)에 용해시켜, GPC 측정 장치로서 상품명 「HLC-8120GPC」(도소 가부시끼가이샤제)를 사용하여 폴리스티렌 환산값에 의해 이하의 GPC의 측정 조건에서 측정하여 졸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측정한다.
(GPC의 측정 조건)
샘플 농도: 0.2중량%(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샘플 주입량: 10㎕
용리액: 테트라히드로푸란(THF)
유량(유속): 0.6mL/min
칼럼 온도(측정 온도): 40℃
칼럼: 상품명 「TSK gel Super HM-H/H4000/H3000/H2000」(도소 가부시끼가이샤제)
검출기: 시차 굴절계(RI)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융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60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0℃이다. 상기 융점이 20℃보다 높으면 실온에서 점착력을 발현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융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측정용 샘플로 하여,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의해 JIS K 7121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측정 장치로서 TA 인스트루먼츠사제, 장치명 「Q-2000」을 사용하여 -80℃부터 80℃까지 승온 속도 10℃/분의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평가)의 「(6) 융점」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에도 기재, 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다른 점착제층), 그 밖의 층(예를 들어, 중간층, 하도층 등)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가져도 된다.
상기 다른 점착제층(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우레탄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등의 공지된 점착제로 형성된 공지 관용의 점착제층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표면(점착면)은 사용시까지는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에 의해 보호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가 양면 점착 시트인 경우, 각 점착면은 2매의 세퍼레이터에 의해 각각 보호되어도 되며, 양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세퍼레이터 1매에 의해 롤 형상으로 권회되는 형태로 보호되어도 된다. 세퍼레이터는 점착제층의 보호재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피착체에 부착할 때에 박리된다. 또한, 세퍼레이터는 점착제층의 지지체의 역할도 담당한다. 또한, 세퍼레이터는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세퍼레이터로서는 관용의 박리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박리제층을 갖는 기재, 불소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나 무극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저접착성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박리제층을 갖는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제, 장쇄 알킬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 황화몰리브덴계 박리제 등의 박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소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극성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는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의 두께 등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은 공지 내지 관용의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 등에 따라 상이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하의 (1) 내지 (3)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1)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제, 용제, 가교제, 그 밖의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또는 세퍼레이터 상에 도포(도포 시공)하고, 경화(예를 들어, 열경화나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하여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제조한다.
(2)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필요에 따라 가교제, 그 밖의 첨가제를 용제에 용해한 점착제 조성물(용액)을 기재 또는 세퍼레이터 상에 도포(도포 시공)하고, 건조 및/또는 경화하여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제조한다.
(3) 상기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더 건조시킨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광경화)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반응은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저해되므로, 예를 들어 점착제층 상에 세퍼레이터를 접합하는 것, 질소 분위기 하에서 광경화시키는 것 등에 의해 산소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에서의 도포(도포 시공)에는 공지의 코팅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관용의 코터,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콤마 코터, 다이렉트 코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생산성의 관점에서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 및 중합 개시제(광중합 개시제나 열중합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가 있는 점착제층이 얻어지는 점에서,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두께(총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내지 1mm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50㎛이다. 상기 두께가 10㎛ 이상인 것에 의해, 단차 부분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추종하기 쉬워져 단차 흡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두께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한쪽 점착면부터 다른쪽 점착면까지의 두께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두께에는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높은 투명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헤이즈(JIS K 7136에 준함)는, 예를 들어 2%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상기 헤이즈가 2% 이하인 것에 의해, 부착한 광학 제품이나 광학 부재의 투명성이나 외관이 양호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전광선 투과율(가시광 파장 영역에서의 전광선 투과율)(JIS K 7361-1에 준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상기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인 것에 의해, 부착한 광학 제품이나 광학 부재의 투명성이나 외관이 양호해진다.
헤이즈 및 전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어 점착 시트에 유리판 등을 접합하여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평가)의 「(2) 헤이즈 및 전광선 투과율」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리워크성이 우수하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유리판 등의 고강성의 피착체끼리를 접합한 후에, 저온(-60 내지 20℃ 정도)으로 함으로써 피착체를 파손시키지 않고 박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학 용도, 접합 용도, 보호 용도 등에 적절하게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광학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용도(광학 부재 접합용)나, 광학 부재가 사용된 제품(광학 제품)의 제조 용도 등에 사용되는 광학용 점착 시트이다.
상기 광학 부재로서는 광학적 특성(예를 들어, 편광성, 광굴절성, 광산란성, 광반사성, 광투과성, 광흡수성, 광회절성, 선광성, 시인성 등)을 갖는 부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 등의 광학 제품을 구성하는 부재 또는 이들 기기(광학 제품)에 사용되는 부재를 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편광판,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도광판,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투명 도전 필름(ITO 필름 등), 의장 필름, 장식 필름, 표면 보호판, 프리즘, 렌즈, 컬러 필터, 투명 기판이나, 나아가 이들이 적층되어 있는 부재를 들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장치로서는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유리,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금속 박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재(예를 들어, 시트 형상이나 필름 형상, 판 형상의 부재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학 부재」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피착체인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시인성을 유지하면서 장식이나 보호의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의장 필름, 장식 필름이나 표면 보호판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그 중에서도 고강성의 광학 부재의 접합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유리로 이루어지는 광학 부재의 접합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유리 센서, 유리제 표시 패널(LCD 등), 터치 패널의 투명 전극을 구비한 유리판 등의 유리로 이루어지는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용도에 사용되는 광학용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센서와 유리제 표시 패널을 접합하는 용도에 사용되는 광학용 점착 시트이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접합된 부재(예를 들어 광학 부재 등)를 박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접합한 2개의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인장함으로써 박리하는 방법(점착 시트와 부재의 접착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인장함으로써 박리하는 방법), 2개의 부재를 상대적으로 평행 이동시켜 박리하는 방법,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서의 한쪽 부재에의 접착면 내와 다른쪽 부재에의 접착면 내에 특정한 서로 평행한 가상 직선이 비틀림 위치의 관계가 되도록 2개의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이동시키는 방법(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한쪽 점착면측과 다른쪽 점착면측이 비틀어지도록 2개의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2개의 부재를 상대적으로 평행 이동시키는」이란,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접합된 2개의 부재가 대향하는 면의 이격 거리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 2개의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개의 부재가 평판 형상의 부재인 경우에는, 2개의 부재(평판)가 평행 관계를 유지한 채, 2개의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박리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접합된 2개의 부재를, 그 2개의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이 얇고 유연성이 부족한 부재이어도, 상기 부재에 파손이나 깨짐에 이르는 큰 왜곡(변형)이 발생하는 힘(부하)이 실질적으로 가해지지 않고 박리할 수 있다. 상기 박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광학 부재의 접합의 박리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센서, 유리제 표시 패널(LCD 등), 터치 패널의 투명 전극을 구비한 유리판 등의 유리로 이루어지는 광학 부재의 접합의 박리에 사용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리 센서와 유리제 표시 패널의 접합의 박리에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에, 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예에서의 단량체 성분을 구성하는 단량체의 배합 조성(사용한 단량체의 종류와 배합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예 1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 98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NVP) 2중량부가 혼합된 혼합물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바스프(BASF) 재팬 가부시끼가이샤제) 0.05중량부 및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바스프 재팬 가부시끼가이샤제) 0.05중량부를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점도(BH 점도계 No.5 로터, 10rpm, 온도 30℃)가 약 15Paㆍs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시킴으로써 부분 중합 단량체 시럽(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을 얻었다.
이 부분 중합 단량체 시럽 100중량부에,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다관능 단량체) 0.04중량부, 광중합 개시제(추가 개시제)로서의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바스프 재팬 가부시끼가이샤제) 0.05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추가 개시제)로서의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바스프 재팬 가부시끼가이샤제) 0.05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필름(미쯔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제, 「MRF#38」)의 박리 처리된 면 위에 두께가 175㎛가 되도록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다른 한쪽의 점착제층의 표면과, 박리 필름(미쯔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제, 「MRN#38」)의 박리 처리된 면을 접합하여 조도 4mW/cm2, 광량 1200mJ/cm2의 조건에서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점착제층을 광경화시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예 2 내지 예 1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량체 성분을 구성하는 단량체의 종류와 배합량을 변경하고,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를 얻었다.
(평가)
상기의 예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에 대하여 겔분율, 헤이즈 및 전광선 투과율, 발포 신뢰성, 단차 흡수성, 리워크성, 융점, 180° 박리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1) 겔분율
겔분율의 측정은 상기 「겔분율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 헤이즈 및 전광선 투과율
상기의 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한쪽 박리 필름(MRN#38)을 박리하여 점착 시트를 유리판(상품명 「슬라이드 글래스 S111」, 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1.0mm, 헤이즈 0.1%)에 접합하고, 또한 다른쪽 박리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시험편으로 하였다. 상기 시험편에 대하여 헤이즈 미터(장치명 「HM-150」, 가부시끼가이샤 무라까미 시끼사이 기쥬쯔 겡뀨쇼제)에 의해, JIS K 7136에 준하여 헤이즈(%), 및 JIS K 7361-1에 준하여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3) 발포 신뢰성
상기의 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길이 100mm, 폭 50mm의 시트편(100mm×50mm의 시트편)을 잘라내고, 얻어진 시트편으로부터 한쪽 박리 필름(MRN#38)을 박리하였다.
이어서, 유리판(청판 절단품, 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길이 100mm, 폭 50mm, 두께 0.7mm)과 편광판(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길이 100mm, 폭 50mm, 두께 0.5mm)을 접합한 적층 유리와, 상기 시트편의 점착제층을, 편광판과 점착제층이 접하도록 접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시트편으로부터 다른쪽 박리 필름(MRF#38)을 박리하고, 유리판(청판 절단품, 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길이 100mm, 폭 50mm, 두께 0.7mm)을 하기의 조건에서 접합하였다. 그리고, 유리판/점착 시트/편광판/유리판의 구성을 갖는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접합 조건)
면압: 0.1MPa
진공도: 30Pa
부착 시간: 17초
이어서, 상기 평가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압력 5atm, 온도 50℃의 조건에서 15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였다. 오토클레이브 처리 후, 상기 평가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로부터 취출하였다. 이어서, 취출한 상기 평가용 샘플을 온도 85℃로 설정한 건조기에 투입하여 24시간 방치하였다. 24시간 방치 후, 건조기로부터 상기 평가용 샘플을 취출하고, 30분간 실온(23℃)에서 방치하였다. 그리고, 육안에 의해 상기 평가 샘플에서의 편광판과 점착 시트의 사이, 및 유리판과 점착 시트의 사이의 기포 유무를 관찰하여, 기포가 없는 경우를 양호(◎), 기포가 5개 미만인 경우를 가능(○), 기포가 5개 이상인 경우를 불량(×)으로 발포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4) 단차 흡수성
상기의 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길이 100mm, 폭 50mm의 시트편(100mm×50mm의 시트편)을 잘라내고, 얻어진 시트편으로부터 한쪽 박리 필름(MRN#38)을 박리하였다.
이어서, 상기 시트편을 유리판(청판 절단품, 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길이 100mm, 폭 50mm, 두께 0.7mm)과, 상기 시트편의 점착제층을 접합하였다.
이어서, 유리판에 접합한 상기 시트편으로부터 다른쪽 세퍼레이터(MRF#38)를 박리하고, 인쇄 단차를 갖는 유리판을, 인쇄 단차가 실시된 면과 상기 시트편의 점착제층 표면이 접하도록 하기의 접합 조건에서 접합하였다. 그리고, 유리판/점착 시트/인쇄 단차를 갖는 유리판의 구성을 갖는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접합 조건)
면압: 0.1MPa
진공도: 30Pa
부착 시간: 17초
또한, 상기 인쇄 단차를 갖는 유리판은, 유리판(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길이 100mm, 폭 50mm, 두께 0.7mm)의 한쪽 면에 인쇄 부분의 두께(인쇄 단차의 높이)가 35㎛인 인쇄가 실시된 유리판이다.
이어서, 상기 평가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압력 5atm, 온도 50℃의 조건에서 15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였다. 오토클레이브 처리 후, 상기 평가용 샘플을 취출하고, 점착제층과 인쇄 단차를 갖는 유리판의 부착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점착제층과 인쇄 단차를 갖는 유리판의 사이에 들뜸이 없는 경우를 양호(○)로 하고, 들뜸이 발생한 경우를 불량(×)으로 단차 흡수성을 평가하였다.
(5) 리워크성
(평가 샘플의 제작)
도 1은 리워크성의 평가에 사용한 평가 샘플을 도시하는 설명도(평면도)이다. 도 2는 리워크성의 평가에 사용한, 연실을 건 상태의 평가 샘플을 도시하는 설명도(A-A 단면도)이다.
상기의 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시트편(크기: 길이 30mm×폭 26mm)을 잘라내고, 얻어진 시트편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한 시트편(11)을 측정에 사용하였다.
하기와 같이 하여 상기 시트편(11)을 개재하여 슬라이드 글래스 (a)(12)(크기: 길이 76mm×폭 26mm, 두께 1.0mm)와 유리판 (b)(13)(크기: 길이 100mm×폭 50mm, 두께 0.7mm)를 접합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평가 샘플을 제작하였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글래스 (a)는 단부로부터 55mm의 위치에 폭 방향으로 연실 인장 부분(14)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잘라낸 시트편으로부터 한쪽 박리 필름(MRN#38)을 박리하여 한쪽 점착면에 슬라이드 글래스 (a)(12)를 부착하고, 다른쪽 박리 필름(MRF#38)을 박리하여 다른쪽 점착면에 유리판 (b)(13)를 접합하였다. 그리고, 슬라이드 글래스 (a)/점착 시트/유리판 (b)의 구성을 갖는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리워크성(-30℃) 및 리워크성(-30℃의 점착력(N))의 평가)
상기 평가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압력 5atm, 온도 50℃의 조건에서 15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였다. 오토클레이브 처리 후, 상기 평가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로부터 취출하고, 취출한 평가용 샘플을 온도 -30℃에서 30분간 정치하였다. 이어서, 도 1, 도 2와 같이 슬라이드 글래스 (a)(12)의 연실 인장 부분(14)에 연실(15)을 걸었다. 계속해서, 유리판 (b)(13)를 인장 시험기에 금속의 지그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연실(15)을 유리판 (b)(13)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도 2에 도시하는 인장 방향)으로 온도 -30℃,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인장하여 슬라이드 글래스 (a)와 유리판 (b)를 박리시켰다. 슬라이드 글래스 (a) 및 유리판 (b)를 박리시킨 후의 슬라이드 글래스 (a) 및 유리판 (b)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슬라이드 글래스 (a)와 유리판 (b)가 박리될 때의 최대 하중을 측정하여, 이것을 「-30℃의 점착력(N)」으로 하였다. 또한, 슬라이드 글래스 (a)가 깨진 경우에는, 깨졌을 때의 하중을 「-30℃의 점착력(N)」으로 하였다.
슬라이드 글래스 (a) 및 유리판 (b)를 깨지지 않고 박리할 수 있고, -30℃의 점착력(N)이 12N 이하인 경우를 양호(◎), 슬라이드 글래스 (a) 및 유리판 (b)를 깨지지 않고 박리할 수 있고, -30℃의 점착력(N)이 20N 미만인 경우를 양호(○), 슬라이드 글래스 (a) 또는 유리판 (b)가 깨진 경우를 불량(×)으로 리워크성(-30℃)을 평가하였다.
(리워크성(실온)의 평가)
상기 평가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압력 5atm, 온도 50℃의 조건에서 15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였다. 오토클레이브 처리 후, 상기 평가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로부터 취출하고, 취출한 평가용 샘플을 실온(23℃)에서 30분간 정치하였다. 이어서, 도 1, 도 2와 같이 슬라이드 글래스 (a)(12)의 연실 인장 부분(14)에 연실(15)을 걸었다. 계속해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연실(15)을 유리판 (b)(13)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도 2에 도시하는 인장 방향)으로 실온(23℃),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인장하여, 슬라이드 글래스 (a) 및 유리판 (b)이 깨지지 않고 박리할 수 있는 경우를 양호(○), 슬라이드 글래스 (a) 또는 유리판 (b)이 깨진 경우를 불량(×)으로 리워크성(실온)을 평가하였다.
(6) 융점
상기의 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2 내지 3mg 채취하고, 알루미늄제 용기에 넣어 크림프한 것을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상기 측정용 샘플을 시차 주사 열량계(DSC)(측정 장치: 장치명 「Q-2000」, TA 인스트루먼츠사제)에 의해 JIS K 7121에 준거하여 -80℃부터 80℃까지 승온 속도 10℃/분의 조건에서 측정하였을 때의 흡열 피크 톱 온도(Tm)를 융점으로 하였다.
또한, 융점을 측정하지 않은 경우는 미측정(-), 샘플이 결정화되지 않기 때문에 융점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는 측정 불가(×)로 하였다.
(7) 180° 박리 점착력
상기의 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길이 100mm, 폭 20mm의 시트편(100mm×20mm의 시트편)을 잘라내고, 얻어진 시트편으로부터 한쪽 박리 필름(MRN#38)을 박리하고, 점착면(측정면과 반대면)에 PET 필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 S-10」, 두께 50㎛)을 부착(배접)하여 직사각형의 시트편을 제작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직사각형의 시트편으로부터 다른쪽 박리 필름(MRF#38)을 박리하고, 다른 한쪽의 점착면(측정면)을 유리판(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0.7mm)에 23℃ 분위기 하에서 2kg 롤러를 1왕복시킴으로써 압착하여 측정 샘플을 제작하였다.
상기 측정 샘플을 23℃, 50% RH의 분위기 중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180° 박리 시험을 행하여, 유리판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180° 박리 점착력)(N/20mm)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23℃, 50% RH의 분위기 하에 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행하였다.
Figure pat00001
표 1에서 사용한 단량체 성분의 약호는 이하와 같다.
LA: 라우릴아크릴레이트
BA: 부틸아크릴레이트
MA: 메틸아크릴레이트
2EH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IBXA: 아크릴산 이소보르닐
NVP: N-비닐-2-피롤리돈
DMAA: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VC: N-비닐카프로락탐
HEA: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HDDA: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DPHA: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AA: 아크릴산
표 1의 결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예 1 내지 9, 11 내지 14의 점착 시트는 (메트)아크릴산 C10-13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예 10)와 비교하여, -30℃의 리워크성 및 23℃의 180° 박리 점착력 등이 우수한 점착 시트이었다. 이들 중에서도 예 1 내지 9, 12 내지 14는 단차 흡수성도 더 우수하였다.
11: 시트편(점착 시트)
12: 슬라이드 글래스 (a)
13: 유리판 (b)
14: 연실 인장 부분
15: 연실

Claims (11)

  1.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당해 단량체 성분의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며,
    상기 단량체 성분은 탄소수가 10 내지 13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성분이 극성기 함유 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가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및 질소 원자 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성분이 탄소수가 1 내지 9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성분이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탄소수가 10 내지 13인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가 라우릴아크릴레이트인 점착제 조성물.
  7. 제1항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 중의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50중량% 이상인 점착 시트.
  9. 제7항에 있어서, 광학용 점착 시트인 점착 시트.
  10. 하기의 박리 시험에 있어서, -30℃의 점착력이 20N 미만이고, 또한 적어도 한쪽 점착면에서의 23℃의 180° 박리 점착력(유리에 대한 박리 점착력, 인장 속도: 300mm/분)이 2.0N/20mm 이상인 광학용 양면 점착 시트.
    박리 시험: 양면 점착 시트(크기: 길이 26mm×폭 30mm)의 한쪽 점착면을 하기 피착체 A의 표면에 부착하고, 다른쪽 점착면을 하기 피착체 B의 표면에 부착하여 피착체 A/양면 점착 시트/피착체 B의 구성을 갖는 시험편을 제작하고, 상기 시험편을 압력 5atm, 온도 50℃의 조건에서 15분간 처리한 후, -30℃의 환경 하에서30분간 정치하여 상기 피착체 A를 고정하고, 상기 피착체 B를 두께 방향으로 인장 속도 300mm/분의 속도로 인장하여 피착체 A와 피착체 B가 박리될 때의 최대 하중을 측정함
    피착체 A: 유리판(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0.7mm, 크기: 길이 100mm×폭 50mm)
    피착체 B: 슬라이드 글래스(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1.0mm, 크기: 길이 76mm×폭 26mm)
  11. 하기의 박리 시험에 있어서, 피착체 A와 피착체 B를 파손시키지 않고 박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박리 시험: 양면 점착 시트(크기: 길이 26mm×폭 30mm)의 한쪽 점착면을 하기 피착체 A의 표면에 부착하고, 다른쪽 점착면을 하기 피착체 B의 표면에 부착하여 피착체 A/양면 점착 시트/피착체 B의 구성을 갖는 시험편을 제작하고, 상기 시험편을 압력 5atm, 온도 50℃의 조건에서 15분간 처리한 후, -30℃의 환경 하에서30분간 정치하여 상기 피착체 A를 고정하고, 상기 피착체 B를 두께 방향으로 인장 속도 300mm/분의 속도로 인장하여 피착체 A와 피착체 B가 박리될 때의 최대 하중을 측정함
    피착체 A: 유리판(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0.7mm, 크기: 길이 100mm×폭 50mm)
    피착체 B: 슬라이드 글래스(마쯔나미 가라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두께 1.0mm, 크기: 길이 76mm×폭 26mm)
KR1020120126627A 2011-11-10 2012-11-09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201300518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46877 2011-11-10
JPJP-P-2011-246877 2011-11-10
JP2012010895 2012-01-23
JPJP-P-2012-010895 2012-0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898A true KR20130051898A (ko) 2013-05-21

Family

ID=4828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627A KR20130051898A (ko) 2011-11-10 2012-11-09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22288A1 (ko)
JP (1) JP6114004B2 (ko)
KR (1) KR20130051898A (ko)
CN (1) CN103102847A (ko)
TW (1) TW2013291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216A (ko) * 2015-04-15 2018-03-29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CN109627996A (zh) * 2018-11-14 2019-04-16 华南理工大学 一种触摸屏贴合用高透光率光学透明胶及其合成方法
KR20190080196A (ko) * 2017-12-28 2019-07-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2035A (ja) * 2011-11-10 2013-06-20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JP2014172999A (ja) * 2013-03-08 2014-09-22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JP6172127B2 (ja) * 2014-11-28 2017-08-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
KR102340259B1 (ko) * 2016-09-09 2021-12-16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CN116044098A (zh) * 2018-08-17 2023-05-02 Sika技术股份公司 自粘性屋面膜
JP2021060578A (ja) * 2019-10-09 2021-04-15 ニッタ株式会社 遮光部材
JP2022136543A (ja) * 2021-03-08 2022-09-2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組成物
KR20230163414A (ko) * 2021-03-29 2023-11-30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차광 부재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1750C (ko) * 1962-11-05 1900-01-01
DE2162376A1 (de) * 1971-12-16 1973-06-20 Dynamit Nobel Ag Selbstklebende schutzpapiere und schutzfolien
US3922464A (en) * 1972-05-26 1975-11-25 Minnesota Mining & Mfg Remov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terial
JPS5427858B2 (ko) * 1974-07-30 1979-09-12
DE2915887A1 (de) * 1979-04-19 1980-11-06 Wacker Chemie Gmbh Copolymerisate auf der basis von acrylestern, vinylacetat und aethylen
JPS5783571A (en) * 1980-11-12 1982-05-25 Toagosei Chem Ind Co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JPS6032872A (ja) * 1983-07-30 1985-02-20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着剤用組成物
ES2048202T3 (es) * 1987-08-14 1994-03-16 Minnesota Mining & Mfg Adhesivo sensible a la presion.
EP1097978B1 (en) * 1993-11-10 2004-02-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ackifi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P3103832B2 (ja) * 1995-09-25 2000-10-30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ディレードタック粘着剤組成物
JP3717584B2 (ja) * 1996-03-14 2005-11-16 ニッタ株式会社 易剥離性ラベル
US5824748A (en) * 1996-06-03 1998-10-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mposit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icrospheres
KR20000070375A (ko) * 1997-02-21 2000-11-25 에드워드 엘. 데이지 압력 민감성 접착제 약물 경피 전달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압력 민감성 접착제
JP2003513122A (ja) * 1999-10-28 2003-04-0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組成物およびそれらから製造された物品
JP2001240830A (ja) * 2000-02-28 2001-09-04 Saiden Chemical Industry Co Ltd 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US6660354B2 (en) * 2000-02-29 2003-1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lease material, release material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release material article
US6883908B2 (en) * 2001-01-08 2005-04-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k jet printing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atterns or films on a wide range of substrates
JP2003183457A (ja) * 2001-12-18 2003-07-03 Nitto Denko Corp 外部衝撃緩和性にすぐれた透明粘着剤組成物
JP5010994B2 (ja) * 2006-06-28 2012-08-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265874B2 (ja) * 2007-02-08 2013-08-1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5342174B2 (ja) * 2008-05-23 2013-11-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JP5281318B2 (ja) * 2008-05-23 2013-09-0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金属面貼付用粘着シート
JP5480477B2 (ja) * 2008-05-23 2014-04-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28380B2 (ja) * 2008-11-26 2011-07-20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0129699A (ja) * 2008-11-26 2010-06-10 Nitto Denko Corp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0129700A (ja) * 2008-11-26 2010-06-10 Nitto Denko Corp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519971B2 (ja) * 2008-11-26 2014-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イシング・ダイボンドフィルム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EP2379665A4 (en) * 2008-12-24 2012-07-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ICROSPHERIC ADHESIVE ADHESIVE COMPOSITION
JP2010270187A (ja) * 2009-05-20 2010-12-02 Toyo Ink Mfg Co Ltd 感圧式接着剤用樹脂の製造方法、感圧式接着剤及び感圧式接着剤フィルム。
CN101693820A (zh) * 2009-10-30 2010-04-14 北京化工大学 Lcd偏光片用丙烯酸酯压敏胶及其制备方法
US8137807B2 (en) * 2010-03-26 2012-03-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s derived from 2-alkyl alkanols
JP5954957B2 (ja) * 2010-11-02 2016-07-20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両面粘着シート、透明電極用粘着剤、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粘着剤層含有積層体の製造方法
JP5764435B2 (ja) * 2011-08-29 2015-08-19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216A (ko) * 2015-04-15 2018-03-29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20180098500A (ko) * 2015-04-15 2018-09-04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20190080196A (ko) * 2017-12-28 2019-07-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표시장치
CN109627996A (zh) * 2018-11-14 2019-04-16 华南理工大学 一种触摸屏贴合用高透光率光学透明胶及其合成方法
CN109627996B (zh) * 2018-11-14 2020-12-22 华南理工大学 一种触摸屏贴合用高透光率光学透明胶及其合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02847A (zh) 2013-05-15
JP6114004B2 (ja) 2017-04-12
TW201329187A (zh) 2013-07-16
US20130122288A1 (en) 2013-05-16
JP2013173912A (ja)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001B1 (ko) 판의 박리 방법
KR102386683B1 (ko) 판의 박리 방법
KR20130051898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JP5518436B2 (ja) 光学用粘着シート
KR101749758B1 (ko) 광학용 점착 시트
JP6001255B2 (ja) 粘着シート
TWI545169B (zh) 光學壓感性黏著片材、液晶顯示器及包含其之輸入裝置
JP6062759B2 (ja) 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シート、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JP6001316B2 (ja) 粘着シート
KR20130002288A (ko) 광학용 양면 감압 점착 시트, 광학 부재, 터치 패널, 화상 표시 장치, 및 분리 방법
KR20130051900A (ko) 점착 시트
JP2014047254A (ja) 両面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板の剥離方法
JP2014012808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KR20130000358A (ko) 광학용 양면 감압 점착 시트
TW201443191A (zh) 壓感貼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