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263A -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263A
KR20190115263A KR1020180038079A KR20180038079A KR20190115263A KR 20190115263 A KR20190115263 A KR 20190115263A KR 1020180038079 A KR1020180038079 A KR 1020180038079A KR 20180038079 A KR20180038079 A KR 20180038079A KR 20190115263 A KR20190115263 A KR 20190115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vehicle
films
light sour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710B1 (ko
Inventor
김진현
진요한
신직수
한재도
공병호
김재학
홍승표
김승민
이영민
임은정
김진홍
이충근
이재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71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8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the screens o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은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필름들 상기 필름들을 고정하는 필름 브라켓 및 상기 필름들을 가열하는 히트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BI-FUNCTION HEAD LAMP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이즈 가변 필름을 이용한 LED 바이펑션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 주행방향의 사물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용도,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표시 용도의 등화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즉, 차량은 야간 주행이나 우천시, 또는 가시조건이 좋지 못할 때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거나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해 전조등이라고도 하는 헤드램프를 구비한다. 이러한 헤드램프는 야간에 차량의 전방으로 약 100m까지의 거리에 있는 물체를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하고, 또한 일정한 범위의 높이에서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헤드램프의 배광법규는 국가마다 기준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특히 우측통행과 좌측통행 중 어느 방향으로 통행하는지에 따라 헤드램프의 빛이 조사되는 폭이 달라지게 된다. 그 이유는 헤드램프가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대향차 운전자의 시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배광법규 때문에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높낮이와 빛의 조사량은 중요하고,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은 그 높낮이에 따라 로우빔과 하이빔의 모드로 구분한다.
헤드램프는 교행하는 대향차의 운전자에게 눈부심 등으로 인한 운전방해를 주지 않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운전자 조작에 의해 헤드램프가 로우빔(low beam) 또는 하이빔(high beam)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로우빔과 하이빔 모드의 전환 및 선택 사용을 위해 종래의 헤드램프에는 야간의 평상시에 점등하여 사용하는 하향등과, 도로의 야간 조명이나 차량이 없는 한적한 도로에서만 주로 점등하여 사용하는 상향등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각각의 반사체 및 렌즈를 통해 빛을 조사하여야 하고, 상향등과 하향등을 위한 구성품이 각각 설치되어야 하므로 부품과 설치공간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회전형 쉴드(shield)를 포함하는 배광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하여 하나의 광원으로 상향등의 빛과 하향등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바이-펑션(bi-function) 헤드램프를 적용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바이펑션 헤드램프(1)는, 광원(미도시), 리플렉터(10), 비구면 렌즈(30), 쉴드(100), 스토퍼(200), 브라켓(3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광원은 빛을 발생시키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은 리플렉터(10)에 반사되어 리플렉터(10)의 초점 부근으로 집중된다. 광원의 전방에 마련되는 비구면 렌즈(30)는 리플렉터(10)로부터 반사된 빛을 전방으로 직진시킨다.
이때, 리플렉터(10)에 의하여 반사된 빛이 집중되는 초점 부근에는 쉴드(100)가 마련되어 빛을 일부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함으로써 로우빔 또는 하이빔 패턴을 형성시킨다.
상기 쉴드(100)는 광원 및 리플렉터(10)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쉴드(100)의 회전에 따라 빛을 일부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함으로써 하이빔과 로우빔 패턴을 구현한다.
상기 쉴드(100)가 지면과 교차하는 방향(수직 방향)에 위치하였을 때를 쉴드(100)의 정위치로 정의하고, 쉴드(100)가 정위치에 있을 때에는 리플렉터(10)로부터 반사되는 빛 중 비구면 렌즈(30)의 상부로 향하는 빛이 일부 차단되어 로우빔 패턴이 구현된다. 또한, 쉴드(100)가 정위치에서 하방으로 회전하여 빛의 차단을 해제하면 하이빔 패턴이 구현된다.
스토퍼(200)는 쉴드(100)의 회전 시 쉴드(100)와 접촉되어 쉴드(100)의 회전을 제한한다. 쉴드(100)가 정위치에 있을 때에 쉴드(100)는 스토퍼(200)와 접촉되어 그 이상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때, 쉴드(100) 및 스토퍼(200)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각각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자성체(110, 210)가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쉴드(100)가 회전하여 스토퍼(200)에 접촉되면서 정지되는 경우에, 쉴드(100) 및 스토퍼(200)에 각각 마련되는 동일 극성을 갖는 자성체(110, 210) 사이에 반발력이 작용한다. 즉, 쉴드(100) 회전 시 쉴드(100)가 스토퍼(200)에 가까워질수록 자성체(110, 210) 사이의 반발력은 강하게 작용하여 쉴드(100)의 회전력을 감소시키고, 쉴드(100)는 스토퍼(200)에 약하게 접촉된다. 이에 의하여 쉴드(100)가 스토퍼(200)에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램프는 구동 액츄에이터와 쉴드의 중량이 과다하다는 문제가 있고, 쉴드가 움직이면서 고정체와 부딛히는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부품수가 많아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보수 및 교체시 소요되는 작업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여 비경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2015-0060232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헤이즈 가변 필름을 이용하여 소음 발생을 차단하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부품수를 감소시켜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자동차의 바이펑션 헤드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필름들; 상기 필름들을 고정하는 필름 브라켓 및 상기 필름들을 가열하는 히트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LED 광원일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광원 상부에 위치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전방으로 조사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필름들은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들은 PDLC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필름들은 상단 중앙부위에 컷오프 라인 형성을 위한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들은 히트싱크에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는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는 필름을 고정하는 필름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름과 제 2 필름의 이격 거리의 범위는 0 초과 내지 1mm 이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필름들; 상기 필름들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글라스; 상기 필름을 고정하는 필름 브라켓 및 상기 필름을 가열하는 히트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는 옵틱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필름들; 상기 필름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에어 갭; 상기 필름을 고정하는 필름 브라켓 및 상기 필름을 가열하는 히트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의 제어 방법으로서, 광원을 작동시키는 단계, 반사판을 통해 광을 반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을 필름을 통해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을 필름을 통해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단계는 로우빔 또는 하이빔 선택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필름을 가열하여 적정 온도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차의 바이펑션 헤드램프는 헤이즈 가변 필름을 이용하여 소음 발생을 차단하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부품수를 감소시켜 간단한 구조로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에 의한 로우빔 출사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에 의한 하이빔 출사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필름들의 거리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개선율을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의 모식도이다.
도 2를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는 광원(110), 상기 광원(1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120), 상기 반사판(12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필름들(130), 상기 필름들(130)을 고정하는 필름 브라켓(140) 및 상기 필름들(130)을 가열하는 히트싱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광원(110)은 LED 광원인 것이 바람직하고,또한 상기 반사판(120)은 광원(110) 상부에 위치하여 광원(110)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으로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필름들(130)은 제 1 필름(131)과, 상기 제 1 필름(131)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필름(13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필름(131)과 제 2 필름(132)의 이격 거리의 범위는 0 초과 내지 1mm 이하 범위가 바람직하며, 상기 필름들(130)은 PDLC 필름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1 필름(131)과 제 2 필름(132)의 이격 거리의 범위가 1mm를 초과하면 광의 칼라의 색수차가 발생하여 시인성 문제를 발생시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필름들(130)은 상단 중앙부위에 컷오프 라인 형성을 위한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필름들(130)은 히트싱크(150)에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152)에 고정되고, 상기 히트싱크(150)는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1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152)의 단부에는 필름을 고정하는 필름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에 의한 로우빔 출사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의 로우빔 모드에서 출사 상태를 도시하고 있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는 광원(110), 상기 광원(1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120), 상기 반사판(12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필름들(130), 상기 필름들(130)을 고정하는 필름 브라켓(140) 및 상기 필름들(130)을 가열하는 히트싱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로우빔 모드, 즉 필름(13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필름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거나 최소화된다.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에 의한 하이빔 출사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를 도 2 및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의 하이빔 모드에서 출사 상태를 도시하고 있되, 하이빔 모드, 즉 필름(130)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는 광이 필름을 투과하거나 필름을 투과하는 광이 최대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는 온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되는데, 온 상태는 하이빔 상태이며 고온 환경 조건에서와 달리 저온 조건에서는기능 저하가 예상되기도 하지만, 광원 작동시 발생하는 열과 PDLC에 가해지는 전기에 의한 열로 인해 하이빔 기능 작동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오프 상태는 로우빔 상태이며, 저온 환경 조건에서와 달리 고온 조건에서는 기능 저하가 예상되기도 하지만, 제 1 필름(131)과 제 2 필름(132)으로 구성되어 있는 필름들(130)에 의해 로우빔 기능 작동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5는 필름들의 거리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에서 제 1 필름(131)과 제 2 필름(132)으로 구성되어 있는 필름들(130)은 상호 간격 없이 필름을 중첩할 수도 있으나 필름들(130) 간에 소정 거리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필름들(130) 간의 거리가 커질수록 복잡성(Complexity)이 증가하여 투과율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특성을 보이게 되고, 이는 로우빔 시에 필름으로 빛이 누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제 1 필름에서 방향성을 상실한 광이 제 2 필름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복잡성은 하기 식과 같은 자연지수함수를 따르게 된다.
y=dD
여기서 D는 필름들 사이의 거리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개선율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필름이 하나인 경우, 두 개인 경우, 필름들 사이에 에어 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및 필름들 사이에 글라스가 개재되어 있는 경우의 비교 결과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필름들 사이에 에어 갭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 및 필름들 사이에 글라스가 개재되어 있는 구조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TCF(Transparent Conductive Film)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면 부착 필름을 나타내고, OCA(Optically Clear Adhesive)는 광학용 투명 점착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필름들을 사용한 경우와 단일 필름을 사용한 경우의 평행 투과율을 참조하면, 먼저 로우빔 모드에서 누광되는 양은 0이 바람직하고 하이빔 모드에서 투과되는 양은 100이 바람직한데, 로우빔 모드에서는 4.4%에서 3.5%로 감소하여 20%가 개선된 것을 나타내고 있고, 하이빔 모드에서는 82.5%에서 73%로 감소하여 9%가 감소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전체 투과율은 로우빔 모드에서 62.0%에서 50.0%로 감소하여 20%가 개선된 것을 나타내고 있고, 하이빔 모드에서는 88.8%에서 84.1%로 감소하여 6%가 감소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 하이빔 모드에서는 LED 광량을 제어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에서는 필름들 사이에 에어 갭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필름들 사이에 에어 갭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는 광원(110), 상기 광원(1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120), 상기 반사판(12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필름들(130), 상기 필름들(13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에어 갭, 상기 필름들(130)을 고정하는 필름 브라켓(140) 및 상기 필름들(130)을 가열하는 히트싱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필름들 사이에 에어 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단일 필름을 사용한 경우의 평행 투과율을 참조하면, 로우빔 모드에서는 4.4%에서 3.3%로 감소하여 25%가 개선된 것을 나타내고 있고, 하이빔 모드에서는 82.5%에서 67.2%로 감소하여 19%가 감소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전체 투과율은 평행투과율에 확산투과율을 더한 값으로 로우빔 모드에서 62.0%에서 40.0%로 감소하여 36%가 개선된 것을 나타내고 있고, 하이빔 모드에서는 88.8%에서 78.4%로 감소하여 12%가 감소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에서는 필름들 사이에 글라스가 개재되어 있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필름들 사이에 글라스가 개재되어 있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는 광원(110), 상기 광원(1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120), 상기 반사판(12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필름들(130), 상기 필름들(13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글라스, 상기 필름들(130)을 고정하는 필름 브라켓(140) 및 상기 필름들(130)을 가열하는 히트싱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글라스에 옵틱 형상을 적용하여 광학 성능을 제어할 수 있다.
두 개의 필름들 사이에 글라스가 개재되어 있는 경우와 단일 필름을 사용한 경우의 평행 투과율을 참조하면, 로우빔 모드에서는 4.4%에서 3.2%로 감소하여 30%가 개선된 것을 나타내고 있고, 하이빔 모드에서는 82.5%에서 72.6%로 감소하여 12%가 감소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전체 투과율은 로우빔 모드에서 62.0%에서 46.3%로 감소하여 25%가 개선된 것을 나타내고 있고, 하이빔 모드에서는 88.8%에서 82.5%로 감소하여 7%가 감소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단일 필름의 경우와 비교하여 하이빔 모드에서는 LED 광량을 제어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란광의 경우에 제 1 필름을 투과한 산란 광이 글라스를 지나면서 굴절되어 제 2 필름으로 입사되어 입사각이 작아지면서 반사량이 감소함에 따라 투과량이 많아지게 되어 이는 하이빔 모드에 유리하고, 에어 갭의 경우 산란광이 굴절되지 않고 제 2 필름으로 입사되어 입사각이 커짐에 따라 반사량이 커지게 되어 이는 로우빔 모드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의 제어 방법은, 광원을 작동시키고, 반사판을 통해 광원으로부터 출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킨 후에, 상기 광을 필름을 통해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광을 필름을 통해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단계는 로우빔 또는 하이빔 선택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키게 된다.
여기서, 로우빔은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차량 전방의 지면을 향해 비추는 것이고, 하이빔은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차량전방을 향해 차량 수평면 높이로 비추는 것을 말한다. 하이빔은 로우빔과 비교하여 더 넓고 길게 운전자의 가시거리를 확보할 수 있지만, 하이빔은 맞은편의 대향차 운전자의 시야를 빛으로 방해하기 때문에, 시가지나 시내에서 주행할 때는 사용이 적합하지 않아 로우빔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차량의 헤드램프는 로우빔과 하이빔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로우빔 또는 하이빔 선택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필름을 가열하여 적정 온도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바이펑션 헤드램프는 헤이즈 가변 필름을 이용하여 소음 발생을 차단하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부품수를 감소시켜 간단한 구조로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가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광원 120: 반사판
130: 필름들 131: 제 1 필름
132: 제 2 필름 140: 필름 브라켓
150: 히트싱크 160: 전원공급부

Claims (17)

  1.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필름들;
    상기 필름들을 고정하는 필름 브라켓; 및
    상기 필름들을 가열하는 히트싱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광원 상부에 위치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전방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들은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들은 PDLC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들은 상단 중앙부위에 컷오프 라인 형성을 위한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들은 히트싱크에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는 필름을 고정하는 필름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과 제 2 필름의 이격 거리의 범위는 0 초과 내지 1mm 이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12.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필름들;
    상기 필름들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글라스;
    상기 필름을 고정하는 필름 브라켓; 및
    상기 필름을 가열하는 히트싱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는 옵틱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14.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필름들;
    상기 필름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에어 갭;
    상기 필름을 고정하는 필름 브라켓; 및
    상기 필름을 가열하는 히트싱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15.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의 제어 방법으로서,
    광원을 작동시키는 단계,
    반사판을 통해 광을 반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광을 필름을 통해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을 필름을 통해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단계는 로우빔 또는 하이빔 선택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광을 투과 또는 산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필름을 가열하여 적정 온도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KR1020180038079A 2018-04-02 2018-04-02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KR102452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79A KR102452710B1 (ko) 2018-04-02 2018-04-02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79A KR102452710B1 (ko) 2018-04-02 2018-04-02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263A true KR20190115263A (ko) 2019-10-11
KR102452710B1 KR102452710B1 (ko) 2022-10-11

Family

ID=6821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079A KR102452710B1 (ko) 2018-04-02 2018-04-02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7313A (zh) * 2020-03-18 2020-07-28 常熟理工学院 一种增强汽车近光车灯远场亮度的照明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7889A (ja) * 2001-05-25 2004-09-09 イルメ エル.エル.シー. ランプマスキング方法及び装置
WO2011132108A1 (en) * 2010-04-19 2011-10-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ing device for variable spot illumination
KR20130047521A (ko) * 2011-10-28 2013-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기능 프로젝터 램프 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KR20130003732U (ko) * 2011-12-14 2013-06-26 폴리트론 테크놀로지스 인크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의 평면구조
KR20150060232A (ko) 2013-11-26 2015-06-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바이펑션 헤드램프
KR20160023086A (ko) * 2014-08-21 2016-03-03 광주과학기술원 전조등
WO2017066818A1 (de) * 2015-10-23 2017-04-27 Zkw Group Gmbh Mikroprojektions-licht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zur erzeugung von abbildungsfehlerfreien lichtverteilunge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7889A (ja) * 2001-05-25 2004-09-09 イルメ エル.エル.シー. ランプマスキング方法及び装置
WO2011132108A1 (en) * 2010-04-19 2011-10-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ing device for variable spot illumination
KR20130047521A (ko) * 2011-10-28 2013-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기능 프로젝터 램프 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프로젝터
KR20130003732U (ko) * 2011-12-14 2013-06-26 폴리트론 테크놀로지스 인크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의 평면구조
KR20150060232A (ko) 2013-11-26 2015-06-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바이펑션 헤드램프
KR20160023086A (ko) * 2014-08-21 2016-03-03 광주과학기술원 전조등
WO2017066818A1 (de) * 2015-10-23 2017-04-27 Zkw Group Gmbh Mikroprojektions-licht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zur erzeugung von abbildungsfehlerfreien lichtverteilun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7313A (zh) * 2020-03-18 2020-07-28 常熟理工学院 一种增强汽车近光车灯远场亮度的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710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2191B1 (en) Lamp for vehicle
KR101460728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US11377021B2 (en) Motor vehicle headlight having at least two light modules
KR20170034392A (ko) 안개등 렌즈 및 조립체
KR100798143B1 (ko) Led 램프 유닛을 적용한 적응형 전조등 장치
KR102470446B1 (ko) 차량용 램프
CN112539393B (zh) 一种远光照明装置、车灯和车辆
JP4863502B2 (ja) 車両前照灯
KR20200068247A (ko) 차량용 램프
US11644170B2 (en) Lamp for vehicle
KR20190115263A (ko) 차량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KR101717692B1 (ko) 차량용 램프
US10781988B2 (en) Vehicular lamp
KR102409825B1 (ko) 차량용 램프
CN115151755A (zh) 包括电致变色装置的机动车辆灯模块
KR101707983B1 (ko) 차량용 램프
KR102555372B1 (ko) 차량용 램프
KR102446505B1 (ko) 차량용 램프
CN110073141B (zh) 投影仪型车辆头灯
KR20220089401A (ko) 차량용 램프
KR20190048553A (ko) 차량용 램프
KR20130136108A (ko) 차량용 조명장치
CN220321117U (zh) 照明模组及车灯
KR101805002B1 (ko) 차량용 전조등 보호커버
KR20220085662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