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052A -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 Google Patents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052A
KR20130046052A KR1020110110378A KR20110110378A KR20130046052A KR 20130046052 A KR20130046052 A KR 20130046052A KR 1020110110378 A KR1020110110378 A KR 1020110110378A KR 20110110378 A KR20110110378 A KR 20110110378A KR 20130046052 A KR20130046052 A KR 20130046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w path
space
pilo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7478B1 (ko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110110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4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이젝터 밸브, 릴리프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배관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소방용 감압 밸브(100)를 제공한다.
소방용 감압 밸브(100)는, 1차측 유로(222)와 2차측 유로(224), 상기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 사이의 개도를 조정하는 메인 밸브(112)와, 상기 메인 밸브를 구동하는 파일럿 밸브(114)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파일럿 밸브는 몸체(365)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구성되는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370)와,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의 하부에 구성되는 제1공간(375) 및 제2공간(376)과,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의 압력에 연동하는 스핀들(373)을 개재하여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 사이를 개폐하는 디스크 시트(374)와, 상기 1차측 유로와 상기 제1공간을 연결하는 1차측 유로 연결관(361)과, 상기 제2공간과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를 동시에 연결하는 2차측 유로 연결관(377)과, 상기 제1공간과 연결된 1차측 유로 연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메인 밸브와 연결되는 이젝터 유로(362)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일럿 밸브 몸체의 중앙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젝터 유로에 구성되는 이젝터 밸브(380)와, 상기 몸체의 중앙 타측에 위치하도록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370)에 연통되는 릴리프 밸브(385)가 일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Pilot valve equipped with a pressure reducing valve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옥내외의 소화전 시스템에 적용되는 소방용 감압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 및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소방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소방용 감압 밸브는 배관의 말단 수압이 스프링클러의 경우 12kg/cm2, 옥내 소화전의 경우에는 7kg/cm2을 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배관의 말단까지 소정의 수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펌프를 통하여 규제된 수압보다 높은 수압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아파트 등의 각 층별 옥내 소화전으로부터 각 층의 배관에 소방수를 공급하기 전에 감압 밸브를 통해 감압한 후, 규제된 기준압력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727622호에 개시된 일반적인 소방용 감압 밸브는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종래 소방용 감압 밸브(10)는 메인 밸브(12), 파일럿 밸브(14), 이젝터 밸브(16) 및 릴리프 밸브(20)를 포함한다.
메인 밸브(12)는 주배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고압의 소방용수를 저압의 소방용수로 감압시키는 밸브이다. 메인 밸브(12)는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1차측 유로(122)와 상기 1차측 유로의 소방용수가 감압되어 유출되는 2차측 유로(124) 및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의 연결 개도의 크기를 조절하는 다이아프램 유닛(126)을 구비한다. 메인 밸브(12)의 감압 기능은 다이아프램 유닛에 의한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의 연결 개도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이젝터 밸브(16)는 스트레나(18)를 통하여 1차측 유로(122)와 다이아프램 유닛(126)과의 사이를 상기 메인 밸브(12)의 외부에서 연결한다.
스트레나(18)는 1차측 유로(122)로부터 이젝터 밸브(16)와 다이아프램 유닛(126)에 연결되는 배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이젝터 밸브(16)는 다이아프램 유닛(126)의 구동 충격을 완화하도록 작용한다.
파일럿 밸브(14)는 2차측 유로(124)와 다이아프램 유닛(126) 사이를 상기 메인 밸브(12)의 외부에서 상기 이젝터 밸브(16)를 경유하여 연결된다. 이 파일럿 밸브(14)는 2차측 유로(124)의 소방용수 압력을 감지하여 다이아프램 유닛(126)과 2차측 유로(124) 사이의 소방용수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메인 밸브(12)의 개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일럿 밸브(14)는 소방용수가 흐르지 않는 상태 즉, 고압의 소방용수가 1차측 유로(122)에 정체되고 다이아프램 유닛(126)이 닫힌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대기)하는 경우 고압의 소방용수가 1차측 유로(122)로부터 2차측 유로(124)로 여러 원인들 즉, 소방용수 배관의 압력의 변화, 배관 내의 수온 및 용존 산소량의 변화, 감압 밸브의 누설에 의한 압력 변화 등에 의하여 소량씩 자연 누수됨으로써, 2차측 유로(124)의 압력이 1차측 유로(122)의 압력과 같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차측 유로(124)와 배출구(30) 사이를 연결하는 릴리프 밸브(20)를 구비한다.
릴리프 밸브(20)는 2차측 유로(124)의 소방용수의 압력을 감지하여 일정한 압력 이상인 경우 2차측 유로(124)로부터 소량의 소방용수가 자동 배수되도록 하여 2차측 유로(124)의 압력이 1차측 유로의 압력보다 낮은 제1설정 압력 이하로 낮아지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이 릴리프 밸브(20)를 파일럿 밸브(14)에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의 압력차를 제1설정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종래 소방용 감압 밸브(10)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2차측 유로의 압력이 1차측 유로의 압력보다 낮게 설정된 제1설정 압력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파일럿 밸브(14)는 다이아프램 유닛(126)을 구동하여 메인 밸브(12)가 더 열리도록 작동한다. 또, 상기 2차측 유로(124)의 압력이 제1설정 압력보다 높고, 1차측 유로의 압력보다 낮게 미리 설정된 제2설정 압력보다 낮은 경우, 상기 파일럿 밸브(14)는 상기 다이아프램 유닛(126)을 구동하여 메인 밸브(12)가 더 닫히도록 작동한다. 또, 상기 2차측 유로(124)의 압력이 제2설정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릴리프 밸브(20)를 통하여 2차측 유로(124)로부터 제1설정 압력이 될 때까지 소방용수가 자동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소방용 감압 밸브(10)가 대기 중일 때는 2차측 유로(124)의 압력이 제1설정 압력과 제2설정 압력 사이를 항상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제2설정 압력은 제1설정 압력보다 0.2 ~ 0.5 kg/cm2 높게 설정되고, 제1설정 압력은 소방법상에서 규제하는 12kg/cm2(스프링쿨러), 7kg/cm2(옥내소화전)로 설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소방용 감압 밸브(10)는 메인 밸브(12)와 연결되는 파일럿 밸브(14)와 이젝터 밸브(16), 릴리프 밸브(20)의 구조 및 배관이 외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설치 공간이 커지고, 설치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 파일럿 밸브(14)와 이젝터 밸브(16), 릴리프 밸브(20)를 연결하는 배관이 외부로 노출되어 메인 밸브(12)와 연결되므로 배관의 손상 및 파손의 위험성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소방용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일럿 밸브와 이젝터 밸브, 릴리프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한 배관 파손 및 변형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소방용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층이나 고층에 관계없이 가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2차측 유로의 압력(말단 배관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소방용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는,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 상기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 사이의 개도를 조정하는 메인 밸브와,
상기 메인 밸브를 구동하는 파일럿 밸브를 구비하되,
상기 파일럿 밸브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구성되는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와,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의 하부에 구성되는 제1공간 및 제2공간과,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의 압력에 연동하는 스핀들을 개재하여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 사이를 개폐하는 디스크 시트와, 상기 1차측 유로와 상기 제1공간을 연결하는 1차측 유로 연결관과, 상기 제2공간과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를 동시에 연결하는 2차측 유로 연결관과, 상기 제1공간과 연결된 1차측 유로 연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메인 밸브와 연결되는 이젝터 유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일럿 밸브 몸체의 중앙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젝터 유로에 구성되는 이젝터 밸브와, 상기 몸체의 중앙 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에 연결되는 릴리프 밸브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스핀들의 상단은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 상단에 구성되는 다이아프램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 사이의 개방은 상기 디스크 시트에 의하여 상기 1차측 유로 연결관의 개도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방용 감압 밸브에 구성되는 파일럿 밸브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구성되는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와,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의 하부에 구성되는 제1공간 및 제2공간과,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의 압력에 연동하는 스핀들을 개재하여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 사이를 개폐하는 디스크 시트와, 상기 1차측 유로와 상기 제1공간을 연결하는 1차측 유로 연결관과, 상기 제2공간과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를 상기 2차측 유로와 동시에 연결하는 2차측 유로 연결관과, 상기 제1공간과 연결된 1차측 유로 연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메인 밸브와 연결되는 이젝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밸브 몸체의 중앙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젝터 유로에 구성되는 이젝터 밸브와, 상기 몸체의 중앙 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에 연결되는 릴리프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소방용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젝터 밸브, 릴리프 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배관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소방용 감압밸브의 구조를 내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의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일럿 밸브의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일럿 밸브의 단면 절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일럿 밸브의 1차측 유로 연결관을 보여 주기 위한 부분 절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파일럿 밸브의 제1공간과 제2공간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파일럿 밸브의 절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파일럿 밸브의 제1공간과 제2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파일럿 밸브의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차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의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과 같이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100)는 고압의 소방용수가 1차측 유로(222)로 공급되어 감압된 후 2차측 유로(224)로 유 출되도록 하는 메인 밸브(112)와, 상기 메인 밸브를 구동하는 파일럿 밸브(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밸브(112)는 1차측 유로(222)와 2차측 유로(224) 사이에 설치되어 1차측 유로(222)와 2차측 유로(224) 사이의 배관의 개도를 조정하여 2차측 유로(224)를 감압하기 위한 것으로써,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와, 상기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의 체적 변화에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핀들(302)과, 상기 스핀들의 유동에 따라 1차측 유로(222)와 2차측 유로(224) 사이의 배관 개도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스핀들에 고정되는 디스크 시트(303)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는 추후 설명되는 1차측 유로 연결관(361)으로부터 분기한 이젝터 유로(362)와 연결되어 이젝터 유로의 압력이 저하하면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의 압력이 저하하여 디스크 시트(303)가 1차측 유로(222)와 2차측 유로(224) 사이의 배관을 개방하도록 동작하고, 이젝터 유로의 압력이 증가하면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의 압력이 증가하여 디스크 시트(303)가 1차측 유로(222)와 2차측 유로(224) 사이의 배관을 차폐하도록 동작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파일럿 밸브(114)를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파일럿 밸브의 몸체(365)는 상부 몸체(365a)와 하부 몸체(365b)로 이루어진다. 상부 몸체(365a)와 하부 몸체(365b) 사이에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다이아프램(366)을 개재하여 볼트 체결된다.
상기 다이아프램 상부에는 다이아프램 플레이트(367)가 고정되고, 다이아프램 프레이트는 스프링(369)를 개재하여 압력조절 스템(368)에 탄지된다.
상기 압력조절 스템(368)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이아프램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다이아프램 플레이트(367)의 하부에는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370)를 구성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의 하부는 오링(371)에 의하여 기밀상태를 유지하는 부싱(372)이 끼워진다.
상기 부싱(372), 다이아프램(366), 다이아프램 플레이트(367)를 일단이 관통하여 압력조절 스템(368)과 동축상에 설치되고, 타단이 하부 몸체(365b) 쪽으로 연장되는 스핀들(373)이 설치된다.
상기 스핀들의 하단 부분에는 디스크 시트(374)가 설치되고, 그 디스크 시트 부분을 경계로 하여 하부 몸체(365b)에는 제1공간(375)과, 제2공간(376)이 구성된다.
상기 제1공간(375)과, 제2공간(376)은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370)의 압력변화에 따라 스핀들(373)이 상하 유동함으로써 디스크 시트(374)에 의하여 서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공간(375)은 1차측 유로(222)와 연결되는 1차측 유로 연결관(361)이 몸체(365b)를 가로질러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376)은 2차측 유로(224)와 연결되는 2차측 유로 연결관(377)이 설치되고, 그 2차측 유로 연결관은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370)와 연결될 수 있도록 도 6과 같이 제2공간(376)으로 들어가는 입구부(377a)에서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370) 쪽으로 분기로(377b)가 구성된다.
또, 상기 1차측 유로 연결관(361)으로부터 분기되어 메인 밸브(112)의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에 연결되는 이젝터 유로(362)가 몸체에 설치되고, 이젝터 유로(362)에는 파일럿 밸브 몸체의 중앙 일측에 위치하도록 이젝터 밸브(380)가 설치된다. 상기 이젝터 밸브(380)는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줄여 안정화시킴으로써 메인 밸브(112)의 동작을 부드럽게 한다.
한편, 파일럿 밸브(114) 몸체의 중앙 타측에 위치하도록 릴리프 밸브(385)가 설치된다.
상기 릴리프 밸브(385)는 2차측 유로 연결관(377)에 설치되거나, 본 발명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측 유로 연결관(377)과 연통된 다이아프램 챔버(370) 하부에 형성된 홀(389) 위치에 설치된다.
릴리프 밸브(385)는 2차측 유로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에 배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2차측 유로에 저장된 소방용수가 소정 압력 이하로 될 때까지 배출구(390)를 통하여 자동 배수하도록 작용한다.
이어서, 도 3, 도 9,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인 밸브(112)의 1차측 유로(222)에 고압의 소방용수가 공급되고, 2차측 유(222)가 개방되거나 하여 압력이 떨어지면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의 압력변화가 일어나 도 9와 같이 스핀들(302)에 고정된 디스크 시트(303)에 차폐되어 있던 1차측 유로(222)와 2차측 유로(224)의 개구가 개방되면서 2차측 유로(224)로 소방용수가 흘러나가게 된다.
상기 메인 밸브(112)의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의 압력변화는 파일럿 밸브(114)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파일럿 밸브의 압력조절 스템(368)의 조정에 의하여 2차측 유로(224)의 압력을 설정 압력(12kg/cm2 또는 7kg/cm2)으로 조정하여 둔 상태에서 2차측 유로(224)의 압력 변화가 없으면 도 10과 같이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370)에 공급되는 2차측 유로(224)의 압력에 의하여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370)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다이아프램 플레이트(367)에 고정된 스핀들(373)이 위로 이동하여 스핀들에 고정된 디스크 시트(374)가 제1공간(375)과 제2공간(376)이 서로 연통되지 못하도록 차폐한다.
상기와 같이 제1공간(375)과 제2공간(376)이 서로 차폐된 상태에서는 이젝터 유로(362)를 개재하여 연결된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는 1차측 유로((222)의 압력이 걸려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메인 밸브의 스핀들에 고정된 디스크 시트(303)가 1차측 유로(222)와 2차측 유로(224) 사이의 개구를 차폐한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제1공간(375)과 제2공간(376)이 서로 차폐된 상태에서는 제1공간(375)에 1차측 유로의 압력이 걸리고, 제2공간(376)에 2차측 유로의 압력이 걸린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상기 상태에서 2차측 유로가 개방되거나 어떤 원인에 의하여 2차측 유로에서 소방용수의 누설이 발생하면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370)의 압력이 떨어지면서 스핀들(373)이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제1공간(375)과 제2공간(376)이 서로 개방되고, 1차측 유로의 압력이 가해져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제1공간(375)으로부터 압력이 낮은 제2공간(376) 쪽으로 물의 흐름이 발생한다.
제1공간(375)으로부터 제2공간(376) 쪽으로 물의 흐름이 발생하면 이젝터 유로(362)의 압력이 떨어져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가 수축하는 과정에서 디스크 시트(303)가 이동하므로 1차측 유로(222)와 2차측 유로(224) 사이의 개구가 개방되고, 1차측 유로(222)에서 2차측 유로(224)로 소방용수가 흐르게 된다.
이젝터 밸브(380)는 1차측 유로 연결관(361)으로부터 분기된 이젝터 유로(362)에 설치되어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에 입출되는 물의 흐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의 급팽창 및 급수축을 방지한다.
한편, 릴리프 밸브(385)는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370)와 연통되어 2차측 유로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클 경우 그 릴리프 밸브(385)를 통하여 2차측 유로의 물을 배출구(390)를 통하여 배수한다. 즉, 2차측 유로(224)의 압력이 1차측 유로(222)의 압력보다 낮게 설정된 제1설정 압력보다 낮아지는 경우, 파일럿 밸브(114)는 메인 밸브(112)를 구동하여 메인 밸브가 더 열리도록 작동한다. 또, 상기 2차측 유로(224)의 압력이 제1설정 압력보다 높고, 1차측 유로의 압력보다 낮게 설정된 제2설정 압력보다 낮은 경우, 상기 파일럿 밸브(114)는 메인 밸브(112)가 더 닫히도록 작동한다. 또, 상기 2차측 유로(224)의 압력이 제2설정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릴리프 밸브(385)를 통하여 2차측 유로(224)가 제1설정 압력이 될 때까지 소방용수가 배출구(390)을 통하여 자동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100)가 가동 대기 중일 때는 2차측 유로(224)의 압력이 제1설정 압력과 제2설정 압력 사이를 항상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릴리프 밸브에 의하여 조절되는 제2설정 압력은 파일럿 밸브의 압력조절 스템(368)에 의하여 조절되는 제1설정 압력보다 0.2 ~ 0.5 kg/cm2 높게 설정되고, 제1설정 압력은 소방법에서 규제하는 12kg/cm2(스프링쿨러), 7kg/cm2(옥내소화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100)의 기술 구성,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예시된 도면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목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100 - 소방용 감압밸브, 12,112 - 메인 밸브
14,114 - 파일럿 밸브, 16,380 - 이젝터 밸브
18 - 스트레나 20,385 - 릴리프 밸브
30,390 - 배출구 122,222 - 1차측 유로,
124,224 - 2차측 유로 126 : 다이아프램 유닛
301 -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 302,373 - 스핀들
303, 374 - 디스크 시트 361 - 1차측 유로 연결관
362 - 이젝터 유로 365 - 몸체
365a - 상부 몸체 365b - 하부 몸체
366 - 다이아프램 367 - 다이아프램 플레이트
368 -압력조절 스템 369 -스프링
370 -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 371- 오링
372 - 부싱 375 - 제1공간
376 - 제2공간 377 - 2차측 유로 연결관
377a - 2차측 유로 연결관의 입구부
377b - 분기로 389 - 홈



,

Claims (3)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 상기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 사이의 개도를 조정하는 메인 밸브와,
상기 메인 밸브를 구동하는 파일럿 밸브를 구비하되,
상기 파일럿 밸브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구성되는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와,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의 하부에 구성되는 제1공간 및 제2공간과,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의 압력에 연동하는 스핀들을 개재하여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 사이를 개폐하는 디스크 시트와, 상기 1차측 유로와 상기 제1공간을 연결하는 1차측 유로 연결관과, 상기 제2공간과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를 동시에 연결하는 2차측 유로 연결관과, 상기 제1공간과 연결된 1차측 유로 연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메인 밸브와 연결되는 이젝터 유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일럿 밸브 몸체의 중앙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젝터 유로에 구성되는 이젝터 밸브와, 상기 몸체의 중앙 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에 연결되는 릴리프 밸브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상단은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 상단에 구성되는 다이아프램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 사이의 개방은 상기 디스크 시트에 의하여 상기 1차측 유로 연결관의 개도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KR1020110110378A 2011-10-27 2011-10-27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KR101277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378A KR101277478B1 (ko) 2011-10-27 2011-10-27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378A KR101277478B1 (ko) 2011-10-27 2011-10-27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052A true KR20130046052A (ko) 2013-05-07
KR101277478B1 KR101277478B1 (ko) 2013-06-24

Family

ID=4865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378A KR101277478B1 (ko) 2011-10-27 2011-10-27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4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9766A (zh) * 2019-04-30 2019-08-23 福建省贵峰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减压稳压栓
KR20240003195A (ko) 2022-06-30 2024-01-08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감압밸브 단속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설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709B1 (ko) * 2016-09-09 2017-08-11 주식회사 밸칸 유량 및 압력 조절형 감압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8406B1 (en) * 2000-03-14 2001-11-20 Tyco Flow Control, Inc. Pilot operated relief valve
KR100561208B1 (ko) 2004-02-03 2006-03-15 주식회사 바램 릴리프 및 감압 기능을 가지는 파일럿 밸브
KR20090125563A (ko) * 2008-06-02 2009-12-07 이정수 스탑 기능 및 감압 기능을 갖는 밸브
JP5384303B2 (ja) 2009-11-17 2014-01-08 株式会社コガネイ 減圧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9766A (zh) * 2019-04-30 2019-08-23 福建省贵峰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减压稳压栓
CN110159766B (zh) * 2019-04-30 2020-06-02 福建省贵峰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减压稳压栓
KR20240003195A (ko) 2022-06-30 2024-01-08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감압밸브 단속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설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478B1 (ko) 201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454B1 (ko) 조절 가능한 디스크 가이드 구조를 가지는 캐비테이션 및 맥동 완화 감압 컨트롤밸브
KR101277478B1 (ko)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KR101401307B1 (ko) 복합 감압밸브
KR101744664B1 (ko)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
KR101291335B1 (ko)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한 소방용 감압 밸브
KR101568221B1 (ko) 차압 유량 조절 밸브
KR101277477B1 (ko) 소방용 감압 밸브 시스템
KR200445432Y1 (ko) 소방용 복합 알람 밸브
JP5116435B2 (ja) 圧力調整弁および消火設備
JP4805032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222025B1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JP2010057809A (ja) 予作動式流水検知装置
JP2005099894A (ja) 貯水槽の水位自動制御装置、貯水槽及び減圧弁の自己自動制御装置
KR101618864B1 (ko) 차압조절기능을 갖는 소방용 감압밸브
CN104534133B (zh) 一种定压稳流阻断器及高层供暖系统
JP2019005339A (ja) 制御弁装置
KR101851560B1 (ko) 자동 과압 해소 기능을 가지는 감압 밸브 시스템
KR100727622B1 (ko) 소방용 감압밸브
JP2540692B2 (ja) 予蓄タンクを備えた給水装置
JP3223626U (ja) 二子弁駆動式減圧弁構造
US20190346054A1 (en) Ball check valve
KR102490165B1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TWM506620U (zh) 消防供水管路的閥控裝置
KR102341313B1 (ko) 급수배관용 복합 감압조절밸브
KR200287708Y1 (ko) 건축 설비용 다기능 감압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