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164B1 -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 Google Patents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164B1
KR101978164B1 KR1020190026094A KR20190026094A KR101978164B1 KR 101978164 B1 KR101978164 B1 KR 101978164B1 KR 1020190026094 A KR1020190026094 A KR 1020190026094A KR 20190026094 A KR20190026094 A KR 20190026094A KR 101978164 B1 KR101978164 B1 KR 101978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educing
reducing valve
diaphragm
variable diaphragm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문
김형규
Original Assignee
울트라밸브 주식회사
김병문
김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트라밸브 주식회사, 김병문, 김형규 filed Critical 울트라밸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6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16K31/126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one side of the diaphragm being spring 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 하부 각각이 개구된 원통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커버(26)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결합공(27)에 고정 결합되되 하측 부위에는 복수 개의 유입공(112)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측 부위는 제1우회배관(1)의 타단 부위와 연결되는 몸체부(111), 몸체부(111)의 상측 부위를 가로지르며 마련되는 가로대부(113), 가로대부(113)의 중앙 부위 하면에서 직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돌출되는 지지봉부(115)가 구비되는 홀더(110); 상, 하부 각각이 개구되되 중앙 부위에서 상, 하부 각각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를 가지며, 개구된 상측 부위는 몸체부(111)의 상측 내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118)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개구된 하측 부위는 몸체부(111)의 하측 내면 모서리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단차진 걸림단(119)에 걸려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가변다이아프램(120);로 이루어지는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Pressure reducing valve having adjustable control device for inlet-flow}
본 발명은 감압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다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장시간 매우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을 마련하여, 파일럿밸브의 가변적인 작동에 즉각적으로 응답하며 감압밸브의 챔버로 유입되는 유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감압밸브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과 같은 유체를 대량으로 소비하는 장소에의 급배수는 마찰손실이 가장 크고 공급 압력이 최대로 되는 최고 수요 시간대에 최소한의 수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로 인해, 수요가 최소화하는 심야 시간대에는 필요 이상의 과다한 수압이 작용하여 관로가 파손되어 누수량이 증대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관련 업계에서는 도 6과 같이 감압밸브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럿밸브(5)를 매개하여, 물 수요가 증가하는 낮 시간에는 감압밸브의 배출구 부위 압력을 증가시키고, 물 수요가 감소하는 심야에는 감압밸브의 배출구 부위 압력을 감소시키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즉, 유체가 정상적으로 유동되고 있는 상황 중에 감압밸브의 배출구 부위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이 되면, 파일럿밸브(5)가 작동하여 감압밸브의 다이아프램 상부 공간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로서 유로를 폐쇄하고, 감압밸브의 배출구 부위 압력이 설정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파일럿밸브(5)가 작동하여 다이아프램 상부 공간에 유입되는 유체를 감압밸브의 배출구로 배출시켜 디스크가 유로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유로의 개폐가 조절된다.
한편, 파일럿밸브 작동식 감압밸브의 경우, 파일럿밸브가 감압밸브의 배출구 부위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작동할 때 디스크에 의한 감압밸브의 유로 개폐 역시 이에 연동되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이상적이다. 하지만, 종래 파일럿밸브 작동식 감압밸브의 경우, 감압밸브의 유로 개폐는 유량조절밸브에서 공급되는 인입 유량에 의존하고, 감압밸브의 배출 유량은 파일럿밸브의 개도율에 의해 달라진다.
이로 인해, 감압밸브의 배출구 부위 압력이 점차 증가하여 설정 압력에 근접하는 경우 파일럿밸브의 개도율이 감소하여, 실제 유체 압력이 설정 압력에 도달하지 못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감압밸브의 유로가 폐쇄되어 감압밸브의 배출구 부위가 설정 압력을 채우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감압밸브의 배출구 부위 압력이 설정 압력에 도달한 경우 파일럿밸브는 이에 대응하여 차단되었으나,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감압밸브의 다이아프램 상부 공간에 인입되는 유량이 너무 작아 디스크에 의한 유로 폐쇄가 늦어지고, 이로 인해 감압밸브의 배출구 부위가 설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유로가 폐쇄되거나, 감압밸브의 배출구 부위 압력이 유입구 부위 압력과 등압이 되는 문제도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도 7에 개시된 구성과 같은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 기술은 상부커버(121) 상측 부위에 실린더 또는 모터와 같은 조절체(312)가 구비되는 제한유닛(300)을 마련한 다음, 디스크(124)를 작동시키는 스탬(124)의 상단 부위를 연장하여 다이아프램(123)의 중앙 부위를 관통 결합한 다음 이를 조절체(312)와 동축으로 결합한 특징이 있다.
이럴 경우, 조절체가 디스크의 개폐 작동에 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디스크의 개도 범위 조절을 통해 사용 유량에 따른 감압밸브의 배출구 부위 압력을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절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복잡한 구성의 제한유닛을 별도 마련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작동 과정에서 제한유닛을 구성하는 일 부품이 오작동하는 경우 제한유닛 자체가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69212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장시간 안정적으로 파일럿밸브를 통한 배출 유량의 변화에 연동되어 다이아프램 상부 공간에 유입되는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감압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우 각각에 유입구(11) 및 배출구(12)가 마련되는 바디(10), 하부 일측에 제1관통공(23)이 형성되어 바디(10)의 상측 부위에 결합되는 하부커버(22), 상부 일측에 제2관통공(28)이 형성되어 하부커버(22)와 결합되는 상부커버(26), 모서리부위가 상, 하부커버(26, 22)에 의해 고정되는 다이아프램(32), 일단 부위는 다이아프램(32)의 중앙 부위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스템(34), 스탬(34)의 타단 부위에 결합되어 바디(10)의 내부유로(13)를 개폐하는 디스크(36), 일단 부위는 유입구(11)와 연통되고 타단 부위는 상부커버(26)와 연통되는 제1우회배관(1), 제1우회배관(1) 상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5), 일단 부위는 제2관통공(28)과 연통되고 타단 부위는 배출구(12)와 연통되는 제2우회배관(6), 제2우회배관(6) 상에 설치되는 파일럿밸브(7)를 포함하는 감압밸브(10)로서, 상, 하부 각각이 개구된 원통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커버(26)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결합공(27)에 고정 결합되되 하측 부위에는 복수 개의 유입공(112)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측 부위는 제1우회배관(1)의 타단 부위와 연결되는 몸체부(111), 몸체부(111)의 상측 부위를 가로지르며 마련되는 가로대부(113), 가로대부(113)의 중앙 부위 하면에서 직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돌출되는 지지봉부(115)가 구비되는 홀더(110); 상, 하부 각각이 개구되되 중앙 부위에서 상, 하부 각각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를 가지며, 개구된 상측 부위는 몸체부(111)의 상측 내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118)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개구된 하측 부위는 몸체부(111)의 하측 내면 모서리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단차진 걸림단(119)에 걸려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가변다이아프램(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봉부(115)의 중앙 부위에는 볼 형상의 밀착단(116)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다이아프램(120)의 내면 중앙 부위에는 상기 밀착단(116)에 대응되는 함몰된 밀착면(126)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대부(113)의 중앙 부위 상면에서 상기 지지봉부(115)의 하면 중앙 부위까지의 축상에는 보조유로(117)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다이아프램(120)의 내부에는 박형의 심재(122)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압밸브에 홀더 및 가변다이아프램을 마련하되 파일럿밸브의 가변적 작동과 연동되어 감압밸브의 챔버로 유입되는 유량을 가변다이아프램을 통해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파일럿밸브 작동식 감압밸브가 매우 간단한 구조의 제어 수단에 의해서 당초 설정된 압력 범위 내에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가변다이아프램의 이완 정도를 이용하여 감압밸브의 챔버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유로의 개폐과정이 충격 없이 매우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별도의 보조유로를 통해 유체 일부를 유입시킴으로써 매우 신속하면서도 부드러운 응답 특성을 가질 수 있데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압밸브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밸브에 있어 홀더 및 가변다이아프램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밸브에 있어 홀더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밸브에 있어 홀더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밸브에 있어 가변다이아프램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발명에 따른 감압밸브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
도 6은 종래 파일럿밸브 작동식 감압밸브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7은 종래 파일럿밸브 작동식 감압밸브의 개략적인 다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압밸브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바디(10), 상, 하부커버(26, 22), 다이아프램(32), 스템(34), 디스크(36), 제1, 2우회배관(1, 6), 유량조절밸브(5), 파일럿밸브(7), 그리고 홀더(110) 및 가변다이아프램(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바디(10)의 좌우 각각에는 유입구(11) 및 배출구(12)가 마련된다. 수압이 P1 상태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은 감압밸브에서 P2로 감압된 다음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배출구 부위의 압력(P2)은 파일럿밸브(7)에 의해 설정된 압력(PS)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후술할 디스크(36)가 감압밸브의 내부유로(13)를 개폐하며 제어된다.
하부커버(22)는 바디(10)의 상측 부위에 결합된다. 하부커버(22)의 하부 일측에 제1관통공(23)이 형성된다. 상부커버(26)는 하부커버(22)와 결합되며, 상부커버(26)의 상부 일측에는 제2관통공(28)이 형성된다.
다이아프램(32)은 모서리부위가 상, 하부커버(26, 22)에 의해 고정된다. 다이아프램(32)의 상측 공간이 챔버로 기능한다. 도면부호 33은 다이아프램의 상하 각각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이다.
스템(34)은 그 일단 부위가 다이아프램(32)의 중앙 부위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디스크(36)는 바디(10)의 내부유로(13)를 개폐하는 부분으로, 스탬(34)의 타단 부위에 결합된다. 도면부호 35는 스프링이다.
제1우회배관(1)은 P1 상태의 수돗물 일부를 다이아프램(32)의 상측 공간(이하 챔버)으로 우회시키는 배관으로서, 그 일단 부위는 유입구(11)와 연통되고 그 타단 부위는 상부커버(26)와 연통된다.
유량조절밸브(5)는 제1우회배관(1) 상에 설치되며, 제1우회배관(1)을 통해 챔버로 공급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한다. 유량조절밸브(5)는 통상적인 니들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 2, 3, 4 각각은 볼밸브, 스트레이너, 체크밸브이다.
제2우회배관(6)은 챔버에 충전된 유체를 우회하여 배출시키는 배관으로서, 그 일단 부위는 제2관통공(28)과 연통되고, 그 타단 부위는 배출구(12)와 연통된다. 파일럿밸브(7)는 제2우회배관(6)을 통한 배출 유량을 조절하여 감압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제2우회배관(6) 상에 설치된다. 도면부호 8은 볼밸브이다.
홀더(110) 및 가변다이아프램(120)은 챔버로 인입되는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파일럿밸브(7)의 개도율과 연동되어 디스크(36)가 내부유로(13)를 적절한 범위 내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부분이다.
홀더(110)는 가변다이아프램(12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 2 및 도 3a, 3b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몸체부(111), 가로대부(113), 지지봉부(115)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몸체부(111)는 상, 하부 각각이 개구된 원통 구조로 이루어지며, 개구된 상측 부위는 제1우회배관(1)의 타단 부위와 연결되어 상부커버(26)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결합공(27)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몸체부(111)의 하측 부위에는 복수 개의 유입공(112)이 형성된다. 유입공(112)은 몸체부(111) 상측의 개구부를 통해 챔버로 유입된 유체 일부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대부(113)는 개구된 몸체부(111)의 상측 부위를 가로지르며 마련된다. 지지봉부(115)는 가변다이아프램(120)이 이완될 때, 이완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부분으로, 가로대부(113)의 중앙 부위 하면에서 직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돌출된다.
이때, 도 3a와 같이 가로대부(113)의 중앙 부위 상면에서 지지봉부(115)의 하면 중앙 부위까지의 축상에는 보조유로(117)가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보조유로(117)는 가변다이아프램(120)에 의해 몸체부(111)를 통한 유체 유입이 차단될 때, 최소 양의 유체를 유입시키는 통로로 기능한다.
가변다이아프램(120)은 몸체부(111)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수단으로, 도 4와 같이 상, 하부 각각이 개구되고, 중앙 부위에서 상, 하부 각각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를 가진다.
가변다이아프램(120)의 개구된 상측 부위는 몸체부(111)의 상측 내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118)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개구된 하측 부위는 몸체부(111)의 하측 내면 모서리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단차진 걸림단(119)에 걸려 고정된다. 삽입홈 및 걸림단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은 임의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변다이아프램(120)은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은 가변다이아프램(120)의 내부에 박형의 심재(122)가 마련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탄성재질의 가변다이아프램이 장시간 작동하더라도 작동 신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심재는 가변다이아프램 보다는 큰 경도를 가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a 및 도 4 각각과 같이, 지지봉부(115)의 중앙 부위에는 볼 형상의 밀착단(116)이 형성되고, 가변다이아프램(120)의 내면 중앙 부위에는 지지봉부(115)의 밀착단(116)에 대응되어 함몰된 밀착면(126)이 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지지봉부(115)에 밀착단(116)이 형성되고, 가변다이아프램(120)의 내면에 밀착면(126)이 형성되면,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변다이아프램(120)의 중앙 부위가 지지봉부(115)에 밀착될 때 그 밀착력을 증진되어, 가변다이아프램의 작동 과정에서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변다이아프램이 이완되며 지지봉부에 밀착되어 인입 유로가 차단될 때, 유체의 압력에 의해 순간적인 충격이 가변다이아프램의 상, 하부 각각에 작용하더라도, 밀착단 및 밀착면 각각이 상호 반대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작용하는 충격에 크게 영향 받지 않고 당초 밀착된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봉부(115)의 중앙 부위에는 볼 형상의 밀착단(116)이 형성되면, 지지봉부(115)의 중심축 상에 형성되어 밀착단(116)을 관통하는 보조유로(117)에는 도면과 같이 보조유로(117)와 밀착단(116)의 표면과 연통하는 연통로(도면부호 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보조유로(117)와 연통되는 연통로가 형성되면, 보조유로(117)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일부가 연통로를 통해 이동하게 되고, 연통로를 통한 이러한 유체 압력이 가변다이아프램(120)의 밀착면(126)에 작용하게 됨에 따라, 가변다이아프램(120)의 개방 과정이 보다 자연스럽게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을 전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 5a, 도 5b 각각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배출구(12) 부위 압력 P2가 점차 증가하여 파일럿밸브(7)에 의해 설정된 압력(PS)에 근접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P2가 점차 증가하여 설정된 압력 PS와의 차이가 줄어들면 파일럿밸브(7)가 작동하여 제2우회배관(6)을 통한 배출 유량을 서서히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제1우회배관(1)을 통한 챔버로의 유입 유량은 증가한다.
즉, 파일럿밸브(7)의 개도율 변화에 따라 제2우회배관(6)을 통해 챔버로부터 빠져나가는 배출 유량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면, 이에 연동되어 도 5a와 같이 제1우회배관(1), 몸체부(111)의 상측 부위, 가변다이아프램(120), 몸체부(111)의 하측 부위를 거쳐 챔버로 유입되는 인입 유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챔버 내부에 P1 상태의 유입 유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 증가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다이아프램(32)이 하부로 이완되고, 다이아프램(32)에 결합되어 있는 스템(34)이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며, 이에 따라 내부유로(13)의 개도율이 서서히 감소한다.
파일럿밸브(7)가 완전히 차단되어 제2우회배관(6)을 통한 유체 배출이 중단되면, 챔버 내부로의 유입 유량 역시 최대가 되어 다이아프램(32)을 이완시키고, 다아이프램(32)이 최대로 이완됨에 따라 내부유로(13)는 도 5b와 같이 디스크(36)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이때, 챔버 내부로 충전된 유체 중의 일부는 몸체부(111)의 하측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유입공(112)을 통해 몸체부(111) 내면과 가변다이아프램(120) 외면 사이 공간으로 진입한다. 유입공(112)을 통해 유체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면, 유체는 P1의 압력으로 탄성재질의 가변다이아프램(120)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가변다이아프램(120) 내면과 지지봉부(115) 외면 사이 간격은 점차 줄어들고, 최종적으로 가변다이아프램(120)에 있어 내경이 가장 작은 부위인 중앙 부위의 밀착면(126)이 지지봉부(115)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밀착단(116)과 접하면서 밀착된다.
즉, 설정된 유체 압력과 실제 배출구 부위의 유체 압력 차이를 반영하여 파일럿밸브의 개도율 조절을 통해 제2우회배관을 통한 배출 유량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경우, 이에 즉각적으로 연동되어 가변다이아프램이 챔버로 유입되는 유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변다이아프램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밀착단과 밀착면의 접촉으로 인한 가변다이아프램과 지지봉부 사이 유로의 폐쇄는 별도의 충격 없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한편,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밀착단과 밀착면의 접촉으로 인해 가변다이아프램과 지지봉부 사이의 유로가 완전히 폐쇄되더라도, 보조유로(117)는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우회배관(1)을 통한 유체 일부가 보조유로(117)를 통해 챔버로 지속적으로 유입된다.
이럴 경우, 디스크(34)에 의한 내부유로(13)의 폐쇄 상태를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밀착단과 밀착면의 접촉으로 인한 가변다이아프램과 지지봉부 사이 유로의 폐쇄 과정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조유로를 통해 유체의 유입이 지속되면, 가변다이아프램과 지지봉부 사이의 유로 개방이 매우 신속하면서도 충격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음도 자명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바디 22 : 하부커버
26 : 상부커버 32 : 다이아프램
34 : 스템 36 : 디스크
110 : 홀더 111 : 몸체부
112 : 유입공 113 : 가로대부
115 : 지지봉부 116 : 밀착단
117 : 보조유로 120 : 가변다이아프램
122 : 심재 126 : 밀착면

Claims (4)

  1. 좌우 각각에 유입구(11) 및 배출구(12)가 마련되는 바디(10), 하부 일측에 제1관통공(23)이 형성되어 바디(10)의 상측 부위에 결합되는 하부커버(22), 상부 일측에 제2관통공(28)이 형성되어 하부커버(22)와 결합되는 상부커버(26), 모서리부위가 상, 하부커버(26, 22)에 의해 고정되는 다이아프램(32), 일단 부위는 다이아프램(32)의 중앙 부위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타단 부위는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스템(34), 스탬(34)의 타단 부위에 결합되어 바디(10)의 내부유로(13)를 개폐하는 디스크(36), 일단 부위는 유입구(11)와 연통되고 타단 부위는 상부커버(26)와 연통되는 제1우회배관(1), 제1우회배관(1) 상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5), 일단 부위는 제2관통공(28)과 연통되고 타단 부위는 배출구(12)와 연통되는 제2우회배관(6), 제2우회배관(6) 상에 설치되는 파일럿밸브(7)를 포함하는 감압밸브(10)로서,
    상, 하부 각각이 개구된 원통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커버(26)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결합공(27)에 고정 결합되되 하측 부위에는 복수 개의 유입공(112)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측 부위는 제1우회배관(1)의 타단 부위와 연결되는 몸체부(111), 몸체부(111)의 상측 부위를 가로지르며 마련되는 가로대부(113), 가로대부(113)의 중앙 부위 하면에서 직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돌출되는 지지봉부(115)가 구비되는 홀더(110);
    상, 하부 각각이 개구되되 중앙 부위에서 상, 하부 각각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를 가지며, 개구된 상측 부위는 몸체부(111)의 상측 내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118)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개구된 하측 부위는 몸체부(111)의 하측 내면 모서리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단차진 걸림단(119)에 걸려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가변다이아프램(120);로 이루어지는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부(115)의 중앙 부위에는 볼 형상의 밀착단(116)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다이아프램(120)의 내면 중앙 부위에는 상기 밀착단(116)에 대응되는 함몰된 밀착면(126)이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부(113)의 중앙 부위 상면에서 상기 지지봉부(115)의 하면 중앙 부위까지의 축상에는 보조유로(117)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다이아프램(120)의 내부에는 박형의 심재(12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KR1020190026094A 2019-03-07 2019-03-07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KR101978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094A KR101978164B1 (ko) 2019-03-07 2019-03-07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094A KR101978164B1 (ko) 2019-03-07 2019-03-07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164B1 true KR101978164B1 (ko) 2019-05-14

Family

ID=6658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094A KR101978164B1 (ko) 2019-03-07 2019-03-07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1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8419A (ja) * 2001-12-04 2010-03-04 William A Cook Australia Pty Ltd アクセスバルブ
KR101469212B1 (ko) 2014-05-09 2014-12-09 주식회사 한국빅텍 유량에 따라 수압 조절이 이루어지는 감압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8419A (ja) * 2001-12-04 2010-03-04 William A Cook Australia Pty Ltd アクセスバルブ
KR101469212B1 (ko) 2014-05-09 2014-12-09 주식회사 한국빅텍 유량에 따라 수압 조절이 이루어지는 감압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514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aulically managing fluid pressure downstream from a main valve between set points
US8381761B2 (en) Pressure management control valve assembly
US201200064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aulically managing fluid pressure downstream from a main valve
KR101122763B1 (ko) 유량 연동형 비례제어식 감압 밸브 시스템
US3592223A (en) Pilot-operated modulating valve system and flow stabilizer incorporated therein
KR102189454B1 (ko) 조절 가능한 디스크 가이드 구조를 가지는 캐비테이션 및 맥동 완화 감압 컨트롤밸브
US20090260699A1 (en) Throttling structure for use in a fluid pressure device
KR101978164B1 (ko) 인입 유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감압밸브
KR20050018908A (ko) 감압 및 압력유지 제어밸브 시스템
EP1169592B1 (en) Pressure reducing valve
US7546999B2 (en)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AU2010202045B2 (en) Pressure Management Control Valve Assembly
CN219827905U (zh) 一种内置水压自控制管路的减压阀
KR200474811Y1 (ko) 샤워기
RU1814857C (ru) Водовыпуск
JP2005202736A (ja) 減圧弁装置
JP3509284B2 (ja) 減圧弁
KR20100012792U (ko) 압력보상형 유량제어 밸브
JPH03156618A (ja) 減圧弁
KR20180049720A (ko) 배압 제어 밸브
JP2003067056A (ja) 減圧弁のシート構造
JPH0854936A (ja) 減圧弁
JPH08147046A (ja) 定圧制御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