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785A -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785A
KR20130035785A KR1020110100319A KR20110100319A KR20130035785A KR 20130035785 A KR20130035785 A KR 20130035785A KR 1020110100319 A KR1020110100319 A KR 1020110100319A KR 20110100319 A KR20110100319 A KR 20110100319A KR 20130035785 A KR20130035785 A KR 20130035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s
menu
group
setting value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7653B1 (ko
Inventor
허정아
박세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653B1/ko
Priority to US13/552,829 priority patent/US20130083219A1/en
Priority to CN201210311545.5A priority patent/CN103037155B/zh
Publication of KR2013003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785A/ko
Priority to US14/656,369 priority patent/US925340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3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interchangeable camera parts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연동되어 변경되는 촬영 설정값들의 변경 과정을 나타내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촬영 설정값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한 화면에서 편리하게 복수의 촬영 설정값들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 촬영 장치,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는 광학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한다. 사용자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영 설정 값 및 촬영 효과 등을 변경하여, 촬영 영상에 원하는 설정 값 또는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최근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는 촬영 설정 값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110434호(특허문헌 1)는 카메라의 촬영 조건 설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촬영 설정값들에 대한 메뉴들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시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촬영 설정값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다이얼 등을 이용해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가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기 위해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고, 해당 메뉴에 해당하는 촬영 설정값을 조절한다.
카메라의 촬영 설정값들은 서로 연동되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리개 우선 모드에서, 사용자가 조리개 값을 조절하는 경우, 셔터스피드 값이 자동으로 함께 변화될 수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본인이 조절하는 촬영 설정값 이외의 촬영 설정값들의 변화를 인지하기 어려워, 사용자가 카메라 조작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있다. 특히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 기술은 빈번하게 연동되어 동작하는 셔터스피드, 조리개 값, 촬상소자 감도(ISO값)와 같은 촬영 설정값들을 단순히 현재 설정값을 표시하는 형태로만 나타내어, 사용자가 어느 촬영 설정값들이 서로 연동되는지, 또한 어느 촬영 설정값들이 서로 연동되어 변화되고 있는지를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보다 쉽게 서로 연동되어 변화되는 촬영 설정값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현재 모드에서 설정 가능한 촬영 설정값들과 설정 불가능한 촬영 설정값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촬영 설정값들을 일괄적으로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리뷰 화면 상에, 일 촬영 설정값의 조절에 따라 다른 촬영 설정값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서로 연동되고,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을 갖는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을 각각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메뉴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되는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되어 변경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변경될 때, 변경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제1 메뉴가 변경되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들은 해당 제1 메뉴에서 설정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복수의 후보 설정값들이 순서대로 나열된 형태로 구성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리뷰 화면 상에 촬영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고, 현재의 촬영 설정값을 나타내며, 격자 형태로 배열된 메뉴들을 제공하는 단계;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메뉴들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없는 상태로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들의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리뷰 화면 상에 촬영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들을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제공부;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들의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는 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UI 제공부는, 프리뷰 화면 상에, 일 촬영 설정값의 조절에 따라 다른 촬영 설정값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서로 연동되고,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을 갖는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을 각각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메뉴들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되는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되어 변경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변경될 때, 상기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변경될 때, 변경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제1 메뉴가 변경되는 과정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들은 해당 제1 메뉴에서 설정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복수의 후보 설정값들이 순서대로 나열된 형태로 구성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리뷰 화면 상에 촬영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고, 현재의 촬영 설정값을 나타내며, 격자 형태로 배열된 메뉴들을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제공부;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들의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는 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UI 제공부는,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메뉴들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없는 상태로 비활성화시키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들의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프리뷰 화면 상에, 일 촬영 설정값의 조절에 따라 다른 촬영 설정값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서로 연동되고,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을 갖는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을 각각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메뉴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되는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되어 변경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변경될 때, 변경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제1 메뉴가 변경되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들은 해당 제1 메뉴에서 설정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복수의 후보 설정값들이 순서대로 나열된 형태로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프리뷰 화면 상에 촬영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고, 현재의 촬영 설정값을 나타내며, 격자 형태로 배열된 메뉴들을 제공하는 단계;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메뉴들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없는 상태로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들의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리뷰 화면 상에,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을 각각 보여주는 복수의 제1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 메뉴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은 순서대로 나열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다 쉽게 서로 연동되어 변화되는 촬영 설정값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현재 모드에서 설정 가능한 촬영 설정값들과 설정 불가능한 촬영 설정값들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촬영 설정값들을 일괄적으로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메뉴 개수 조절부(61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특정 메뉴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는 특정 메뉴를 삭제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은 특정 메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은 메뉴들의 배치 상태를 저장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는 메뉴를 그룹화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c)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는 UI 연동부(1302)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서로 연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촬영부(110),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 메모리(130), 저장/판독 제어부(140), 데이터 저장부(142), 프로그램 저장부(150), 표시 구동부(162), 표시부(164), CPU/DSP(170a), 및 조작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전체 동작은 CPU/DSP(170a)에 의해 통괄된다. CPU/DSP(170a)는 렌즈 구동부(112), 조리개 구동부(115), 촬상 소자 제어부(119) 등에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촬영부(110)는 입사광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의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렌즈(111), 렌즈 구동부(112), 조리개(113), 조리개 구동부(115), 촬상 소자(118),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9)를 포함한다.
렌즈(111)는 복수 군, 복수 매의 렌즈들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111)는 렌즈 구동부(112)에 의해 그 위치가 조절된다. 렌즈 구동부(112)는 CPU/DSP(170a)에서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렌즈(111)의 위치를 조절한다.
조리개(113)는 조리개 구동부(115)에 의해 그 개폐 정도가 조절되며, 촬상 소자(118)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111) 및 조리개(113)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8)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8)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 소자(118)는 촬상 소자 제어부(119)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 소자 제어부(119)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8)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소자(118)의 노광 시간은 셔터(미도시)로 조절된다. 셔터(미도시)는 가리개를 이동시켜 빛의 입사를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촬상 소자(118)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노광을 제어하는 전자식 셔터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 소자(118)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신호는 메모리(130)를 거쳐 CPU/DSP(170a)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130)를 거치지 않고 CPU/DSP(170a)에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130)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메인 메모리로서 동작하고, CPU/DSP(170a)가 동작 중에 필요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아울러,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64)를 포함한다. 표시부(164)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표시부(164)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시부(164)는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표시 구동부(162)는 표시부(164)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CPU/DSP(170a)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CPU/DSP(170a)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정지 영상에 경우,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또한, 동영상을 기록하는 경우,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표준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을 압축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파일은 예를 들면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표준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CPU/DSP(170a)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13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140)에 입력되는데, 저장/판독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한다. 또한 저장/판독 제어부(140)는 데이터 저장부(142)에 저장된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13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표시 구동부(162)에 입력하여 표시부(164)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부(142)는 탈착 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영구 장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PU/DSP(170a)에서는 불선명 처리, 색체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아울러, CPU/DSP(170a)에서는 표시부(164)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상기 CPU/DSP(170a)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어,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CPU/DSP(170a)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리개 구동부(115), 렌즈 구동부(112),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9)에 제공하고, 셔터, 스트로보 등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180)는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조작부(18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8)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줌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타 촬영 설정값 조절 버튼 등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80)는 버튼,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a)는 UI 제공부(192) 및 프리뷰 제공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UI 제공부(19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UI 제공부(192)는 표시부(164)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조작부(18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조작될 수 있다. 조작부(180)를 통한 입력은 예를 들면, 키 입력, 터치스크린 입력, 모션 입력, 및 음성 입력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프리뷰 제공부(194)는 촬영부(110) 및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를 통해 입력된 촬상 신호로부터 프리뷰를 생성하여, 표시부(164)를 통해 프리뷰 화면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영역(AREA1), 제2 영역(AREA2), 제3 영역(AREA3), 및 제4 영역(AREA4)를 포함한다. 제1 영역(AREA1) 및 제2 영역(AREA2)에 각각 격자 형태로 배치된 메뉴들이 배치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PUI)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뉴들이 반투명한 상태로 표시되어, 프리뷰 화면과 메뉴들이 함께 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AREA1)에는 제1 메뉴들이 배치되고, 제2 영역(AREA2)에는 제2 메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메뉴들은 서로 연동되어 변화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을 변경하는 메뉴들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은 셔터스피드, 조리개값, 밝기 보정값, 및 촬상소자 감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 메뉴는 수치적으로 나타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의 후보 설정값들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아날로그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뉴에서 셔터스피드, 조리개 값(예를 들면, F 넘버), 밝기 보정값(예를 들면, EV값), 및 촬상소자 감도(예를 들면, ISO값)가 복수의 후보 설정값들을 나열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은 현재 모드에 따라 서로 연동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이 달라진다. 예를 들면, 조리개 우선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조리개 값을 조절하면 자동으로 셔터스피드가 조절될 수 있고, 사용자가 밝기 보정값을 조절하면 자동으로 셔터스피드가 조절될 수 있다. 셔터스피드 우선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셔터스피드를 조절하면 자동으로 조리개 값이 조절될 수 있고, 사용자가 밝기 보정값을 조절하면 자동으로 조리개 값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제1 메뉴에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의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아날로그적인 형태로 표현하고, 상기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이 변화하는 과정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서로 연동되어 변화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의 변화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특허문헌 1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가 각 촬영 설정값들의 현재 설정값만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연동하여 변화하는 촬영 설정값들을 변화를 쉽게 인지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셔터스피드를 조절하는 동안, 조리개 값이 자동으로 변하고 있는 것을 인지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현재 어떤 촬영 설정값들이 서로 연동되는지, 그리고 본인의 조작에 의해 어떤 촬영 설정값들이 변화되었는지를 인지하지 못한 채로 촬영에 임하게 되어, 본인의 의도에 따라 촬영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어떤 촬영 설정값들이 서로 연동되는지, 그리고 본인의 조작에 의해 어떤 촬영 설정값들이 변화되었는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조작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본인의 의도에 따라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자동적으로 처리하는 동작들을 역동적으로 인지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사용자에게 보다 스마트한 기계라는 인상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메뉴의 촬영 설정값이 변화할 때, 초기값과 최종값 사이의 후보 설정값들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면서 상기 최종값으로 변경되는 과정을 표시하여, 촬영 설정값이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촬영 설정값을 변화시킬 때, 단순히 초기값에서 최종값으로 변경하기만 하면, 사용자는 본인이 조절한 촬영 설정값 이외의 촬영 설정값들은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인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촬영 설정값이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효과를 극대화하여 사용자가 촬영 설정값들이 서로 연동되어 변화하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메뉴들은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의 후보 설정값들 중 일부를 나열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후보 설정값들의 수치를 구체적으로 인지하면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메뉴들은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의 후보 설정값들을 모두 나열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현재 설정 가능한 후보 설정값들의 범위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보 설정값들의 범위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와 결합되는 하드웨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렌즈 교환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와 결합되는 렌즈의 종류에 따라 조리개 값의 후보 설정값들의 범위, 셔터스피드의 후보 설정값들의 범위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제1 메뉴에 제공되는 후보 설정값들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하드웨어의 교체에 따라 후보 설정값들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쉽게 인지하여, 사용자 편의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메뉴들은 선택 가능한 후보 설정값들을 갖는 제2 그룹 촬영 설정값들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들이다. 제2 메뉴들은 현재 설정된 후보 설정값만을 나타내고, 다른 후보 설정값들은 나타내지 않는다. 상기 제2 메뉴들에서 설정하는 촬영 설정값은 예를 들면, 화이트밸런스, 저장 파일 형식, 측광 모드, 자동 초점, 얼굴 인식, 연속 촬영, 손떨림 보정, 스트로보 등일 수 있다.
상기 메뉴들은 현재 설정된 모드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리개 우선 모드에서는 셔터 스피드 설정 메뉴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모드에서 비활성화되는 메뉴는, 활성화된 메뉴보다 흐리게 표시하거나 다른 색조로 표시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메뉴가 비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낸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측광 모드 설정 메뉴(M2)가 비활성화된 경우를 나타내었다.
각 메뉴에 해당하는 촬영 설정값들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촬영 설정값들의 현재 상태를 한 화면에 보여주면서, 동일 화면에서 여러 촬영 설정값들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촬영 설정값들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커서를 이동시켜,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메뉴에 대한 설명이 제3 영역(AREA3)에 나타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토 화이트밸런스 설정 메뉴(M1)를 선택한 경우, 해당 메뉴에 대한 설명(White Balance)과 현재 설정값(Auto)이 제3 영역(AREA3)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제3 영역(AREA3)에 표시된 설명을 참조하여, 선택된 촬영 설정값을 현재 화면에서 바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표시된 프리뷰 화면에 사용자가 변경한 촬영 설정값이 반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리뷰 제공부(194)는 촬영 설정값을 프리뷰 화면에 반영하는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표시부(164)로 프리뷰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4 영역(AREA4)에 타 메뉴로 이동하는 메뉴 버튼(MENU), 현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종료하고 프리뷰 화면만을 표시하도록 하는 종료 버튼(Exit)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제1 메뉴들을 제공한다(S302).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메뉴들은 수치적인 복수의 후보 설정값들이 순서대로 나열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메뉴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한다(S304).
이 때, 사용자가 조절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된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함께 변경된다(S306). 또한 사용자가 조절한 제1 메뉴에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변경되는 과정과, 상기 연동된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변경되는 과정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S308).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변경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메뉴에서 초기값과 최종값 사이의 후보 촬영 설정값들이 차례로 보여지면서 최종값의 상태로 변화하도록 보여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격자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는 방식과, 해당 촬영 설정값들만을 나타내는 상세 화면에서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는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오토 화이트밸런스 설정 메뉴(M1)를 선택하고, 상세 화면으로 진입하도록 입력한 경우, 오토 화이트밸런스의 후보 설정값들을 나타내는 화면(404)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현재 선택한 오토 화이트밸런스의 적용 화면을 보여주는 프리뷰 화면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노출값에 대한 상세 화면(402), 색조에 대한 상세 화면(406), 및 ISO값에 대한 상세 화면(408) 등 다양한 상세 화면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입력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PUI)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조절하고 싶은 메뉴를 탭하거나 일정 시간이상 터치하는 등의 입력을 통해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S502). 다음으로 사용자는 선택한 메뉴를 드래그하는 등의 입력을 통해 해당 메뉴의 촬영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다(S504). 사용자는 해당 메뉴에 대한 설정이 종료된 경우, 다른 메뉴를 선택하거나, 일정 시간이상 어떠한 입력도 하지 않는 등의 동작을 통해 해당 메뉴의 조작을 종료할 수 있다(S506).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S602), 해당 메뉴가 확대되어 보여지고(S604), 사용자의 메뉴 조작이 완료되면(S606), 확대된 메뉴가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한다(S608). 이 때 메뉴를 확대하여 보여주기 위해, 나머지 메뉴들의 배열이 이동될 수 있다(S604 및 S606).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조작하고 싶은 메뉴를 확대해서 볼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메뉴를 조작할 수 있다. 나아가 터치스크린 입력에 의해 메뉴들이 조작되는 경우, 해당 메뉴에 할당된 공간이 협소하여, 사용자가 메뉴를 조작할 때, 사용자가 원치 않는 메뉴들이 조작되는 등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넓은 공간에서 터치스크린 입력을 통해 메뉴를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S702), 선택된 메뉴의 숨겨진 후보 설정값들이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후보 설정값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704). 이 때, 숨겨진 후보 설정값들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다른 메뉴들의 배열이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조절하지 않는 동안은 작은 영역만을 할당하여 현재 설정값을 보여주다가,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하여 조절하는 경우에만 넓은 영역을 할당하고 후보 설정값들을 모두 보여줌으로써, 제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표시부(164) 화면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 인터페이스(PUI)를 터치스크린 입력을 통해 조작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에 할당된 공간이 협소하여, 사용자가 메뉴를 조작할 때, 사용자가 원치 않는 메뉴들이 조작되는 등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넓은 공간에서 터치스크린 입력을 통해 메뉴를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하여 조작할 때 선택 가능한 후보 설정값들을 모두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후보 설정값들 중 하나를 선택할 때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다르면, 현재의 모드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제1 메뉴들이 그룹화되어 제어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스피드와 조리개 값을 조절하는 제1 메뉴들이 그룹화되어 합쳐져서 표시되고, 함께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드에 따라 셔터 스피드 및 조리개 값이 연동되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모드의 경우, 한번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셔터스피드와 조리개 값은 묶여서 조절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셔터스피드와 조리개 값의 조합을 선택하게 된다. 셔터스피드 우선 모드에서는 셔터스피드를 조절하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는 제1 메뉴가 비활성화되고, 셔터스피드를 조절하는 제1 메뉴는 활성화되어, 셔터스피드를 조절하면 조리개 값이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S802). 조리개 우선 모드에서는 셔터스피드를 조절하는 제1 메뉴가 비활성화되고, 조리개 값을 조절하는 제1 메뉴는 활성화되어, 조리개 값을 조절하면 셔터스피드가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S804). 수동 모드에서는 셔터스피드와 조리개 값을 조절하는 제1 메뉴들이 모두 활성화되고, 사용자가 각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S806). 사용자는 셔터스피드를 조절하는 제1 메뉴를 탭핑하거나,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등의 입력을 통해 셔터스피드 우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별도로 할당된 키, 터치 입력 등을 이용하여 수동 모드 및 프로그램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로 연동되어 조절되는 촬영 설정값들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설정값들을 분류하고, 각 분류에 대해 각각 격자 형태로 배열된 메뉴들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리스트 형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A 타입)와 격자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B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설정값들의 분류를 나타내는 탭들(510, 52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탭들(510, 5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메뉴들에 접근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b)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b)는 UI 제공부(192), 메뉴 개수 조절부(610), 메뉴 배치 수정부(620), 메뉴 구성 저장부(630), 및 메뉴 그룹화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메뉴 개수 조절부(610)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격자 형태로 배치된 메뉴들의 최외각의 두 모서리들을 드래그하여 메뉴들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터치스크린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사용자는 격자 형태의 최외각의 두 모서리들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메뉴들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키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사용자는 격자 형태의 최외각의 두 모서리들을 선택하고, 두 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켜 메뉴들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a는 메뉴들이 배치된 격자의 최외각 모서리들 중,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한 두 모서리들(P1 및 P2)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들의 열수를 증가시킨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사용자는 도 11b에 도시된 상태에서, 최외각 모서리들 중, 대각선 방향의 두 모서리들(P3 및 P4)을 선택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태의 메뉴들의 행수와 열수를 모두 증가시킬 수 있다.
메뉴 배치 수정부(6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메뉴의 면적을 변화시키거나, 특정 메뉴를 삭제하거나, 특정 메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는 특정 메뉴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특정 메뉴의 두 모서리들(P5 및 P6)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특정 메뉴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이와 같이 특정 메뉴의 크기를 변경하면, 화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메뉴들의 배치 및 크기도 변경된다.
도 13는 특정 메뉴를 삭제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특정 메뉴를 선택하고, 해당 메뉴를 격자 외부로 이동시키는 제스처에 의해 해당 메뉴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특정 메뉴 내의 어느 지점(P7)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한 지점을 격자 외부로 이동시키는 제스처를 취하여 해당 메뉴를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특정 메뉴 내의 어느 지점(P7)을 클릭한 상태에서, 커서를 격자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조작하여 해당 메뉴를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메뉴를 삭제한 경우, 화면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메뉴들의 배치 및 크기도 변경된다.
도 14은 특정 메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특정 메뉴를 선택하고, 격자 내의 다른 위치로 해당 메뉴를 이동시키는 제스처에 의해 해당 메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특정 메뉴 내의 제1 지점(P8)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한 지점을 격자 내의 제2 위치(P9)로 이동시키는 제스처를 취하여, 해당 메뉴를 상기 제2 위치(P9)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특정 메뉴 내의 제1 지점(P8)을 클릭한 상태에서, 커서를 격자 내의 제2 위치(P9)로 이동시키도록 조작하여, 해당 메뉴를 상기 제2 위치(P9)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메뉴를 이동시킨 경우, 화면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메뉴의 위치가 이동되고, 나머지 메뉴들의 위치가 재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점(P9)에 기존에 배치되었던 메뉴를 제1 위치(P8)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특정 메뉴 주변의 메뉴들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메뉴 구성 저장부(630)는 격자 형태의 메뉴들의 배치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해당 배치 상태에 이름 등의 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5은 메뉴들의 배치 상태를 저장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메뉴들의 배치를 수정한 후, 저장 버튼(Save)을 선택하여 해당 배치를 저장할 수 있다(S1102). 이때 사용자는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해당 배치에 이름 등의 속성을 부여하고 저장할 수 있다(S1104).
메뉴 그룹화부(640)는 격자 형태로 배치된 메뉴들 중 일부를 둘러싸는 루프를 그리는 제스처에 대응하여, 일부 메뉴들을 그룹화한다.
도 16는 메뉴를 그룹화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그룹화하기를 원하는 메뉴들을 둘러싸는 루프를 그리는 제스처를 이용하여, 일부 메뉴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P121 지점, P122 지점, P123 지점, P124 지점, P125 지점, 및 P121 지점을 거치는 루프를 그리는 터치스크린 입력을 통해(S1202), 해당 루프 내의 메뉴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S1204). 복수의 메뉴들이 그룹화되면, 그룹화된 메뉴들은 격자 내의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S1204).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P121 지점, P122 지점, P123 지점, P124 지점, P125 지점, 및 P121 지점을 차례로 선택하는 키 입력을 통해, 루프를 지정하여, 상기 루프 내의 메뉴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c)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PU/DSP(170c)는 UI 제공부(192) 및 UI 연동부(1302)를 포함할 수 있다. UI 연동부(1302)는 디지털 촬영 장치가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었을 때,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격자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다른 전자 장치에 제공하고, 양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로 연동시킨다.
도 18는 UI 연동부(1302)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서로 연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PMP,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1410), 개인용 컴퓨터(4120) 등 다양한 전자 장치와 연동될 수 있다.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다른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 및 상기 전자 장치에 모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디지털 촬영 장치(100) 및 상기 전자 장치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한 경우, 다른 하나에 사용자의 조작이 함께 반영된다. 즉,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서로 연동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부터 프로세서(예를 들면 CPU/DSP(170a))에 의하여 독출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반송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3)

  1. 프리뷰 화면 상에, 일 촬영 설정값의 조절에 따라 다른 촬영 설정값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서로 연동되고,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을 갖는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을 각각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메뉴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되는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되어 변경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변경될 때, 변경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제1 메뉴가 변경되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들은 해당 제1 메뉴에서 설정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복수의 후보 설정값들이 순서대로 나열된 형태로 구성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가 변경되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되는 제1 메뉴의 초기값과 최종값 사이의 후보 설정값들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면서 상기 최종값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표시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들은 상기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이 그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 중 적어도 3개 이상이 보여지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들은 해당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의 전체 후보 설정값들을 보여주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의 전체 후보 설정값들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와 결합되는 렌즈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은, 셔터스피드, 조리개값, 밝기 보정값, 및 촬상소자 감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현재 모드에서 사용자가 조절 불가능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제1 메뉴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없는 상태로 비활성화시켜, 조절 가능한 제1 메뉴들과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선택 가능한 후보 설정값들을 갖는 제2 그룹 촬영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메뉴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뉴들과 제2 메뉴들의 조합을 격자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이 배치된 격자의 최외곽 모서리를 드래그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의 개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선택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의 모서리를 드래그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메뉴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상기 선택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를 제외한 나머지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을 재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선택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를 상기 격자 밖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를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뉴들 및 상기 제2 메뉴들 중 상기 삭제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를 제외한 나머지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을 재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선택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를 격자 상의 다른 위치로 드래그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의 배치에 사용자가 입력한 속성을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일부를 포함하도록 루프 형태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루프 내에 포함된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을 그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메뉴와 인접한 위치에 선택된 메뉴의 후보 설정값들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설정값들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적어도 일부의 격자 배열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메뉴의 후보 설정값들을 표시하는 별개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메뉴에서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의 조합을 격자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메뉴들 중 적어도 두 개를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그룹화된 적어도 두 개의 제1 메뉴들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의 조합이 후보 설정값들로 생성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메뉴들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의 조합이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상기 프리뷰 화면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들은 터치스크린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전자 장치 상에, 상기 제1 메뉴들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제공된 형태와 동일하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상의 상기 메뉴들과, 상기 전자 장치 상의 상기 메뉴들을 연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21. 프리뷰 화면 상에 촬영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고, 현재의 촬영 설정값을 나타내며, 격자 형태로 배열된 메뉴들을 제공하는 단계;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메뉴들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없는 상태로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들의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들은,
    상기 프리뷰 화면 상에 일 촬영 설정값의 조절에 따라 다른 촬영 설정값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서로 연동되고,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을 갖는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을 각각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메뉴들, 및
    복수의 선택 가능한 후보 설정값들을 갖는 제2 그룹 촬영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메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들은 해당 제1 메뉴에서 설정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복수의 후보 설정값들이 순서대로 나열된 형태로 구성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들 중 하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한 제1 메뉴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된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조절된 촬영 설정값을 프리뷰 화면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25. 프리뷰 화면 상에 촬영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들을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제공부;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들의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는 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UI 제공부는,
    프리뷰 화면 상에, 일 촬영 설정값의 조절에 따라 다른 촬영 설정값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서로 연동되고,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을 갖는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을 각각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메뉴들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되는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되어 변경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변경될 때, 상기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변경될 때, 변경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제1 메뉴가 변경되는 과정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들은 해당 제1 메뉴에서 설정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복수의 후보 설정값들이 순서대로 나열된 형태로 구성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부는,
    상기 제1 메뉴가 변경되는 과정을 표시할 때, 상기 변경되는 제1 메뉴의 초기값과 최종값 사이의 후보 설정값들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면서 상기 최종값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들은 상기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이 그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 중 적어도 3개 이상이 보여지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들은 해당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의 전체 후보 설정값들을 보여주는, 디지털 촬영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의 전체 후보 설정값들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와 결합되는 렌즈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은, 셔터스피드, 조리개값, 밝기 보정값, 및 촬상소자 감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부는,
    현재 모드에서 사용자가 조절 불가능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제1 메뉴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없는 상태로 비활성화시켜, 조절 가능한 제1 메뉴들과 다르게 표시하도록 더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3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부는,
    복수의 선택 가능한 후보 설정값들을 갖는 제2 그룹 촬영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메뉴들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메뉴들과 제2 메뉴들의 조합을 격자 형태로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부는,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이 배치된 격자의 최외곽 모서리를 드래그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의 개수를 조절하는 메뉴 개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부는,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선택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의 모서리를 드래그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메뉴의 크기를 변경하고,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상기 선택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를 제외한 나머지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을 재배치하는 메뉴 배치 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부는,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선택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를 상기 격자 밖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메뉴들 및 상기 제2 메뉴들 중 상기 삭제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를 제외한 나머지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을 재배치하는 메뉴 배치 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부는,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선택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를 격자 상의 다른 위치로 드래그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제1 메뉴 또는 제2 메뉴의 위치를 변경하는 메뉴 배치 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부는,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의 배치에 사용자가 입력한 속성을 부여하여 저장하는 메뉴 구성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부는,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일부를 포함하도록 루프 형태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루프 내에 포함된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을 그룹화하는 메뉴 그룹화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39. 제32항에 있어서, UI 제공부는,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메뉴와 인접한 위치에 선택된 메뉴의 후보 설정값들을 표시하고,
    상기 후보 설정값들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적어도 일부의 격자 배열을 이동시키도록 더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40.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부는,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메뉴의 후보 설정값들을 표시하는 별개의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메뉴에서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메뉴들 및 제2 메뉴들의 조합을 격자 형태로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4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부는,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메뉴들 중 적어도 두 개를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된 적어도 두 개의 제1 메뉴들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의 조합이 후보 설정값들로 생성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메뉴들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의 조합이 선택되도록 더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4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상기 프리뷰 화면에 반영하는 프리뷰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4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뉴들은 터치스크린 입력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4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전자 장치 상에, 상기 제1 메뉴들을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제공된 형태와 동일하게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상의 상기 메뉴들과, 상기 전자 장치 상의 상기 메뉴들을 연동시키는 UI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45. 프리뷰 화면 상에 촬영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고, 현재의 촬영 설정값을 나타내며, 격자 형태로 배열된 메뉴들을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 제공부;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들의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는 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UI 제공부는,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메뉴들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없는 상태로 비활성화시키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들의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들은,
    상기 프리뷰 화면 상에 일 촬영 설정값의 조절에 따라 다른 촬영 설정값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서로 연동되고,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을 갖는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을 각각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메뉴들, 및
    복수의 선택 가능한 후보 설정값들을 갖는 제2 그룹 촬영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메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들은 해당 제1 메뉴에서 설정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복수의 후보 설정값들이 순서대로 나열된 형태로 구성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UI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들 중 하나를 조절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한 제1 메뉴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된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더 구성된, 디지털 촬영 장치.
  48. 제45항에 있어서,
    조절된 촬영 설정값을 프리뷰 화면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프리뷰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49.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프리뷰 화면 상에, 일 촬영 설정값의 조절에 따라 다른 촬영 설정값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서로 연동되고,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을 갖는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을 각각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메뉴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되는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되어 변경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변경될 때, 변경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제1 메뉴가 변경되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메뉴들은 해당 제1 메뉴에서 설정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복수의 후보 설정값들이 순서대로 나열된 형태로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50.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은,
    프리뷰 화면 상에 촬영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고, 현재의 촬영 설정값을 나타내며, 격자 형태로 배열된 메뉴들을 제공하는 단계;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메뉴들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없는 상태로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들의 촬영 설정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51. 프리뷰 화면 상에, 복수의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을 각각 보여주는 복수의 제1 메뉴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 메뉴 아이템에 대응하는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제1 그룹 촬영 설정값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치적인 후보 설정값들은 순서대로 나열되어 표시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이 변경되는 과정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제1 그룹 촬영 설정값의 변경 이전 값과 변경 이후 값 사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KR1020110100319A 2011-09-30 2011-09-30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1817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319A KR101817653B1 (ko) 2011-09-30 2011-09-30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13/552,829 US20130083219A1 (en) 2011-09-30 2012-07-19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201210311545.5A CN103037155B (zh) 2011-09-30 2012-08-29 数字拍摄设备及其控制方法
US14/656,369 US9253407B2 (en) 2011-09-30 2015-03-12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319A KR101817653B1 (ko) 2011-09-30 2011-09-30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785A true KR20130035785A (ko) 2013-04-09
KR101817653B1 KR101817653B1 (ko) 2018-01-12

Family

ID=4799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319A KR101817653B1 (ko) 2011-09-30 2011-09-30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130083219A1 (ko)
KR (1) KR101817653B1 (ko)
CN (1) CN1030371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992A (ko) * 2018-09-11 2020-03-1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자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1286B2 (ja) * 2010-01-04 2013-01-30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970937B2 (ja) * 2012-04-25 2016-08-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9747014B2 (en) * 2013-02-05 2017-08-2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 slider interface element
US10943062B2 (en) * 2013-02-26 2021-03-09 Aniya's Productio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of implementing business card application
KR102063915B1 (ko) 2013-03-14 2020-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40281966A1 (en) * 2013-03-15 2014-09-18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133529B1 (ko) * 2013-07-16 202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필터 정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영상 장치
KR20150019710A (ko) * 2013-08-14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210795B2 (ja) * 2013-08-20 2017-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46853B1 (ko) * 2013-12-27 2020-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385154B2 (ja) * 2014-06-19 2018-09-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設定装置、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D769927S1 (en) * 2014-08-29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0765S1 (en) * 2014-08-29 2016-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6448334B2 (ja) * 2014-12-02 2019-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6571941B2 (ja) * 2015-02-04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5847670B (zh) 2015-02-04 2019-06-21 佳能株式会社 电子设备、摄像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60105203A (ko)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코덱, 상기 멀티미디어 코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USD790561S1 (en) * 2016-04-13 2017-06-27 Under Armour,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4587S1 (en) * 2016-04-13 2018-11-27 Under Armour,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8130S1 (en) * 2016-04-13 2017-05-30 Under Armour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7224939A (ja) * 2016-06-14 2017-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D809005S1 (en) * 2016-07-01 2018-01-3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JP1589999S (ko) * 2016-12-28 2017-11-06
JP1590263S (ko) 2016-12-28 2017-11-06
WO2018150960A1 (ja) * 2017-02-17 2018-08-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と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GB201708572D0 (en) * 2017-05-30 2017-07-12 Expodo Ltd Image capture
JP6976750B2 (ja) * 2017-07-04 2021-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操作装置、光学装置、および撮像装置
EP3454545A1 (en) * 2017-09-04 2019-03-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WO2020018592A1 (en) * 2018-07-17 2020-01-23 Methodical Mind, Llc.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US11474838B2 (en) * 2018-10-31 2022-10-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odifying content interface based upon level of activity
CN111316635B (zh) * 2019-03-12 2022-01-2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相机控制方法及装置
US11134185B2 (en) 2019-04-01 2021-09-28 Grass Valley Canada System and method of partial matching of control settings across camera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9690B2 (ja) * 2003-10-01 2007-08-1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7110434A (ja) 2005-10-13 2007-04-26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の撮影条件設定装置、カメラ、カメラの撮影条件設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7509588B2 (en) *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CN101141569B (zh) * 2006-09-04 2010-11-17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一种可通过快速切换不同拍摄参数的组合以进行拍摄图像的方法
JP4859600B2 (ja) * 2006-09-13 2012-01-25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8072491A (ja) * 2006-09-14 2008-03-27 Sony Corp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設定内容を表示し、変更する方法
DE112007003553B4 (de) * 2007-07-02 2018-09-13 Trimble Jena Gmbh Merkmalsdetek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Messen von Objektabständen
JP4845832B2 (ja) * 2007-08-07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381138B2 (ja) 2009-02-09 2014-01-08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129181B2 (ja) 2009-03-02 2013-01-23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操作制御装置、カメラ、操作制御方法および操作制御用プログラム
JP2011028560A (ja) * 2009-07-27 2011-02-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US8558936B2 (en) * 2009-08-28 2013-10-15 Panasonic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KR101632748B1 (ko) 2009-09-24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맞춤형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457217B2 (ja) * 2010-02-02 2014-04-02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
KR101761612B1 (ko) * 2010-07-16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992A (ko) * 2018-09-11 2020-03-1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자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US11509829B2 (en) 2018-09-11 2022-11-22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83219A1 (en) 2013-04-04
KR101817653B1 (ko) 2018-01-12
US9253407B2 (en) 2016-02-02
CN103037155A (zh) 2013-04-10
US20150189189A1 (en) 2015-07-02
CN103037155B (zh)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653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1608556B1 (ko) 정보 표시 장치 및 정보 표시 방법
CN103167233B (zh) 显示设备和方法
CN104322050B (zh) 电子相机、图像显示装置和记录介质
WO2015030126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120122677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디지털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201300690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US20140362252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8561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composition database by using composition pattern of user,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CN113923350A (zh) 视频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9172860B2 (en) Computational camera and method for setting multiple focus planes in a captured image
JPH1031344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1136862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exposure of region having different brightness
JP2023164919A (ja) 映像作成方法
KR10181765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1101003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related-item plate which includes setting items whose functions are related to a designated setting item
CN107295247B (zh) 图像记录装置及其控制方法
US8854522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1442611B1 (ko) 복수의 레이어들을 중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50146072A1 (en) Image focusing
JP2013081110A (ja) 撮像装置
KR20130024021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883769B1 (ja) 電子機器
JP2017055158A (ja)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撮像制御プログラム
JP2016062267A (ja) 表示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