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265A - 2부재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2부재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265A
KR20130038265A KR1020127031910A KR20127031910A KR20130038265A KR 20130038265 A KR20130038265 A KR 20130038265A KR 1020127031910 A KR1020127031910 A KR 1020127031910A KR 20127031910 A KR20127031910 A KR 20127031910A KR 20130038265 A KR20130038265 A KR 20130038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bracket
boom
pin insertion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076B1 (ko
Inventor
마나부 오가사와라
가즈마사 오모테라
도루 나베시마
게이시 곤도
준이치 고다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06Pivot joint assembl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0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ith an additional li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04G23/082Wrecking of buildings using shears, breakers, jaws and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45Pivotal connections with at least a pair of arms pivoting relatively to at least one other arm, all arms being mounted on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50/00Machines or articles related to building
    • F16C2350/26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Jib Cran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좌측 연결 핀(26)의 단부(26A)에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를 설치함과 함께, 좌측 붐 브래킷(22)에 오목 홈부(44B)를 가지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를 설치한다. 한편, 우측 연결 핀(27)의 단부(27A)에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를 설치함과 함께, 우측 붐 브래킷(23)에 오목 홈부(47B)를 가지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를 설치한다. 그리고, 좌측 붐 브래킷(22)과 좌측 붐 풋부(24)를 좌측 연결 핀(26)에 의해 연결한 상태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를 오목 홈부(44B)에 끼워넣고, 우측 붐 브래킷(23)과 우측 붐 풋부(25)를 우측 연결 핀(27)에 의해 연결한 상태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를 오목 홈부(47B)에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해, 좌, 우의 연결 핀(26), (27)을, 좌, 우의 붐 브래킷(22), (23)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2부재 연결 장치{DEVICE FOR CONNECTING TWO MEMBER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의 선회 프레임과 붐, 붐과 암 등의 서로 회전운동하는 2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데 적합하게 사용되는 2부재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축물 등의 지상 높이가 큰 구조물을 해체하는 경우에는, 해체 작업용 작업 장치를 구비한 유압 셔블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해체 작업용 작업 장치는, 통상, 멀티 붐이라고 불리는 복수의 붐을 가지고, 각 붐 중 최상단의 붐의 선단 측에 암이 장착되며, 암의 선단 측에는 압쇄기, 그래플 등의 작업 도구가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해체 작업용 멀티 붐은, 복수 개의 붐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원하는 길이로 구성되고, 각 붐 사이는 2부재 연결 장치를 사용하여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멀티 붐 중 최하단의 붐과 선회 프레임의 붐 브래킷, 최상단의 멀티 붐과 암, 암과 작업 도구 등의 서로 회전운동하는 2부재 사이도 2부재 연결 장치를 사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멀티 붐을 구성하는 2개의 붐 사이를 연결하는 2부재 연결 장치는, 일방의 붐에 설치된 좌, 우의 브래킷과, 타방의 붐에 설치된 좌, 우의 브래킷 사이를 좌, 우의 연결 핀에 의해 연결하는 것이다.
이 경우, 좌, 우의 연결 핀에는 좌, 우의 링크의 일단(一端) 측이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고, 이들 좌, 우의 링크의 타단 측은, 각각 브래킷에 돌출 설치된 지지 부재에 지지점 핀을 사용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좌, 우의 링크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에는, 유압 실린더의 양단부가 연결되고, 이 유압 실린더를 신축시켰을 때에, 링크의 일단 측이 지지점 핀을 중심으로 하여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브래킷에 대하여 연결 핀을 삽입 인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제2005-249185호 공보).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연결 핀이 일방의 붐의 브래킷과 타방의 붐의 브래킷에 대하여 삽입 인출될 뿐으로, 각 브래킷 사이를 연결한 연결 핀을 고정시키기 위한 기구가 없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선회 프레임의 붐 브래킷과 붐의 풋(foot)부의 사이와 같이, 서로 회전운동하는 2부재 사이를, 종래 기술에 의한 2부재 연결 장치를 사용하여 연결한 경우에는, 붐 브래킷에 대하여 붐이 회전운동할 때에, 붐 브래킷과 붐의 풋부 사이에서 연결 핀이 회전하여, 연결 핀이 조기에 마모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서로 회전운동하는 2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핀을 고정시켜, 이 연결 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한 2부재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부재에 좌, 우 방향에서 대면하여 설치된 좌, 우의 제1 브래킷과,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에 각각 설치된 좌, 우의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제1 부재에 연결되는 제2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과 대면하는 좌, 우의 제2 브래킷과, 상기 좌, 우의 제2 브래킷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과 동일한 축선으로서 포갤 수 있는 좌, 우의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좌측 연결 핀과, 상기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우측 연결 핀과,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에 대하여 상기 좌측 연결 핀을 꽂고 뺌과 함께 상기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에 대하여 상기 우측 연결 핀을 꽂고 빼는 핀 삽입 인출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2부재 연결 장치에 적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과 상기 좌, 우의 연결 핀의 사이에는, 상기 좌측 연결 핀을 상기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에 꽂아 넣은 상태로 고정시키고, 상기 우측 연결 핀을 상기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에 꽂아 넣은 상태로 고정시키는 좌, 우의 연결 핀 고정 기구를 각각 설치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좌측 연결 핀 고정 기구에 의해, 좌측 제1 브래킷에 대한 좌측 연결 핀의 고정을 행할 수 있고, 우측 연결 핀 고정 기구에 의해, 우측 제1 브래킷에 대한 우측 연결 핀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좌측 제1 브래킷과 좌측 제2 브래킷 사이를 좌측 연결 핀에 의해 연결함과 함께, 우측 제1 브래킷과 우측 제2 브래킷 사이를 우측 연결 핀에 의해 연결한 상태로, 예를 들면 제1 부재에 대하여 제2 부재를 회전운동시켰다고 해도, 좌, 우의 제1 브래킷과 좌, 우의 제2 브래킷 사이에서 좌, 우의 연결 핀이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좌, 우의 연결 핀이 조기에 마모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들 각 연결 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2부재 연결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2)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좌, 우의 연결 핀 고정 기구는,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 중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 측에 위치하여 상기 좌, 우의 연결 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연결 핀의 축선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와,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의 대향면 중 상기 각 연결 핀의 축선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연결 핀을 상기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에 꽂아 넣었을 때에 상기 핀 측 걸어맞춤 부재가 걸어맞춰지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좌측 연결 핀을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과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에 꽂아 넣었을 때에, 좌측 연결 핀에 설치한 핀 측 걸어맞춤 부재가, 좌측 제1 브래킷의 대향면에 설치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좌측 연결 핀을 좌측 제1 브래킷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우측 연결 핀을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과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에 꽂아 넣었을 때에, 우측 연결 핀에 설치한 핀 측 걸어맞춤 부재가, 우측 제1 브래킷의 대향면에 설치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우측 연결 핀을 우측 제1 브래킷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3)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핀 측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연결 핀의 축선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형상 부재이며, 상기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핀 측 걸어맞춤 부재의 선단부를 끼워 넣는 오목 홈부를 가지는 블록체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좌측 연결 핀의 축선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의 선단부가, 좌측 제1 브래킷의 대향면에 설치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의 오목 홈부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좌측 연결 핀이 그 축선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 우측 연결 핀의 축선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의 선단부가, 우측 제1 브래킷의 대향면에 설치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의 오목 홈부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우측 연결 핀이 그 축선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4) 또, 상기 (3)항의 경우, 상기 핀 측 걸어맞춤 부재의 선단부와 상기 오목 홈부 중 적어도 일방 측에는, 상기 각 연결 핀을 상기 각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각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에 꽂아 넣을 때에, 상기 각 핀 측 걸어맞춤 부재의 선단부를 상기 오목 홈부로 안내하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좌측 연결 핀을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과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에 꽂아 넣을 때에, 핀 측 걸어맞춤 부재의 선단부를,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에 의해 오목 홈부로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 우측 연결 핀을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과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에 꽂아 넣을 때에, 핀 측 걸어맞춤 부재의 선단부를,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에 의해 오목 홈부로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5) 또, 본 발명은, 상기 핀 삽입 인출 기구는, 상기 좌, 우의 연결 핀의 축선의 위치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신축 가능하게 배치된 유압 실린더와, 상기 좌, 우의 연결 핀의 축선의 위치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와 동일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 적어도 상기 좌, 우의 연결 핀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부동 상태로 배치된 부동 링크와, 상기 부동 링크를 개재하여 상기 좌측 연결 핀과 상기 유압 실린더 사이를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한 좌측 링크와, 상기 부동 링크를 개재하여 상기 우측 연결 핀과 상기 유압 실린더 사이를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한 우측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의 신장 상태 또는 축소 상태에 따라 상기 좌, 우의 링크를 개재하여 상기 좌, 우의 연결 핀에 의해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을 각각 연결하거나, 또는 분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압 실린더를 신축시키면, 좌, 우의 링크가 부동 링크를 지지점으로 하여 좌, 우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이들 좌, 우의 링크에 연결된 좌, 우의 연결 핀이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좌, 우의 연결 핀을 제1, 제2 브래킷에 대하여 꽂고 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2 브래킷에 대한 연결 핀의 꽂고 빼기 작업을,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을 연결하거나, 또는 분리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제1, 제2 브래킷에 대한 연결 핀의 꽂고 빼기 작업을 수작업으로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연결 핀의 꽂고 빼기 작업을 신속하면서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6) 또한, 상기 (5)항의 경우,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 사이에는, 상기 좌측 연결 핀이 상기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간 위치에서 맞닿음과 함께, 상기 우측 연결 핀이 상기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간 위치에서 맞닿는 스토퍼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좌측 연결 핀은,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간 위치에서 스토퍼에 맞닿고, 좌측 연결 핀이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우측 연결 핀도,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간 위치에서 스토퍼에 맞닿고, 우측 연결 핀이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좌측 연결 핀을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시킴과 함께, 우측 연결 핀을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한 상태로, 핀 삽입 인출 기구를 좌, 우의 제1 부재 사이에 유지해 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2부재 연결 장치가 적용되는 멀티 붐식의 유압 셔블을 붐을 기립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붐 실린더를 축소시켜서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하측 붐과 붐 실린더를 전방으로 늘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선회 프레임, 하측 붐, 붐 실린더 등을 도 2 중의 화살표 III-III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선회 프레임과 하측 붐을 연결하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2부재 연결 장치와, 선회 프레임과 붐 실린더를 연결하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2부재 연결 장치를, 도 3 중의 화살표 IV-IV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 중에 나타내지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2부재 연결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2부재 연결 장치를 도 5 중의 화살표 VI-VI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2부재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좌, 우의 연결 핀을 좌, 우의 붐 풋부로부터 빼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 6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좌, 우의 붐 브래킷과 좌, 우의 붐 풋부에 연결 핀을 꽂아 넣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6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핀 측 걸어맞춤 부재와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의 오목 홈부를 양자가 이탈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핀 측 걸어맞춤 부재와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의 오목 홈부를 양자가 걸어맞춰진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와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의 오목 홈부를 도 10 중의 화살표 XII-XII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4 중에 나타내지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2부재 연결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2부재 연결 장치를 도 13 중의 화살표 XIV-XIV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좌, 우의 연결 핀을 좌, 우의 실린더 장착 아이(eye)로부터 빼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14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의 오목 홈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0과 동일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2부재 연결 장치 실시 형태를, 멀티 붐식의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2부재 연결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압 셔블의 선회 프레임과 멀티 붐의 하측 붐 사이를 연결하는 2부재 연결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도면 중, 1은 건설기계의 대표예로서 유압 셔블을 나타내고, 당해 유압 셔블(1)은, 자주(自走)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위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당해 상부 선회체(3)의 전부(前部) 측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된 후술하는 멀티 붐식의 작업 장치(8)로 대략 구성되어, 예를 들면 고층 건축물 등의 지상 높이가 큰 구조물을 해체하는 데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부 선회체(3)는, 베이스가 되는 선회 프레임(4)과, 당해 선회 프레임(4)의 전부 좌측에 배치되고 설치되어 운전실을 획성하는 캡(5)과, 선회 프레임(4)의 후단 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6)와, 당해 카운터 웨이트(6)의 전측에 배치되어 엔진, 유압 펌프 등의 탑재 기기(도시 생략)를 수용하는 구조물 커버(7)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4)의 전부 측에는, 후술하는 좌측 붐 브래킷(22)과 우측 붐 브래킷(23)이 일체로 설치되고, 이들 좌, 우의 붐 브래킷(22, 23)에, 후술하는 작업 장치(8)의 하측 붐(9)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8은 선회 프레임(4)의 전단 측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된 멀티 붐식의 작업 장치로, 당해 작업 장치(8)는, 하측 붐(9), 연결 붐(10), 상측 붐(11)으로 이루어지는 멀티 붐과, 상측 붐(11)의 선단 측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미들 암(12)과, 미들 암(12)의 선단 측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측 암(13), 상측 암(14)으로 이루어지는 암과, 상측 암(14)의 선단 측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작업 도구로서의 압쇄기(15)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4)과 하측 붐(9)의 사이에는 좌, 우의 붐 실린더(16)가 설치되고, 상측 붐(11)과 미들 암(12)의 사이에는 미들 암 실린더(17)가 설치되어 있다. 미들 암(12)과 하측 암(13)의 사이에는 암 실린더(18)가 설치되고, 상측 암(14)과 압쇄기(15)의 사이에는 작업 도구 실린더(19)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측 붐(9)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각통체에 의해 형성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붐(9)의 기단(基端) 측에는,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으로 분기된 후술하는 좌, 우의 붐 풋부(24, 25)가 설치되어 있다. 하측 붐(9)에 설치된 좌, 우의 붐 풋부(24, 25)는, 후술하는 좌, 우의 연결 핀(26, 27)을 사용하여 선회 프레임(4)의 좌, 우의 붐 브래킷(22, 23)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유압 셔블(1)을 작업 현장으로 수송할 때에는, 예를 들면 상부 선회체(3)로부터 작업 장치(8)를 떼어냄으로써,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로 이루어지는 차체와, 작업 장치(8)를 수송 차량에 적재하여 따로따로 작업 현장으로 수송한다. 작업 현장에 있어서 상부 선회체(3)에 작업 장치(8)를 장착할 때에는, 먼저, 작업 장치(8)의 하측 붐(9)을 유압 크레인(도시 생략)에 의해 매달아 올린 상태로, 하측 붐(9)의 기단 측을 후술하는 2부재 연결 장치(21)를 사용하여 선회 프레임(4)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선회체(3)의 선회 프레임(4)을 제1 부재로서 적용하고, 작업 장치(8)의 하측 붐(9)을 제2 부재로서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2부재 연결 장치(21)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21은 선회 프레임(4)(제1 부재)과 하측 붐(9)(제2 부재)의 사이를 연결하는 2부재 연결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2부재 연결 장치(21)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좌, 우의 붐 브래킷(22, 23), 좌, 우의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 23D), 좌, 우의 붐 풋부(24, 25), 좌, 우의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 25A), 좌, 우의 연결 핀(26, 27), 핀 삽입 인출 기구(28), 좌, 우의 연결 핀 고정 기구(42, 4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2는 선회 프레임(4)의 전단 측에 설치된 좌측 제1 브래킷으로서의 좌측 붐 브래킷으로, 당해 좌측 붐 브래킷(22)은, 선회 프레임(4)의 바닥판(도시 생략) 위에 세워 설치된 좌측 종판(縱板)의 전측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 붐 브래킷(22)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 우 방향에서 대면하는 좌(左)내측 붐 브래킷(22A)과, 좌외측 붐 브래킷(2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내측 붐 브래킷(22A)과 좌외측 붐 브래킷(22B)은, 각각 보강판(22A1, 22B1)이 고착된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내측 붐 브래킷(22A) 중 후술하는 우(右)내측 붐 브래킷(23A)과 대면하는 대향면(22C)에는, 후술하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내측 붐 브래킷(22A)과 좌외측 붐 브래킷(22B)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좌측 붐 풋부(24)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좌내측 붐 브래킷(22A)과 좌외측 붐 브래킷(22B)에는, 좌, 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이 각각 뚫려 형성되며, 이들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에는, 후술하는 좌측 연결 핀(26)이 꽂고 빼기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23은 좌측 붐 브래킷(22)과 함께 선회 프레임(4)의 전단 측에 설치된 우측 제1 브래킷으로서의 우측 붐 브래킷으로, 당해 우측 붐 브래킷(23)은, 선회 프레임(4)의 바닥판(도시 생략) 위에 세워 설치된 우측 종판의 전측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우측 붐 브래킷(23)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 우 방향에서 대면하는 우내측 붐 브래킷(23A)과, 우외측 붐 브래킷(2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내측 붐 브래킷(23A)과 우외측 붐 브래킷(23B)은, 각각 보강판(23A1, 23B1)이 고착된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내측 붐 브래킷(23A) 중 좌내측 붐 브래킷(22A)과 대면하는 대향면(23C)에는, 후술하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우내측 붐 브래킷(23A)과 우외측 붐 브래킷(23B)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우측 붐 풋부(25)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우내측 붐 브래킷(23A)과 우외측 붐 브래킷(23B)에는, 좌, 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이 각각 뚫려 형성되고, 이들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에는, 후술하는 우측 연결 핀(27)이 꽂고 빼기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좌내측 붐 브래킷(22A)과 좌외측 붐 브래킷(22B)에 뚫려 형성된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과, 우내측 붐 브래킷(23A)과 우외측 붐 브래킷(23B)에 뚫려 형성된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은, 동일한 축선(O-O) 상에 배치되어 있다(도 6 참조).
24는 하측 붐(9)의 기단 측에 설치된 좌측 제2 브래킷으로서의 좌측 붐 풋부를 나타내고 있다. 좌측 붐 풋부(24)는, 두꺼운 원통 형상 보스로서 형성되고, 좌측 붐 브래킷(22)과 좌, 우 방향에서 대면하며, 좌내측 붐 브래킷(22A)과 좌외측 붐 브래킷(22B)의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좌측 붐 풋부(24)에는, 좌측 붐 브래킷(2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과 대응하는 위치에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또,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 내에는 원통 형상의 좌측 부시(24B)가 끼워져 있다.
25는 좌측 붐 풋부(24)와 함께 하측 붐(9)의 기단 측에 설치된 우측 제2 브래킷으로서의 우측 붐 풋부를 나타내고 있다. 우측 붐 풋부(25)는, 두꺼운 원통 형상 보스로서 형성되고, 우측 붐 브래킷(23)과 좌, 우 방향에서 대면하며, 우내측 붐 브래킷(23A)과 우외측 붐 브래킷(23B)의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우측 붐 풋부(25)에는, 우측 붐 브래킷(23)의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과 대응하는 위치에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또,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 내에는 원통 형상의 우측 부시(25B)가 끼워져 있다.
여기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붐 풋부(24)에 형성된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과, 우측 붐 풋부(25)에 형성된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은, 좌측 붐 브래킷(2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 우측 붐 브래킷(23)의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과 동일한 축선(O-O)으로 하여 포갤 수 있게 되어 있다.
26은 좌측 붐 브래킷(22)과 좌측 붐 풋부(24)의 사이를 연결하는 좌측 연결 핀으로, 당해 좌측 연결 핀(26)은, 좌, 우의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 23D)과 좌, 우의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 25A)의 축선(O-O)과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좌측 연결 핀(26)은,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 붐 브래킷(2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과 좌측 붐 풋부(24)의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에 끼워진 좌측 부시(24B)에 꽂고 빼기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는 것이다. 상기 좌측 연결 핀(26) 중 좌측 붐 브래킷(22)의 대향면(22C) 측에 위치하는 단부(端部)(26A)에는, 후술하는 좌측 링크(31)가 장착되는 링크 장착부(26B)가 형성됨과 함께, 후술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가 고착되어 있다.
27은 우측 붐 브래킷(23)과 우측 붐 풋부(25)의 사이를 연결하는 우측 연결 핀으로, 당해 우측 연결 핀(27)은, 좌, 우의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 23D)과 좌, 우의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 25A)의 축선(O-O)과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우측 연결 핀(27)은,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측 붐 브래킷(23)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과 우측 붐 풋부(25)의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에 끼워진 우측 부시(25B)에 꽂고 빼기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는 것이다. 상기 우측 연결 핀(27) 중 우측 붐 브래킷(23)의 대향면(23C) 측에 위치하는 단부(27A)에는, 후술하는 우측 링크(35)가 장착되는 링크 장착부(27B)가 형성됨과 함께, 후술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가 고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좌측 붐 브래킷(22)과 좌측 붐 풋부(24)에 좌측 연결 핀(26)을 꽂고 뺌과 함께, 우측 붐 브래킷(23)과 우측 붐 풋부(25)에 우측 연결 핀(27)을 꽂고 빼는 핀 삽입 인출 기구(28)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28은 좌측 붐 브래킷(22)과 우측 붐 브래킷(23)의 사이에 설치된 핀 삽입 인출 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이 핀 삽입 인출 기구(28)는, 좌측 붐 브래킷(2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과 좌측 붐 풋부(24)의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에 대하여 좌측 연결 핀(26)을 꽂고 뺌과 함께, 우측 붐 브래킷(23)의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과 우측 붐 풋부(25)의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에 대하여 우측 연결 핀(27)을 꽂고 빼는 것이다. 그리고, 핀 삽입 인출 기구(28)는, 후술하는 유압 실린더(29), 부동 링크(30), 좌측 링크(31), 우측 링크(3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9는 핀 삽입 인출 기구(28)를 구성하는 유압 실린더로, 이 유압 실린더(29)는, 튜브(29A)와, 피스톤(도시 생략)과, 기단 측이 피스톤에 고정되고 선단 측이 튜브(29A)로부터 돌출된 로드(29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유압 실린더(29)는, 좌, 우의 연결 핀(26, 27)으로부터 상, 하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유압원(도시 생략)으로부터 압유가 급배(給排)됨으로써, 로드(29B)를 좌, 우 방향으로 신축시키는 것이다.
30은 유압 실린더(29)에 인접하여 배치된 부동 링크를 나타내고, 당해 부동 링크(30)는, 유압 실린더(29)와 평행하게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부동 링크(30)는,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부동 링크(30)의 좌, 우 방향의 길이 치수는, 좌내측 붐 브래킷(22A)의 대향면(22C)과 우내측 붐 브래킷(23A)의 대향면(23C)의 간격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부동 링크(30)는, 좌, 우의 붐 브래킷(22, 23)의 어느 것에도 장착되어 있지 않고, 이들 좌, 우의 붐 브래킷(22, 23)에 대하여 부동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부동 링크(30)는, 좌, 우의 연결 핀(26, 27)과 유압 실린더(29)의 사이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좌, 우의 링크(31, 35)에 연결된 좌, 우의 연결 핀(26, 27)을, 유압 실린더(29)의 신축에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지지점을 구성하는 것이다.
31은 부동 링크(30)를 개재하여 좌측 연결 핀(26)과 유압 실린더(29)의 사이를 연결하는 좌측 링크로, 당해 좌측 링크(31)는, 좌측 연결 핀(26)과 유압 실린더(29)의 사이를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2매의 판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좌측 링크(31)의 일단 측(31A)은, 좌측 연결 핀(26)의 링크 장착부(26B)에 핀(32)을 사용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좌측 링크(31)의 타단 측(31B)은, 유압 실린더(29)의 로드(29B)의 선단 측에 핀(33)을 사용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좌측 링크(31)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는, 핀(34)을 사용하여 부동 링크(30)의 좌, 우 방향의 일측(좌측)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35는 부동 링크(30)를 개재하여 우측 연결 핀(27)과 유압 실린더(29)의 사이를 연결하는 우측 링크로, 당해 우측 링크(35)는, 우측 연결 핀(27)과 유압 실린더(29)의 사이를 상, 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2매의 판체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 링크(35)의 일단 측(35A)은, 우측 연결 핀(27)의 링크 장착부(27B)에 핀(36)을 사용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우측 링크(35)의 타단 측(35B)은, 유압 실린더(29)의 튜브(29A)의 보텀 측에 핀(37)을 사용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우측 링크(35)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위는, 핀(38)을 사용하여 부동 링크(30)의 좌, 우 방향의 타측(우측)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상태로, 부동 링크(30)의 좌측 단부와 좌내측 붐 브래킷(22A)의 대향면(22C)의 사이, 부동 링크(30)의 우측 단부와 우내측 붐 브래킷(23A)의 대향면(23C)의 사이에는, 각각 약간의 간극이 형성된다. 한편, 부동 링크(30)는, 유압 실린더(29)의 신축에 따라, 좌내측 붐 브래킷(22A)과 우내측 붐 브래킷(23A)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부동 링크(30)와 좌측 링크(31)의 사이, 부동 링크(30)와 우측 링크(35)의 사이에는, 각각 부동 링크(30)를 사이에 두고 2개의 스페이서(39)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압 실린더(29)를 신축시키면, 좌측 링크(31)의 일단 측(31A)이, 부동 링크(30)와의 연결 부위[핀(34)의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좌, 우 방향으로 회전운동함과 함께, 우측 링크(35)의 일단 측(35A)이, 부동 링크(30)와의 연결 부위[핀(38)의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좌, 우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29)를 축소시켰을 때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연결 핀(26)이, 좌측 붐 브래킷(2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과 좌측 붐 풋부(24)의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에 삽입 통과되고, 우측 연결 핀(27)이, 우측 붐 브래킷(23)의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과 우측 붐 풋부(25)의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에 삽입 통과된다. 이것에 의해, 좌, 우의 붐 브래킷(22, 23)과, 좌, 우의 붐 풋부(24, 25)를 연결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유압 실린더(29)를 신장시켰을 때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연결 핀(26)은, 좌측 붐 풋부(24)의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으로부터 빼내지고, 우측 연결 핀(27)은, 우측 붐 풋부(25)의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으로부터 빼내진다. 이것에 의해, 좌, 우의 붐 브래킷(22, 23)으로부터, 좌, 우의 붐 풋부(24, 25)를 분리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40은 좌측 붐 브래킷(22)과 우측 붐 브래킷(23)의 사이에 설치된 스토퍼이다. 이 스토퍼(4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연결 핀(26)이 좌측 붐 풋부(24)의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으로부터 빠져나간 위치에서 맞닿음과 함께, 우측 연결 핀(27)이 우측 붐 풋부(25)의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으로부터 빠져나간 위치에서 맞닿는 것이다. 여기서, 스토퍼(4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 측이 좌내측 붐 브래킷(22A)의 대향면(22C)에 고착되고, 좌측 링크(3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면서 우내측 붐 브래킷(23A)을 향하여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장착판(40A)과, 당해 각 장착판(40A)의 선단부에 고착된 장방형 형상의 맞닿음판(40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 실린더(29)가 신장됨으로써, 좌측 연결 핀(26)이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으로부터 빠져나감과 함께, 우측 연결 핀(27)이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으로부터 빠져나간다. 이 결과, 좌측 연결 핀(26)의 후술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와 우측 연결 핀(27)의 후술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는, 각각 스토퍼(40)의 맞닿음판(40B)에 맞닿는다(도 8 참조).
이것에 의해, 좌측 연결 핀(26)은, 좌내측 붐 브래킷(22A)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에만 삽입 통과되고, 우측 연결 핀(27)은, 우내측 붐 브래킷(23A)의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에만 삽입 통과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핀 삽입 인출 기구(28)는, 좌, 우의 연결 핀(26, 27)을 개재하여, 좌내측 붐 브래킷(22A)과 우내측 붐 브래킷(23A)의 사이에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41은 좌, 우의 붐 브래킷(22, 23)에 각각 설치된 좌, 우의 링크 고정 부재로, 이 링크 고정 부재(41)는, 핀 삽입 인출 기구(28)의 부동 링크(30)가, 좌, 우의 연결 핀(26, 2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여기서, 링크 고정 부재(41)는, U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 오목 홈부(41A)를 가지고, 좌내측 붐 브래킷(22A)의 대향면(22C)과 우내측 붐 브래킷(23A)의 대향면(23C)에, 각각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이 부동 링크(30)의 좌, 우 방향의 양단부는, 항상 링크 고정 부재(41)의 오목 홈부(41A)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부동 링크(30)가, 좌, 우의 연결 핀(26, 2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하는 것을, 링크 고정 부재(41)에 의해 규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좌측 붐 브래킷(22)에 대하여 좌측 연결 핀(26)이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좌측 연결 핀 고정 기구(42)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42는 좌측 붐 브래킷(22)과 좌측 연결 핀(26)의 사이에 설치된 좌측 연결 핀 고정 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좌측 연결 핀 고정 기구(42)는, 좌측 연결 핀(26)을, 좌측 붐 브래킷(2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과 좌측 붐 풋부(24)의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에 꽂아 넣은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좌측 연결 핀 고정 기구(42)는, 후술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와,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43은 좌측 연결 핀(26)에 설치된 핀 측 걸어맞춤 부재를 나타낸다. 이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는, 좌측 붐 브래킷(22)의 대향면(22C) 측에 위치하는 좌측 연결 핀(26)의 단부(26A)에 설치되고, 좌측 연결 핀(26)의 축선(O-O)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는, 예를 들면 두꺼운 판체를 사용하여 형성된 돌출 형상 부재이며, 좌측 연결 핀(26)의 단부(26A)에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상기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는, 좌측 연결 핀(26)을 좌측 붐 브래킷(2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과 좌측 붐 풋부(24)의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에 꽂아 넣었을 때에, 후술하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오목 홈부(44B)에 끼워 넣어지는 것이다.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의 선단부(43A)는,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선단부(43A) 중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와 대향하는 면에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43B)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의 선단부(43A)의 폭 치수를 A라고 하면, 안내면(43B)은, 그 폭 치수 B가 상기 폭 치수 A보다 작은 치수가 되는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44는 좌측 붐 브래킷(22)에 설치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로, 당해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는, 좌측 붐 브래킷(22)의 대향면(22C) 중 좌측 연결 핀(26)의 축선(O-O)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직방체 형상의 블록체의 상면 측을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컷아웃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상의 블록체로서 형성되며, 좌측 연결 핀(26)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는, U자 형상의 블록체(44A)와, 당해 블록체(44A) 중 좌측 연결 핀(26)과 상, 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역사다리꼴 형상의 오목 홈부(44B)로 구성되어 있다. 이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블록체(44A)는, 그 기단 측이 좌내측 붐 브래킷(22A)의 대향면(22C)에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착되고, 블록체(44A)의 선단부(44A1)는, 좌측 연결 핀(26)의 축선(O-O)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오목 홈부(44B)는, 서로 대면하는 내측면이 U자 형상 내지 V자 형상으로 확개(擴開)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오목 홈부(44B) 중 블록체(44A)의 선단부(44A1)의 위치에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44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면(44C)은,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를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오목 홈부(44B) 내로 안내하는 것이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 홈부(44B)의 내측면의 간격 치수를 C로 하고, 각 안내면(44C)의 간격 치수를 D으로 하면, 오목 홈부(44B)의 내측면의 간격 치수 C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의 선단부(43A)의 폭 치수 A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C>A). 한편, 각 안내면(44C)은, 그 간격 치수 D가 상기 간격 치수 C보다 큰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 연결 핀(26)을 좌측 붐 브래킷(2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과 좌측 붐 풋부(24)의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에 꽂아 넣었을 때에, 좌측 연결 핀(26)에 설치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의 안내면(43B)이,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오목 홈부(44B)에 설치한 안내면(44C)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오목 홈부(44B) 내로 원활하게 유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좌측 연결 핀(26)을, 좌측 붐 브래킷(2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과 좌측 붐 풋부(24)의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에 꽂아 넣었을 때에, 좌측 연결 핀(26)에 고착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가, 좌내측 붐 브래킷(22A)에 고착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오목 홈부(44B) 내에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좌측 연결 핀(26)은, 좌측 붐 브래킷(22)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우측 붐 브래킷(23)에 대하여 우측 연결 핀(27)이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측 연결 핀 고정 기구(45)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45는 우측 붐 브래킷(23)과 우측 연결 핀(27)의 사이에 설치된 우측 연결 핀 고정 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우측 연결 핀 고정 기구(45)도, 좌측 연결 핀 고정 기구(42)와 마찬가지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와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여기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는, 우측 연결 핀(27) 중 우측 붐 브래킷(23)의 대향면(23C) 측에 위치하는 단부(27A)에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착되고, 우측 연결 핀(27)의 축선(O-O)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의 선단부(46A)는,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선단부(46A) 중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와 대향하는 면에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46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는, 우측 붐 브래킷(23)의 대향면(23C) 중 우측 연결 핀(27)의 축선(O-O)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착되어 있다. 이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는, U자 형상의 블록체(47A)와, 당해 블록체(47A) 중 우측 연결 핀(27)과 상, 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역사다리꼴 형상의 오목 홈부(47B)로 구성되고, 블록체(47A)의 선단부(47A1)는, 우측 연결 핀(27)의 축선(O-O)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오목 홈부(47B) 중 블록체(47A)의 선단부(47A1)의 위치에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47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연결 핀(27)을 우측 붐 브래킷(23)의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과 우측 붐 풋부(25)의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에 꽂아 넣었을 때에, 우측 연결 핀(27)에 설치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의 안내면(46B)이,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의 오목 홈부(47B)에 설치한 안내면(47C)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의 오목 홈부(47B) 내로 원활하게 유도된다.
이와 같이, 우측 연결 핀(27)을, 우측 붐 브래킷(23)의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과 우측 붐 풋부(25)의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에 꽂아 넣었을 때에, 우측 연결 핀(27)에 고착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가, 우내측 붐 브래킷(23A)에 고착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의 오목 홈부(47B) 내에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우측 연결 핀(27)은, 우측 붐 브래킷(23)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좌, 우의 연결 핀(26, 27)의 선단부에는 빠짐 방지판(48)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빠짐 방지판(48)은, 좌측 붐 브래킷(22)과 좌측 붐 풋부(24)를 좌측 연결 핀(26)에 의해 연결한 상태로, 좌외측 붐 브래킷(22B)으로부터 돌출된 좌측 연결 핀(26)의 선단부에 볼트로 조여, 좌측 붐 브래킷(22)과 좌측 붐 풋부(24)에 대하여, 좌측 연결 핀(26)을 빠짐 방지하는 것이다. 또, 빠짐 방지판(48)은, 우측 붐 브래킷(23)과 우측 붐 풋부(25)를 우측 연결 핀(27)에 의해 연결한 상태로, 우외측 붐 브래킷(23B)으로부터 돌출된 우측 연결 핀(27)의 선단부에 볼트로 조여, 우측 붐 브래킷(23)과 우측 붐 풋부(25)에 대하여, 우측 연결 핀(27)을 빠짐 방지하는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2부재 연결 장치(21)는 상기 서술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으로, 이 2부재 연결 장치(21)를 사용하여 유압 셔블(1)의 선회 프레임(4)에 대하여, 작업 장치(8)의 하측 붐(9)을 연결하는 붐 연결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압 크레인 등(도시 생략)을 사용하여 하측 붐(9)을 매달아 올리고, 이 하측 붐(9)의 좌, 우의 붐 풋부(24, 25)를, 선회 프레임(4)에 설치된 좌, 우의 붐 브래킷(22, 23)의 근방에 배치한다.
이때, 핀 삽입 인출 기구(28)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29)를 신장시킨 상태로, 좌측 연결 핀(26)을 좌내측 붐 브래킷(22A)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에 삽입 통과시키고, 우측 연결 핀(27)을 우내측 붐 브래킷(23A)의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에 삽입 통과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핀 삽입 인출 기구(28)는, 좌, 우의 연결 핀(26, 27)을 개재하여 좌내측 붐 브래킷(22A)과 우내측 붐 브래킷(23A)의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한편, 좌측 연결 핀(26)의 단부(26A)에 고착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는, 좌측 붐 브래킷(22)의 대향면(22C)에 고착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있다. 우측 연결 핀(27)의 단부(27A)에 고착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는, 우측 붐 브래킷(23)의 대향면(23C)에 고착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있다.
다음으로, 좌측 붐 브래킷(22)의 좌내측 붐 브래킷(22A)과 좌외측 붐 브래킷(22B)의 사이에, 하측 붐(9)의 좌측 붐 풋부(24)를 삽입함과 함께, 우측 붐 브래킷(23)의 우내측 붐 브래킷(23A)과 우외측 붐 브래킷(23B)의 사이에, 하측 붐(9)의 우측 붐 풋부(25)를 삽입한다. 그리고, 좌, 우의 붐 풋부(24, 25)의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 25A)과, 좌, 우의 붐 브래킷(22, 23)의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 23D)을, 동일한 축선(O-O) 상에 포갠다.
이 상태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삽입 인출 기구(28)의 유압 실린더(29)를 축소시킴으로써, 좌측 링크(31)가 부동 링크(30)와의 연결 부위[핀(34)의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함과 함께, 우측 링크(35)가 부동 링크(30)와의 연결 부위[핀(38)의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운동한다. 이것에 의해, 좌측 링크(31)의 일단 측(31A)에 연결된 좌측 연결 핀(26)은, 좌측 붐 브래킷(2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과 좌측 붐 풋부(24)의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에 삽입 통과되고, 우측 링크(35)의 일단 측(35A)에 연결된 우측 연결 핀(27)은, 우측 붐 브래킷(23)의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과 우측 붐 풋부(25)의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에 삽입 통과된다.
이때, 좌측 연결 핀(26)에 고착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의 선단부(43A)는, 좌측 붐 브래킷(22)의 대향면(22C)에 고착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오목 홈부(44B) 내에 끼워 넣어진다. 또, 우측 연결 핀(27)에 고착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의 선단부(46A)는, 우측 붐 브래킷(23)의 대향면(23C)에 고착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의 오목 홈부(47B) 내에 끼워 넣어진다.
또한, 핀 삽입 인출 기구(28)의 부동 링크(30)는, 좌, 우의 내측 붐 브래킷(22A, 23A)에 고착된 링크 고정 부재(41)에 상시 걸어맞춰지고 있기 때문에, 좌, 우의 연결 핀(26, 27)은, 좌, 우의 붐 브래킷(22, 23)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좌측 연결 핀(26)에 고착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와 좌측 붐 브래킷(22)에 고착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는, 미리 위치 결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 연결 핀(27)에 고착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와 우측 붐 브래킷(23)에 고착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는, 미리 위치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29)를 축소시키고, 좌측 연결 핀(26)을 좌측 붐 브래킷(2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과 좌측 붐 풋부(24)의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에 삽입 통과시켰을 때에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의 선단부(43A)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오목 홈부(44B)에 확실하게 걸어맞춰진다. 마찬가지로, 우측 연결 핀(27)을 우측 붐 브래킷(23)의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과 우측 붐 풋부(25)의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에 삽입 통과시켰을 때에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의 선단부(46A)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의 오목 홈부(47B)에 확실하게 걸어맞춰진다.
게다가, 좌측 연결 핀(26)에 설치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의 선단부(43A)에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43B)이 형성되고,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오목 홈부(44B)에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44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의 안내면(43B)은,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안내면(44C)에 맞닿고,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오목 홈부(44B) 내로 확실하게 안내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연결 핀(27)에 설치한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의 선단부(46A)에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46B)이 형성되고,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의 오목 홈부(47B)에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47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의 안내면(46B)은,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의 안내면(47C)에 맞닿고,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의 오목 홈부(47B) 내로 확실하게 안내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붐 브래킷(22)과 좌측 붐 풋부(24)를 좌측 연결 핀(26)에 의해 연결한 상태에서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오목 홈부(44B)에 끼워 넣어진다. 이 때문에, 좌측 연결 핀(26)은 좌측 붐 브래킷(22)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 붐 브래킷(23)과 우측 붐 풋부(25)를 우측 연결 핀(27)에 의해 연결한 상태에서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의 오목 홈부(47B)에 끼워 넣어져, 우측 연결 핀(27)은 우측 붐 브래킷(23)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선회 프레임(4)의 좌, 우의 붐 브래킷(22, 23)과, 하측 붐(9)의 좌, 우의 붐 풋부(24, 25)의 사이를, 좌, 우의 연결 핀(26, 27)을 사용하여 연결한 상태로, 선회 프레임(4)에 대하여 하측 붐(9)을 회전운동시켰다고 해도, 이 하측 붐(9)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좌, 우의 연결 핀(26, 27)이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좌, 우의 연결 핀(26, 27)이 조기에 마모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들 각 연결 핀(26, 27)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2부재 연결 장치(2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압 셔블의 선회 프레임과 붐 실린더의 사이를 연결하는 2부재 연결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51은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2부재 연결 장치를 나타내고, 이 2부재 연결 장치(51)는, 선회 프레임(4)과 좌, 우의 붐 실린더(16)의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다. 즉,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선회체(3)의 선회 프레임(4)을 제1 부재로서 적용하고, 좌, 우의 붐 실린더(16)를 제2 부재로서 적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2부재 연결 장치(51)는, 후술하는 좌, 우의 실린더 브래킷(52, 53)과, 좌, 우의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52D, 53D)과, 좌, 우의 실린더 장착 아이(54, 55)와, 좌, 우의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54A, 55A)과, 좌, 우의 연결 핀(56, 57)과, 핀 삽입 인출 기구(28)와, 좌, 우의 연결 핀 고정 기구(58, 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52는 선회 프레임(4)의 전단부에 설치된 좌측 제1 브래킷으로서의 좌측 실린더 브래킷을 나타내고 있다. 이 좌측 실린더 브래킷(52)은, 좌내측 실린더 브래킷(52A)과 좌외측 실린더 브래킷(5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내측 실린더 브래킷(52A)의 대향면(52C)에는, 후술하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좌내측 실린더 브래킷(52A)과 좌외측 실린더 브래킷(52B)에는, 좌, 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52D)이 각각 뚫려 형성되어 있다.
53은 선회 프레임(4)의 전단부에 설치된 우측 제1 브래킷으로서의 우측 실린더 브래킷을 나타내고 있다. 이 우측 실린더 브래킷(53)은, 우내측 실린더 브래킷(53A)과 우외측 실린더 브래킷(5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내측 실린더 브래킷(53A)의 대향면(53C)에는, 후술하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우내측 실린더 브래킷(53A)과 우외측 실린더 브래킷(53B)에는, 좌, 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53D)이 각각 뚫려 형성되어 있다.
54는 좌측의 붐 실린더(16)에 설치된 좌측 제2 브래킷으로서의 좌측 실린더 장착 아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좌측 실린더 장착 아이(54)는, 대략 원통 형상의 보스로서 형성되고, 좌내측 실린더 브래킷(52A)과 좌외측 실린더 브래킷(52B)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 좌측 실린더 장착 아이(54)에는, 좌측 실린더 브래킷(5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52D)에 대응하는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54A)이 뚫려 형성되고,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54A) 내에는 원통 형상의 좌측 부시(54B)가 끼워져 있다.
55는 우측의 붐 실린더(16)에 설치된 우측 제2 브래킷으로서의 우측 실린더 장착 아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우측 실린더 장착 아이(55)는, 대략 원통 형상의 보스로서 형성되고, 우내측 실린더 브래킷(53A)과 우외측 실린더 브래킷(53B)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 우측 실린더 장착 아이(55)에는, 우측 실린더 브래킷(53)의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53D)에 대응하는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55A)이 뚫려 형성되고,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55A) 내에는 원통 형상의 우측 부시(55B)가 끼워져 있다.
56은 좌측 실린더 브래킷(52)과 좌측 실린더 장착 아이(54)의 사이를 연결하는 좌측 연결 핀을 나타내고 있다. 이 좌측 연결 핀(56)은, 좌측 실린더 브래킷(5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52D)과 좌측 실린더 장착 아이(54)의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54A)에 끼워진 좌측 부시(54B)에 꽂고 빼기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는 것이다. 또, 좌측 연결 핀(56) 중 좌측 실린더 브래킷(52)의 대향면(52C) 측의 단부(56A)에는, 핀 삽입 인출 기구(28)의 좌측 링크(31)가 장착되는 링크 장착부(56B)와, 후술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59)가 설치되어 있다.
57은 우측 실린더 브래킷(53)과 우측 실린더 장착 아이(55)의 사이를 연결하는 우측 연결 핀을 나타내고 있다. 이 우측 연결 핀(57)은, 우측 실린더 브래킷(53)의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53D)과 우측 실린더 장착 아이(55)의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55A)에 끼워진 우측 부시(55B)에 꽂고 빼기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는 것이다. 또, 우측 연결 핀(57) 중 우측 실린더 브래킷(53)의 대향면(53C) 측의 단부(57A)에는, 핀 삽입 인출 기구(28)의 우측 링크(35)가 장착되는 링크 장착부(57B)와, 후술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6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좌, 우의 실린더 브래킷(52, 53)에 뚫려 형성된 좌, 우의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52D, 53D)과, 좌, 우의 실린더 장착 아이(54, 55)에 뚫려 형성된 좌, 우의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54A, 55A)과, 좌, 우의 연결 핀(56, 57)은, 동일한 축선(O-O) 상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좌측 연결 핀 고정 기구(58)와 우측 연결 핀 고정 기구(61)에 대하여 설명한다.
58은 좌측 실린더 브래킷(52)에 대한 좌측 연결 핀(56)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좌측 연결 핀 고정 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좌측 연결 핀 고정 기구(58)는, 좌측 연결 핀(56)을, 좌측 실린더 브래킷(5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52D)과 좌측 실린더 장착 아이(54)의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54A)에 꽂아 넣은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좌측 연결 핀 고정 기구(58)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좌측 연결 핀 고정 기구(42)와 마찬가지로, 좌측 연결 핀(56)의 단부(56A)에 고착된 핀 측 걸어맞춤 부재(59)와, 좌측 실린더 브래킷(52)의 대향면(52C)에 고착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0)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핀 측 걸어맞춤 부재(59)는, 좌측 연결 핀(56)의 단부(56A)에 고착되고, 당해 좌측 연결 핀(56)의 축선(O-O)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핀 측 걸어맞춤 부재(59)의 선단부(59A)에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59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0)는, 좌측 실린더 브래킷(52)의 대향면(52C) 중 좌측 연결 핀(56)의 축선(O-O)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고착되어 있다. 이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0)는, U자 형상의 블록체(60A)와, 당해 블록체(60A)에 설치된 오목 홈부(60B)로 구성되고, 블록체(60A)의 선단부(60A1)는, 좌측 연결 핀(56)의 축선(O-O)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오목 홈부(60B) 중 블록체(60A)의 선단부(60A1)의 위치에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60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61은 우측 실린더 브래킷(53)에 대한 우측 연결 핀(57)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우측 연결 핀 고정 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우측 연결 핀 고정 기구(61)는, 우측 연결 핀(57)을, 우측 실린더 브래킷(53)의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53D)과 우측 실린더 장착 아이(55)의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55A)에 꽂아 넣은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우측 연결 핀 고정 기구(61)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우측 연결 핀 고정 기구(45)와 마찬가지로, 우측 연결 핀(57)의 단부(57A)에 고착된 핀 측 걸어맞춤 부재(62)와, 우측 실린더 브래킷(53)의 대향면(53C)에 고착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3)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핀 측 걸어맞춤 부재(62)는, 우측 연결 핀(57)의 단부(57A)에 고착되고, 당해 우측 연결 핀(57)의 축선(O-O)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핀 측 걸어맞춤 부재(62)의 선단부(62A)에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6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3)는, 우측 실린더 브래킷(53)의 대향면(53C) 중 우측 연결 핀(57)의 축선(O-O)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고착되어 있다. 이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3)는, U자 형상의 블록체(63A)와, 당해 블록체(63A)에 설치된 오목 홈부(63B)로 구성되고, 블록체(63A)의 선단부(63A1)는, 우측 연결 핀(57)의 축선(O-O)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오목 홈부(63B) 중 블록체(63A)의 선단부(63A1)의 위치에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63C)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2부재 연결 장치(51)는 상기 서술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 2부재 연결 장치(51)를 사용하여 선회 프레임(4)과 좌, 우의 붐 실린더(16)를 연결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삽입 인출 기구(28)의 유압 실린더(29)를 신장시킨 상태로, 좌내측 실린더 브래킷(52A)과 좌외측 실린더 브래킷(52B)의 사이에, 좌측 실린더 장착 아이(54)를 삽입한다. 마찬가지로, 우내측 실린더 브래킷(53A)과 우외측 실린더 브래킷(53B)의 사이에, 우측 실린더 장착 아이(55)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핀 삽입 인출 기구(28)의 유압 실린더(29)를 축소시킴으로써,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링크(31)에 연결된 좌측 연결 핀(56)을, 좌측 실린더 브래킷(52)의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52D)과 좌측 실린더 장착 아이(54)의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54A)에 삽입 통과시킨다. 또, 우측 링크(35)에 연결된 우측 연결 핀(57)을, 우측 실린더 브래킷(53)의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53D)과 우측 실린더 장착 아이(55)의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55A)에 삽입 통과시킨다.
이때, 좌측 연결 핀(56)에 고착된 핀 측 걸어맞춤 부재(59)의 선단부(59A)는, 좌측 실린더 브래킷(52)의 대향면(52C)에 고착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0)의 오목 홈부(60B) 내에 끼워 넣어진다. 마찬가지로, 우측 연결 핀(57)에 고착된 핀 측 걸어맞춤 부재(62)의 선단부(62A)는, 우측 실린더 브래킷(53)의 대향면(53C)에 고착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3)의 오목 홈부(63B) 내에 끼워 넣어진다.
이와 같이, 좌측 실린더 브래킷(52)과 좌측 실린더 장착 아이(54)를 좌측 연결 핀(56)에 의해 연결한 상태로, 핀 측 걸어맞춤 부재(59)가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0)의 오목 홈부(60B)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좌측 연결 핀(56)은, 좌측 실린더 브래킷(52)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실린더 브래킷(53)과 우측 실린더 장착 아이(55)를 우측 연결 핀(57)에 의해 연결한 상태로, 핀 측 걸어맞춤 부재(62)가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3)의 오목 홈부(63B)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우측 연결 핀(57)도 우측 실린더 브래킷(53)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선회 프레임(4)의 좌, 우의 실린더 브래킷(52, 53)과, 좌, 우의 붐 실린더(16)의 실린더 장착 아이(54, 55)의 사이를, 좌, 우의 연결 핀(56, 57)을 사용하여 연결한 상태로, 좌, 우의 붐 실린더(16)를 신축시켰다고 해도, 이 붐 실린더(16)의 신축 동작에 수반하여 좌, 우의 연결 핀(56, 57)이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고, 이들 각 연결 핀(56, 57)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 붐 브래킷(22)에 고착된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블록체(44A)를 컷아웃함으로써, 당해 블록체(44A)와 오목 홈부(44B)를 일체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를 서로 다른 부재로 이루어지는 2개의 블록체(44A′)로 구성해도 된다. 즉, 2개의 블록체(44A′)를 간격을 두고 좌측 붐 브래킷(22)의 대향면(22C)에 고착시키고, 이들 각 블록체(44A′) 사이에 오목 홈부(44B′)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를 오목 홈부(44B′) 내에 끼워넣을 수 있다.
이것은, 우측 붐 브래킷(23)에 고착되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의 오목 홈부(47B)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제2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0, 63)의 오목 홈부(60B, 63B)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 연결 핀 고정 기구(42)를 구성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의 선단부(43A)에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43B)을 설치함과 함께,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오목 홈부(44B)에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44C)을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의 선단부(43A)와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의 오목 홈부(44B) 중 어느 일방에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은, 우측 연결 핀 고정 기구(45)를 구성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46)와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7)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제2 실시 형태에 사용한 좌측 연결 핀 고정 기구(58)를 구성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59)와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0), 우측 연결 핀 고정 기구(61)를 구성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62)와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6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2부재 연결 장치(21)를 사용하여 선회 프레임(4)과 하측 붐(9) 사이를 연결한 경우를 예시하고, 제2 실시 형태에서는, 2부재 연결 장치(51)를 사용하여 선회 프레임(4)과 좌, 우의 붐 실린더(16)의 사이를 연결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측 붐(11)과 미들 암(12)의 사이, 미들 암(12)과 하측 암(13)의 사이 등의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2부재 사이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4 :선회 프레임(제1 부재)
9 : 하측 붐(제2 부재)
16 : 붐 실린더(제2 부재)
21, 51 : 2부재 연결 장치
22 : 좌측 붐 브래킷(좌측 제1 브래킷)
22C, 23C, 52C, 53C : 대향면
22D, 52D :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
23 : 우측 붐 브래킷(우측 제1 브래킷)
23D, 53D :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
24 : 좌측 붐 풋부(좌측 제2 브래킷)
24A, 54A :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
25 : 우측 붐 풋부(우측 제2 브래킷)
25A, 55A :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
26, 56 : 좌측 연결 핀
26A, 27A, 56A, 57A : 단부
27, 57 : 우측 연결 핀
28 : 핀 삽입 인출 기구
29 : 유압 실린더
30 : 부동 링크
31 : 좌측 링크
35 : 우측 링크
42, 58 : 좌측 연결 핀 고정 기구
43, 46, 59, 62 : 핀 측 걸어맞춤 부재
43A, 46A, 59A, 62A : 선단부
43B, 46B, 59B, 62B : 안내면
44, 47, 60, 63 :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
44A, 47A, 60A, 63A, 44A′: 블록체
44B, 47B, 60B, 63B, 44B′: 오목 홈부
44C, 47C, 60C, 63C : 안내면
45, 61 : 우측 연결 핀 고정 기구
52 : 좌측 실린더 브래킷(좌측 제1 브래킷)
53 : 우측 실린더 브래킷(우측 제1 브래킷)
54 : 좌측 실린더 장착 아이(좌측 제2 브래킷)
55 : 우측 실린더 장착 아이(우측 제2 브래킷)

Claims (6)

  1. 제1 부재(4)에 좌, 우 방향에서 대면하여 설치된 좌, 우의 제1 브래킷(22, 23, 52, 53)과,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22, 23, 52, 53)에 각각 설치된 좌, 우의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 23D, 52D, 53D)과, 상기 제1 부재(4)에 연결되는 제2 부재(9,16)에 설치되고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22, 23, 52, 53)과 대면하는 좌, 우의 제2 브래킷(24, 25, 54, 55)과, 상기 좌, 우의 제2 브래킷(24, 25, 54, 55)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 23D, 52D, 53D)과 동일한 축선(O-O)으로 하여 포갤 수 있는 좌, 우의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 25A, 54A, 55A)과, 상기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 52D)과 상기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 54A)에 삽입 통과되는 좌측 연결 핀(26, 56)과, 상기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 53D)과 상기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 55A)에 삽입 통과되는 우측 연결 핀(27, 57)과,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22, 23, 52, 5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 52D)과 상기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 54A)에 대하여 상기 좌측 연결 핀(26, 56)을 꽂고 뺌과 함께 상기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 53D)과 상기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 55A)에 대하여 상기 우측 연결 핀(27, 57)을 꽂고 빼는 핀 삽입 인출 기구(2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2부재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22, 23, 52, 53)과 상기 좌, 우의 연결 핀(26, 27, 56, 57)의 사이에는, 상기 좌측 연결 핀(26, 56)을 상기 좌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 52D)과 상기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 54A)에 꽂아 넣은 상태로 고정시키고, 상기 우측 연결 핀(27, 57)을 상기 우측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3D, 53D)과 상기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 55A)에 꽂아 넣은 상태로 고정시키는 좌, 우의 연결 핀 고정 기구(42, 45, 58, 61)를 각각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부재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의 연결 핀 고정 기구(42, 45, 58, 61)는,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22, 23, 52, 53) 중 서로 대향하는 대향면(22C, 23C, 52C, 53C) 측에 위치하여 상기 좌, 우의 연결 핀(26, 27, 56, 57)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연결 핀(26, 27, 56, 57)의 축선(O-O)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 46, 59, 62)와,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22, 23, 52, 53)의 대향면(22C, 23C, 52C, 53C) 중 상기 각 연결 핀(26, 27, 56, 57)의 축선(O-O)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연결 핀(26, 27, 56, 57)을 상기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 23D, 52D, 53D)과 상기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 25A, 54A, 55A)에 꽂아 넣었을 때에 상기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 46, 59, 62)가 걸어맞춰지는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 47, 60, 63)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2부재 연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 46, 59, 62)는, 상기 연결 핀(26, 27, 56, 57)의 축선(O-O)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형상 부재이며,
    상기 브래킷 측 걸어맞춤 부재(44, 47, 60, 63)는, 상기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 46, 59, 62)의 선단부(43A, 46A, 59A, 62A)를 끼워 넣는 오목 홈부(44B, 47B, 60B, 63B, 44B′)를 가지는 블록체로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2부재 연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 46, 59, 62)의 선단부(43A, 46A, 59A, 62A)와 상기 오목 홈부(44B, 47B, 60B, 63B, 44B′) 중 적어도 일방 측에는, 상기 각 연결 핀(26, 27, 56, 57)을 상기 각 제1 핀 삽입 통과 구멍(22D, 23D, 52D, 53D)과 상기 각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 25A, 54A, 55A)에 꽂아 넣을 때에, 상기 각 핀 측 걸어맞춤 부재(43, 46, 59, 62)의 선단부(43A, 46A, 59A, 62A)를 상기 오목 홈부(44B, 47B, 60B, 63B, 44B′)로 안내하는 테이퍼 형상의 안내면(43B, 46B, 59B, 62B, 44C, 47C, 60C, 63C)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2부재 연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삽입 인출 기구(28)는, 상기 좌, 우의 연결 핀(26, 27, 56, 57)의 축선의 위치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신축 가능하게 배치된 유압 실린더(29)와, 상기 좌, 우의 연결 핀(26, 27, 56, 57)의 축선의 위치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29)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 적어도 상기 좌, 우의 연결 핀(26, 27, 56, 57)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부동 상태로 배치된 부동 링크(30)와, 상기 부동 링크(30)를 개재하여 상기 좌측 연결 핀(26, 56)과 상기 유압 실린더(29)의 사이를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한 좌측 링크(31)와, 상기 부동 링크(30)를 개재하여 상기 우측 연결 핀(27, 57)과 상기 유압 실린더(29)의 사이를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한 우측 링크(35)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29)의 신장 상태 또는 축소 상태에 따라 상기 좌, 우의 링크(31, 35)를 개재하여 상기 좌, 우의 연결 핀(26, 27, 56, 57)에 의해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22, 23, 52, 53)과 제2 브래킷(24, 25, 54, 55)을 각각 연결하거나, 또는 분리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2부재 연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의 제1 브래킷(22, 23, 52, 53) 사이에는, 상기 좌측 연결 핀(26, 56)이 상기 좌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4A, 54A)으로부터 빠져나간 위치에서 맞닿음과 함께, 상기 우측 연결 핀(27, 57)이 상기 우측 제2 핀 삽입 통과 구멍(25A, 55A)으로부터 빠져나간 위치에서 맞닿는 스토퍼(40)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2부재 연결 장치.
KR1020127031910A 2010-06-10 2010-07-06 2부재 연결 장치 KR101625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3111 2010-06-10
JP2010133111A JP5367646B2 (ja) 2010-06-10 2010-06-10 2部材連結装置
PCT/JP2010/061452 WO2011155079A1 (ja) 2010-06-10 2010-07-06 2部材連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265A true KR20130038265A (ko) 2013-04-17
KR101625076B1 KR101625076B1 (ko) 2016-05-27

Family

ID=4509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910A KR101625076B1 (ko) 2010-06-10 2010-07-06 2부재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81500B1 (ko)
JP (1) JP5367646B2 (ko)
KR (1) KR101625076B1 (ko)
CN (1) CN102933772B (ko)
WO (1) WO20111550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2906B (zh) * 2013-07-26 2016-05-11 零八一电子集团有限公司 箱体快速锁定器
JP6312619B2 (ja) * 2015-03-17 2018-04-18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機の支軸部材着脱構造
JP6187553B2 (ja) * 2015-08-28 2017-08-3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6447581B2 (ja) * 2016-06-17 2019-01-0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連結ピン引抜用治具、およびクレーン
US11536260B2 (en) 2018-09-17 2022-12-27 Microjet Technology Co., Ltd.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pump
JP6891920B2 (ja) 2019-05-28 2021-06-1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油圧ピン抜け止め構造
JP7293921B2 (ja) * 2019-07-08 2023-06-2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ピン回り止め構造
IT201900021429A1 (it) * 2019-11-18 2021-05-18 Cnh Ind Italia Spa Macchina da costruzione provvista con un braccio di lavoro migliorat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140Y2 (ko) * 1980-07-05 1986-03-13
JPS5935453U (ja) * 1982-08-30 1984-03-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シヨベルロ−ダにおけるアタツチメント脱着装置のピン操作装置
DE69328026T2 (de) * 1992-07-27 2000-11-16 Gilmore Transp Ation Services Kupplungsvorrichtung für schwere erdbewegungsmaschinen
JPH08158401A (ja) * 1994-12-09 1996-06-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連結ピンの抜け止め装置
JP3932687B2 (ja) * 1998-08-25 2007-06-20 日立建機株式会社 ピン連結構造
JP2004068958A (ja) * 2002-08-07 2004-03-04 Komatsu Ltd ピンの固定構造
JP3925530B2 (ja) * 2003-10-24 2007-06-0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及びそのブーム組立・分解方法
SE528389C2 (sv) * 2005-03-11 2006-10-31 Atlas Copco Rock Drills Ab Vridanordning för en bom till en gruv- eller entreprenadrigg jämte rigg
JP5222568B2 (ja) 2008-01-18 2013-06-26 株式会社加藤製作所 移動式クレーン
CN201276712Y (zh) * 2008-10-20 2009-07-22 郑明法 装载机车体与辅助斗的连接结构
EP2206837B1 (en) * 2009-01-07 2021-10-2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Two-member connecting device
JP4806049B2 (ja) * 2009-03-27 2011-11-02 日立建機株式会社 2部材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56961A (ja) 2011-12-22
CN102933772A (zh) 2013-02-13
EP2581500A4 (en) 2017-10-25
EP2581500B1 (en) 2019-05-15
WO2011155079A1 (ja) 2011-12-15
EP2581500A1 (en) 2013-04-17
CN102933772B (zh) 2015-01-14
JP5367646B2 (ja) 2013-12-11
KR101625076B1 (ko) 2016-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8265A (ko) 2부재 연결 장치
EP1659225A1 (en) Swiveling work machine
CN100537405C (zh) 建筑机械的动臂脚销拆装装置
JP4770366B2 (ja) 作業機械のブレード
JP4791788B2 (ja) 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ユニット及びカウンタウエイトの着脱方法
KR20070109906A (ko) 건설 기계
KR102086686B1 (ko)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결합링크
US9689138B2 (en) Loader coupler with removable mount pins
JP4247211B2 (ja) トラクタ・ローダ・バックホーにおける掘削装置のロック機構
JP6013286B2 (ja) 作業機のブーム
CN107288167B (zh) 工程机械
US10472794B2 (en) Front loader and work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JP4927882B2 (ja) 2部材連結装置
EP2206837A2 (en) Two-member connecting device
JP2017214033A (ja) 作業機械
KR20210030757A (ko) 보조 안전장치를 갖춘 퀵 커플러
JP4609431B2 (ja) 連結ピンの脱着装置
JP7345536B2 (ja) 作業機械
JP5045703B2 (ja) 移動式クレーン
JP2006097348A (ja) 作業具装着装置
JP5843724B2 (ja) ローダ作業機
EP3699363B1 (en)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dozer
JP7200771B2 (ja) 建設機械のブーム取付構造
KR20240074880A (ko) 작업 기계
JP6807296B2 (ja) フロントローダの着脱構造、フロントローダ及び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