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106A -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106A
KR20130042106A KR1020110106229A KR20110106229A KR20130042106A KR 20130042106 A KR20130042106 A KR 20130042106A KR 1020110106229 A KR1020110106229 A KR 1020110106229A KR 20110106229 A KR20110106229 A KR 20110106229A KR 20130042106 A KR20130042106 A KR 20130042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bar
electromagnet
vehicle
lev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3393B1 (ko
Inventor
김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트
Priority to KR1020110106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3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고정설치되며, 일측에 이동홈이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전자석부; 차량 또는 물체를 감지하는 제1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부에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전원공급 제어로 상하 이동하는 상기 전자석부에 회전가능하게 일측이 연결된 제1지렛대와, 상기 제1지렛대의 타측이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수직이동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어 수직이동하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판에 설치된 회전축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2지렛대를 포함하는 지렛대부;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측에 연결대로 연결되어 일체로 수직이동하는 무게추;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설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차단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장률이 낮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차단바의 회전속도가 빨라 차량이 진입로를 통과하는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의 공급여부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전자석과 전자석에 연결된 지렛대 또는 캠을 이용하여 차단바가 균형 추와 차단기 바의 무게 중심에 의하여 고정된 회전축을 회전시켜 90°회전시킴으로써 무동력으로 차단바의 개폐가 가능한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차단바는 차량을 입, 출차하기 위한 진입로에 설치되어 진입이 허용된 차량의 경우에는 차단바가 회전하여 차량을 통과시키고 진입이 허용되지 않은 차량의 경우에는 차량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는 개폐장치이다.
이때, 센서가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면 모터를 구동시켜 차단바를 회전시키는데 차단바의 회전속도가 느려 차량이 통과시키는데 시간이 많이 소모되었다.
또한, 모터의 동력으로 구동시켜 고장률이 높아 유지보수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또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자석부에 전원의 공급이 제어되어 유동전자석을 상하이동시키고, 유동전자석이 상하이동할 때 제1고정부재가 수직이동하고 제2지렛대와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차단바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장률이 낮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차단바의 회전속도가 빨라 차량이 진입로를 통과하는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게추, 제1고정부재, 제2고정부재 및 연결대의 총합 무게와 같거나 크도록 함으로써, 차단바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차단바를 회전시킬 수 있는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단바의 하측에 차량 및 물체를 감지하는 제2센서가 장착되어 제어부에서 제2센서의 감지신호에 전자석부를 제어하여 차단바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고정설치되며, 일측에 이동홈이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전자석부; 차량 또는 물체를 감지하는 제1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부에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전원공급 제어로 상하 이동하는 상기 전자석부에 회전가능하게 일측이 연결된 제1지렛대와, 상기 제1지렛대의 타측이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수직이동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어 수직이동하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판에 설치된 회전축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2지렛대를 포함하는 지렛대부;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측에 연결대로 연결되어 일체로 수직이동하는 무게추;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설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차단바;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전자석; 상기 고정전자석의 하부로 돌출형성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제1지렛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이동핀; 및 상기 제1지렛대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핀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동핀이 일정거리만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벽을 관통하는 이동홀이 형성되어 일정거리만 상하 이동가능한 유동전자석;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제어부의 전원제어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생하는 자성에 의해 외부의 물체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절연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바의 무게는, 상기 무게추, 제1고정부재, 제2고정부재 및 연결대의 총합 무게와 같거나 크도록 하여 상기 차단바가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바는, 하측에 차량 및 물체를 감지하는 제2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부에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무게추가 흔들리지 않고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흔들림방지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또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자석부에 전원의 공급이 제어되어 유동전자석을 상하이동시키고, 유동전자석이 상하이동할 때 지렛대부가 수직이동하여 일측에 차단바가 고정된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고장률이 낮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차단바의 회전속도가 빨라 차량이 진입로를 통과하는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게추, 제1고정부재, 제2고정부재 및 연결대의 총합 무게와 같거나 크도록 함으로써, 차단바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차단바를 회전시킬 수 있는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바의 하측에 차량 및 물체를 감지하는 제2센서가 장착되어 차단바의 동작시만, 제어부에서 제2센서의 감지신호에 전자석부를 제어하여 차단바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는 케이스(110), 상판(120), 전자석부(130), 제어부(140), 지렛대부(150), 무게추(160) 및 차단바(17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11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내부에 상판(120), 전자석부(130), 지렛대부(150), 무게추(160) 및 전자석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가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110)의 내부에 흔들림방지벽(19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흔들림방지벽(190)은 수직이동하는 무게추(160)가 흔들리지 않고 상하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벽이다.
즉, 흔들림방지벽(190)은 내측벽이 무게추(160)의 외측벽이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며 무게추(160)의 외측벽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판(120)은 케이스(110)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며, 일측에 이동홈(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자석부(130)는 상판(1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움직인다.
이때, 전자석부(130)는 고정전자석(131), 피스톤(133), 이동핀(134) 및 유동전자석(139)을 포함한다.
고정전자석(131)은 상판(120)의 하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피스톤(133)은 고정전자석(131)의 하부로 돌출형성되며, 제1지렛대(151)가 끼워지는 끼움홈(132)이 형성된다.
또한, 이동핀(134)은 끼움홈(132)에 끼워진 제1지렛대(151)를 피스톤(13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유동전자석(139)은 제1지렛대(151)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핀(137)으로 고정되고, 이동핀(134)이 일정거리만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벽을 관통하는 이동홀(136)이 형성되어 일정거리만 상하 이동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유동전자석(139)는 삽입홈(135)과 이동홀(136) 및 고정홈(138)이 형성된다.
유동전자석(139)의 삽입홈(135)은 제1지렛대(151)와 피스톤(133)이 삽입되며 상하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유동전자석(139)의 이동홀(136)은 이동핀(134)의 양단이 일정거리만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벽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유동전자석(139)의 고정홈(138)은 제2지렛대(158)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핀(137)이 삽입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고정전자석(131)은 상판(120)의 하측에 고정설치되고, 유동전자석(139)은 고정전자석(131)의 하부로 돌출형성된 피스톤(133)에 이동핀(134)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1지렛대(151)는 끝단을 관통하며 삽입되는 고정핀(137)으로 유동전자석(139)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중간을 관통하며 삽입되는 이동핀(134)으로 피스톤(1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고정전자석(131)과 유동전자석(139)은 전원이 공급될 때 자기화되어 유동전자석(139)이 상측으로 이동하며 고정전자석(131)으로 달라붙게 된다. 즉, 유동전자석(139)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지렛대(151)는 일단이 고정핀(137)으로 고정된 반대편인 타단이 하향하며 회전하고 제1고정부재(153)의 제1관통홀(152) 하측면을 가압하여 제1고정부재(153)를 하향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고정전자석(131)과 유동전자석(139)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면 비자기화되어 유동전자석(139)이 고정전자석(131)과 떨어지면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즉, 유동전자석(139)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지렛대(151)는 일단이 고정핀(137)으로 고정된 반대편인 타단이 하향하고, 제1지렛대(151)의 타단이 상향할 때 제1고정부재(153)의 제1관통홀(152) 상측면을 가압하여 제1고정부재(153)를 상향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동홀(136)은 유동전자석(139)이 고정전자석(131)과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이동핀(134)이 이동홀(136)의 상측에 걸려있고, 유동전자석(139)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고정전자석(131)에 붙게 될 때 제1지렛대(151)의 타단이 제1관통홀(152)의 하측면을 가압하여 제1고정부재(153)와 일체로 수직이동하는 제2고정부재(155)와 연결된 제2지렛대(158)가 90°도 회전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는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지렛대(158)가 90°도 회전했을 때 이동홀(136)의 하측에 이동핀(134)이 걸리게 되어 유동전자석(139)이 상측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하며 제2지렛대(158)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전자석부(130)는 제어부(140)의 전원제어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생하는 자성에 의해 외부의 물체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절연함(18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차량 또는 물체를 감지하는 제1센서(미도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자석부(130)에 전원의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차단바(170)의 하측에 차량 및 물체를 감지하는 제2센서(172)가 더 장착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제2센서(172)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자석부(130)에 전원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센서(미도시)와 제2센서(172)는 로프코일(loop coil),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차량 또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제1센서(미도시)로 진입하는 차량 또는 물체를 감지하여 차단바(170)가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고, 차단바(170)가 내려올 때, 제2센서(172)로 차량 또는 물체를 감지하여 차단바(170)가 다시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으므로 차단바(170)가 차량 또는 물체와 부딪치지 않는 것이다.
특히, 제어부(140)는 제2센서(172)의 감지신호를 제1센서가 차량 또는 물체를 감지한 후, 차단바(170)가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만 감지하여 차단바(17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어부(140)가 제2센서(172)에 의해 차량 또는 물체를 감지할 때마다 차단바(170)를 작동시키면 무분별한 차량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지렛대부(150)는 제1지렛대(151), 제1고정부재(153), 제2고정부재(155) 및 제2지렛대(158)를 포함한다.
제1지렛대(151)는 제어부(140)의 전원공급 제어로 상하 이동하는 전자석부(130)에 회전가능하게 일측이 연결된다. 이때, 제1지렛대(151)의 일측은 유동전자석(139)에 고정핀(137)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고정부재(153)는 제1지렛대(151)의 타측이 제1관통홀(152)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수직이동한다.
또한, 제2고정부재(155)는 제1고정부재(153) 상측에 연결대(154)로 연결되고 이동홈(121)에 삽입되어 수직이동한다.
제2지렛대(158)는 제2고정부재(155)의 제2관통홀(156)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상판(120) 상측에 설치된 회전축(157)에 연결고정되어 회전축(157)과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제2지렛대(158)는 회전축(157)에 고정될 때, 제2고정부재(155)가 용이하게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제2관통홀(156)에 삽입된 제2지렛대(158)의 일측이 1시와 2시 사이 즉, 45°에 위치하거나, 10시와 11시 사이 즉, 135°에 위치하도록 기울어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제2지렛대(158)가 45° 또는 135°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 90°하향 회전하면 315°또는 225°에 위치하게 되므로 일체로 이루어진 제1고정부재(153), 제2고정부재(155), 무게추(160) 및 연결대(154)가 수직이동이 용이하다.
한편, 제1고정부재(153), 제2고정부재(155) 및 무게추(160)는 연결대(154)로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제2고정부재(155)가 상판(120)의 이동홈(121)에 삽입되고 무게추(160)가 흔들림방지벽(190)에서 상하이동하기 때문에 제1고정부재(153), 제2고정부재(155) 및 무게추(160)는 일체로 수직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지렛대를 이용하여 차단바(17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설명하였으나, 지렛대 대신 캠을 이용하여 차단바(17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그 외에 전자석의 상하이동에 따른 그 동력을 고정부재와 무게추에 전달할 수 있는 도구가 구비될 수 있다.
무게추(160)는 제1고정부재(153)의 하측에 연결대(154)로 연결되고 흔들림방지벽(190)의 내부에 삽입되어 수직이동한다.
그리고, 차단바(170)는 회전축(157)에 고정설치되어 제2지렛대(158)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차단바(170)의 무게는 무게추(160), 제1고정부재(153), 제2고정부재(155) 및 연결대(154)의 총합 무게와 같거나 크도록 하여 평상시 차단바(17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차단바(170)가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무게의 차이 때문에 자연스럽게 차단바(170)가 회전하며 수평상태로 되돌아오며, 차단바(170)에 소정의 힘을 가해도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는 차량 또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자석부(130)에 전원의 공급이 제어되어 유동전자석(139)을 상하이동시키고, 유동전자석(139)이 상하이동할 때 제1고정부재(153)가 수직이동하고 제2지렛대(158)와 회전축(157)이 회전하면서 차단바(170)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장률이 낮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차단바(170)의 회전속도가 빨라 차량이 진입로를 통과하는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케이스 120: 상판
121: 이동홈 130: 전자석부
131: 고정전자석 132: 끼움홈
133: 피스톤 134: 이동핀
135: 삽입홈 136: 이동홀
137: 고정핀 138: 고정홈
139: 유동전자석 140: 제어부
150: 지렛대부 151: 제1지렛대
152: 제1관통홀 153: 제1고정부재
154: 연결대 155: 제2고정부재
156: 제2관통홀 157: 회전축
158: 제2지렛대 160: 무게추
170: 차단바 172: 제2센서
180: 절연함 190: 흔들림방지벽

Claims (6)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고정설치되며, 일측에 이동홈이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전자석부;
    차량 또는 물체를 감지하는 제1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부에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전원공급 제어로 상하 이동하는 상기 전자석부에 회전가능하게 일측이 연결된 제1지렛대와, 상기 제1지렛대의 타측이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수직이동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어 수직이동하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상판에 설치된 회전축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2지렛대를 포함하는 지렛대부;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측에 연결대로 연결되어 일체로 수직이동하는 무게추;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설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차단바;를 포함하는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전자석;
    상기 고정전자석의 하부로 돌출형성된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제1지렛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이동핀; 및
    상기 제1지렛대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핀으로 고정되고, 상기 이동핀이 일정거리만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벽을 관통하는 이동홀이 형성되어 일정거리만 상하 이동가능한 유동전자석;을 포함하는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제어부의 전원제어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생하는 자성에 의해 외부의 물체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절연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의 무게는,
    상기 무게추, 제1고정부재, 제2고정부재 및 연결대의 총합 무게와 같거나 크도록 하여 상기 차단바가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는,
    하측에 차량 및 물체를 감지하는 제2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석부에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무게추가 흔들리지 않고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흔들림방지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KR1020110106229A 2011-10-18 2011-10-18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KR101273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229A KR101273393B1 (ko) 2011-10-18 2011-10-18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229A KR101273393B1 (ko) 2011-10-18 2011-10-18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106A true KR20130042106A (ko) 2013-04-26
KR101273393B1 KR101273393B1 (ko) 2013-06-12

Family

ID=4844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229A KR101273393B1 (ko) 2011-10-18 2011-10-18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3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2811A (zh) * 2016-08-13 2016-12-07 潜山共同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机控制的智能车辆道闸
CN108360418A (zh) * 2018-03-01 2018-08-03 淄博职业学院 一种智能平衡防震汽车门禁道闸系统及其控制方法
JP2020045756A (ja) * 2018-09-14 2020-03-26 コーエイ工業株式会社 通行遮断機
CN112482266A (zh) * 2020-11-10 2021-03-12 耿立琼 一种基于雨量自调控挡车柱
CN113005948A (zh) * 2021-03-22 2021-06-2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道闸机及其控制方法
US11047099B2 (en) 2018-09-14 2021-06-29 Koei Industry Co., Ltd. Pass block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912B1 (ko) * 2015-01-05 2017-03-09 이기곤 차량 차단기
CN111002857B (zh) * 2019-12-27 2021-04-02 郑州科技学院 新能源汽车充电桩
KR102247796B1 (ko) 2020-01-15 2021-05-04 주식회사 이노스 주차 차단기의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78Y1 (ko) * 2000-01-25 2000-06-15 윤이용 문짝 닫힘 고정구
JP4312929B2 (ja) * 2000-06-07 2009-08-12 名古屋電機工業株式会社 通行規制用遮断棒の開閉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400235Y1 (ko) * 2005-08-09 2005-11-04 한성무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20080003726U (ko) * 2007-03-02 2008-09-05 홍준표 차량관제용 차단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2811A (zh) * 2016-08-13 2016-12-07 潜山共同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机控制的智能车辆道闸
CN108360418A (zh) * 2018-03-01 2018-08-03 淄博职业学院 一种智能平衡防震汽车门禁道闸系统及其控制方法
JP2020045756A (ja) * 2018-09-14 2020-03-26 コーエイ工業株式会社 通行遮断機
US11047099B2 (en) 2018-09-14 2021-06-29 Koei Industry Co., Ltd. Pass blocking apparatus
CN112482266A (zh) * 2020-11-10 2021-03-12 耿立琼 一种基于雨量自调控挡车柱
CN113005948A (zh) * 2021-03-22 2021-06-2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道闸机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393B1 (ko)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393B1 (ko)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JP6912593B2 (ja) ロック装置、固定座及び電気自動車
KR102183489B1 (ko) 도어, 게이트 등의 문짝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EP1688046A1 (en) machine for making and dispensing ice drinks
US8595976B1 (en) Gyro-stabilized automatic pet door
ES2738424T3 (es) Disposición y procedimiento para detectar al menos un parámetro operativo de una puerta automática
CN103323198B (zh) 电池撞击试验装置
KR101658797B1 (ko)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
CN218628893U (zh) 一种基于电磁技术的振动检测仪
CN205289077U (zh) 玻璃基板摆动检测装置和玻璃基板清洗系统
EP3310986B1 (en) Door curtains with position sensor switches
CN103646826B (zh) 一种漏电保护模块的动作机构
US10415948B2 (en) Touch sensor
KR101380312B1 (ko) 배전용 가공전선의 안정화 고정기구
KR101804583B1 (ko) 누전 차단기의 트립장치
KR101426644B1 (ko) 충격 센서 시험 장치 및 방법
CN108350638B (zh) 洗衣机
US9852863B2 (en) Safety switch for monitoring an access of an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a stationary part and a movable part
KR20110011448A (ko) 도어 고정장치
KR101393401B1 (ko) 모노레일용 낙하 방지 장치
JP2010158462A (ja) キャッチャーアームの把持力調整機構
KR101007187B1 (ko) 전동차의 출입문 개폐 장치
KR101744434B1 (ko) 엘리베이터용 문 이탈방지 구
US9709326B2 (en) Canted spin dryer comprising a locking mechanism
KR20180062306A (ko) 엘리베이터용 안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