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173A -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박리 필름 - Google Patents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박리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173A
KR20130043173A KR20137002584A KR20137002584A KR20130043173A KR 20130043173 A KR20130043173 A KR 20130043173A KR 20137002584 A KR20137002584 A KR 20137002584A KR 20137002584 A KR20137002584 A KR 20137002584A KR 20130043173 A KR20130043173 A KR 20130043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lease film
release
film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0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9796B1 (ko
Inventor
지크프리트 슈미처
위르겐 판한스
Original Assignee
후타마키 필름즈 게르마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타마키 필름즈 게르마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후타마키 필름즈 게르마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43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layer and/or the carrier being conduc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C09J2453/006Presence of block copolym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09J2483/005Presence of polysiloxane in the release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33Of polythio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3As siloxane, silicone or sil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한면에 적어도 하나의 경화된 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하는 박리 층(c)가 제공된 박리 필름(여기서, 상기 필름은 대전방지제로서의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올리고머성인 화합물을 갖춘,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층(a) 및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b)를 포함한다), 이의 제조방법 및 탈착식 보호 또는 마스킹 필름으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박리 필름{RELEASE FILM WITH LONG-TERM ANTISTATIC EFFECT}
본 발명은, 적어도 한면에 박리 층(c)를 갖추고, 대전방지제로서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올리고머성인 화합물을 갖춘,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층(a) 및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b)를 포함하는 박리 필름(이의 박리 층(c)는 경화된 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한다), 상기 필름의 제조방법 및 탈착식 보호 또는 라이너 필름(liner film)으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물질로부터 제조되고, 예를 들면, 실리콘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박리 층을 갖는 다층 필름은, 이들 단면 또는 양면 접착 제품이 저장 동안 서로 점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 테이프 또는 자가-접착 레이블(label)용 박리 필름으로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박리 필름의 단점은 제조, 저장 및 가공 동안 정전기 하전(static charging)되고, 그 결과 차단(blocking)을 당하여, 이의 가공을 방해한다. 이러한 불필요한 정전기 하전은 특히 박리 층, 특히 실리콘 층을 기본으로 하는 박리 층을 통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방전에는 박리 층의 적어도 부분적인 파괴 및 손상된 실리콘 층에 의한 접착제 층의 차단이 동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제조, 가공 및/또는 저장 동안 정전기 하전의 경우를 피하기 위하여 대전방지성을 갖춘 박리 필름이 사용된다.
대전방지제는, 정전기 하전을 감소시켜 먼지 끌어당김(dust attraction) 뿐만 아니라 스파크 방전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플라스틱 물질 내로 혼입되거나 플라스틱 제품의 표면에 도포되는 물질이다. 표면 전도율 또는 용적 전도율을 상승시켜 플라스틱의 정전기 하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선행 기술에는 이미 대전방지성을 갖춘 박리 필름이 공개되어 있다.
따라서, EP 제0 445 744 A2호에는 박리 층 외에 대전방지제로서 양이온성 4급 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추가의 층을 갖는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US 제2006/0222867 A1호에는 박리 층 뿐만 아니라 대전방지제로서 알콕시화 아민을 포함하는 추가의 층을 갖는 다층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갖춰진 박리 필름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은, 이의 대전방지 효과가 장기간이 아니고, 그대신 단지 일시적이라는 것이다. 더욱이, 박리 필름이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이들의 경향의 결과, 사용된 대전방지제는 박리 필름의 층 어셈블리의 박리 특성 및/또는 인장 강도 및/또는 접착성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특히 대전방지제가 내부 층으로 혼입되고 따라서 다수의 층을 통하여 겉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다층 박리 필름의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결과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대전방지제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따라서 역시 이러한 이유로 박리 필름 전체에 대한 이의 비율은 최소화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위에서 확인된 단점을 갖지 않는 박리 필름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에도 불구하고 대전방지제의 결과로서 박리 특성 및 기계적 특성에 무시할만한 영향을 미치는 박리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제공으로 달성되는데,
상기 박리 필름은,
대전방지제로서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올리고머성인 화합물을 갖춘,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층(a) 및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b)
을 포함하고,
상기 박리 필름은 적어도 한면에 경화된 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하는 박리 층(c)를 갖추고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박리 필름에 의하면, 대전방지제로서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적어도 올리고머성인 화합물을 갖춘 층(a)가 내부 층이고, 박리 필름의 표면과 상기와 같이 갖춰진 층(a) 사이에, 대전방지 효과를 차단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층(b)의 형태 및/또는 경화된 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하는 박리 층(c)의 형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극성 층이 언제나 배치되어 존재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함을 밝혀내었다. 놀랍게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리 층(c)는 적어도 하나의 경화된 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하지만,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가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정전기 하전의 경우, 매우 우수한 감퇴 효과(abatement effect)가 주목할 만하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용어 "감퇴 효과"는,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이, 예를 들면, 정전기 하전 후 30초 이내에, 적어도 6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보다 특히 완전히는 100%까지 방전됨을 나타낸다.
또한 놀랍게도, 층(a)에 대전방지제로서 적어도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적어도 올리고머성인 화합물을 갖추어, 박리 필름의 박리 특성 및 기계적 특성, 예를 들면, 인장 강도 및/또는 접착 강도에 대한 실질적인 어떠한 영향도 확인될 수 없음이 밝혀졌다.
용어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적어도 3개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개월,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개월,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개월의 기간에 걸쳐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일부에 대한 일관되게 강한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내며,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는 변할 수 있는 환경의 상대 대기 습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가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층(a)를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층(a)는 적합하게는,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상기 언급한 중합체들의 적어도 2개의 단량체의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층(a)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탄소수 2 내지 10의 α,β-불포화 올레핀의 열가소성 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보다 특히 LDPE 또는 H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PB), 폴리이소부틸렌(PI), 또는 상기 언급된 중합체들의 적어도 2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LDPE"는 밀도가 0.86 내지 0.93g/㎤의 범위이고 분자의 고도의 분지화도가 주목할만 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나타낸다. "HDPE"는 분자 쇄의 낮은 분지화도만을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나타내고; 밀도는 0.94 내지 0.97g/㎤의 범위일 수 있다. 층(a)를 제조하는 데 바람직한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스티렌의 열가소성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이 층(a)를 제조하는 데 또한 적합하다.
만일 폴리아미드가 층(a)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면, 열가소성 지방족, 반방향족 또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적합하다. 이러한 폴리아미드는 디아민, 예를 들면, 탄소수 2 내지 10의 지방족 디아민, 보다 특히 헥사메틸렌디아민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디아민, 보다 특히 p-페닐렌디아민 및 디카복실산, 예를 들면, 탄소수 6 내지 14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카복실산, 예를 들면, 아디프산, 테레프탈산 또는 이소테레프탈산으로부터 형성된 폴리아미드이다. 폴리아미드는 탄소수 4 내지 10의 락탐, 예를 들면,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 추가로 제조될 수 있다. 층(a)를 제조하는 데 특히 적합한 폴리아미드는, 예를 들면, PA 6, PA 12, PA 66, PA 6I, PA 6T 및/또는 언급된 폴리아미드 중의 적어도 2개의 혼합물이다.
층(a)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에스테르로서, 열가소성, 지방족, 부분 방향족 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올,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또는 1,4-부탄디올과 디카복실산 또는 디카복실산 유도체, 예를 들면, 아디프산 및/또는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유도한다. 층(a)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폴리에스테르로서 폴리카보네이트(PC)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PB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상응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적어도 올리고머성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비이동성 대전방지제, 즉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다른 층으로의 이동 경향 부재를 나타내고, 따라서 대전방지제를 갖춘 내부 층(a)에 잔존하는 대전방지제이다.
더욱이, 사용된 대전방지제는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로 주목할만 하고, 이는 환경의 상대 대기 습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층(a)는 대전방지제로서의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성 화합물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대전방지제로서 어떠한 이오노머도 사용하지 않는, 즉 올레핀 (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이의 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방지제로서 적어도 하나의 본질적으로 전도성인 중합체(여기서, 상기 본질적으로 전도성인 중합체는 각각의 경우, 도핑된다)를 사용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대전방지제는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즉 적어도 하나의 폴리아미드 블록 및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이들 블록 공중합체는 지방족, 부분 방향족 또는 방향족 폴리아미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들 폴리아미드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지방족 디아민,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아민,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디아민, 예를 들면, p-페닐렌디아민 및 탄소수 6 내지 14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카복실산, 예를 들면, 아디프산, 테레프탈산 또는 이소테레프탈산으로부터 유도된다. 더욱이, 폴리아미드는 탄소수 4 내지 10의 락탐, 예를 들면,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사용된 폴리아미드 블록은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300 내지 100,000g/mol,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80,000g/mol,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0g/mol의, PA 6, PA 12, PA 66, PA 6I 및/또는 PA 6T이다.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반복 구조 단위 -[-O-X-]-(여기서, X는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또는 방향족-지방족 라디칼이다)를 갖는 (사이클로)지방족, 반방향족 또는 방향족 폴리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폴리에테르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트리메틸렌) 옥사이드, 폴리부틸렌 옥사이드, 폴리스티렌 옥사이드,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코폴리에테르, 폴리(테트라하이드로푸란), 언급된 폴리에테르의 구조 단위의 공중합체 또는 언급된 폴리에테르 중의 적어도 2개의 혼합물이다. 폴리에테르는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100 내지 50,000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00g/mol, 매우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0,000g/mol이다.
용어 "본질적으로 전도성인 중합체"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 비전도 상태에서 공액 π-전자 시스템을 갖고, 도핑에 의해, 즉 적어도 부분적인 산화, 환원, 양성자화 및/또는 탈양성자화에 의해 전도 형태로 전환되는 중합체를 말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본질적으로 전도성인 중합체의 용적 전도율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14S/cm 내지 108S/cm 이하이고, IEC 61620 표준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대전방지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세틸렌(PAC), 바람직하게는 에메랄딘 및 레우코에메랄딘, 폴리아닐린(PANI), 폴리피롤(PPy), 폴리-파라-페닐렌(PPP), 폴리-파라-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페닐렌비닐렌(PPV), 폴리플루오렌(PFO), 폴리티오펜(PT),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3-알킬)티오펜, 폴리테트라티아풀발렌, 폴리나프틸렌, 폴리이소티아나프틸렌(PITN), 폴리프탈로시아닌(PPc) 및 폴리-3,4-디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 또는 PEDT)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를 도핑시켜 수득한, 본질적으로 전도성인 중합체이다.
이들 본질적으로 전도성인 중합체는 이들의 구성에 있어서 화학적으로 균일할 수 있거나, 상이한 단량체로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도핑된 본질적으로 전도성인 중합체는 통상적으로, 이들의 도핑 전에, 바람직하게는 수성 또는 유기 반응 매질 중에서,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염기를 사용하여 상응하는 단량체를 당업자에게 공지된 중합 기술, 예를 들면, 중축합, 개환 중합, 열 중합에 의해, 또는 화학적 산화 또는 환원 중합에 의해 또는 전기화학적 산화 또는 환원 중합(애노드 또는 캐소드 중합)에 의해 제조한다. 적합한 화학적 산화제의 예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브롬, 염소 또는 요오드, 과산화물, 과산, 과염소산염 및 과황산염, 바람직하게는 과황산암모늄을 포함한다. 적합한 화학적 환원제의 예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대전방지제로서 사용되는 본질적으로 전도성인 중합체는 각각의 경우 도핑된다. 위에서 언급된 중합체의 이러한 도핑은 도핑된 중합체의 적어도 부분적 산화, 환원, 양성자화 및/또는 탈양성자화를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합한 도펀트로 달성된다. 도핑은 실제로 중합 동안 또는 그 이후에 수행할 수 있다.
도펀트는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브롬, 염소 또는 요오드, 과염소산염, 과산화물, 과황산염,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유기산 및 산 무수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설폰산, 바람직하게는 톨루엔설폰산 또는 메탄설폰산, 무기산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무기 루이스산,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기율표의 주요 3족 또는 5족 원소의 할로겐화물, 매우 바람직하게는 붕소, 인듐, 알루미늄, 갈륨, 인 또는 안티몬의 할로겐화물, 보다 특히 삼불화붕소, 삼불화인듐 및 양성자산(예를 들면, 염산 또는 황산) 및 중합체-결합된 도펀트,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설폰산(PSSH), 폴리(비닐설폰산) 및 폴리프로판설폰산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질적으로 전도성인 중합체의 제조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예를 들면, 문헌[참조: G. Inzelt, Conducting polymers, 2008, Springer Verlag] 또는 문헌[참조: T.A. Skotheim, J. Reynolds, Conjugated Polymers: Theory, Synthesis, Properties, and Chracterization (Handbook of Conducting Polymers, Third Edition), 2006, CRC press]에서 찾을 수 있다. 상응하는 개시부는 본 명세서의 개시부로서 본원에 도입된다. 고유 중합체는 시판품이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층(a)는 각각의 경우 층(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전방지제를 10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6중량% 갖는다.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각각의 경우 박리 필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전방지제를 0.5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중량% 갖는다.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대전방지제는 박리 필름의 제조 동안, 다미립자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말 형태로 미분된 형태로 가한다.
대전방지제는 바람직하게는 층(a)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열가소성 중합체, 즉 층(a)의 매트릭스 중합체와의 불혼화성에 도움이 된다. 불혼화성 때문에, 층(a)의 제조, 보다 특히 냉각은 층(a) 내의 대전방지제의 일종의 망상구조의 형성을 동반한다.
대전방지제의 융점은, 층(a)가 기반을 둔 열가소성 중합체의 융점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높아야 한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내부 층(a),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층(a)[층(a1) 및 (a2)]를 갖고, 이들 각각에는 대전방지제가 갖춰진다. 이러한 경우, 층(a1) 및 (a2)를 기본으로 하는, 도핑된 대전방지제의 총량은 바람직하게는 대전방지제에 대하여 위에서 나타낸 총량에 상응한다. 2개의 층(a1) 및 (a2)에는 동일한 대전방지제 또는 상이한 대전방지제가 갖춰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2개의 층(a1) 및 (a2)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양의 대전방지제가 갖춰질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표면 층으로서 박리 층(c)가 직접 갖춰진 층(a)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층(a)는 바람직하게는 층 두께가 5㎛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매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이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전체 층 두께 대 층(a)의 전체 층 두께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1,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1,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1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층(b)를 제조하기 위하여, 층(a)를 제조하는 데 또한 사용될 수 있는 동일한 열가소성 중합체가 적합하고, 각각의 층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종류의 중합체를 기본으로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층(b)를 제조하기에 바람직하게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층(b)는 바람직하게는 층 두께가 5㎛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매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이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층(b)는 내부 층(a)에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이의 다른 표면 또는 경계 표면에 박리 층(c)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박리 필름은 중심 층(b)에 대하여 대칭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추가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박리 필름은 중심 층(b)에 대하여 비대칭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박리 층(c)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경화성 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한다.
용어 "폴리실록산"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중합체 쇄가 규소원자와 산소원자로 교대로 구성된 화합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된다. 폴리실록산은 n개의 반복 실록산 단위(-[Si(R2)-O-)n를 기반으로 하며, 이는 각각의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2개의 유기 라디칼 R(여기서, R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 R1 또는 OR1이고, R1은 각각의 경우 알킬 라디칼 또는 아릴 라디칼이다)에 의해 이치환된다. 본 발명의 경화된 폴리실록산은 바람직하게는 반복 디알킬실록산 단위 또는 반복 알킬아릴실록산 단위를 기반으로 한다. 각각의 경우 4가의 규소원자를 기준으로 하여, 얼마나 많은 Si-O 결합을 개별 실록산 단위에 갖는지에 따라, 이들 단위는 하나의 Si-O 결합을 갖는 말단 1관능성 실록산(M), 2개의 Si-O 결합을 갖는 2관능성 실록산(D), 3개의 Si-O 결합을 갖는 3관능성 실록산(T) 및 4개의 Si-O 결합을 갖는 4관능성 실록산(Q)로 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폴리실록산은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된 사이클릭 또는 쇄유사(chainlike) 구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된 쇄유사 구조를 갖고, 이는 (D), (T) 및/또는 (Q) 단위에 의해 연결되어 2차원 또는 3차원 망상구조를 형성한다. 폴리실록산 쇄의 반복 실록산 단위(-[Si(R2)-O-)n의 수 n은 폴리실록산의 중합도로 나타낸다.
박리 층(c)는 부가-가교결합, 바람직하게는 금속 촉매를 사용한 부가-가교결합, 축합-가교결합, 라디칼-가교결합 및 양이온 가교결합된 폴리실록산 및/또는 수분 노출에 의해 가교결합된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경화된, 즉 가교결합된 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한다.
박리 층(c)는 바람직하게는 열 경화에 의해, 전자기 방사선에 의한 경화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UV 방사선에 의해, 또는 수분 노출에 의해 경화된 적어도 하나의 경화된 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박리 층(c)는 각각의 경우 경화된, 폴리디알킬실록산, 바람직하게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알킬아릴실록산,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페닐실록산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경화된 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한다.
열 경화된 폴리실록산은 실란 관능기를 함유하는 폴리실록산과 적어도 하나의 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화합물과의 열적 하이드로실릴화에 의해 수득한다. 전자기 방사선에 의해 경화된 폴리실록산의 경우, 폴리실록산의 가교결합은 전자기 방사선, 바람직하게는 UV 방사선에 의해 수행한다. 수분, 바람직하게는 물에 노출시켜 가교결합된 폴리실록산은 적어도 하나의 실란 관능기 및 적어도 하나의 알콕시 그룹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알콕시실란 그룹이 적어도 하나의 알콜 분자의 제거가 동반된, Si-O 결합을 형성하는 중축합 반응에 의해 수득한다. 그러므로, 경화되는 폴리실록산은 각각의 경우, 가교결합을 필요로 하는 내부-반응성 관능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박리 층(c)는 바람직하게는 층 두께가 0.1㎛ 내지 ≤3㎛,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이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적어도 한쪽에, 이의 표면들 중의 하나 위에 박리 층(c)를 갖추고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양쪽에, 두 표면들 위에 박리 층을 갖출 수도 있다.
매우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중심 층(b)를 가지며, 상기 중심 층(b)는 이의 표면들 각각에서 각각의 층(a)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층(a)의 두 자유(free) 표면에는 박리 층(c)를 갖추고 있다.
또 다른 매우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중심 층(a)를 가지며, 상기 중심 층(a)는 이의 표면들 각각에서 각각의 층(b)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층(b)들의 두 자유 표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박리 층(c)를 갖추고 있다.
추가의 매우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중심 층(b)를 가지며, 상기 중심 층(b)는 이의 표면들 또는 경계 표면들 중 하나에서 층(a)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층(a)의 자유 표면은 박리 층(c)를 갖추고, 상기 제2 층(b)의 자유 표면은 임의로 박리 층(c)를 갖추고 있다.
추가의 매우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중심 층(b)를 가지며, 상기 중심 층(b)는 이의 표면들 각각에서 층(a)[층(a1) 및 (a2)]에 접합되어 있으며, 이들 층(a)[층(a1) 및 (a2)]의 자유 표면들 또는 경계 표면들은 각각의 경우 추가의 층(b)에 접합되어 있으며, 이들 층(b)들의 2개의 자유 표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박리 층(c)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박리 층(c)를 갖춘 박리 필름의 표면은 층(a)에 분포된 입상 대전방지제의 기하와 일직선으로 비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박리 층(c)를 갖춘 박리 필름의 전체 표면은 이러한 비대칭 구조를 가지며, 비대칭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표면상 반복적 상승부 및 하강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탈착의 기판 접촉점으로서 제공되는,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비대칭 구조의 상승부는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부가된 대전방지제를 통하여, 높이가 ≥2㎛, 바람직하게는 ≥4㎛, 보다 바람직하게는 ≥6㎛이다.
박리 층(c) 및 또한 층(a) 및 층(b)는, 필요하다면, 각각의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산화방지제, 블로킹방지제, 무적제(antifogging agent), 활성 항미생물 성분, 광 안정제, UV 흡수제, UV 필터, 염료, 색 안료, 안정제, 바람직하게는 열 안정제, 가공 안정제,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입체 장애 아민(HALS)을 기본으로 하는 UV 및/또는 광 안정제, 가공 조제, 난연제, 성핵제, 결정화제, 바람직하게는 결정 성핵제, 윤활제, 형광증백제, 가요화제, 밀봉제, 가소제, 실란, 스페이서, 충전제, 필 첨가제, 왁스, 습윤제, 표면 활성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보조제로 도핑된다. 이러한 경우, 박리 층(c)의 박리 효과는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고, 보유되어야 한다. 추가로, 층(a) 속의 대전방지제의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는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고, 보유되어야 한다.
박리 층(c) 및 또한 층(a) 및 층(b)는, 필요하다면, 각각의 경우 서로 독립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위에서 언급된 보조제를 각각의 경우 개별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0.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 내지 20중량%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박리 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박리 층(c)를 갖춘 박리 필름 표면은 표면 저항이 1·109 내지 9·1013Ω,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9 내지 9·1011Ω이다. 표면 저항은 DIN IEC 93 VDE 0303에 따라 또는 아래 명시된 바와 같은 방법 2에 의해 측정하고, [Ω]으로 기록한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층 총 두께가 15㎛ 내지 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50㎛, 매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00㎛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예를 들면, 적층 또는 (공)압출과 같은 공지된 제조 공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공압출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대전방지제로 층(a)를 도핑하는 것은, 대전방지제와 층(a)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블렌딩하거나, 대전방지제의 마스터배치와 층(a)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열가소성 중합체를 블렌딩하여 달성된다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블렌딩은 과립/분말 또는 과립/과립 형태로 건식 작동으로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층(a)를 압출시키는 데 사용되는 압출기에 계량 도입함으로써, 층(a)를 제조하기 위한 열가소성 중합체의 용융물에 대전방지제를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층(a) 및 층(b) 각각 및 전체가 압출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플랫-필름 압출(캐스트 압출) 또는 취입-필름 압출에 의해, 보다 특히 플랫-필름 공압출(캐스트 공압출) 또는 취입-필름 공압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층(a) 및 층(b)는 관형 필름의 형태로, 전체 다층 필름 어셈블리로서 제조하고 가공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층(a) 및 층(b)는 캐스트 필름 어셈블리로서 이의 전체로 제조하고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개별 층(a) 및 층(b)는 바람직하게는 (공)압출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로서의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올리고머성인 화합물을 갖춘 층(a), 또는 층(b), 또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전방지제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층(a) 및 적어도 하나의 층(b)를 포함하는 층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한 표면 또는 양 표면에, 즉 단면으로 또는 양면으로, 바람직하게는 단면으로만, 아직 경화되지 않은 폴리실록산으로서 적어도 하나 및, 또한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위에서 언급한 보조제를 기본으로 하는 박리 층(c)를 피복하여 갖추어지고, 위에서 언급한 층 또는 층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에 접합된다. 박리 층(c)를 형성하는 아직 경화되지 않은 폴리실록산, 또는 아직 경화되지 않은 폴리실록산과 적어도 하나의 위에서 언급된 보조제와의 혼합물의 경화는, 바람직하게는 열이나 전자기 방사선에 노출시키고,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UV 개시제 및/또는 하나의 라디칼 개시제를 미경화된 폴리실록산 또는 혼합물에 가하여 달성된다. 경우에 따라, 박리 필름은 피복 또는 경화 후에 엠보싱될 수 있다.
각각의 제조 공정 및 상응하는 제조 파라미터는 당업자에게는 일반적 지식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전방지제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층(a) 및 적어도 하나의 층(b)의 다층 어셈블리는 각각의 성분을 용융시키면서 (공)압출에 의해 제조되거나, 또는 적층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어셈블리는 후속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박리 층(c)가 피복되고, 열 또는 전자기 방사선에 노출시키고,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UV 개시제 및/또는 하나의 라디칼 개시제를 가함으로써 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하는 상기 박리 층(c)는 어셈블리의 잔여부에 접합되고 경화된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층(a) 및 층(b)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박리 층(c)의 도포 전에, 임의로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및/또는 화염 처리와 같은 표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코로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인쇄되고/되거나 착색되고/되거나 엠보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제거가능한 보호 필름 또는 제거가능한 라이너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로, 제거가능한 보호 또는 라이너 필름, 바람직하게는 자가-접착 레이블, 접착 테이프 및/또는 스티커의 접착 층용의, 제거가능한 보호 또는 라이너 필름으로서의,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은 또한 내부층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블랭크(blank)들 사이의 필름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로, 내부층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블랭크 사이의 필름으로서의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용도를 제공한다.
표면 저항의 측정
방법 1:
표면 저항은 DIN IEC 93 VDE 0303에 따라 측정하고 [Ω]으로 기재될 수 있다.
방법 2:
본 발명의 박리 필름의 표면 저항은 대안적으로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하고 [Ω]으로 기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리 필름 또는 비교용 필름의 샘플(300㎜×100㎜)을 자기 텐셔너(magic tensioner)의 도움으로, 표면 저항이 측정되어야 하는 표면에 의해, 중합체성 필름의 정전 특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측정 기구로, 예를 들면, QUMAT?-428 기구(제조원: Quma, Wuppertal, Germany)로 삽입한다. 우선, 각각의 샘플의 조사하에 표면에 존재하는 전계 강도를 kV/m로 나타낸 다음, 샘플의 표면을 방전시키고, 후속적으로 특정의 소정 전계 강도로 하전시킨다. 그 후, 전계 강도의 감소를 소정 시간 간격 내에서, 예를 들면, 30초에 걸쳐 측정한다. 조사된 각각의 샘플의 표면의 표면 저항을, 밝혀진 측정 값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아래에 본 발명 및 비교용 샘플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나타내지만, 어떠한 제한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하지 않아야 한다.
I. 사용된 원료의 화학적 특성확인
대전방지제 A: Cesa-Stat? OCA 0025612(제조원: Clariant)(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II. 박리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8(B1-B8)에 따르는 박리 필름의 각각의 층은 실시예에 나타낸 순서로 서로 직접 인접한다. 실시예 B1-B8에 따르는 박리 필름의 층(a) 및 층(b)를 포함하는 층 어셈블리를 취입-필름 공압출로 제조하고, 하부스트림 작업에서 박리 층(c)로 한면 또는 양면에 도포하였다.
III. 실시예
아래의 모든 % 숫자는 각각의 경우 중량%이다.
III.1 실시예 1(B1)
Figure pct00001
III.2 실시예 2(B2)
Figure pct00002
III.3 실시예 3(B3)
Figure pct00003
III.4 실시예 4(B4)
Figure pct00004
III.5 실시예 5(B5)
Figure pct00005
III.6 실시예 6(B6)
Figure pct00006
III.7 실시예 7(B7)
Figure pct00007
III.8 실시예 8(B8)
Figure pct00008

IV.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
실시예 1 내지 8(B1-B8)의 박리 필름의 대전방지 효과의 장기간 특성은, 위에 기재된 방법 2에 따라, 박리 필름의 두 표면 각각에서 표면 저항을 측정하여 측정하였으며, 이러한 측정은 QUMAT?-428 기구(제조원: Quma)를 사용하여 수행하고, 전계 강도 감소는 30초의 시간 간격 내에서 측정하였다. 각각의 표면의 경우 이는 각각의 경우, 박리 필름의 제조 직후의 측정에서 1.109 내지 9.1011Ω의 범위의 표면 저항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내지 8(B1-B8)에 따르는 박리 필름 각각은 초기 측정 후 12개월 동안 저장하였고, 표면 저항은 각각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8(B1-B8)에 따르는 개별적인 박리 필름의 각각의 표면에서 방법 2의 수단에 의해 측정하였다. 박리 필름 전체에 대하여, 1.109 내지 9.1011Ω 범위의 표면 저항이 각각의 표면에 대하여 각각의 경우 역시 나타났다. 저장은 표준 주위 조건, 즉 약 23℃의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확인된 표면 저항 값은 환경의 상대 대기 습도와는 독립적이었다. 그러므로,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는 상대 대기 습도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Claims (17)

  1. 박리 필름으로서,
    상기 박리 필름은,
    대전방지제로서의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올리고머성인 화합물을 갖춘,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층(a) 및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b)
    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박리 필름은 적어도 한면에 박리 층(c)를 갖추고,
    상기 박리 층(c)는 적어도 하나의 경화된 폴리실록산을 기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가, 상대 대기 습도와는 독립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가 대전방지제로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본질적으로 전도성인 중합체가 대전방지제로서 존재하고, 상기 중합체는 각각의 경우 도핑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가 대전방지제로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본질적으로 전도성인 중합체가 대전방지제로서 존재하고, 상기 중합체는 각각의 경우 도핑되고, 상기 중합체는 폴리아세틸렌(PAC), 폴리아닐린(PANI), 폴리피롤(PPy), 폴리-파라-페닐렌(PPP), 폴리-파라-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페닐렌비닐렌(PPV), 폴리플루오렌(PFO), 폴리티오펜(PT), 바람직하게는 폴리(3-알킬)티오펜, 폴리테트라티아풀발렌, 폴리나프틸렌, 폴리이소티아나프틸렌(PITN), 폴리프탈로시아닌(PPc) 및 폴리-3,4-디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 또는 PEDT)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본질적으로 전도성인 중합체가 대전방지제로서 존재하고, 상기 중합체는 할로겐, 과염소산염, 과산화물, 과황산염,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유기산 및 산 무수물, 무기산, 바람직하게는 무기 루이스산 및 중합체-결합된 도펀트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도펀트로 도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층(a)가 상기 대전방지제를, 각각의 경우 상기 층(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6중량%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필름이, 상기 대전방지제를 각각 갖춘 적어도 2개의 내부 층(a)[층(a1) 및 (a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a)가,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상기 언급한 중합체들의 적어도 2개의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기본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a)가, 표면 층으로서 상기 박리 층(c)를 직접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b)가, 표면 층으로서 상기 박리 층(c)를 직접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층(b)가 이의 다른 경계 표면에 의해 내부 층(a)에 인접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필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필름의 전체 층 두께 대 상기 층(들)(a)의 전체 층 두께의 비가 적어도 2: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1,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1,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1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필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b)가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을 기본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필름.
  15. 대전방지제로서의,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올리고머성인 화합물을 갖춘 적어도 하나의 층(a)와 적어도 하나의 층(b)와의 층 어셈블리를 (공)압출 또는 적층에 의해 제조하고, 상기 층 어셈블리의 표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박리 층(c)를 갖추어 줌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박리 필름의 제조방법.
  16. 탈착식 보호 또는 라이너 필름(liner film), 바람직하게는 접착성 자가-접착 레이블(label), 접착 테이프 및/또는 스티커용의, 탈착식 보호 또는 라이터 필름으로서의,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박리 필름의 용도.
  17. 블랭크(blank)들 사이의 필름으로서의,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박리 필름의 용도.
KR1020137002584A 2010-07-02 2011-06-08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박리 필름 KR101899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25938.1 2010-07-02
DE201010025938 DE102010025938A1 (de) 2010-07-02 2010-07-02 Trennfolie mit dauerhaft antistatischer Wirkung
PCT/EP2011/002800 WO2012000602A1 (de) 2010-07-02 2011-06-08 Trennfolie mit dauerhaft antistatischer wirk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173A true KR20130043173A (ko) 2013-04-29
KR101899796B1 KR101899796B1 (ko) 2018-09-20

Family

ID=4462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584A KR101899796B1 (ko) 2010-07-02 2011-06-08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박리 필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273234B2 (ko)
EP (1) EP2588552B1 (ko)
JP (1) JP5891224B2 (ko)
KR (1) KR101899796B1 (ko)
CN (1) CN103097479A (ko)
AU (1) AU2011273938A1 (ko)
CA (1) CA2804203C (ko)
DE (1) DE102010025938A1 (ko)
DK (1) DK2588552T3 (ko)
ES (1) ES2568799T3 (ko)
HU (1) HUE026951T2 (ko)
PL (1) PL2588552T3 (ko)
RU (1) RU2573680C2 (ko)
TW (1) TWI516566B (ko)
WO (1) WO20120006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100668U1 (de) 2012-02-27 2013-03-05 Swedex Gmbh & Co. Kg Laminiertasche
JP6346413B2 (ja) * 2013-06-10 2018-06-20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付き粘着剤層、その製造方法およびセパレータ付きの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US20180009002A1 (en) * 2015-02-20 2018-01-11 Tesa Se Method for reducing the winding level adhesiveness of an adhesive tape roll
CN105566864A (zh) * 2015-12-14 2016-05-11 广东弘擎电子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抗静电离型膜
CN105348649B (zh) * 2015-12-22 2017-10-10 吉翔宝(太仓)离型材料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pp变色复合离型膜
CN107217368A (zh) * 2016-03-22 2017-09-29 孙彦飞 一种防水抗静电布料及其制造方法
JP6691703B2 (ja) * 2016-03-29 2020-05-13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DE102016213661A1 (de) * 2016-07-26 2018-02-01 Tesa Se Releaseliner mit unterschiedlicher Oberflächenbeschichtung
EA201650119A3 (ru) * 2016-11-29 2018-08-3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тостанкопром" Антиобледенительно-антиадгезийная пленкообразующая жидкость и технология нанесения жидкости как покрытие поверхности
US10766226B2 (en) 2018-05-01 2020-09-08 Inteplast Group Corporation Pet release liner
DE102018116748A1 (de) * 2018-07-11 2020-01-16 Infiana Germany Gmbh & Co. Kg Lokal deaktivierte Releasebeschichtung
US20220371310A1 (en) * 2019-10-18 2022-11-24 Showa Denko K.K. Transparent conducting film laminat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10957059A (zh) * 2019-12-26 2020-04-03 海泰纳鑫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银纳米线透明导电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621156B (zh) * 2020-06-05 2022-08-30 苏州鸿科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超轻离型力自由基光固化离型膜及其制备方法
CN111500204A (zh) * 2020-06-15 2020-08-07 杭州福斯特应用材料股份有限公司 胶膜、形成其的组合物及电子器件
WO2023170022A1 (de) 2022-03-10 2023-09-14 Loparex Germany Gmbh & Co. Kg Tiefziehfähige trennfolie für faserverbundkunststoff-bautei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8203A (ja) * 1997-04-01 1998-10-20 Diafoil Co Ltd 離型フィルム
JP2007152930A (ja) * 2005-11-30 2007-06-21 Toray Saehan Inc 帯電防止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0617C1 (de) * 1984-11-07 1986-06-26 Zipperling Kessler & Co (Gmbh & Co), 2070 Ahrensburg Antistatische bzw. elektrisch halbleitende thermoplastische Polymerblends,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3834526A1 (de) * 1988-10-11 1990-04-12 Zipperling Kessler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duenner schichten aus leitfaehigen polymeren sowie verwendung der beschichteten substrate
JPH03256741A (ja) 1990-03-07 1991-11-15 Diafoil Co Ltd 複合フィルム
US6115638A (en) * 1998-05-04 2000-09-05 Survivalink Corporation Medical electrode with conductive release liner
JP2000052495A (ja) * 1998-08-06 2000-02-22 Teijin Ltd 離形フィルム
DE60021716T2 (de) * 1999-02-10 2006-06-01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Blockpolymer und dieses enthaltendes Antistatikmittel
JP5098127B2 (ja) * 2001-09-12 2012-12-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および熱転写シート
ES2398432T3 (es) 2003-04-11 2013-03-19 Treofan Germany Gmbh & Co. Kg Película de polipropileno orientado biaxialmente provista de un recubrimiento adhesivo de sellado en frío y que tiene excelentes propiedades de lubricación y sellado
JP4439886B2 (ja) * 2003-11-25 2010-03-2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帯電防止性を有する離型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5350650A (ja) * 2004-05-14 2005-12-22 Nitto Denko Corp 剥離ライナー及びそれを用いた感圧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DE102005010162B4 (de) * 2005-03-02 2007-06-14 Ormecon Gmbh Leitfähige Polymere aus Teilchen mit anisotroper Morphologie
JP4611084B2 (ja) * 2005-03-31 2011-01-1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フィルム
EP1946365A2 (en) * 2005-10-13 2008-07-23 CPFilms Inc. An electrically conductive release liner
JP4721914B2 (ja) * 2006-01-17 2011-07-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7947361B2 (en) * 2006-01-17 2011-05-24 Lintec Corporation Releas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film
JP4695513B2 (ja) * 2006-01-17 2011-06-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9241388A (ja) * 2008-03-31 2009-10-22 Mitsubishi Plastics Inc 帯電防止性離型フィルム
KR101640618B1 (ko) * 2008-08-19 2016-07-1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다층 광학 용품
US8623513B2 (en) * 2008-08-28 2014-01-07 Xerox Corporation Hydrophobic polyetherimide/polysiloxane copolymer intermediate transfer components
JP4949450B2 (ja) * 2009-10-09 2012-06-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帯電防止性を有する離型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8203A (ja) * 1997-04-01 1998-10-20 Diafoil Co Ltd 離型フィルム
JP2007152930A (ja) * 2005-11-30 2007-06-21 Toray Saehan Inc 帯電防止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04256A (ru) 2014-08-10
PL2588552T3 (pl) 2016-07-29
EP2588552A1 (de) 2013-05-08
JP5891224B2 (ja) 2016-03-22
WO2012000602A1 (de) 2012-01-05
TW201207078A (en) 2012-02-16
ES2568799T3 (es) 2016-05-04
EP2588552B1 (de) 2016-01-20
DK2588552T3 (en) 2016-04-25
HUE026951T2 (en) 2016-08-29
AU2011273938A1 (en) 2013-02-21
TWI516566B (zh) 2016-01-11
CN103097479A (zh) 2013-05-08
DE102010025938A1 (de) 2012-01-05
JP2013534480A (ja) 2013-09-05
US9273234B2 (en) 2016-03-01
RU2573680C2 (ru) 2016-01-27
CA2804203A1 (en) 2012-01-05
KR101899796B1 (ko) 2018-09-20
US20130115465A1 (en) 2013-05-09
CA2804203C (en)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796B1 (ko) 장기간 대전방지 효과를 갖는 박리 필름
JP5145479B2 (ja) 太陽電池裏面保護膜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8995814B2 (en) Light guide and associated light assemblies
EP3252832A1 (en) Co-extruded one-time formed backplate having three-layer structure for solar cell module
KR100902033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2002060736A (ja) 帯電防止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KR101801689B1 (ko) Oled 패널 하부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패널
TW201230349A (en) A multilayer backsheet for photovoltaic modules, and its production and use in the production of photovoltaic modules
JP6793230B2 (ja) 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
KR20090032725A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650133B1 (ko) 투명 대전방지 이형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테이프
US9533945B2 (en) Ketene imine compound, polyester film, back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JP6880129B2 (ja) 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
KR200400364Y1 (ko) 대전방지 이형 필름
CN110023437A (zh) Pv电池及背板聚酯膜
KR101358511B1 (ko) 점착성 기능성 필름
KR102521827B1 (ko) 이형 필름
KR20130001463A (ko) 다양한 대전방지성능이 구현되는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 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152249B1 (ko) 디스플레이용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JP2004255705A (ja) 離形フィルム
KR100431276B1 (ko) 전도성 캐리어테이프 바디용 고분자 필름
JP2005154636A (ja) 防湿性ポリエステルシートおよびptp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