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0375A - 압력 민감성 접착제 약물 경피 전달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압력 민감성 접착제 - Google Patents

압력 민감성 접착제 약물 경피 전달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압력 민감성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0375A
KR20000070375A KR1019997006608A KR19997006608A KR20000070375A KR 20000070375 A KR20000070375 A KR 20000070375A KR 1019997006608 A KR1019997006608 A KR 1019997006608A KR 19997006608 A KR19997006608 A KR 19997006608A KR 20000070375 A KR20000070375 A KR 20000070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sensitive adhesive
pressure sensitive
component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제이. 자작코스키
바바라 에이. 스튜즈만
도날드 제이. 테리올트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엘. 데이지
어드헤시브즈 리서치,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803,594 external-priority patent/US5951999A/en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엘. 데이지, 어드헤시브즈 리서치,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엘. 데이지
Publication of KR2000007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3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61P5/30Oestr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08C or C08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08C or C08F
    • C08F290/044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08C or C08F
    • C08F290/046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그래프트 될 수 있는 중합성 성분을 가지는 주쇄 중합체를 포함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압력 민감성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중합체는 비-3차 알콜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단량체성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A 단량체,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B 단량체, 20℃ 이상의 Tg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중합체성 그래프트 성분 C, 그리고 반복 친수성 유니트를 포함하는 매크로머 그래프트 성분 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약물학적 활성성분과의 균질한 혼합물로서 경피성 약물 전달 시스템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압력 민감성 접착제 약물 경피 전달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Transderma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drug delivery system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ed therein}
본 발명은 약물학적 활성성분, 특히 에스트로겐 및/또는 프로게스틴 활성성분의 경피 투여에 유용한 압력 민감성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치료제들의 경피 전달은 20년 이상동안 중요한 연구와 개발의 주제가 되어왔다. 이러한 노력들은 결과적으로 몇가지 상업적으로 성공적인 제품들을 만들었으며, 다른 약제형을 능가하는 이 제품들의 장점들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피부는 예외적으로 잘 디자인된 장벽이다. 결과적으로, 에스트로겐 및/또는 프로게스틴과 같은 호르몬을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소량의 약제 분자들만이 경피 전달에 적당하다.
환자에게 경피성 수단에 의하여 에스트로겐 및/또는 프로게스틴 활성성분과 같은 스테로이드성 호르몬을 투여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5,108,995호; 제 5,223,261호; 제 5,242,951호; 제 5,422,119호; 제 5,460,820호; 및 WO 96/08229호 참조. 이러한 활성성분들은 시간이 지나면 접착제 매트릭스 내에서 쉽게 결정화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결정화는 환자에게 활성성분을 전달하는 경피성 수단의 능력을 억제시킨다.
선행기술은 전달 시스템의 장기간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활성성분의 결정화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에스트로겐 및/또는 프로게스틴 활성성분의 전달을 위하여 만족스러운 매트릭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압력에 민감한 경피성 접착제를 제공하지 못한다.
유성 또는 수용성 약제 흐름 증진제 또는 피부 침투 증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경피성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로써, 증진제가 유성 또는 수용성인가에 따라서 구별되는 접착 제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발명의 목적과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절한 피부 접착을 위하여 적당한 점성과 탄성을 지닌 특성을 유지하는 반면에 활성성분들과 만족스러운 혼화성을 갖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약물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피성 약물 전달 시스템내에서 결정화하는 호르몬의 성향을 감소시키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약물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친수성을 나타내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성 및 수용성 경피 침투 증진제와 적당한 혼화성이 있어서 경피성 약물 전달 장치(transdermal drug delivery device)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래프트된 중합체 성분을 갖는 주쇄(backbone) 중합체로 이루어진, 압력에 민감한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된 접착제를 제공하며,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다음의 (1), (2), (3), (4)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1) 1∼3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비-3차 알코올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A 단량체, 여기에서 상기 A 단량체의 적어도 약 30중량%는 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비-3차 알코올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A 단량체는 전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알코올 부분에서 적어도 10개의 평균 탄소원자수를 나타내며,
(2)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B 단량체,
(3) 20℃ 이상의 Tg를 갖는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성 그래프트 성분 C,
(4) 친수성 반복 유니트,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기초로 하는 그래프트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체성 그래프트 성분 D.
본 발명에 따르면, (1) 적어도 하나의 N-비닐 락탐 단량체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친수성 반복 유니트를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중합체 성분을 갖는, (메타)아크릴 에스테르 주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래프트 공중합체와, (2) 상기 매크로머 강화 베이스 중합체와의 균일한 혼합물로 존재하는 약물학적 활성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착성을 갖는 압력 민감성 경피성 약물 전달 조성물도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약물학적 활성성분에 대해 불침투성인 유연한 지지(backing) 물질과 상기 지지 물질의 적어도 일부분상에 있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약물학적 활성성분을 투여하기 위한 경피성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접착층이 적어도 하나의 N-비닐 락탐 단량체를 임의로 포함하고, 친수성 반복 유니트를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중합체 성분을 갖는 (메타)아크릴 에스테르 주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피성 약물 전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피성 약물 전달 조성물과 그러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피성 전달 장치뿐만 아니라 압력 민감성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된 압력 민감성 접착제는 그래프트된 중합체 성분을 갖는 주쇄 중합체를 포함한다.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A 단량체(정의한 바와 같음), 적어도 임의의 B 단량체, 20℃ 이상의 Tg를 갖는 임의의 중합체성 그래프트 성분 C와 친수성 반복 유니트를 포함하는 중합체성 그래프트 성분 D를 포함한다.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비-3차 알코올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A 단량체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알코올 부분은 1∼3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다. 예로서 A 단량체들은 제한되지 않지만, 1-부탄올, 1-펜탄올, 2-펜탄올, 3-펜탄올, 2-메틸-1-부탄올, 1-메틸-1-펜탄올, 2-메틸-1-펜탄올, 3-메틸-1-펜탄올, 2-에틸-1-부탄올, 3,5,5-트리메틸-1-헥산올, 3-헵탄올, 2-옥탄올, 1-데칸올, 1-도데칸올 등과 같은 비-3차 알코올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의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코올로부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A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적어도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코올로부터 생성된 A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로서 A 단량체들은, 제한되지 않지만, 라우릴 아크릴레이트(C12), 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C13), 미리스틸 아크릴레이트(C14), 팔미틸 아크릴레이트(C16)와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C18)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량체들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로 이루어진 탄소사슬을 갖는 A 단량체의 존재는 사용될 수도 있는 유성 또는 비-수용성 약물 흐름 증진제 또는 피부 침투 증진제와 접착제와의 혼화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증진제들은 4∼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코올로부터 생성된 A 단량체들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는 종래의 경피성 접착제와 특별히 혼화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지는 않았다. 본 발명의 접착제에 있어서 4∼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코올로부터 생성된 A 단량체들의 사용이 적당하지만, 적어도 하나의 A 단량체 성분으로서 12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코올로부터 생성된 A 단량체를 적어도 3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A 단량체 성분(하나 이상의 A 단량체가 존재한다면)은 전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알코올 부분에서 4∼16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개의 탄소원자수를 나타낼 것이다.
하나 이상의 임의의 중합가능한 B 단량체들은, B 단량체(들)이 A 단량체와 공중합반응을 하므로써 공중합체내에 혼입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B 단량체(들)은 친수성일 수도 있고 또는 소수성일 수도 있다.
예로서 임의의 B 단량체들은 적어도 하나의 질소원자를 갖는 비닐 단량체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단량체들(이들 각각은 Tg>20℃를 나타냄)은, 제한되지 않지만,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와 디아세톤 아크릴아미드와 같은 N-모노-치환된 아크릴 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에틸-N-아미노에틸아크릴아미드, N-에틸-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와 N,N-디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등과 같은 N,N-이치환된 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한다.
다른 임의의 B 단량체들은 예를 들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세롤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베타-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비닐 피롤리돈과 비닐 카프로락탐(이들 각각은 Tg>20℃을 나타냄)과 같은 여러가지의 비닐 단량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B 단량체는 N-비닐 락탐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N-비닐 락탐 단량체들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N-비닐-2-피롤리돈; 5-메틸-N-비닐-2-피롤리돈; 5-에틸-N-비닐-2-피롤리돈; 3,3-디메틸-N-비닐-2-피롤리돈; 3-메틸-N-비닐-2-피롤리돈; 3-에틸-N-비닐-2-피롤리돈; 4-메틸-N-비닐-2-피롤리돈; 4-에틸-N-비닐-2-피롤리돈; N-비닐-2-발레로락탐; N-비닐-2-카프로락탐;및 이들의 혼합물들을 포함한다. N-비닐 락탐은 N-비닐-2-피롤리돈이 바람직하다.
임의의 그래프트 중합체 성분 C는 20℃ 이상의 Tg를 갖는다. 그래프트 중합체 성분 C는 일반식 X-Z를 가지며, 여기에서 X는 단량체 A 및 B와 공중합 반응을 할 수 있는 그룹이거나 또는 공중합된 A와 B 단량체들에 부착될 수 있는 그룹이며, Z는 20℃ 이상의 Tg를 갖는 공중합체 그래프트 성분이다. Z 성분은 공중합반응 조건하에서는 본질적으로 무반응성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X 성분은 불포화되고 중합반응이 가능한 성분이며, 이의 조성은 중요하지 않다. X 성분은, 예를 들어 단량체 A 및 B와 공중합 반응 가능한 것일 때에는 단순히 일반식 CHR=CR1-의 비닐기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R은 수소 또는 COOH이고 R1은 수소 또는 메틸과 같은 알킬이다. 다른 예시적인 X 성분들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메타크릴로일, 말레오일, 이타콘오일, 크로톤오일, 불포화 우레탄 성분, 메타크릴아미드와 일반식 CH2=CHCH2O-의 성분들을 포함한다.
X 성분은 미리 중합된 단량체 A와 B에 적합한 기능성을 부여하도록 매크로머의 부착을 허용하는 아민 또는 알코올 성분(모노히드록실 또는 모노아민 성분과 같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히드록실 성분은 이소시아네이트-치환된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무수물 등과 같은 단량체들을 사용하여 얻어진 중합체 주쇄상의 적당한 성분들과 반응을 하므로써 말단 반응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관능기들이 중합체 주쇄에 그래프트 Z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관능기들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다.
접착제 조성물의 임의의 중합체 그래프트 성분 C 부분에 관해서, 미국특허 제 3,786,116호; 제 3,842,057호; 제 3,842,058호; 제 3,842,059호; 제 3,862,098호; 제 3,862,101호; 제 3,862,102호 및 제 4,554,324호는 정의한 바와 같은 주쇄 중합체에 대한 그래프트 성분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중합가능한 매크로머를 개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성분 C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인덴과 p-터셔리-부틸스티렌과 같은 비닐 방향족 단량체로부터 생성된다. 그러나, 중합체 성분 C는 또한 비닐톨루엔, 아세나프탈렌, 아크릴로니트릴과 메타크릴로니트릴; 저급 알킬 이소시아네이트,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저급알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할로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저급 알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토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t-부틸 아크릴레이트와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저급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저급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와 아릴 아크릴레이트 및 아릴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펜텐, 헥산 등과 같은 저급 올레핀;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옥토에이트, 비닐 올리에이트, 비닐 스테아레이트, 비닐 벤조에이트, 비닐 저급 알킬 에테르와 같은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비닐 에스테르들; 이소프렌과 부타디엔과 같은 결합된 디엔들; 2-에틸-2-옥사졸린과 같은 2-옥사졸린; 아크릴아미드, 메틸아크릴아미드와 같은 비닐 불포화 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와 같은 N,N-디(저급알킬)아크릴아미드로부터 생성된다.
그래프트 중합체를 위한 특정의 중합가능한 단량체의 선택은 중요치 않으며, 상기 목록들이 암시하듯이, 최소의 Tg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는 다양한 단량체들(과 결과적으로 생성된 중합체 성분들)이 특허청구된 조성물에서 그래프트 중합체로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래프트 중합체 성분 C의 분자량은 "상-분리된" 그래프트 공중합체 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일반적으로 그래프트 중합체 성분의 분자량은 2,000∼60,000 범위일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2,000∼13,000 범위내일 것이다.
매크로머 D 또한 그래프트 공중합체상에서 중합체성 측쇄(sidechain)를 형성한다. 매크로머 D는 친수성 반복 유니트를 포함한다.
매크로머 D는 일반식 X-(Y)p-Z-R로 표현될 수 있다. X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단량체 A 및 B와 함께 공중합 반응가능한 성분이거나, 또는 중합반응된 단량체 A와 B에 부착가능한 성분이며, Y는 2가의 연결기이고, Z는 친수성 반복 유니트를 포함하는 공중합 반응조건하에서는 본질적으로 반응성이 없는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성분이며, R은 말단기이고, p는 0 또는 1이다.
바람직한 2가 연결기 Y는또는 이러한 성분을 포함하는 연결기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부가적인 Y 연결기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다음의 성분들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R은 수소, 알킬 또는 페닐이다. Y 연결기는 Z 성분을 X 성분과 반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니는 임의의 성분이다. 공중합체내에 거대 분자 성분들의 혼입은 당업자들에 의해 잘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에 적합한 X와 Y 성분의 선택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기에 참고문헌으로 통합된 미국특허 제 3,786,116호; 제 3,832,423호; 제 3,842,058호; 제3,842,059호; 제 3,842,146호; 제 4,554,324호를 참조.
Z성분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라디칼 또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라디칼, 폴리(2-에틸-2-옥사졸린) 라디칼과 같은 폴리에틸옥사졸린 라디칼, 폴리아크릴산 라디칼, 폴리비닐 알코올 라디칼, 폴리비닐피롤리돈 라디칼, 폴리비닐 카프로락탐 라디칼, 폴리메틸비닐에테르 라디칼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군(group)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이러한 라디칼들로부터 생성된 예시적인 D 매크로머들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에톡실화 또는 프로폭실화 하이드록시(C1-5)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비닐에테르,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와 베타-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매크로머의 분자량은 중요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약 300∼약 50,000 범위내, 바람직하게는 약 300∼3,000 범위내일 것이다.
Z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친수성 단량체 라디칼만을 포함한다. 그러나, Z 성분은 또한 친수성 및 소수성 단량체들의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Z 공중합체에 사용된 어떤 비-친수성 부분은 매크로머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50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며,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미만으로 존재한다.
매크로머 D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일반식으로 표현되며:
여기에서 X와 Y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은 말단기를 나타내고; m은 2∼6의 정수이고, n은 300까지의 정수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매크로머 D는 다음 일반식으로 표현되는 에톡실화 또는 프로폭실화 히드록시(C1-5)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고:
여기에서 R1은 수소 또는 C1-5알킬이고, R은 말단기이다. 바람직하게는, m은 2 또는 3이고, n은 5∼30이며, R은 OH, C1-5알킬 또는 노닐-페놀이다.
선택적으로, 매크로머 D는 유리하게는 다음 일반식의 2-카르복시(C1-5)알킬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R1은 수소 또는 C1-5알킬이고, R은 말단기이다. 바람직하게는, m은 2 또는 3이고, n은 4∼30이며, R은 H, OH, C1-5알킬 또는 노닐-페놀이다.
물론, 매크로머 D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와 폴리에스테르 반복 유니트의 혼합물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실시에 중요하지 않다.
매크로머 D는 다양한 말단기 R을 사용할 수 있다. 말단기는 전형적으로 OH 또는 C1-5알킬일 수 있지만, 말단기의 기능성에 기초를 두고 말단기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당한 말단기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1) 카르복실, 포스페이트 또는 설페이트기와 같은 산/이온성기, (2) 저급 알킬, 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과 같은 소수성기, 및 (3) 히드록실기 또는 아민기와 같은 친수성기를 포함한다.
사용되는 말단기에 따라서 다르지만, 공중합체에 대해 pH-에 의존하는 용해도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온 말단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소수성 말단기들은 공중합체의 수용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공중합체의 다른 물리적 성질과 특성들은 적당한 말단기의 선택에 의해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종래의 방법으로 공유결합 또는 이온 교차결합될 수 있다. 이온성 말단기들은 원하는 정도의 교차결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금속 수산화물로 산 성분들을 중화시키므로써 원하는 정도의 교차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고온성능은 디터셔리 아민과 함께, 기능성 산을 혼입시키므로써 증진될 수 있다. 수용액의 점도는 이온성 말단기들의 존재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성분 A, B, C 및 D의 전체중량을 기초로 해서, A 단량체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내에 20∼8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B 단량체는 3∼3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임의의 C 매크로머는 2∼1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D 매크로머는 5∼6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점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공중합체 내에 가소제 또는 점착성 부여제를 혼입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점착성 부여제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적당한 폴리옥시에틸렌을 기초로 하는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적당한 폴리옥시에틸렌을 기초로 하는 점착성 부여제들은 여기에 참고문헌으로 통합된 미국특허 제 4,413,080호의 컬럼 6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적당한 점착성 부여제들은 종래의 수소화된 로진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한다. 폴리알리시클릭 점착성 부여제들은 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과 수소화된 인덴의 방향족 공중합체를 기초로 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만일에 존재한다면, 이러한 점착성 부여제들은 조성물의 전체중량을 기초로 했을때, 약 50중량%에 이르는 양이 사용될 수가 있다. 가소제들은 약 20중량%에 이르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가소제들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수소화된 폴리(방향족)공중합체와 미네랄오일 또는 파라핀 오일뿐만 아니라 아디페이트 및 글루타레이트 에스테르, 수소화된 로진 에스테르들 및 환원된 알코올 유도체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가소제들은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트리-n-부틸 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n-부틸 시트레이트를 포함하는 상표명 시트로플렉스(Citroflex)로 시판되는 것들과 같은 시트르산 에스테르들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중합체 조성물은 (1) 용매의 존재하에서 성분 A와 D 및 임의로 B와 C의 자유 라디칼-개시 공중합 반응, 또는 (2) 단량체 B로 공중합된 단량체 A로부터 주쇄 중합체를 생성한 다음, 이 미리 생성된 주쇄 중합체와 적당한 관능기와의 반응을 통해서, 주쇄 중합체에 매크로머 그래프트를 부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어떠한 종래의 중합반응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적당한 공중합 반응 온도는 약 20∼약 150℃ 범위내이고, 바람직한 정도의 전환이 일어날 때까지는 2∼24시간이 소요된다. 공중합 반응 공정이 완결되면 용매는 제거되고, 점착성 공중합체는 만족할만한 접착성을 갖는다. 만일에 바람직하다면, 접착제의 분자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당한 교차결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몇가지 방법으로 선행기술상의 경피성 접착제의 결함을 성공적으로 극복했다. B 단량체로서 N-비닐 락탐 단량체를 포함시키면, 약물 전달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결정화되기 쉬운 어떠한 약물학적 활성성분(에스트로겐 및/또는 프로게스틴과 같은)이 시스템내에서 결정화 하려는 성향을 감소시킨다. 이는 활성성분이 약물 전달 장치를 통하여 환자에게 전달되는 전체시간에 걸쳐서 활성을 유지하게 해준다. 그래프트 성분들의 존재는 약물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에 접착제 시스템의 구조적 완전성과 접착 특성을 유지하도록 접착제 시스템의 능력을 증진시킨다. 좀더 상세하게는, 친수성 반복 유니트를 포함하는 그래프트 매크로머 성분의 존재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와 어떤 약물 흐름 증진제와의 혼화성을 증진시킨다.
경피성 약물 전달 수단을 사용하여 투여될 수 있는 약물학적 활성성분인 약제는 종래의 방법으로 적용된다. 적합한 약제들은 본 발명의 투여 시스템과 양립할 수 있는 것과 경피투여시에 기대했던 장점을 나타내는 것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활성성분들은, 제한없이, 항생물질, 해열제, 진통약, 소염약, 항히스타민제, 향정신성약제, 관상 혈관이완약제, 항부정맥약제, 혈압강하약제, 화학요법제, 항암제, 진토약, 비타민, 진경약, 진해약. 항진균성 약품, 스테로이드 등을 포함한다. 가장 통상적인 경피 투여 활성성분들의 예는 클로니딘, 에스트로디올, 니코틴, 니트로글리세린과 스코폴아민 등이며, 이들 각각은 경피 투여 형태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적당한 경피 투여 활성 약제의 더욱더 상세한 논의를 위해서는 여기에 참고문헌으로 통합된 미국특허 제 5,372,819호를 참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투여될 수 있다. 에스트로겐 성분은 합성 또는 천연 에스트로겐일 수 있다. 예시적인 에스트로겐 화합물들은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17B 에스트라디올, 메스트라놀, 에스트라디올 발리레이트, 11-니트라토 에스트라디올, 7-알파-메틸-11-니트라토-에스트라디올, 피페라진 에스트론 설페이트, 퀸에스트라놀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유도체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프로게스틴 성분들은 프로게스테론, 17-하이드록시 프로게스테론, 디하이드로프로게스테론, 메드록시 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노르에틴드론, 노르에틴드론 아세테이트, 노르에티노드렐, 에티노디올디아세테이트, 노르게스트렐, 레보-노르게스트렐, 게스토덴, 델타-15-레보노르게스트렐, 노르게스티메이트, 17-데아세틸 노르게스티메이트, 노메게스테롤, 네스테론, 데소게스트렐과 3-케토-데오게스트렐을 포함한다.
경피성 접착제 매트릭스로서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사용은 미국특허 제 4,482,53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니트로글리세린 접착 제제에 관한 것이다. 이 특허에 개시된 접착 제제는 교차결합되거나 또는 비-교차결합된 그래프트 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PCT 공보 WO96/08229호에는 또한 에스트라디올 또는 프로게스틴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피성 접착제 매트릭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접착제는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되는 성질들의 조화(balance)를 이루지는 못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특히 유용하게는, 경피성 약물 전달 장치 내에서 경피 침투 증진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경피 침투 증진제들은 경피-투여되는 약물학적 활성성분들에 대한 피부의 침투성을 증가시키는 능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증진제들은 당기술 분야에서는 잘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 참고문헌으로 통합된 미국특허 제 5,059,426호 및 제 5,175,052호에 충분히 설명되어 있다.
요약하면, 그러한 증진제들은 계면활성제(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양성이온), 지용성 용매(터펜류, 락탐류), 소수성 용매(폴리올류, 지방산 에스테르, 알콜류, 설폭사이드류)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증진제들은 솔비톨류, 에톡시화 알킬 페놀류,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류, 지방산 에스테르류, 알콜류 및 아민류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물에 용해성이거나 비용해성(즉, 유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압력 민감성 접착제는 베이스 중합체와 경피성 침투 증진제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 약물 흐름 증진제-내성인 압력 민감성 접착제 조성물을 형성하게 되므로 유리하다. 즉, 유성 또는 물에 용해성인 경피성 침투 증진제는 포함된 약물학적 활성성분의 능력을 최대화하여 접착제의 접착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피부속으로 흡수되어질 수 있도록 베이스 중합체와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경피성 침투 증진제는 접착제의 물리적 완전성(integrity)이나 접착 성질에 불리하게 작용함이 없이 본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약 40중량%까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은 경피성 침투 증진제가 오일이건 물에 용해성이건간에 상관없이 얻을 수 있으며, 이는 통상적인 접착약제들에 의해서는 잘 얻을 수 없는 결과이다. 바람직하게, 증진제는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5~30중량%의 범위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다양한 통상적인 경피성 약물 전달 장치들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여러 형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치들은 지지(backing)물질과 적어도 일부의 지지물질 위의 접착층을 포함한다. 방출 라이너는 라이너가 제거되고 접착층이 피부에 놓여져 사용되기 전까지 접착층을 덮고 있다. 지지물질은 약물학적 활성성분에 침투성이 없는 것이다. 약물학적 활성성분은 지지층내, 접착층과 지지층 사이에 위치한 상기 지지물질상의 매트릭스층 내 또는 본 발명의 약물 흐름 증진제-접착제 조성물층 내의 액체 저장소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피성 약물 전달 시스템의 제제화 방식은 당업자의 능력범위 안에서 다양할 수 있을 것이다.
압력 민감성 그래프트 공중합체와의 균질한 혼합물내에 존재하는 약물학적 활성성분은 환자에게 바람직한 투여량을 제공할 수 있는 유효량으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활성성분의 양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30중량%의 범위로 존재할 것이다. 당업자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와 함께 사용되는 약물학적 활성성분의 양을 쉽게 결정하여 원하는 정도의 투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또한 다양한 구성부재(body member)(예; 테이프, 패치, 스트립, 라벨 등)와 함께 사용되어 다양한 접착제 조합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접착제-지지시트 필름 또는 테이프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부재는 적어도 한쪽 면이 접착제로 코팅된 지지물질의 형태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이러한 제품의 생산에 사용되는 예시적인 지지물질들은 압력 민감성 접착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크레이프지, 크라프트지(kraft paper), 직물(니트, 부직포, 직포), 호일 및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와 같은 합성 중합체 필름류, 또한 유리, 세라믹, 금속화된 중합체 필름, 다른 적합한 시트 또는 테이프 물질들과 같은 유연성 또는 비유연성 지지물질들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구성부재(예로서, 시트 형태의)를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로 코팅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통상적인 코팅 장치를 사용한 롤 코팅, 스프레이 코팅, 압출 코팅, 공-압출 코팅, 고온 용융 코팅이 있다. 적합하다면, 본 발명의 접착제는 구성부재의 적어도 한 표면에 용액으로서 적용될 수 있으며,용매는 곧 제거시키고 구성부재에 끈적끈적한 접착제 잔류물만을 남길 수 있다. 접착제는 구성부재에 연속적인 층의 형태 또는 비연속적인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의 장점들을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중합성 접착제 조성물들을 다음의 실시예들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1
0.11중량% BPO를 촉매로 사용하여 반응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혼합물의 30%를 1리터 반응용기에 채웠다. 이 배치를 질소 분위기하에서 72℃에서 15분간 가열하였다. 최초 15분후에, 남은 단량체/용매 혼합물 70%를 배치온도 71.5~74℃를 유지하면서 4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첨가가 끝난 후에, 무점착제(tackifier-free) 압력 민감성 접착제를 생산하기 위하여 반응물들을 추가로 1시간동안 중합시켰다. 반응기에서 혼합된 혼합물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단량체 혼합량(g)
폴리스티렌 메타크릴레이트 (매크로머;macromer) 21.00
에톡시화 노닐-페놀 아크릴레이트(매크로머) 25.84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A 단량체) 56.52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B 단량체) 64.60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A 단량체) 25.84
라우로일 아크릴레이트(A 단량체) 96.90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A 단량체) 32.30
용매 사용량(g)
에틸 아세테이트 474.30
톨루엔 52.70
실시예 2
무점착제 압력 민감성 접착제를 생산하기 위하여 다음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반응기로 공급하였고, 반응물들을 3.5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이어서 반응시간을 1.5시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단량체 혼합량(g)
폴리스티렌 메타크릴레이트 (매크로머) 23.20
에톡시화 노닐-페놀 아크릴레이트(매크로머) 83.90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B 단량체) 71.40
라우로일 아크릴레이트(A 단량체) 133.88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A 단량체) 44.62
용매 사용량(g)
에틸 아세테이트 330.31
톨루엔 147.90
이소프로필 알콜 14.79
실시예 3
무점착제 압력 민감성 접착제를 생산하기 위하여 다음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반응기로 공급하였고, 반응물들을 3.5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이어서 반응시간을 1.5시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단량체 혼합량(g)
폴리스티렌 메타크릴레이트 (매크로머) 23.21
에톡시화 노닐-페놀 아크릴레이트(매크로머) 71.40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B 단량체) 85.68
라우로일 아크릴레이트(A 단량체) 107.09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A 단량체) 33.92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A 단량체) 35.70
용매 사용량(g)
에틸 아세테이트 330.31
톨루엔 147.90
이소프로필 알콜 14.79
실시예 4
무점착제 압력 민감성 접착제를 생산하기 위하여 다음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반응기로 공급하였고, 반응물들을 3.5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이어서 반응시간을 1.5시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단량체 혼합량(g)
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A 단량체) 178.50
에톡시화 노닐-페놀 아크릴레이트(매크로머) 76.76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B 단량체) 71.40
폴리스티렌 메타크릴레이트(매크로머) 30.34
용매 사용량(g)
에틸 아세테이트 330.31
이소프로필 알콜 14.79
톨루엔 147.90
실시예 5
무점착제 압력 민감성 접착제를 생산하기 위하여 다음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반응기로 공급하였고, 반응물들을 3시간에 걸쳐 첨가하고 이어서 반응시간을 1시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단량체 혼합량(g)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A 단량체) 144.00
에톡시화 노닐-페놀 아크릴레이트(D 매크로머) 144.00
베타-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D 매크로머)(n=4~6) 16.20
베타-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B 단량체)(n=2~3) 37.80
폴리스티렌 메타크릴레이트(C 매크로머) 18.00
용매 사용량(g)
에틸 아세테이트 352.00
이소프로필 알콜 22.00
톨루엔 66.00
실시예 6
교차결합된 접착제를 생산하기 위하여 실시예 5의 완결된 중합체 생성물에 다음의 성분들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반복하였다:
포랄 105 로진 점착제(Foral 105 rosin tackifier) (50% 용액)
시트로플렉스 B-6 시트르산 에스테르 가소제 (20% 용액)
크사마-7 아지리딘 교차결합제(Xama-7 aziridine crosslinker) (0.75%)
실시예 7
무점착제 압력 민감성 접착제를 생산하기 위하여 다음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반응기로 공급하였고, 실시예 3의 방법을 반복하였다:
단량체 혼합량(g)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A 단량체) 72.00
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A 단량체) 72.00
에톡시화 노닐-페놀 아크릴레이트(D 매크로머) 144.00
베타-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D 매크로머)(n=4~6) 16.20
베타-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B 단량체)(n=2~3) 37.80
폴리스티렌 메타크릴레이트(C 매크로머) 18.00
용매 사용량(g)
에틸 아세테이트 352.00
이소프로필 알콜 22.00
톨루엔 66.00

Claims (24)

  1. 하기 (1)~(4)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그래프트된 중합체성 성분을 가지는 주쇄 중합체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수준의 점착성을 갖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압력 민감성 접착제:
    (1) 1~3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비-3차 알콜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A 단량체, 여기서 상기 A 단량체의 적어도 30중량%는 최소한 12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비-3차 알콜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적어도 하나의 A 단량체는 전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알콜 부분에서 적어도 10개의 평균 탄소원자수를 나타내는 A 단량체,
    (2) 최소한 하나의 임의의 B 단량체,
    (3) 20℃ 이상의 Tg를 가지는 임의의 중합체성 그래프트 성분 C, 및
    (4) 친수성 반복 유니트를 포함하는 그래프트 매크로머 D.
  2. 하기 (1)~(4)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친수성 매크로머가 보강된 공중합체와 약물학적 활성성분의 균질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약물학적 활성성분의 경피투여를 위한 압력 민감성 접착제 약물 전달 조성물:
    (1) 1~3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비-3차 알콜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A 단량체, 여기서 상기 A 단량체의 적어도 30중량%는 최소한 12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비-3차 알콜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적어도 하나의 A 단량체는 전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알콜 부분에서 적어도 10개의 평균 탄소원자수를 나타내는 A 단량체,
    (2) 최소한 하나의 임의의 B 단량체,
    (3) 20℃ 이상의 Tg를 가지는 임의의 중합체성 그래프트 성분 C, 및
    (4) 친수성 반복 유니트를 포함하는 그래프트 매크로머 D.
  3. 약물학적 활성성분에 침투성이 없는 유연성 지지물질과, 상기 활성성분과의 균질한 혼합물로서 상기 지지층의 적어도 한부분에 적용된, 하기 (1)~(4)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그래프트 매크로머가 보강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약물학적 유효성분 투여용 경피 전달 시스템:
    (1) 1~3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비-3차 알콜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A 단량체, 여기서 상기 A 단량체의 적어도 30중량%는 최소한 12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비-3차 알콜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적어도 A 단량체는 전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알콜 부분에서 적어도 10개의 평균 탄소원자수를 나타내는 A 단량체,
    (2) 최소한 하나의 임의의 B 단량체,
    (3) 20℃ 이상의 Tg를 가지는 임의의 중합체성 그래프트 성분 C, 및
    (4) 친수성 반복 유니트를 포함하는 그래프트 매크로머 D.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 성분 C는 중합된 모노알케닐-치환 방향족 탄화수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된 모노알케닐-치환 방향족 탄화수소는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6.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 단량체는 1-부탄올, 1-펜탄올, 2-펜탄올, 3-펜탄올, 2-메틸-1-부탄올, 1-메틸-1-펜탄올, 2-메틸-1-펜탄올, 3-메틸-1-펜탄올, 2-에틸-1-부탄올, 3,5,5-트리메틸-1-헥산올, 3-헵탄올, 2-옥탄올, 1-데칸올 및 1-도데칸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비-3차 알콜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의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7.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A 단량체는 공중합체 내에 약 20~80중량%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8.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B 단량체는 공중합체 내에 약 3~30중량%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9.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D 매크로머는 공중합체 내에 약 5~60중량%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10.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B 단량체는 히드록시(C1~5)알킬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C1~5)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디히드록시(C1~5)알킬 아크릴레이트, 디히드록시(C1~5)알킬 메타크릴레이트와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11.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B 단량체는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타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에틸-N-아미노에틸아크릴아미드, N-에틸-N-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올아크릴아미드, N,N-디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와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12.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머 D는 일반식 X-(Y)p-Z-R로 정의되며, 여기에서 X는 단량체 A 및 B와 공중합될 수 있는 성분 또는 공중합된 단량체 A와 B에 연결될 수 있는 성분이며, Y는 2가의 연결기, Z는 친수성 반복 유니트를 포함하는 단일중합성 또는 공중합성 성분, R은 말단기, 그리고 p는 0 또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Z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라디칼, 폴리에틸옥사졸린 라디칼, 폴리아크릴산 라디칼, 폴리비닐 알콜 라디칼, 폴리비닐피롤리돈 라디칼, 폴리비닐카프로락탐 라디칼 및 폴리메틸비닐 에테르 라디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1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머 D는 다음 일반식
    X-Yp-(O-CmH2m)n-R
    으로 정의되며, 여기에서 X는 단량체 A 및 B와 공중합될 수 있는 성분 또는 공중합된 단량체 A와 B에 연결될 수 있는 성분이며, Y는 2가의 연결기, R은 말단기, m는 2~6의 정수, n은 5~300의 정수, 그리고 p는 0 또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머 D는 다음 일반식
    으로 정의되며, 여기에서 R1은 수소 또는 C1~5의 알킬기이며, R은 말단기, 그리고 n은 5~30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16.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A 단량체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12~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비-3차 알콜의 단량체성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17.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머 D는 에톡시화 및 프로폭시화 히드록시(C1~5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2-에틸-2-옥사졸린),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카프로락탐과 폴리메틸비닐 에테르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18.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B 단량체는 N-비닐-2-피롤리돈, 5-메틸-N-비닐-2-피롤리돈, 5-에틸-N-비닐-2-피롤리돈, 3,3-디메틸-N-비닐-2-피롤리돈, 3-메틸-N-비닐-2-피롤리돈, 3-에틸-N-비닐-2-피롤리돈, 4-메틸-N-비닐-2-피롤리돈, 4-에틸-N-비닐-2-피롤리돈, N-비닐-2-발레로락탐, N-비닐-2-카프로락탐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N-비닐 락탐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19.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A 단량체, 적어도 하나의 N-비닐 락탐 B 단량체,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성 그래프트 성분 C, 그리고 그래프트 매크로머 D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20.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약물학적 활성성분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21.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머 D는 다음 일반식
    으로 정의되며, 여기에서 X는 단량체 A 및 B와 공중합될 수 있는 성분이거나, 공중합된 단량체 A와 B에 연결될 수 있는 성분이며, Y는 2가의 연결기, R은 말단기, m는 2~6의 정수, n은 300까지의 정수, 그리고 p는 0 또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머 D는 다음 일반식
    으로 정의되며,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1~5의 알킬기이며, m은 2 또는 3, n은 4~30이고, R은 H, OH, C1~5의 알킬기 또는 노닐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OH, C1~5의 알킬기 또는 노닐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4~30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민감성 접착제.
KR1019997006608A 1997-02-21 1998-02-23 압력 민감성 접착제 약물 경피 전달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압력 민감성 접착제 KR200000703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504297A 1997-02-21 1997-02-21
US8/805,042 1997-02-21
US08/803,594 US5951999A (en) 1997-02-21 1997-02-21 Transderma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drug delivery system
US8/803,594 1997-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375A true KR20000070375A (ko) 2000-11-25

Family

ID=2712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608A KR20000070375A (ko) 1997-02-21 1998-02-23 압력 민감성 접착제 약물 경피 전달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압력 민감성 접착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61794A1 (ko)
JP (1) JP2001513124A (ko)
KR (1) KR20000070375A (ko)
CA (1) CA2276339A1 (ko)
WO (1) WO1998037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3879B2 (ja) * 2000-01-04 2011-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経皮吸収製剤
KR20010007975A (ko) * 2000-10-31 2001-02-05 장진환 일자형 창문
US6902740B2 (en) 2001-07-09 2005-06-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yrrolido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KR100885931B1 (ko) * 2002-03-25 2009-02-26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인베스트멘트 홀딩 코포레이션 고무-아크릴계 접착제
GB0302662D0 (en) * 2003-02-05 2003-03-12 Strakan Ltd Transdermal granisetron
US7357940B2 (en) 2003-07-31 2008-04-1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mplantable or insertable medical devices containing graft copolymer for controlled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US20060263421A1 (en) 2005-05-18 2006-11-23 Abeille Pharmaceuticals Inc Transdermal Method and Patch for Nausea
DE102005056393A1 (de) * 2005-11-24 2007-05-31 Grünenthal GmbH Multicyclische Verbindungen in druckempfindlichen Klebstoffen
JP6114004B2 (ja) * 2011-11-10 2017-04-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EP3562486B1 (en) 2016-12-31 2024-03-13 Bioxcel Therapeutics, Inc. Use of sublingual dexmedetomidine for the treatment of agitation
EP3813802A4 (en) 2018-06-27 2022-06-08 Bioxcel Therapeutics, Inc. FILM FORMULATIONS CONTAINING DEXMEDETOMIDINE AND METHODS OF PRODUCING THEM
MX2022000709A (es) 2019-07-19 2022-05-19 Bioxcel Therapeutics Inc Regimenes de tratamiento con dexmedetomidina no sedante.
US11806334B1 (en) 2023-01-12 2023-11-07 Bioxcel Therapeutics, Inc. Non-sedating dexmedetomidine treatment regime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4324A (en) * 1982-09-16 1985-11-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Acrylate copolym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sheet materials coated therewith
JP3273430B2 (ja) * 1989-12-28 2002-04-08 日東電工株式会社 エストロゲン含有ゲル製剤
US5352516A (en) * 1992-01-31 1994-10-04 Adhesives Research, Inc. Water-inactivat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O1995014746A2 (en) * 1993-11-29 1995-06-01 Adhesives Research, Inc. Water-solu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DE19506399A1 (de) * 1995-02-24 1996-08-29 Roehm Gmbh Pfropfpolymere mit Emulgatoreigenschaften
US5573778A (en) * 1995-03-17 1996-11-12 Adhesives Research, Inc. Drug flux enhancer-toleran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37111A1 (en) 1998-08-27
JP2001513124A (ja) 2001-08-28
CA2276339A1 (en) 1998-08-27
EP0961794A1 (en) 1999-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1999A (en) Transderma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drug delivery system
KR100418489B1 (ko) 의약유동성향상제에내성을가지는압력에민감한점착조성물
US6239228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macromer having repeat hydrophilic moieties
EP0554106B1 (en) Water-inactivat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6669953B1 (en) Block copolymer
CA2222133C (en) Transdermal patch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17-deacetyl norgestimat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estrogen
US8128946B2 (en) Medical tape preparation
KR20000070375A (ko) 압력 민감성 접착제 약물 경피 전달 시스템과 이에 사용되는압력 민감성 접착제
KR20140088199A (ko) 경피 전달 조성물 및 방법
EP0209975A1 (en) Anti-inflammatory analgesic adhesive preparation
EP1639999A1 (en) Nonaqueous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medicinal tape preparation for percutaneous absorption, medicinal tape preparation for percutaneous absorp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0913445B1 (en) Enhancer tolerant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JP3361674B2 (ja) 医療用粘着剤組成物
EP1591505B1 (en) Medical non-crosslink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edical adhesive sheet employ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medical non-crosslink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3014188B2 (ja) アクリル系ゲル材およびアクリル系ゲル製剤
US7645813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the skin and tapes or sheets for the skin made by using the same
JP2008517142A (ja) 感圧接着剤の製造方法
JP3474381B2 (ja) 皮膚貼付用粘着剤組成物
JP2001181591A (ja) ブロック共重合体粘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医療用粘着テープ、経皮吸収製剤並びにブロック共重合体粘着剤の製造方法
JP3055991B2 (ja) 外用医薬製剤
JP3184474B2 (ja) 経皮吸収製剤
JPH0672879A (ja) アスピリン含有経皮吸収製剤
JPH046164B2 (ko)
JP3676567B2 (ja) 医療用粘着剤組成物及び医療用貼付剤
TW201114865A (en) Transdermal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