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335B1 -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한 소방용 감압 밸브 - Google Patents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한 소방용 감압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335B1
KR101291335B1 KR1020110110380A KR20110110380A KR101291335B1 KR 101291335 B1 KR101291335 B1 KR 101291335B1 KR 1020110110380 A KR1020110110380 A KR 1020110110380A KR 20110110380 A KR20110110380 A KR 20110110380A KR 101291335 B1 KR101291335 B1 KR 101291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valve
lever
spac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053A (ko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110110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3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리 및 변압 설정이 용이한 소방용 감압 밸브(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방용 감압 밸브(100)는, 1차측 유로(222) 및 2차측 유로(224)에 각각 버터플라이 밸브(150,150)를 구비한다.
특히, 버터플라이 밸브(150,150)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회전축(152)에 지지된 레버(151)와, 상기 레버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원판(153)과, 상기 레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성되는 푸시 핀(170)과, 상기 푸시 핀에 끼워져 상기 레버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가능하게 그 레버의 몸체에 구성되는 슬롯 홈(156)으로 이루어지는 레버의 회전 스토퍼(154)와, 상기 레버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탬퍼 스위치(15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한 소방용 감압 밸브{ Butterfly valve equipped with a pressure reducing valve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옥내외의 소화전 시스템에 적용되는 소방용 감압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 수리, 제어 및 배관의 압력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에 버터플라이 밸브를 설치한 소방용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소방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소방용 감압 밸브는 배관의 말단 수압이 스프링클러의 경우 12kg/cm2, 옥내 소화전의 경우에는 7kg/cm2을 넘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배관의 말단까지 소정의 수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펌프를 통하여 규제된 수압보다 높은 수압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아파트 등의 각 층별 옥내 소화전으로부터 각 층의 배관에 소방수를 공급하기 전에 감압 밸브를 통해 감압한 후, 규제된 기준압력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727622호에 개시된 일반적인 소방용 감압 밸브는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종래 소방용 감압 밸브(10)는 메인 밸브(12), 파일럿 밸브(14), 이젝터 밸브(16) 및 릴리프 밸브(20)를 포함한다.
메인 밸브(12)는 주배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고압의 소방용수를 저압의 소방용수로 감압시키는 밸브이다. 메인 밸브(12)는 소방용수가 유입되는 1차측 유로(122)와 상기 1차측 유로의 소방용수가 감압되어 유출되는 2차측 유로(124) 및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의 연결 개도의 크기를 조절하는 다이아프램 유닛(126)을 구비한다. 메인 밸브(12)의 감압 기능은 다이아프램 유닛에 의한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의 연결 개도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이젝터 밸브(16)는 스트레나(18)를 통하여 1차측 유로(122)와 다이아프램 유닛(126)과의 사이를 상기 메인 밸브(12)의 외부에서 연결한다.
스트레나(18)는 1차측 유로(122)로부터 이젝터 밸브(16)와 다이아프램 유닛(126)에 연결되는 배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이젝터 밸브(16)는 다이아프램 유닛(126)의 구동 충격을 완화하도록 작용한다.
파일럿 밸브(14)는 2차측 유로(124)와 다이아프램 유닛(126) 사이를 상기 메인 밸브(12)의 외부에서 상기 이젝터 밸브(16)를 경유하여 연결된다. 이 파일럿 밸브(14)는 2차측 유로(124)의 소방용수 압력을 감지하여 다이아프램 유닛(126)과 2차측 유로(124) 사이의 소방용수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메인 밸브(12)의 개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일럿 밸브(14)는 소방용수가 흐르지 않는 상태 즉, 고압의 소방용수가 1차측 유로(122)에 정체되고 다이아프램 유닛(126)이 닫힌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대기)하는 경우 고압의 소방용수가 1차측 유로(122)로부터 2차측 유로(124)로 여러 원인들 즉, 소방용수 배관의 압력의 변화, 배관 내의 수온 및 용존 산소량의 변화, 감압 밸브의 누설에 의한 압력 변화 등에 의하여 소량씩 자연 누수됨으로써, 2차측 유로(124)의 압력이 1차측 유로(122)의 압력과 같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차측 유로(124)와 배출구(30) 사이를 연결하는 릴리프 밸브(20)를 구비한다.
릴리프 밸브(20)는 2차측 유로(124)의 소방용수의 압력을 감지하여 일정한 압력 이상인 경우 2차측 유로(124)로부터 소량의 소방용수가 자동 배수되도록 하여 2차측 유로(124)의 압력이 1차측 유로의 압력보다 낮은 제1설정 압력 이하로 낮아지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이 릴리프 밸브(20)를 파일럿 밸브(14)에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의 압력차를 제1설정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종래 소방용 감압 밸브(10)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2차측 유로의 압력이 1차측 유로의 압력보다 낮게 설정된 제1설정 압력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파일럿 밸브(14)는 다이아프램 유닛(126)을 구동하여 메인 밸브(12)가 더 열리도록 작동한다. 또, 상기 2차측 유로(124)의 압력이 제1설정 압력보다 높고, 1차측 유로의 압력보다 낮게 미리 설정된 제2설정 압력보다 낮은 경우, 상기 파일럿 밸브(14)는 상기 다이아프램 유닛(126)을 구동하여 메인 밸브(12)가 더 닫히도록 작동한다. 또, 상기 2차측 유로(124)의 압력이 제2설정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릴리프 밸브(20)를 통하여 2차측 유로(124)로부터 제1설정 압력이 될 때까지 소방용수가 자동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소방용 감압 밸브(10)가 가동 대기 중일 때는 2차측 유로(124)의 압력이 제1설정 압력과 제2설정 압력 사이를 항상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제2설정 압력은 제1설정 압력보다 0.2 ~ 0.5 kg/cm2 높게 설정되고, 제1설정 압력은 소방법상에서 규제하는 12kg/cm2(스프링쿨러), 7kg/cm2(옥내소화전)로 설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소방용 감압 밸브(10)는 이상 발생시 배관라인에 있는 소방용수를 퇴수(배출) 한 후 수리하여야 하므로 수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메인 밸브(12)와 연결되는 파일럿 밸브(14)와 이젝터 밸브(16), 릴리프 밸브(20)의 연결 배관이 외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설치 공간이 커지고, 설치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 파일럿 밸브(14)와 이젝터 밸브(16), 릴리프 밸브(20)를 연결하는 배관이 외부로 노출되어 메인 밸브(12)와 연결되므로 설치 및 운반 과정에서 배관의 손상 및 파손의 위험성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버터플라이 밸브와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 한 소방용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 내에 각각 버터플라이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수리 및 변압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소방용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일럿 밸브와 이젝터 밸브, 릴리프 밸브를 메인 밸브에 연결하는 배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하여 배관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조립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소방용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층이나 고층에 관계없이 가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2차측 유로의 압력(말단 배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소방용 감압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소방용 감압 밸브는, 1차측 유로 및 2차측 유로와, 상기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 사이의 개도를 조정하는 메인 밸브와,
상기 메인 밸브를 구동하는 파일럿 밸브와,
상기 1차측 유로 및 상기 2차측 유로에 각각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각 버터플라이 밸브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회전축에 지지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원판과, 상기 레버의 회전 스토퍼와, 상기 레버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탬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레버의 회전 스토퍼는, 상기 레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성되는 푸시 핀과, 상기 푸시 핀에 끼워져 상기 레버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가능하게 그 레버의 몸체에 구성되는 슬롯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푸시 핀은 스프링에 탄지되어 푸시 후 복원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푸시 여부에 따라 상기 슬롯 홈에 제1직경부와 제2직경부가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롯 홈의 양단은 상기 푸시 핀의 제1직경부와 제2직경부가 통과하되, 상기 슬롯 홈의 양단을 제외한 나머지 슬롯 홈 부분은 상기 푸시 핀의 제1직경부와 제2직경부 중 하나만 통과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파일럿 밸브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구성되는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와,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의 하부에 구성되는 제1공간 및 제2공간과,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의 압력에 연동하는 스핀들을 개재하여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 사이를 개폐하는 디스크 시트와, 상기 1차측 유로와 상기 제1공간을 연결하는 1차측 유로 연결관과, 상기 제2공간과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를 동시에 연결하는 2차측 유로 연결관과, 상기 제1공간과 연결된 1차측 유로 연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메인 밸브와 연결되는 이젝터 유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일럿 밸브 몸체의 중앙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젝터 유로에 구성되는 이젝터 밸브와, 상기 몸체의 중앙 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에 연결되는 릴리프 밸브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방용 감압 밸브는, 1차측 유로 및 2차측 유로에 각각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각 버터플라이 밸브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회전축에 지지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원판과, 상기 레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성되는 푸시 핀과, 상기 푸시 핀에 끼워져 상기 레버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가능하게 그 레버의 몸체에 구성되는 슬롯 홈으로 이루어지는 레버의 회전 스토퍼와, 상기 레버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탬퍼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수리 및 변압 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파일럿 밸브와 이젝터 밸브, 릴리프 밸브를 메인 밸브에 연결하는 배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메인 밸브의 몸체 내에 구성되므로 배관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조립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소방용 감압밸브의 구조를 내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가 구비된 소방용 감압 밸브의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가 구비된 소방용 감압 밸브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절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가 구비된 소방용 감압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가 구비된 소방용 감압 밸브에 있어서, 파일럿 밸브의 요부 절개도,
도 9는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가 구비된 소방용 감압 밸브에 있어서, 파일럿 밸브의 제1공간과 제2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가 구비된 소방용 감압 밸브에 있어서, 파일럿 밸브의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차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도 2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소방용 감압 밸브의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과 같이 소방용 감압 밸브(100)는 고압의 소방용수가 1차측 유로(222)로 공급되어 감압된 후 2차측 유로(224)로 유출되도록 하는 메인 밸브(112)와, 상기 메인 밸브를 구동하는 파일럿 밸브(114)와, 1차측 유로 및 2차측 유로에 각각 구성되는 버터플라이 밸브(150,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밸브(112)는 1차측 유로(222)와 2차측 유로(224) 사이에 설치되어 1차측 유로(222)와 2차측 유로(224) 사이의 배관의 개도를 조정하여 2차측 유로(224)를 감압하기 위한 것으로써,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와, 상기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의 체적 변화에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핀들(302)과, 상기 스핀들의 유동에 따라 1차측 유로(222)와 2차측 유로(224) 사이의 배관 개도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스핀들에 고정되는 디스크 시트(303)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는 추후 설명되는 1차측 유로 연결관(361)으로부터 분기한 이젝터 유로(362)와 연결되어 이젝터 유로의 압력이 저하하면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의 압력이 저하하여 디스크 시트(303)가 1차측 유로(222)와 2차측 유로(224) 사이의 배관을 개방하도록 동작하고, 이젝터 유로의 압력이 증가하면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의 압력이 증가하여 디스크 시트(303)가 1차측 유로(222)와 2차측 유로(224) 사이의 배관을 차폐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에 구성되는 버터플라이 밸브(150,150)는 소방용 감압 밸브를 수리하거나 소방용수의 감압을 조정할 때 이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메인 밸브의 감압을 조정할 때 1차측 유로 쪽의 버터플라이 밸브는 개방하여 두고, 2차측 유로 쪽의 버터플라이 밸브를 차폐하면, 2차측 유로의 배관에 남아있는 소방용수를 따로 배수할 필요가 없어 감압 조정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메인 밸브(112)와 파일럿 밸브(114)의 수리,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측의 버터플라이 밸브(150,150)만 차단하면 되므로 수리, 점검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에 구성되는 버터플라이 밸브(150,150)는 그 동작 및 구조가 동일하므로 도 3 및 도 7을 참고하여 2차측 유로에 구성되는 버터플라이 밸브(150)를 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150)는 레버(151)와, 상기 레버가 고정되는 회전축(152)과, 상기 회전축 중앙에 대칭되게 고정되는 원판(153)과, 레버의 회전 스토퍼(154)과, 레버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템퍼 스위치(155)로 구성된다.
상기 원판(153)이 고정된 회전축(152)은 원판이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배관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 홈(161a,161b)에 끼워져 고정되고, 체결 홈(161a) 쪽에 끼워지는 회전축 부분은 배관의 외부로 돌출된다.
배관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152)의 단부(152a)는 레버(151)를 개재하여 와셔 및 볼트(157)로 체결된다.
상기 회전 스토퍼(154)는 레버의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약간 이격되어 회전축과 이루는 선분이 유로와 평행을 이루는 지점의 배관 몸체에 끼워져 고정되는 푸시 핀(170)과, 상기 푸시 핀에 끼워져 레버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가능하게 레버의 몸체에 구성되는 슬롯 홈(1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시 핀(170)은 스프링이 내장된 푸시핀 지지체(171)를 개재하여 배관의 몸체에 형성된 체결 홈(172)에 결합되고, 지름이 큰 제1직경부(170a)와 지름이 작은 제2직경부(170b)가 상하 인접하여 구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슬롯 홈(156)은 양단부(156a,156b) 영역은 푸시 핀의 제1직경부(170a)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을 만큼의 면적을 갖는 홀을 구성하고, 슬롯 홈(156)의 양단부(156a,156b)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은 푸시 핀의 제2직경부(170b)만 통과하고, 푸시 핀의 제1직경부(170a)는 통과할 수 없는 작은 간격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슬롯 홈(156)의 양단부(156a,156b) 중 어느 일측에 푸시 핀의 제1직경부(170a)가 끼워진 상태로 위치하면 레버(151)를 회전시킬 수 없지만, 슬롯 홈(156)의 양단부(156a,156b) 중 어느 일측에 푸시 핀의 제2직경부(170b)가 위치하면 레버(151)를 슬롯 홈(156)의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슬롯 홈(156)의 양단부(156a,156b) 중 어느 일측(156a)에 푸시 핀의 제1직경부(170a)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레버(151)를 강제로 회전시킬 수 없고, 레버(15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도 5와 같이 푸시 핀(170)을 아래 방향으로 눌러 푸시 핀의 제2직경부(170b)가 슬롯 홈(156a)에 위치하도록 한 후에 레버(151)를 회전시켜야 한다.
또, 레버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템퍼 스위치(155)는 레버(151)가 유로와 평행을 이룬 상태(유로 개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위치감지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파일럿 밸브(114)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파일럿 밸브의 몸체(365)는 상부 몸체(365a)와 하부 몸체(365b)로 이루어진다. 상부 몸체(365a)와 하부 몸체(365b) 사이에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다이아프램(366)을 개재하여 볼트 체결된다.
상기 다이아프램 상부에는 다이아프램 플레이트(367)가 고정되고, 다이아프램 프레이트는 스프링(369)를 개재하여 압력조절 스템(368)에 탄지된다.
상기 압력조절 스템(368)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이아프램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다이아프램 플레이트(367)의 하부에는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370)를 구성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의 하부는 오링(371)에 의하여 기밀상태를 유지하는 부싱(372)이 끼워진다.
상기 부싱(372), 다이아프램(366), 다이아프램 플레이트(367)를 일단이 관통하여 압력조절 스템(368)과 동축상에 설치되고, 타단이 하부 몸체(365b) 쪽으로 연장되는 스핀들(373)이 설치된다.
상기 스핀들의 하단 부분에는 디스크 시트(374)가 설치되고, 그 디스크 시트 부분을 경계로 하여 하부 몸체(365b)에는 제1공간(375)와, 제2공간(376)이 구성된다.
상기 제1공간(375)와, 제2공간(376)은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370)의 압력변화에 따라 스핀들(373)이 상하 유동함으로써 디스크 시트(374)에 의하여 서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공간(375)은 1차측 유로(222)와 연결되는 1차측 유로 연결관(361)이 몸체(365b)를 가로질러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376)은 2차측 유로(224)와 연결되는 2차측 유로 연결관(377)이 설치되고, 그 2차측 유로 연결관은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37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2공간(376)으로 들어가는 입구부(377a)에서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370) 쪽으로 분기로(377b)가 구성된다.
또, 상기 1차측 유로 연결관(361)으로부터 분기되어 메인 밸브(112)의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에 연결되는 이젝터 유로(362)가 몸체에 설치되고, 이젝터 유로(362)에는 파일럿 밸브 몸체의 중앙 일측에 위치하도록 이젝터 밸브(380)가 설치된다. 상기 이젝터 밸브(380)는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301)에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줄여 안정화시킴으로써 메인 밸브(112)의 동작을 부드럽게 한다.
한편, 파일럿 밸브(114) 몸체의 중앙 타측에 위치하도록 릴리프 밸브(385)가 설치된다.
상기 릴리프 밸브(385)는 2차측 유로 연결관(377)과 연통된 다이아프램 챔버(370) 하부의 홀(389) 위치에 설치된다.
릴리프 밸브(385)는 2차측 유로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에 배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2차측 유로에 저장된 소방용수가 소정 압력 이하로 될 때까지 배출구(390)를 통하여 자동 배수하도록 작용한다.
이상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방용 감압 밸브(100)의 기술 구성,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예시된 도면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목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100 - 소방용 감압밸브, 12,112 - 메인 밸브
14,114 - 파일럿 밸브, 16,380 - 이젝터 밸브
18 - 스트레나 20,385 - 릴리프 밸브
30,390 - 배출구 122,222 - 1차측 유로,
124,224 - 2차측 유로 126 : 다이아프램 유닛
150 - 버터플라이 밸브 151 - 레버
152 - 회전축 153 - 원판
154 - 회전 스토퍼 155 - 탬퍼 스위치
156 - 슬롯 홈 157 - 볼트
171 - 푸시핀 지지체 161a,161b,172 - 체결 홈
301 - 메인 다이아프램 챔버 302,373 - 스핀들
303, 374 - 디스크 시트 361 - 1차측 유로 연결관
362 - 이젝터 유로 365 - 몸체
365a - 상부 몸체 365b - 하부 몸체
366 - 다이아프램 367 - 다이아프램 플레이트
368 - 압력조절 스템 369 -스프링
370 -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 371- 오링
372 - 부싱 375 - 제1공간
376 - 제2공간 377 - 2차측 유로 연결관
377a - 2차측 유로 연결관의 입구부
377b - 분기로 389 - 홈



,

Claims (4)

1차측 유로 및 2차측 유로와, 상기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 사이의 개도를 조정하는 메인 밸브와,
상기 메인 밸브를 구동하는 파일럿 밸브와,
상기 1차측 유로 및 상기 2차측 유로에 각각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각 버터플라이 밸브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회전축에 지지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원판과, 상기 레버의 회전 스토퍼와, 상기 레버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탬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소방용 감압 밸브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밸브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구성되는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와,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의 하부에 구성되는 제1공간 및 제2공간과,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의 압력에 연동하는 스핀들을 개재하여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 사이를 개폐하는 디스크 시트와, 상기 1차측 유로와 상기 제1공간을 연결하는 1차측 유로 연결관과, 상기 제2공간과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를 동시에 연결하는 2차측 유로 연결관과, 상기 제1공간과 연결된 1차측 유로 연결관으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메인 밸브와 연결되는 이젝터 유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일럿 밸브 몸체의 중앙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젝터 유로에 구성되는 이젝터 밸브와, 상기 몸체의 중앙 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일럿 다이아프램 챔버에 연결되는 릴리프 밸브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감압 밸브.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 스토퍼는, 상기 레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성되는 푸시 핀과, 상기 푸시 핀에 끼워져 상기 레버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가능하게 그 레버의 몸체에 구성되는 슬롯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감압 밸브.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핀은 스프링에 탄지되어 푸시 후 복원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푸시 여부에 따라 상기 슬롯 홈에 제1직경부와 제2직경부가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롯 홈의 양단은 상기 푸시 핀의 제1직경부와 제2직경부가 통과하되, 상기 슬롯 홈의 양단을 제외한 나머지 슬롯 홈 부분은 상기 푸시 핀의 제1직경부와 제2직경부 중 하나만 통과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감압 밸브.
삭제
KR1020110110380A 2011-10-27 2011-10-27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한 소방용 감압 밸브 KR101291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380A KR101291335B1 (ko) 2011-10-27 2011-10-27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한 소방용 감압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380A KR101291335B1 (ko) 2011-10-27 2011-10-27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한 소방용 감압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053A KR20130046053A (ko) 2013-05-07
KR101291335B1 true KR101291335B1 (ko) 2013-07-30

Family

ID=4865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380A KR101291335B1 (ko) 2011-10-27 2011-10-27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한 소방용 감압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3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5451B1 (en) 2014-05-10 2018-01-02 Bong Kwan Kim Connec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6401B2 (en) 2016-08-11 2020-03-24 Victaulic Company Modular valve assembly
US20180193681A1 (en) 2017-01-06 2018-07-12 Globe Fire Sprinkler Corporation Control valve assembly with test, drain and adjustable pressure relief valve
WO2019190609A1 (en) 2018-03-29 2019-10-03 Globe Fire Sprinkler Corporation Combination control and check valve assembly for a wet piping system
CA3151291A1 (en) 2019-09-20 2021-03-25 Yoram Ringer Ball valve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4528A (en) * 1985-09-11 1987-06-23 Kitz Corporation Butterfly valve
KR20100006988U (ko) * 2008-12-30 2010-07-08 김영철 소화전 밸브
JP2010213931A (ja) * 2009-03-17 2010-09-30 Nohmi Bosai Ltd 自動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4528A (en) * 1985-09-11 1987-06-23 Kitz Corporation Butterfly valve
KR20100006988U (ko) * 2008-12-30 2010-07-08 김영철 소화전 밸브
JP2010213931A (ja) * 2009-03-17 2010-09-30 Nohmi Bosai Ltd 自動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5451B1 (en) 2014-05-10 2018-01-02 Bong Kwan Kim Connecting device
US9962567B2 (en) 2014-05-10 2018-05-08 Bong Kwan Kim Connec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053A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335B1 (ko)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한 소방용 감압 밸브
US9683668B2 (en) Dual-purpose fluid control valve
KR101744664B1 (ko)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
RU2007139331A (ru) Клапан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систем пожаротушения
US4880030A (en) Safety flow control fluid shutoff device
KR101277477B1 (ko) 소방용 감압 밸브 시스템
US10444768B2 (en) Flow-controlling unit provided in flow channel
KR101401307B1 (ko) 복합 감압밸브
KR20050087770A (ko) 가스공급용 안전밸브
KR100915391B1 (ko) 소방용 개폐밸브
CN101484646B (zh) 控制截流装置和冲洗系统
KR20130096363A (ko) 헌팅 완화 감압밸브
KR101277478B1 (ko)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JP5275938B2 (ja) 流量調整止水栓
KR101556955B1 (ko) 옥외 소화전
KR200464589Y1 (ko) 볼 타입 앵글밸브 일체형 감압밸브
KR102222025B1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US6758234B2 (en) Pressure reducing valve
KR20120019981A (ko)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US6962318B1 (en) Pulsed input shutoff valve
KR100727622B1 (ko) 소방용 감압밸브
US20080295897A1 (en) Dual range flow sensor
KR101851560B1 (ko) 자동 과압 해소 기능을 가지는 감압 밸브 시스템
KR200465322Y1 (ko) 알람밸브용 밸브
JP2020105885A (ja) 水洗大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