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221B1 - 차압 유량 조절 밸브 - Google Patents

차압 유량 조절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221B1
KR101568221B1 KR1020150091098A KR20150091098A KR101568221B1 KR 101568221 B1 KR101568221 B1 KR 101568221B1 KR 1020150091098 A KR1020150091098 A KR 1020150091098A KR 20150091098 A KR20150091098 A KR 20150091098A KR 101568221 B1 KR101568221 B1 KR 101568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ressure
stem
passage
pressur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철
Original Assignee
이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철 filed Critical 이명철
Priority to KR102015009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0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reacting to pressure an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16K17/22Excess-flow valves actuated by the difference of pressure between two places in the flow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3Specially adapted for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16K31/126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one side of the diaphragm being spring 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16K31/126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one side of the diaphragm being acted upon by the circulat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afety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압 유량 조절 밸브는,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제1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통로, 그리고 상기 통로와 연통되어 일측이 개방된 작동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작동공간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공간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작동포트; 상기 작동포트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통로를 향해 승강하여 상기 통로를 개폐 가능한 스템; 상기 작동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포트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제1 및 제2 압력공간으로 구획되는 압력공간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제2 유체를 상기 제1 압력공간에 공급하는 보조공급구를 가지는 챔버; 상기 스템에 연결되어 상기 스템과 함께 승강 가능하며, 상기 압력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공간을 상기 제1 및 제2 압력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이아프램; 그리고 상기 작동포트 및 상기 챔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제2 압력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제1 압력공간과 상기 제2 압력공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스템과 함께 승강한다.

Description

차압 유량 조절 밸브{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차압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수관 상에 설치되어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유량 변화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차압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이나 대형건물에서 사용되는 난방 시스템은 각 세대별로 독립적으로 설치된 보일러와 같은 열원에 의해 유체를 가열한 후 이를 이용하여 난방을 실시하는 개별난방과, 세대 외부에 설치된 외부 열원에 의해 유체를 가열한 후 가열된 유체를 각 세대별로 공급받아 난방을 실시하는 집단난방으로 구별될 수 있다. 다시, 집단난방은 공동주택 단지 또는 대형건물 내의 중앙 보일러와 같은 열원을 사용하는 중앙난방과, 공동주택 단지 외부의 지역 발전소와 같은 열원을 사용하는 지역난방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러한 난방 시스템은 다분기의 폐회로배관으로 이루어진 난방순환배관 상에 정유량밸브류를 설치하여 각 분기배관에 그 개폐율과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유량을 흐르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난방순환배관의 각 분기배관은 다른 분기배관의 개폐상태에 따라 유량이 변동하게 된다.
이때, 정유량밸브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된 차압 유량 조절 밸브는 부하기기의 리턴배관에 설치하여 부하기기의 적정 차압을 유지시킴으로써 각 분기배관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특히 유량의 변동에 따른 유체적 상황을 제어할 수 없는 정유량밸브시스템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부하내의 유체적 상황에 따라 요구되는 차압 및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착안된 밸브구조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5-0018087호(2015.2.23.)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환수되는 유체의 유량을 안정적으로 제어 가능한 차압 유량 조절 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수관로 내의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소음을 감소하고 캐비테이션을 방지할 수 있는 차압 유량 조절 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압 유량 조절 밸브는,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제1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통로, 그리고 상기 통로와 연통되어 일측이 개방된 작동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작동공간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공간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작동포트; 상기 작동포트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통로를 향해 승강하여 상기 통로를 개폐 가능한 스템; 상기 작동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포트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제1 및 제2 압력공간으로 구획되는 압력공간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제2 유체를 상기 제1 압력공간에 공급하는 보조공급구를 가지는 챔버; 상기 스템에 연결되어 상기 스템과 함께 승강 가능하며, 상기 압력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공간을 상기 제1 및 제2 압력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이아프램; 그리고 상기 작동포트 및 상기 챔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제2 압력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제1 압력공간과 상기 제2 압력공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스템과 함께 승강한다.
상기 스템은 내부 중공형이며, 상기 통로를 향해 유입된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제2 압력공간을 향해 배출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차압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챔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를 향해 상기 스템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작동포트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스템이 승강 가능한 승강홀을 가지는 스템가이드; 상기 다이아프램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템과 함께 승강 가능하며, 내부에 나사홀이 형성되는 스핀들; 그리고 상기 나사홀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 가능하며, 상단에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 지지하는 탄성부재가이드를 구비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상기 몸체의 내면으로부터 하향경사진 하향돌출부 및 상기 몸체의 내면으로부터 상향경사진 상향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차압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통로에 대향되도록 형성된 상기 몸체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스핀들하우징; 상기 스핀들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승강 가능한 조절스핀들; 그리고 상기 조절스핀들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통로를 향해 이동 가능한 디스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통로는 상기 스템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구 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과 환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통해 통로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온수공급관로에 대한 유량이 설정된 온수분배기 장치에서 일부 온수관로가 폐쇄되는 경우, 공급되는 유량 전체가 개방된 온수관로를 통과한다. 이로 인해, 기존에 개방된 온수관로 내 유속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부터 진동에 의한 소음의 증가하고, 유속이 극단적으로 빨라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압 유량 조절 밸브가 설치된 온수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압 유량 조절 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차압 유량 조절 밸브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차압 유량 조절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4에 도시한 차압 유량 조절 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압 유량 조절 밸브(100)가 설치된 온수분배기(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수관(120)에는 환수관(120)과 공급관(110) 사이의 유체 압력 차이에 의해 작동되는 차압 유량 조절 밸브(10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압 유량 조절 밸브(100)는 유니온니플(도 3의 4)을 매개시켜 유니온너트(도 3의 5)를 조이는 등의 방식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공급관(110)은 복수의 온수공급처(예를 들어, 각 방과 거실, 주방 등)로 가열된 유체를 공급하여 열을 제공하는 온수관로들(150)이 포함되며, 각각의 온수관로들(150) 상에는 온수관로(150)를 개폐 가능한 밸브들(160)이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온수관로들(150)을 통해 공급된 유체는 온수공급처를 통과하여 환수관(120)으로 환수된다. 차압 유량 조절 밸브(100)는 환수관(120)을 통해 환수되는 유체가 각각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구(도 4의 1)와 유출구(도 4의 2)를 가진다. 또한, 차압 유량 조절 밸브(100)는 공급관(110)에 연결된 보조 공급관(130)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보조 유입구(도 4의 22)를 더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압 유량 조절 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차압 유량 조절 밸브의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차압 유량 조절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포트(12) 및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포트(14)를 포함한다. 몸체(10)는 몸체(10)의 일측(예를 들어, 상부)을 향해 연장되는 작동포트(15)가 연결되며, 작동포트(15)는 유입포트(12)와 배출포트(14) 사이에 배치된다.
유입포트(12)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를 가지며, 배출포트(14)는 유입구(1)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2)를 가진다. 유입포트(12)와 배출포트(14)는 작동포트(15)를 기준으로 각각 반대쪽에 배치되며, 유입포트(12) 및 배출포트(14)는 나사체결방식을 통해 별도의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통로(13)는 몸체(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ㄴ'자로 형성된 하향돌출부(17)(수직부와 수평부를 가짐)와 몸체(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ㄴ'자로 형성된 상향돌출부(18)(수직부와 수평부를 가짐)에 의해 형성된다.
몸체(10)는 유입구(1)와 유출구(2) 사이에 위치하는 작동공간(16)을 가지며, 작동공간(16)은 통로(13)와 연통되어 작동포트(15)를 향해 개방된다. 즉, 유입포트(12) 및 배출포트(14)는 작동공간(16)을 통해 연통되며, 작동포트(15)는 유입포트(12) 및 배출포트(14)에 대체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또한, 차압 유량 조절 밸브(100)는 작동포트(15)의 상부에 연결되는 챔버(20)를 더 포함한다. 커버(30)는 챔버(2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여 작동공간(16)과 연통되는 압력공간(25)을 형성할 수 있다. 압력공간(25)의 횡단면은 작동공간(16)의 횡단면보다 클 수 있다.
스템 가이드(41)는 작동포트(15)의 내부에 설치된다. 스템 가이드(41)는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을 가지는 내부 중공형이며, 홀의 내주면에 오링(42)이 개재된 상태로 챔버(20) 및 작동포트(15)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홀(43)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스템(45)은 스템 가이드(41)의 홀에 삽입되어 승강할 수 있다. 커버(30)는 공급관(110)에 연결된 보조 공급관(130)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보조 유입구(22)를 가진다.
다이아프램(50)은 스템(45)과 스핀들(52)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압력공간(25)에 배치된다. 즉, 다이아프램(50)은 압력공간(25)을 제1 압력공간(25a) 및 제2 압력공간(25b)으로 구획하며, 제1 압력공간(25a) 및 제2 압력공간(25b)의 압력차에 따라 스템(45)과 함께 승강함으로써 스템(45)과 통로(1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통로(13)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차압 유량 조절 밸브(100)는 커버(30)의 상부에 연결되는 외부 챔버(60)와, 스템(45)을 상방측으로 탄성지지하도록 외부챔버(60)에 내장된 탄성부재(65)를 더 포함한다. 탄성부재(65)는 압축스프링(compression spring)일 수 있다.
스템(45)의 상부에는 스핀들(52)이 연결되며, 연결축(70)은 스핀들(52)에 형성된 나사홀(53)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탄성부재가이드(71)는 연결축(70)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편(70a)에 지지되어 탄성부재(65)를 지지한다. 연결축(70)의 회전에 의해 탄성부재(65)의 탄성력의 세기는 조절된다.
예를 들어, 연결축(70)을 회전하여 연결축(70)의 상단이 하강할 경우, 탄성부재가이드(71)가 하강하여 탄성부재가이드(71)에 의해 압축상태인 탄성부재(65)가 더욱 압축되며, 이로 인해 탄성력은 증가한다. 반대로, 연결축(70)을 회전하여 연결축(70)의 상단이 상승할 경우, 탄성부재가이드(71)가 상승하여 탄성부재(65)의 압축상태가 느슨해지며, 이로 인해 탄성력은 감소한다.
한편, 와셔(37)는 다이아프램(5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다이아프램(50)을 스템(45)과 스핀들(52) 사이에 고정한다.
연결축(70)은 내부에 수직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조절홀(74)을 가지며, 조절홀(74)은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절축(75)은 조절홀(74)에 삽입되며, 조절축의 외주면은 조절홀(74)과 대응되는 다각형상을 가진다. 즉, 조절축(75)의 회전에 의해 연결축(70)은 스핀들(52)로부터 승강 가능하며, 탄성부재(65)는 연결축(70)에 연결된 탄성부재가이드(71)의 승강에 의해 탄성력의 세기가 조절된다.
작동포트(15)는 유입구(1)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제2 압력공간(25b)으로 공급하는 공급통로(19)를 가지며, 공급통로(19)는 보조유입구(22)와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즉, 공급통로(19)는 유입구(1) 및 제2 압력공간(25b)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챔버(20)는 상부측에 구비된 상부플랜지(21)에 커버(30)의 하부플랜지(31)가 맞대어진 상태로 체결부재(33)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포트(15)의 공급통로(19)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제2 압력공간(25b)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스템(45)은 하부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제2 압력공간(25b)으로 전달하도록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들(45a)을 가진다.
다이아프램(50)은 가장자리가 챔버(20)의 내부 단턱(23)에 놓여진 상태에서 커버(30)로 고정되어 챔버(20)와 커버(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압력공간(25a)과 제2 압력공간(25b)은 서로 차단된다. 커버(30)는 일측에 형성되어 보조 공급관(130)으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유입되는 보조 유입구(22)를 가진다. 다이아프램(50)은 챔버(20) 내에서 제1 압력공간(25a)과 제2 압력공간(25b)의 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 하로 변형됨으로써 유체의 유량 변동을 최소화시킨다. 따라서, 스템(45)은 다이아프램(50)의 압력 차이에 따라 다이아프램(50)과 함께 승강하여 통로(13)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커버(30)는 수직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관통공(36)이 형성되고, 커버(30)의 상부에 관통공(36) 둘레를 따라 원통형의 체결구(38)가 돌출 형성된다. 체결구(38)의 내주면과 외부챔버(60)의 외주면 사이에 오링(42)이 개재된 상태로 외부챔버(60)가 체결구(38)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65)는 커버(30)의 상부측에 구비된 단턱(39)에 의해 하단이 지지된 상태로 외부챔버(60)의 내부에 수용된다.
몸체(10)의 통로(13) 하부측에는 유량밸브(80)가 설치될 수 있다. 유량밸브(80)는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홀에 나사체결되는 스핀들하우징(81), 스핀들하우징(81)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 조절스핀들(82), 조절스핀들(82)의 선단측에 구비되어 통로를 개방 혹은 폐쇄시키도록 하는 디스크(85)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차압 유량 조절 밸브(100)는 유입구(1)와 통로(13) 사이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도시안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차압 유량 조절 밸브(100)는 유입포트(12)와 배출포트(14)에 각각 설치되어 유입구(1)와 유출구(2)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도시안함)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4에 도시한 차압 유량 조절 밸브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온수분배기(200)는 각 온수공급처별로 소정의 유량을 설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온수관로(150a, 150b, 150c, 150d)는 거실, 안방, 작은방, 주방에 공급될 수 있으며, 해당 온수관로들(150)의 유량은 각각 2.5 L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공급되는 공급관(110)의 유량은 이들의 합인 10 LPM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다이아프램(50)의 면적, 예컨대 유효면적(Aeff)과, 다이아프램(50)의 상, 하부에 각각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다이아프램(50)과 체결된 스템(45)을 하부로 밀어내는 힘은 Fp = Aeff*ㅿp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65)의 탄성계수(k) 및 탄성부재(65)의 압축된 거리(d)를 이용하여 스템(45)을 상부로 밀어내는 힘(Fs)은 Fs=k*d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스템(45)은 다이아프램(50)에 작용하는 두 힘(Fp, Fs)의 차이에 의해서 상하로 움직여지고, 그에 따라 통로(13)가 스템(45)에 의해 개폐되거나 유체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온수관로들(150)을 모두 개방할 경우, 공급관(110)에 연결된 보조공급관(130)을 통해 제1 압력공간(25a)으로 유체가 유입되고, 환수관(120)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제2 압력공간(25b)으로 유입되므로, 다이아프램(50)의 상, 하부에 각각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가 최소화되어 Fp가 감소하며, Fs의 작용에 의해 스템(45)은 최대한 높게 위치하여 스템(45)과 통로(13) 사이의 간격이 극대화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부분적으로 온수관로가 폐쇄될 경우, 차압 유량 조절 밸브(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온수관로(150a)를 폐쇄하고, 제2 내지 제4 온수관로(150b, 150c, 150d)를 개방할 경우, 제1 압력공간(25a)으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에 비해 제2 압력공간(25b)으로 유입된 유체의 압력이 작다. 즉, 탄성부재(65)에 의한 힘(Fs)이 일정한 크기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1 및 제2 압력공간(25a, 25b)의 차압에 의한 힘(Fp)은 도 5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증가된 값을 가진다.
즉, 제1 압력공간(25a)의 압력과 제2 압력공간(25b)의 압력의 차이가 도 5와 비교하여 증가된 상태이며, 이 경우 일정한 크기의 탄성부재(65)에 의한 힘(Fs)과 상대적으로 증가한 차압에 의한 힘(Fp)의 차이에 의해 스템(45)과 통로(13) 사이의 간격이 감소한 상태에서 유체가 통과한다. 이 경우, 다이아프램(50)은 도 5에 비해 하강하며, 그에 따라 다이아프램(50)과 스템(45)이 함께 하강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온수관로(150a, 150b)를 폐쇄하고 제3 및 제4 온수관로(150c, 150d)를 개방할 경우, 앞서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작동원리로 다이아프램(50)은 도 6에 비해 하강하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온수관(150a, 150b, 150c)을 폐쇄하고 제4 온수관로(150d)를 개방할 경우, 도 7에 비해 하강한다. 즉, 다이아프램(50)과 연결된 스템(45)이 함께 상승하여 스템(45)과 통로(1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므로써 유체의 유량을 조절한다.
도 9는 제1 내지 제4 온수관로가 모두 폐쇄된 상태에서의 차압 유량 조절 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압력공간(25a)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과 제2 압력공간(25b)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의 차압에 의한 힘(Fp)은 최대가 되며, 이 경우 일정한 크기의 탄성부재(65)에 의한 힘(Fs)과 상대적으로 증가한 차압에 의한 힘(Fp)의 차이에 의해 통로(13)가 전면적으로 폐쇄된다.
즉, 본 발명은 공급관(11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과 환수관(12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통해 스템(45)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온수공급관로(150)들에 대한 유량이 설정된 온수분배기(200)에서 일부 온수관로가 폐쇄되는 경우, 공급되는 유량 전체가 개방된 온수관로를 통과한다. 이로 인해, 개방된 온수관로 내 유속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부터 진동에 의한 소음이 증가하고, 유속이 극단적으로 빨라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차압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 유입구 2 : 유출구
10 : 몸체 12 : 유입포트
14 : 배출포트 15 : 작동포트
16 : 작동공간 19 : 공급통로
20 : 챔버 22 : 보조유입구
25 : 압력공간 30 : 커버
45 : 스템 50 : 다이아프램
60 : 외부챔버 65 : 탄성부재
70 : 연결축 80 : 유량밸브
100 : 차압 유량 조절 밸브 110 : 공급관
120 : 환수관 130 : 보조 공급관

Claims (5)

  1.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제1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통로, 그리고 상기 통로와 연통되어 일측이 개방된 작동공간을 가지는 몸체;
    상기 작동공간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공간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작동포트;
    상기 작동포트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통로를 향해 승강하여 상기 통로를 개폐 가능한 스템;
    상기 작동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포트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2 압력공간을 내부에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는 챔버;
    제1 압력공간을 내부에 가지며, 상기 챔버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압력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그리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제2 유체를 상기 제1 압력공간에 공급하는 보조유입구를 가지는 커버;
    상기 스템에 연결되어 상기 스템과 함께 승강 가능하며, 상기 제1 압력공간과 상기 제2 압력공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압력공간을 구획하는 다이아프램; 및
    상기 작동포트 및 상기 챔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제2 압력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제1 압력공간과 상기 제2 압력공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스템과 함께 승강하는, 차압 유량 조절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내부 중공형이며, 상기 통로를 향해 유입된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제2 압력공간을 향해 배출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가지는, 차압 유량 조절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작동포트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스템이 승강 가능한 승강홀을 가지는 스템가이드;
    상기 다이아프램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템과 함께 승강 가능하며, 내부에 나사홀이 형성되는 스핀들; 및
    상기 나사홀에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 가능하며, 상단에 형성된 탄성부재가이드를 구비하는 연결축;
    상기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가이드에 의해 상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인, 차압 유량 조절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몸체의 내면으로부터 하향경사진 하향돌출부 및 상기 몸체의 내면으로부터 상향경사진 상향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차압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통로에 대향되도록 형성된 상기 몸체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스핀들하우징;
    상기 스핀들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승강 가능한 조절스핀들; 및
    상기 조절스핀들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통로를 향해 이동 가능한 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차압 유량 조절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통로는 상기 스템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구 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차압 유량 조절 밸브.
KR1020150091098A 2015-06-26 2015-06-26 차압 유량 조절 밸브 KR101568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098A KR101568221B1 (ko) 2015-06-26 2015-06-26 차압 유량 조절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098A KR101568221B1 (ko) 2015-06-26 2015-06-26 차압 유량 조절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221B1 true KR101568221B1 (ko) 2015-11-11

Family

ID=5460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098A KR101568221B1 (ko) 2015-06-26 2015-06-26 차압 유량 조절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2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488B1 (ko) * 2016-01-29 2016-10-27 주식회사 신동테크 스마트 복합밸브
KR101830166B1 (ko) * 2017-04-11 2018-02-21 한국본산 주식회사 밸브용 다이아프램식 액추에이터
KR101850774B1 (ko) * 2016-07-01 2018-04-20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간격조절부가 구비된 공압제어밸브
KR20190002601U (ko) * 2018-04-10 2019-10-18 제이에스이엔지 주식회사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
KR102304433B1 (ko) * 2020-06-15 2021-09-23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차압 유량 조절 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3767A (ja) 2010-09-28 2012-04-12 Nok Corp 弁装置
KR101139332B1 (ko) 2011-07-06 2012-04-26 (주)상신 자동 정유량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3767A (ja) 2010-09-28 2012-04-12 Nok Corp 弁装置
KR101139332B1 (ko) 2011-07-06 2012-04-26 (주)상신 자동 정유량 밸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488B1 (ko) * 2016-01-29 2016-10-27 주식회사 신동테크 스마트 복합밸브
KR101850774B1 (ko) * 2016-07-01 2018-04-20 엠티에이치콘트롤밸브(주) 간격조절부가 구비된 공압제어밸브
KR101830166B1 (ko) * 2017-04-11 2018-02-21 한국본산 주식회사 밸브용 다이아프램식 액추에이터
KR20190002601U (ko) * 2018-04-10 2019-10-18 제이에스이엔지 주식회사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
KR200490291Y1 (ko) 2018-04-10 2019-10-23 제이에스이엔지 주식회사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
KR102304433B1 (ko) * 2020-06-15 2021-09-23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차압 유량 조절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221B1 (ko) 차압 유량 조절 밸브
KR100635107B1 (ko) 차압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온수분배기 장치
US10203061B2 (en) Fluid regulator with field convertible slam-shut device
US9354639B2 (en) Balanced regulator with inlet pressure sensing tube
EP2417398A1 (en) Valve with a delta p-function and a flow limiting function
KR20190052662A (ko) 차압유량조절밸브
JP5232851B2 (ja) 供給流量調節器の通気口
JP6595338B2 (ja) 自動調心弁体
KR101178543B1 (ko) 차압유량조절밸브
KR101437080B1 (ko) 과압으로 인한 다이아프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감압밸브
KR200464589Y1 (ko) 볼 타입 앵글밸브 일체형 감압밸브
KR101956546B1 (ko) 가변식 정유량밸브
KR101994110B1 (ko) 역압방지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컨트롤 밸브
KR100921663B1 (ko) 자동수압조절밸브
KR100644378B1 (ko) 압력제어기능을 갖는 형상기억합금과 이중포핏을 이용한자동온도 유량조절장치
EP3669106A1 (en) Control valve for heating and/or cooling system
KR100561208B1 (ko) 릴리프 및 감압 기능을 가지는 파일럿 밸브
KR101663070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KR101721951B1 (ko) 차압 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수 분배 장치
KR20130046052A (ko)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TWI850437B (zh) 減壓閥、用於減壓閥之上層隔膜追加單元
KR100835726B1 (ko) 비례제어식 차압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온수분배기의 차압조절시스템
KR200448694Y1 (ko) 복합 정유량 밸브
KR101029685B1 (ko) 압력조절변이 구비된 복합밸브
KR101978164B1 (ko)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