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808A -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808A
KR20130033808A KR1020110097727A KR20110097727A KR20130033808A KR 20130033808 A KR20130033808 A KR 20130033808A KR 1020110097727 A KR1020110097727 A KR 1020110097727A KR 20110097727 A KR20110097727 A KR 20110097727A KR 20130033808 A KR20130033808 A KR 20130033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connection
connection pad
semiconductor chip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7162B1 (ko
Inventor
이상민
김병찬
윤경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7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1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1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10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11Additional leads joined to the metallisation on the insulating substrate, e.g. pins, bumps, wires, flat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50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assemblies consisting of devices, each device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or H01L29/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16237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to a bonding area disposed in a recess of the surface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01L2224/48228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the bond pad being disposed in a recess of the surface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10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100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1011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 H01L2225/1017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the lowermost container comprising a device support
    • H01L2225/102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the lowermost container comprising a device support the support being an insulating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10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100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1011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 H01L2225/1047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containers
    • H01L2225/1058Bump or bump-like electrical connections, e.g. balls, pillars, po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10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100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1011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 H01L2225/1076Shape of the containers
    • H01L2225/1082Shape of the containers for improving alignment between containers, e.g. interlocking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05K2201/042Stacked spaced PCBs; Planar parts of folded flexible circuits having mounted components in between or spaced from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8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paralle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07Surface contacts, e.g. bumps
    • H05K3/4015Surface contacts, e.g. bumps using auxiliary conductive elements, e.g. pieces of metal foil, metallic spher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일면에 복수 개의 제1접속패드를 갖는 제1패키지와, 일면에는 상기 제1접속패드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2접속패드 및 상기 제2접속패드 상에 형성된 접속핀을 갖는 제2패키지 및 상기 접속핀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패드와 제2접속패드에 접합되는 솔더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패키징(packaging)이라 함은 회로가 설계된 반도체칩에 전기적인 연결을 해주고, 외부의 충격에 견디게끔 밀봉 포장해주어 비로소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물리적인 기능과 형상을 갖게 해주는 것이다.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칩을 최종 제품화하는 반도체 패키징 공정의 결과물이다. 웨이퍼 한 장에는 동일한 전기회로가 인쇄된 칩이 수십 내지 수백 개까지 높일 수 있으나, 반도체칩 자체만으로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전기 신호를 전달해 주거나 전달받을 수 없다.
또한, 반도체칩은 미세한 회로를 담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쉽게 손상될 수 있다. 결국 반도체칩 자체로는 완전한 제품일 수 없고,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야 완전한 제품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반도체칩의 크기 축소, 열 방출 능력 및 전기적 수행능력 향상, 신뢰성 향상, 그리고 가격 저하 등이 패키징 기술에 좌우된다. 따라서, 반도체 디바이스의 고집적화와 고성능화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패키징 능력 향상을 요구하게 되었다.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 장치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것은 물론, 그와 더불어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다음 영역에서 일어나는 조건에도 적합한 패키지 성능을 갖추어야만 한다.
최근 휴대용 전자제품이 소형화하면서 반도체가 실장될 공간은 더욱 줄어들고, 제품은 더욱 다기능화하고 고성능화되기 때문에 이를 뒷받침해 줄 반도체의 개수는 늘어나는 추세이다. 멀티미디어의 발전과 컴퓨터 통신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반도체칩에 대한 소형화, 대용량화 및 고속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도 박형화, 다핀화하는 고집적화 추세로 기술개발이 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단위 체적당 실장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패키지는 경박단소화의 추세를 따라야 한다. 이에 따라, 칩 크기와 거의 같은 크기의 패키지인 CSP(Chip Scale Package)가 나타났다. 최근의 패키지 개발 추세는 칩의 크기에 맞게 줄이는 것을 넘어서, 스택 패키지(SCSP:Stacked CSP)처럼 칩 위에 또 칩을 올려 쌓아 올리거나 기능이 다른 여러 개의 반도체칩을 하나의 패키지 안에 배열하는 MCM(Multi Chip Moudle) 패키지 등도 개발되었다.
스택 패키지 중에서 패키지 위에 패키지를 쌓는 패키지 온 패키지(Package On Package:POP)가 고밀도 패키지를 위한 대안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패키지 온 패키지(POP) 구조가 국내공개특허 제2001-005693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패키지 온 패키지(POP) 구조는 볼 패드의 미세 피치화(fine pitch) 즉, 볼 패드 간의 간격에 좁아짐에 따라 솔더 퍼짐에 의해 인접 패드와의 단락(short) 문제 등으로 인하여 패키지 조립이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상부 패키지와 하부 패키지 간의 간격 최소 250㎛ 이상 확보하여야 하므로, 솔더볼 사이즈를 줄이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솔더(solder) 퍼짐에 의한 단락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부 패키지와 하부 패키지 간의 높이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부 패키지와 하부 패키지의 접합 얼라인먼트(alignment)가 향상된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파인 패드 피치(fine pad pitch) 특성을 만족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일면에 복수 개의 제1접속패드를 갖는 제1패키지와, 일면에는 상기 제1접속패드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2접속패드 및 상기 제2접속패드 상에 형성된 접속핀을 갖는 제2패키지 및 상기 접속핀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패드와 제2접속패드에 접합되는 솔더층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접속핀은 헤드부 및 일단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돌출된 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는 원반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축부의 일단 및 타단의 직경은 중심단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키지의 타면에 실장되는 제1반도체칩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패키지의 일면에 실장되는 제2반도체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키지의 타면에 상기 제1반도체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3접속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반도체칩과 제3접속패드는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키지의 타면에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4접속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접속패드에 형성된 외부접속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은 일면에 복수 개의 제1접속패드 및 상기 제1접속패드 상에 형성된 접속볼을 갖는 제1패키지를 준비하는 단계와, 일면에 상기 제1접속패드와 대응되는 제2접속패드 및 상기 제2접속패드 상에 형성된 접속핀을 갖는 제2패키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패키지 및 상기 제2패키지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접속핀은 헤드부 및 일단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돌출된 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접속패드 상에 형성된 접속볼의 노출된 부분에는 상기 접속핀 축부의 타단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는 원반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의 일단 및 타단의 직경은 중심단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접속볼은 솔더(solder)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볼의 홈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코이닝(coining) 헤드를 이용한 코이닝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패키지를 준비하는 단계는 일면에는 제1접속패드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제3접속패드가 형성된 베이스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상기 제3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반도체칩을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접속패드에 상기 접속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반도체칩을 실장하는 단계는 와이어 본딩 공정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1반도체칩을 실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반도체칩 및 와이어를 몰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패키지를 준비하는 단계는 일면에는 상기 제1접속패드와 대응되는 제2접속패드 및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제4접속패드가 형성된 베이스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반도체칩을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접속패드에 상기 접속핀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반도체칩을 실장하는 단계는 플립칩(flip-chip) 본딩 공정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2반도체칩을 실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반도체칩 사이에 언더필(under-fill)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키지 및 상기 제2패키지를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볼과 접속핀이 접하도록 상기 제1패키지와 제2패키지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리플로우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1패키지와 제2패키지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미세 직경을 갖는 접속핀을 이용하여 패키지와 패키지를 접합함으로써, 리플로우 공정 중 솔더 퍼짐으로 인한 단락(short)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길이를 갖는 접속핀을 이용하여 패키지와 패키지를 접합함으로써, 접합된 패키지와 패키지 사이의 간격을 일정 수준 이상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볼에 접속핀의 돌출된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패키지와 패키지 접합 시 용이하게 얼라인먼트(alignment)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 직경을 갖는 접속핀을 이용하여 패키지 접합 시 솔더 체적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패드 간 간격을 감소시켜 파인 패드 피치(fine pad pitch)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형성된 접속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반도체 패키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반도체 패키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100)는 제1패키지(110), 제2패키지(150) 및 이 둘을 결합하고 있는 솔더층(195)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패키지(110)는 베이스 기판(120) 및 베이스 기판(120) 상에 실장된 제1반도체칩(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베이스 기판(120) 하면에는 복수 개의 제1접속패드(122)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반도체칩(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3접속패드(124)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20)은 단층 또는 다수의 절연층과 다수의 회로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다층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층으로는 수지 절연층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절연층으로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폴리이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이들에 유리 섬유 또는 무기 필러와 같은 보강재가 함침된 수지, 예를 들어, 프리프레그가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열경화성 수지 및/또는 광경화성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접속패드(122) 및 제3접속패드(124)를 포함하는 회로층은 회로기판 분야에서 회로용 전도성 금속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며, 인쇄회로기판에서는 구리를 사용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또한, 베이스 기판(120) 상에 제1접속패드(122) 및 제3접속패드(124)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된 솔더 레지스트층(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베이스 기판(120) 상에 하나의 제1반도체칩(130)이 실장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반도체칩이 실장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때, 베이스 기판(120) 상에 제1반도체칩(130)은 에폭시(epoxy) 등과 같은 접합 물질(미도시)을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패키지(110)의 제1반도체칩(130)은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을 통해 베이스 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도체칩(130) 상면에 형성된 접속단자(미도시)와 베이스 기판(120) 상면의 제3접속패드(124)를 와이어(wire)(135)를 이용한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공정을 통하여 연결하였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립칩 본딩(flip-chip bonding) 공정을 통해 연결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제1패키지(110) 베이스 기판(120) 상부에는 몰딩재(140)가 형성되는데, 이는 베이스 기판(110) 상에 형성된 제1반도체칩(130) 및 와이어(135)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Epoxy Molded Compound:EMC) 또는 실리콘(silicon)계 에폭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패키지(150)는 상술한 제1패키지(11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기판(160) 및 베이스 기판(160) 상에 실장된 제2반도체칩(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패키지(150)의 베이스 기판(160) 역시, 단층 또는 다수의 절연층과 다수의 회로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다층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베이스 기판(16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제2접속패드(162) 및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164)가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 기판(160)의 하면에는 제4접속패드(16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2접속패드(162)는 상술한 제1패키지(110)의 제1접속패드(12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패키지(150) 베이스 기판(160)의 제2접속패드(162),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164) 및 제4접속패드(166)를 포함하는 회로층 역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회로기판 분야에서 회로용 전도성 금속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4접속패드(166)는 외부 장치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접속패드(166) 상에는 외부접속단자(15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외부접속단자(157)는 솔더볼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베이스 기판(160) 상에 제2접속패드(162),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164) 및 제4접속패드(166)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된 솔더 레지스트층(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패키지(150)의 제2반도체칩(170)은 플립칩 본딩(flip-chip bonding) 공정을 통해 베이스 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반도체칩(170) 하면에 형성된 접속 범프(172)와 베이스 기판(160) 상면의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164)를 플립칩 본딩(slip-chip) 본딩 공정을 통하여 연결하였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wire)를 이용한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공정을 통해 연결되는 것 역시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2패키지(150)는 베이스 기판(160)과 제2반도체칩(170) 하면 사이의 결합 부분에 언더필(under-fill)액을 충전하여 경화시킨 언더필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반도체칩(170) 하면과 베이스 기판(160) 사이의 결합 부분에 언더필재(180)를 형성하고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반도체칩(170)을 감싸도록 몰딩재를 형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패키지(150)의 제2접속패드(162) 상에 접속핀(190)이 형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패키지(110)의 제1접속패드(122)에 접속핀이 형성되도록 구현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접속핀(19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191) 및 일단은 헤드부(191)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돌출된 축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91)는 원반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축부(193)의 일단은 원반형인 헤드부(191)의 중심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접속핀(190)은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헤드부(191)와 축부(193)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접속핀(190)의 축부(19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a) 및 타단(c)의 직경이 중심단(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패키지(110)와의 리플로우(reflow) 접합 시 스트레스(stress)에 취약한 접합 부분인 일단(a) 및 타단(c)은 넓은 면적을 갖도록 하여 스트레스(stress)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용융된 솔더(solder)의 체적으로 인하여 볼록해지는 중심단(b) 부분은 볼록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과 같이, 접속핀(190)이 곡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핀(190)의 길이(P)는 최소한 180㎛ 이상이어야 하는데, 만일 접속핀(190)의 길이가 180㎛ 미만일 경우에는 제1패키지(110)와 제2패키지(150) 접합 시 제1패키지(110)와 제2패키지(150) 사이의 최소한의 간격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접합되는 제1패키지(110)와 제2패키지(150) 사이의 최소한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접속핀(190) 역시 최소한의 길이 이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접속핀(190)으로는 전기전도성을 갖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핀(190)의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1패키지(110)의 제1접속패드(122)와 제2패키지(150)의 제2접속패드(162)에 접합되는 솔더층(19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는 접속핀(190)을 이용하여 두 개의 패키지 즉, 제1패키지(110)와 제2패키지(150)을 접합함으로써, 종래의 솔더볼을 통한 접합 시 솔더 체적 증가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단락(short)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정 길이 이상을 갖는 접속핀(190)을 이용함으로써, 접합되는 제1패키지(110)와 제2패키지(15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단면도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일면에 복수 개의 제1접속패드(122) 및 제1접속패드(122) 상에 형성된 접속볼(125)을 갖는 제1패키지(110)를 준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패키지(110)를 준비하는 단계는 도 2를 기준으로, 상면에는 제3접속패드(124)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1접속패드(122)가 형성된 베이스 기판(120)을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베이스 기판(120)의 제3접속패드(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반도체칩(130)을 실장하는 단계 및 베이스 기판(120)의 제1접속패드(122) 상에 접속볼(125)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베이스 기판(120)은 단층 또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베이스 기판(120)은 하나의 절연층(121) 상, 하면에 제1접속패드(122) 및 제3접속패드(124)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절연층 및 복수의 회로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기판(120)에 제1접속패드(122) 및 제3접속패드(124)를 포함하는 회로층을 형성하는 것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회로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베이스 기판(120) 상에는 제1접속패드(122) 및 제3접속패드(124)를 노출시키는 솔더 레지스트층(1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반도체칩(130)을 실장하는 것은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공정 또는 플립칩 본딩(flip-chip bonding)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120)의 제3접속패드(124)와 제1반도체칩(130)에 형성된 접속단자(미도시)를 와이어(wire(135)를 이용한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공정을 통해 연결하고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기판(120) 상에 플립칩 실장용 패드(미도시)를 형성하고, 제1반도체칩(130) 하면에 접속범프(미도시)를 형성하여 플립칩 본딩(flip-chip) 공정을 통하여 연결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후, 실장된 제1반도체칩(130)과 와이어(135)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베이스 기판(120) 상부 전체를 감싸도록 몰딩재(1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반도체칩(130)을 베이스 기판(110) 상에 플립칩 본딩(flip-chip bonding)한 경우에는 제1반도체칩(130)과 베이스 기판(120) 사이의 연결된 부분만을 감싸도록 언더필재(미도시)를 형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120)의 제1접속패드(122)에는 접속볼(125)을 형성하는데, 이때, 접속볼(125)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솔더(sold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속패드(122) 상에 형성된 접속볼(125)의 노출된 부분 즉, 제1접속패드(122)와 접하는 부분과 반대되는 부분에는 후술할 접속핀(190)의 돌출된 부분(B)(도 6 참조)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속볼(125)의 홈(A)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코이닝(coining) 헤드를 이용한 코이닝(coining)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당 업계에서는 패드 상에 솔더볼을 형성한 다음, 솔더볼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솔더볼 상면을 가압하여 평탄하게 만드는 코이닝(coining) 공정을 수행하는데, 이때, 상기 홈(A)과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코이닝(coining) 헤드를 이용하여 솔더볼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솔더볼에 도 2와 같은 홈(A)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접속볼(125)에 홈을 형성하는 공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일면에 상기 제1접속패드(122)와 대응되는 제2접속패드(162) 및 제2접속패드(162) 상에 형성된 접속핀(190)을 갖는 제2패키지(150)를 준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패키지(150)를 준비하는 단계는 도 3을 기준으로 상면에는 제1접속패드(122)와 대응되는 제2접속패드(162) 및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164)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제4접속패드(166)가 형성된 베이스 기판(160)을 준비하는 단계,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16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반도체칩(170)을 실장하는 단계 및 제2접속패드(162)에 접속핀(190)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베이스 기판(160)은 단층 또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베이스 기판(160)은 복수의 절연층(161) 및 제2접속패드(162),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164), 제4접속패드(166) 및 복수의 회로층(163)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베이스 기판(160)에 제2접속패드(162),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164) 및 제4접속패드(166)를 포함하는 회로층을 형성하는 것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회로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베이스 기판(160) 상에는 제2접속패드(162),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164) 및 제4접속패드(164)를 노출시키는 솔더 레지스트층(15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반도체칩(170)을 실장하는 것은 플립칩 본딩(flip-chip) 본딩 공정 또는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160)의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164)와 제2반도체칩(170) 하면에 형성된 접속범프(172)를 플립칩 본딩(flip-chip bonding) 공정을 통해 연결하고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공정을 통해 연결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후, 실장된 제2반도체칩(170) 하면과 베이스 기판(160) 사이의 연결된 부분에 언더필(under-fill)액을 충전 및 경화시켜 언더필재(18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반도체칩(170) 상부 전체를 감싸도록 몰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제2패키지(150) 베이스 기판(160)의 제2접속패드(162)에 접속핀(190)을 접합한다.
여기에서, 접속핀(19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191) 및 일단은 헤드부(191)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축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91)는 원반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축부(193)의 일단(a)(도 6 참조)은 원반형인 헤드부(191)의 중심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접속핀(190)은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헤드부(191)와 축부(193)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접속핀(190)의 축부(19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a) 및 타단(c)의 직경이 중심단(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패키지(110)와의 리플로우(reflow) 접합 시 스트레스(stress)에 취약한 접합 부분인 일단(a) 및 타단(b)은 넓은 면적을 갖도록 하여 스트레스(stress)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용융 시 솔더(solder) 체적으로 인하여 볼록해지는 중심단(b) 부분의 볼록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6과 같이, 접속핀(190)이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접속핀(190)의 길이(P)는 최소한 180㎛ 이상일 수 있는데, 접속핀(190)의 길이가 180㎛ 미만일 경우에는 제1패키지(110)와 제2패키지(150) 접합 시 제1패키지(110)와 제2패키지(150) 사이의 최소한의 간격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접합되는 제1패키지(110)와 제2패키지(150) 사이의 최소한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접속핀(190) 역시 최소한의 길이 이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접속핀(190)으로는 전기전도성을 갖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다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패키지(110)와 제2패키지(150)을 접합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패키지(110)와 제2패키지(150)를 접합하는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키지(110) 하부에 제2패키지(150)를 배치시킨다.
이때, 제1패키지(110)의 제1접속패드(122)에 형성된 접속볼(125)의 홈(A)에 제2패키지(150)의 제2접속패드(162)에 형성된 접속핀(190)의 돌출된 부분의 끝단(B)이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핀(190)의 돌출된 부분의 끝단(B)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A)을 갖는 접속볼(125)을 이용함으로써, 제1패키지(110)와 제2패키지(150) 접합 시 얼라인먼트(alignment)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리플로우 공정을 통하여 접속볼(125)을 용융시켜 제1패키지(110)의 제1접속패드(122)와 제2패키지(150)의 제2접속패드(162) 및 접속핀(190)을 결합한다.
즉, 제1접속패드(122)에 형성된 접속볼(125)이 용융되어 아래로 흐르면서 접속핀(190)의 바깥둘레를 감싸고 제2접속패드(162)에 융착되면서 제1접속패드(122)와 제2접속패드(162) 및 접속핀(190)을 하나로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접속핀을 이용하여 제1패키지와 제2패키지를 결합함으로써, 결합된 제1패키지와 제2패키지 사이에 일정 수준 이상의 간격(h)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미세 직경을 갖는 접속핀을 이용함으로써, 패키지 결합 시 솔더 체적 증가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단락(short)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핀을 이용하여 패키지를 결합함으로써, 솔더 체적 증가를 억제하여 패드 간 간격(w)을 감소시켜 파인 패드 피치(fine pad pitch)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반도체 패키지 110 : 제1패키지
115 : 솔더 레지스트층 120 : 베이스 기판
121 : 절연층 122 : 제1접속패드
124 : 제3접속패드 125 : 접속볼
130 : 제1반도체칩 135 : 와이어
140 : 몰딩재 150 : 제2패키지
155 : 솔더 레지스트층 157 : 외부접속단자
160 : 베이스 기판 162 : 제2접속패드
164 :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 166 : 제4접속패드
170 : 제2반도체칩 172 : 접속범프
180 : 언더필재 190 : 접속핀
195 : 솔더층

Claims (20)

  1. 일면에 복수 개의 제1접속패드를 갖는 제1패키지;
    일면에는 상기 제1접속패드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2접속패드 및 상기 제2접속패드 상에 형성된 접속핀을 갖는 제2패키지; 및
    상기 접속핀 바깥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패드와 제2접속패드에 접합되는 솔더층
    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은 헤드부 및 일단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돌출된 축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원반형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패키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일단 및 타단의 직경은 중심단의 직경보다 큰 반도체 패키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패키지의 타면에 실장되는 제1반도체칩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패키지의 일면에 실장되는 제2반도체칩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패키지의 타면에 상기 제1반도체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3접속패드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반도체칩과 제3접속패드는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으로 연결된 반도체 패키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패키지의 타면에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4접속패드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4접속패드에 형성된 외부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11. 일면에 복수 개의 제1접속패드 및 상기 제1접속패드 상에 형성된 접속볼을 갖는 제1패키지를 준비하는 단계;
    일면에 상기 제1접속패드와 대응되는 제2접속패드 및 상기 제2접속패드 상에 형성된 접속핀을 갖는 제2패키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패키지 및 상기 제2패키지를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은 헤드부 및 일단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돌출된 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접속패드 상에 형성된 접속볼의 노출된 부분에는 상기 접속핀 축부의 타단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된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원반형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일단 및 타단의 직경은 중심단의 직경보다 큰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접속볼은 솔더(solder)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볼의 홈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코이닝(coining) 헤드를 이용한 코이닝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패키지를 준비하는 단계는,
    일면에는 제1접속패드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제3접속패드가 형성된 베이스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상기 제3접속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반도체칩을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접속패드에 상기 접속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반도체칩을 실장하는 단계는 와이어 본딩 공정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1반도체칩을 실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반도체칩 및 와이어를 몰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패키지를 준비하는 단계는,
    일면에는 상기 제1접속패드와 대응되는 제2접속패드 및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제4접속패드가 형성된 베이스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칩 실장용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반도체칩을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접속패드에 상기 접속핀을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반도체칩을 실장하는 단계는 플립칩(flip-chip) 본딩 공정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2반도체칩을 실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베이스 기판과 상기 제2반도체칩 사이에 언더필(under-fill)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패키지 및 상기 제2패키지를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볼과 접속핀이 접하도록 상기 제1패키지와 제2패키지를 배치시키는 단계; 및
    리플로우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1패키지와 제2패키지를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KR1020110097727A 2011-09-27 2011-09-27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847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727A KR101847162B1 (ko) 2011-09-27 2011-09-27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727A KR101847162B1 (ko) 2011-09-27 2011-09-27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808A true KR20130033808A (ko) 2013-04-04
KR101847162B1 KR101847162B1 (ko) 2018-05-29

Family

ID=4843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727A KR101847162B1 (ko) 2011-09-27 2011-09-27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1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9232A (zh) * 2014-01-13 2015-07-15 台湾积体电路制造股份有限公司 通过预形成的金属引脚的封装
KR20160010104A (ko) * 2014-07-18 2016-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20237685A1 (zh) * 2019-05-31 2020-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芯片以及集成芯片
CN113078147A (zh) * 2021-02-22 2021-07-06 上海易卜半导体有限公司 半导体封装方法、半导体组件以及包含其的电子设备
WO2022215851A1 (ko) * 2021-04-09 2022-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을 기준으로 다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패키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4741A (ja) * 2007-08-27 2009-03-12 Powertech Technology Inc 半導体パッケージ
JP5476891B2 (ja) * 2009-09-29 2014-04-23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超音波フリップチップ実装方法および超音波実装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9232A (zh) * 2014-01-13 2015-07-15 台湾积体电路制造股份有限公司 通过预形成的金属引脚的封装
US9929118B2 (en) 2014-01-13 2018-03-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ackaging through pre-formed metal pins
US10734345B2 (en) 2014-01-13 2020-08-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ackaging through pre-formed metal pins
KR20160010104A (ko) * 2014-07-18 2016-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20237685A1 (zh) * 2019-05-31 2020-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芯片以及集成芯片
CN113078147A (zh) * 2021-02-22 2021-07-06 上海易卜半导体有限公司 半导体封装方法、半导体组件以及包含其的电子设备
CN113078147B (zh) * 2021-02-22 2023-08-15 上海易卜半导体有限公司 半导体封装方法、半导体组件以及包含其的电子设备
WO2022215851A1 (ko) * 2021-04-09 2022-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을 기준으로 다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패키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162B1 (ko)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858B1 (ko) 인터포저 기판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 적층 구조체
CN103035593B (zh) 封装结构上的封装件及其制造方法
US7633144B1 (en) Semiconductor package
US7495327B2 (en) Chip stacking structure
CN108447860B (zh) 半导体封装结构
KR20120007839A (ko) 적층형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US200702594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electrical components using via to provide interconnection
US10825774B2 (en) Semiconductor package
KR102511832B1 (ko) 반도체 패키지 장치
US20110147908A1 (en) Module for Use in a Multi Package Assembly and a Method of Making the Module and the Multi Package Assembly
US8274144B2 (en) Helical springs electrical connecting a plurality of packages
CN113035786A (zh) 半导体结构及其制造方法
KR101847162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CN110581107A (zh) 半导体封装及其制造方法
US20080258288A1 (en) Semiconductor device stack packag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38213B1 (ko) 적층형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30256915A1 (en) Packaging substrate, semiconductor packag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374144B1 (ko) 워피지 방지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
US9490225B2 (en) Package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255925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674411B1 (ko) 코어볼을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33006A (ko) 적층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891118A (zh) 堆叠封装的下封装体构造及其制造方法
KR101514525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JP5934057B2 (ja) プリント回路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