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601U -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601U
KR20190002601U KR2020180001580U KR20180001580U KR20190002601U KR 20190002601 U KR20190002601 U KR 20190002601U KR 2020180001580 U KR2020180001580 U KR 2020180001580U KR 20180001580 U KR20180001580 U KR 20180001580U KR 20190002601 U KR20190002601 U KR 201900026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ing
return
outlet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291Y1 (ko
Inventor
김민좌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에스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1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91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6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8Drai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일러의 난방출수관에는 드레인밸브가 형성된 드레인관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드레인관 타단에는 난방수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형성한 난방출수관부와, 상기 난방출수관부의 스트레이너에는 출수압력계가 형성된 출수압력관의 일단을 연결하고 형성한 출수압력측정부와, 상기 출수압력측정부의 출수압력관 타단에는 액셀커플링출수밸브의 일단을 연결하고 액셀커플링출수밸브 타단에는 출수연결관을 연결한 출수조절부로 형성되는 난방출수수단과, 보일러의 난방환수관에 환수압력계가 형성된 환수압력관의 일단을 연결한 난방환수관부와, 상기 난방환수관부의 환수압력관 타단에는 액셀커플링환수밸브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액셀커프링환수밸브의 타단에는 환수연결관을 연결한 환수조절부로 형성된 난방환수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Hot water circulation pipe assembly for boiler}
본 고안은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일러에 형성된 난방출수관 및 난방환수관과 난방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입,환수 밸브와 압력계 및 드레인 밸브는 물론 스트레이너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연결한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배관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고 누수검사를 마친 상태의 배관조립체를 조립할 수 있어 배관작업 시 누수 발생을 방지하고 숙련공이 아니라도 쉽게 작업을 할 수 있는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와 같은 난방설비는 가스나 기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이로부터 얻어지는 열원으로 난방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 연결된 공급관에 공급분배기가 연결되고, 보일러에 연결된 회수관에 회수분배기가 연결되는 난방용수분배장치와, 상기 난방용수분배장치의 공급분배기와 회수분배기의 사이에 연결되어 각 난방영역의 바닥에 매설된 난방배관과, 상기 난방배관이 매설된 각 난방영역의 온도를 조절 및 설정하기 위한 온도조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일러는 온도조절기의 설정상태에 따라 보일러가 동작되어 난방용수를 제공하게 되고 보일러에서 제공된 난방용수는 난방용수분배장치를 통하여 각 난방영역에 매설된 난방배관으로 보내져 난방에 사용된 후 보일러로 다시 회수되고 순환 처리되어지는데, 난방에 사용되는 난방용수의 순환은 근본적으로 온도조절기의 조절 및 설정상태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온도조절기는 난방 용수온도가 설정되면, 보일러는 난방용수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동작되어 난방용수를 가열하게 되고 출탕수 온도와 환수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보일러의 가동이 정지된다. 가열배관의 양단은 각각 보일러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일단은 보일러 본체로부터 온수를 배출시키는 배출유로 이용되고 타단은 열기가 식은 온수를 보일러 본체로 흡입시키는 흡입유로로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일러에 형성된 난방출수관 및 난방환수관과 난방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작업은 좁은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어 작업성능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정밀한 작업을 하기 어려워 배관작업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다양한 부품을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게 때문에 작업공수가 증가하며 숙련공이 아니면 보일러를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일러 하부배관용 배관밸브가 실용신안등록 제387824호로 제안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보일러 하부배관용 배관밸브는 개별보일러를 설치할 경우에 개별보일러가 배관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 설치됨으로써 발생되는 높낮이로 인하여 보일러와 배관의 연결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배관이 연결되는 밸브의 슬리브를 길게 형성하여 하부배관이 밸브의 슬리브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거리 빠지면서 연결이 가능토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하부배관용 배관밸브는 하부배관의 길이만 조절할 뿐 배관작업시 사용되는 부품인 입,환수 밸브와 압력계 및 드레인 밸브는 물론 스트레이너를 연결하는 연결관이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작업공수가 줄어들지 않아 작업성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일러의 배관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입,환수 밸브와 압력계 및 드레인 밸브는 물론 스트레이너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연결한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배관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고 누수검사를 마친 상태의 배관조립체를 조립할 수 있어 배관작업 시 누수 발생을 방지하고 숙련공이 아니라도 쉽게 작업을 할 수 있는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일러의 난방출수관에는 플렉시블관으로 연결되는 드레인밸브가 형성된 드레인관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드레인관 타단에는 난방수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형성한 난방출수관부와, 상기 난방출수관부의 스트레이너에는 출수압력계가 형성된 출수압력관의 일단을 연결하고 형성한 출수압력측정부와, 상기 출수압력측정부의 출수압력관 타단에는 순환펌프를 연결하고 순환펌프 타단에는 액셀커플링출수밸브의 일단을 연결하고 액셀커플링출수밸브 타단에는 출수연결관을 연결한 출수조절부로 형성되는 난방출수수단과, 보일러의 난방환수관에 환수압력계가 형성된 환수압력관의 일단을 연결한 난방환수관부와, 상기 난방환수관부의 환수압력관 타단에는 액셀커플링환수밸브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액셀커프링환수밸브의 타단에는 환수연결관을 연결한 환수조절부로 형성된 난방환수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난방출수수단의 드레인관 양단과 출수압력관 양단과 출수연결관의 일단과 난방입수수단의 환수압력관 양단과 환수연결관 일단에는 닛플이 연결되며 상기 난방출수수단의 드레인관과 난방환수수단의 환수압력관은 난방배관의 위치에 따라 연결이 용이하도록 직선 또는 "ㄱ"자형 또는 "ㄱ"자와 "ㄴ"자가 수평으로 연결된 굴곡형 또는 수평 "ㄴ"자와 수직 "ㄱ"자가 연결된 입체굴곡형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일러의 배관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입,환수 밸브와 압력계 및 드레인 밸브는 물론 스트레이너를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연결한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배관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고 누수검사를 마친 상태의 배관조립체를 조립할 수 있어 배관작업 시 누수 발생을 방지하고 숙련공이 아니라도 쉽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의 난방출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의 난방환수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의 절곡된 난방출수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의 절곡된 난방환수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의 입체굴곡된 난방방출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의 입체굴곡된 나방환수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의 보일러 적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의 난방출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의 난방환수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는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출수수단(100)과, 난방환수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난방출수수단(100)은 난방수의 출수를 조절하는 난방출수관부(10)와, 출수압력측정부(20)와, 출수조절부(30)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난방출수수단(100)은 보일러의 난방출수관(11)의 위치에 따라 연결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관(P)에 연결되어 출수되는 난방수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난방출수관부(10)는 난방수가 통과하는 양단에 닛플(60)을 형성한 드레인관(13)에 드레인밸브(12)를 형성하여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난방수에 포함된 스케일과 같은 불순물은 스트레이너(14)를 통과할 때 망에 걸림되도록 한다.
상가와 같은 난방출수관부(10)의 스트레이너(14)에는 출수압력측정부(20)를 연결한다.
출수압력측정부(20)는 스트레이너(14)의 타단에 양단으로 닛플(60)이 형성되고 출수압력계(21)가 형성된 출수압력관(22)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와 같은 출수압력관(22)의 타단에는 출수조절부(10)를 연결한다.
상기의 출수조절부(10)는 출수압력관(22) 타단에는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P)를 연결하고 상기 순환펌프(P) 타단에는 액셀커플링출수밸브(31)의 일단을 연결하여 난방수의 출수량을 조절하고 액셀커플링출수밸브(31) 타단에는 일단에 닛플(60)을 형성한 출수연결관(32)을 연결한다.
이렇게 출수된 난방수는 난방환수수단(200)을 통하여 보일러로 환수된다.
상기와 같은 난방환수수단(200)은 상기 보일러의 난방환수관(41)에 난방환수관부(40)의 환수압력관(43)의 일단을 연결하여 연결되며 상기 환수압력관(43)의 양단에는 닛플(60)이 형성되고 환수압력계(42)가 형성된다.
또한 환수압력관부(40)의 환수압력관(43)의 타단에는 환수조절부(50)의 액셀커플링환수밸브(51)를 연결하여 환수되는 난방수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액셀커플링환수밸브(51)의 타단에는 일단에 닛플(60)을 형성한 환수연결관(52)을 연결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난방출수수단(100)의 드레인관(13)과 난방환수수단(200)의 환수압력관(43)은 난방배관의 위치에 따라 연결이 용이하도록 직선 또는 "ㄱ"자형 또는 "ㄱ"자와 "ㄴ"자가 수평으로 연결된 굴곡형 또는 수평 "ㄴ"자와 수직 "ㄱ"자가 연결된 입체굴곡형으로 절곡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일러에 형성된 난방출수관(11)에 난방출수수단(100)의 난방출수관부(10)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드레인관(13)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보일러의 난방출수관(11)에 드레인관(13)을 연결하면 보일러에서 출수되는 난방수에 포함된 불순물과 같은 스케일은 스트레이너(14)를 통과하면서 스트레이너(14)에 내장된 여과망을 통하여 필터링되며 필터링된 불순물은 여과망을 분리하여 배출하던지 드레인관(13)에 형성된 드레인밸브(12)를 통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불순물이 제거된 난방수는 출수압력측정부(20)를 통하여 난방배관에 수압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출수압력관(22)에 형성된 출수압력계(21)를 통하여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적정한 압력을 유지하는 난방수는 출수조절부(30)를 통하여 액셀커플링출수밸브(31)의 개폐로 출수 및 차단되며 출수되는 난방수는 출수연결관(32)을 통하여 난방영역의 바닥에 매설된 난방배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난방영역에 난방수를 공급하여 난방을 한 후 온도가 낮아진 난방수를 다시 보일러로 환수하기 위한 난방환수수단(200)은 난방환수관부(40)의 환수압력관(43)이 난방환수관(41)과 연결되어 환수하게 된다.
상기 환수압력관(43)에 형성된 환수압력계(42)는 환수되는 난방수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으며 환수되는 난방수는 환수조절부(50)를 통하여 조절한다.
상기 환수조절부(50)는 액셀커플링환수밸브(51)를 통하여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액셀커플링환수밸브(51)에는 연수연결관(52)이 연결되어 온도가 낮아진 난방수를 난방배관에서 보일러로 환수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난방출수수단(100)과 난방환수수단(200)을 통하여 난방수의 출수 및 환수를 하나의 유닛 연결만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10 : 난방출수관부 11 : 난방출수관
12 : 드레인밸브 13 : 드레인관
14 : 스트레이너 20 : 출수압력측정부
21 : 출수압력계 22 : 출수압력관
30 : 출수조절부 31 : 액셀커플링출수밸브
32 : 출수연결관 40 : 난방환수관부
41 : 난방환수관 42 : 환수압력계
43 : 환수압력관 50 : 환수조절부
51 : 액셀커플링환수밸브 52 : 환수연결관
100 : 난방출수수단 200 : 난방환수수단

Claims (3)

  1. 보일러의 난방출수관(11)에는 플렉시블관(F)으로 연결되는 드레인밸브(12)가 형성된 드레인관(13)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드레인관(13) 타단에는 난방수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14)를 형성한 난방출수관부(10)와, 상기 난방출수관부(10)의 스트레이너(14)에는 출수압력계(21)가 형성된 출수압력관(22)의 일단을 연결하고 형성한 출수압력측정부(20)와, 상기 출수압력측정부(20)의 출수압력관(22) 타단에는 순환펌프(P)를 연결하고 순환펌프(P) 타단에는 액셀커플링출수밸브(31)의 일단을 연결하고 액셀커플링출수밸브(31) 타단에는 출수연결관(32)을 연결한 출수조절부(30)로 형성되는 난방출수수단(100)과,
    보일러의 난방환수관(41)에 환수압력계(42)가 형성된 환수압력관(43)의 일단을 연결한 난방환수관부(40)와, 상기 난방환수관부(40)의 환수압력관(43) 타단에는 액셀커플링환수밸브(51)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액셀커프링환수밸브(51)의 타단에는 환수연결관(52)을 연결한 환수조절부(50)로 형성된 난방환수수단(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방출수수단(100)의 드레인관(13) 양단과 출수압력관(22) 양단과 출수연결관(32)의 일단과 난방입수수단(200)의 환수압력관(43) 양단과 환수연결관(52) 일단에는 닛플(6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방출수수단(100)의 드레인관(13)과 난방환수수단(200)의 환수압력관(43)은 난방배관의 위치에 따라 연결이 용이하도록 직선 또는 "ㄱ"자형 또는 "ㄱ"자와 "ㄴ"자가 수평으로 연결된 굴곡형 또는 수평 "ㄴ"자와 수직 "ㄱ"자가 연결된 입체굴곡형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
KR2020180001580U 2018-04-10 2018-04-10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 KR2004902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580U KR200490291Y1 (ko) 2018-04-10 2018-04-10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580U KR200490291Y1 (ko) 2018-04-10 2018-04-10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01U true KR20190002601U (ko) 2019-10-18
KR200490291Y1 KR200490291Y1 (ko) 2019-10-23

Family

ID=6838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580U KR200490291Y1 (ko) 2018-04-10 2018-04-10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793B1 (ko) * 2020-01-14 2020-06-05 주식회사 신한산기 지역난방시스템에 적용되는 열교환수 필터링장치
KR102619543B1 (ko) * 2023-09-21 2023-12-28 박명군 원격제어 멀티라인 태양열 펌프스테이션
KR102619542B1 (ko) * 2023-09-21 2023-12-28 박명군 원격 모니터링 태양열 펌프스테이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7804A2 (en) * 1985-07-04 1987-01-07 S.D.I. Water Technology Limited The management of water in recirculatory water systems
KR100798503B1 (ko) * 2007-10-18 2008-01-28 윤위용 냉난방시스템용 팽창기체 분리장치
KR101568221B1 (ko) * 2015-06-26 2015-11-11 이명철 차압 유량 조절 밸브
KR101702367B1 (ko) * 2016-08-16 2017-02-03 성학제 조임너트 체결 안정성이 확보된 커넥터를 구비한 통합 분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07804A2 (en) * 1985-07-04 1987-01-07 S.D.I. Water Technology Limited The management of water in recirculatory water systems
KR100798503B1 (ko) * 2007-10-18 2008-01-28 윤위용 냉난방시스템용 팽창기체 분리장치
KR101568221B1 (ko) * 2015-06-26 2015-11-11 이명철 차압 유량 조절 밸브
KR101702367B1 (ko) * 2016-08-16 2017-02-03 성학제 조임너트 체결 안정성이 확보된 커넥터를 구비한 통합 분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793B1 (ko) * 2020-01-14 2020-06-05 주식회사 신한산기 지역난방시스템에 적용되는 열교환수 필터링장치
KR102619543B1 (ko) * 2023-09-21 2023-12-28 박명군 원격제어 멀티라인 태양열 펌프스테이션
KR102619542B1 (ko) * 2023-09-21 2023-12-28 박명군 원격 모니터링 태양열 펌프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291Y1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291Y1 (ko) 보일러용 온수 순환파이프 배관조립체
ITUB201586596U1 (it) Filtro per il trattamento di un fluido in una tubatura, in particolare di una rete idrica
US20210268412A1 (en) Strainer for steam trap apparatus
CN102261731B (zh) 电锅炉
CN206160500U (zh) 壁挂炉用水路控制装置
KR101927264B1 (ko) 가스보일러
CN104914342B (zh) 电磁炉检测系统
RU112360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онденсационный блок-модуль для отопления и горяче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KR100875718B1 (ko) 펌프를 이용한 온수관 발열선 삽입장치
CN208751003U (zh) 一种即热式电壁挂炉
CN209960762U (zh) 一种电热水器
KR101671670B1 (ko) 드레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CN106225233A (zh) 一种辅助丁酮肟生产的热循环水加热过滤装置
CN106037475A (zh) 管线机
CN202083092U (zh) 电锅炉
CN209431904U (zh) 一种冷凝器喉部合体低压加热器
CN107036064A (zh) 蒸汽发生装置
CH714689B1 (it) Impianto di produzione di calore comprensivo di un accumulatore di calore.
JP6013542B2 (ja) 熱源装置、ドレン排出システム、ドレン排出プログラムおよびドレン排出方法
CN211463733U (zh) 涂层设备共用加热系统
CN219483656U (zh) 一种自动化清洗消毒系统
WO2018135946A1 (en) Connection assembly with safety and method
CN208736532U (zh) 水流传感器检测台
CN216048369U (zh) 一种智能家居热水器用节水装置
KR101585571B1 (ko) 온수의 공급관과 환수관이 이중으로 구비되는 보일러 온수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