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664B1 -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664B1
KR101744664B1 KR1020160167310A KR20160167310A KR101744664B1 KR 101744664 B1 KR101744664 B1 KR 101744664B1 KR 1020160167310 A KR1020160167310 A KR 1020160167310A KR 20160167310 A KR20160167310 A KR 20160167310A KR 101744664 B1 KR101744664 B1 KR 101744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water pressure
branch
mai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진
Original Assignee
(주) 더베스트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더베스트이앤씨 filed Critical (주) 더베스트이앤씨
Priority to KR1020160167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파이프배관을 통해 스프링클러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인트로부터 벤츄리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여 스프링클러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WATER PRESSURE REGULATION APPARATUS FOR FIREFIGHTING}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파이프배관을 통해 스프링클러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인트로부터 벤츄리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여 스프링클러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간이 스프링클러 장치 구성 중 도 1 과 같이 저수조(10)는 건축물의 기존 수도배관(5) 또는 별도 물공급 배관에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 상부 일측으로 물유입부(11)가 구비되고 몸체 하부 일측으로 물배출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저수조(10)의 내측 상부에는 수도배관(5)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저장량을 제어하는 수위조절부(20)가 설치된다.
상기 수위조절부(20)는 저수조(10)의 내측 상부에 수도배관(5)을 통해 유입 되는 물의 양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는 부구(21)가 플로트밸브(22)의 개폐를 제어하여 저수조(10)의 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저수조(10)의 물배출부(12)의 외측으로는 제어부(50)가 화재발생을 감지함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하면서 저수조(10) 내의 물을 파이프배관(7)을 통해 헤드(60)측으로 압송하는 펌프(30)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30)의 외측으로는 헤드(60)가 터짐에 따라 파이프배관(7) 내의 압력이 떨어짐을 감지하여 펌프(30)가 구동되도록 파이프배관(7)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스위치(40)가 설치된다.
체크밸브를 사용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기술 구성은 도 2 와 같이, 주거용 건축물의 수도배관(5)에 직결되어 소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10)와,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도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저장량을 제어하는 수위조절부(20)와, 상기 저수조에 연결된 파이프배관 상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저수조 내의 소방수를 압송하는 펌프(30)와, 상기 파이프배관 상에 분지되게 설치되어 파이프배관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스위치(40)와, 상기 압력스위치가 파이프배관 내의 압력을 감지함에 따라 펌프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50)와, 상기 파이프배관 상에 복수 개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으로 주변의 온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터져 소방수가 살수되도록 하는 헤드(60)로 구성된 간이 스프링클러로, 수도배관(5)과 파이프배관(7)을 연결배관(71)으로 연결하여 상기 연결배관(71)에 체크밸브(72)를 설치하고 펌프(30)와 연결된 파이프배관(7) 상에도 연결배관(71)을 통해 파이프배관(7) 측으로 공급되는 소방수가 저수조(10) 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73)를 설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수위 조절을 수위에 연동하는 부구(21)와, 부구(21)의 설정 수평위치에 따라 플로트밸브(22)를 구동시키므로, 부구(21)가 구동하는 내부 공간이 필요하여 상대적으로 저수조(10)가 커지며, 저수조 하우징 외부로 체크밸브(72)를 설치하여 작동하는 배관 구조이므로, 건축물에 설치할 때 수도배관(5)에 설치되는 위치에서 입수관인 물유입부(11)를 수도배관(5)과 결합시키는 작업과, 연결배관(71)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연결배관(71)에 체크밸브(72)를 결합 설치하여야하므로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파이프배관(7)은 도 3에서와 같이 조인트(80)에서 분지되어 지관(7a)을 연결시키고, 지관(7a)의 단부에는 스프링클러 헤드(60)를 연결한다.
상기 조인트(80)는 도 4의 확대단면도와 같이, 본체관(81)의 양단에 너트체(82)를 형성하며, 본체관(81)에는 가지관(7a)을 이어주는 가지연결관(83)을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방식은 화재시 입수측 파이프배관(7)으로 공급되는 물(소방수)은 압력(P1)과 속도(V1)를 갖는다고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가지관(7a)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가지연결관(83)을 통하여 연결되므로 베르누이 정리에 의하여 소방수의 이동속도(V2)는 빨라지고 수압(P2)은 낮아지는 특성을 가진다.
그런데 소방수를 저수조에서 공급하는 펌프는 동일 출력이라도 오차가 있고, 수도물을 직결하는 방식의 수도물도 수압이 각 위치마다 다른 현실에 비추어, 원하는 수압을 균일하게 헤드(6)로 배출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도 4 와 같이 갑자기 직경이 작아지는 가지연결관(83) 및 가지관(7a)에 의하여 이동속도가 빨라지면서 와류가 발생하여 헤드(60)로의 배출 수압이 균일하지 않도록 하는 요인이 된다.
이는, 결국 소화 능력의 저하를 초래하는 심각한 원인을 제공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11411호(2012.12.12.)에는 '간이형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간이형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장치는 조인트로부터 벤츄리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정한 수압을 조절 및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11411호(2012.12.12.) '간이형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파이프배관을 통해 스프링클러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인트로부터 벤츄리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여 스프링클러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수조의 물이나 수도관 직수의 물을 화재시 파이프배관을 경유하여 가지관 단부에 설치한 스프링클러 헤드로 공급하도록 파이프배관에 설치되어 물을 가지관으로 분지시키는 조인트에 연결하는 벤츄리관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는, 양단부 내주면에 상기 파이프배관가 나사결합되도록 너트체가 형성되는 본체관; 및 상기 본체관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분지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지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벤츄리관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지연결관에 나사결합되며, 제1이동공을 갖는 제1연결관; 및 상기 제1이동공과 통하도록 이어지며 상기 가지관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제2이동공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지관이 나사결합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는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로써, 상기 조인트로부터 상기 벤츄리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기 위한 수압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압조절부는, 상기 본체관의 내부를 상기 제1이동공과 연통되는 수압조절공간과 상기 제1이동공과 연통되지 않는 비수압조절공간으로 나누는 분기판; 상기 분기판과 상기 본체관 사이를 기밀하는 기밀수단; 상기 수압조절공간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벤츄리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는 한편, 상기 벤츄리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는 조절수단(130)을 포함하되, 상기 조절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본체관의 외측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관을 통과하여 상기 분기판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한편, 상기 본체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파이프배관을 통해 스프링클러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상승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조인트로부터 벤츄리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함으로써 스프링클러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적정하게 조절 및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간이형 스프링클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간이형 스프링클러장치를 나타낸 다른 구성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스프링클러의 배관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에서 수압조절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에서 수압조절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211411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211411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211411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간이형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장치'는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로 대체하고, 조인트로부터 벤츄리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211411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는 저수조(10)의 물이나 수도관 직수의 물을 화재시 파이프배관(7)을 경유하여 가지관(7a) 단부에 설치한 스프링클러 헤드(60)로 공급하도록, 파이프배관(7)에 설치하여 물을 가지관(7a)으로 분지시키는 조인트(80)에 연결하는 벤츄리관(90)을 포함한다.
벤츄리관(90)은 조인트(80) 내경부에 나사 결합하며 내경이 작은 제1이동공(91)을 갖는 제1연결관(92), 제1이동공(91)과 통하도록 제1연결관(92)과 이어지며 외측으로 내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제2이동공(93)을 가지며 외경부에 가지관(7a)을 나사 결합시키는 제2연결관(94)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인트(80)는 양단부 내주면에 파이프배관(7)이 나사결합되도록 너트체(82)가 형성되는 본체관(81) 및 상기 본체관(81)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분지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지연결관(8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관(92)은 외주면에 외경나사(96)가 형성되어 상기 가지연결관(8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경나사(84')와 나사결합된다.
상기 중간헤드(95)는 외경이 상기 가지연결관(8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동공(91)은 길이가 상기 제2이동공(93)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은 파이프배관(7)을 통하여 수도물의 직수나 펌프(30)를 통한 저수조(10)의 물을 화재시 공급하는 경우, 파이프배관(7)의 이동속도(V1) 및 수압(P1)을 가진다 할 때, 조인트(80)의 가지연결관(83')을 통한 벤츄리관(90)의 제1연결관(92)에 형성한 제1이동공(91)을 흐르는 소방수의 속도(V3) 및 수압(P3)을 갖게 된다.
이 경우 파이프배관(7) 대비 제1이동공(91)의 내경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유속은 빨라지고, 수압(P3)은 낮아진다.
아울러 제1이동공(91)의 이동 길이를 제2이동공(93)보다는 길게 하여 일정 수압 및 속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어 제2연결관(94)의 제2이동공(93)은 점차적으로 내경이 커지므로, 소방수는 갑자기 유속이 느려지고(속도(V4)), 수압(P4)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가지관(7a)의 말단에 설치된 헤드(60)는 상대적으로 상승된 수압을 제공받아 소방수의 분사에 필요한 수압을 유지하면서 스프링클러의 기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1연결관(92)의 입구측은 평면을 이루는바, 이는 파이프배관(7)을 흐르는 소방수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와류를 방지하며 제1이동공(91)으로의 유입을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며, 인접하는 위치에 추가로 연결하는 조인트(80) 및 벤츄리관(90)의 기능을 일정하게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원발명은 가지연결관(83')에는 제1연결관(92)을 나사 결합하고, 나사 결합을 위한 연장(스패너)을 사용 가능토록 하는 중간헤드(95)는 가지연결관(83')과의 나사 결합 가능한 위치를 한정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가지연결관(83')과 제1연결관(92)과의 조임 작용을 쉽게 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제 2연결관(94)의 외경나사(97)에는 가지관(7a)을 나사 결합하도록 작용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수압을 일정하게 하도록 작용하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압의 조절 가능성은 수도물을 직결하는 직수 방식의 스프링클러를 사용하여도 수압의 변동에 따라 설치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간이형 스프링클러의 사용 범위를 넓혀주며, 제조 스프링클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80)로부터 상기 벤츄리관(9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기 위한 수압조절부(1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수압조절부(100)는 상기 조인트(80)로부터 상기 벤츄리관(9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여 스프링클러 헤드(60)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압조절부(100)는 상기 본체관(81)의 내부를 상기 제1이동공(91)과 연통되는 수압조절공간(112)과 상기 제1이동공(91)과 연통되지 않는 비수압조절공간(113)으로 나누는 분기판(110), 상기 분기판(110)과 상기 본체관(81) 사이를 기밀하는 기밀수단(120), 상기 수압조절공간(112)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벤츄리관(9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는 한편, 상기 벤츄리관(9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는 조절수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분기판(110)은 상,하단부 및 전,후단부를 갖는 사각판 형태를 이루며, 상,하단부가 물의 흐름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관(81)의 중앙부에 배치되면서 일측으로 상기 비수압조절공간(113)을 형성하고 타측으로 상기 수압조절공간(112)을 형성한다.
상기 분기판(110)은 상,하단부가 상기 본체관(81)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너트체(82)에 위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분기판(110)은 상,하단부가 너트체(82)에 위치되지 않도록 상하 길이가 상기 본체관(81)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밀수단(120)은 내측단부가 상기 분기판(110)의 전,후단부에 연결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본체관(81)의 내주면에 접하는 한 쌍의 고무판(121)을 포함한다.
상기 분기판(110)은 전,후단부에 상기 고무판(121)이 인입되는 인입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고무판(121)은 상기 인입홈(111)으로 끼움 결합된다.
상기 고무판(121)은 상,하단부 및 내,외측단부를 갖는 사각 판 형태를 이루며, 상하 길이가 상기 분기판(110)의 상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판(121)은 내측단부가 상기 인입홈(111)으로 인입 결합되는 한편, 접착제 또는 나사, 볼트 등을 포함하는 결속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분기판(110)에 고정 결속될 수 있다.
상기 분기판(110)은 상기 본체관(81)의 정 중앙부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조절수단(130)의 조정에 따라 상기 수압,비수압조절공간(112,113) 중 어느 하나의 조절공간이 다른 하나의 조절공간보다 클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조인트(80)로부터 상기 벤츄리관(9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수압조절공간(112)은 상기 비수압조절공간(113)과 동일한 공간을 갖는 상태로부터 상기 분기판(110)이 상기 벤츄리관(90)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공간이 줄어들면서 수압의 변화 즉, 하강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압조절공간(112)은 상기 비수압조절공간(113)과 동일한 공간을 갖는 상태로부터 상기 분기판(110)이 상기 비수압조절공간(113)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공간이 늘어나면서 수압의 변화 즉, 상승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는 상기 벤츄리관(90)을 통해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60)로 배출되는 적정 수압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무판(121)은 상기 분기판(110)이 상기 본체관(81)의 정 중앙부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분기판(11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양측단부 사이가 굽어지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고무판(121)은 상기 본체관(81)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측단부에 원형돌기(1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수단(130)은 일단부가 상기 본체관(81)의 외측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관(81)을 통과하여 상기 분기판(110)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이드봉(131) 및 상기 가이드봉(131)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한편, 상기 본체관(8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131)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조절레버(13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봉(131)은 타단부가 상기 분기판(110)과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관(81)은 일측 외주면에 상기 비수압조절공간(113)과 연통되는 중공(85)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레버(132)는 외주면에 환형홈(133)이 형성되면서 상기 중공(85)을 이루는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압조절부(100)는 상기 중공(85)을 이루는 둘레와 상기 환형홈(133) 사이를 기밀하는 기밀링(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밀링(140)은 외주면이 개방되면서 종단면이 'ㄷ'자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기밀링(140)은 상기 중공을 이루는 둘레와 상기 환형홈(133)이 이루는 둘레 간을 기밀함으로써 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7 : 파이프배관 7a : 가지관
10 : 저수조 60 : 헤드
80 : 조인트 81 : 본체관
82 : 너트체 83,83' : 가지연결관
84' : 내경나사 90 : 벤츄리관
91 : 제1이동공 92'제2연결관
93 : 제2이동공 94 : 제2연결관
95 : 중간헤드 96 : 외경나사
97 : 외경나사 100 : 수압조절부
110 : 분기판 111 : 인입홈
112 : 수압조절공간 113 : 비수압조절공간
120 : 기밀수단 121 : 고무판
130 : 조절수단 131 : 가이드봉
132 : 조절레버 133 : 환형홈
140 : 기밀링

Claims (1)

  1. 저수조(10)의 물이나 수도관 직수의 물을 화재시 파이프배관(7)을 경유하여 가지관(7a) 단부에 설치한 스프링클러 헤드(60)로 공급하도록 파이프배관(7)에 설치되어 물을 가지관(7a)으로 분지시키는 조인트(80)에 연결하는 벤츄리관(90)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80)는,
    양단부 내주면에 상기 파이프배관(7)가 나사결합되도록 너트체(82)가 형성되는 본체관(81); 및
    상기 본체관(81)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분지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지연결관(83')을 포함하고,
    상기 벤츄리관(9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지연결관(83')에 나사결합되며, 제1이동공(91)을 갖는 제1연결관(92); 및
    상기 제1이동공(91)과 통하도록 이어지며 상기 가지관(7a)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제2이동공(93)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지관(7a)이 나사결합되는 제2연결관(94)을 포함하는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로써,
    상기 조인트(80)로부터 상기 벤츄리관(9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여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60)에서 배출되는 물의 수압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압조절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압조절부(100)는,
    상기 본체관(81)의 내부를 상기 제1이동공(91)과 연통되는 수압조절공간(112)과 상기 제1이동공(91)과 연통되지 않는 비수압조절공간(113)으로 나누는 분기판(110);
    상기 분기판(110)과 상기 본체관(81) 사이를 기밀하는 기밀수단(120); 및
    상기 수압조절공간(112)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벤츄리관(9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는 한편, 상기 벤츄리관(9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는 조절수단(130)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판(110)은,
    상,하단부 및 전,후단부를 갖는 사각판 형태를 이루고, 상,하단부가 물의 흐름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관(81)의 중앙부에 배치되면서 일측으로 상기 비수압조절공간(113)을 형성하고 타측으로 상기 수압조절공간(112)을 형성하며, 전,후단부에 인입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관(81)의 정 중앙부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조절수단(130)의 조정에 따라 상기 수압,비수압조절공간(112,113) 중 어느 하나의 조절공간이 다른 하나의 조절공간보다 클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조인트(80)로부터 상기 벤츄리관(9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기밀수단(120)은,
    내측단부가 상기 분기판(110)의 전,후단부에 연결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본체관(81)의 내주면에 접하는 한 쌍의 고무판(121)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판(121)은,
    상기 인입홈(111)으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분기판(11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양측단부 사이가 굽어지는 형태를 이루며, 본체관(81)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측단부에 원형돌기(122)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수단(130)은,
    일단부가 상기 본체관(81)의 외측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관(81)을 통과하여 상기 분기판(110)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이드봉(131); 및
    상기 가이드봉(131)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한편, 상기 본체관(8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131)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조절레버(132)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관(81)은,
    일측 외주면에 상기 비수압조절공간(113)과 연통되는 중공(85)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레버(132)는,
    외주면에 환형홈(133)이 형성되면서 상기 중공(85)을 이루는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압조절부(100)는,
    상기 중공(85)을 이루는 둘레와 상기 환형홈(133) 사이를 기밀하는 기밀링(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
KR1020160167310A 2016-12-09 2016-12-09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 KR101744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310A KR101744664B1 (ko) 2016-12-09 2016-12-09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310A KR101744664B1 (ko) 2016-12-09 2016-12-09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664B1 true KR101744664B1 (ko) 2017-06-09

Family

ID=5922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310A KR101744664B1 (ko) 2016-12-09 2016-12-09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66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631B1 (ko) 2021-01-29 2021-06-25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건축 소방용 간이형 수압조절장치
KR102286659B1 (ko) 2021-02-25 2021-08-05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소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KR102298619B1 (ko) 2021-03-10 2021-09-06 주식회사 희승이엔지 건축물 소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구
KR102301091B1 (ko) 2021-02-09 2021-09-10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자성을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KR102600318B1 (ko) * 2023-03-20 2023-11-09 주식회사 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배관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806Y1 (ko) * 2006-02-10 2006-05-08 조기영 개폐식 소방밸브
JP2007082662A (ja) * 2005-09-21 2007-04-05 Yamato Protec Co 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接続用の継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2662A (ja) * 2005-09-21 2007-04-05 Yamato Protec Co 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接続用の継手
KR200415806Y1 (ko) * 2006-02-10 2006-05-08 조기영 개폐식 소방밸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631B1 (ko) 2021-01-29 2021-06-25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건축 소방용 간이형 수압조절장치
KR102301091B1 (ko) 2021-02-09 2021-09-10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자성을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KR102286659B1 (ko) 2021-02-25 2021-08-05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소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KR102298619B1 (ko) 2021-03-10 2021-09-06 주식회사 희승이엔지 건축물 소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구
KR102600318B1 (ko) * 2023-03-20 2023-11-09 주식회사 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배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4664B1 (ko)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
KR101856975B1 (ko)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US9683668B2 (en) Dual-purpose fluid control valve
US4880030A (en) Safety flow control fluid shutoff device
CA2759415A1 (en) Domestic water tap or faucet
US8408242B2 (en) Overflow shutoff valve
KR101291335B1 (ko)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한 소방용 감압 밸브
KR101211411B1 (ko) 간이형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장치
KR200484503Y1 (ko) 압력 조절부재가 구비된 과압 방지 장치
KR102301091B1 (ko) 자성을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KR101972946B1 (ko) 벤츄리 이펙트를 이용한 유량 제어 감압밸브
KR102222025B1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CN209213102U (zh) 一种多出口泄放的仪表阀组
CN110094557B (zh) 一种可调节式阀门
KR102298619B1 (ko) 건축물 소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구
US8528836B2 (en) Leak stopping sprinkler heads
JP2003067057A (ja) 減圧送水装置
US20190346054A1 (en) Ball check valve
KR102286659B1 (ko) 건축물 소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JP2010009330A (ja) 減圧装置
KR100727622B1 (ko) 소방용 감압밸브
KR102269631B1 (ko) 건축 소방용 간이형 수압조절장치
TWM506620U (zh) 消防供水管路的閥控裝置
CN204004641U (zh) 带锁闭阀和排气阀的动态压差平衡阀
TWI618553B (zh) Valve control device for fire water supply pipe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