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157A - 스레드-친화형 스레드 아이를 갖는 종광 - Google Patents

스레드-친화형 스레드 아이를 갖는 종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157A
KR20130044157A KR1020120115269A KR20120115269A KR20130044157A KR 20130044157 A KR20130044157 A KR 20130044157A KR 1020120115269 A KR1020120115269 A KR 1020120115269A KR 20120115269 A KR20120115269 A KR 20120115269A KR 20130044157 A KR20130044157 A KR 20130044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d
thread
warp
eye
brid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7537B1 (ko
Inventor
크리스트안 거트
마리오 구센코
라이너 그로스만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4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03C9/024Eyele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광 축(14)을 위한 종광(10)에 관한 것이다. 종광(10)은 양호하게 사출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종광 몸체(11)를 포함한다. 종광(10)의 스레드 아이(15)는 날실 방향(F)으로 헤치며 이동하도록 날실(16)을 위해 배치되어 있다. 종광 몸체(11)의 길이방향(L)에서 보았을 때, 스레드 아이(15)는 대향하여 배열된 2개의 스레드 지지면(25)에 의해 한계가 정해진다. 2개의 스레드 지지면(25)은 동일한 디자인을 갖는다. 각각의 스레드 지지면(25)은 제1 평평한 표면부(42) 및 제2 평평한 표면부(43)를 갖는다. 날실 방향(F)에서 보았을 때, 2개의 표면부(42, 43)의 경사각은 일정하고, 양호하게는 다른 크기를 갖는다. 경사각은 종광(10)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수평방향으로 배향되는 기준면(E)에 대하여 측정된다. 2개의 표면부(42, 43)는 개재된 중앙 굴곡부(44)에 의하여 -단차부들 및 에지들이 없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중앙 굴곡부는 스레드 지지면(25)의 방향에서 볼 때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Description

스레드-친화형 스레드 아이를 갖는 종광{HEALDS WITH THREAD-FRIENDLY THREAD EYE}
본 발명은 직기의 종광 축을 위한 종광(heald)에 관한 것이다. 종광 축들에는 다수의 종광들이 장착되고, 따라서 각각의 종광은 종광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 날실을 안내하는 스레드 아이(thread eye)를 갖는다. 작동 중에, 종광 축들은 쉐드(shed)를 형성하기 위해 직기에서 상하로 이동된다. 씨실은 쉐드 내로 이동된다. 그렇게 하는 동안, 날실들은 종광들과 마찬가지로 상당한 응력을 받는다. 그러나 종광들의 높은 가속 및 감속(delays)이 날실 및 종광에 과다한 마모 또는 어떠한 손상도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미국 공보 제5,348,055A호는 웹형 금속 부품으로 제조되는 종광을 기술하고 있다. 스레드 아이는 금속 웹에 구멍을 뚫어서 생성된다. 그 결과, 스레드 아이의 한계를 정하며 종광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브릿지가 형성된다. 날실을 통과시키기 위해, 브릿지들은 금속 웹의 평면을 벗어나 구부러지고 따라서 날실 방향 및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있다. 이러한 종광을 고려하면, 에지들이 스레드 아이의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에지들은 부분적으로 날실의 심각한 마모를 초래한다. 공보 DE 43 36 362 C2호는 이와 유사한 종광을 개시한다.
공보 EP 1 739 215 B1호는 플라스틱 재료의 종광을 기술하고 있다. 스레드의 길이방향에서 스레드 아이의 한계를 정하는 2개의 스레드 지지면은 평탄하고, 종광 몸체의 외측면들에서 둥글게 끝난다. 날실 방향에서 교차하는 두 브릿지의 거리는 대략 직사각형 외형들을 갖는 스레드 지지면들의 크기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종광은 스레드 아이의 영역에서 비교적 두껍다.
플라스틱 재료의 다른 종광은 공보 EP 1 739 215 B1호에 기술되어 있다. 길이방향에서 종광 몸체의 한계를 정하는 2개의 스레드 지지면은 브릿지형의 얇은 방법으로 구성되고, 스레드 아이의 한계를 정하는 두 브릿지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날실을 위한 지지면은 매우 작다.
플라스틱 재료의 다른 종광은 공보 CN 2 723 472 Y호에 알려져 있다. 굴곡진 스레드 지지면은 스레드 아이의 한계를 정하는 두 브릿지 사이에 제공되고, 종광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공지된 기술 상태를 고려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날실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종광을 만드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나타내는 종광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종광은 2개의 단부 아일렛(eyelet)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종광 몸체를 포함한다. 종광 몸체는 날실을 수용하는 스레드 아이를 구비한다. 날실은 날실 방향으로 스레드 아이를 통해 이동한다. 날실 방향은 날실의 길이방향에서 볼 때 또는 관련된 스레드 지지면에서 볼 때 스레드 아이에서 날실의 연장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날실은 스레드의 길이방향에서 종광에 의하여 편향된다(deflect). 날실의 전체 길이를 바라보면, 상기 날실은 종광 몸체의 길이방향과 날실 방향에 의하여 형성되는 날실 평면에서 필수적으로 연장한다.
스레드 아이는 종광 몸체의 2개의 스레드 지지면에 의하여 한계가 정해지고, 상기 지지면들은 길이방향에서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된다. 각각의 스레드 지지면은 종광 몸체의 제1 길이방향 측면과 제2 길이방향 측면 사이에서 연장한다. 2개의 길이방향 측면은 양호하게 단차부들(steps) 및/또는 에지들 없이 스레드 아이에 인접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설계된다. 각각의 스레드 지지면은 제1 평평한 표면부(flat surface section) 및 제2 평평한 표면부를 갖는다. 2개의 표면부는 단차부들 및 에지들 없이 중앙 굴곡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표면부는 스레드-친화적인 방법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2개의 표면부는 각각의 표면부의 적절한 경사각에 의하여 스레드 아이의 날실 진입측 및 날실 진출측에서의 날실 경사각을 사전에 규정하는데(prespecify)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날실이 각자의 스레드 지지면에 배치될 때, 종광의 개방 쉐드 위치에 -날실 방향에서 바라본- 스레드 지지면의 윤곽(profile)을 맞출 수가 있다. 따라서 개방 쉐드 위치에서, 날실과 종광 사이의 지지면은 크며, 따라서 날실의 국부응력을 감소시킨다. 날실의 마모 뿐만 아니라 종광의 마모도 감소된다.
유리하게도, 중앙 굴곡부의 곡률은 날실 방향에서 일정하다. 따라서 아치형 섹션의 외형은 날실 방향에서 일정한 반경을 따라가고, 말하자면 원형 실린더의 원통 셀 섹션을 만든다. 곡률 그 자체는 스레드 아이에서 날실에 미치는 응력이 너무 커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종광 몸체의 길이방향에서 볼 때, 상기 종광 몸체는 스레드 아이의 한계를 정하는 두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들은 양호하게 동일한 외형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평탄한 스레드 안내면이 스레드 지지면과 마주보는 측면에서 각 브릿지에 제공된다. 특히, 각각의 스레드 안내면은 그 법선 벡터(normal vector)가 날실 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그리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횡단방향을 가리키도록 배향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스레드 안내면은 날실 방향 및 길이방향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나의 평면에서 연장한다. 날실 방향으로 배향된 스레드 안내면은 날실을 스레드-친화적인 방법으로 스레드 아이를 통해 안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서, 두 브릿지 사이의 길이방향 거리(날실 방향에서 측정된)는 날실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그리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횡단방향에서 2개의 브릿지 사이에서 측정된 횡방향 거리보다 적어도 5배 크다. 그래서, 브릿지들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스레드 지지면은 날실에 미치는 어떠한 국부응력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스레드의 길이방향에서 충분히 큰 지지면을 날실에 제공한다. 스레드 아이에서의 종광의 폭은 날실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그리고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측정된 횡단방향의 2개의 브릿지의 두께의 합보다 최대 20% 크다. 결과적으로, 종광은 횡단방향에서 비교적 얇고, 이것이 종광 축에서 종광들의 수를 매우 많게 할 수 있는 이유이다.
또한, 각각의 스레드 지지면이 종광 몸체의 제1 길이방향 측면과 제1 표면부 사이에서 날실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1 전이부, 및/또는 종광 몸체의 제2 길이방향 측면과 제2 표면부 사이에서 날실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2 전이부를 갖는다면 유익하다. 그 결과, 에지없는 아치형 전이가 각자의 스레드 지지면과 종광 몸체의 두 측방향 표면들 사이에서 가능하다. 2개의 전이부의 곡률들은 다른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전이부들의 곡률은 -날실 방향에서 볼 때- 일정하다. 제1 및/또는 제2 전이부들은 특이 단차부들 및 에지들 없이 스레드 지지면의 인접한 평평한 표면부 뿐만 아니라 인접한 길이방향 측면으로 전이한다.
제1 전이부에 인접하는 제1 측방향 측면의 단부 및/또는 제2 전이부에 인접하는 제2 측방향 표면의 단부는 양호하게 날실 방향과 예각을 이루고 있다. 제1 및 제2 측방향 표면들의 단부들 모두 특히, 날실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평행한 방법으로 서로 동일한 거리로 연장한다. 전이부에 인접하는 각자의 측방향 표면의 단부는 종광 몸체의 두 브릿지에 접촉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1 측방향 표면 및/또는 제2 측방향 표면(길이방향에서 본)은 적어도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에 대하여 스레드 아이에 인접한 영역에서 회전되며, 따라서 제1 측방향 표면 및/또는 제2 측방향 표면의 법선 벡터는 각자의 스레드 지지면에 인접하는 날실 방향과 예각을 이루고 있다. 그 스레드 아이의 영역에서, 종광 몸체는 이 실시예에서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축에 대하여 회전되고, 따라서 두 브릿지들 사이에서 날실을 위한 통과영역을 형성한다.
관련된 종광의 개방 위치에서, 날실 방향의 제1 표면부의 경사각이 날실 진입각에 맞추어지고, 및/또는 날실 방향의 제2 표면부의 경사각이 날실 진출각에 맞추어지면 유익하다. 날실 진입각은,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 기준면에 대하여, 스레드 아이를 통해 안내된 날실이 종광을 향하여 이동하는 각도이다. 날실 진출각은, 날실이 종광로부터 변폭(selvedge)을 향하여 이동하는, 기준면에 대한 날실의 각도이다. 이러한 디자인에서, 날실상의 국부응력과 따라서 종광의 스레드 지지면상의 국부응력이 매우 최소로 줄어들고, 따라서 마모를 최소화한다. 대체로, 날실 진입각 및 날실 진출각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스레드 안내면에 대향한 브릿지의 측면에서, 각 브릿지는 스레드 안내면에 평행하게 양호하게 정렬되는 평평한 외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평평한 외측면들은 날실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고, 이것이 2개의 인접한 종광들 사이로 이동된 날실들이 외측면을 따라 활주할 수 있는 이유이다.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종광 몸체의 두 단부에서, 종광 몸체는 종광의 단부 아일렛이 종광 베어링 레일을 장착하기 위해 배열되어 있는 단부 아일렛 영역을 갖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종광 몸체의 두 측방향 표면은 적어도 이러한 단부 아일렛 영역들의 외측에서 단차부들 또는 에지들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종광들이 이러한 날실들에 잡히는 일이 없이 종광들이 상기 종광들을 통과하여 이동된 날실들을 따라 활주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양호하게도, 종광은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플라스틱 재료에 기초한 복합재로 구성되며, 특히 주조 공정, 예를 들어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종광은 이음매들 및 조인트들이 없이 원피스의 응집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양호하게, 스레드 아이는 종광 몸체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한계가 정해진다. 예를 들어 종광 레일과 같은 종광 몸체 인서트들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광의 유익한 실시예들은 종속항 뿐만 아니라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초래된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들 및 여러가지 상황들로 제한되어 있다. 도면은 추가의 참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들에 대한 예시적 실시예의 관점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날실 방향과 종광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횡단방향으로 바라본 종광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예시적인 2개의 종광을 지나는 날실의 진행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와 같이 날실의 진행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4는 종광의 예시적 실시예의 섹션으로서, 스레드 아이를 갖는 섹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단면 라인 V-V를 따라 도 4의 종광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종광의 스레드 아이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7은 길이방향에서 바라보는 종광의 스레드 지지면의 개략도.
도 8은 스레드 지지면의 영역에서 종광 몸체를 절단한 부분 도면으로서, 절단면은 날실 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도면.
본 발명은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광(10)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종광(10)은 예를 들어 사출성형과 같은 주조방법에 의하여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에 기초한 복합재로 제조되는 종광 몸체(11)를 포함한다. 종광 몸체(11)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하고, 2개의 길이방향 단부 각각에서 단부 아일렛(13)을 갖는 단부 아일렛 영역(12)을 구비한다. 단부 아일렛(13)들은 종광 축(14)의 각자의 관련된 종광 베어링 레일에 종광(10)을 장착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종광 몸체(11)는 2개의 단부 아일렛(13)들 사이에서 대략 중심에 위치한 스레드 아이(15)를 갖는다. 종광(10)의 사용 위치에서, 날실(16)은 스레드 아이(15)를 통해 안내된다. 길이방향(L)으로 바라볼 때, 날실 방향(F)에서 날실(16)은 종광(10)의 스레드 아이(15)를 통과하여 이동한다.
쉐드를 만들기 위하여, 종광 축(14)들은 종광 몸체(11)의 길이방향(L)에 대응하는 -종광(10)들의 사용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과정에서, 종광(10)들의 스레드 아이(15)들을 통해 안내된 날실(16)들은 수평면을 벗어나 상하 방향으로 편향된다. 등받이(19)에서 시작하거나 또는 부분 로드들에서 시작하여, 날실(16)들은 각자 관련 종광(10)을 향해 연장하여 날실 진입측(20)에 있는 종광(10)의 스레드 아이(15)로 들어간다. 개방-쉐드 위치에서, 날실(16)들은 날실 진입측(20)상에서 스레드 아이(15)를 향하여 경사진 날실 진입각(α) 이하에서 수평면에 대하여 연장한다. 날실 진입측(20)에 대향한 날실 진출측(21)상에서, 날실(16)은 수평면에 대향하여 스레드 아이(15)로부터 날실 진출각(β) 이하에서 빠져나가며 변폭(22)을 향하여 연장한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날실 진입각(α) 및 날실 진출각(β)은 -종광 축(14)이 상부 쉐드에 있는지 또는 하부 쉐드에 있는지에 따라-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부 쉐드에서 제1값들 α1, β1를 취할 수 있고, 하부 쉐드에서 제2값들 α2, β2를 취할 수 있다. 추가로, 날실 진입각(α) 및 날실 진출각(β)은 또한 변폭(22)과 등받이(19) 사이에서 종광 축의 위치의 함수이며, 이것은 도 3에서 점선의 종광 축(14)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날실 진입각(α)들은 날실 진출각(β)들보다 작으며, 왜냐하면 등받이(19)로부터 종광 축(14)들까지의 거리는 변폭(22)으로부터 종광 축(14)들까지의 거리보다 길기 때문이다.
적어도 2개의 단부 아일렛 영역(12)들 외측에서, 종광 몸체(11)는 완전히 에지들 및 단차부들이 없는 외측면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2개의 인접한 종광(10)들 사이를 통과한 다른 종광 축(14)의 날실(16)들이 붙잡히는 일이 없이 스레드-친화적인 방법으로 종광(10)을 따라 활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그 결과로 날실(16)들의 과도한 마모 또는 스레드 파손의 위험이 감소되었다. 도 4에서 종광 몸체(11)에 그려진 선들은 다만 종광 몸체(11)의 외형을 도시하도록 의도되어 있고 에지들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날실(16)을 스레드-친화적인 방법으로 픽업하기 위해, 스레드 아이(15)는 특수한 디자인을 갖는다. 길이방향(L)에서, 스레드 아이(15)는 대향하여 배열된 2개의 스레드 지지면(25)에 의하여 한계가 정해진다. 종광(10)을 지탱하는 종광 축(14)이 상부 쉐드 또는 하부 쉐드에 있을 때, 스레드 아이(15)를 통해 안내된 날실(16)은 2개의 스레드 지지면(25) 중 하나에 의하여 지탱된다.
날실 방향(F)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그리고 길이방향(L)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횡단방향(Q)에서, 스레드 아이(15)는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치된 2개의 브릿지(26)에 의하여 한계가 정해진다. 스레드 아이(15)를 통해 이동되는 날실(16)과 관련된 측면에서, 각각의 브릿지(26)는 평평한 스레드 안내면(27)을 갖는다. 브릿지(26)의 스레드 안내면(27)은 날실 방향(F)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L)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에서 연장한다. 스레드 안내면(27)의 법선 벡터(NF)는 횡단방향(Q)을 가리킨다. 브릿지(26)의 스레드 안내면(27)은 종광 몸체(11)의 2개의 스레드 지지면(25)을 연결한다. 그 결과로서, 스레드 아이(15)가 형성되고, 상기 스레드 아이는 브릿지(26)들상에서 2개의 스레드 지지면(25) 뿐만 아니라 2개의 스레드 안내면(27)에 의하여 주변방향으로 한계가 정해진다.
각각의 브릿지(26)는 스레드 안내면(27)에 대향하여 스레드 아이(15)로부터 멀리 있는 측면상에서 평평한 외측면(28)을 갖는다. 외측면(28)은 스레드 안내면(27)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횡단방향(Q)에서의 브릿지(26)의 두께(d)는 스레드 안내면(27)과 외측면(28) 사이에서 측정되고, 대략 0.4mm 내지 0.5mm 범위에 있다. 브릿지(26)의 외측면(28)은 종광 몸체(11)의 외측면의 일부이며, 단차부들 또는 에지들에 의하여 한계가 정해지지는 않는다.
대략적으로 날실 방향(F)을 가리키는 각 브릿지(26)의 2개의 길이방향 에지(29)는 스레드 안내면(27)과 외측면(28)을 연결한다. 스레드 안내면(27) 및 외측면(28)이 브릿지(26)의 2개의 길이방향 에지(29)를 경유하여 단차없이 및 에지없는 방법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길이방향 에지들은 굴곡지거나 또는 아치형이다. 날실 방향(F)에서 서로 바라보는 종광 몸체(11)의 두 브릿지(26)의 2개의 길이방향 에지(29)는 도 5에서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 실시예에서 일정한 반경을 갖는다. 스레드 아이(15)로부터 멀리 배향된 브릿지(26)들의 길이방향 에지(29)들은 여러 개의 반경 및/또는 평평한 섹션들을 가질 수 있다.
스레드 아이(15)의 한계를 정하는 두 브릿지(26) 사이에 거리(DL)가 있고, 상기 거리는 날실 방향(F)에서 두 브릿지(26)의 내측 폭에 해당한다. 횡단 거리(DQ)는 두 브릿지(26) 사이에서 예를 들어 2개의 평평한 스레드 안내면(27) 사이에서 횡단방향(Q)으로 측정되며, 상기 횡단 거리(DQ)는 횡단방향(Q)에서 브릿지(26)들 사이의 내측 폭에 해당한다. 길이방향 거리(DL)는 횡단 거리(DQ)보다 적어도 5배, 특히 5 내지 7배가 크다. 횡단 거리(DQ)는 예를 들어 0.15mm 내지 0.2mm 가 될 수 있다. 길이방향 거리(DL)는 예를 들어 1mm 내지 1.5mm가 될 수 있다. 스레드 아이(15)의 영역에서 종광 몸체(11)의 폭(B)은 횡단방향(Q)에서 측정된, 브릿지(26)들의 외측면(28)들의 거리에 의해 정해진다. 여기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폭(B)은 1.0mm 내지 1.5mm가 될 수 있다. 스레드 아이(15)에서 종광 몸체(11)의 폭(B)는 예를 들어 두 브릿지(26)의 두께(d)들의 합보다 최대 10% 클 수 있다.
스레드 지지면(25)은 여러 개의 영역들로 나누어진다. 다른 영역들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스레드 지지면(25)은 종광 몸체(11)의 제1 측방향 표면(33)과 제2 측방향 표면(34) 사이로 연장한다. 2개의 측방향 표면(33, 34)은 종광 몸체(11)의 평평한 측면들에 배치되며, 상기 평평한 측면들은 종광 몸체(11)의 길이방향 에지(35)들에서 서로로부터 멀리 바라보며, -단차부들 및 에지들 없이- 서로를 향해 전이한다. 2개의 측방향 표면(33, 34)은 항상 서로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1 측방향 표면(33)의 법선 벡터(NA)와 제2 측방향 표면(34)의 법선 벡터(NA)는 횡단방향(Q)을 가리키며 각자 단부 아일렛 영역(12)에서 끝난다. 스레드 아이(15)에 인접하여, 2개의 측방향 표면(33, 34)은 종광 몸체(13)의 길이방향 중심면(M)에 대하여 회전되며, 상기 중심면은 횡단방향(Q)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하며, 따라서 스레드 아이(15)에 인접하는 2개의 측방향 표면(33, 34)의 법선 벡터(NA)가 횡단방향(Q)에 대하여 경사진 방법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날실 방향(F)에 대하여 경사진 방법으로 연장한다. 법선 벡터(NA)는 횡단방향(Z)과 회전각(γ)을 이루고, 상기 회전각은 예를 들어 15 내지 20도이다. 따라서 2개의 브릿지(26)는 다른 측면들에서 종광 몸체(11)의 길이방향 중심면(M)에 대하여 오프셋 배열되고, 그 결과 횡단 거리(DQ)가 두 브릿지(26) 사이에 형성된다.
스레드 아이(15)의 영역에서 종광 몸체(11)의 측방향 표면(33, 34)들의 상기 배향에 의하여, 스레드 지지면(28)에 인접하는 제1 측방향 표면(33)의 단부(33a) 또는 스레드 지지면(25)에 인접하는 제2 측방향 표면(34)의 단부(34a)는 날실 방향(F)에 대하여 회전각(γ) 이하로 연장하고, 결과적으로 날실 방향(F)에 대하여 경사진 방법으로 따라서 횡단방향(Q)에 대하여 경사진 방법으로 연장한다.
두 측방향 표면(33, 34)의 법선 벡터(NA)들의 방향에서 측정된, 스레드 아이(15)에 인접하는 종광 몸체(11)의 두 측방향 표면(33, 34) 사이의 거리(DS)는 하나의 브릿지(26)의 두께(d)보다 크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두 측방향 표면(33, 34)의 상기 거리(DS)는 대략 브릿지(26)의 대각선 치수에 해당한다. 두 측방향 표면(33, 34) 사이의 거리(DS)는 두 브릿지(26) 사이의 길이방향 거리(DL)보다 작다.
스레드 지지면(25)은 제1 측방향 표면(33)의 단부(33a)와 제2 측방향 표면(34)의 단부(34a) 사이로 연장한다. 상기 스레드 지지면은 제1 측방향 표면(33)에 인접하는 제1 전이부(40)와, 제2 측방향 표면(34)에 인접하는 제2 전이부(41)를 포함한다. 2개의 전이부(40, 41)는 구부러져 있다. 날실 방향(F)에서, 전이부들(40, 41)의 곡률은 실례에서 일정하다. 도 8에서, 종광 몸체(11)는 스레드 지지면(25)의 영역에 있는 평면에서 절단되어 있고, 상기 평면은 종광 몸체(11)의 길이방향 중심면(M)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결과적으로, 절단면은 날실 방향(F)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L)에 의하여 형성된다. 절단면은 스레드 지지면(25)에 인접하는, 제1 측방향 표면(33) 및 제2 측방향 표면(34)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한다. 이러한 절단면에서, 2개의 전이부(40, 41)는 아치형 외형을 가지며, 예를 들어 원호와 유사하며, 여기서 제1 전이부(40)의 원호는 반경 r1을 가지고, 제2 전이부(41)의 원호는 제2 반경 r2를 갖는다. 2개의 반경 r1, r2는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지만 또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전이부들(40, 41)의 상술한 외형은 스레드 아이(15)의 스레드 안내영역(A)으로 제한된다. 스레드 안내영역(A)은, 날실(16)이 횡단방향(Q)에서 브릿지(26)들 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스레드 아이(15)의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례에 따라서, 스레드 안내영역(A)은 브릿지(26)들의 두 스레드 안내면(27)에 의하여 형성되는 두 평면에 의하여 한계가 정해진다(도 7). 상술하였고 이하에도 설명되는 스레드 지지면(25)의 형상 및 그 섹션들은 양호한 예시적 실시예에서 스레드 안내영역(A)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스레드 안내영역(A) 외측에서, 스레드 안내면(25)은 단차부들 및 에지들이 없는 평면 및/또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스레드 안내영역(A)에서 형성된 형상과는 벗어날 수 있다. 스레드 지지면(25)상의 오목한 함몰부는 상기 스레드 안내영역(A)의 내측 및 외측에서 회피된다.
변경된 실시예에서, 두 전이부(40, 41) 중 하나의 전이부의 곡률은 날실 방향(F)에서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덧붙여, 스레드 지지면(25)은 제1 평평한 표면부(42) 및 제2 평평한 표면부(43)를 갖는다. 2개의 표면부(42, 43)는 다른 평면에서 연장한다. 제1 표면부(42)는 기준면(E)에 대하여 경사각(δ1)으로 연장하고, 상기 기준면은 길이방향(L)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한다. 제1 경사각(δ1)은 날실 방향으로 일정하다. 제2 표면부(43)는 기준면(E)에 대하여 제2 경사각(δ2)으로 경사지게 연장한다. 제2 경사각(δ2)은 날실 방향(F)으로 일정하다. 제1 경사각(δ1)은 날실 진입각(α)과 일치하고, 제2 경사각(δ2)은 날실 진출각(β)과 일치한다. 종광(10)이 개방-쉐드 위치에서 종광 축(14) 내에 배치될 때, 날실이 두 표면부(42, 43)에 접촉하고, 특히 두 전이부(40, 41)를 통해 응력을 받지 않는다. 전이부(40, 41)의 굴곡면에 대향하여, 날실(16)이 각자의 평평한 표면부(42 또는 43)의 방향으로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며, 따라서 상기 날실이 전이 영역들(40, 41) 위로 연장하고, 먼저 평평한 표면부(42, 43)들과 접촉하게 된다.
중앙 굴곡부(44)는 2개의 평평한 표면부(42, 43) 사이에 있고, 상기 굴곡부는 2개의 평평한 표면부(42, 43)를 단차없이 및 에지없는 방법으로 서로 연결한다. 날실 방향(F)에서, 굴곡부(44)는 예시적 실시예에서 일정한 외형을 갖는다. 날실 방향(F)을 따라 도 8의 단면도에서, 굴곡부(44)의 외형은 따라서 제3 반경 r3를 갖는 원호에 의하여 형성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굴곡부(44)의 원호의 중심은 제1 측방향 표면(33)과 제2 측방향 표면(34) 사이에서 중심면(X)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스레드 지지면(25)의 외형은 2개의 측방향 표면(33, 34) 사이에서 중심면(X)에 대하여 비대칭이다. 그러나 변경예에서, 외형은 상기 중심면(X)에 대하여 대칭이 될 수도 있다.
대체로, 스레드 지지면(25)은 단차부들 및 에지들이 없도록 설계된다. 날실 방향(F)에서 볼 때, 상기 표면은 단면들이 일정한 경사 또는 일정한 곡률을 나타내고, 이 경우 제각기 접선방향 전이부들이 생성된다. 스레드 지지면의 외형 윤곽은 본 발명에 따라 날실 방향(F)에서 사전에 규정되고, 따라서 종광 몸체(11)의 측방향 표면들(33, 34)의 법선 벡터들(NA)에 대하여 경사지며, 상기 측방향 표면들은 스레드 지지면(25)에 인접한다.
스레드 지지면(25) 및 그 섹션들(40, 41, 42, 43, 44)의 상술한 곡률 또는 경사는 적어도 언급한 바와 같이 스레드 안내영역(A)에 제공되고, 따라서 스레드 안내영역(A) 외측에서 그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광 축(14)을 위한 종광(10)에 관한 것이다. 종광(10)은 양호하게 사출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종광 몸체(11)를 포함한다. 종광(10)의 스레드 아이(15)는 날실 방향(F)으로 헤치며 이동하도록 날실(16)을 위해 배치되어 있다. 종광 몸체(11)의 길이방향(L)에서 보았을 때, 스레드 아이(15)는 대향하여 배열된 2개의 스레드 지지면(25)에 의해 한계가 정해진다. 2개의 스레드 지지면(25)은 동일한 디자인을 갖는다. 각각의 스레드 지지면(25)은 제1 평평한 표면부(42) 및 제2 평평한 표면부(43)를 갖는다. 날실 방향(F)에서 보았을 때, 2개의 표면부(42, 43)의 경사각(δ)은 일정하고, 양호하게는 다른 크기를 갖는다. 경사각(δ)은 종광(10)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수평방향으로 배향되는 기준면(E)에 대하여 측정된다. 2개의 표면부(42, 43)는 개재된 중앙 굴곡부(44)에 의하여 -단차부들 및 에지들이 없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중앙 굴곡부는 스레드 지지면(25)의 방향에서 볼 때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10: 종광
11: 종광 몸체
12: 단부 아일렛 영역
13: 단부 아일렛
14: 종광 축
15: 스레드 아이
16: 날실
19: 등받이
20: 날실 진입측
21: 날실 진출측
22: 변폭
25: 스레드 지지면
26: 브릿지
27: 스레드 안내면
29: 외측면
33: 제1 측방향 표면
33a: 제1 측방향 표면의 단부
34: 제2 측방향 표면
34a: 제2 측방향 표면의 단부
35: 종광 몸체의 길이방향 에지
40: 제1 전이부
41: 제2 전이부
42: 제1 표면부
43: 제2 표면부
44: 굴곡부
α: 날실 진입각
α1: 날실 진입각의 제1값
α2: 날실 진입각의 제2값
β: 날실 진출각
β1: 날실 진출각의 제1값
β2: 날실 진출각의 제2값
γ: 회전각
δ1: 제1 경사각
δ2: 제2 경사각
B: 종광 몸체의 폭
d: 브릿지의 두께
DL: 길이방향 거리
DQ: 횡단 거리
DS: 측방향 표면들 사이의 거리
E: 기준면
F: 날실 방향
L: 길이방향
M: 길이방향 중심면
NA: 측방향 표면들의 법선 벡터
NF: 스레드 안내면들의 법선 벡터
r1: 제1 반경
r2: 제2 반경
r3: 제3 반경
Q: 횡단방향
X: 중심면

Claims (15)

  1. 종광 축(14)을 위한 종광(10)으로서,
    길이방향(L)으로 연장하는 종광 몸체(11)를 포함하고, 상기 종광 몸체는 날실(16)을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스레드 아이(15)를 갖고, 상기 날실은 날실 방향(F)으로 상기 스레드 아이(15)를 통하여 이동하고,
    상기 스레드 아이(15)는 상기 종광 몸체(11)상에서 서로 일정 거리로 떨어져서 길이방향(L)으로 위치하는 2개의 스레드 지지면들(25)에 의하여 한계가 정해지고, 상기 스레드 지지면들은 상기 종광 몸체(11)의 제1 측방향 표면(33)과 제2 측방향 표면(34) 사이로 연장하고,
    각각의 스레드 지지면(25)은 단차부들(steps) 및 에지들이 없도록 굴곡부(4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평평한 표면부(42) 및 제2 평평한 표면부(43)를 갖는, 종광(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굴곡부(44)의 곡률(1/r3)은 날실 방향(F)으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 아이(15)는 상기 종광 몸체(11)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하는 2개의 브릿지들(26)에 의하여 추가로 한계가 정해지고, 상기 브릿지들 각각은 평평한 스레드 안내면(2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 안내면(27)의 법선 벡터(NF)는 날실 방향(F)에 대하여 횡으로 그리고 길이방향(L)에 대하여 횡으로 횡단방향(Q)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10).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날실 방향으로 측정된 상기 2개의 브릿지들(26)의 길이방향 거리(DL)는 상기 날실 방향(F)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L)에 대하여 직각으로 횡단방향(Q)으로 측정된 2개의 브릿지들(26)의 횡방향 거리(DQ)보다 적어도 5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10).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 아이(15)상의 종광(10)의 폭(B)은 상기 날실 방향(F)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L)에 대하여 직각으로 횡단방향(Q)으로 측정된 2개의 브릿지들(26)의 두께들의 합보다 최대 20%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레드 지지면(25)은 상기 제1 측방향 표면(33)과 상기 제1 표면부(42) 사이에서 제1 전이면(40) 및/또는 상기 제2 측방향 표면(34)과 상기 제2 표면부(43) 사이에서 제2 전이면(41)을 갖고, 상기 제1 스레드 지지면은 날실 방향(F)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제2 지지면은 날실 방향(F)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이부(40)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측방향 표면(33)의 단부(33a) 및/또는 상기 제2 전이부(41)에 인접하는 상기 제2 측방향 표면(34)의 단부(34a)는 상기 날실 방향(F)과 예각을 이루는(subten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10).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이부(40)의 곡률(1/r1) 및/또는 상기 제2 전이부(41)의 곡률(1/r2)은 적어도 하나의 스레드 안내영역(A)에서 날실 방향(F)으로 일정하고, 상기 스레드 안내영역(A)에서 상기 날실(16)은 횡단방향(Q)으로 상기 스레드 아이(15)의 브릿지들(26)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1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스레드 지지면(25)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측방향 표면(33) 및/또는 제2 측방향 표면(34)의 법선 벡터(NA)는 상기 날실 방향(F)과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1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부(42)의 경사각(δ1)은 날실 진입각(α)에 맞추어지고, 및/또는 상기 제2 표면부(43)의 경사각(δ2)은 관련된 종광 축(14)의 개방-쉐드(shed) 위치에서 날실 진출각(β)에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1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브릿지(26)는 상기 스레드 안내면(27)에 대향한 측면에서 평평한 외측면(28)을 갖고, 상기 외측면은 상기 스레드 안내면(27)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1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방향 표면(33) 및/또는 제2 측방향 표면(34)은 적어도 상기 단부 아일렛 영역들(12) 외측에서 단차부들 및 에지들이 없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1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 아이(15)는 상기 종광 몸체(11)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한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10).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광은 플라스틱 재료의 종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광(10).
KR1020120115269A 2011-10-21 2012-10-17 스레드-친화형 스레드 아이를 갖는 종광 KR101997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86129.0 2011-10-21
EP11186129.0A EP2584078B1 (de) 2011-10-21 2011-10-21 Weblitze mit fadenfreundlichem Fadenau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157A true KR20130044157A (ko) 2013-05-02
KR101997537B1 KR101997537B1 (ko) 2019-07-09

Family

ID=4500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269A KR101997537B1 (ko) 2011-10-21 2012-10-17 스레드-친화형 스레드 아이를 갖는 종광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84078B1 (ko)
JP (1) JP6126767B2 (ko)
KR (1) KR101997537B1 (ko)
CN (1) CN103184610B (ko)
TW (1) TWI5838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3605B2 (en) 2014-09-23 2022-06-14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67447B1 (de) * 2015-03-13 2018-08-08 Groz-Beckert KG Weblitze vorzugsweise zur verarbeitung von bandförmigem kettmateria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eblitz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6013U (ko) * 1978-08-03 1980-02-20
JPS55500665A (ko) * 1978-09-26 1980-09-18
US5348055A (en) * 1993-05-06 1994-09-20 Steel Heddle Mfg. Co. Heddle eyelet structure
JPH09183570A (ja) * 1996-01-05 1997-07-15 Hour Spindle Kk 撚糸スピンドルのヤーンガイド
EP1739215A1 (de) * 2005-07-01 2007-01-03 Groz-Beckert KG Fadenschonende Weblitze
EP2224046A1 (de) * 2009-02-26 2010-09-01 Groz-Beckert KG Kunststoff-Weblitze
WO2010105314A2 (en) * 2008-10-13 2010-09-23 Nv Michel Van De Wiele Heddle
WO2010121810A1 (en) * 2009-04-24 2010-10-28 Nv Michel Van De Wiele Three dimensional heddle eyele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0182A (en) * 1975-04-07 1976-06-01 Staeubli, Ltd. Heddles for weaving machines having heddle frame bars for several heddles, which bars are moved by a shed-forming device
DE4336362C1 (de) 1993-10-25 1994-10-13 Grob & Co Ag Fadenauge für Weblitze
JP2001303384A (ja) * 2000-04-24 2001-10-31 Mitsubishi Rayon Co Ltd ヘルド及び同ヘルドを使った強化繊維織物の製造方法
CN2723472Y (zh) 2005-01-11 2005-09-07 余日善 用于纺织机的塑胶综丝及其加工模具
CN1952234A (zh) * 2005-10-19 2007-04-25 江南大学 一种将低捻粗支纱织成薄平织物的方法
DE502005005422D1 (de) * 2005-12-08 2008-10-30 Groz Beckert Kg Weblitze für bandförmige Kettfäden
JP2008045255A (ja) * 2006-08-21 2008-02-28 Sakai Ovex Co Ltd ヘルドおよび織物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6013U (ko) * 1978-08-03 1980-02-20
JPS55500665A (ko) * 1978-09-26 1980-09-18
US5348055A (en) * 1993-05-06 1994-09-20 Steel Heddle Mfg. Co. Heddle eyelet structure
JPH09183570A (ja) * 1996-01-05 1997-07-15 Hour Spindle Kk 撚糸スピンドルのヤーンガイド
EP1739215A1 (de) * 2005-07-01 2007-01-03 Groz-Beckert KG Fadenschonende Weblitze
WO2010105314A2 (en) * 2008-10-13 2010-09-23 Nv Michel Van De Wiele Heddle
EP2224046A1 (de) * 2009-02-26 2010-09-01 Groz-Beckert KG Kunststoff-Weblitze
JP2010209509A (ja) * 2009-02-26 2010-09-24 Groz Beckert Kg プラスチック材料からなるヘルド
WO2010121810A1 (en) * 2009-04-24 2010-10-28 Nv Michel Van De Wiele Three dimensional heddle eyel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3605B2 (en) 2014-09-23 2022-06-14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84078A1 (de) 2013-04-24
EP2584078B1 (de) 2015-08-26
TWI583837B (zh) 2017-05-21
JP6126767B2 (ja) 2017-05-10
CN103184610A (zh) 2013-07-03
KR101997537B1 (ko) 2019-07-09
CN103184610B (zh) 2015-11-25
JP2013087410A (ja) 2013-05-13
TW201333291A (zh) 201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712B1 (ko) 야안 보호 종광
TWI330675B (en) Heddle for warp threads in the shape of a band
KR100210307B1 (ko) 직기용 헤들
JP5697817B2 (ja) プラスチック材料からなるヘルド
CN1978723B (zh) 用于条形经线的综片
KR20130044157A (ko) 스레드-친화형 스레드 아이를 갖는 종광
US10260176B2 (en) Heddle for Jacquard loo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heddle, and weaving loom including such a heddle
JP4567381B2 (ja) 改善されたヘルド
JPS6317934B2 (ko)
KR100677679B1 (ko) 쌍을 이루어 사용하기 위한 종광
JP2005089955A (ja) 綜絖子ならびに綜絖子のための支持レール
JP4126438B2 (ja) 細板型綜絖
US6401762B1 (en) Reed and reed dent for weaving machines
US4519424A (en) Heald assembly of loom
CN108930084B (zh) 框架板和综框
JPS6047373B2 (ja) ヘルド
US5176183A (en) Heddle end loop design with asymetrically curved inner edge
JP2011162921A (ja) 織機用ヘルド及び織機用ヘルド装置
CN107923086B (zh) 织梭
JP6042079B2 (ja) たて糸の保持を改良したアイを有するヘルド
ES2973865T3 (es) Peine con una pluralidad de láminas
US6102081A (en) Weaving reed
ITMI942202A1 (it) Pista guidanastri per telai di tessitura a pinze
EP3822400A1 (en) Moveable lever for a thread clamp for a gripper
IT201800005161U1 (it) Rinvio per fi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