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521A - 다기능 프로젝터 램프 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다기능 프로젝터 램프 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521A
KR20130047521A KR1020110118503A KR20110118503A KR20130047521A KR 20130047521 A KR20130047521 A KR 20130047521A KR 1020110118503 A KR1020110118503 A KR 1020110118503A KR 20110118503 A KR20110118503 A KR 20110118503A KR 20130047521 A KR20130047521 A KR 20130047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hield
shield
main par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카엘 가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 아메리카 테크니컬 센타, 아이엔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 아메리카 테크니컬 센타, 아이엔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47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changing their light transmissivity, e.g. by liquid crystal or electrochromic devices
    • F21S41/64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changing their light transmissivity, e.g. by liquid crystal or electrochromic devices by electro-optic means, e.g. liquid crystal or electrochrom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빛 공급원 또는 반사체로부터 받은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바람직한 빛 분산 패턴을 설립할 수 있도록 된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빛 실드 플레이트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통과하도록 하는 빛 전달체 또는 이러한 빛을 차단하는 빛 가림체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되는 빛 실드부를 포함하고, 또한 빛 실드부를 지지하여 빛 공급원에 대하여 빛 실드부가 고정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빛 가림체로 작용할 때 빛 실드부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대부분 빛 실드부를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하고 빛 전달체로 작용할 때 빛 실드부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대부분 빛 실드 플레이트를 통과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프로젝터 램프 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프로젝터{MULTI-FUNCTIONAL PROJECTOR LAMP AND MULTI-FUNCTIONAL PROJECTOR EMBODYING SUCH A SHIELD}
본 발명은 차량(예를 들어,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와 같은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생한 빛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발생한 모든 빛이 조명 장치로부터 비추어지도록 하는 라이트 실드를 가지는 프로젝트 타입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라이트 실드가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 내에서 고정되거나 움직이지 않는다.
헤드램프는 어둠이나 강수와 같이 시계가 낮은 기간 동안 전방의 도로를 비출 목적으로 자동차와 같은 차량의 앞부분에 부착된 램프를 말한다. 헤드램프의 성능은 자동차 시대 동안 천천히 향상되다가, 낮 시간과 밤 시간의 교통사상사건의 심각한 차이에 의하여 박차가 가해졌다. 전미 고속 도로 교통 안전 위원회(U.S.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는 어두운 시간에 교통량은 단지 25%에 불과한 반면 거의 절반에 가까운 교통 관련 상해 사건이 어두울 때 발생하고 있음을 지적했다(Varghese, Cherian; Shankar, Umesh(May 2007). Passenger Vehicle Occupant Fatalities by Day and Night-A Contrast; Traffic Safety Facts, Research Note (DOTHS810 637)(NHTSA's National Center for Statistics and Analysis) http: www-nrd.nhsta.dot.gov/Pubs/810637.pdf). 헤드라이트라는 용어가 비공식적인 토론에서 대체적으로 사용되지만, 헤드램프는 그 장치 자체를 위한 기술적으로 정확한 용어인 반면, 헤드라이트는 그 장치에 의하여 발생되고 퍼뜨려지는 광선살(beam of light)을 언급한다.
초기에는, 말이 없는 객차 또는 자동차에 헤드램프가 없었다. 말이 없는 객차의 초기 사용자가 밤에 운행을 해야 할 때, 그들은 일반 마차가 했던 것과 동일하게 그들의 차량의 앞에 석유 랜턴을 걸었다. 초기의 헤드램프는 아세틸렌 또는 기름을 연료로 공급 받았으며, 1880년 말에 도입되었다. 아세틸렌 램프는 그 불꽃이 바람과 비에 대하여 저항성이 있어서 인기가 있었다.
이것은 이상적인 해결책이 아니었기에, 사람들은 전기 헤드램프에 대하여 실험하기 시작했다. 최초의 전기 헤드램프는 1898년에 도입되었다. 두 가지 요인, 즉 혹독한 자동차의 환경에서 필라멘트의 짧은 수명과, 작지만 충분한 전류를 생산하는 강력한 발전기 제조의 어려움 때문에 전기 헤드램프가 널리 사용되는 것이 제한되었다(Georgano, G. N. (2002). Cars: Early and Vintage, 1886-1930(A Worlad of Wheels Series, Mason Crest.). 1908년에 전기 헤드램프의 규격이 만들어졌다.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이 램프들은 진선 전방을 비추었다.
1912년에 캐딜락은 그들의 차량의 델코 전기 점화와 조명 장치를 합쳐 현대 차량의 전기 장치를 창조했으며, 1917년에 "디핑(dipping)" 헤드램프가 장착된 차들을 팔기 시작했다. "디핑" 헤드램프는 레버를 통하여 차의 전방의 지면을 향하도록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결국, 두 가지 조명 위치는 "로우 빔"과 "하이 빔"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 이후로, 두 개의 조명 위치가 이상적이라는 증거가 부족함에도 모든 차들이 "로우 빔"과 "하이 빔"을 가지고 그들 사이에 아무것도 없는 상황이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NHTSA가 출자한 연구에서, 사람들은 두 개 이상의 위치 사이에서 재빠르게 선택하고 전환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이 알려 졌다. 최근에는 지능적이고 자동으로 스위칭을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중간 거리를 비추는 것을 제공하도록 하는 헤드램프 기술의 실현을 위한 압력이 산업계에 가해지고 있다.
헤드램프를 사용하는 방법의 진화가 정체되어 있는 것에 반하여, 그들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20세기가 시작된 이후로 급격히 변화하였다. 차량 제조자들은 아세틸렌 또는 오일이 채워진 랜턴으로부터 백열 전구, 할로겐 전구, 그리고 현재의 기술 수준인 고압 방전(HID 또는 Xenon으로 불리는) 램프와 LED까지 사용하고 있다. 각각의 다른 기술을 위하여, 로우 빔과 하이 빔 사이의 스위치를 제작하는 다른 방법들이 발명되어야 한다. HID 램프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로 작동하는 레버 또는 모터로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가져 물리적으로 금속 실드를 조명 빔의 경로로 이동시키고, 램프의 위쪽을 통하여 나갈 빛의 부분을 막으며, 그것에 의하여 하이 빔을 끄는 것이다.
일본공개공보 2007-250327호 및 미국등록특허 7,575,353호(일본공개공보 2007-250327호의 패밀리 사건이다.)에는 광원으로부터 직접 받는 빛 및/또는 반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가림으로써 요구되거나 바라는 빛의 분산 패턴을 부여하도록 된 빛 가림판을 포함하는 조명 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빛 가림판의 움직임은 수직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에 의하여 달성된다. 기재된 발명의 실시예에서, 빛 가림판은 드럼 타입의 가동 빛 가림판이다.
일본공개공보 2009-266758에는 제1기능으로서 특히 로우 빔을 절단부에 조사하고 제2기능으로서 하이 빔을 조사하는 양 기능 헤드라이트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라이트는 로우 빔 조사를 위하여 작동 위치와 하이 빔 조사를 위한 인입 위치를 취하도록 하는 인입 타입의 차광판을 포함한다. 절단부의 상부 가장자리는 작동 위치에서 렌즈의 초점 근처에 위치한다. 인입 위치에서, 차광판이 반사면으로 기능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하이 빔의 조사에 기여할 때 절단부의 상부 가장자리는 반사경의 하부 내에 위치한다.
대한민국공개공보 10-2009-1031481에는 돌출부의 단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차량의 헤드램프를 위한 실드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실드는 돌출부의 외측에 수직면을 포함하여 실드의 제조가 끝난 후에 금형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실드의 몸체는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고 돌기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광원으로부터 오는 빛의 일부를 막는다.
도 3a 및 3b에는 링컨 MKS를 위한 헤드램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서 광원으로부터 오는 빛 및/또는 반사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기 위하여 실드가 배치되었을 때 헤드램프는 로우 빔 작동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하이 빔 작동을 하도록 된 헤드램프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하이 빔 작동 시, 실드는 전방으로 넘어지도록 회전 또는 이동하여 더 이상 광선빔의 조사 경로에 있지 아니하다.
그런데,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회전 실드의 사용은 이상적인 것과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회전 실드의 주요 단점은 유연성의 부족이다. 미국에서 헤드램프 패턴을 규율하는 규정들은 세계의 다른 나라의 규율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자동차 제조자들은 우측 주행 또는 좌측 주행을 위한 다른 헤드램프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및 아시아를 위한 다른 스타일의 헤드램프를 제작하여야 한다. 더 나아가 그러한 메커니즘은 중간 거리에 빛을 비추기 위하여 곧바로 적용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는 헤드램프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며 차량의 전방에 쌍으로, 즉 하나 또는 두 개의 헤드램프가 차량의 전방 각 측에 위치하는 헤드램프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러한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은 로우 빔과 하이 빔을 발생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로우 빔과 하이 빔의 발생은 각 역할을 위한 개개의 램프 또는 하나의 다기능 램프에 의하여 달성된다.
하이 빔(몇몇 국가에서는 "메인 빔", "전체 빔" 또는 "운행 빔"으로 불리운다)은 대부분의 빛을 직선으로 전방에 비추고 가시 거리를 최대화하나, 다른 차량이 도로상에 위치할 때 안전한 사용을 위하여 너무 많은 눈부심을 발생시킨다. 위로 향한 빛에 대한 특별한 제어를 하지 않기 때문에, 하이 빔은 물방울의 역반사에 의하여 안개, 비 및 눈으로부터 역으로 눈부심을 발생시킨다. 로우 빔(몇몇 국가에서는 "하향 빔"으로 불리운다)은 위로 향한 빛을 엄격히 제어하고 대부분의 빛을 하측 및 우측(우측 주행 국가에서) 또는 좌측(좌측 주행 국가에서)을 향하도록 하여 지나친 눈부심이나 역으로 발생하는 눈부심 없이 안전한 전방 시야를 제공한다.
로우 빔(하향 빔, 패싱 빔, 미팅 빔) 헤드램프는 눈부심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른 운전자의 눈을 향하는 빛을 제한하는 적당한 전방 및 횡방향 조명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빛의 분산을 제공한다. 이 빔은 다른 자동차가 전방에 위치할 때마다 사용하도록 의도되었다. 필라멘트 헤드램프와 HID 헤드램프를 위한 국제 ECE 규제는 강렬하고 불균형적으로 집중된 빛을 명시하여 상당한 양의 빛이 전방의 또는 다가오는 차의 운전자의 눈에 발산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눈부심 제어는 FMVSS/CMVSS 108에 들어 있는 북미 SAE 빔 규격에서는 덜 엄격하다.
대부분 로우 빔 헤드램프는 단지 도로의 일측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었다. 좌측 주행 국가에서 사용하기 위한 헤드램프는 좌측으로 하향되는(빛이 하향/좌측으로 치우쳐 분산되어 다가오는 운전자의 눈을 멀게 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전방의 길과 표지판을 보여주는) 로우 빔 헤드램프를 가지고 있다. 우측 주행 국가에서 사용하기 위한 헤드램프는 대부분의 빛이 하향/우측을 향하는 우측으로 하향되는 로우 빔을 가지고 있다.
유럽 내에서, 한정된 기간 동안(예를 들어 휴가 또는 수송 중에) 우측 통행 헤드램프를 좌측 통행 국가에서 운전하거나 그 역의 경우, 빔의 잘못된 핫 스폿(wrong-side hot spot)이 다가오는 운전자의 눈을 부시게 하지 않도록 헤드램프를 일시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법적인 요건이다. 이것은 어두운 조각 또는 플라스틱 프리즘 렌즈를 렌즈의 지정된 부분에 붙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시비에 마르샬(Cibie Marchal)과 듀셀리어(Ducillier)에 의하여 프랑스에서 제작된 많은 텅스텐(할로겐) 유럽 코드 램프는 두가지 위치 전구 홀더에 의하여 좌측 또는 우측 통행 로우 빔을 생성하기 위하여 조정될 수 있다. 더 최근에는, 몇 개의 프로젝터 타입 헤드램프는 램프 조립체 내 또는 그 상에 있는 레버 또는 다른 움직일 수 있는 요소를 이동시킴으로써 적절한 좌측 또는 우측 통행 빔을 생성할 수 있도록 말들어진다. 도로의 잘못된 부분을 비추는 헤드램프가 다가오는 운전자의 눈을 멀게 하고 운전자의 길을 적절히 비추지 못하며, 어두운 조각 및 접착된 프리즘 렌즈가 헤드램프의 안전 성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는 그 국가 내에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등록되거나 사용되는 모든 차량에 정확한 교통 방향을 위해 설계된 헤드 램프가 장착되도록 요구한다.
HID 램프에 관하여 또한 도 1을 참고하여, HID 램프는 작은 전구 또는 캡슐에 함유된 크세논과 금속 할로겐화물 가스의 압축된 혼합물을 통과하는 밀리미터 크기의 전기 아크로부터 빛을 생성한다. 빛을 발생시키는 부분이 너무 작기 때문에 타원형 반사 장치의 하나의 초점에 위치할 수 있다. 타원의 기하학 덕택에, 모든 빛은 타원의 제2초점(대략적으로 이동 가능한 플레이트가 위치하는 곳)에 집중된다. 제2초점을 지나, 빛은 빔에 최종 형상을 주는 렌즈(예를 들어, 볼록 렌즈)를 통과통과할 때 계속해서 팽창한다.
HID 램프는 대체할 수 있는 할로겐 램프 기술보다 주어진 레벨의 전력 소비에서 더 많은 빛을 생성할 수 있다. HID 램프는 또한 서로 다른 스펙트럼의 발산된 빛을 생성하며, 이것들 중 일부는 적외선 범위 근처에 있어 빛의 집중된 빔의 경로에 있는 물질을 직접적으로 상당히 가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HID 램프에서 발산된 빛의 스펙트럼의 예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비록 차량의 HID 램프는 실제적으로 크세논 가스를 함유하는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이지만 일반적으로 "제논 헤드램프"라고 불린다. 크세논 가스는 램프가 작동이 되자마자 최소한의 적절한 빛을 생성하고, 램프의 런업 시간을 가속한다. 만약 가로등과 다른 고정된 금속 할로겐화물 램프 장치들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르곤이 대신 사용된다면, 램프가 완전한 출력을 내기까지 몇분이 걸릴 것이다. HID 헤드램프로부터의 빛은 텅스텐 필라멘트 헤드램프와 비교할 때 뚜렷한 푸르스름한 색조를 띤다.
HID 헤드램프 전구는 저전압 DC 전류에서 가동되지 않으므로, 내부 또는 외부 점화 장치를 가지는 안정기(ballast)를 필요로 한다. 안정기는 전구에 가해지는 전류를 제어한다. 전통적으로, 점화 및 안정 작동은 세 단계로 진행된다. 또한, HID 헤드램프 버너는 35 와트 및 38 와트 사이의 전력을 사용하여 2,800 루멘과 3,500 루멘 사이의 빛을 생성하는 반면에, 할로겐 필라멘트 헤드램프 전구는 40 와트 및 72 와트 사이의 전력을 사용하여 700 루멘과 2,100 루멘 사이의 빛을 생성한다. 감소된 전력 소비는 적은 연료 소비를 의미하며, 이는 HID 조명 기구가 장착된 차량당 CO2 배출량을 줄이게 된다.
잘 가공된 헤드램프 광학 기계에 보다 높은 출력의 HID 빛 공급원이 사용되면, 운전자는 더 유용한 빛을 얻을 수 있다. 할로겐 헤드램프보다 좋은 HID 헤드램프를 사용하면, 운전자가 도로의 방해물에 대하여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반응한다는 것이 연구되었다. 빛이 비추어지는 지역에서 낮은 조명과 높은 조명 사이의 빠른 전환 덕택에 높은 세기 및 번쩍이는 효과에 의하여 HID 헤드램프가 다가오는 운전자의 시야에 나쁘게 영향을 준고, 이에 따라 HID를 사용하는 차량과 눈이 부신 다가오는 운전자 사이에 정명 충돌의 가능성을 높인다는 논문이 있다.
배경 기술에 기재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고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선행 기술을 형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다기능 프로젝터 램프 실드와 이러한 실드를 포함하는 다기능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실드가 종래의 실드를 사용할 때 요구되는 기계적인 장치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지 않는 다기능 램프 실드 장치와 이러한 실드를 포함하는 다기능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타입의 차량의 사용 및 다른 규제 사항들에 쉽게 적응 가능한 다기능 실드와 다기능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빛 공급원 또는 반사체로부터 받은 빛이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바람직한 빛 분산 패턴을 설립할 수 있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러한 실드 플레이트를 가지는 조명 기구 및 차량 조명 기구를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빛 실드 플레이트는 선택적으로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로 되는 빛 실드부를 포함하며, 빛 실드부를 지지하여 빛 공급원에 대하여 빛 실드부가 고정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빛 가림체로 작용할 때 빛 실드부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대부분 빛 실드부를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하고, 빛 전달체로 작용할 때 빛 실드부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대부분 빛 실드 플레이트를 통과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빛 공급원 또는 반사체로부터 받은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바람직한 빛 분산 패턴을 설립할 수 있도록 된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통과하도록 하는 빛 전달체 또는 이러한 빛을 차단하는 빛 가림체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되는 빛 실드부와, 빛 실드부를 지지하여 빛 공급원에 대하여 빛 실드부가 고정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빛 가림체로 작용할 때 빛 실드부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대부분 빛 실드부를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1빛 분산 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빛 전달체로 작용할 때 빛 실드부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대부분 빛 실드 플레이트를 통과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2빛 분산 패턴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의 빛 실드부는 빛 실드부의 하나의 부분이 빛 전달체로 되며 빛 실드부의 제2부분이 빛 가림체로 되어 이에 따라 제3빛 분산 패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빛 실드부는 주 부분과 두 개의 보조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주 부분과 보조 부분들 각각은 선택적으로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가 되도록 되어 있다. 주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용할 때 주 부분은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주 부분을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주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용할 때 두 개의 보조 부분 중 하나는 빛 가림체로 작용하고 다른 하나는 빛 전달체로 작용하여, 그것에 의하여 주 부분 및 두 개의 보조 부분은 제4빛 분산 패턴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부분들이 각각 빛 가림체 및 빛 전달체로 작용하여 형성된 빛 분산 패턴이 차량이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운행되는 국가의 운전 방향성 요구와 양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빛 실드부는 복수개의 띠 부분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으며, 각각의 조각은 선택적으로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복수개의 띠 부분들은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더욱 자세하게는 각 띠 부분의 하나의 축이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의 방향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 가로로 연장되고 각 조각의 다른 축이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의 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세로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2방향은 서로 수직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띠 부분들은 (a) 모든 띠 부분들이 빛 가림체로 작동하거나, (b) 모든 띠 부분들이 빛 전달체로 작동하거나 (c) 띠 부분들 중 일부가 빛 전달체로 작동하고 띠 부분들 중 나머지는 빛 가림체로 작동하는 것 중 하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모든 띠 부분들이 빛 가림체로 작동하면, 각 띠 부분은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모든 띠 부분들을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한다. 모든 띠 부분들이 빛 전달체로 작동하면, 각 띠 부분은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모든 띠 부분들을 통과하도록 한다.
띠 부분들 중 일부가 빛 전달체로 작동하고 나머지는 빛 가림체로 작동하면,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의 일부는 전달체 띠 부분을 통과하고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의 나머지는 가림체 띠 부분을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된다. 이러한 상황일 때, 띠 부분은 하나 또는 서로 다른 다수의 빛 분산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황은 도로 및 중간 거리의 유사한 것을 비추는, 즉 로우 빔과 하이 빔 사이를 비추는 빛 패턴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빛 실드부는 전압이 인가되면 광투과 특성이 변화하는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부유 입자 장치(suspended particle device; SPD), 고분자 분산형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일렉트로크로믹 장치(electrochromic device), 및 빛을 반사하는 수소화물(reflective hydri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유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하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빛 공급원과, 적어도 하나의 빛 공급원 또는 반사체로부터 받아서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에 바람직한 빛 분산 패턴을 설립하기 위한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을 전달하거나 빛 가림체 중 선택적으로 하나로 작동하도록 된 빛 실드부와, 빛 실드부를 지지하여 빛 공급원에 대하여 빛 실드부가 고정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빛 가림체로 작동하면, 빛 실드부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빛 실드부를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1빛 분산 패턴을 형성한다. 빛 전달체로 작동하면, 빛 실드부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빛 실드 플레이트를 통과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2빛 분산 패턴을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는 반사체 및/또는 렌즈를 더 포함한다. 반사체는 빛 공급원으로부터의 빛을 조명 방향으로 반사하도록 되어 있고,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빛 공급원 또는 반사체로부터 받아서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에 바람직한 빛 분산 패턴을 설립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렌즈는 조명 방향으로의 광선살이 렌즈를 통과하며 최종 형상이 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의 빛 실드부는 하나의 부분이 빛 전달체로 작동하고 제2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제3빛 분산 패턴을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빛 실드부는 주 부분과 두 개의 보조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주 부분과 보조 부분 각각은 선택적으로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빛 실드부의 주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하면, 상기 주 부분은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주 부분을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하고, 이 때 두 개의 보조 부분 중 하나는 빛 가림체로 작동하고 다른 하나는 빛 전달체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주 부분과 두 개의 보조 부분이 제4빛 분산 패턴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부분들은 각각 빛 가림체와 빛 전달체로 작동하도록 되어 형성된 빛 분산 패턴이 차량이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운행되는 국가의 운전 방향성 요구와 양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빛 실드부는 전압이 인가되면 광투과 특성이 변화하는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부유 입자 장치, 고분자 분산형 액정, 일렉트로크로믹 장치 및 빛을 반사하는 수소화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유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하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빛 공급원은 상기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빛 공급원이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며, 지지 메커니즘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있고, 그것에 의하여 빛 실드부가 하우징 및 빛 공급원에 대하여 고정된 관계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빛 공급원, 빛 공급원으로부터의 빛을 조명 방향으로 반사하도록 되어 있는 반사체, 조명 방향으로의 광선살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고 광선살에 최종 형상을 주는 렌즈,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빛 공급원 또는 반사체로부터 받아서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에 바람직한 빛 분산 패턴을 설립하도록 된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 조명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에 대해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된 빛 실드부를 포함하고, 빛 실드부를 지지하여 빛 실드부가 빛 공급원에 대하여 고정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빛 실드부가 빛 가림체로 작동하면,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빛 실드부를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고 이에 따라 제1빛 분산 패턴을 형성한다. 빛 실드부가 빛 전달체로 작동하면,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빛 실드 플레이트를 통과하도록 되고 이에 따라 제2빛 분산 패턴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빛 실드부는 전압이 인가되면 광투과 특성이 변화하는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부유 입자 장치, 고분자 분산형 액정, 일렉트로크로믹 장치 및 빛을 반사하는 수소화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유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하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차량 조명 장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빛 공급원은 상기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관계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 메커니즘은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그것에 의하여 빛 실드부는 하우징 및 빛 공급원에 대하여 고정된 관계를 유지한다.
여기에 기재된 양상 또는 실시예에 따른 빛 공급원은 고압 방전(HID) 타입의 빛 공급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및 차량 조명 장치는 빛 실드부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어기 또는 제어 메커니즘/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빛 실드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기는 빛 실드부가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로서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어기는 디지털 처리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디지털 처리장치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코드, 지령 및 다양한 입력으로부터 빛 실드부의 적절한 작동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포함하여 바람직한 빛 분산 패턴(예를 들어, 하이 빔 또는 로우 빔 빛 분산 패턴)이 출력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및 차량 조명 장치는 제어기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전력 공급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기는 선택적으로 상기 빛 실드부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공급하지 않고, 그것에 의하여 빛 실드부가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빛 실드부는 각각이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가 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복수개의 부분들을 적어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복수개의 부분들 각각을 제어하여 동시에 하나 또는 다수의 부분들이 빛 전달체로 작동하도록 하고 하나 또는 다수의 다른 부분들이 빛 가림체로 작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및 차량 조명 장치는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다수의 장점, 효과,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별도의 하이 빔 공급원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중량과 부품 개수가 줄어든다(~0.5kg/차량). 게다가, 할로겐 하이 빔 전구가 일반적으로 램프 한 개당 55~65W를 소요하므로 필요한 동력이 줄어든다(~130W/차량). 더 나아가, 별도의 하이 빔을 삭제함으로써 차량 조명 시스템을 위한 장착 공간이 줄어든다. 작은 장착 공간은 디자인 유연성뿐만 아니라 다른 조명 기능을 헤드램프 조립체 내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본질 및 바람직한 목적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참조 번호가 해당 부분을 나타내며, 첨부된 도면과 연계된 상세한 설명에 참고로 사용된다.
도 1은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고압 방전(HID) 프로젝터 타입의 헤드램프와 같은 프로젝터 타입의 헤드램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HID 램프의 빛 분산 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a, b는 로우 빔 작동 및 하이 빔 작동 시 Lincoln MKS의 헤드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의 개략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빛 실드부의 다른 형상 또는 배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a는 예시적인 부유 입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예시적인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c, d는 일렉트로크로믹 장치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6e, f는 빛을 반사하는 수소화물 장치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또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또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양상들과 실시예들은 아래에서 논의한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정의를 참조하여 매우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단수 형태로 사용된 것은 문맥에서 명백히 다르게 적혀있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이라는 단어는 화합물, 방법, 장치, 그리고 시스템이 언급된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뿐 다른 요소를 배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필수적으로 포함"이라는 단어를 화합물, 장치, 그리고 시스템에 사용하는 것은 다른 필수 구성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용어에 의하여 정의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규정짓게 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어떠한 물품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오픈릴식 테이프(reel-to-reel tape), 카트리지 테이프, 카세트 테이프 또는 카드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과 기록할 수 있는 컴팩트 디스크와 같은 광학 매체, 디스크, 테이프 또는 카드 내의 자기-광학 매체, 천공 카드와 종이 테이프와 같은 종이 매체, 그리고 USB 드라이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당업계에 알려지거나 개발된 일시적이지 않은 매체이다.
"USP"는 미국 특허 번호, 즉 미국 특허 상표청에 의하여 등록된 미국 특허를 의미한다.
이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차량", "차량의" 또는 유사한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SUV(sports utility vehicles), 버스, 트럭, 다양한 상업 차량을 포함하는 승용차, 다양한 보트와 배를 포함하는 선박, 항공기,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하고,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 차량,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 수소 전원 차량 또는 다른 대체 연료 차량(예를 들어, 석유 외의 자원으로부터 얻어지는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하이브리드 차량은 두 개 이상의 전원, 예를 들어 가솔린 전원과 전기 전원을 가지는 차량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는 다양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4a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치(10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이러한 다기능 조명 장치(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양한 도면을 통하여 유사한 참조 번호가 해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러한 다기능 조명 장치는 빛 공급원(110), 반사체(120), 빛 실드부(130), 렌즈(140), 그리고 하우징(150)을 포함한다. 빛 공급원(110)은 다양한 주파수 또는 그 부근의 빛을 생성하도록 지금까지 발전했고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장치 또는 메커니즘 중 하나일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가시 광선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빛 공급원(110)은 할로겐 전구 또는 캡슐, 고압 방전(HID 또는 제논으로 불리는) 램프 및 LED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하는 차량에 사용할 수 있는 어느 형태의 빛 공급원을 포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빛 공급원은 주어진 타입의 빛 공급원의 적절한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전력 및 제어 회로(예를 들어, DC 전력 또는 AC 전력 회로)를 포함한다.
반사체(120)는 빛 공급원(110)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빛 공급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조명 방향으로 향하도록 반사시키도록 된 다양한 장치 또는 구조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당업계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빛 공급원으로부터의 빛은 빛 공급원 바깥쪽으로 다수의 방향으로 발산된다. 따라서, 원하는 방향, 즉 조명 방향으로의 빛의 양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반사체(120)는 조명 방향 외의 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이 다시 조명 방향으로 가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을 비추는 빛은,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빛 공급원(110)으로부터 직접 오는 빛과 반사체에 의하여 조명 방향으로 반사된 빛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체(120)는 반사체의 일반 형상과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그 표면에 얇은 코팅 또는 소재가 적층된 지지 멤버를 포함한다. 코팅 또는 소재는 그것들이 지지 멤버에 적용 또는 적층된 후 훌륭한 반사 성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멤버는 타원 형상이고 반사 소재는 반사 금속 또는 반사 합금이며, 이러한 금속은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렌즈(140)는 하우징과 결합하여 빛 공급원(110)이 고장나도록 하거나 반사체(120)를 구성하는 소재를 산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 또는 구조를 고장나도록 하거나 산화시키는 요소들(예를 들어, 빛, 비, 눈, 먼지 및 이와 유사한 것)로부터 빛 공급원(110)과 반사체(120)를 보호하기 위한 둘러 쌓인 장소를 형성한다. 상기 렌즈(140)는 빛 공급원을 기준으로 배치되고 하우징(150)에 고정되어 조명 방향으로의 광선살이 렌즈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렌즈(140)는 당업계에 알려지거나 개발된 다양한 방법 또는 기술 중 하나를 사용하여 광선살에 최종 형상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렌즈는 의도한 사용 및 적용에 적합한 물질로 제작되며,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는 렌즈 또는 다른 부품들 또는 헤드램프의 기능에 장시간에 걸친 산화(노화)를 일으킬 수 있는 요소들(예를 들어, 태양의 자외선 등)에 대한 저항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팅 또는 소재층을 포함한다.
하우징(150)은 헤드램프 및 예를 들어 빛 공급원(110)을 전력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빛 공급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헤드램프의 기능들을 위한 보호 구조 및 지지 구조를 형성한다. 하우징은 렌즈(140)를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메커니즘 또는 장치를 포함한다. 게다가, 하우징(150)은 그것을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메커니즘 또는 장치를 포함하여, 조명 장치가 빛을 차량으로부터 적절한 방향으로 비추도록 되어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150)의 내부 구조는 반사체(120)를 위한 지지면 또는 지지 멤버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당업계에 알려지거나 개발된 다양한 기술 또는 방법을 사용하여 반사하는 물질이 상기 지지면 또는 지지 멤버에 적층 또는 적용되어 바람직한 형상을 가진 반사체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이러한 내부 구조는 타원형 반사체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50)은 또한 빛 실드부(130)를 하우징으로부터 지지하고 하우징에 부착하여 하우징과 빛 실드부 사이에 상대 운동이 거의 없도록 하는 지지/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상기 빛 실드부(130)가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헤드램프 하우징 내에서 종래의 빛 실드를 움직이기 위한 구조 및 기능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 및 관련 기능의 삭제는 헤드램프 패키지의 크기 및 중량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빛 실드부(130)는 당업계에 알려지거나 개발된 다양한 메커니즘(152)에 의하여 하우징에 부착되어 빛 실드부가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관계를 유지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빛 실드부(130)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구조물(예를 들어, 브라켓)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하는 기계 장치(예를 들어, 스크루, 너트, 클립, 클램프, 브라켓 등)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한다. 빛 실드부(130)를 하우징(150)에 부착하는 다양한 기술 또는 메커니즘을 적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것들이 제한적인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
빛 실드부(130)는 적어도 빛 공급원 및/또는 반사체로부터 받아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에 바람직한 빛 분산 패턴을 선택적으로 설립하도록 되어 있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빛 실드부는 빛 공급원(110) 및 반사체(120)로부터의 빛의 일부가 빛 실드부에 의하여 차단되는 불투명 상태와 빛 공급원 및 반사체로부터의 빛이 빛 실드부를 통과하는 투명 상태 사이에서 전환된다.
실시예에서, 빛 실드부, 더 구체적으로 빛 실드부의 위쪽 모서리(131)는 주어진 국가에 적용되는 조명 기준(예를 들어, 연방 차량 안전 규격(FMVSS) 108 요건)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수평선 위에 눈부신 빛을 차단하는 절개(cut-off) 경사도를 갖는 빛 패턴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 실드부는 수평 및 수직 또는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빛이 하우징에 걸친 폭방향 또는 수평방향 및 위쪽 모서리(131)로부터 하우징까지 수직방향으로(예를 들어, 아래 방향으로) 차단된다.
게다가, 상기 빛 실드부(130)는 헤드램프가 로우 빔 헤드램프(즉, 빛 실드부가 불투명하거나 빛을 가리는 경우)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헤드램프가 적절하게 우측 램프 또는 좌측 램프로 되도록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부분 로우 빔 헤드램프는 단지 도로의 한측편에서 주행할 때 사용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다. 좌측 주행 국가에서 사용하기 위한 헤드램프는 좌측으로 하향되는 로우 빔 헤드램프를 가지고, 빛은 하향/좌측으로 치우치도록 분산되어 다가오는 운전자의 눈을 부시게 하지 않고 운전자에게 전방의 도로 및 표지를 보여준다. 우측 주행 국가에서 사용하기 위한 헤드램프는 우측으로 하향되는 로우 빔을 가져 빛의 대부분이 하향/우측을 비춘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빛 실드부는 헤드 램프가 선택적으로 우측 램프 또는 좌측 램프로 되도록 작동한다.
여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빛 실드부(130)는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광투과 특성(불투명성과 투명성 사이에서 전환)이 변화되는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유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하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이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빛 실드부(230a-c)의 서로 다른 형상 또는 배열이 예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빛 실드부(230a)는 렌즈를 나타내는 원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원의 어두운 부분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빛 실드부에 의하여 덮인 렌즈의 부분을 나타낸다.
도 5b에 도시된 빛 실드부(230b)는 넓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빛 가림 부분들 또는 띠들(234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띠들(243b)은 빛 실드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개의 수직 조각들로 나눈다. 이러한 방식으로, 빛 실드부에 의하여 생성된 빛 패턴은 다른 부분들 또는 띠들(243b)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변화된다. 이러한 띠들은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위한 잘 알려진 제조 기술을 도입하는 것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빛 실드부(230b) 및 다른 부분들 또는 띠들(243b)을 작동시키는 그 능력은 유리하게도 중간 거리 조명 또는 자동 레벨링(auto-leveling)을 가능하게 하도록 변화하는 다른 빛 패턴을 생성한다. 게다가, 이 기능은 다른 조명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다른 절개 경사도를 설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빛 실드부(230c)는 넓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빛 가림 부분들 또는 띠들(234c) 및 측부(236c1, 236c2)를 정의하는 복수개의 빛 가림 지역으로 구성된다. 측부들은 하나의 빛 가림 부분 또는 다른 복수개의 빛 가림 부분들 또는 띠들(234c)로부터 개별적이고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복수개의 빛 가림 부분들 또는 띠들을 포함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띠들(234c)의 상세 사항에 대하여는 도 5b와 관련한 앞의 논의들을 참조하여야 할 것이다.
측부들(236c1, 236c2)에 대하여, 이 측부들은 유럽 또는 미국 시장을 위한 서로 다른 로우 빔 패턴을 설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다른 패턴을 사용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로우 빔 패턴을 정의할 때, 측부들을 구성하는 띠들은 바람직한 우측 또는 좌측 빛 패턴을 설립하기 위하여 제어되거나 작동될 수 있다. 램프가 다른 조건들(중간 거리 조명, 하이 빔) 하에서 작동될 때, 상기 측부들을 위한 상기 띠들은 바람직한 빛 패턴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어되거나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가 하이 빔으로 작동될 때, 측부들의 띠들은 모든 띠들이 투명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기재된 바와 같이, 빛 실드부(130)는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광투과 특성(불투명성과 투명성 사이에서 전환)이 변화되는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유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하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리는 때때로 스위칭 가능한 유리 또는 지능형 유리로 언급된다. 이하에서는 스위칭 가능한 유리 또는 지능형 유리 또는 선택적으로 불투명한 빛 상태 또는 투명한 빛 상태 중 하나를 생성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다른 물질에 대하여 기재한다.
먼저, 지능형 유리는 일반적으로 전압이 인가될 때 및 전압이 제거될 때 광투과 특성이 변화하는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유리를 말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능형 유리로 4가지 형태(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 부유 입자 장치(SPD), 일렉트로크로믹, 빛을 반사하는 수소화물)가 현재까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부유 입자 장치(300a)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입자들은 두 개의 유리 패널 사이에서 부유하고 있으며, 상기 유리는 투명 도전 재료로 코팅되어 있다. 전기가 도전 코팅을 통하여 입자와 접촉하게 되면, 입자들은 일렬로 늘어서게 되고, 그것에 의하여 빛이 통과하도록 한다. 전기가 제거되면, 입자들은 무작위의 패턴으로 다시 이동하여, 그것에 의하여 빛이 차단된다. 전압이 감소하면, 인가된 전압이 없어져 완전이 어두워질 때까지 유리는 어두워지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의 SPD 장치와 유사한 예시적인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 장치(300b)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PDLC 장치에서, 액정은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에 의하여 전하에 반응하고, 그것에 의하여 빛이 통과하도록 한다. 전하가 사라지면, 액정은 무작위로 배열되어, 그것에 의하여 빛이 차단된다. 유리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즉, 중간 단계가 없다.
도 6c, d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일렉트로크로믹 장치(300c)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전압이 인가되면 스크린이 어두워지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스크린은 투명해진다. 전압 변화는 이러한 작동들을 시작시키지만,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일렉트로크로믹 장치들은 자동차용 거울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300c)에서, 빛 차단은 빛 흡수에 기초한다.
도 6e, f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빛을 반사하는 수소화물 장치(300e)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비록 일렉트로크로믹 물질들로 기술적으로 분류되지만, 빛은 흡수되는 대신 반사된다. 니켈-마그네슘 합금으로 만들어진 얇은 필름들은 기질(substrate)에 적용되고 투명 상태와 반사 상태에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환은 저전압 전기(일렉트로크로믹 기술)에 의하여 작동된다. 이러한 빛을 반사하는 수소화물 장치는 일렉트로크로믹 물질들보다 더욱 에너지 효율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지금까지 기재된 본 발명의 양상 및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또는 이러한 램프를 구비한 차량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도 7a, b를 참조하면, 지금까지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양상에 따른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또는 이러한 램프를 구비한 차량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양상에서, 도 7a에는 도 4b와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빛 실드부(130, 230a)를 가지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100)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제어 시스템(400a)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예시적인 양상/실시예에서 도 7b에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빛 실드부(203b)를 가지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100)를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제어 시스템(400a)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 b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은 모터사이클, 자동차, 트럭, SUV 및 RV와 같은 레크레이션용 차량과 같이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또는 헤드램프를 가지는 차량의 빛 실드부를 제어하는데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다. 후술하겠지만, 이하의 논의는 컴퓨터, 디지털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다른 방법론/발명의 논리 구조를 예시한다.
도 7a에 도시된 예시적인 제어 시스템(400a)은 두 개의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또는 조명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설명은 모터사이클, 자동차, 트럭, SUV 및 RV와 같은 레크레이션용 차량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또는 헤드램프를 제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조명 장치(100)는 빛 공급원(110), 반사체(120), 빛 실드부(130), 렌즈(140) 및 하우징(15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도 5a의 빛 실드부(230a)는 도 7a의 빛 실드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빛 공급원(110)은 다양한 주파수 또는 그 부근의 빛을 생성하도록 지금까지 개발되었고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장치 또는 메커니즘 중 하나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빛 공급원(110)은 할로겐 전구 또는 캡슐, 고압 방전(HID 또는 제논으로 불리는) 램프 및 LED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하는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어느 형태의 빛 공급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설명하지 않는 한, 이러한 조명 장치의 다른 기능들과 관련하여 더 상세한 내용은 도 4a 및 도 5a와 관련된 논의를 참조하여야 할 것이다.
도 7a의 제어 시스템(400a)은 제어기(410a), 조명 장치, 더 자세하게는 빛 공급원(110) 또는 캡슐을 켜거나 끄기 위한 스위칭 메커니즘 또는 장치(420), 빛 전력 공급원(440a), 각 조명 장치의 빛 실드부(130, 230a)를 작동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전력 공급원(460a), 그리고 조명 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빛 분산 패턴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430)를 포함한다. 스위칭 메커니즘/장치(420), 빛 전력 공급원(440a), 하나 또는 다수의 전력 공급원(460a), 그리고 입력 장치(430) 각각은 작동적으로/통신적으로 제어기(410a)에 결합되어 있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제어기는 각 조명 장치(100)의 작동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지령을 제공하는 입력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제어기는 생성될 빛 분산 패턴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시스템(400a)의 적어도 하나의 빛 전력 공급원(440a)은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가 외란광을 제공하기를 바라는 한 빛 공급원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빛 공급원은 연장된 기간 동안 계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거나 차량 조작자가 하이 빔을 비추는 것과 같은 짧은 기간 동안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빛 전력 공급원(440a)은 연장된 기간 동안 계속적으로 전력을 빛 공급원에 공급하거나 하이 빔을 비추기 위한 짧은 기간 동안 전력을 빛 공급원에 공급하기 위한 적절한 전압 및 전류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빛 전력 공급원은 주어진 형태의 빛 공급원의 적절한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전력 및 제어 회로(예를 들어, DC 전력 또는 AC 전력 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HID 램프는 전구 또는 캡슐에 함유된 크세논 및 금속 할로겐화 가스의 압축된 혼합기를 통과하는 밀리미터 크기의 전기 아크로부터 빛을 생성한다. HID 헤드램프 전구는 일반적으로 저전압 DC 전류에서 작동되지 않고 AC 전류에서 작동된다. 안정기가 전구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상기 안정기는 내부 또는 외부 점화기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빛 전력 공급원(440a)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러한 전력 공급원은 여기에서는 더 상세히 기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어 시스템(400a)이 복수개의 빛 전력 공급원(440a)(예를 들어, 각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를 위하여 하나의 빛 전력 공급원)을 구비하고 있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이러한 빛 전력 공급원(440a)의 제어는 제어기(410a)의 작동과 연계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빛 실드부(130, 230a)는 전압/전류가 가해지면 광투과 특성이 변화(즉, 불투명과 투명 또는 빛 투과 사이에서의 전환)하는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유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하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리는 때때로 스위칭 가능한 유리 또는 지능형 유리로 언급된다. 즉, 빛 실드부(130, 230a)는 적절하게 작동되어 빛 전달체/투명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가 되며, 적절하게 작동되지 않아 빛 실드부가 반대 상태(즉, 빛 가림체 또는 빛 전달체)로 전환된다.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빛 실드부를 구성하는 물질은 다른 작동 특성을 가져 일부 경우에는 빛 실드부에 전압이 가해지면 그것은 빛 전달체가 되는 반면 다른 경우에는 전압의 인가가 빛 실드부를 빛 가림체가 되도록 한다.
전력 공급원(460a)은 일부 경우에는 전력 공급원이 빛 실드부가 빛 전달 상태 또는 빛 가림 상태 중 하나가 되도록 하고 다른 경우에는 빛 실드부가 다른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전압 및/또는 전류를 공급하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전력 공급원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전력 공급원(460a)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전력 공급원(460a)들 중 하나가 각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에 사용되는 것이 도 7a에 도시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전력 공급원이 각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또는 조명 장치를 위한 빛 실드부 각각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회로 또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러한 전력 공급원(460a)의 제어는 제어기(410a)의 작동과 연계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상기 스위칭 메커니즘(420)은 외란광 생성이 요구될 때 조명 장치 또는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를 켜도록 하는 신호 또는 이러한 외란광 생성이 요구되지 않을 때 조명 장치를 끄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칭 메커니즘은 그것이 켜졌을 때 회로가 연결되고 그것이 꺼졌을 때 회로가 끊어지도록 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위칭 메커니즘은 켜진 위치와 꺼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식 스위치이다. 이러한 스위치는 차량의 계기판과 같은 고정된 표면에 장착되거나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으로부터 장착된 박대기 형태의 요소에 통합될 수 있다. 이것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당업계에 알려지거나 지금까지 개발된 다양한 스위칭 메커니즘 중 하나가 이러한 제어 시스템(40a)에 사용되거나 사용되기 위하여 적용된다.
입력 장치(4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신호들, 구체적으로 적어도 복수개의 신호들, 더 구체적으로 조명 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빛 분산 패턴을 제어하기 위하여 교대로 활용되는 복수개의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장치 또는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430)는 스위치이고, 상기 스위치는 그것의 주어진 위치의 각 표현이고, 이에 따라 바람직한 빛 분산 패턴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출력 신호들을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도 7a의 입력 장치(430)의 하나의 스위치 위치는 차량용 조명 장치(100)가 선택적으로 하나의 빛 분산 패턴(예를 들어, 로우 빔 빛 분산 패턴)에서 제2빛 분산 패턴(예를 들어, 하이 빔 빛 분산 패턴)으로 변화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스위치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 장치(430)가 복수개의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을 때, 각 신호는 로우 빔 빛 분산 패턴, 하이 빔 빛 분산 패턴, 그리고 로우 빔과 하이 빔 중간의 하나 또는 다수의 빛 분산 패턴들 사이에서 빛 분산 패턴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다중 위치 스위치는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의 움직임(예를 들어, 지연된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과 같이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실시예에서, 스위칭 메커니즘(420)과 입력 장치(430)는 하나의 장치를 형성하도록 통합되어 조명을 켜거나 끄기 위한 신호 및 다른 빛 분산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제어기(410a)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코드 요소를 디지털 프로세서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 디지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장치 특정 집적 회로 또는 ECU)가 기능 단계들의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형태로 주는 기계 부품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기(410a)는 그 상에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 요소들)이 실행되는 디지털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12)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결합하여 프로그램 코드 및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작동을 위한 다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414)를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러한 제어기는 프로그램 및 조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목적인 다른 작동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바람직하게 비휘발성 형태의 메모리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데이터와 프로그램 코드가 쓰여지고 다시 쓰여질 수 있는 메모리 타입(예를 들어, 플래쉬 타입의 메모리 또는 EPROM)일 수 있다.
이어지는 논의는 또한 컴퓨터, 디지털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에 구체화될 수 있는 다른 방법론/발명의 논리 구조를 예시한다. 당업자라면 이 논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능하는 집적 회로 상의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요소의 구조를 예시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하므로, 본 발명은 프로그램 코드 요소를 디지털 프로세서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 디지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장치 특정 집적 회로 또는 ECU)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들에 따른 기능 단계들의 시퀀스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형태로 주는 기계 부품에 의하여 그 필수적 실시예들이 실행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또한 알려진 바와 같이,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요소의 구조는 집적 회로상의 논리 회로들, 논리 회로 요소들 및 다른 회로들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기재된 제어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하드웨어에 포함된 제어기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스위칭 메커니즘(420)과 입력 장치(430)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기술들중 하나에 의하여 작동적으로/통신적으로 제어기(410a)에 결합되어 스위칭 메커니즘(420)과 입력 장치(430) 각각으로부터의 신호들이 제어기에 의하여 수신되도록 되어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제어기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스위칭 메커니즘(420)과 입력 장치(430)를 적어도 다기능 조명 장치를 구비한 차량이 작동 모드에 있어 조명 장치가 빛을 생성하도록 하는 동안에는 계속적으로 모니터하기 위한 코드 조각, 지령 및 기준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기(410a), 특히 제어기에 포함되고 프로세서(412)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이러한 모니터링으로부터 스위칭 메커니즘(420)이 조명 장치의 ON 위치/상태 또는 조명 장치의 OFF 위치/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코드 조각들, 지령 및 기준을 포함한다. 만약 제어기가 스위칭 메커니즘이 조명 장치의 ON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기(410)는 빛 전력 공급원(440a)이 동력을 받아 빛 공급원이 반사체(120)의 영향 하에서 조명 방향(차량 외측으로)으로 이동하는 빛을 출력하도록 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제어기의 프로세서(412)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빛 전력 공급원(440a)의 작동을 제어하여 전기 동력이 빛 공급원(110)에 공급되어 빛을 생성하도록 하는 코드 조각들, 지령 및 기준을 포함한다.
빛 전력 공급원(440a)은 전력 공급원 및/또는 빛 전력 공급원의 작동을 제어하여 주어진 전압 및/또는 전류가 빛 공급원에 제공되도록 하는 회로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빛 전력 공급원(440a)은 입력 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할 뿐만 아니라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거나 그 역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변압기 또는 이와 동등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빛 공급원(110)은 예를 들어 야간에 도로를 비추거나 기상 상태가 좋지 않은 때 차량의 시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작동기가 자동차를 작동시키는 동안 운전 조건에 따라 "로우 빔"과 "하이 빔" 사이에서 빛을 전환하도록 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입력 장치(430)와 같은 메커니즘은 차량 작동기가 로우 빔 및 하이 빔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차량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제어기(410a), 특히 제어기에 포함되어 프로세서(412)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입력 장치가 이러한 모니터링으로부터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조명 장치를 위한 로우 빔 작동 상태 또는 하이 빔 작동 상태를 위하여 신호를 주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조각들, 지령 및 기준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만약 제어기가 입력 장치(430)가 하이 빔 작동을 위한 신호를 준다고 판단하면, 제어기는 다음으로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조명 장치가 스위칭 메커니즘(420)에 반응하여 빛을 생성하기 위하여 바로 켜졌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조명 장치가 켜졌으면, 제어기는 빛 실드부 전력 공급원(460a)을 제어하여 빛 실드부(130)가 빛 전달체로 작동하도록 하고, 그것에 의하여 빛 실드부에 의하여 차단되었던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빛 전달 상태에서, 조명 장치는 하이 빔 빛 분산 패턴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만약 조명 장치가 켜져 있지 않고(즉, 꺼져 있고) 조명 장치가 하이 빔을 비추도록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면, 제어기는 에러 메시지를 보내고 빛 실드부(130)는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제어기가 입력 장치가 로우 빔 작동을 위한 신호를 준다고 판단하면, 제어기는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조명 장치가 켜졌고 하이 빔 작동 상태에서 작동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그렇다면, 제어기는 빛 실드부 전력 공급원(460a)을 제어하여 빛 실드부(130)가 다시 빛 차단 상태로 작동하도록 하고, 그것에 의하여 빛이 빛 실드부에 의하여 차단되도록 한다. 즉, 조명 장치는 하이 빔 빛 분산 패턴에서 로우 빔 빛 분산 패턴으로 전환한다.
상기 제어기는 조명 장치가 켜져 있지 않다고(즉, 꺼져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기는 에러 메시지를 보내고, 빛 실드부(130)는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로우 빔과 하이 빔 작동 사이에서 스위칭을 하도록 하는 메커니즘이 제공된 차량은 또한 차량 작동기가 로우 빔 작동에서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또는 조명 장치가 켜진 경우 또는 상기 램프 또는 조명 장치가 꺼진 경우 중 하나의 경우에 하이 빔을 비추도록 허용한다. 상기 램프/조명 장치가 켜진 경우, 제어기는 빛 실드부 전력 공급원(460a)을 제어하여 빛 실드부(130)가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 빛 전달 상태로 작동하도록 하고 이 주기가 종료된 후 빛 실드부(130)가 빛 전달 상태로 다시 돌아가도록 한다.
그런데, 만약 제어기(410)가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또는 조명 장치가 켜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제어기는 빛 전력 공급원(440a)이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여 빛 공급원(110)이 빛을 출력하도록 하고, 제어기는 또한 빛 실드부 전력 공급원(460a)을 제어하여 빛 실드부(130)가 빛 전달 상태가 되도록 한다. 제어기(410)는 이러한 작동이 설정된 기간 동안 수행되도록 하고, 이 기간 종료 후에 제어기는 빛 전력 공급원(440a)을 끄고 빛 실드부를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되돌린다.
실시예에서, 설정된 주기 또는 기간은 빛을 비추기 위한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기간이거나 차량 작동기가 빛을 비추기 위한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주기 또는 기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또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400b)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c와 연계하여 여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빛 실드부는 그것이 하나의 빛 가림 부분 및 도 5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개의 빛 가림 부분들로 구성된 빛 실드 부분들을 포함하는 도 7a와 연계하여 앞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빛 실드부(130, 230a)와 같이 다양하게 다른 형상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비록 도 7b의 제어 시스템(410b)은 도 5b에 도시된 빛 실드부(230b)를 사용하는 제어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지만, 이것은 이러한 제어 시스템이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빛 실드부(230c)와 같이 복수개의 띠들 또는 다른 부분의 배열로 구성된 빛 실드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한정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5c에 도시된 배열들은 또한 띠들의 사용과 연관되어 있지만, 하나 또는 다수의 조각들이 하나의 빛 실드 부분을 포함하고 각 빛 실드 부분이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도록 배열된 주 부분 및 측부들(234c, 234c1, 234c2)(도 5c 참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다르게 기재되지 않는 한, 조명 장치에 대한 기재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제어 시스템들에 일반적인 기능들에 대하여도 도 7a의 설명에서 논의된 것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스위칭 메커니즘(420), 입력 장치(430), 빛 전력 공급원(440a), 그리고 빛 공급원(110)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한다.
앞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빛 실드부(230c)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개의 부분들 또는 띠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각 띠는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다른 띠들이 빛 가림 상태가 되도록 제어되는 반면 하나 또는 다수의 띠는 빛 전달 상태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명 장치는 로우 빔 및 하이 빔 작동을 위한 빛 분산 패턴들 사이에 있는 복수개의 다른 빛 분산 패턴들이 생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신호를 제어기(410)에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들 또는 장치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제어기(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상에서 작동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가 차량이 평평하지 않은 상태인지(앞에서 뒤쪽으로)를 판단하고 이 정보로부터 또한 평평한 상태를 벗어났다는 이러한 결정을 이유로 빛 실드부를 위해 설립된 로우 빔 절개가 조정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제어기는 평평한 생태로부터 벗어난 것이 차량 조명 장치에 끼치는 영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항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상기 절개를 조정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조명 기준은 전 세계의 다른 나라들 또는 지역들에 걸쳐 일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럽의 조명 기준은 미국에서 시행되는 기준들과 다르다.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개별 빛 실드 부분을 포함하는 이러한 빛 실드부는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그것에 의하여 차량 작동기가 다른 빛 실드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지역 조명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역 조명 기준 각각을 만족시키기 위한 맞춤형 구조를 가지지 않는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또는 조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빛 실드부의 띠들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제어 시스템은 부분/띠 전력 공급원(460b)과, 이 부분/띠 전력 공급원에 작동적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스위치들(462)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치들은 부분/띠 전력 공급원에 포함되어 이러한 전력 공급원이 스위칭되는 출력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빛 실드부 전력 공급원(460b)은 하나의 경우에 빛 실드부가 빛 전달 상태 또는 빛 가림 상태 중 하나가 되도록 하는 전압 및/또는 전류를 제공하고 다른 경우에 하나 또는 다수의 빛 실드 부분들이 다른 상태로 전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수의 전력 공급원 중 하나일 수 있다. 스위치(462)는 부분/띠 전력 공급원(460b)으로부터 빛 실드부(230b)의 각각의 띠 또는 부분들로의 전류의 흐름 또는 전압을 방해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장치 또는 회로 요소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전력 공급원들(460b) 및 스위치들은 당업계에 일반저긍로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기(410)는 도 7a와 연계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반적 구성 요소들을 동일하게 가지고 있으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제어기(410b)는 제어기(410b)의 프로세서(412) 상에서 실행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즉, 코드 조각들, 지령들 및 기준들)이 도 7a의 제어기(410a)의 프로세서(412)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다르다는 점에서 도 7a의 기재와는 다르다.
여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제어기(410b)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적어도 다기능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가 조명 장치에 의하여 빛이 생성되는 작동 모드에 있는 동안 계속적으로 스위칭 메커니즘(420) 및 입력 장치(430)를 모니터링 하는 코드 조각들, 지령들 및 기준들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기(410b), 특히 제어기에 포함되고 프로세서(412)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이러한 모니터링으로부터 스위칭 메커니즘(420)이 조명 장치를 켠 위치/상태 또는 조명 장치를 끈 위치/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코드 조각들, 지령들 및 기준들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만약 상기 제어기가 스위칭 메커니즘이 조명 장치를 켠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면, 제어기(410b)는 빛 전력 공급원(440a)이 동력을 받아 빛 공급원이 빛을 출력하고 이 빛은 반사체(120)의 영향 하에서 조명 방향으로(차량으로부터 외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특히, 제어기의 프로세서(412)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빛 전력 공급원(440a)의 작동을 제어하여 전기력이 빛 공급원(110)에 공급되어 빛을 생성하도록 하는 코드 조각들, 지령들 및 기준들을 포함한다. 빛 전력 공급원(440a)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기재된 도 7a에 관한 논의들을 참조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작동기가 주행 조건에 의존하여 로우 빔과 하이빔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것은 자동차의 작동 중에는 일반적이다. 또한 앞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도 7b의 제어 시스템은 빛 실드부를 구성하는 다른 빛 실드 부분들 또는 띠들을 독립적으로 및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앞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입력 장치(430)와 같은 메커니즘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 작동기가 효율적으로 다른 부분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거나 모든 부분들을 제어하여 조명 장치가 로우 빔 빛 분산 패턴에서 하이 빔 빛 분산 패턴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기(410b), 특히 제어기에 포함되고 프로세서(412)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이러한 모니터링으로부터 지령에 해당하는 입력 장치 신호가 조명 장치를 로우 빔 작동 상태, 하이 빔 작동 상태 및 로우 빔 과 하이 빔 상태 중간의 작동 상태에 있는지를 결정하거나 몇 가지 다른 행동(예를 들어 하이 빔을 비추는 것)을 취하도록 하는 코드 조각들, 지령들 및 기준들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이러한 작동들과 연계된 후술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 조각들, 지령들 및 기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어기가 입력 장치(430)가 하이 빔 작동을 가리키고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기는 다음으로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조명 장치가 스위칭 메커니즘(420)에 반응하여 켜져서 빛을 생성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조명 장치가 켜졌으면, 제어기는 빛 실드부 전력 공급원(460a)과 스위치(462)를 제어하여 빛 실드부(230b)가 빛 전달 상태로 작동하도록 하고, 그것에 의하여 빛 실드부에 의하여 차단된 빛이 통과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조명 장치는 하이 빔 빛 분산 패턴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마약 조명 장치가 켜져 있지 않고(즉, 꺼져 있고) 조명 장치가 광선살을 비추도록 작동하지 않는다면, 제어기는 에러 메시지를 보내고 빛 실드부(230b)를 원래의 상태로 유지한다.
만약 입력 장치가 로우 빔 작동을 가리키고 있다고 제어기가 판단하면, 제어기는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조명 장치가 스위칭 메커니즘에 반응하여 막 켜져 빛을 생성하는지 판단한다. 만약 조명 장치가 막 켜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기는 빛 실드부 전력 공급원(460b)과 스위치들을 제어하여 빛 실드부(230b)가 빛 가림 상태로 작동하도록 하고, 그것에 의하여 비춰진 빛이 빛 실드부에 의하여 차단된다. 빛 가림 상태에서, 조명 장치는 로우 빔 빛 분산 패턴을 제공하도록 된다.
만약 입력 장치가 로우 빔 작동을 가리킨다고 제어기가 판단하면, 제어기는 또한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조명 장치가 켜졌고 하이 빔 작동 상태에서 작동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그렇다면, 제어기는 빛 실드부 전력 공급원(460b) 및/또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빛 실드부(230b)가 빛 가림 상태로 다시 작동하도록 하고, 그것에 의하여 빛은 빛 실드부에 의하여 차단된다. 즉, 조명 장치는 하이 빔 빛 분산 패턴에서 로우 빔 빛 분산 패턴으로 전환한다.
만약 제어기가 조명 장치는 켜지지 않았다고(즉 꺼졌다고) 판단하면, 제어기는 에러 메시지를 보내고 빛 실드부(230b)를 원래의 상태로 유지한다.
여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는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도는 조명 장치가 로우 빔 작동에서 켜진 경우 또는 램프/조명 장치가 꺼진 경우 중 하나의 경우에서 차량 작동기가 하이 빔을 비추도록 허용한다. 램프/조명 장치가 켜진 경우에는, 제어기는 빛 실드부 전력 공급원(460a) 및 스위치(462)를 제어하여 빛 실드부(230b)가 설정된 주기 동안 빛 전달 상태로 작동하도록 하고, 그 주기가 끝난 후에 빛 실드부(230b)가 빛 가림 상태로 다시 작동하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어기(410)가 프로젝터 타입의 램프 또는 조명 장치가 켜지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제어기는 빛 전력 공급원(440a)이 동력을 받아 빛 공급원(110)이 빛을 출력하돌고 하고 제어기는 또한 빛 실드부 전력 공급원(460b) 및 스위치(462)를 제어하여 빛 실드부(230b)가 빛 전달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한다. 제어기(410)는 이러한 행동이 설정된 기간 동안 수행되도록 하고, 이 기간이 종료한 후에 제어기는 빛 전력 공급원(440a)을 끄고, 빛 실드부를 비 작동 상태로 되돌린다.
실시예에서, 설정된 주기 또는 기간은 빛을 비추기 위한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기간이거나 차량 작동기가 빛을 비추기 위한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주기 또는 기간일 수 있다.
앞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각각의 부분들 또는 띠들은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조명 장치가 지역 조명 기준에 따라 적절한 절개를 제공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기(410b)는 적절한 절개를 유지하기 위하여 모든 작동 양상에서 빛 실드부의 어떤 부분들 또는 띠들을 빛 전달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는지를 정립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제어기가 빛 가림 상태를 만들기 위하여 빛 실드부(예를 들어, 빛 실드 부분들 또는 띠들)을 제어할 때, 제어기는 모든 작동 양상에서 빛 전달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빛 실드부의 미리 설정된 부분들 또는 띠들을 제어하여 이러한 부분들/띠들이 빛 가림 상태로 진입하지 않도록 한다.
앞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빛 실드부의 부분들 또는 띠들이 조명 장치가 켜졌을 때 로우 빔 및 하이 빔 분산 패턴들 중간의 하나 또는 다수의 빛 분산 패턴들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제어기(410b), 특히 상기 제어기에 포함되고 프로세서(412)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입력 장치(430)로부터 신호에 기초하여 지령에 해당하는 신호가 조명 장치를 로우 빔과 하이빔 상태들의 중간 작동 상태에서 작동하도록 하거나 다른 행동을 취하도록 하는지(예를 들어 하이 빔을 비추는 것)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신호가 이러한 지령을 제공하면, 제어기(410b), 특히 제어기에 포함되고 프로세서(412)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또한 어떤 부분들 또는 띠들이 빛 전달체이고 어떤 부분들 또는 띠들이 빛 가림체여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빛 전달 및 빛 가림 정보를 주어진 신호에 관련시키는 탐색표(look-up chart)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에 기초하여, 제어기는 빛 실드부 전력 공급원(460a) 및 스위치들을 제어하여 빛 실드부(230b)가 빛 전달체로 결정된 부분이 빛 전달체로 작동하고 빛 가림체로 결정된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하도록 한다.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400b)이 도 5c에 도시된 빛 실드부(230c)의 주 부분 및 측부들(234c, 234c1, 234c2)을 제어하도록 개조시킨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여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측부들(234c1, 234c2)은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유럽 또는 미국 시장을 위한 서로 다른 로우 빔 패턴들을 수립(즉, 바람직한 우측 또는 좌측 빛 패턴을 수립)하고 하나 또는 다른 패턴이 사용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그러므로, 제어기(410b)는 바람직한 우측 또는 좌측 빛 패턴을 주어진 국가 또는 지역에 연관시키는 정보(예를 들어, 다른 탐색표)를 포함하고 차량이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운행되는 국가 또는 지역을 입력 받거나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기는 자동적으로 상기 측부들(234c1, 234c2)을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로 제어하여 적어도 로우 빔 작동에서 조명 장치가 바람직한 우측 또는 좌측 빛 패턴을 가지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31)

  1. 적어도 하나의 빛 공급원 또는 반사체로부터 받아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에 바람직한 빛 분산 패턴을 설립할 수 있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의 전달체 또는 가림체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된 빛 실드부; 그리고
    빛 실드부를 상기 빛 공급원에 대하여 고정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상기 빛 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 메커니즘;
    을 포함하고,
    빛 가림체로 작동할 때, 빛 실드부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빛 실드부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여 제1빛 분산 패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빛 전달체로 작동할 때, 빛 실드부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빛 실드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제2빛 분산 패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빛 실드부는 그의 하나의 부분이 빛 전달체로 작동하고 제2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하며, 그것에 의하여 제3빛 분산 패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빛 실드부는 주 부분과 두 개의 보조 부분들로 되어 있으며, 주 부분 및 각 보조 부분들은 선택적으로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빛 실드부의 주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할 때, 주 부분은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주 부분을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하고,
    두 개의 보조 부분들은, 주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할 때, 하나의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하고 다른 부분이 빛 전달체로 작동하도록 되어, 그것에 의하여 주 부분 및 두 개의 보조 부분들이 제4빛 분산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보조 부분들은 각각 빛 가림체 및 빛 전달체로 작동하도록 되어 제4빛 분산 패턴이 차량이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운행되는 국가의 운전 방향성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빛 실드부는 주 부분과 두 개의 보조 부분들로 되어 있으며, 주 부분 및 각 보조 부분들은 선택적으로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빛 실드부의 주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할 때, 주 부분은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주 부분을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하고,
    두 개의 보조 부분들은, 주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할 때, 하나의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하고 다른 부분이 빛 전달체로 작동하도록 되어, 그것에 의하여 주 부분 및 두 개의 보조 부분들이 다른 빛 분산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6. 제5항에 있어서,
    보조 부분들은 각각 빛 가림체 및 빛 전달체로 작동하도록 되어 형성된 다른빛 분산 패턴이 차량이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운행되는 국가의 운전 방향성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7. 제1항에 있어서,
    빛 실드부는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광투과 특성이 변화하는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부유 입자 장치, 고분자 분산형 액정, 일렉트로크로믹 장치 및 빛을 반사하는 수소화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유리를 포함하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10. 빛 공급원; 그리고
    적어도 빛 공급원 또는 반사체로부터 받아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에 바람직한 빛 분산 패턴을 설립하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는
    선택적으로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의 전달체 또는 가림체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된 빛 실드부; 그리고
    빛 실드부를 상기 빛 공급원에 대하여 고정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상기 빛 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 메커니즘;
    을 포함하며,
    빛 가림체로 작동할 때, 빛 실드부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빛 실드부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여 제1빛 분산 패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빛 전달체로 작동할 때, 빛 실드부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빛 실드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제2빛 분산 패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빛 공급원으로부터의 빛을 조명 방향으로 반사하도록 되어 있는 반사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는 빛 공급원 또는 반사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받아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에 원하는 빛 분산 패턴을 설립하도록 되어 있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조명 방향으로의 광선살을 통과시키며 상기 광선살에 최종 형상을 부여하도록 된 렌즈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빛 실드부는 그의 하나의 부분이 빛 전달체로 작동하고 제2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하며, 그것에 의하여 제3빛 분산 패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빛 실드부는 주 부분과 두 개의 보조 부분들로 되어 있으며, 주 부분 및 각 보조 부분들은 선택적으로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빛 실드부의 주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할 때, 주 부분은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주 부분을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하고,
    두 개의 보조 부분들은, 주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할 때, 하나의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하고 다른 부분이 빛 전달체로 작동하도록 되어, 그것에 의하여 주 부분 및 두 개의 보조 부분들이 제4빛 분산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보조 부분들은 각각 빛 가림체 및 빛 전달체로 작동하도록 되어 제4빛 분산 패턴이 차량이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운행되는 국가의 운전 방향성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빛 실드부는 주 부분과 두 개의 보조 부분들로 되어 있으며, 주 부분 및 각 보조 부분들은 선택적으로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빛 실드부의 주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할 때, 주 부분은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주 부분을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하고,
    두 개의 보조 부분들은, 주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할 때, 하나의 부분이 빛 가림체로 작동하고 다른 부분이 빛 전달체로 작동하도록 되어, 그것에 의하여 주 부분 및 두 개의 보조 부분들이 다른 빛 분산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보조 부분들은 각각 빛 가림체 및 빛 전달체로 작동하도록 되어 형성된 다른빛 분산 패턴이 차량이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운행되는 국가의 운전 방향성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빛 실드부는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광투과 특성이 변화하는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부유 입자 장치, 고분자 분산형 액정, 일렉트로크로믹 장치 및 빛을 반사하는 수소화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유리를 포함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
  21. 제10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빛 공급원은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관계를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지지 메커니즘은 상기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그것에 의하여 빛 실드부는 하우징 및 빛 공급원에 대하여 고정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
  22. 빛 공급원;
    상기 빛 공급원으로부터의 빛을 조명 방향으로 반사하도록 된 반사체; 그리고
    적어도 빛 공급원 또는 반사체로부터 받아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에 바람직한 빛 분산 패턴을 설립하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는
    선택적으로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의 전달체 또는 가림체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된 빛 실드부; 그리고
    빛 실드부를 상기 빛 공급원에 대하여 고정된 관계를 유지하도록 상기 빛 실드부를 지지하는 지지 메커니즘;
    을 포함하며,
    빛 가림체로 작동할 때, 빛 실드부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빛 실드부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여 제1빛 분산 패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빛 전달체로 작동할 때, 빛 실드부는 조명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이 빛 실드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제2빛 분산 패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차량 조명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빛 실드부는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광투과 특성이 변화하는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명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부유 입자 장치, 고분자 분산형 액정, 일렉트로크로믹 장치 및 빛을 반사하는 수소화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명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물질은 전기적으로 스위칭 가능한 유리를 포함하는 차량 조명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빛 공급원은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관계를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지지 메커니즘은 상기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그것에 의하여 빛 실드부는 하우징 및 빛 공급원에 대하여 고정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명 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빛 공급원은 고압 방전 타입의 빛 공급원을 포함하는 차량 조명 장치.
  28. 제22항에 있어서,
    조명 방향으로의 광선살을 통과시키며 상기 광선살에 최종 형상을 부여하도록 된 렌즈를 더 포함하는 차량 조명 장치.
  29. 제1항에 있어서,
    빛 실드부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빛 실드부의 작동 형태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빛 실드부가 선택적으로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하는 다기능 빛 실드 플레이트.
  30. 제10항에 있어서,
    빛 실드부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빛 실드부의 작동 형태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빛 실드부가 선택적으로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타입의 조명 장치.
  31. 제22항에 있어서,
    빛 실드부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빛 실드부의 작동 형태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빛 실드부가 선택적으로 빛 전달체 또는 빛 가림체 중 하나로 작동하도록 하는 차량 조명 장치.


KR1020110118503A 2011-10-28 2011-11-14 다기능 프로젝터 램프 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KR201300475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84,407 2011-10-28
US13/284,407 US8801252B2 (en) 2011-10-28 2011-10-28 Multi-functional projector lamp shield and multi-functional projector embodying such a shiel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521A true KR20130047521A (ko) 2013-05-08

Family

ID=4817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503A KR20130047521A (ko) 2011-10-28 2011-11-14 다기능 프로젝터 램프 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01252B2 (ko)
KR (1) KR201300475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231B1 (ko) * 2013-12-18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우빔 전용 헤드램프의 쉴드장치
US10161597B2 (en) 2014-08-21 2018-12-25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Lighting system and selective retro-reflection apparatus
KR20190115263A (ko) * 2018-04-02 2019-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KR20210004604A (ko) * 2019-07-05 2021-01-1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적외선 led를 적용한 헬기용 듀얼 모드 탐색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3279B1 (fr) * 2011-11-24 2015-08-21 Valeo Vision Element opaque et mobile empechant une focalisation des rayons solaires dans un projecteur
JP6180091B2 (ja) * 2012-09-07 2017-08-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9108566B2 (en) * 2013-03-14 2015-08-18 Federal-Mogul Corporation Multi-pattern headlamp assembly and system
US20140328078A1 (en) * 2013-05-03 2014-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eadlamp assmebly
DE102013215374A1 (de) * 2013-08-05 2015-02-05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Beleuchtungsanordnung
US10222020B2 (en) 2014-03-20 2019-03-05 Stanley Electric Co., Ltd. Lighting fixture
US20150354772A1 (en) * 2014-06-05 2015-12-10 Au-Lite Lighting Inc. Vehicle light control device
US9541262B2 (en) 2014-12-30 2017-01-10 LIGHTING and SUPPLIES, INC Shabbat bulb
CN106555970A (zh) * 2016-11-29 2017-04-05 武汉通畅汽车电子照明有限公司 车灯投射单元、车灯总成及汽车
RU177050U1 (ru) * 2017-07-21 2018-02-0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Лайт Трейдинг Рус" Фара дальнего света
RU177029U1 (ru) * 2017-07-21 2018-02-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Лайт Трейдинг Рус" Фара ближнего света
US10094527B1 (en) * 2017-09-21 2018-10-09 Osram Sylvania Inc. Vehicle low beam headlamp having partially transmissive shutter region
US11204148B2 (en) * 2019-06-21 2021-12-21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Segmented switchable mirror lamp assembly
CN112825228B (zh) * 2019-11-20 2022-12-09 李万得 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4956A1 (de) * 1979-06-21 1981-01-08 Rollei Werke Franke Heidecke Reflektor fuer verschiedene ausleuchtwinkel
JP2815606B2 (ja) * 1989-04-25 1998-10-27 株式会社トキメック コンクリート床仕上ロボットの制御方式
US5023758A (en) * 1989-11-13 1991-06-11 General Electric Company Single arc discharge headlamp with light switch for high/low beam operation
US5764316A (en) * 1992-01-30 1998-06-09 Nippon Hoso Kyokai Liquid crystal dimmer plate and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6861809B2 (en) * 1998-09-18 2005-03-01 Gentex Corporation Headlamp control to prevent glare
JP4335621B2 (ja) * 2003-04-25 2009-09-3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EP1789824A4 (en) * 2004-08-23 2009-01-21 Optical Res Associates LIGHTING SYSTEMS DESIGNED TO PRODUCE DIFFERENT FORMS OF BEAMS
JP5238124B2 (ja) * 2005-09-16 2013-07-1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液晶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車両用灯具
JP2007250327A (ja) 2006-03-15 2007-09-27 Stanley Electric Co Ltd ドラム型可変遮光板及び該遮光板を使用したヘッドライト
DE602007002293D1 (de) * 2006-04-21 2009-10-15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Lampeneinheit für adaptives frontbeleuchtungssystem für ein fahrzeug
JP5193668B2 (ja) 2008-04-30 2013-05-08 ヴァレオ ビジョン 自動車用の2機能ヘッドライト
KR101380258B1 (ko) 2008-06-18 2014-04-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헤드램프용 쉴드
TW201144666A (en) * 2010-06-15 2011-12-16 United Radiant Technology Corp Lighting system and thin plate light shield light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231B1 (ko) * 2013-12-18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우빔 전용 헤드램프의 쉴드장치
US9512973B2 (en) 2013-12-18 2016-12-06 Hyundai Motor Company Shield apparatus for low-beam head lamp
US10161597B2 (en) 2014-08-21 2018-12-25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Lighting system and selective retro-reflection apparatus
KR20190115263A (ko) * 2018-04-02 2019-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KR20210004604A (ko) * 2019-07-05 2021-01-1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적외선 led를 적용한 헬기용 듀얼 모드 탐색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07559A1 (en) 2013-05-02
US8801252B2 (en) 201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7521A (ko) 다기능 프로젝터 램프 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JP4676865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5031290B2 (ja) 自動車用照明装置
JP5398507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US8070338B2 (en) Three-mode integrated headlamp
JP2007099222A (ja) 車両用照明装置
JP4861643B2 (ja) 多機能照光デバイス
US8740431B2 (en) Head lamp system comprising a pair of head lamp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40041800A (ko) 차량의 전조등 제어장치 및 방법과 그를 위한 다기능구조를 갖는 전조등 램프
CN102951064A (zh) 车辆用前照灯装置及配光控制方法
JP2009117067A (ja) 車両用ランプシステム
WO2022099969A1 (zh) 一种远光照明装置、车灯和车辆
JPH04293631A (ja) 4灯式前照灯
JP5271571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2109915A (ja) 車両用前照灯
JP2006273092A (ja)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US6695466B2 (en) Headlamp
US6558030B2 (en) Elliptical headlight with beam modification by movement of optical elements
EP3228922B1 (en) Lamp for motor vehicles
JP6142540B2 (ja) 車両用前照灯
JP2010123327A (ja) 車両用灯具
JP5529951B2 (ja) フロントコンビネーション型灯具
JP4442754B2 (ja) ヘッドランプ
JP5636485B2 (ja) 灯具ユニット
JP2009211854A (ja) 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