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165A -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165A
KR20130036165A KR1020120109743A KR20120109743A KR20130036165A KR 20130036165 A KR20130036165 A KR 20130036165A KR 1020120109743 A KR1020120109743 A KR 1020120109743A KR 20120109743 A KR20120109743 A KR 20120109743A KR 20130036165 A KR20130036165 A KR 20130036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jaw guard
shield plate
side member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483B1 (ko
Inventor
다쿠 니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쇼우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쇼우에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쇼우에이
Publication of KR20130036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6Helmets with movable or separable chin or jaw guard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턱 가드 지지 기구(23)는 제1 및 제2 고정측 부재(21, 27), 턱 가드(6)에 고정된 이동측 부재(24)를 포함한다. 턱 가드(6)를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전진 회전시킬 때, 이동측 부재(24)에 제공된 환형 추종 면(65)은 제2 고정 부재(27)에 제공된 환형 피추종 면(111)을 따르면서 전진 회전하고, 이에 따라 턱 가드(6)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한다. 턱 가드(6)의 상승/하강이 비교적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턱 가드 지지 기구(23)가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턱 가드 지지 기구(23)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턱 가드 지지 기구(23)를 포함하는 턱 가드(6)의 단부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에 구조가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고, 헬멧(1)의 폭 방향의 크기를 크게 할 필요가 없는 헬멧(1)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헬멧{HELMET}
본 발명은 주 캡상체(main cap body)에 제공되는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chin guard support mechanism)와, 좌측 및 우측 단부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이 상기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된 턱 가드(chin guard)를 포함하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US2009/0100576 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헬멧은 종래부터 공지되어 있다. US2009/0100576 A1에 개시된 헬멧(이하, "종래의 헬멧"이라 함)에서,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는 각각, 주 캡상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측 유닛(fixed-side unit)과 턱 가드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에 고정되는 회전측 유닛(pivotal-side unit)을 포함한다. 고정측 유닛에는 전방을 향해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되는 제1 길이방향 가이드 홀과, 상기 제1 길이방향 가이드 홀 하부에 배치되어 전방을 향해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길이방향 가이드 홀이 제공된다. 제1 길이방향 가이드 홀의 길이 방향은 제2 길이방향 가이드 홀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고 있다. 제1 길이방향 가이드 홀 및 제2 길이방향 가이드 홀은 대략 직선으로 연장된다. 회전측 유닛에는 제1 길이방향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길이방향 가이드 홀에 의해 가이드(guide)되는 제1 연결부와, 제2 길이방향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길이방향 가이드 홀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2 연결부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헬멧에서는, 턱 가드가 최저 위치에서 최고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연결부가 제2 길이방향 가이드 홀의 상단측으로부터 제2 길이방향 가이드 홀의 하단측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제1 연결부는 제1 길이방향 가이드 홀의 하단측으로부터 제1 길이방향 가이드 홀의 상단측으로 이동한 다음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최저 위치에서 상승의 중간 지점(midpoint of rise)까지 이동하는 동안, 턱 가드 또한 전방으로 약간 이동한다. 또한, 상승 중간 위치에서 최고 위치까지 상승하는 동안, 턱 가드 또한 후방으로 약간 이동한다. 상승하는 경우와는 반대로 최고 위치에서 최저 위치로 하강하는 경우, 턱 가드는, 상승하는 경우에서처럼, 전방으로 약간 이동한 다음 후방으로 약간 이동한다.
그러나, 종래 헬멧의 좌측 또는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에서는, 주 캡상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과 턱 가드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 사이에, 제1 길이방향 가이드 홀 및 제2 길이방향 가이드 홀을 가지는 고정측 유닛과,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회전측 유닛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턱 가드 지지 기구 각각의 구조는 비교적 복잡하고, 턱 가드 지지 기구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주 캡상체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과 턱 가드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에는, 고정측 유닛과 회전측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턱 가드의 단부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의 구조의 부피가 커질 수 있고,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헬멧의 폭 방향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헬멧의 상술한 문제점을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적절하게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턱 가드의 상승/하강이 비교적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턱 가드 지지 기구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턱 가드 지지 기구의 작동이 비교적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턱 가드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턱 가드의 단부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의 구조가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좌측 턱 가드 지지 기구 및 우측 턱 가드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헬멧의 폭 방향의 크기를 특별히 크게 할 필요가 없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턱 가드 및 실드판의 상승/하강이 비교적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턱 가드 지지 기구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턱 가드 지지 기구의 작동이 비교적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턱 가드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턱 가드의 단부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의 구조가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좌측 턱 가드 지지 기구 및 우측 턱 가드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헬멧의 폭 방향의 크기를 특별히 크게 할 필요가 없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턱 가드는 최저 위치에 유지되면서 실드판(shield plate)이 상승되는 때 실드판이 제2 소정 각도보다 작은 제1 소정 각도 만큼 상승함으로써 실드판이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턱 가드가 제1 소정 각도보다 큰 각도만큼 상승되는 때 실드판 또한 그 큰 각도만큼 턱 가드와 같이 상승하고, 턱 가드가 제1 소정 각도보다 큰 각도만큼 상승할 경우에 실드판이 턱 가드의 상승을 방해하지 않고, 턱 가드 및 실드판이 모두 제2 소정 각도 만큼만 상승함으로써 턱 가드 및 실드판이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성을 사용하여, 제2 고정측 부재에 대해 제1 이동측 부재가 왕복 회전을 할 때 제2 고정측 부재에 대한 제1 이동측 부재의 불필요한 왕복 직선 운동을 비교적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성을 사용하여, 제2 고정측 부재에 대해 제1 이동측 부재가 왕복 회전을 할 때 제2 고정측 부재에 대한 제1 이동측 부재의 불필요한 왕복 직선 운동을 보다 비교적 더욱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 캡상체에 제공되는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 및 턱 가드를 포함하는 헬멧으로서, 상기 턱 가드의 좌측 및 우측 단부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은 상기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의 각각은, 상기 주 캡상체에 고정된 제1 고정측 부재, 및 상기 턱 가드에 고정된 제1 이동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의 각각은, 상기 제1 고정측 부재에 고정된 제2 고정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측 부재에는, 볼록 또는 오목한 환형 피추종 면(annular followed surface)이 제공되고, 상기 제1 이동측 부재에는, 상기 볼록 또는 오목한 환형 피추종 면을 따라 왕복 회전 가능한 오목 또는 볼록한 환형 추종 면(annular following surface)이 제공되고, 상기 턱 가드를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전진 회전시킬 때, 상기 환형 추종 면은 상기 환형 피추종 면을 따르면서 전진 회전하여, 상기 턱 가드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하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상기 헬멧은, 실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드판의 좌측 및 우측 단부 및 그 부근은 상기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의 각각은, 상기 제1 이동측 부재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제2 이동측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측 부재에는, 제2 피추종 면이 제공되고, 상기 실드판에는, 상기 제2 피추종 면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제2의 추종 면이 제공되고, 상기 턱 가드에 대해서 상기 실드판을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전진 회전시킬 때, 상기 제2의 추종 면은 상기 제2 피추종 면을 따르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실드판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함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모드에 따르면, 상기 헬멧은, 상기 제2 이동측 부재에 제공되는 제1 스토퍼부(stopper portion), 및 상기 제1 스토퍼부에 당접할 수 있도록 상기 실드판에 제공되는 제1 피스토퍼부(stopped portion); 상기 제1 고정측 부재에 제공되는 제2 스토퍼부, 및 상기 제1 이동측 부재에 제공되는 제2 피스토퍼부; 및 상기 제2 고정측 부재에 제공되는 제3 스토퍼부, 및 상기 실드판에 제공되는 제3 피스토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드판이 상기 턱 가드에 대해서 제1 소정 각도만큼 상승할 때, 상기 제1 피스토퍼부는 상기 제1 스토퍼부에 당접하여, 상기 실드판이 더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턱 가드가 상기 주 캡상체에 대해서 상기 제1 소정 각도보다 큰 제2 소정 각도만큼 상승할 때, 상기 제2 피스토퍼부는 상기 제2 스토퍼부에 당접하여, 상기 턱 가드가 더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실드판이 상기 주 캡상체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 소정 각도만큼 상승할 때, 상기 제3 피스토퍼부는 상기 제3 스토퍼부에 당접하여, 상기 실드판이 더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소정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30°내지 6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내지 56°이다. 상기 제2 소정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60°내지 1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내지 90°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볼록 또는 오목한 환형 피추종 면은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을 포함하고, 오목 또는 볼록한 환형 추종 면은 오목한 환형 추종 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오목한 또는 볼록한 환형 추종 면은, 상기 제2 고정측 부재에 대한 상기 제1 이동측 부재의 왕복 회전 위치와 독립적으로, 서로 분리된 3개의 위치에서 볼록한 또는 오목한 환형 피추종 면과 항상 접촉하고, 상기 3개의 위치에서의 접촉은, 상기 제2 고정측 부재에 대하여 제1 이동측 부재의 불필요한 직선 왕복 이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모드에 따르면, 상기 볼록한 또는 오목한 환형 피추종 면은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한 또는 볼록한 환형 추종 면은 오목한 환형 추종 면을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위치에서의 접촉은, 상기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의 제1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의 주위면과, 상기 오목한 환형 추종 면 중에서, 상기 제1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오목한 추종 면의 주위면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 사이의 접촉; 상기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의 제2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의 주위면과, 상기 오목한 환형 추종 면 중에서, 상기 제2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보다 둘레 방향으로 긴 제2 오목한 추종 면의 주위면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 사이의 접촉; 및 상기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 중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과 상기 제2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 사이의 원형 형상을을 가지는 피추종 면 본체부의 주위면과, 상기 오목한 환형 추종 면의 굴곡된 형상을 가지는, 추종 면 부분의 주위면 사이의 접촉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턱 가드의 상승/하강이 비교적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턱 가드 지지 기구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턱 가드 지지 기구의 작동이 비교적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턱 가드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턱 가드의 단부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의 구조가 커지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좌측 턱 가드 지지 기구 및 우측 턱 가드 지지 기구를 포함하는 헬멧의 폭 방향의 크기를 특별히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헬멧으로서, 턱 가드를 최저 상태로 한 헬멧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턱 가드를 최고 상태로 한 도 1에 도시된 헬멧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헬멧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헬멧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조립 공정의 초기 단계에서, 지지판이 도 4에 도시된 헬멧의 주 캡상체 외부 쉘의 좌측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주 캡상체 외부 쉘에 부착되는 턱 가드와 상기 턱 가드에 부착되는 실드 베이스(shield base)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실드 베이스가 부착된 도 6에 도시된 턱 가드와, 상기 실드 베이스에 부착되는 실드축 부재(shield pivot member)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실드축 부재가 실드 베이스에 부착된 도 7에 도시된 턱 가드와, 상기 실드 베이스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pivotally support) 와셔(washer)를 구비한 샤프트(shaft) 부재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9는, 와셔를 구비한 샤프트 부재를 지지판에 볼트 고정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턱 가드가 주 캡상체 외부 쉘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실드판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헬멧의 부분적인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실드판을 최고 위치로 한 상태의 도 11에 도시된 헬멧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헬멧의 턱 가드의 최저 상태와, 상기 턱 가드가 상기 최저 상태로부터 상승하는 방향으로 1°만큼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좌측면도이다.
도 13a는 도 13에 도시된 턱 가드의 최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에 도시된, 턱 가드가 최저 상태로부터 상승하는 방향으로 1° 만큼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턱 가드가 1°만큼 상승된 도 13에 도시된 상태와, 최저 상태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2°만큼 회전시켜 턱 가드가 도 1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상승방향으로 더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턱 가드가 2°만큼 상승된 도 14에 도시된 상태와, 최저 상태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4°만큼 회전시켜 턱 가드가 도 1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상승방향으로 더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턱 가드가 4°만큼 상승된 도 15에 도시된 상태와, 최저 상태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8°만큼 회전시켜 턱 가드가 도 15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상승방향으로 더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3에 도시된 헬멧의 턱 가드가 최저 상태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16°만큼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3에 도시된 헬멧의 턱 가드가 최저 상태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최고 상태까지 80°만큼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턱 가드가 최저 상태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1°만큼 회전된 헬멧을 나타내며, 도 13에 도시된 헬멧의 턱 가드의 회전 지지부가 고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한 참고예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좌측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을 상승/하강이 가능한 턱 가드를 포함하는 풀 페이스형 헬멧에 적용한 구현예를 "1. 헬멧 전체의 개략적인 구성", "2. 턱 가드 지지 기구의 구성" 및 "3. 턱 가드 지지 기구의 동작"으로 구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헬멧 전체의 개략적인 구성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강이 가능한 턱 가드(6)를 구비한 풀 페이스형 헬멧(1)은, 모터바이크 라이더(motorbike rider)와 같은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되고 상승/하강이 가능한 턱 가드(6)를 포함하는 풀 페이스형 캡상체(cap body)(2), 착용자의 이마와 턱 사이 부분(즉, 얼굴의 대략 가운데 부분)에 대향하도록 캡상체(2)의 전면에 형성된 창공(3)을 개폐할 수 있는 실드판(shield plate)(4), 및 캡상체(2)의 내부에 부착되는 좌우 한 쌍의 턱 밴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캡상체(2)는, 알려진 바와 같이, 제트형(jet-type) 헬멧의 주 캡상체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주 캡상체(5), 및 좌우 한 쌍의 회전 지지 수단(7)을 통해서 주 캡상체(5)의 좌우 양측으로 주 캡상체(5)에 왕복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된 보조 캡상체의 역할을 하는 턱 가드(6)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면을 하단으로부터 크게 절삭함으로써 커다란 창부(8)가 주 캡상체(5)에 형성되어 있다. 턱 가드(6)는, 알려진 바와 같이, 전방으로 팽창하도록 만곡된 턱 커버(6a), 및 상기 턱 커버(6a)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위쪽으로 확장되고, 좌우 한 쌍의 회전 지지 수단(7)(즉, 이후 설명될 턱 가드 지지 기구(23))에 의해 왕복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주 캡상체(2)의 좌우 양측에 회전 지지되는 좌우 한 쌍의 부착 부분(6b)을 포함한다. 턱 가드(6)가 주 캡상체(5)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하강 위치(특히,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최저 위치)에 있을 때, 이 턱 가드(6)는 착용자의 턱을 덮는 턱 커버 수단으로서 기능하여, 창부(8)의 하부를 폐쇄한다. 그로 인해, 상기 창부(8)의 상부에 의해 창공(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창공(3)은, 주 캡상체(5)의 창부(8)의 위쪽 에지와 턱 가드(6)의 위쪽 에지(1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부터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드판(4)은, 알려진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기타 경질 합성 수지와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경질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실드판(4)은, 주 캡상체(5)의 좌우 측면으로 좌우 한쌍의 회전 지지 수단(12)(즉, 이후 설명될 실드축 부재(25))을 통하여 주 캡상체(5)에 부착된다. 턱 가드(6)가 하강 위치에 위치하여 턱 덮개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실드판(4)은 실드판(4)의 후진 위치(즉, 하강 위치)에서 창공(3)을 폐쇄하고, 실드판(4)의 전진 위치(즉, 상승 위치)에서 창공(3)을 개방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주 캡상체(5)는, 알려진 바와 같이, 주 캡상체(5)의 외측 벽을 구성하는 제트형 외측 쉘(shell)(13), 대략 U자형 단면을 가지며 대략 외측 쉘(13) 단부의 주위 전체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는 림(rim) 부재(14), 및 외측 쉘(13)의 내측 표면에 당접한 상태로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는 주 캡상체 이면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외측 쉘(13)은, 알려진 바와 같이, 부직포와 같은 유연성 시트로 FRP 또는 기타 경질 합성 수지 또는 FRP로 만들어진 고강도의 쉘 본체의 내측 표면을 라이닝(lining)하여 형성되는 복합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대략 U자형 단면을 가지는 림 부재(14)는, 알려진 바와 같이, 발포 염화 비닐, 합성 고무 또는 기타 연질 합성 수지와 같은 유연성이 높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주 캡상체 이면 부재는, 알려진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주 캡상체 외측 쉘(13)의 내측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는 주 캡상체 충격 흡수 라이너와, 상기 충격 흡수 라이너의 내측 표면을 거의 덮도록 차례로 부착되는 블록 형상의 주 캡상체 내부 패드 및 주 캡상체 이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캡상체 충격 흡수 라이너는, 알려진 바와 같이, 발포 폴리스티렌 또는 기타 합성 수지와 같은 적당한 강성과 적당한 소성을 가지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블록 형상의 주 캡상체 내부 패드는, 알려진 바와 같이, 우레탄 폼 또는 기타 합성 수지와 같은 단일 또는 복수의 유연성이 높은 탄성 재료, 및 상기 탄성 재료로 된 내측 및 외측 표면을 덮는 가방 형상(bag-shaped)의 다공성 부직포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주 캡상체 이면 커버는, 알려진 바와 같이, 다공성 부직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주 캡상체 충격 흡수 라이너에 대향하는 이면 커버의 표면은 우레탄 폼 또는 기타 합성 수지와 같은 유연성이 높은 탄성 물질의 층으로 적층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턱 가드(6)는, 알려진 바와 같이, 턱 가드(6)의 외측 벽을 구성하는 외측 쉘(15), 대략 E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외측 쉘(15)의 단부의 일부분(구체적으로는, 외측 쉘(15)의 상단부)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는 림 부재(도시되지 않음), 및 외측 쉘(15)의 내측 표면에 당접하여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는 턱 가드 이면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쉘(15), 및 대략 E자형 단면을 가지는 림 부재는, 알려진 바와 같이, 주 캡상체용의 외측 쉘(13) 및 대략 U자형 단면을 가지는 림 부재(14)에 관해 이미 설명한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턱 가드 이면 부재는, 알려진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턱 가드 외측 쉘(15)의 내측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된 턱 가드 충격 흡수 라이너, 및 상기 충격 흡수 라이너의 내측 표면을 거의 덮도록 부착된 턱 가드 이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턱 가드용 충격 흡수 라이너는, 발포 우레탄 고무 또는 기타 합성 수지와 같은 적당한 강성과 적당한 소성을 가지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턱 가드 이면 커버는, 염화 폴리비닐 또는 기타 직물과 같은 합성 수지로부터 형성된 인조 피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정수리에 대한 환기구 형성 부재(16)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리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의 주 캡상체(5)의 외측 표면에 부착된다. 환기구(17)는 턱 가드(6)의 턱 커버(6a)에 형성된다. 턱 가드(6)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턱 가드(6)을 최저 위치에 잠그는 잠금 폴(lock pawl)과 같은 잠금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잠금 해제하기 위해 눌러지도록 되어 있는 잠금 해제 조작 버튼(18)이 제공된다. 또한, 주 캡상체(5)는, 주 캡상체(5)의 외측 표면에,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 가드(6)을 최저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잠금 수단(도시되지 않음)과 체결되는 잠금 핀(19)를 포함한다.
주 캡상체(5)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판(4) 및 턱 가드(6)를 주 캡상체(5)에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좌우 한 쌍의 지지판(21)이 제공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판(21)의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수지 또는 ABS 수지와 같은 합성 수지와 같이, 적당한 재료로부터 만들어진 대략 판 형상의(plate-shaped) 부재일 수 있다. 지지판(21)은, 부착 나사(22)에 의해 주 캡상체 외측 쉘(13)에 고정될 수 있다. 실드판(4) 및 턱 가드(6)를 주 캡상체(5)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턱 가드 지지 기구(23)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2. 턱 가드 지지 기구의 구성" 및 "3. 턱 가드 지지 기구의 동작"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2. 턱 가드 지지 기구의 구성
좌우 한 쌍의 턱 가드 지지 기구(23)에 있어서 좌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23)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23)는 서로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좌측(즉, 착용자가 봤을 때의 좌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23)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고,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23)에 대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생략될 것이다.
좌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23)는 (a) 내지 (d)에서 설명되는 구성 부재를 포함한다:
(a)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 기판부, 또는 제1 고정측 부재의 역할을 하며, 부착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부착 나사(22)에 의해 주 캡상체(5)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지지판(21);
(b)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판 지지부, 실드판 기판부, 또는 제1 이동측 부재의 역할을 하며, 턱 가드(6)의 부착 부분(6b)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실드 베이스(24);
(c)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축 부 또는 제2 이동측 부재의 역할을 하며, 실드 베이스(24)에 직선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실드축 부재(25); 및
(d)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측 부재의 역할을 하는 와셔를 구비하고, 고정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볼트(26)에 의해 지지판(21)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샤프트 부재(27).
턱 가드 지지 기구(23)를 상기 (a) 내지 (d)에서 설명한 구성 부재로부터 조립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1)은 주 캡상체(5)에 부착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 베이스(24)는 턱 가드(6)의 부착 부분(6b)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 축 부재(25)는 실드 베이스(24)에 부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를 구비한 샤프트 부재(27)는 볼트(26)에 의해 지지판(21)에 고정된다. 또한, 실드판(4)의 좌측 단부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은 실드 축 부재(25)에 부착되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헬멧(1)을 얻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1)은, 대략 중앙부에, 볼트(26)가 외측 쉘(13)에 나사 삽입되어(screwed)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볼트(26)가 삽입되는 삽입홀(31)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나사 삽입홀 (32a, 32b, 32c, 32d)이 실드 베이스(24)의 외주 부분을 따라서 실드 베이스(24)에 형성된다. 나사 삽입홀(32a, 32b, 32c, 32d)에 삽입된 나사(도시되지 않음)는 턱 가드(6)의 내측 표면의 나사홀(도시되지 않음)에 나사 삽입되어, 실드 베이스(24)를 턱 가드(6)의 부착 부분(6b)의 내측 표면에 부착시킨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부착 부분(6b)은, 대략 위쪽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측면이 가파른(fallen down sideways)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다. 실드 베이스(24)의 외주 부분의 외측 표면은 대략 U자형의 부착 부분(6b)의 내주 부분의 내측 표면을 따라서 상기 부착 부분(6b)과 중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 베이스(24)의 나사 삽입홀(32b) 주변에는, 상기 실드 베이스(24)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즉, 한층 더 안쪽)을 향해 돌출된 제2 피스토퍼부(stopped portion)로서 작용하는,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가지는 실린더형 돌출부(33)가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1)의 외측 표면에는, 상기 실린더형 돌출부(33)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형 돌출부(33)보다 한층 크고, 높이는 비교적 낮은 타원 통 형상 등의 형상을 가지는 실린더형 돌출부(3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21)의 외측 표면에는, 상기 실린더형 돌출부(33)에 대응하여, 측면이 가파른 대략 삼각 프리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실린더형 돌출부(33)가 타고 넘을 수 있는, 기둥형 돌출부(35)와, 상기 기둥형 돌출부(35)에 당접하고 있는, 제2 스토퍼부(stopper portion)로 작용하는 스토퍼 돌출부(36)가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1)의 외측 표면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대략 평판 형상(flat plate shape)을 가질 수 있고 대략 직방체 형상(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등의 형상을 가지는 돌출부(41)가 삽입홀(3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 5를 2차원적으로 보면, 돌출부(41)의 측변 중,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장변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1)는 와셔를 구비한 샤프트 부재(27)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피팅홀(fitting hole)(42)에 정합되어(fitted) 있으므로, 와셔를 구비한 샤프트 부재(27)는,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slide)(즉, 왕복 이동)를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수단의 역할을 하는 볼트(26)를 외측 쉘(13)에 나사 삽입하여 고정하기 전에, 왕복 슬라이드를 함으로써, 턱 가드(6)(및 실드판(4))의 최저 위치와 같은 전후 방향의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돌출부(41)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에는, 한 쌍의 개구(43a, 43b)가 형성되어 있다. 와셔를 구비한 샤프트 부재(27)의 내측 표면에 배치된 한 쌍의 돌출부(44a, 44b)는 상기 한 쌍의 개구(43a, 43b)에 각각 정합되어 있다. 이러한 정합에 의해, 피팅홀(42)에 대한 돌출부(41)의 흔들림(rattling)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판(21)의 전단부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직 방향으로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리브 형상(rip-shaped)의 돌출 벽부(45)가, 배치되어 있다. 턱 가드(6)를 중간 상승 위치에서 더 상승시킨 때에는, 실드 베이스(24)의 돌출 벽부(46)가 상기 돌출 벽부(45) 위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로 인해, 실드 베이스(24) 및 턱 가드(6)는 상기 돌출 벽부(46)의 주변에서 바깥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주 캡상체(5)의 창공(3) 위쪽의 림 부재(14)와 중첩되는(도 4 참조) 턱 가드(6)의 일부분은, 창공(3)의 위쪽의 림 부재(14)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즉, 강하게 스치는) 일이 없다. 따라서, 턱 가드(6)는, 상승/하강 시에, 창공(3)의 위쪽의 림 부재(14)를 전혀 손상시키지 않는다.
지지판(21)의 외측 표면의 상단부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 베이스(24)의 왕복 회전 시에 상기 실드 베이스(24)의 내측 표면이 당접한 상태로 슬라이드 할 수 있는 기다란 돌출부(51)가 배치되어 있다. 기다란 돌출부(51)는, 지지판(21)의 상단부 및 그 부근 포함하는 영역을 따라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기다란 돌출부(51)(도시된 구현예에서는 2개)가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지지판(21)은, 경량화, 재료 절감 등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복수의(도시된 구현예에서는 4개)의 비교적 큰 관통홀(52)을 가진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체결 폴(53, 54)이 실드 베이스(24)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실드 베이스(24)에는 체결 개구(55)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체결 폴(53, 54)및 체결 개구(55)는 대략 정삼각형의 3개의 에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한편, 실드 베이스(24)에는, 체결 폴(53)의 근방에 제1 스프링 체결 볼록부(56)가 제공된다. 또한, 실드 베이스(24)에는, 돌출 벽부(46)의 근방에 제2 스프링 체결 볼록부(57)도 제공된다. 실드 베이스(24)에는, 상기 제 1 및 제2 스프링 체결 볼록부(56, 57)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및 제2 스프링 릴리프(relief) 개구(61, 62)가 제공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실드 베이스(24)의 전단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의 상단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에는, 턱 가드(6)의 부착 부분(6b)의 원위 단부(distal end)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에 제공되는 체결 폴(64)과 체결되는 체결 개구(63)가 제공된다.
실드 베이스(24)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6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66)의 에지는 오목한 환형 추종 면(concave annular following surface)(65)을 형성한다. 실드 베이스(24)의 전단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돌출 벽부(72)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 벽부(72)의 전단 면은 제2 피추종 면(the second followed surface)으로 작용하는 볼록한 피추종 면(a convex followed surface)(71)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턱 가드(6)의 부착 부분(6b)의 내측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기다란 돌출부(73)가 정합되는, 복수의 체결 그루브(74)가 실드 베이스(24)의 위쪽 및 아래쪽의 외측 부분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 축 부재(25)는, 축 부재 본체(75), 상기 축 부재 본체(75)에 직선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잠금 해제 조작 부재(76), 및 상기 잠금 해제 조작 부재(76)를 직선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축 부재 본체(75)에 배치되는 가이드 핀(77)을 포함한다. 조작 부재(76)는, 가이드 핀(77)이 삽입되는 기다란 홀(81)을 가지고 있다. 또한, 조작 부재(76)는 체결 폴(82)도 포함하며, 상기 체결 폴(82)의 위치는 원활한 왕복 직선 이동을 위해 축 부재 본체(75)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잠금 해제 조작 부재(76)는, 그 원위 단부에 손가락을 고정하는 굴곡부(83)도 포함한다. 조작 부재(76)의 체결 폴(82)의 내측 표면에는, 단차(step)에 의해 형성된 제1 스토퍼부의 역할을 하는 제1 스토퍼면(stopper surface)(109)이 제공된다. 잠금 해제 조작 부재(76)는, 근위 단부 측에, 일측면에 의해 형성된 제1 스토퍼부의 역할을 하는 제2 스토퍼면(79)를 가지는, 대략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80)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부재 본체(75)는, 와셔를 구비한 샤프트 부재(27)를 축 부재 본체(75)의 대략 중앙 부분에 삽입시키기 위한 언로드 홀(unloaded hole)의 역할을 하는 개구(84)를 가지고 있다. 축 부재 본체(75)는, 도 10에 도시된 실드판(4)의 제1 피체결 폴(85)에 체결되는 제1 체결 폴(87), 및 실드판(4)의 제2 피스토퍼부의 역할을 하는 제2 피체결 폴(86)에 체결되는 제2 체결 폴(88)을 포함한다. 직선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측 체결 폴(82)은 제2 체결 폴(88)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실드 베이스(24)의 체결 개구(55)에 의해 가이드되는 피체결 돌출부(91)는 축 부재 본체(75)의 내측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판(4)에는, 제1 피체결 폴(85)과 제2 피체결 폴(86) 사이를 대략 반원 형상으로 지나가는 피가이드 돌출 벽부(92)가 제공된다. 제2 피체결 폴(86)의 근방에 결여부(90)가 존재하기 때문에, 피가이드 돌출 벽부(92)는 제1 피가이드 돌출 벽부(92a) 및 제2 피가이드 돌출 벽부(92b)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축 부재 본체(75)에는, 그 외측 표면에 의해 피가이드 돌출 벽부(9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출 벽부(93)가 제공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바이어싱(biasing) 수단의 역할을 하는 반발 코일 스프링(94)은 축 부재 본체(75)와 잠금 해제 조작 부재(76)과의 사이에 개재 되어 있다. 각각이 탄성 바이어싱 수단의 역할을 하는 제1 및 제2 반발 코일 스프링(95, 96)은 실드 베이스(24)와 축 부재 본체(75) 사이에 개재 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반발 코일 스프링(95)은, 제1 스프링 체결 볼록부(56)와 축 부재 본체(75)의 제1 스프링 결합 오목부(97)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2 반발 코일 스프링(96)은, 제2 스프링 체결 볼록부(57)와 축 부재 본체(75)의 제2 스프링 결합 오목부(98)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축 부재 본체(75)에는, 개구(84) 측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주름진(corrugated) 클릭형 치부(clicking tooth portion)(101)가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드판(4)의 내측 표면에는, 상기 클릭형 치부(101)에 체결될 수 있는 클릭형 치부(102)가 배치되어 있다. 실드판(4)의 내측 표면에는, 대략, 실드 베이스(24)의 돌출 벽부(72)의 피추종 면(71)과 반대측의 후단면으로부터 형성되는 피추종 면(70)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위치 유지 돌출부(10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드판(4)의 내측 표면에는, 대략,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드 베이스(24)의 돌출 벽부(72)가 피추종 면(71)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제2의 추종 면의 역할을 하는 돌출부(105)가 배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를 구비한 샤프트 부재(27)는 샤프트부(106), 상기 샤프트부(106)에 일체로 형성된 와셔부(107), 및 상기 샤프트부(106) 및 와셔부(107)을 포함하는 샤프트 부재(27) 전체를 통하여 연장되는 중앙 개구(108)를 포함한다. 샤프트부(106)의 외측 표면에는,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는 대략 전후 한 쌍의 볼록한 피추종 면(111, 112)이 제공된다. 상기 볼록한 피추종 면(111, 112)의 내측 표면에는, 와셔를 구비한 샤프트 부재(27)의 돌출부(44a, 44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8에서 와셔부(107)의 지름은 시계 방향으로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와셔부(107)의 외측 표면에는 제3 스토퍼부의 역할을 하는 단차부(11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면의 역할을 하는 피당접부(113)는 상기 단차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실드판(4)에는, 돌출 벽부(92)의 일단부에 있어서 제1 피체결 폴(85)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3 스토퍼부의 역할을 하는 당접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미 어느 정도 상승하여 있던 실드판(4)을, 턱 가드(6)을 상승시켜 최고 상태(즉, 실드판이 80°만큼 상승한 상태)로 한 때에는, 당접부(114)가 피당접부(113)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서 실드판(4)의 추가적인 상승이 저지된다.
3. 턱 가드 지지 기구의 동작
실드판(4)은 적어도 다음 상태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a) 도 1, 도 3 및 도 11에 도시된 최저 상태,
(b) 도 13에 도시된, 1°만큼 상승한 상태,
(c) 도 14에 도시된, 2°만큼 상승한 상태,
(d) 도 15에 도시된, 4°만큼 상승한 상태,
(e) 도 16에 도시된, 8°만큼 상승한 상태,
(f) 도 17에 도시된, 16°만큼 상승한 상태,
(g) 도 12에 도시된, 48°만큼 상승한 상태(즉, 턱 가드(6)의 최저 상태에 있어서의 실드판(4)의 최고 상태), 및
(h) 도 2, 도 4 및 도 18에 도시된, 80°만큼 상승한 최고 상태.
헬멧 착용자 등이 적당한 조작을 행하는 경우, 실드판(4)은, (a)에 설명된 상태로부터 (h)에 설명된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헬멧 착용자 등이 적당한 조작을 행하는 경우, 실드판(4)은, (h)에 설명된 상태로부터 (a)에 설명된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턱 가드(6)는 적어도 다음 상태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i) 도 1, 도 3, 도 9,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최저 상태,
(j) 도 13에 도시된, 1°만큼 상승한 상태,
(k) 도 14에 도시된, 2°만큼 상승한 상태,
(l) 도 15에 도시된, 4°만큼 상승한 상태,
(m) 도 16에 도시된, 8°만큼 상승한 상태,
(n) 도 17에 도시된, 16°만큼 상승한 상태, 및
(o) 도 2, 도 4 및 도 18에 도시된, 80°만큼 상승한 상태.
헬멧 착용자 등이 적당한 조작을 행하는 경우, 턱 가드(6)는, (i)에 설명된 상태로부터 (o)에 설명된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헬멧 착용자 등이 적당한 조작을 행하는 경우, 턱 가드(6)는, (o)에 설명된 상태로부터 (i)에 설명된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드판(4) 및 턱 가드(6)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 순서로 차례대로 설명될 것이다:
(A) 실드판(4) 및 턱 가드(6)의 각각이, 도 1, 도 3,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저 위치에 있는 상태.
(B) 실드판(4) 및 턱 가드(6)의 각각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만큼 상승한 상태,
(C) 실드판(4) 및 턱 가드(6)의 각각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만큼 상승한 상태,
(D) 실드판(4) 및 턱 가드(6)의 각각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만큼 상승한 상태,
(E) 실드판(4) 및 턱 가드(6)의 각각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8°만큼 상승한 상태,
(F) 실드판(4) 및 턱 가드(6)의 각각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만큼 상승한 상태,
(G) 실드판(4) 및 턱 가드(6)의 각각이, 도 2, 도 4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80°만큼 상승한 상태, 및
(H)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 가드(6)는 최저 위치에 있고, 실드판(4)만이 48°만큼 상승한 상태.
(A) 실드판(4) 및 턱 가드(6)가 최저 위치에 있는 상태
(A)에 설명된 상태에서, 턱 가드(6)의 잠금 폴(lock pawl)과 같은 잠금 수단(도시되지 않음)은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주 캡상체(5)의 잠금 핀(19)에 체결되고, 그에 따라 턱 가드(6)를 도 1, 도 3,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최저 위치에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 13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와셔를 구비한 샤프트 부재(27)의 샤프트부(106)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형성된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111)이 실드 베이스(24)의 개구(66)의 에지로부터 형성된 오목한 환형 추종 면(65)과 부분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111)은, 2차원적으로 보았을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지는 피추종 면 본체부(123), 및 상기 본체부(123)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도록 바깥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대략 산 형상의(mountain-shaped)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4, 125)을 포함한다. 오목한 환형 추종 면(65)은,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4)에 부합, 체결, 또는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4)에 대응하는 대략 산 형상을 가지는 오목한 추종 면 부분(126),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5)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5)보다 둘레 방향으로 더 길도록(즉, 더 넓도록) 구성된 오목한 추종 면 부분(127), 및 굴곡 형상을 가지고,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지는 피추종 면 본체부(123)와 접촉하도록 한 쌍의 오목한 추종 면 부분(126, 127)의 사이의 일측에 배치된 추종 면 부분(131)을 포함한다. 3개의 부분, 즉 오목한 추종 면 부분(126, 127) 및 굴곡 형상을 가지는 추종 면 부분(131)의 위치는 모두 충분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턱 가드(6)가, 도 13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최저 위치에 있을 때,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111)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 추종 면 부분(126)과 다음의 (i) 내지 (iii)에 설명된 3개의 부분에서 접촉하고 있다:
(i)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4)의 주위면이, 오목한 추종 면 부분(126)의 주위면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과 상대적으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 면들이 서로 접촉함;
(ii)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5)의 주위면이, 둘레 방향으로 긴 오목한 추종 면 부분(127)의 주위면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과 상대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면들이 서로 접촉함; 및
(iii)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4, 125) 사이의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지는 피추종 면 본체부(123) 중 일측의 부분(123a)이, 굴곡 형상을 가지는 추종 면 부분(131)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면들이 서로 접촉함.
따라서, 상기 3개 위치에서의 접촉(이하, "3개 위치에서의 접촉"이라 함)에 의해, 와셔를 구비한 샤프트 부재(27)는 개구(66)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고 있다. 턱 가드(6) 및 실드판(4)의 상승 위치와 무관하게, 실질적으로 3개 위치에서의 접촉이 항상 이루진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하강 방향에 있어서 실드판(4)의 위치는, 턱 가드(6)의 턱 커버(6a)의 상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림 고무와 같은 림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조정된다. 상승 방향에 있어서 실드판(4)의 위치는, 도 7에 도시된 축 부재 본체(75)의 클릭형 치부(101)에 실드판(4)의 클릭형 치부(102)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조정된다. 필요에 따라, 잠금 레버(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실드판(4)은 잠금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잠겨지고, 이에 따라 실드판(4)의 상승을 강제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잠금 레버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조작되는 경우, 실드판(4)을 수동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턱 가드(6)를 최저 위치에 유지시킨 상태로, 실드판(4)을 수동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도 있다.
(B) 실드판(4) 및 턱 가드(6)가 1°만큼 상승한 상태
도 13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A)에 설명된 상태(즉, 도 13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13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B)에 설명된 상태(즉, 도 13b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잠금 해제 조작 버튼(18)을 대략 아래쪽으로 누른다. 이러한 누름 조작으로, 턱 가드(6)의 잠금 수단은 주 캡상체(5)의 잠금 핀(19)과의 체결이 해제된다. 뿐만 아니라, 턱 가드(6)는 수동적으로 1°만큼 상승된다. 이로 인해, 실드 베이스(24)의 개구(66)는 와셔를 구비한 샤프트 부재(27)의 샤프트부(106)에 대해 도 13의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 개구(66)의 오목한 환형 추종 면(65)은 샤프트부(106)의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111)에 대해 약간 상승할 것이고, 이렇게 약간 상승하면서 전방으로 비스듬히 이동한다. 이 경우, 이 시점에서의 턱 가드(6)에 일체로 결합된 실드 축 부재(25)는 실드 베이스(24)와 일체가 되어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13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는 실드판(4)은, 도 13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턱 가드(6)와 실질적으로 일체가 되어 이동한다. 3개 위치에서의 접촉에 의해 개구(66)에 대한 샤프트부(106)의 상대적인 직선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턱 가드(6) 및 실드판(4) 각각은, 도 13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도 13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위치까지 상승하고, 또한 전방으로 이동한다.
도 19는, 도 13에 도시된 헬멧(1)에 대한 턱 가드(6)의 회전 지점인 부착축(121)이 고정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 참고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턱 가드(6)가 수동적으로 최저 상태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1°만큼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턱 가드(6)가 1°만큼 회전하는 경우, 실드판(4)도 또한 턱 가드(6)에 수반되어 상승 방향으로 1°만큼 회전한다. 이 경우, 실드판(4)은, 턱 가드(6)와 마찬가지로, 단순히 상승 방향으로 회전한다. 특히, 실드판(4)의 상단부의 내측 표면은 주 캡상체(5)측의 림 고무와 같은 림 부재(122)와 접촉하기 때문에, 실드판(4) 및/또는 림 부재(122)는 쉽게 손상된다. 그러나, 도 13 등에 도시된 구현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턱 가드(6) 및 실드판(4)의 각각이 상승 방향으로 회전할 뿐만 아니라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이러한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 실드판(4) 및 턱 가드(6)가 2°만큼 상승한 상태
도 13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B)에 설명된 상태(즉, 도 14의 일점 쇄선)로부터, 도 14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C)에 설명된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턱 가드(6)는 수동적으로 1°만큼 더 상승된다. 이로 인해, (B)에서 설명된 경우와 같이, 개구(66)가 샤프트부(106)에 대해 도 13의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 따라서,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111)의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4)은 오목한 추종 면 부분(126)으로부터 약간 빠져 나오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도 14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위치에 있는 실드판(4)은, 도 14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턱 가드(6)와 실질적으로 일체가 되어 더 이동한다. 3개 위치에서의 접촉에 의해 개구(66)에 대한 샤프트부(106)의 상대적인 직선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턱 가드(6) 및 실드판(4) 각각은, 도 14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도 14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위치까지 상승하고, 또한 전방으로 이동한다.
(D) 실드판(4) 및 턱 가드(6)가 4°만큼 상승한 상태
도 14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C)에 설명된 상태(즉, 도 15의 일점 쇄선)로부터, 도 15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D)에 설명된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턱 가드(6)는 수동적으로 2°만큼 더 상승된다. 이로 인해, (C)에서 설명된 경우와 같이, 개구(66)가 샤프트부(106)에 대해 도 14의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 따라서,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4)은 오목한 추종 면 부분(126)으로부터 약간 빠져 나오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도 15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는 실드판(4)은, 도 15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턱 가드(6)와 실질적으로 일체가 되어 더 이동한다. 3개 위치에서의 접촉에 의해 개구(66)에 대한 샤프트부(106)의 상대적인 직선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턱 가드(6) 및 실드판(4) 각각은, 도 15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도 15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위치까지 상승하고, 또한 전방으로 이동한다.
(E) 실드판(4) 및 턱 가드(6)가 8°만큼 상승한 상태
도 15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D)에 설명된 상태(즉, 도 16의 일점 쇄선)로부터, 도 16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E)에 설명된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턱 가드(6)는 수동적으로 4°만큼 더 상승된다. 이로 인해, (D)에서 설명된 경우와 같이, 개구(66)가 샤프트부(106)에 대해 도 15의 시계 방향으로 일정량 회전한다. 따라서,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4)의 대략 전체가 오목한 추종 면 부분(126)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도 16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는 실드판(4)은, 도 16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턱 가드(6)와 실질적으로 일체가 되어 더 이동한다. 3개 위치에서의 접촉에 의해 개구(66)에 대한 샤프트부(106)의 상대적인 직선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턱 가드(6) 및 실드판(4) 각각은, 도 16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도 16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위치까지 상승하고, 또한 전방으로 이동한다.
(F) 실드판(4) 및 턱 가드(6)가 16°만큼 상승한 상태
도 16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E)에 설명된 상태로부터, 도 17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F)에 설명된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턱 가드(6)는 수동적으로 8°만큼 더 상승된다. 이로 인해, (E)에서 설명된 경우와 같이, 개구(66)가 샤프트부(106)에 대해 도 16의 시계 방향으로 일정량 회전한다. 따라서,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4)의 전부가 전체적으로 오목한 추종 면 부분(126)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빠져 나오고,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지는 추종 면 본체부(128)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도 16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위치에 있는 실드판(4)은, 도 17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턱 가드(6)와 실질적으로 일체가 되어 이동한다. 3개 위치에서의 접촉에 의해 개구(66)에 대한 샤프트부(106)의 상대적인 직선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턱 가드(6) 및 실드판(4) 각각은, 도 16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위치로부터 도 17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위치까지 상승하고, 또한 전방으로 이동한다.
(G) 실드판(4) 및 턱 가드(6)가 80°만큼 상승한 상태
도 17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F)에 설명된 상태로부터, 도 18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G)에 설명된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 턱 가드(6)는 수동적으로 64°만큼 더 상승된다. 이로 인해, (F)에서 설명된 경우와 같이, 개구(66)가 샤프트부(106)에 대해 도 17의 시계 방향으로 크게 회전한다. 따라서,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4)은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지는 추종 면 본체부(128)를 따라 상대적으로 도 17의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17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위치에 있는 실드판(4)은, 도 18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턱 가드(6)와 실질적으로 일체가 되어 이동한다. 3개 위치에서의 접촉에 의해 개구(66)에 대한 샤프트부(106)의 상대적인 직선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턱 가드(6) 및 실드판(4) 각각은,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으면서, 도 17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위치로부터 도 18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위치까지 상승한다. 도 18의 이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위치는 턱 가드(6) 및 실드판(4)의 각각에 대한 최고 위치임을 주목해야 한다. 이 경우, 실드 베이스(24)의 관형 돌출부(33)가 지지판(21)의 삼각 프리즘 형상 돌출부(35)를 넘은 다음 스토퍼 돌출부(36)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 턱 가드(6)가 최고 위치로부터 상승하는 것이 저지된다. 실드판(4)이 최고 위치에 도달한 때, 실드판(4)의 당접부(114)가 와셔를 구비한 샤프트 부재(27)의 스토퍼면(113)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 실드판(4)의 추가 상승이 저지된다.
(H) 턱 가드(6)는 최저 위치에 있고, 실드판(4)만이 48°만큼 상승한 상태
(H)에 설명된 상태에서는, (A)에서 설명된 경우와 같이, 턱 가드(6)가 도 12에 도시된 최저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실드판(4)이 도 11의 실선 및 도 13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로부터 도 12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상승되면, 실드판(4)은, 턱 가드(6)가 도 12에 도시된 최저 위치에 유지되고 있을 때, 최고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 경우, 실드판(4)의 제1 및 제2 피체결 폴(85, 86)은, 실드 축 부재(25)의 축 부재 본체(75)의 제1 및 제2 체결 폴(87, 88) 및 잠금 해제 조작 부재(76)의 체결 폴(82)에 의해 가이드된다. 또한, 실드판(4)의 추종 돌출부(105)는 실드 베이스(24)의 볼록한 피추종 면(71)을 따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하므로, 실드판(4)은 단순히 상승할 뿐만 아니라, 약간 전방으로 이동도 한다. 이로 인해, 실드판(4)의 내측 표면이 주 캡상체(5)의 외측 표면에 불필요하게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턱 가드(6)가 최저 위치에 유지된 상태로 실드판(4)이 최고 위치까지 48°만큼 상승된 경우, 실드판(4)의 제2 피체결 폴(86)의 제1 피스토퍼부의 역할을 하는 피스토퍼 전단부(86a)가 잠금 해제 조작 부재(76)의 제1 스토퍼부의 역할을 하는 제1 스토퍼면(109)에 당접하는, 제1 당접부에 의해 실드판(4)의 추가적인 상승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드판(4)이 최고 위치까지 48°만큼 상승되는 경우, 실드판(4)의 제2 피가이드 돌출 벽부(92b)의 제1 피스토퍼부의 역할을 하는 피스토퍼 전단면(110)이 제1 스토퍼부의 역할을 하는 제2 스토퍼면(79)에 당접하는, 제2 당접부에 의해서도 실드판(4)의 추가적인 상승이 방지된다. 이 경우, 실드판(4)은 주로 상기 제1 당접부 및 제2 당접부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면, 제1 당접부)에 의해 실드판(4)의 상승이 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 해제 조작 부재(76)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실드판(4)가 분리된 경우는, 제1 스토퍼면(109)이 피스토퍼 전단부(86a)에 당접하지 않는 위치까지 전방 이동하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도 2, 도 4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 가드(6)의 최저 위치에서 최고 위치까지의 회전 각도(즉, 제2 소정 각도)는 80°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 가드(6)을 최저 위치로 유지한 상태로, 실드판(4)만을 최저 위치로부터 회전시킨 경우의 실드판(4)의 최고 위치까지의 회전 각도는 48°이다. 따라서, 실드판(4)를 최고 위치로 유지한 채로 턱 가드(6)를 최고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실드판(4)이 최저 위치로부터 128°도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실드판(4)의 당접부(114)가 와셔를 구비한 샤프트 부재(27)의 스토퍼면(113)에 당접하기 때문에, 실드판(4)의 최고 위치는 최저 위치로부터 80°상승한 위치로 조정된다. 이로 인해, 실드판(4)를 상승시킨 상태로 턱 가드(6)을 상승시킨 경우에도, 실드판(4)의 최고 위치는, 턱 가드(6) 및 실드판(4)을 일체로 상승시킨 경우의 최고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턱 가드(6)의 최저 위치로부터 최고 위치까지의 회전 각도를α라고 하면, α가 0° 내지 32°인 범위에 대해서는, 실드판(4)의 최저 위치로부터 최고 위치까지의 회전 각도의 최대 값은, 48°+ α가 된다. α가 32° 내지 80°인 범위에 대해서는, 실드판(4)의 최저 위치로부터 최고 위치까지의 회전 각도의 최대 값이 80°가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구현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구현예에서, 환형 피추종 면(111)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환형 추종 면(65)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반대로, 환형 피추종 면(111)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환형 추종 면(65)은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현예에서, 오목한 환형 추종 면(65)은 개구(66)의 에지로부터 형성된다. 그러나, 오목한 환형 추종 면(65)은 반드시 개구(66)의 에지로부터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오목한 환형 추종 면(65)은 리세스(recess)의 에지, 또는 리세스 및 개구를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오목한 부분의 에지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현예에서, 환형 피추종 면(111) 및 환형 추종 면(65) 각각은 완전한 환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환형 피추종 면(111) 및 환형 추종 면(65) 각각은, 3개의 부분에서 접촉이 충분히 이루어지는 한, 대략적인 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환형 추종 면(65)이 환형 피추종 면(111)을 따른다"는 의미는 대략적인 환형 형상으로 형성된 환형 추종 면(65)이, 캠 추종자(cam follower) 및 캠(cam)으로서의 접촉 관계와 동일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대략적인 환형 형상으로 형성된 환형 피추종 면(111)과 부분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실질적으로 이동(예컨대, 실질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추종 면(65 또는 105) 및 피추종 면(111 또는 71)의 조합은 캠 추종자와 캠의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술한 구현예에서, 실드판(4) 및 턱 가드(6) 각각의 최저 위치로부터 최고 위치까지의 회전 각도(즉, 제2 소정 각도)는 80°가 된다. 그러나, 회전 각도는 항상 80°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실용성의 관점에서. 각각의 회전 각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60° 내지 1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이다. 실드판(4) 및 턱 가드(6)은 항상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 각도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현예에서, 턱 가드(6)은 최저 위치에 유지하면서 실드판(4)만을 최저 위치로부터 회전시키는 경우, 실드판(4)의 최고 위치까지의 회전 각도(즉, 제1 소정 각도)는 48°가 된다. 그러나, 회전 각도는 항상 48°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실용성의 관점에서. 각각의 회전 각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36° 내지 6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6°이다.
1: 풀 페이스형 헬멧
4: 실드판
5: 주 캡상체
6: 턱 가드
21: 지지판
23: 턱 가드 지지 기구
24: 실드 베이스
25: 실드축 부재
27: 샤프트 부재
33: 실린더형 돌출부
36: 스토퍼 돌출부
65: 오목한 환형 추종 면
71: 피추종 면
79: 제2 스토퍼면
86a: 피스토퍼 전단부
105: 추종 면
109: 제1 스토퍼부
110: 피스토퍼 전단면
111: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
113: 단차부
114: 당접부
123: 피추종 면 본체부
124, 125: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
126, 127, 131: 오목한 추종 면 부분

Claims (11)

  1. 주 캡상체(5)에 제공되는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23), 및 턱 가드(6)를 포함하는 헬멧(1)으로서, 상기 턱 가드(6)의 좌측 및 우측 단부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은 상기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23)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23)의 각각은, 상기 주 캡상체(5)에 고정된 제1 고정측 부재(21), 및 상기 턱 가드에 고정된 제1 이동측 부재(24)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23)의 각각은, 상기 제1 고정측 부재(21)에 고정된 제2 고정측 부재(27)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측 부재(27)에는, 볼록 또는 오목한 환형 피추종 면(annular followed surface)(111)이 제공되고,
    상기 제1 이동측 부재(24)에는, 상기 볼록 또는 오목한 환형 피추종 면(111)을 따라 왕복 회전 가능한 오목 또는 볼록한 환형 추종 면(annular following surface)(65)이 제공되고,
    상기 턱 가드(6)를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전진 회전시킬 때, 상기 환형 추종 면(65)은 상기 환형 피추종 면(111)을 따르면서 전진 회전하여, 상기 턱 가드(6)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하는,
    헬멧.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은, 실드판(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드판(4)의 좌측 및 우측 단부 및 그 부근은 상기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23)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의 턱 가드 지지 기구(23)의 각각은, 상기 제1 이동측 부재(24)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제2 이동측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측 부재(24)에는, 제2 피추종 면(71)이 제공되고,
    상기 실드판(4)에는, 상기 제2 피추종 면(71)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제2의 추종 면(105)이 제공되고,
    상기 턱 가드(6)에 대해서 상기 실드판(4)을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전진 회전시킬 때, 상기 제2의 추종 면(105)은 상기 제2 피추종 면(71)을 따르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실드판(4)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하는,
    헬멧.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은,
    상기 제2 이동측 부재(25)에 제공되는 제1 스토퍼부(stopper portion)(109), 및 상기 제1 스토퍼부(109)에 당접할 수 있도록 상기 실드판(4)에 제공되는 제1 피스토퍼부(stopped portion)(86);
    상기 제1 고정측 부재(21)에 제공되는 제2 스토퍼부(36), 및 상기 제1 이동측 부재(24)에 제공되는 제2 피스토퍼부(33); 및
    상기 제2 고정측 부재(27)에 제공되는 제3 스토퍼부(113), 및 상기 실드판(4)에 제공되는 제3 피스토퍼부(114)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드판(4)이 상기 턱 가드(6)에 대해서 제1 소정 각도만큼 상승할 때, 상기 제1 피스토퍼부(86)는 상기 제1 스토퍼부(109)에 당접하여, 상기 실드판(4)이 더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턱 가드(6)가 상기 주 캡상체(5)에 대해서 상기 제1 소정 각도보다 큰 제2 소정 각도만큼 상승할 때, 상기 제2 피스토퍼부(33)는 상기 제2 스토퍼부(36)에 당접하여, 상기 턱 가드(6)가 더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실드판(4)이 상기 주 캡상체(5)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 소정 각도만큼 상승할 때, 상기 제3 피스토퍼부(114)는 상기 제3 스토퍼부(113)에 당접하여, 상기 실드판(4)이 더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헬멧.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 각도는 30°내지 60°인,
    헬멧.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 각도는 40°내지 56°인,
    헬멧.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정 각도는 60°내지 100°인,
    헬멧.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정 각도는 70°내지 90°인,
    헬멧.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또는 볼록한 환형 추종 면(65)은, 상기 제2 고정측 부재(27)에 대한 상기 제1 이동측 부재(24)의 왕복 회전 위치와 독립적으로, 서로 분리된 3개의 위치에서 볼록한 또는 오목한 환형 피추종 면(111)과 항상 접촉하고,
    상기 3개의 위치에서의 접촉은, 상기 제2 고정측 부재(27)에 대하여 제1 이동측 부재(24)의 불필요한 직선 왕복 이동을 방지하는,
    헬멧.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한 또는 오목한 환형 피추종 면은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111)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한 또는 볼록한 환형 추종 면은 오목한 환형 추종 면(65)을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위치에서의 접촉은,
    상기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111)의 제1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4)의 주위면과, 상기 오목한 환형 추종 면(65) 중에서, 상기 제1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오목한 추종 면(126)의 주위면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 사이의 접촉;
    상기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111)의 제2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5)의 주위면과, 상기 오목한 환형 추종 면(65) 중에서, 상기 제2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5)보다 둘레 방향으로 긴 제2 오목한 추종 면(127)의 주위면 및 그 부근을 포함하는 영역 사이의 접촉; 및
    상기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111) 중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4)과 상기 제2 볼록한 피추종 면 부분(125) 사이의 원형 형상을을 가지는 피추종 면 본체부(123)의 주위면과, 상기 오목한 환형 추종 면(65)의 굴곡된 형상을 가지는, 추종 면 부분(131)의 주위면 사이의 접촉
    을 포함하는,
    헬멧.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한 또는 오목한 환형 피추종 면은 볼록한 환형 피추종 면(111)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한 또는 볼록한 환형 추종 면은 오목한 환형 추종 면(65)을 포함하는,
    헬멧.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환형 추종 면(65)은 상기 제1 이동측 부재(24)에 형성된 개구(66)의 에지로부터 형성된,
    헬멧.
KR1020120109743A 2011-10-03 2012-10-02 헬멧 KR101858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19240A JP5814726B2 (ja) 2011-10-03 2011-10-03 ヘルメット
JPJP-P-2011-219240 2011-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165A true KR20130036165A (ko) 2013-04-11
KR101858483B1 KR101858483B1 (ko) 2018-05-16

Family

ID=4675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743A KR101858483B1 (ko) 2011-10-03 2012-10-02 헬멧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12982B2 (ko)
EP (1) EP2578099B1 (ko)
JP (1) JP5814726B2 (ko)
KR (1) KR101858483B1 (ko)
CN (1) CN10302742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661B1 (ko) * 2019-11-04 2020-11-25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KR20210154370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WO2023106696A1 (ko) * 2021-12-07 2023-06-15 (주)에이치제이씨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8722B1 (ja) * 2012-06-26 2013-12-04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
US20160074230A1 (en) * 2014-09-11 2016-03-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ye-protection headgear
JP6982396B2 (ja) * 2017-03-28 2021-12-17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JP6842993B2 (ja) 2017-05-22 2021-03-17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DE102017130373A1 (de) 2017-12-15 2019-06-19 Schuberth Gmbh Schutzhelm
DE102018103657A1 (de) * 2018-02-19 2019-08-22 Schuberth Gmbh Schutzhelm
JP1616683S (ko) * 2018-05-07 2018-10-29
DE102018004314A1 (de) 2018-05-30 2019-12-05 Schuberth Gmbh Schutzhelm
JP1630425S (ko) 2018-06-05 2019-05-07
TWI684418B (zh) * 2019-03-27 2020-02-11 隆輝安全帽有限公司 複合式頭盔護罩固定裝置
TWD215910S (zh) * 2020-07-08 2021-12-11 義大利商洛卡泰利股份公司 頭盔
USD1013963S1 (en) * 2021-06-03 2024-02-06 Bell Sports, Inc. Helmet with an internal sunshield
WO2023275136A1 (de) * 2021-06-29 2023-01-05 Schuberth Gmbh Schutzhelm
KR102646629B1 (ko) * 2022-05-02 2024-03-13 (주)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회동 메커니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97145B (it) * 1986-09-02 1988-11-25 Marco Cianfanelli Casco integrale dotato di mentoniera in un sol pezzo, sollevabile mediante movimento di traslazione e rotazione
JPH026608A (ja) * 1988-06-17 1990-01-10 Honda Motor Co Ltd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装置
GB9120363D0 (en) * 1991-09-25 1991-11-06 Helmets Ltd Helmets
CA2223345A1 (en) * 1997-12-03 1999-06-03 Bombardier Inc. Full face helmet with breathing mask
US6047409A (en) * 1998-05-02 2000-04-11 Simpson; Elwood J. B. Adjustable safety lock for helmet face shield
KR20010043845A (ko) * 1998-06-02 2001-05-25 필립 라크르와 헬멧
JP2000178822A (ja) * 1998-12-11 2000-06-27 Yamamoto Kogaku Co Ltd ヘルメット
IT1316350B1 (it) * 2000-02-07 2003-04-10 Antonio Locatelli Casco integrale apribile
KR100427684B1 (ko) * 2002-05-31 2004-04-28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시일드 결합장치
EP1500340B1 (en) * 2003-07-25 2007-07-04 OPTICOS S.r.l. Device for unlocking the rotation of a crash-helmet chin guard
DE602004012717T2 (de) * 2004-06-15 2009-04-16 Opticos S.R.L., Brembate Di Sopra Schutzhelm mit Abschirmungselement
WO2006004008A1 (ja) * 2004-07-01 2006-01-12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鞍乗型車両
US7814579B2 (en) * 2004-09-27 2010-10-19 Kbc America, Inc. Modular helmet
ES2329494T3 (es) * 2004-10-27 2009-11-26 Shark Sa Casco de proteccion con mentonera movil, en particular para el motociclismo.
FR2886521B1 (fr) * 2005-06-03 2007-09-07 Cbm Distrib Entpr Unipersonnel Casque de protection a visiere mobile
KR100659171B1 (ko) * 2005-12-15 2006-12-19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턱 보호대의 개폐장치
JP4895647B2 (ja) * 2006-03-17 2012-03-14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TW200836655A (en) * 2007-03-05 2008-09-16 Long Huei Helmet Co Compounded safety helmet
KR100875460B1 (ko) 2007-10-18 2008-12-22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턱 보호대 개폐 장치
US20100132097A1 (en) * 2008-12-03 2010-06-03 Tsan-Jee Chen Structure for safety helmet
CN201349571Y (zh) * 2009-02-10 2009-11-25 岑杰强 新型组合式头盔
ES2446420T3 (es) * 2009-10-07 2014-03-07 Nolangroup S.P.A. Casco de seguridad con mentonera alzable
US20110302701A1 (en) * 2010-06-09 2011-12-15 Kin Yung Lung Industrial Co., Ltd. Position controlling mechanism for chin guard and visor plate of helmet
US8635715B2 (en) * 2010-12-09 2014-01-28 Cookie Composites Helmet and visor locking mechanism
ITVR20120022A1 (it) * 2012-02-20 2013-08-21 Agv Spa Dispositivo di movimentazione per un casco per muovere un primo elemento del casco rispetto ad un secondo elemento del casc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661B1 (ko) * 2019-11-04 2020-11-25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WO2021091228A1 (ko) * 2019-11-04 2021-05-14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US11737504B2 (en) 2019-11-04 2023-08-29 Kido Sports Co., Ltd. Front cover for helmets, shell for helmet and helmet including the same
KR20210154370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WO2023106696A1 (ko) * 2021-12-07 2023-06-15 (주)에이치제이씨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27422B (zh) 2016-01-06
KR101858483B1 (ko) 2018-05-16
US10212982B2 (en) 2019-02-26
EP2578099B1 (en) 2016-03-30
JP2013079459A (ja) 2013-05-02
EP2578099A2 (en) 2013-04-10
CN103027422A (zh) 2013-04-10
US20130081199A1 (en) 2013-04-04
JP5814726B2 (ja) 2015-11-17
EP2578099A3 (en)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6165A (ko) 헬멧
KR101878275B1 (ko) 헬멧의 바이저 장착 기구
JP4895647B2 (ja) ヘルメット
US6226803B1 (en) Helmet
US11026465B2 (en) Helmet comprising an occipital adjustment mechanism
US10568380B2 (en) Protecting helmet with raising/lowering mechanism of the visor
JP4428754B2 (ja) ヘルメット
US9402434B2 (en) Helmet shield attaching mechanism
US20060015986A1 (en) Flexible ratchet mechanism for the headband of protective headgear
KR960010938B1 (ko) 승차용 헬멧
US20060185060A1 (en) Cap having dual-structured crown
JPH04131619U (ja) シールド付ヘルメツト
KR20090080380A (ko) 헬멧
JPH10325012A (ja) ヘルメットおよびその脱着方法
US20200163396A1 (en) Glass for helmet
US6253386B1 (en) Activating device of a visor for motorcyclist helmets
JP2018035489A (ja) 取り外し可能なパッド付きヘルメット
JP2012070871A (ja) 椅子
JP2018053383A (ja) 上部反転ヘルメット
TWM391857U (en) helmet
CA2714314A1 (en) Helmet comprising an occipital adjustment mechanism
JP2020158907A (ja) 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