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875A - 접합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합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875A
KR20130035875A KR1020120102011A KR20120102011A KR20130035875A KR 20130035875 A KR20130035875 A KR 20130035875A KR 1020120102011 A KR1020120102011 A KR 1020120102011A KR 20120102011 A KR20120102011 A KR 20120102011A KR 20130035875 A KR20130035875 A KR 20130035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adhesive
work
workpiece
se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워크 사이에 있어서, 소정 영역에 기포의 잔류가 없고, 양품율이 높은 접합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부에 평탄면을 갖는 워크(S1)와, 워크(S1)의 평탄면에서의 시야 범위(W)의 주위에, 평탄면으로부터 융기하도록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시일부(3)와, 시일부(3)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에 접착제(R)가 충전된 접착제 충전부(4)와, 시일부(3) 및 접착제 충전부(4)에 대하여 접합된 제2 워크(S2)를 갖는다. 시일부(3)는, 워크(S1)의 평면측에서 보아, 시일부(3) 내연의 일부를, 시야 범위(W)의 외측으로 확대시킨 확장부(31)를 갖는다.

Description

접합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BOND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ONDING STRUCTUR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한 쌍의 워크를 접착제를 통해서 접합시킨 접합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모듈, 조작용 터치 패널,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 패널(커버 패널) 등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되는 접합 구조체로 되어 있다. 이들 액정 모듈, 터치 패널, 보호 패널 등의 적층 대상이 되는 부재(이하, 워크라고 부른다)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케이스에 조립된다.
이러한 워크끼리를 접합시키기 위해서는, 접착 시트를 이용하는 방법과 수지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접착 시트는, 기체(基體)가 되는 시트의 양면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박리지가 부착된 것이다. 이 접착 시트는, 접착제에 비교해서 비교적 고가이다. 또한, 접착 시트의 사용에 있어서는, 미리 박리지를 박리하는 등의 공정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최근 비용 삭감의 요구 등으로, 비교적 저렴하고 공정의 간략화가 가능한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보호 패널이나 터치 패널과 같은 워크는, 액정 모듈에 있어서의 표시면의 영역에 중첩되도록 적층된다. 이 경우, 각 워크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면, 외광 반사로 인해 표시면의 시인성이 저하한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각 워크를 접합시킬 때에, 접착제에 의해서 각 워크 사이(갭)를 메우는 것에 의해,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접착층은, 각 워크 사이의 스페이서로서, 워크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최근에는 화면의 대형화의 요청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도 대형화하고 있다.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그것을 구성하는 워크도 대면적이 되기 때문에 변형이 생기기 쉽다. 이 때문에, 변형을 흡수하여 워크를 보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접착층에 요구되는 두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수 100㎛의 두께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두께를 확보하고자 하면, 필요한 접착제의 양이 증가한다. 그렇게 하면, 필요량의 접착제가 워크에 공급된 경우, 접착제가 유동하여 워크로부터 비어져 나오기 쉬워진다. 그래서, 접착제로서 사용하는 수지(레진)를, 유동이 적은 고점도의 것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접착제의 도포 위치 등, 프로세스 조건의 조정을 엄밀히 행하지 않으면, 접합시에 접착제가 소정 영역으로부터 비어져 나와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미리 도포 영역을 규정하는 외주에, 수지에 의해서 댐형의 시일부를 형성하는 시일 방식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크(S1)에, 수지에 의한 접착제(R1)를 프레임형으로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시일부를 형성한다. 그 후, 시일부의 내측에 수지에 의한 접착제(R2)를 공급하여,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크(S2)를 접합시킨다. 이 시일 방식에서는, 외주에 시일부가 있기 때문에, 이 시일부에 의해서 접합시 접착제(R2)가 유동하여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학적 난반사를 없애기 위해서, 워크 사이에 워크의 굴절률과 거의 동등한 굴절율을 갖는 물질(기능 재료)을 충전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충전되는 재료는, 워크를 접착하는 접착제로서의 기능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접합 방법으로서, 대기 중에서 접합시키는 방법과 진공 중에서 접합시키는 방법의 2종류가 있다. 대기 중에서 접합시키는 방법은, 배기 설비가 불필요하며,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단, 대기 중에서의 접합은, 접합면에 기포가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한 프로세스 조건의 설정이 어렵다. 이 프로세스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를 넓혀서 접합시킬 때의 수지 도포 패턴, 접합 압력, 압력을 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한편, 진공 중에서 접합시키는 방법에서는, 충분히 배기를 행한 환경이라면, 주위에 기체가 없기 때문에, 비교적 용이하게 기포가 적은 접합을 행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10-66711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2008-209510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2009-8851호 공보
그런데, 진공 중에서의 접합을 행하려고 해도, 실제 생산 현장에서는, 택트타임 등의 요청으로, 배기에 충분한 시간을 들이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기체가 남은 상태에서 접합을 행할 수밖에 없어서, 기포가 잔류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잔류 기포(A)의 일례를, 도 22에 도시한다. 잔류 기포(A)의 발생 위치는, 일반적으로는 시일부의 내연(內緣), 코너 등인 경우가 많다. 이것은 접합시에 접착제가 이동하는 경로에 의한 것이다. 즉, 접합시에 접착제가 퍼지면, 기포는 접착제의 외연으로 밀려 시일부의 내연에 도달한다. 따라서, 이 내연에 잔류하는 기포가 존재한다. 또한, 접착제는 시일부의 내연을 따라서 코너로 이동하기 때문에, 많은 기포가 코너로 모인다.
이 잔류 기포(A)가,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시야 범위(W) 내에 발생한 경우, 화면의 시인성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도 22에 도시한 잔류 기포(A)는, 도 21에 도시한 사용자의 시야 범위(W)의 밖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잔류 기포(A)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외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외주 베젤의 내측에 수습되어 있으면, 특별히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시야 범위(W)에 대해서는, 화면의 대형화 요청으로, 넓은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은, 될 수 있는 한 넓게 활용해야 한다. 즉, 기포의 잔류로 인해 표시 영역이 활용되지 않는 부분, 잔류한 기포를 외부 프레임으로 숨기는 등의 부분은, 될 수 있는 한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포의 잔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 시일부에 간극을 마련해 두고, 접합시에 간극으로부터 수지가 유출하도록 하여, 기포를 배출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3).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유출된 수지가 워크로부터 넘쳐 흘러서 떨어져, 주위를 더럽히게 된다. 이것은, 특히 액정 패널의 주위에 구동 회로용 기판이 설치된 액정 모듈의 접합시에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접착제를 통해서 접합된 워크 사이에 있어서, 소정 영역에 기포의 잔류가 없고, 양품율이 높은 접합 구조체 및 접합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접합 구조체는, 이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고 있다.
(1) 적어도 일부에 평탄면을 갖는 제1 워크
(2) 상기 제1 워크의 평탄면에서의 소정 영역의 주위에, 상기 평탄면으로부터 융기하도록,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시일부
(3) 상기 시일부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에, 접착제가 충전된 접착제 충전부
(4) 상기 접착제 충전부 및 상기 시일부에 대하여 접합된 제2 워크
(5) 상기 제1 워크의 평면측에서 보아, 상기 시일부의 내연 일부가, 상기 소정 영역의 외측으로 확대한 확장부
또,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시일부는, 상기 제1 워크의 평면측에서 보아,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적어도 상기 시일부의 코너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시일부는, 상기 제1 워크의 평면측에서 보아,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적어도 상기 시일부의 변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확장부는, 상기 시일부의 폭이 좁은 개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확장부는, 상기 시일부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확장부 내의 영역은, 상기 제1 워크의 평면측에서 보아, 폭이 좁은 협폭부와, 폭이 넓은 광폭부를 가지고, 상기 협폭부의 일단은, 상기 소정 영역에 연통하고, 상기 협폭부의 타단은, 상기 광폭부에 연통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것과 같은 접합 구조체의 제조 방법도, 다른 양태의 하나이다.
이상과 같은 발명에서는, 제1 워크에 대하여 제2 워크를 접합시킬 때에, 시일부 내의 접착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접착제가 시일부 내로 퍼진다. 이때, 시일부의 확장부에 도달한 접착제에 의해서, 기포가 소정 영역의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접착제가 확장부로 유입하더라도, 확장부의 내부에 머물기 때문에, 제1 워크의 밖으로 유출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제를 통해서 접합된 워크 사이에 있어서, 소정 영역에 기포의 잔류가 없고, 양품율이 높은 접합 구조체 및 접합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의 접합 구조체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접합 구조체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접합 구조체의 접합 직전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접합 구조체의 접합시 접착제의 확대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접합 구조체의 접착제가 확장부 내로 유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6은 직사각형의 확장부를 다수 형성한 양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7은 삼각파형의 확장부를 다수 형성한 양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8은 곡선파형의 확장부를 다수 형성한 양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9는 곡선형으로 확장부를 형성한 양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10은 협폭부와 광폭부를 갖는 확장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11은 수지의 도포량 조정에 의해 확장부를 형성한 양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12는 수지의 중복 도포에 의해 확장부를 형성한 양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다른 양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14는 시일부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확장부를 형성한 양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확장부의 형성 방법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방법에 사용하는 노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협폭부와 광폭부를 갖는 확장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 18은 복수의 선형으로 도포한 접착제와 확장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시일부 형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종래의 접합 구조체의 접합 직전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21은 종래의 접합 구조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22는 종래의 접합 구조체의 잔류 기포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부른다)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의 시일부, 접착제, 기포 등은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현실의 찌부러진 상태, 유동 양태 등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구성]
본 실시 형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워크(S1, S2)를 접착층(B)을 통해서 접합시킨 접합 구조체(M)이다. 접합 대상이 되는 워크(S1, S2)는, 평탄면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이다. 워크(S1, S2)로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기판, 모듈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접착층(B)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부(3)와 접착제 충전부(4)를 갖고 있다. 시일부(3)는, 워크(S1)의 평탄면에서의 소정 영역의 주위에, 워크(S1)의 표면으로부터 융기하도록, 수지의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소정 영역은, 예를 들면, 표시 장치의 경우에 시야 범위(W)가 되는 직사각형의 영역이다. 접착제 충전부(4)는, 시일부(3)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에, 수지에 의한 접착제(R)를 충전한 부분이다.
시일부(3)에는 확장부(31)가 형성되어 있다. 확장부(31)는, 워크(S1)의 평면측에서 보아, 시일부(3)의 내연 일부를, 소정 영역의 외측으로 확대시킨 부분이다. 예를 들면, 도 2에서는 직사각형의 확장부(31)가, 시일부(3)의 4개의 모서리(코너)에 설치되어 있다.
[작용]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워크(S1)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시일부(3)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인쇄 장치를 이용한 스크린 인쇄에 의해 상기와 같은 확장부(31)를 갖는 시일부(3)가 형성되도록, 수지에 의한 접착제를 인쇄함으로써 행한다.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 수지를 이용한다.
그리고, 인쇄된 시일부(3)에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해서, 대기 중에서 자외선을 조사한다. 대기 중 산소에 의해 경화의 진행이 저해되기 때문에, 시일부(3)는 가경화하는 데에 그친다. 이에 따라, 시일부(3)의 유동이 방지된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크(S1)의 시일부(3)의 내측 영역에, 접착제(R)를 공급한다. 예를 들면, 접착제 공급 장치가 구비하는 디스펜서의 노즐로부터, 접착제(R)인 자외선 경화 수지를 적하한다.
그 후, 워크(S1)에 대하여 워크(S2)를 접합시킨다. 예를 들면, 접합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 위의 워크(S1)에 대하여, 워크(S2)를 얹어 놓고, 워크(S2) 위로 가압 롤러를 압박하면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워크(S1)에 대하여 워크(S2)를 압박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크(S2)에 의해서 시일부(3)가 압박되어 찌부러지고, 접착제(R)도 압박되기 때문에, 시일부(3) 내에 접착제(R)가 퍼져 간다. 그리고, 접착제(R)가 시일부(3)의 내주에 도달하면, 내주를 따라서 더 유동하여, 확장부(31)에 도달한다.
확장부(31)를 향하여 흐른 접착제(R)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부(31)의 입구 또는 내부에서 정지한다. 이 경우, 기포(A)는 시일부(3)의 내연을 따라서 모이고, 확장부(31)의 내부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시일부(3) 내에 접착제(R)가 충전되고, 기포(A)는 확장부(31)로 압출되기 때문에, 시야 범위(W) 내에는 잔류하지 않는다. 또, 동일한 워크(S1)의 경우에도, 복수의 확장부(31)에 있어서, 어느 쪽의 확장부(31)로 접착제(R)가 들어가는지, 그 입구에서 정지하는지 등의 양태는, 동일한 경우도 있고, 다른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워크(S1) 및 워크(S2) 사이의 시일부(3) 내에, 접착제(R)가 충전된 접착제 충전부(4)가 형성된다. 그리고, 시일부(3) 및 접착제 충전부(4)에 대하여, 경화 처리가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진공 상태로 된 진공 챔버 내에서,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해서,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시일부(3) 및 접착제 충전부(4)가 본경화한 접착층(B)을 갖는 접합 구조체(M)가 완성된다. 또, 완성된 접합 구조체(M)에서, 각 확장부(31)에 있어서의 접착제(R)의 양태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다른 것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본경화에 있어서, 진공 중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며, 대기 중에서 조사하더라도 좋다. 그 이유는, 접합 후에는, 접착제가 대기에 접해 있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대기 중에서의 조사라도 경화는 진행하기 때문이다.
[효과]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워크(Sl) 밖으로의 접착제(R)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고, 시야 범위(W)의 밖으로 기포(A)를 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시야 범위(W) 내에 기포가 잔류하지 않는 접합 구조체(M)를 제조할 수 있어, 양품율이 향상된다.
또한, 확장부(31)를 형성함으로써, 미리 접착제(R) 및 기포(A)의 배출 개소가 확보된다. 이 때문에, 접착제(R)의 열화로 인한 점도 변화, 용존 가스량의 변화 등, 프로세스 조건이 변화되더라도, 이들 변화에 기인하는 유동량의 변동, 기포(A)의 증대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시일부(3)는, 인쇄에 의해 일괄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제조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시일부(3)의 형성을 위한 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이 시간에 다른 공정이 구속받지 않게 된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 확장부의 위치, 형상, 수 등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부(3)에 다수의 직사각형 확장부(31)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부(3)에 삼각파형에 의한 다수의 확장부(31)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파형에 의한 다수의 확장부(31)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다수의 확장부(31)를 설치하면, 복수의 기포(A)가 모이기 어려워 져, 개개의 확장부(31)로 들어간 기포(A)의 크기는 작아진다. 이 때문에, 기포(A)가 접착제에 융화되기 쉽고, 그에 따라 소실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택트타임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기포(A)의 소실은, 접합 후에 방치 시간을 확보함으로써도 촉진된다.
복수의 확장부(31)를 설치하는 경우에, 기포가 모이기 쉬운 형상으로, 모이기 쉬운 개소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부(3)의 네 구석과 변의 중간에, 곡선형의 확장부(31)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기포가 남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부(31) 내의 영역이 시야 범위(W)측이 폭이 좁은 협폭부(31a), 시야 범위(W)와 반대측이 폭이 넓은 광폭부(31b)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협폭부(31a)의 일단은, 시야 범위(W)에 대응하는 영역에 연통하고, 협폭부(31a)의 타단은 광폭부(31b)에 연통해 있다. 이 경우, 협폭부(31a)에 의해서 접착제(R)가 각 확장부(31)로 다량으로 유입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기포(A)는 확장부(31)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제(R)의 공급량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각 확장부(31)로의 유입량의 변동도 적어지기 때문에, 접합 두께의 변동도 적게 할 수 있다. 또, 접착제(R)의 양이 과대인 경우에는, 접착제(R)가 협폭부(31a)로부터 광폭부(31b)로 유입되어,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2) 시일부의 형성 방법은, 스크린 인쇄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판에 의한 전사, 레이저 전사 등에 의해 시일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사에 의한 경우에도, 워크의 전체에 일괄로 시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시일부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시일부의 형성 패턴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수지로서는, 광학 특성이나 재료의 오염 등의 관점에서, 접착제 충전부와 종류는 동일하지만 점도는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시일부를 복수회 중첩되게 형성(인쇄, 전사, 도포 등)함으로써, 높이를 확보하여도 좋다. 이 경우, 형성할 때마다 매회 또는 소정 횟수마다, 경화 처리를 함으로써, 레벨링을 억제할 수 있다.
(3) 확장부의 형성 방법도, 여러 가지의 것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부(3)를 형성할 때에, 디스펜서에 의한 수지의 토출량을 부분적으로 조정하고, 폭의 광협이 생기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시일부(3)의 폭이 좁은 개소를 확장부(31)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의 도포에 의해, 폭이 좁은 시일부(3)를 형성한 후, 그 위에 폭 넓게 수지를 단속적으로 도포함으로써, 폭이 좁은 개소를, 확장부(31)로 할 수 있다. 이것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이 넓은 부분이 내측으로만 돌출하도록 하여, 외측의 소요 스페이스를 절약하더라도 좋다. 또, 도 11~도 13의 형상의 시일부(3)를, 인쇄나 전사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쇄나 전사의 경우, 일괄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중으로 겹쳐서 인쇄나 전사를 함으로써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일부를 형성한 후에, 그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확장부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부(3)의 내연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확장부(31)를 형성할 수 있다. 제거 방법의 하나로서는,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원에 접속된 노즐(N)을 시일부(3)의 내연에 삽입하여, 제거 부분을 흡인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노즐(N)은, 시일부(3)에 삽입되는 선단부에 절결부(h)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인시에 절결부(h)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흡인하기 쉬워진다. 또, 시일부(3)의 일부 제거에 의해 확장부(31)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도 17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폭부(31a)와 광폭부(31b)를 갖도록 형성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제거구, 제거 장치로서는, 그 밖의 양태도 생각할 수 있다. 스포이드, 주걱, 핀, 나이프, 바늘 등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시일부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워크(S1)에 접하는 제거구 등의 부재는, 그 재질이 워크(S1)에 상처를 내지 않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지제 또는 수지에 의한 코팅이 실시된 것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수지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면, PTFE 등을 생각할 수 있다.
(4) 시일부 내로의 접착제의 공급 방법에 관해서도,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련의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접착제(R)를 복수의 선형으로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접착제(R)의 도포선의 폭이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기포가 생기기 쉬운 위치와, 확장부(31)를 대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접착제(R)의 도포선 사이에서의 기포가 발생하기 쉬운 장소에, 확장부(31)가 대응하도록 접착제(R)를 도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포가 확장부(31)로 들어가기까지의 이동 거리가 짧아지고, 택트타임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확장부(31)로 모이는 기포는 작아지기 때문에, 소실되기 쉽다.
기타, 접착제를 롤러에 의해서 도포하는 방법, 고무 롤러에 의해서 도포하는 방법, 스핀 도포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의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또, 접착제로서는, 시일부와 동일한 또는 다른 접착제를 적용할 수 있다.
(5) 시일부, 접착제 충전부에 사용하는 접착제의 종류는, 자외선 경화 수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전자파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나 열경화형 수지 등, 모든 종류의 수지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경화 처리의 방법은, 전자파의 조사, 온도 변경(가열, 냉각), 송풍 등 여러 가지의 것을 적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일부를 가경화시킬 때의 처리도, 수지에 따라서 다르다. 또, 시일부의 가경화에 대해서는, 반드시 행하지 않더라도 좋다.
(6) 시일부가 형성하는 선은, 그 형상은 문제되지 않는다. 사각형, 원형, 타원형, 그 밖의 다각형, 곡선 원형이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크(S1)에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아야 할 영역(Z)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것을 회피하도록, 시일부(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일부를 형성하는 개소는, 접착제의 공급 영역의 외주를 규정하는 선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형이나 도우넛 형상의 디스크의 원주 상과 같이, 공급 영역의 원주를 규정하는 선이더라도 좋다. 내측에 비충전 영역이 있는 경우의 내주선도 포함된다.
(7) 워크의 접합, 수지의 경화 처리에 대해서는, 진공 중에서 행하더라도, 대기 중에서 행하더라도 좋다.
(8) 접합 대상이 되는 워크는, 커버 패널이나 터치 패널과 액정 모듈 또는 액정 모듈을 구성하는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등이 전형적인 예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이 되는 한 쌍의 워크는, 접합면의 적어도 일부에 평탄면을 가지고, 한 쌍의 점착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크기, 형상, 재질 등은 문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 반도체 웨이퍼, 광 디스크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워크의 한쪽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쌍방에 공급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3 : 시일부
4 : 접착제 충전부
31 : 확장부
31a : 협폭부
31b : 광폭부
A : 기포
M : 접합 구조체
R : 접착제
S1, S2 : 워크
W : 시야 범위

Claims (10)

  1. 적어도 일부에 평탄면을 갖는 제1 워크와,
    상기 제1 워크의 평탄면에서의 정해진 영역의 주위에, 상기 평탄면으로부터 융기하도록,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 시일부와,
    상기 시일부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에, 접착제가 충전된 접착제 충전부와,
    상기 접착제 충전부 및 상기 시일부에 대하여 접합된 제2 워크와,
    상기 제1 워크의 평면측에서 보아, 상기 시일부의 내연의 일부가, 상기 정해진 영역의 외측으로 확대된 확장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는, 상기 제1 워크의 평면측에서 보아,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적어도 상기 시일부의 코너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는, 상기 제1 워크의 평면측에서 보아,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적어도 상기 시일부의 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제1 워크의 평면측에서 보아, 상기 시일부의 폭이 좁은 개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시일부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 내의 영역은,
    상기 제1 워크의 평면측에서 보아, 폭이 좁은 협폭부와, 폭이 넓은 광폭부를 가지고,
    상기 협폭부의 일단은, 상기 정해진 영역에 연통하고,
    상기 협폭부의 타단은, 상기 광폭부에 연통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체.
  7. 제1 워크의 평탄면에서의 정해진 영역의 주위에, 상기 평탄면으로부터 융기하도록, 접착제에 의해 시일부를 형성하는 시일부 형성 공정과,
    상기 정해진 영역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 공정과,
    상기 정해진 영역에 공급된 접착제 및 상기 시일부에 대하여, 제2 워크를 접합하는 접합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시일부 형성 공정은, 상기 제1 워크의 평면측에서 보아, 상기 시일부의 내연의 일부를, 상기 정해진 영역의 외측으로 확대시킨 확장부를, 상기 시일부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체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 형성 공정은, 상기 시일부를 폭의 광협이 다른 연속한 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체의 제조 방법.
  9. 제1 워크의 평탄면에서의 정해진 영역의 주위에, 상기 평탄면으로부터 융기하도록, 접착제에 의해 시일부를 형성하는 시일부 형성 공정과,
    상기 제1 워크의 평면측에서 보아, 상기 시일부의 내연의 일부를, 상기 정해진 영역의 외측으로 확대시킨 확장부를 형성하는 확장부 형성 공정과,
    상기 정해진 영역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 공정과,
    상기 정해진 영역에 공급된 상기 접착제 및 상기 시일부에 대하여, 제2 워크를 접합시키는 접합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체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 형성 공정은, 상기 시일부의 일부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20120102011A 2011-09-30 2012-09-14 접합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58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17504 2011-09-30
JP2011217504A JP2013076901A (ja) 2011-09-30 2011-09-30 貼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875A true KR20130035875A (ko) 2013-04-09

Family

ID=4802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011A KR20130035875A (ko) 2011-09-30 2012-09-14 접합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076901A (ko)
KR (1) KR20130035875A (ko)
CN (1) CN103033957A (ko)
TW (1) TW2013143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616A (ko) * 2016-04-15 2017-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판의 접착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디스플레이용 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8088A (ja) * 2014-01-21 2015-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17009662A (ja) * 2015-06-17 2017-01-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566739B2 (ja) * 2015-06-24 2019-08-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5068326B (zh) * 2015-09-01 2017-09-2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基板
JP6723742B2 (ja) * 2015-12-28 2020-07-15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電子装置およ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JP6891499B2 (ja) * 2017-01-10 2021-06-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調光セル
JP7000901B2 (ja) * 2018-02-14 2022-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9405A (ja) * 1993-04-02 1994-10-18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5084324A (ja) * 2003-09-08 2005-03-3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7127739A (ja) * 2005-11-02 2007-05-24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125345B2 (ja) * 2007-09-19 2013-01-23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8203714A (ja) * 2007-02-22 2008-09-04 Fujitsu Ltd パネル積層構造およびパネル積層方法
JP4462317B2 (ja) * 2007-09-28 2010-05-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保護板一体型表示パネル
JP5451015B2 (ja) * 2008-09-12 2014-03-26 協立化学産業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表示パネル
JP5529428B2 (ja) * 2009-03-25 2014-06-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5527650B2 (ja) * 2009-08-31 2014-06-1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074801B1 (ko) * 2009-09-09 2011-10-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KR101146994B1 (ko) * 2010-06-10 2012-05-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616A (ko) * 2016-04-15 2017-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판의 접착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디스플레이용 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4324A (zh) 2013-04-01
CN103033957A (zh) 2013-04-10
JP2013076901A (ja)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5875A (ko) 접합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US876493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at-panel display device and adhesive-resin application apparatus therefor
KR100356772B1 (ko) 기판의 본딩 방법과 본딩 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861734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at-panel display device and bonding press apparatus therefor
US1027476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361907A1 (en) Method for bonding substrates, touch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20130100927A (ko) 투광성 경질 기판 적층체의 제조방법
KR101427845B1 (ko) 패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1004051A1 (zh) 显示模组、显示装置及制备方法
CN103160214A (zh) 贴合器件的制造方法
JP5358847B2 (ja) 板状部材の貼り合せ方法及び貼り合せ装置
KR20160025601A (ko) 유리 패키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유리 패키징 방법
KR102091884B1 (ko) 워크 접합 방법 및 워크 접합 장치
JP5816388B1 (ja) 貼合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貼合デバイスの製造装置
JP5512061B1 (ja) 貼合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3076934A (ja) 貼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627166A (zh) 光學膠、面板以及基板貼合方法
JP2010257208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00430A (ja) 基板の貼り合わせ方法及び貼り合わせ装置
US11090906B2 (e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52050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902524B2 (ja) 基板の貼り合わせ方法及び貼り合わせ装置
TWI494980B (zh)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N107450217B (zh) 衬底基板、衬底基板的制造方法和显示面板的分割方法
JP2008233593A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