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021A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021A
KR20130024021A KR1020110087193A KR20110087193A KR20130024021A KR 20130024021 A KR20130024021 A KR 20130024021A KR 1020110087193 A KR1020110087193 A KR 1020110087193A KR 20110087193 A KR20110087193 A KR 20110087193A KR 20130024021 A KR20130024021 A KR 20130024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estination point
digital signal
enlargement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2656B1 (ko
Inventor
장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7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656B1/ko
Priority to US13/551,045 priority patent/US9261771B2/en
Priority to CN201210315277.4A priority patent/CN102970476B/zh
Publication of KR20130024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2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with scanning movement of lens or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2Signal amplitude transition in the zone between image portions, e.g. soft e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5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5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 H04N5/2627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for providing spin image effect, 3D stop motion effect or temporal freeze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노라마 영상 디스플레이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연속 영상 내에서 임의의 목적지점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확대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해진 비율의 화면에서 좌우 또는 상하가 긴 영상을 확인하기 어려울 때 어떤 영상인지 손쉽게 구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부분을 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확대 디스플레이 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자의 만족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파노라마 영상 디스플레이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는 통상의 각도보다 넓은 각도로 영상을 촬영하는 파노라마 촬영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촬영된 파노라마 영상은 통상 디스플레이 화면보다 좌우로 길거나 상하로 길어 키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스크롤 하여 슬라이드 형식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영상 내의 피사체들간 중요도와는 상관없이 전체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구별하기 힘든 파노라마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촬영된 파노라마 영상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연속 영상 내에서 임의의 목적지점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확대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크기만큼 단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목적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일한 목적지점 터치 횟수만큼 단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임의의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목적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확대 중에 조절 신호를 수신하여 확대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확대 중에 목적지점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경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확대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확대 결과를 디스플레이 한 후, 상기 확대 전 초기 연속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연속된 영상 내에서 임의의 목적지점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확대하는 확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대 중에 목적지점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확대부로 출력하는 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대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연속 영상 내에서 임의의 목적지점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을 확대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대 중에 조절 신호를 수신하여 확대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대 중에 목적지점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경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을 확대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대 결과를 디스플레이 한 후, 상기 확대 전 초기 연속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크기만큼 단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목적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일한 목적지점 터치 횟수만큼 단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의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목적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해진 비율의 화면에서 좌우 또는 상하가 긴 영상을 확인하기 어려울 때 원하는 구간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촬영된 파노라마 영상 식별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를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도 1 중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가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지점을 확대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 중 디지털 신호 처리부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확대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 중 디지털 신호 처리부가 사용자가 변경한 목표 지점을 확대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7은 도 6 중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8은 도 6 중 버튼 입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를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1에서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예로 디지털 카메라(100)를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촬영 장치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00)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 DSLR), 하이브리드 카메라(hybrid camera) 외에도 다양한 디지털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작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피사체로부터의 광속은 촬상부(110)의 광학계인 줌 렌즈(111) 및 포커스 렌즈(113)를 투과하고, 조리개(115)의 개폐 정도에 따라 그 광량이 조정된 후, 촬상 소자(117)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이 결상된다. 촬상 소자(117)의 수광면에 결상되는 상은 광전 변환 처리에 의하여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촬상 소자(117)로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리개(115)는 통상 상태 또는 릴리스 버튼을 반쯤 눌러 형성된 첫 번째 릴리스 신호를 받고 행해지는 오토포커싱 알고리즘 실행시에는 개방 상태가 되고, 상기 릴리스 버튼을 지그시 눌러 형성된 두 번째 릴리스 신호를 받아 노출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줌 렌즈(111) 및 포커스 렌즈(113)는 각각 줌 렌즈 구동부(112) 포커스 렌즈 구동부(113)에 의해 그 위치 등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광각(wide angle)-줌 신호가 발생하면 줌 렌즈(111)의 포커스 거리(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신호가 발생하면 줌 렌즈(111)의 포커스 거리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줌 렌즈(111)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113)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은 포커스 렌즈(113)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조리개(115)는 조리개 구동부(114)에 의해 개방 정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 소자(117)도 촬상 소자 제어부(118)에 의해 감도 등이 제어된다.
이들 줌 렌즈 구동부(112), 포커스 렌즈 구동부(114), 조리개 구동부(116),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8)는 노출 정보, 초점 정보 등을 기준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에서 연산된 결과에 따라 해당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그리고 영상 신호 형성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면, 촬상 소자(121)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 출력된다. 영상 신호 처리부(120)에서는 촬상 소자(117)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각종의 화상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에 임시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영상 신호 처리부(120)는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오토 화이트 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감마 코렉션(Gamma Correction)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여 화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화질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30)에서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기억부(130)는 전원의 공급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프로그램 기억부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영상 데이터와 그 밖에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주기억부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그램 기억부에는 디지털 카메라(100)를 작동하는 운영 프로그램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 기억부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에 따라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각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연속 영상 내에서 임의의 목적지점이 설정되면, 설정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확대 디스플레이 하는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기억부에 저장되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의 제어 하에 동작할 수 있다.
주기억부는 영상 신호 처리부(120) 또는 보조 기억부(140) 등으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임시로 저장한다.
상기 주기억부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동작하도록 전원이 공급되는 것과 별개로, 전원부(160)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0)가 부팅을 빨리 하도록 미리 프로그램 기억부에 저장된 코드를 주기억부에 복사 및 실행 가능한 코드로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를 재 부팅하는 경우 상기 주기억부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빨리 읽어 올 수 있다.
주기억부에 저장된 영상 신호는 표시 구동부(155)로 출력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는 것과 동시에 표시 출력하는데 있어서 최적인 형태의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변환된 상기 영상 신호는 표시부(150)에 디스플레이 되어 소정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 질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촬영 모드를 진행하는 동안에 촬상 소자(117)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연속적으로 표시하여 촬영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뷰 파인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표시부(150)로 액정 표시장치(LCD), 유기 발광 표시장치(OLED), 전기 영동 표시장치(EDD) 등 다양한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표시부(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조작부(170)와 함께 사용자 조작 신호를 터치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에 임시 저장되고, 이때 보조 기억부(140)에는 상기 영상 신호뿐만 아니라 상기 영상 신호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된 영상 신호와 정보는 압축/신장부(145)에 출력된다. 압축/신장부(1450)에서는 압축 회로에 의해 저장을 위한 최적의 형태로 압축 처리 즉, JPEG과 같은 부호화 처리가 행해져 이미지 파일을 형성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은 보조 기억부(140)에 저장된다.
보조 기억부(140)로 외장형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고정형의 반도체 메모리나, 카드 형상이나 스틱 형상으로 되고 장치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가능한 카드형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 외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기억 매체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보조 기억부(140)에 압축되어 기록된 이미지 파일은 압축/신장부(145)에 출력되고 신장 회로에 의해 신장 처리, 즉 복호화 처리가 행해져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영상 신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로 출력된다. 상기 영상 신호는 기억부(130)에 임시 저장된 후, 표시 구동부(155)를 통해 표시부(150)에서 소정의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사용자 등의 외부 신호를 입력 받는 조작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170)로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21)에 빛에 노출하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 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할 수 있는 방향 키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이 있다.
또한, 플래시(181) 및 상기 플래시(181)를 구동하는 플래시 구동부(182)를 포함한다. 플래시(181)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피사체를 밝게 해주는 발광 장치이다.
스피커(183) 및 램프(185) 각각은 음성 신호 및 빛의 신호를 출력하여 디지털 카메라(100)의 동작 상태 등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수동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 변수를 설정한 시점과 촬영하고자 하는 시점의 촬영 조건이 변경된 경우, 이를 알리는 알림 신호를 상기 스피커(183) 또는 램프(185)를 통해 경고음, 또는 광 신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83)는 스피커 구동부(184)에 의해 음성의 종류, 음성 크기 등이 제어되며, 램프(185)는 램프 구동부(186)에 의해 발광 여부, 발광 시간, 발광 종류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기억부(130)에 저장된 운용 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 처리하고, 상기 연산 결과를 임시 저장하며, 상기 연산 결과에 따라 해당 구성부를 제어하여 상기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00)가 동작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연속 영상 내에서 임의의 목적지점이 설정되면, 설정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 디스플레이 한다.
이하,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 중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상세 블록도로서, 목적지점 설정부(210), 확대부(220), 속도 조절부(230) 및 목적지점 변경부(24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목적지점 설정부(21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연속 영상 즉,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 임의의 목적지점을 설정한다. 파노라마 영상처럼 좌우가 길거나, 상하가 긴 영상을 정해진 비율의 표시부(150)에 전체 표시할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별하기 힘든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 확대하고자 하는 목표지점을 설정한다.
목표지점을 설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하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표시부(150)를 터치하여 목적지점을 설정하는 것이다. 도 3(a-1)에는 좌/우로 긴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 터치에 의해 임의의 목적지점을 설정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a-2)에는 상/하로 긴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 터치에 의해 임의의 목적지점을 설정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표시부(150)의 터치 신호를 목적지점 설정부(210)가 수신하여 해당 좌표를 추출해 냄으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하나는 터치스크린이 아닌 일반 표시부(150)에서, 조작부(170)에 포함된 임의의 버튼(이하 편의상 좌/우/상/하/OK 버튼 중 어느 하나로 표기함)을 입력하여 목적지점을 설정하는 것이다. 도 3(f-1)에는 좌/우로 긴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 OK 버튼 입력에 의해 목적지점을 설정한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f-2)에는 상/하로 긴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 OK 버튼 입력에 의해 목적지점을 설정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OK 버튼이 입력되면, 표시부(150) 중심을 기본으로 하여 목적지점이 설정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지점이 중심이 아닌 경우, 목표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OK 버튼을 2회 입력하면, 표시부(150)에 활성창 또는 포인터가 표시되고, 상/하/좌/우 버튼을 입력하여 원하는 목표지점으로 활성창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킨 후 다시 OK 버튼을 입력하면, 최종 OK 버튼이 입력된 지점이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지점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활성창 또는 포인터의 위치 신호를 목적지점 설정부(210)가 수신하여 해당 좌표를 추출해 냄으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확대부(220)는 목적지점 설정부(210)가 수신한 설정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 디스플레이 한다. 확대부(220)는 줌 렌즈(111) 및 줌 렌즈 구동부(112)를 제어하는데, 구체적으로, 망원(telephoto)-줌 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여 줌 렌즈(111)의 포커스 거리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지도록 하여 영상을 확대 한다.
확대부(200)는 도 3b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표시부(150) 내에서 단계적으로 자동 확대를 수행하며, 표시부(150)의 크기만큼 최대한 확대 가능하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확대 단계를 3단계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이상일 수 있다. 수동 확대의 경우, 사용자가 표시부(150)를 터치할 때마다 단계적으로 확대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표시부(150)의 크기를 넘어 디지털 카메라(100)가 지원 가능한 크기만큼 확대할 수도 있다.
확대부(200)는 도 3g 내지 도 3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화면으로 구성된 표시부(150) 내에서 단계적으로 자동 확대를 수행하며, 표시부(150)의 크기만큼 최대한 확대 가능하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확대 단계를 3단계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이상일 수 있다. 수동 확대의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좌/우/상/하/OK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할 때마다 단계적으로 확대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표시부(150)의 크기를 넘어 디지털 카메라(100)가 지원 가능한 크기만큼 확대할 수도 있다. 확대가 완료되면, 도 3e 및 도 3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초기 파노라마 영상 화면으로 되돌아 간다.
속도 조절부(230)는 영상 확대 중에 또는 영상 확대 시에 조절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확대 속도를 조절한다. 도 4a 및 도 4f에서는 현재 확대 동작이 수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4b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표시부(150) 내에서 영상 확대 중에 사용자가 상/하 터치를 수행하여 확대 속도가 조절됨을 보여주고 있다. 도 4b는 가로 영상에 대한 일 예이며, 세로 영상에 대해서는 좌/우 터치를 수행하여 확대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g는 일반 화면으로 구성된 표시부(150) 내에서 영상 확대 중에 사용자가 단계적으로 상/하 버튼 입력을 수행하여 자동 확대를 수행하여 확대 속도가 조절됨을 보여주고 있다. 도 4g는 가로 영상에 대한 일 예이며, 세로 영상에 대해서는 상/하 버튼 입력을 통하여 확대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c 및 도 4h는 속도 조절을 수행하여 최종 확대에 이른 영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확대가 완료되면, 도 4d 및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초기 파노라마 영상 화면으로 되돌아 간다.
목적지점 변경부(240)는 영상 확대 중에 또는 영상 확대 시에 목적지점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확대부(220)로 출력하여 수신하여, 변경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도 5a에는 좌/우로 긴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 좌/우터치에 의해 임의의 목적지점을 설정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5f에는 좌/우로 긴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 좌/우 방향 버튼 입력에 의해 임의의 목적지점을 설정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하로 긴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는 상/하 터치에 의해 임의의 목적지점을 설정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표시부(150)가 일반적인 경우, 상/하 버튼 입력에 의해 임의의 목적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b에는 설정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영상 확대 중에 사용자가 좌/우 터치를 수행하여 목적지를 변경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5g에는 설정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영상 확대 중에 사용자가 좌/우 방향키를 입력하여 목적지를 변경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하로 긴 파노라마 영상 내에서는 상/하 터치에 의해 목적지점을 변경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표시부(150)가 일반적인 경우, 상/하 버튼 입력에 의해 목적지점을 변경할 수 있다.
도 5c 및 도 5h에는 변경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고, 확대가 완료되면, 도 5d 및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초기 파노라마 영상 화면으로 되돌아 간다.
이와 같이, 정해진 비율의 표시부(150)에서 좌우 또는 상하가 긴 영상을 확인하기 어려울 때 확대 디스플레이 기능을 통하여 어떤 영상인지 손쉽게 구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부분을 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확대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 사용자자의 만족도를 상승시킨다.
다음에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파노라마 영상 전체를 디스플레이 한다(601단계). 이는 도 3a-1, 도 3a-2, 도 3f-1 또는 도 3f-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긴 영상이거나 세로로 긴 영상일 수 있다.
이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점 설정 신호를 수신한다(603단계). 목적지점 설정신호는 터치 신호이거나 좌/우/상/하/OK 버튼 중 어느 한 버튼의 입력 신호일 수 있다.
목적지점 설정이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설정된 목적지점를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한다(605단계).
영상 확대 중에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상/하 조작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607단계), 수신된 경우, 영상 확대 속도를 조절한다(609단계). 가로 파노라마 영상의 경우 상/하 조작신호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세로 파노라마 영상의 경우 좌/우 조작 신호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확대 중에 또는 영상 확대 속도가 조절된 후에,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좌/우 조작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611단계), 수신된 경우 변경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한다(613단계). 가로 파노라마 영상의 경우 좌/우 조작신호로 목적지점을 변경할 수 있고, 세로 파노라마 영상의 경우 상/하 조작 신호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영상 확대 속도가 조절된 상태로 또는 목적지점이 변경된 상태로 영상을 확대하고 완료한다(615단계).
영상 확대가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파노라마 영상 전체가 디스플레이된 초기 화면 상태로 되돌아 간다(617단계).
도 7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파노라마 영상 전체를 디스플레이 한다(701단계). 이는 도 3a-1 또는 도 3a-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긴 영상이거나 세로로 긴 영상일 수 있다.
이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사용자가 터치한 목적지점 설정 신호를 수신한다(703단계).
목적지점 설정이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설정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한다(705단계).
영상 확대 중에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상/하 드래그 터치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707단계), 수신된 경우, 영상 확대 속도를 조절한다(709단계). 가로 파노라마 영상의 경우 상/하 드래그 터치 신호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세로 파노라마 영상의 경우 좌/우 드래그 터치 신호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확대 중에 또는 영상 확대 속도가 조절된 후에,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좌/우 드래그 터치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711단계), 수신된 경우 변경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한다(713단계). 가로 파노라마 영상의 경우 좌/우 드래그 터치 신호로 목적지점을 변경할 수 있고, 세로 파노라마 영상의 경우 상/하 드래그 터치 신호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영상 확대 속도가 조절된 상태로 또는 목적지점이 변경된 상태로 영상을 확대하고 완료한다(715단계).
영상 확대가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파노라마 영상 전체가 디스플레이된 초기 화면 상태로 되돌아 간다(717단계).
도 8은 버튼 입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파노라마 영상 전체를 디스플레이 한다(801단계). 이는 도 3f-1 또는 도 3f-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긴 영상이거나 세로로 긴 영상일 수 있다.
이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좌/우/상/하/OK 버튼 중 어느 한 버튼 신호를 수신하여 목적지점을 설정한다(803단계).
목적지점 설정이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설정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한다(805단계).
영상 확대 중에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상/하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807단계), 수신된 경우, 영상 확대 속도를 조절한다(809단계). 가로 파노라마 영상의 경우 상/하 버튼 입력 신호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세로 파노라마 영상의 경우 좌/우 버튼 입력 신호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확대 중에 또는 영상 확대 속도가 조절된 후에,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좌/우 버튼 입력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811단계), 수신된 경우 변경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영상을 확대한다(813단계). 가로 파노라마 영상의 경우 좌/우 버튼 입력 신호로 목적지점을 변경할 수 있고, 세로 파노라마 영상의 경우 상/하 버튼 입력 신호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영상 확대 속도가 조절된 상태로 또는 목적지점이 변경된 상태로 영상을 확대하고 완료한다(815단계).
영상 확대가 완료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파노라마 영상 전체가 디스플레이된 초기 화면 상태로 되돌아 간다(817단계).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디지털 카메라 110 촬상부
120 영상 신호 처리부 130 기억부
140 보조 기억부 150 표시부
160 전원부 170 조작부
200 디지털 신호 처리부 210 목적지 설정부
220 확대부 230 속도 조절부
240 목적지 변경부

Claims (19)

  1. 적어도 둘 이상의 연속 영상 내에서 임의의 목적지점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을 확대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크기만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목적지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동일한 목적지점 터치 횟수만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임의의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목적지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확대 중에 조절 신호를 수신하여 확대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확대 중에 목적지점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경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확대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확대 결과를 디스플레이 한 후, 상기 확대 전 초기 연속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연속된 영상 내에서 임의의 목적지점을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확대하는 확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중에 목적지점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확대부로 출력하는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2. 적어도 둘 이상의 연속 영상 내에서 임의의 목적지점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을 확대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중에 조절 신호를 수신하여 확대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중에 목적지점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경된 목적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을 확대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결과를 디스플레이 한 후, 상기 확대 전 초기 연속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크기만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목적지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동일한 목적지점 터치 횟수만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임의의 버튼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목적지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10087193A 2011-08-30 2011-08-3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12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193A KR101812656B1 (ko) 2011-08-30 2011-08-3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3/551,045 US9261771B2 (en) 2011-08-30 2012-07-17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displaying panoramic imag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210315277.4A CN102970476B (zh) 2011-08-30 2012-08-30 用于显示全景图像的数字拍摄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193A KR101812656B1 (ko) 2011-08-30 2011-08-3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021A true KR20130024021A (ko) 2013-03-08
KR101812656B1 KR101812656B1 (ko) 2017-12-27

Family

ID=4774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193A KR101812656B1 (ko) 2011-08-30 2011-08-30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61771B2 (ko)
KR (1) KR101812656B1 (ko)
CN (1) CN1029704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5780A1 (en) * 2014-06-06 2015-12-10 Htc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intuitively refocusing images
CN108881720A (zh) * 2018-06-29 2018-11-23 广州盈可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画面获取输出方法、装置、服务器及一种实训一体机
JP6679784B2 (ja) * 2019-03-12 2020-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988B1 (ko) 1997-09-03 2006-08-28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사진화상 재생기능을 갖는 전자 스틸 카메라
EP0935878B1 (en) 1997-09-03 2011-09-28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still camera having photographed image reproducing function
JP4340358B2 (ja) * 1999-08-02 2009-10-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撮影装置
JP4144555B2 (ja) * 2003-06-09 2008-09-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37725A (ko) * 2003-10-20 2005-04-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장치에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사용한 휴대용 디지털 장치
JP4975592B2 (ja) * 2007-11-19 2012-07-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100027686A (ko) *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4715909B2 (ja) * 2008-12-04 2011-07-0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並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093784B2 (ja) * 2009-12-11 2012-12-12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526921B2 (ja) * 2010-03-29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5494337B2 (ja) * 2010-07-30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50404A1 (en) 2013-02-28
US9261771B2 (en) 2016-02-16
KR101812656B1 (ko) 2017-12-27
CN102970476B (zh) 2018-01-16
CN102970476A (zh)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6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4288612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509081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プログラム
JP201812561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00026873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es,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encoded with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method(s)
JP2010103676A (ja) 撮像装置、撮像領域表示方法および撮像領域表示プログラム
CN113395421B (zh) 图像处理设备、摄像设备、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2013098862A (ja) 携帯機器
JP7049163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389342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00018335A (ko) 썸네일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촬영 장치
JP674646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81265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463612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019414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electing operation mode based on reference photographing setting
KR20090059512A (ko) 렌즈부 셰이딩 현상을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218168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30092213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320251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164192A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095303A (ko) 리소스 변경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7293040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20230239564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JPH08137575A (ja) 画像入力システム
JP5686869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