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608A -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608A
KR20130049608A KR1020110114721A KR20110114721A KR20130049608A KR 20130049608 A KR20130049608 A KR 20130049608A KR 1020110114721 A KR1020110114721 A KR 1020110114721A KR 20110114721 A KR20110114721 A KR 20110114721A KR 20130049608 A KR20130049608 A KR 20130049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communication antenna
rang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081B1 (ko
Inventor
이정오
이기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62377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3004960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081B1/ko
Priority to US13/658,116 priority patent/US9461364B2/en
Priority to TW105133529A priority patent/TWI650918B/zh
Priority to TW101139085A priority patent/TWI565181B/zh
Priority to TW106135104A priority patent/TWI678048B/zh
Priority to EP12189931.4A priority patent/EP2590257B1/en
Priority to EP14167637.9A priority patent/EP2765647B1/en
Priority to EP19159579.2A priority patent/EP3514887A1/en
Priority to CN201210432152.XA priority patent/CN103094992B/zh
Priority to CN201610451640.3A priority patent/CN106026411B/zh
Publication of KR20130049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608A/ko
Publication of KR10132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5/195,390 priority patent/US10069346B2/en
Priority to US15/673,763 priority patent/US10153666B2/en
Priority to US16/182,258 priority patent/US10622842B2/en
Priority to US16/814,341 priority patent/US10938247B2/en
Priority to US17/186,555 priority patent/US2021025785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6K19/0708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being capable of collecting energy from external energy sources, e.g. thermocouples, vibration, electromagnetic radiation the source being electromagnetic or magnet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15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means to regulate power transfer to the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06K19/07777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 G06K19/07779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 G06K19/07783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the coil being plan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2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active tags, i.e. provided with its own power source or in passive tags, i.e. deriving power from RF 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6Electro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3Multiple coils at either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의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일정 영역에 수용공간이 있는 인쇄회로 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코일; 및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상기 수신 코일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원하는 기기로 전달하는 무선전력전송 기술(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는 wireless energy transfer)은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 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로는 라디오파나 레이저와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되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동칫솔이나 일부 무선면도기도 실상은 전자기유도 원리로 충전된다. 현재까지 무선 방식에 의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전자기 유도, 자기 공진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원거리 송신 기술 등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기술 중 전자기 유도 에너지 전달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은 송신측과 수신측에 형성된 전기신호가 코일을 통해 무선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용 기기와 같은 전자기기를 손쉽게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 측의 구성을 이루는 수신 코일, 근거리 통신안테나 및 인쇄회로기판 각각의 두께로 인해 전자기기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지고, 전자기기에 내장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특히, 수신 코일 및 근거리 통신안테나 각각의 두께만큼 사이즈가 증가하고, 근거리 통신안테나 및 인쇄회로기판 각각의 두께만큼 사이즈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안테나의 내부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다.
또한, 수신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은 전자기기 내부에 영향을 주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수신 코일, 근거리 통신안테나 및 인쇄회로기판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안테나를 인쇄회로기판 내부에 포함시켜 두께를 감소시키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호부를 통해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제어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의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일정 영역에 수용공간이 있는 인쇄회로 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코일; 및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상기 수신 코일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의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코일; 상기 전력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안테나의 통전상태를 변경하는 스위치; 및 상기 전력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개방 또는 단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외부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안테나를 포함한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은 송신 유도 코일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의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안테나의 통전상태를 변경하는 스위치를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전력의 양이 임계수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전력의 양이 임계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를 단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신 코일, 근거리 통신안테나 및 인쇄회로기판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내부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파손을 막을 수 있고, 자기장을 차단하여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유도 코일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의 등가회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 예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요소가 배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의 (b)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포함된 차폐부의 부착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포함된 차폐부의 삽입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전력 소스(100)에서 생성된 전력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 전달되고, 전달된 전력은 다시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로 전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력 소스(100)는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력을 제공하는 교류 전력 소스이다.
무선전력 송신장치(200)는 송신 유도 코일(210)로 구성된다. 송신 유도 코일(210)은 전력 소스(100)와 연결되며, 교류 전류가 흐른다. 송신 유도 코일(210)에 교류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수신 공진 코일(310)에도 교류 전류가 유도되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로 전력이 전달된다.
임피던스가 매칭된 2개의 LC 회로 사이는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력이 전송될 수 있다. 이와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은 높은 효율로 전력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수신 코일(310), 정류회로(320) 및 부하(330)로 구성된다. 송신 유도 코일(210)에 의해 송신된 전력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수신 코일(310)에 수신된다. 수신 코일(310)로 전달된 전력은 정류 회로(320)를 통해 정류되어 부하(330)로 전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유도 코일(210)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유도 코일(210)은 인덕터(L1)와 캐패시터(C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해 적절한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캐패시터(C1)는 가변 캐패시터일 수 있으며, 가변 캐패시터를 조절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코일(310)의 등가 회로도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의 등가회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유도 코일(210)과 소정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L1)와 캐패시터(C1)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코일(310)은 소정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L2)와 캐패시터(C2)로 구성될 수 있다. 평활 회로(320)는 다이오드(D1)와 평활 캐패시터(C3)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을 변환하여 출력한다. 부하(330)는 직류 전원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직류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충전지 또는 장치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블록도이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수신 코일(310), 근거리 통신안테나(340), 스위치(350), 보호부(360), 근거리 통신모듈(370), 차폐부(380), 제어부(390)를 포함한다.
수신 코일(310)은 무선전력 송신장치(200)의 송신 유도 코일(210)과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력을 수신한다. 즉, 송신 유도 코일(210)에 교류전류가 흘러 자기장이 발생하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인접한 수신 코일(310)에 전압이 유도되어 교류 전류가 흐른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 코일(310)은 인쇄회로기판(301)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신 코일(310)은 하나 이상의 도선이 감겨진 형태로 구성되며, 사각형 또는 원형의 나선 형태로 감겨져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근거리 통신안테나(340)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리더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안테나(340)는 상기 리더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안테나(340)는 수신 코일(310)의 외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 코일(310)이 인쇄회로기판(301)의 중앙에 배치된 경우, 근거리 통신안테나(340)는 수신 코일(31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와 수신 코일(310)은 후술할 인쇄회로기판(301)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안테나(340)만이 인쇄회로기판(301)에 형성될 수 있고,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와 수신 코일(310)이 인쇄회로기판(301)에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안테나(340) 및 후술할 근거리 통신모듈(370)에서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규격은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3.56MHz의 대역을 가지며,가까운 거리의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기술이다.
스위치(350)는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와 연결되고, 후술할 제어부(390)로부터 개방 또는 단락신호를 수신하여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의 통전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수신 코일(310)이 송신 유도 코일(210)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을 수신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스위치(350)에 개방신호를 전송하여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한다.
보호부(360)는 임계전류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동작하여, 근거리 통신모듈(370)에 상기 임계전류 값 이상의 전류가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 보호부(3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너 다이오드는 회로에 임계 전류 값 이하만을 흐르게 할 수 있는 다이오드이다. 여기서, 임계전류 값은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값이고, 근거리 통신모듈(370)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한계 값일 수 있다.
보호부(360)는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에서 전달되는 전류가 임계 전류 값 이상인 경우, 전류의 이동방향 또는 흐름을 바꾸어 근거리 통신모듈(370)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한다. 과도한 전류는 제너 다이오드를 통해 흘러 열에너지 형태로 방출된다. 보호부(360)는 근거리 통신모듈(370)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근거리 통신모듈(370)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370)은 근거리 통신안테나(340)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370)은 다양한 형태의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규격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차폐부(380)는 수신 코일(310)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수신 코일(310)에 형성된 자기장이 전자기기의 다른 부품에 영향을 미쳐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차폐부(380)는 페라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폐부(380)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30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폐부(380)는 인쇄회로기판(301)이 제작되는 공정에서 삽입되어 차폐부(380)를 부착하는 추가적인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양면접착제를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301)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므로, 양면접착제의 두께만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가격이 절감된다.
제어부(39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스위치(350)를 개방 또는 단락시켜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의 통전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스위치(350)가 단락된 상태에서 수신 코일(310)에 전류가 유도되면, 제어부(390)는 스위치(350)를 개방시켜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시킨다. 스위치(350)가 개방된 상태에서, 수신 코일(310)에 전류가 유도되지 않으면, 제어부(390)는 스위치(350)를 단락시킨다.
제어부(39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수신한 전력의 양이 임계수치 이상인 경우, 스위치(350)를 단락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계수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한 수치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301)에 수신 코일(310)과 근거리 통신안테나(340)가 형성되어 있다. 수신 코일(310)은 인쇄회로기판(301)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은 인쇄회로기판(301)의 외곽에 배치되어 수신 코일(31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350)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 근거리 통신안테나(340)는 근거리 통신모듈(370)에 전류를 전송하여 근거리 통신모듈(370)이 동작 가능한 상태에 있도록 만든다. 만약, 외부의 영향에 의해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 전류 값 이상이 된다면, 보호부(360)가 동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부(360)가 하나 이상의 제너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임계 전류 값 이상의 전류가 제너 다이오드를 통해 흐르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A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가 임계 전류 값 이상인 경우, 보호부(360)의 위쪽에 위치한 제너 다이오드로 임계전류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른다. 제너 다이오드를 통해 흐르는 과도한 전류는 열 에너지의 형태로 방출된다. 이 경우, 보호부(360)는 근거리 통신모듈(370)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근거리 통신모듈(3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B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가 임계 전류 값 이상인 경우도 위와 같은 과정을 따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케이스(302)가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인 경우를 들어 설명한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개략적인 구성요소는 케이스(302), 인쇄회로기판(301), 수신 코일(310), 근거리 통신안테나(340), 차폐부(380)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요소가 배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인쇄회로기판(301)은 일정영역에 수용공간을 가지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정영역은 인쇄회로기판(301)의 중앙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정영역은 인쇄회로기판(301)의 중앙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중앙영역은 사각형,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형태로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수신 코일(310)은 인쇄회로기판(301)의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고, 송신 유도 코일(210)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력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 코일(310)의 두께와 인쇄회로기판(301)의 두께는 동일하도록 제작되거나 수신 코일(310)의 두께가 인쇄회로기판(301)의 두께보다 작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에 수신 코일(310)과 근거리 통신안테나(340) 각각에 대한 두께로 인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장착시 내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 코일(310)은 인쇄회로기판(310)의 수용공간의 형태와 일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301)의 수용공간 형태가 사각형인 경우, 수신 코일(310) 또한, 도선이 사각형으로 감겨진 형태일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301)의 수용공간 형태가 원형인 경우, 수신 코일(310) 또한, 도선이 원형으로 감겨진 형태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안테나(340)는 인쇄회로기판(301) 내부에 포함되고, 수신 코일(310)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안테나(340)는 인쇄회로기판(301) 내부에 매립되어 제작될 수 있고, 수신 코일(310)을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수신 코일(310)의 외각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에 인쇄회로기판(301)과 근거리 통신안테나(340) 각각에 대한 두께로 인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장착시 내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수신 코일(310)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차단하는 차폐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폐부(380)는 수신 코일(310)이 차지하는 면적에 대응되도록 수신 코일(3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폐부(380)는 수신 코일(310) 및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이 차지하는 면적에 대응되도록 수신 코일(310) 및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폐부(380)는 일정영역에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차폐부(380)의 수용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301)의 상면에 위치한 무선충전회로(375)가 배치될 수 있다. 무선충전회로(375)는 교류 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는 커패시터, 무선전력 수신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IC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폐부(380)의 두께와 무선충전회로(375)의 두께는 동일하도록 제작되거나, 무선충전회로(375)의 두께가 차폐부(380)보다 작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에 차폐부(380)와 무선충전회로(375) 각각에 대한 두께로 인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장착시 내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의 (b)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301), 수신 코일(310),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의 배치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301)은 중앙영역 부분에 수용공간을 가지고, 수용공간에는 사각형 형태의 수신 코일(310)이 배치되어 있다. 근거리 통신안테나(340)는 인쇄회로기판(301)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형태에 있다. 이 경우, 기존에 인쇄회로기판(301)과 근거리 통신안테나(340) 각각에 대한 두께로 인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장착시 내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수신 코일(310)의 두께와 인쇄회로기판(301)의 두께는 동일하도록 제작되거나 수신 코일(310)의 두께가 인쇄회로기판(301)의 두께보다 작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에 수신 코일(310)과 근거리 통신안테나(340) 각각에 대한 두께로 인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장착시 내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무선충전회로(375), 차폐부(380)의 배치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차폐부(380)는 일정영역에 수용공간을 가지고, 차폐부(380)의 수용공간에는 무선충전회로(375)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폐부(380)의 두께와 무선충전회로(375)의 두께는 동일하도록 제작되거나, 무선충전회로(375)의 두께가 차폐부(380)의 두께보다 작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에 차폐부(380)와 무선충전회로(375) 각각에 대한 두께로 인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장착시 내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포함된 차폐부의 부착 예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측면에서 바라 본 구성 예가 도시되어 있다. 차폐부(380)는 인쇄회로기판(301)에 근거리 통신안테나(340)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신 코일(310)을 형성한 후, 인쇄회로기판(301)의 밑부분에 양면접착제(303)를 이용하여 차폐부(380)를 부착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인쇄회로기판(301)의 제작 후 별도의 차폐부(380) 부착 공정이 필요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와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두께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포함된 차폐부의 삽입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를 측면에서 바라 본 구성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인쇄회로기판(301)에 근거리 통신안테나(340)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신 코일(310)을 형성한 후, 인쇄회로기판(301)의 사이에 차폐부(380)를 삽입한다. 차폐부(380)를 인쇄회로기판(301) 내부에 삽입하면, 양면접착제의 두께만큼 무선전력 수신장치(30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별도의 차폐부(380)부착 공정이 필요없게 되므로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어부(390)는 수신 코일(310)이 송신 유도 코일(210)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을 수신 받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다(S101). 일 실시예로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별도의 자기장 검출수단(미도시)을 두어 전력의 수신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결과, 수신 코일(310)이 송신 유도 코일(210)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을 수신 받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의 통전상태를 변경하는 스위치(350)를 개방시킬 수 있다(S103). 즉, 제어부(390)는 스위치(350)에 개방신호를 전송하여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 코일(310)이 송신 유도 코일(210)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을 수신 받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충전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9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수신한 전력의 양이 임계수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105). 일 실시예에서 임계수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한 수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계수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100% 충전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90)는 상기 전력의 양이 임계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를 단락시킨다(S107). 일 실시예에서 이 경우 무선전력 수신장치(300)는 충전모드를 종료하고, 통신모드로 동작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를 통해 무선전력 수신장치(300)가 충전모드 또는 통신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390)는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 전류 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109). 근거리 통신안테나(340)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 전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류의 이동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S111). 일 실시예에서 임계 전류 값이란, 근거리 통신모듈(370)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한계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계 전류 값은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류의 이동방향 변경은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할 수 있다. 제너 다이오드를 통해 흐르는 임계 전류 값 이상의 전류는 열 에너지의 형태로 방출된다. 이 경우, 근거리 통신모듈(370)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근거리 통신모듈(3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자기 공진을 이용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수신 코일(310)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신공진코일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공진코일 역시 인쇄회로기판(301)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될 경우 동일한 두께 감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력 소스
200: 무선전력 송신장치
210: 송신 유도 코일
300: 무선전력 수신장치
301: 인쇄회로기판
302: 케이스
303: 양면 접착제
310: 수신 코일
320: 평활회로
330: 부하
340: 근거리 통신안테나
350: 스위치
360: 보호부
370: 근거리 통신모듈
375: 무선충전회로
380: 차폐부
390: 제어부

Claims (24)

  1. 외부의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로서,
    일정 영역에 수용공간이 있는 인쇄회로 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코일; 및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상기 수신 코일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일의 두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두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수용공간 형태와 상기 수신 코일의 형태는 일치하도록 제작된 무선전력 수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일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을 차단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수신 코일이 차지하는 면적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신 코일의 상면에 배치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의 일정영역에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차폐부의 수용공간에 무선충전회로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회로의 두께는 상기 차폐부의 두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안테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안테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0. 외부의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로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상기 무선전력 송신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코일;
    상기 전력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안테나의 통전상태를 변경하는 스위치; 및
    상기 전력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개방 또는 단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신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안테나는 상기 수신 코일을 둘러싸는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무선전력 수신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스위치를 개방시키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수신한 전력의 양이 임계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를 단락시키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안테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안테나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안테나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전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류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일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을 차단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내부에 삽입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페라이트를 포함한 무선전력 수신장치.
  20. 제 10항에 있어서,
    일정 영역에 수용공간이 있는 인쇄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코일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근거리 통신안테나는 상기 수신 코일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인쇄회로 기판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21. 외부와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안테나를 포함한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송신 유도 코일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의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안테나의 통전상태를 변경하는 스위치를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전력의 양이 임계수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전력의 양이 임계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스위치를 단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수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한 수치인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안테나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전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류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안테나에 흐르는 전류가 임계전류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류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단계는,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상기 전류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10114721A 2011-11-04 2011-11-04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2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721A KR101327081B1 (ko) 2011-11-04 2011-11-04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3/658,116 US9461364B2 (en) 2011-11-04 2012-10-23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105133529A TWI650918B (zh) 2011-11-04 2012-10-23 無線電力接收器及其控制方法
TW101139085A TWI565181B (zh) 2011-11-04 2012-10-23 無線電力接收器及其控制方法
TW106135104A TWI678048B (zh) 2011-11-04 2012-10-23 無線電力接收器及其控制方法
EP12189931.4A EP2590257B1 (en) 2011-11-04 2012-10-25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4167637.9A EP2765647B1 (en) 2011-11-04 2012-10-25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9159579.2A EP3514887A1 (en) 2011-11-04 2012-10-25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210432152.XA CN103094992B (zh) 2011-11-04 2012-11-02 无线电力接收器及其控制方法
CN201610451640.3A CN106026411B (zh) 2011-11-04 2012-11-02 无线电力接收器及其控制方法
US15/195,390 US10069346B2 (en) 2011-11-04 2016-06-28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673,763 US10153666B2 (en) 2011-11-04 2017-08-10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182,258 US10622842B2 (en) 2011-11-04 2018-11-06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814,341 US10938247B2 (en) 2011-11-04 2020-03-10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7/186,555 US20210257859A1 (en) 2011-11-04 2021-02-26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721A KR101327081B1 (ko) 2011-11-04 2011-11-04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321A Division KR20130049781A (ko) 2013-02-20 2013-02-20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608A true KR20130049608A (ko) 2013-05-14
KR101327081B1 KR101327081B1 (ko) 2013-11-07

Family

ID=4762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721A KR101327081B1 (ko) 2011-11-04 2011-11-04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6) US9461364B2 (ko)
EP (3) EP3514887A1 (ko)
KR (1) KR101327081B1 (ko)
CN (2) CN103094992B (ko)
TW (3) TWI565181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750B1 (ko) * 2013-12-17 2014-12-01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Nfc 통신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KR20160077934A (ko) * 2014-12-24 2016-07-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무선 충전과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갖는 배터리 팩
US9461364B2 (en) 2011-11-04 2016-10-04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217648A1 (ko) * 2016-06-13 2017-12-21 엘지이노텍(주) 무선 전력 송신 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9511B2 (en) 2006-06-01 2022-05-10 Mojo Mobility Inc.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FR2981519B1 (fr) * 2011-10-12 2015-04-03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e chargement inductif d'un appareil portable integrant une antenne de communication en champ proche
TWI459418B (zh) 2012-03-23 2014-11-01 Lg伊諾特股份有限公司 無線功率接收器以及包含有其之可攜式終端裝置
CN107275763B (zh) * 2012-03-23 2020-07-28 Lg 伊诺特有限公司 天线组件
JP2013214909A (ja) * 2012-04-03 2013-10-17 Denso Corp 車両用携帯機
JP6087740B2 (ja) * 2013-05-20 2017-03-01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通信装置
US9843196B2 (en) * 2013-06-11 2017-12-12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 home appliances
KR101950947B1 (ko) 2013-06-27 2019-02-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수신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1762778B1 (ko) * 2014-03-04 2017-07-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 그리고 무선 충전 및 통신 장치
US20150311740A1 (en) * 2014-04-28 2015-10-29 Apple Inc. Encapsulated inductive charging coil
CN106463831B (zh) * 2014-07-30 2020-09-18 瑞萨电子株式会社 环形天线
US20160134127A1 (en) * 2014-11-10 2016-05-12 Eaton Corporation Wireless power system
CN105990881A (zh) * 2015-01-28 2016-10-05 日立-Lg数据存储韩国公司 用于无线充电的接收装置
US9845018B2 (en) * 2015-05-06 2017-12-1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elf-aligning wireless power transfer
CN105262513B (zh) * 2015-09-17 2019-02-05 王清斌 一种具有高发射功率的nfc有源通信接口
KR101743631B1 (ko) 2015-11-16 2017-06-07 주식회사 맵스 단일 안테나 기반 무선충전 및 근거리 통신 제어장치 및 그 사용자 단말
WO2017086628A1 (ko) * 2015-11-16 2017-05-26 주식회사 맵스 단일 안테나 기반 무선충전 및 근거리 통신 제어장치 및 그 사용자 단말
KR102350491B1 (ko) * 2015-11-18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6600810B2 (ja) * 2015-11-24 2019-11-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充電機能を有する通信機器
CN105471025A (zh) 2015-12-08 2016-04-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可形变电子设备和无线充电系统
CN106920883B (zh) 2015-12-25 2019-01-08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
CN105529222B (zh) * 2016-02-26 2018-06-26 电卫士智能电器(北京)有限公司 断路器开关、断路器以及断路器监测装置
KR102548688B1 (ko) * 2016-03-28 2023-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누설 전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561049B2 (en) * 2016-10-28 2020-02-11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Interference filte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US10045184B2 (en) * 2016-11-11 2018-08-07 Carnival Corporation Wireless guest engagement system
US10499228B2 (en) 2016-11-11 2019-12-03 Carnival Corporation Wireless guest engagement system
US11671807B2 (en) * 2016-11-11 2023-06-06 Carnival Corporation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18146126A (ja) * 2017-03-01 2018-09-20 日油株式会社 送電装置及び無線起爆システム
CN110419168B (zh) * 2017-03-09 2022-01-25 阿莫先恩电子电器有限公司 车辆用无线电力发射装置
BR112019016542B1 (pt) 2017-04-07 2023-12-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ositivo de carregamento sem fio, dispositivo a ser carregado e método para controlar um dispositivo de carregamento sem fio
US11289953B2 (en) 2017-07-05 2022-03-29 Mediatek Singapore Pte. Ltd. Adapting wireless power transfer parameters to transmitter operating conditions
US10491041B2 (en) 2017-09-06 2019-11-26 Apple Inc. Single-structure wireless charging receiver systems having multiple receiver coils
US11426091B2 (en) 2017-09-06 2022-08-30 Apple Inc. Film coatings as electrically conductive pathways
US10381881B2 (en) 2017-09-06 2019-08-13 Apple Inc. Architectur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wireless charging receiver systems
TWI820052B (zh) * 2017-11-21 2023-11-0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無線裝置
CN110134259B (zh) * 2018-02-09 2022-08-09 东莞宝德电子有限公司 无线充电鼠标
US11689054B2 (en) * 2018-02-09 2023-06-27 Dexin Electronic Ltd. Wireless charging mouse
CN108881534B (zh) * 2018-06-06 2021-0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TWI673948B (zh) * 2018-09-12 2019-10-01 Apacer Technology Inc. 電源轉換系統
US20200127704A1 (en) * 2018-10-19 2020-04-23 Ossia Inc. Wireless Power Enabled Electronic Shelf Label
US11710988B2 (en) 2019-09-27 2023-07-25 Apple Inc. Magnetic alignment systems with NFC for electronic devices
US11715983B2 (en) 2019-09-27 2023-08-01 Apple Inc. Magnetic alignment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TWI713250B (zh) * 2019-10-05 2020-12-11 啓碁科技股份有限公司 通訊裝置和通訊方法
FR3107791B1 (fr) * 2020-03-02 2023-03-24 Radiall Sa Ensemble de transfert d’énergie électrique sans fil et sans contact comprenant un système amélioré de régulation de l’énergie transférée.
US11867352B2 (en) 2020-08-05 2024-01-09 Apple Inc. Adapter for charging and stabilizing cameras
US11839279B2 (en) 2020-09-22 2023-12-12 Apple Inc. Magnetically attachable wallet
CN112583086B (zh) * 2021-02-26 2021-05-14 深圳赫兹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保护方法以及装置
US20230067293A1 (en) * 2021-08-25 2023-03-0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Printed conductor and rectifier package for power transfer
TWI788062B (zh) * 2021-10-22 2022-12-21 寶德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充電滑鼠裝置、無線充電滑鼠、及其下殼體與下殼體的製作方法
US20240106283A1 (en) * 2022-09-23 2024-03-28 Whoop, Inc. Selective data transfer for efficient wireless charging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4043A (ja) 1993-01-27 1994-08-12 Taiyo Yuden Co Ltd 積層チップトランスとその製造方法
US5430618A (en) 1994-04-18 1995-07-04 Huang; George Y. Adaptor with electromagnetic shielding capabilities
FR2744863B1 (fr) * 1996-02-13 1998-03-06 Schlumberger Ind Sa Procede de realisation d'un objet portatif a antenne bobinee
US7522878B2 (en) * 1999-06-21 2009-04-2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daptive inductive power supply with communication
US6856291B2 (en) * 2002-08-15 2005-02-15 University Of Pittsburgh-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Energy harvesting circuits and associated methods
JP2006050265A (ja) * 2004-08-04 2006-02-16 Sony Corp アンテナモジュール用磁芯部材、アンテナ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情報端末
JP4796784B2 (ja) 2005-04-18 2011-10-19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2次電池の充電方法
JP2006319223A (ja) * 2005-05-13 2006-11-24 Murata Mfg Co Ltd 積層コイル
KR100792311B1 (ko) 2005-07-30 2008-0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US20100066304A1 (en) * 2005-12-12 2010-03-18 Masanori Oshimi Non-contact charging type battery system, charging device and battery pack
US20100191306A1 (en) 2006-01-25 2010-07-29 Greatbatch Ltd.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circuit for an implanted rfid chip
US7952322B2 (en) * 2006-01-31 2011-05-31 Mojo Mobility, Inc. Inductive power source and charging system
US8169185B2 (en) 2006-01-31 2012-05-01 Mojo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 charging of portable devices
US7948208B2 (en) * 2006-06-01 2011-05-24 Mojo Mobility, Inc.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JP4811464B2 (ja) 2006-06-20 2011-11-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イル部品
ATE515045T1 (de) * 2006-09-18 2011-07-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orrichtung, system und verfahren zur ermöglichung eines transfers elektrischer energie
US8064533B2 (en) * 2006-12-29 2011-11-22 Broadcom Corporation Reconfigurable MIMO transceiver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KR100867405B1 (ko) 2007-02-09 2008-11-06 (주)애니쿼터스 Rfid 리더기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배터리 충전 장치
JP4867698B2 (ja) 2007-02-20 2012-02-01 Tdk株式会社 薄膜磁気デバイス及びこれを有する電子部品モジュール
JP4859700B2 (ja) * 2007-02-20 2012-01-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コイル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KR100903464B1 (ko) * 2007-04-25 2009-06-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무접점 충전 배터리 및 이를구비한 배터리 충전 세트
JP5112439B2 (ja) 2007-08-21 2013-01-09 株式会社東芝 非接触型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並びに充電システム
US7973635B2 (en) 2007-09-28 2011-07-05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Printed circuit board coil
JP5484686B2 (ja) * 2008-03-31 2014-05-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充電器、及び電子機器充電システム
US20090284369A1 (en) 2008-05-13 2009-11-19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power control for a wireless charging system
TW200952303A (en) 2008-06-13 2009-12-16 Kye Systems Corp Auto-rechargeable wireless computer peripheral device
CN201215827Y (zh) 2008-07-08 2009-04-01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一种手持设备的nfc天线以及包含该nfc天线的手持设备
JP5390818B2 (ja) 2008-09-19 2014-01-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の通信コイル構造
WO2010035256A2 (en) 2008-09-23 2010-04-01 Powermat Ltd. Combined antenna and inductive power receiver
JP5526659B2 (ja) * 2008-09-25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ミリ波誘電体内伝送装置
US8234509B2 (en) 2008-09-26 2012-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power supply device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KR100976158B1 (ko) 2008-12-12 2010-08-16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가 구비된 무접점전력수신장치
US8624546B2 (en) 2008-12-12 2014-01-07 Hanrim Postech Co., Ltd. Non-contact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jig for fabricating core for non-contact power reception apparatus
CN102301558A (zh) 2009-02-05 2011-12-28 高通股份有限公司 改型电子装置中的无线电力及近场通信
US9240824B2 (en) * 2009-02-13 2016-01-19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for electronic devices
KR101307490B1 (ko) * 2009-03-30 2013-12-11 메기가 코포레이션 상부 포스트-패시베이션 기술 및 하부 구조물 기술을 이용한 집적 회로 칩
KR20100112400A (ko) * 2009-04-09 2010-10-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시스템
JP2011029799A (ja) 2009-07-23 2011-02-10 Sony Corp 非接触給電通信装置、非接触受電通信装置、給電通信制御方法および受電通信制御方法
WO2013095036A1 (ko) 2011-12-21 2013-06-27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기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기용 수신장치
KR20120112462A (ko) 2009-11-19 2012-10-11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무선 전력 시스템들의 다중 사용
US20110127953A1 (en) * 2009-11-30 2011-06-02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power system
US8829725B2 (en) 2010-03-19 2014-09-09 Tdk Corporation Wireless power feede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N201663492U (zh) 2010-03-19 2010-12-01 富达通科技股份有限公司 驱动结构的无线式操控装置
KR20110120122A (ko) 2010-04-28 2011-11-03 김종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에 무선 충전을 하기 위한 전원 및 충전요금정보 출력장치 및 방법
CN201749754U (zh) * 2010-08-04 2011-02-16 北京美新华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电力传送线圈
US9093216B2 (en) * 2010-09-16 2015-07-28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20110033836A (ko) 2011-03-23 2011-03-31 조민선 휴대단말기기 비접촉식 데이터통신 및 배터리충전 접속장치
US9002264B2 (en) * 2011-05-06 2015-04-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ntenna structure for a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
KR101811611B1 (ko) 2011-08-02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가능한 전자 기기
KR101874641B1 (ko) 2011-08-08 2018-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일 평면에 무선충전 코일과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327081B1 (ko) 2011-11-04 2013-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49781A (ko) 2013-02-20 2013-05-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98660B1 (ko) 2013-02-22 2013-08-20 서울전자통신(주) Nfc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10186912B2 (en) * 2013-09-13 2019-01-22 Qualcomm Incorporated Pickup coil design for tight spaces and asymmetrical coupl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1364B2 (en) 2011-11-04 2016-10-04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69346B2 (en) 2011-11-04 2018-09-04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53666B2 (en) 2011-11-04 2018-12-11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622842B2 (en) 2011-11-04 2020-04-14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38247B2 (en) 2011-11-04 2021-03-02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65750B1 (ko) * 2013-12-17 2014-12-01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Nfc 통신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무선 마우스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KR20160077934A (ko) * 2014-12-24 2016-07-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무선 충전과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갖는 배터리 팩
WO2017217648A1 (ko) * 2016-06-13 2017-12-21 엘지이노텍(주) 무선 전력 송신 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78048B (zh) 2019-11-21
TWI650918B (zh) 2019-02-11
US20210257859A1 (en) 2021-08-19
EP3514887A1 (en) 2019-07-24
US10069346B2 (en) 2018-09-04
TW201330444A (zh) 2013-07-16
TWI565181B (zh) 2017-01-01
CN106026411B (zh) 2019-04-05
US20200212717A1 (en) 2020-07-02
US10938247B2 (en) 2021-03-02
US20160308401A1 (en) 2016-10-20
CN106026411A (zh) 2016-10-12
TW201705649A (zh) 2017-02-01
TW201804709A (zh) 2018-02-01
US20130113422A1 (en) 2013-05-09
EP2765647A2 (en) 2014-08-13
US10622842B2 (en) 2020-04-14
EP2765647B1 (en) 2019-01-09
KR101327081B1 (ko) 2013-11-07
US10153666B2 (en) 2018-12-11
EP2590257B1 (en) 2019-04-10
EP2590257A2 (en) 2013-05-08
US20170338697A1 (en) 2017-11-23
CN103094992A (zh) 2013-05-08
CN103094992B (zh) 2016-08-03
US9461364B2 (en) 2016-10-04
US20190074727A1 (en) 2019-03-07
EP2590257A3 (en) 2015-07-15
EP2765647A3 (en)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081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67405B1 (ko) Rfid 리더기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배터리 충전 장치
JP2011514781A (ja) ワイヤレス電力デバイスのパッケージングおよび詳細
US9979232B2 (en) Wireless power device having a first coil and a second coil
KR20120116802A (ko) 중계기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 전력 수신기
WO2013150784A1 (ja) コイルユニット及びコイルユニットを備える電力伝送装置
KR20150021285A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KR101886422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5500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00088A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6625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수신 방법
KR20130049781A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8826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KR20120116801A (ko) 무선 전력 전송 회로, 무선 전력 송신기 및 수신기
KR101305790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KR101294581B1 (ko) 무선전력 전달장치 및 단말기
KR20150053536A (ko) 하이브리드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하이브리드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의 무선 전력 신호 제어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자기 공명식 무선 전력 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