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975B1 -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975B1
KR101856975B1 KR1020170170939A KR20170170939A KR101856975B1 KR 101856975 B1 KR101856975 B1 KR 101856975B1 KR 1020170170939 A KR1020170170939 A KR 1020170170939A KR 20170170939 A KR20170170939 A KR 20170170939A KR 101856975 B1 KR101856975 B1 KR 101856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e
pipe
water pressure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원호
Original Assignee
대원포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포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포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4Pipe-line systems pressuri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수조의 물이나 수도관 직수의 물을 화재시 파이프배관을 경유하여 가지관 단부에 설치한 스프링클러 헤드로 공급하도록 파이프배관에 설치되어 물을 가지관으로 분지시키는 조인트를 형성하고, 상기 조인트로부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여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배출되는 물의 수압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압자동조절부를 포함하는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로써, 상기 조인트는 양단부 내주면에 상기 파이프배관이 나사결합되어 관결합되는 조인트본체와, 상기 조인트본체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분지되며 선단부 외주면에 외측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지연결관이 포함되고; 상기 수압자동조절부는, 일단은 상기 조인트의 가지연결관 선단에 맞닿아 링너트에 의해 밀봉되게 결합되는 외측나사부를 갖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 타단은 외부로 지름이 확장되는 확장관체부가 형성되며 확장관체부 타단은 동일한 지름으로 연장되고 일측선단에는 외부로 수직연장되어 타측선단면에 패킹이 안착되는 패킹홈이 형성되고 패킹홈을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좌측체결돌부를 갖는 일측작동관부가 형성되며 일측작동관부 중심부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장요부가 각각 형성되는 일측수압조절관; 타단은 상기 가지관 선단에 맞닿아 링너트에 의해 밀봉되게 결합되는 외측나사부를 갖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 일단은 외부로 지름이 확장되는 확장관체부가 형성되며 확장관체부 일단은 동일한 지름으로 연장되고 타측선단에는 외부로 수직연장되어 일측선단면에 상기 패킹이 안착되는 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 연장선상에 체결통공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우측체결돌부를 갖는 타측작동관부가 형성되며 타측작동관부 중심부 양측면에 축홈이 각각 형성되는 타측수압조절관; 및 좌우측으로 관통되고 측단면이 타원을 이루는 탄성관체로 밀봉된 상기 일타측수압조절관 내측에 위치되는 튜브몸체가 형성되고 튜브몸체 전방측 좌우측으로는 상기 일측수압조절관의 일측작동관부의 가이드장요부에 축결합되어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중심부에 관통공을 갖는 전방측슬라이딩축바가 형성되며 튜브몸체 후방측 좌우측으로는 상기 타측수압조절관의 타측작동관부의 축홈에 축결합되는 후방측고정축바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전방측슬라이딩축바의 관통공을 통해 튜브몸체 내부로 삽입되어 후방측 중앙 내측면에 고정부착된 고정판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튜브몸체 전방측 중앙 내측에 위치되는 지지판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선단부에 나사체결부를 갖는 중앙지지축이 형성되며 중앙지지축에 감겨지고 상기 고정판과 지지판 사이에 위치되어 튜브몸체를 타원으로 형성시키는 스프링이 형성되고 원형팬으로 중심에는 상기 중앙지지축의 나사체결부가 관통되어 너트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축봉을 갖고 다수 개의 팬날개를 갖는 회동프로펠러가 형성되어 내부 수압이 증대되면 회동프로펠러가 튜브몸체를 후방측으로 밀어 타원형상인 튜브몸체를 원형으로 바꾸면서 유로를 축소시키고 내부 수압이 감소되면 스프링은 튜브몸체 전방측과 회동프로펠러를 전방측으로 밀어 튜브몸체를 타원형상으로 바꾸면서 유로를 확장시키는 가이드탄성튜브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입되는 소방수의 수압에 따라서 가해지는 수압이 크면 가변되어 유로를 자동으로 줄임으로써 수압을 낮추고 가해지는 수압이 작으면 유로를 자동으로 늘림으로써 수압을 높여 자동으로 수압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스프링클러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자동으로 일정하게 조절하면서 유지시킬 수 있어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고 사용이 보다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WATER PRESSURE REGULATION APPARATUS OF SPRINKLER FOR BUILDING FIRE FIGHTING}
본 발명은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소방수의 수압에 따라서 가해지는 수압이 크면 가변되어 유로를 자동으로 줄임으로써 수압을 낮추고 가해지는 수압이 작으면 유로를 자동으로 늘림으로써 수압을 높여 자동으로 수압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스프링클러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자동으로 일정하게 조절하면서 유지시킬 수 있어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고 사용이 보다 간편한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이 스프링클러 장치의 저수조는 건축물의 기존 수도배관 또는 별도 물공급 배관에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 상부 일측으로 물유입부가 구비되고 몸체 하부 일측으로 물배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저수조의 내측 상부에는 수도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저장량을 제어하는 수위조절부가 설치된다. 상기 수위조절부는 저수조의 내측 상부에 수도배관을 통해 유입 되는 물의 양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는 부구가 플로트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저수조의 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저수조의 물배출부의 외측으로는 제어부가 화재발생을 감지함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하면서 저수조 내의 물을 파이프배관을 통해 헤드 측으로 압송하는 펌프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의 외측으로는 헤드가 터짐에 따라 파이프배관 내의 압력이 떨어짐을 감지하여 펌프가 구동되도록 파이프배관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스위치가 설치된다.
체크밸브를 사용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기술 구성은 주거용 건축물의 수도배관에 직결되어 소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도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저장량을 제어하는 수위조절부와, 상기 저수조에 연결된 파이프배관 상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저수조 내의 소방수를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파이프배관 상에 분지되게 설치되어 파이프배관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스위치와, 상기 압력스위치가 파이프배관 내의 압력을 감지함에 따라 펌프의 구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파이프배관 상에 복수 개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으로 주변의 온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터져 소방수가 살수되도록 하는 헤드로 구성된 간이 스프링클러로, 수도배관과 파이프배관을 연결배관으로 연결하여 상기 연결배관에 체크밸브를 설치하고 펌프와 연결된 파이프배관 상에도 연결배관을 통해 파이프배관 측으로 공급되는 소방수가 저수조 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설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수위 조절을 수위에 연동하는 부구와, 부구의 설정 수평위치에 따라 플로트밸브를 구동시키므로, 부구가 구동하는 내부 공간이 필요하여 상대적으로 저수조가 커지며, 저수조 하우징 외부로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작동하는 배관 구조이므로, 건축물에 설치할 때 수도배관(5)에 설치되는 위치에서 입수관인 물유입부를 수도배관과 결합시키는 작업과, 연결배관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연결배관에 체크밸브를 결합 설치하여야하므로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파이프배관은 조인트에서 분지되어 지관을 연결시키고, 지관의 단부에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연결한다. 상기 조인트는 본체관의 양단에 너트체를 형성하며, 본체관에는 가지관을 이어주는 가지연결관을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방식은 화재시 입수측 파이프배관으로 공급되는 물(소방수)은 압력(P1)과 속도(V1)를 갖는다고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가지관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가지연결관을 통하여 연결되므로 베르누이 정리에 의하여 소방수의 이동속도(V2)는 빨라지고 수압(P2)은 낮아지는 특성을 가진다.
그런데 소방수를 저수조에서 공급하는 펌프는 동일 출력이라도 오차가 있고, 수도물을 직결하는 방식의 수도물도 수압이 각 위치마다 다른 현실에 비추어, 원하는 수압을 균일하게 헤드로 배출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갑자기 직경이 작아지는 가지연결관 및 가지관에 의하여 이동속도가 빨라지면서 와류가 발생하여 헤드로의 배출 수압이 균일하지 않도록 하는 요인이 된다. 이는, 결국 소화 능력의 저하를 초래하는 심각한 원인을 제공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간이형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장치'가 특허등록 제10-1211411호로 개시된바 있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간이형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장치는 조인트로부터 벤츄리관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정한 수압을 조절 및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저수조(10)의 물이나 수도관 직수의 물을 화재시 파이프배관(7)을 경유하여 가지관(7a) 단부에 설치한 스프링클러 헤드(60)로 공급하도록 파이프배관(7)에 설치되어 물을 가지관(7a)으로 분지시키는 조인트(80)에 연결하는 벤츄리관(90)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80)는, 양단부 내주면에 상기 파이프배관(7)가 나사결합되도록 너트체(82)가 형성되는 본체관(81); 및 상기 본체관(81)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분지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지연결관(83')을 포함하고, 상기 벤츄리관(9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지연결관(83')에 나사결합되며, 제1이동공(91)을 갖는 제1연결관(92); 및 상기 제1이동공(91)과 통하도록 이어지며 상기 가지관(7a)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제2이동공(93)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지관(7a)이 나사결합되는 제2연결관(94)을 포함하는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로써, 상기 조인트(80)로부터 상기 벤츄리관(9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여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60)에서 배출되는 물의 수압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압조절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압조절부(100)는, 상기 본체관(81)의 내부를 상기 제1이동공(91)과 연통되는 수압조절공간(112)과 상기 제1이동공(91)과 연통되지 않는 비수압조절공간(113)으로 나누는 분기판(110); 상기 분기판(110)과 상기 본체관(81) 사이를 기밀하는 기밀수단(120); 및 상기 수압조절공간(112)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벤츄리관(9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는 한편, 상기 벤츄리관(9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는 조절수단(130)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판(110)은, 상,하단부 및 전,후단부를 갖는 사각판 형태를 이루고, 상,하단부가 물의 흐름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관(81)의 중앙부에 배치되면서 일측으로 상기 비수압조절공간(113)을 형성하고 타측으로 상기 수압조절공간(112)을 형성하며, 전,후단부에 인입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관(81)의 정 중앙부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조절수단(130)의 조정에 따라 상기 수압,비수압조절공간(112,113) 중 어느 하나의 조절공간이 다른 하나의 조절공간보다 클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조인트(80)로부터 상기 벤츄리관(9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기밀수단(120)은, 내측단부가 상기 분기판(110)의 전,후단부에 연결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본체관(81)의 내주면에 접하는 한 쌍의 고무판(121)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판(121)은, 상기 인입홈(111)으로 끼움 결합되고, 상기 분기판(11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면서 양측단부 사이가 굽어지는 형태를 이루며, 본체관(81)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측단부에 원형돌기(122)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수단(130)은, 일단부가 상기 본체관(81)의 외측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관(81)을 통과하여 상기 분기판(110)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이드봉(131); 및 상기 가이드봉(131)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한편, 상기 본체관(8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131)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조절레버(132)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관(81)은, 일측 외주면에 상기 비수압조절공간(113)과 연통되는 중공(85)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레버(132)는, 외주면에 환형홈(133)이 형성되면서 상기 중공(85)을 이루는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압조절부(100)는, 상기 중공(85)을 이루는 둘레와 상기 환형홈(133) 사이를 기밀하는 기밀링(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가 특허등록 제10-1744664호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수방용 수압 조절장치는, 유입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조절함으로써 스프링클러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적정하게 조절 및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반면에, 작업자 또는 소방수가 공급되는 수방수의 수압의 높고 낮음에 따라 수압조절부(100) 조절수단(130)의 조절레버(132)를 적절하게 조절하여서 사용하여야 하는바, 미리 관리자가 대략 제공되는 소방수의 수압을 설정하여서 조절레버(132)를 조절하는 준비작업을 하던가, 아니면 화재발생시 관리자나 소방수가 직접 소방수의 수압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레버(132)를 조절하여야 하므로 그 조작이 번거롭고 이로 인해 신속한 화재진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7446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소방수의 수압에 따라서 가해지는 수압이 크면 가변되어 유로를 자동으로 줄임으로써 수압을 낮추고 가해지는 수압이 작으면 유로를 자동으로 늘림으로써 수압을 높여 자동으로 수압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스프링클러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자동으로 일정하게 조절하면서 유지시킬 수 있어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고 사용이 보다 간편한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수조의 물이나 수도관 직수의 물을 화재시 파이프배관을 경유하여 가지관 단부에 설치한 스프링클러 헤드로 공급하도록 파이프배관에 설치되어 물을 가지관으로 분지시키는 조인트를 형성하고, 상기 조인트로부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여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배출되는 물의 수압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압자동조절부를 포함하는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로써,
상기 조인트는 양단부 내주면에 상기 파이프배관이 나사결합되어 관결합되는 조인트본체와, 상기 조인트본체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분지되며 선단부 외주면에 외측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지연결관이 포함되고;
상기 수압자동조절부는,
일단은 상기 조인트의 가지연결관 선단에 맞닿아 링너트에 의해 밀봉되게 결합되는 외측나사부를 갖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 타단은 외부로 지름이 확장되는 확장관체부가 형성되며 확장관체부 타단은 동일한 지름으로 연장되고 일측선단에는 외부로 수직연장되어 타측선단면에 패킹이 안착되는 패킹홈이 형성되고 패킹홈을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좌측체결돌부를 갖는 일측작동관부가 형성되며 일측작동관부 중심부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장요부가 각각 형성되는 일측수압조절관;
타단은 상기 가지관 선단에 맞닿아 링너트에 의해 밀봉되게 결합되는 외측나사부를 갖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 일단은 외부로 지름이 확장되는 확장관체부가 형성되며 확장관체부 일단은 동일한 지름으로 연장되고 타측선단에는 외부로 수직연장되어 일측선단면에 상기 패킹이 안착되는 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 연장선상에 체결통공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우측체결돌부를 갖는 타측작동관부가 형성되며 타측작동관부 중심부 양측면에 축홈이 각각 형성되는 타측수압조절관; 및
좌우측으로 관통되고 측단면이 타원을 이루는 탄성관체로 밀봉된 상기 일타측수압조절관 내측에 위치되는 튜브몸체가 형성되고 튜브몸체 전방측 좌우측으로는 상기 일측수압조절관의 일측작동관부의 가이드장요부에 축결합되어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중심부에 관통공을 갖는 전방측슬라이딩축바가 형성되며 튜브몸체 후방측 좌우측으로는 상기 타측수압조절관의 타측작동관부의 축홈에 축결합되는 후방측고정축바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전방측슬라이딩축바의 관통공을 통해 튜브몸체 내부로 삽입되어 후방측 중앙 내측면에 고정부착된 고정판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튜브몸체 전방측 중앙 내측에 위치되는 지지판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선단부에 나사체결부를 갖는 중앙지지축이 형성되며 중앙지지축에 감겨지고 상기 고정판과 지지판 사이에 위치되어 튜브몸체를 타원으로 형성시키는 스프링이 형성되고 원형팬으로 중심에는 상기 중앙지지축의 나사체결부가 관통되어 너트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된 축봉을 갖고 다수 개의 팬날개를 갖는 회동프로펠러가 형성되어 내부 수압이 증대되면 회동프로펠러가 튜브몸체를 후방측으로 밀어 타원형상인 튜브몸체를 원형으로 바꾸면서 유로를 축소시키고 내부 수압이 감소되면 스프링은 튜브몸체 전방측과 회동프로펠러를 전방측으로 밀어 튜브몸체를 타원형상으로 바꾸면서 유로를 확장시키는 가이드탄성튜브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입되는 소방수의 수압에 따라서 가해지는 수압이 크면 가변되어 유로를 자동으로 줄임으로써 수압을 낮추고 가해지는 수압이 작으면 유로를 자동으로 늘림으로써 수압을 높여 자동으로 수압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스프링클러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자동으로 일정하게 조절하면서 유지시킬 수 있어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고 사용이 보다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의 수압 하강시 가이드탄성튜브체의 타원형 변형시의 모습을 보인 작동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의 수압 상승시 가이드탄성튜브체의 원형 변형시의 작동상태를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가 결합된 파이프배관의 천장 배치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는, 저수조(도시않음)의 물이나 수도관(도시않음) 직수의 물을 화재시 가지관(61) 단부에 설치한 스프링클러 헤드(60)로 공급하도록 설치한 파이프배관(50)과, 파이프배관(50)에 설치되어 물을 가지관(61)으로 분지시키는 조인트(40)와, 상기 조인트(40)로부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60)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여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60)에서 배출되는 물의 수압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수압자동조절부(1)로 구성된다.
상기 조인트(40)는 양단부 내주면에 상기 파이프배관(50)이 나사결합되어 관결합되는 조인트본체(41)와, 상기 조인트본체(41)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분지되며 선단부 외주면에 외측나사산(42a)이 형성되는 가지연결관(42)이 형성된다.
상기 수압자동조절부(1)는,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60)에서 배출되는 물의 수압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조인트(40)의 가지연결관(42) 선단에 고정결합되는 일측수압조절관(20)과, 타단은 가지관(61) 선단에 고정결합되어 일측수압조절관(20)과 밀폐되게 결합되는 타측수압조절관(30)과, 이타측수압조절관(20,30)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달되는 수압에 따라 타원형과 원형으로 변형되어 유로를 확장 또는 축소시켜 스프링클러 헤드(60)로 배출되는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이드탄성튜브체(10)로 구성된다.
상기 일측수압조절관(20)은, 일단은 상기 조인트(40)의 가지연결관(42) 선단에 맞닿아 링너트(23b)에 의해 밀봉되게 결합되는 외측나사부(23a)를 갖는 연결관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23) 타단은 외부로 지름이 확장되는 확장관체부(22)가 형성되며, 확장관체부(22) 타단은 동일한 지름으로 연장되고 일측선단에는 외부로 수직연장되어 타측선단면에 패킹(21d)이 안착되는 패킹홈(21c)이 형성되고 패킹홈(21c)을 관통하는 체결공(21e)이 형성된 좌측체결돌부(21b)를 갖는 일측작동관부(21)가 형성되며, 일측작동관부(21) 중심부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장요부(21a,21a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타측수압조절관(30)은, 타단은 상기 가지관(61) 선단에 맞닿아 링너트(33b)에 의해 밀봉되게 결합되는 외측나사부(33a)를 갖는 연결관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33) 일단은 외부로 지름이 확장되는 확장관체부(32)가 형성되며, 확장관체부(32) 일단은 동일한 지름으로 연장되고 타측선단에는 외부로 수직연장되어 선단면에 상기 패킹(21d)이 안착되는 패킹홈(21c)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1e) 연장선상에 체결통공(31e)이 형성되어 볼트(31f)와 너트(31g)에 의해 좌측체결돌부(21b)와 체결고정되는 우측체결돌부(31b)를 갖는 타측작동관부(31)가 형성되며, 타측작동관부(31) 중심부 양측면에 축홈(31a,31a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탄성튜브체(10)는, 좌우측으로 관통되고 측단면이 타원을 이루는 탄성관체로 밀봉된 상기 일타측수압조절관(20,30) 내측에 위치되는 튜브몸체(11)가 형성되고, 튜브몸체(11) 전방측 좌우측으로는 상기 일측수압조절관(20)의 일측작동관부(21)의 가이드장요부(21a,21aa)에 축결합되어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중심부에 관통공(12a)을 갖는 전방측슬라이딩축바(12)가 형성되며, 튜브몸체(11) 후방측 좌우측으로는 상기 타측수압조절관(30)의 타측작동관부(31)의 축홈(31a,31aa)에 축결합되는 후방측고정축바(13)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전방측슬라이딩축바(12)의 관통공(12a)을 통해 튜브몸체(11) 내부로 삽입되어 후방측 중앙 내측면에 고정부착된 고정판(14b)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튜브몸체(11) 전방측 중앙 내측에 위치되는 지지판(14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선단부에 나사체결부(14c)를 갖는 중앙지지축(14)이 형성되며, 중앙지지축(14)에 감겨지고 상기 고정판(14b)과 지지판(14a) 사이에 위치되어 내부 수압이 낮을 때 튜브몸체(11)를 타원으로 형성시키는 스프링(15)이 형성되고, 원형팬으로 중심에는 상기 중앙지지축(14)의 나사체결부(14c)가 관통되어 너트(16d)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축공(16b)이 형성된 축봉(16a)을 갖고 다수 개의 팬날개(16c)를 갖는 회동프로펠러(1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어 파이프배관(50)으로 소방수가 유입되면, 소방수는 파이프배관(50)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된 다수개 조인트(40)의 가지연결관(42)을 통해서 수압자동조절부(1)를 거치고 가지관(61)을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60)로 분출된다.
이때, 소방수가 조인트본체(41)와 가지연결관(42)을 통해 수압자동조절부(1)로 유입되면서 수압자동조절부(1) 내부의 수압이 증대되면, 이 수압은 가이드탄성튜브체(10)의 회동프로펠러를 튜브몸체(11) 후방측고정축바(13)측으로 밀게 되면서 전방측슬라이딩축바(12)는 일측수압조절관(20) 좌우측 내벽의 가이드장요부(21a,21aa)의 안내로 튜브몸체(11)의 후방측고정축바(13)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타원형상인 튜브몸체(11)는 원형으로 바꾸면서 일타측수압조절관(20,30) 내부의 유로를 축소시키게 되면서 이를 통과하면서 수압이 자동으로 줄어든 수방수가 가지관(61)을 거쳐 스프링클러 헤드(60)를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또한, 소방수가 조인트본체(41)와 가지연결관(42)을 통해 수압자동조절부(1)로 유입되면서 수압자동조절부(1) 내부의 수압이 감소되면, 가이드탄성튜브체(10)의 중앙지지축(14)에 감겨진 스프링(15)은 후방측고정축바(13)를 축으로 탄발력에 의해 튜브몸체(11) 전방측의 전방측슬라이딩축바(12)와 회동프로펠러(16)를 전방측인 가지연결관(42)측으로 밀어 튜브몸체(11)를 원형상에서 타원형상으로 바꾸면서 일타측수압조절관(20,30) 내부의 유로를 확장시킴으로써 파이프배관(50)을 통해 스프링클러 헤드(60)로 배출되는 소방수의 수압이 늘어난 상태를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1 : 수압자동조절부
10 : 가이드탄성튜브체 11 : 튜브몸체
12 : 전방측슬라이딩축바 12 : 관통공
13 : 후방측고정축바 14 : 중앙지지축
14a : 지지판 14b : 고정판
14c : 나사체결부 15 : 스프링
16 : 회동프로펠러 16a : 축봉
16b : 축공 16c : 팬날개
16d : 너트
20 : 일측수압조절관 21 : 일측작동관부
21a,21aa : 가이드장요부 21b : 좌측체결돌부
21c : 패킹홈 21d : 패킹
21e : 체결공 22 : 확장관체부
23 : 연결관부 23a : 외측나사부
23b : 링너트
30 : 타측수압조절관 31 : 타측작동관부
31a,31aa : 축홈 31b : 우측체결돌부
31c : 패킹홈 31e : 체결통공
31f : 볼트 31g : 너트
32 : 확장관체부 33 : 연결관부
33a : 외측나사부 33b : 링너트
40 : 조인트 41 : 조인트본체
42 : 가지연결관
50 : 파이프배관
60 : 스프링클러 헤드 61 : 가지관

Claims (1)

  1. 저수조의 물이나 수도관 직수의 물을 화재시 파이프배관을 경유하여 가지관 단부에 설치한 스프링클러 헤드로 공급하도록 파이프배관에 설치되어 물을 가지관으로 분지시키는 조인트를 형성하고, 상기 조인트로부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조절하여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배출되는 물의 수압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압자동조절부를 포함하는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로써,
    상기 조인트는 양단부 내주면에 상기 파이프배관이 나사결합되어 관결합되는 조인트본체와, 상기 조인트본체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분지되며 선단부 외주면에 외측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지연결관이 포함되고;
    상기 수압자동조절부는,
    일단은 상기 조인트의 가지연결관 선단에 맞닿아 링너트에 의해 밀봉되게 결합되는 외측나사부를 갖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 타단은 외부로 지름이 확장되는 확장관체부가 형성되며 확장관체부 타단은 동일한 지름으로 연장되고 일측선단에는 외부로 수직연장되어 타측선단면에 패킹이 안착되는 패킹홈이 형성되고 패킹홈을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좌측체결돌부를 갖는 일측작동관부가 형성되며 일측작동관부 중심부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장요부가 각각 형성되는 일측수압조절관;
    타단은 상기 가지관 선단에 맞닿아 링너트에 의해 밀봉되게 결합되는 외측나사부를 갖는 연결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 일단은 외부로 지름이 확장되는 확장관체부가 형성되며 확장관체부 일단은 동일한 지름으로 연장되고 타측선단에는 외부로 수직연장되어 일측선단면에 상기 패킹이 안착되는 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 연장선상에 체결통공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우측체결돌부를 갖는 타측작동관부가 형성되며 타측작동관부 중심부 양측면에 축홈이 각각 형성되는 타측수압조절관; 및
    좌우측으로 관통되고 측단면이 타원을 이루는 탄성관체로 밀봉된 상기 일타측수압조절관 내측에 위치되는 튜브몸체가 형성되고 튜브몸체 전방측 좌우측으로는 상기 일측수압조절관의 일측작동관부의 가이드장요부에 축결합되어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중심부에 관통공을 갖는 전방측슬라이딩축바가 형성되며 튜브몸체 후방측 좌우측으로는 상기 타측수압조절관의 타측작동관부의 축홈에 축결합되는 후방측고정축바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전방측슬라이딩축바의 관통공을 통해 튜브몸체 내부로 삽입되어 후방측 중앙 내측면에 고정부착된 고정판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튜브몸체 전방측 중앙 내측에 위치되는 지지판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선단부에 나사체결부를 갖는 중앙지지축이 형성되며 중앙지지축에 감겨지고 상기 고정판과 지지판 사이에 위치되어 튜브몸체를 타원으로 형성시키는 스프링이 형성되고 원형팬으로 중심에는 상기 중앙지지축의 나사체결부가 관통되어 너트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된 축봉을 갖고 다수 개의 팬날개를 갖는 회동프로펠러가 형성되어 내부 수압이 증대되면 회동프로펠러가 튜브몸체를 후방측으로 밀어 타원형상인 튜브몸체를 원형으로 바꾸면서 유로를 축소시키고 내부 수압이 감소되면 스프링은 튜브몸체 전방측과 회동프로펠러를 전방측으로 밀어 튜브몸체를 타원형상으로 바꾸면서 유로를 확장시키는 가이드탄성튜브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KR1020170170939A 2017-12-13 2017-12-13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KR101856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939A KR101856975B1 (ko) 2017-12-13 2017-12-13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939A KR101856975B1 (ko) 2017-12-13 2017-12-13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975B1 true KR101856975B1 (ko) 2018-05-14

Family

ID=6218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939A KR101856975B1 (ko) 2017-12-13 2017-12-13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97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3432A (zh) * 2019-08-30 2019-11-12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建筑施工工地的消防装置
CN112652503A (zh) * 2019-10-10 2021-04-13 侯耀淞 压差开关
KR102269631B1 (ko) * 2021-01-29 2021-06-25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건축 소방용 간이형 수압조절장치
KR102286659B1 (ko) * 2021-02-25 2021-08-05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소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KR102298619B1 (ko) * 2021-03-10 2021-09-06 주식회사 희승이엔지 건축물 소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구
CN113483107A (zh) * 2021-05-31 2021-10-08 李丽平 一种水泵内部水压突增时自动调节装置
CN114847130A (zh) * 2022-05-26 2022-08-05 河南省景观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均匀出水的节水型滴灌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9575A (ja) * 1990-12-18 1992-08-10 Nohmi Bosai Ltd 定流量弁
JP3001930U (ja) * 1994-03-11 1994-09-06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用分岐継手
JPH0642684Y2 (ja) * 1988-04-30 1994-11-09 株式会社立売堀製作所 消火栓用減圧弁
JP2000222041A (ja) * 1999-01-29 2000-08-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定流量装置
JP2002282377A (ja) * 2001-03-27 2002-10-02 Hatsuta Seisakusho Co Ltd 消火設備の定流量型放出ヘッド
KR101211411B1 (ko) * 2010-11-29 2012-12-12 주식회사 영신코아스 간이형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장치
KR20140097979A (ko) * 2013-01-30 2014-08-07 에이 씨 이 가부시키가이샤 배기 압력/유량 제어기
KR101754379B1 (ko) * 2016-12-20 2017-07-06 세종종합기술주식회사 소방용 수압 조절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684Y2 (ja) * 1988-04-30 1994-11-09 株式会社立売堀製作所 消火栓用減圧弁
JPH04219575A (ja) * 1990-12-18 1992-08-10 Nohmi Bosai Ltd 定流量弁
JP3001930U (ja) * 1994-03-11 1994-09-06 千住スプリンクラー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用分岐継手
JP2000222041A (ja) * 1999-01-29 2000-08-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定流量装置
JP2002282377A (ja) * 2001-03-27 2002-10-02 Hatsuta Seisakusho Co Ltd 消火設備の定流量型放出ヘッド
KR101211411B1 (ko) * 2010-11-29 2012-12-12 주식회사 영신코아스 간이형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장치
KR20140097979A (ko) * 2013-01-30 2014-08-07 에이 씨 이 가부시키가이샤 배기 압력/유량 제어기
KR101754379B1 (ko) * 2016-12-20 2017-07-06 세종종합기술주식회사 소방용 수압 조절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01930 U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3432A (zh) * 2019-08-30 2019-11-12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建筑施工工地的消防装置
CN110433432B (zh) * 2019-08-30 2024-02-06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建筑施工工地的消防装置
CN112652503A (zh) * 2019-10-10 2021-04-13 侯耀淞 压差开关
KR102269631B1 (ko) * 2021-01-29 2021-06-25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건축 소방용 간이형 수압조절장치
KR102286659B1 (ko) * 2021-02-25 2021-08-05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소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KR102298619B1 (ko) * 2021-03-10 2021-09-06 주식회사 희승이엔지 건축물 소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구
CN113483107A (zh) * 2021-05-31 2021-10-08 李丽平 一种水泵内部水压突增时自动调节装置
CN113483107B (zh) * 2021-05-31 2023-11-24 国网(天津)综合能源服务有限公司 一种水泵内部水压突增时自动调节装置
CN114847130A (zh) * 2022-05-26 2022-08-05 河南省景观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均匀出水的节水型滴灌装置
CN114847130B (zh) * 2022-05-26 2023-12-19 河南省景观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均匀出水的节水型滴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975B1 (ko)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US9259746B2 (en) Adjustable smooth bore nozzle
US8002203B2 (en) Fire fighting nozzle and method including pressure regulation, chemical and eduction features
US6749027B1 (en) Fire fighting nozzle and method including pressure regulation, chemical and education features
KR101744664B1 (ko) 소방용 수압 조절장치
KR101211411B1 (ko) 간이형 스프링클러 수압 조절장치
JP5997032B2 (ja) 放水圧力制御装置
KR102301091B1 (ko) 자성을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EP1163931A2 (en) System for automatic self-proportioning of foam concentrate into fire fighting fluid variable flow conduit
JP2005052631A (ja) 消防ホース
KR20130046053A (ko)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한 소방용 감압 밸브
US6604548B2 (en) Safety valve
KR102269631B1 (ko) 건축 소방용 간이형 수압조절장치
KR102286659B1 (ko) 건축물 소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장치
JP2010029573A (ja) シャワー装置
CA2327476C (en) Improved fire fighting nozzle and method including pressure regulation, chemical and eduction features
US20190168039A1 (en) Air-pressure controlled piston and valve configuration
US7464766B2 (en) Ranger/hybrid automatic self-metering nozzle, with ratio-selectable and flow meter features
KR102615800B1 (ko) 유량 조절이 가능한 소화용 모니터
JP5997033B2 (ja) 放水圧力制御装置
JP2022039214A (ja) 泡消火設備
KR102298619B1 (ko) 건축물 소방 스프링클러 수압조절구
JP2003079757A (ja) 消火ホース用分岐装置
EP1328353B1 (en) Improved fire fighting nozzle and method including pressure regulation, chemical and eduction features
US5064392A (en) Self-propelled floatable fire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