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626A -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626A
KR20130032626A KR1020110096339A KR20110096339A KR20130032626A KR 20130032626 A KR20130032626 A KR 20130032626A KR 1020110096339 A KR1020110096339 A KR 1020110096339A KR 20110096339 A KR20110096339 A KR 20110096339A KR 20130032626 A KR20130032626 A KR 20130032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lue
jig
contact
mask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용승
Original Assignee
(주)네오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센스 filed Critical (주)네오센스
Priority to KR1020110096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2626A/ko
Publication of KR20130032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8/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ceramics, e.g. refractor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을 이용한 라미네이션(Ultra Violet Lamination)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이 요구하는 얼라인먼트(Alignment)를 만족하면서도 오버 플로우(Over flow)되는 UV Glue(이하 "자외선 글루"라 함)를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UV 글루가 도포되는 도포 영역과 상기 UV 글루가 도포되지 않는 비 도포 영역을 포함하는 제1계층이 고정되도록 놓이는 제1계층 배치부와, 상기 제1계층 배치부의 외각을 따라 상기 비 도포 영역을 커버하는 마스킹 필름이 배치되도록 가이드 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핀과, 상기 제1계층 배치부에 배치된 제1계층의 비 도포 영역에 상기 마스킹 필름의 배치 후 상기 도포 영역에 UV 글루를 도포 후, 그 위에 놓여 접착될 제2계층이 상기 접착 전까지 고정되도록 놓이는 제2계층 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UV lamination jig and UV lamination method using the jig}
본 발명은 자외선을 이용한 라미네이션(Ultra Violet Lamination)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객이 요구하는 얼라인먼트(Alignment)를 만족하면서도 오버 플로우(Over flow)되는 UV Glue(이하 "자외선 글루" 또는 "UV 글루"라 함)를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부품, 특히 ITO 필름 또는 유리(Glass) 등을 조립함에 있어 양면테이프(Optically Clear Adhesive Tape: OCA Tape)를 이용하여 부착하여 왔다. 그러나 OCA 테이프를 이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부품을 조립하는 경우, 강화 글라스(Glass) 윈도우(Window)의 배면 인쇄 두께에 따른 불량 증대(블랙 대비 화이트 인쇄 두께가 두꺼움), 글라스 윈도우와 필름 ITO 보다 글라스 윈도우와 글라스 ITO의 부착 시 기포 제거가 어려움, OCA 테이프의 두께 증가에 따른 부품비용 상승 등과 같은 조립에 제한적인 요소가 많았으며, 투과율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외선(Ultra Violet: UV)과 UV에 반응해 경화되는 물질인 UV Glue(이하 "UV 글루"라 함) 사용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부품들을 부착하는 자외선 라미네이션(UVL)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UVL 방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경화시간이 매우 빠르다. -보통 수 초 이내에 경화가 이루어지며, UV 순간접착제의 경우 1초미만의 빠른 경화시간을 갖고 있어 생산성이 증대된다.
2. UV 경화 장비가 단순하다. - 단순히 컨베이어 시스템 상에 램프만 거치하면 되기 때문에 장비 사용에 수월하다.
3. 작업시간 컨트롤이 가능하다. - 작업자가 빛의 차단 및 공급을 컨트롤하여 작업 시간을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4. 고품질의 접착이 가능하다. - 용액의 도포 압착 방식으로서 표면의 기포 발생이 적으며 높은 투과율을 나타낸다. 접착력 및 투과율은 용액의 사용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므로 여러 종류, 많은 사양의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통상 이러한 UV 접착 방식으로는 SVR(Super View Resin) 방법과 본 출원인에 의해 독자 개발된 네오센스 방식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SVR 방식의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SVR 방식의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가)에서와 같이 강화 윈도우 글라스(1)를 배치한다.
윈도우 글라스(1)를 배치한 후, (나)에서와 같이 윈도우 글라스(1)위의 전면 가장자리에 UV 글루를 투여하고 일단의 높이를 가지는 격벽(2)을 윈도우 글라스(1)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한다.
(나)와 같이 격벽(2) 형성 후, (다)와 같이 격벽(2) 내부에 UV 글루(3)를 투여하여 채워 넣는다.
(다)와 같이 UV 글루(3)가 격벽(2)으로 둘러싸인 강화 윈도우 글라스(1) 내측에 채워지면 (라)와 같이 그 상부에 ITO 필름 또는 글라스를 올려놓고, 진공 가압로에 넣어 내부의 마이크로 버블(Micro-bubble)을 제거한 후, UV에 노출시켜 경화시킨다.
도 2는 일반적인 네오센스 방식의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네오센스 방식의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을 설명한다.
네오센스 방식은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술한 SVR 방식에 적용되는 격벽 형성 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공정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SVR 방식 및 네오센스 방식은 윈도우 글라스 위에 형성된 UV 글루층에 글라스 또는 ITO 필름을 얹어 놓을 시에 강화 글라스 위에 충진 되어 있는 UV 글루가 흘러 윈도우 글라스의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BM)부에 번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윈도우 글라스의 BM부로 번진 UV 글루를 닦아 내기 위해서는 UV 글루가 경화되기 전에 닦아내야 한다. 따라서 UV 글루 경화 전 BM부로 번진 UV 글루를 닦을 때 얼라인먼트가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UV 글루가 경화된 후에는 UV 글루를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요구하는 얼라인먼트(Alignment)를 만족하면서도 오버플로우(Over flow)되는 UV Glue(이하 "자외선 글루"라 함)를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는; UV 글루가 도포되는 도포 영역과 상기 UV 글루가 도포되지 않는 비 도포 영역을 포함하는 제1계층이 고정되도록 놓이는 제1계층 배치부와, 상기 제1계층 배치부의 외각을 따라 상기 비 도포 영역을 커버하는 마스킹 필름이 배치되도록 가이드 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핀과, 상기 제1계층 배치부에 배치된 제1계층의 비 도포 영역에 상기 마스킹 필름의 배치 후 상기 도포 영역에 UV 글루를 도포 후, 그 위에 놓여 접착될 제2계층이 상기 접착 전까지 고정되도록 놓이는 제2계층 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계층부는 윈도우 글라스이고, 상기 제1계층부의 비 도포 영역은 상기 윈도우 글라스에 포함되어 있는 블랙 매트릭스(BM)부가 형성된 영역이고, 상기 도포 영역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계층은 터치스크린용 ITO 필름 또는 ITO 글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계층 배치부는, 상기 제1계층부 또는 제1계층부와 제2계층부의 접촉물의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상하 또는 좌우 양측으로 착탈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지그를 이용한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은; 제1계층 배치부와, 상기 제1계층 배치부의 외각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핀과, 제2계층 배치부를 포함하는 지그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그를 배치하는 지그 배치 과정과, 상기 지그의 UV 글루가 도포되는 도포 영역과 UV 글루가 도포되면 안 되는 비 도포 영역을 가지는 제1계층 배치부에 제1계층부를 배치하는 제1계층 배치 과정과, 상기 가이드 핀을 따라 상기 제1계층부의 비 도포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하는 마스킹 필름을 배치하는 마스킹 필름 조립 과정과, 상기 제2계층 배치부에 제2계층을 배치하고 상기 제1계층부의 도포 영역에 UV 글루를 도포하는 UV 글루 도포 과정과, 상기 UV 글루가 도포된 제1계층부 상부에 상기 제2계층을 배치하는 접촉 과정과, 상기 제1계층부와 제2계층이 접촉된 접촉물을 상기 지그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과정과, 상기 분리된 접촉물을 흡착포가 부착된 가압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제1계층부와 제2계층부 사이에 도포된 UV 글루의 두께를 조절하면서 상기 흡착포에 의해 상기 제1계층부와 제1계층사이를 오버 플로우하는 UV 글루를 1차 제거하는 제1 제거 과정과, 상기 가압된 접촉물을 UV 경화로를 통과시키면서 UV에 노출시켜 상기 UV 글루를 경화시키는 경화 과정과, 상기 경화된 접촉물로부터 상기 마스킹 필름을 제거하는 마스킹 필름 제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계층부는 윈도우 글라스이고, 상기 제1계층부의 비 도포 영역은 상기 윈도우 글라스에 포함되어 있는 블랙 매트릭스부가 형성된 영역이고, 상기 도포 영역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계층은 터치스크린용 ITO 필름 또는 ITO 글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지그를 이용한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은; 제1계층부가 배치되는 제1계층 배치부와, 상기 제1계층 배치부의 외각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핀과, 제2계층이 배치되는 제2계층 배치부와 제3계층이 배치되는 제3계층 배치부를 포함하는 지그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그를 배치하는 지그 배치 과정과, 상기 지그의 UV 글루가 도포되는 도포 영역과 UV 글루가 도포되면 안 되는 비 도포 영역을 가지는 제1계층 배치부에 제1계층부를 배치하는 제1계층 배치 과정과, 상기 가이드 핀을 따라 상기 제1계층부의 비 도포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하는 마스킹 필름을 배치하는 마스킹 필름 조립 과정과, 상기 제2계층 배치부에 제2계층을 배치하고 상기 제1계층부의 도포 영역에 UV 글루를 도포하는 UV 글루 도포 과정과, 상기 UV 글루가 도포된 제1계층부 상부에 상기 제2계층을 배치하는 접촉 과정과, 상기 제1계층부와 제2계층이 접촉된 접촉물을 상기 지그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과정과, 상기 분리된 접촉물을 흡착포가 부착된 가압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제1계층부와 제2계층부 사이에 도포된 UV 글루의 두께를 조절하면서 상기 흡착포에 의해 상기 제1계층부와 제1계층사이를 오버 플로우하는 UV 글루를 1차 제거하는 제1 제거 과정과, 상기 가압된 접촉물을 UV 경화로를 통과시키면서 UV에 노출시켜 상기 UV 글루를 경화시키는 경화 과정과, 상기 경화된 접촉물의 제1계층부를 벗어난 마스킹 필름만을 절단하는 마스킹 필름 절단 과정과, 제3계층을 상기 제3계층 배치부에 배치하고, 상기 마스킹 필름의 일부가 절단된 접촉물의 상부에 UV 글루를 도포하는 제2UV 글루 도포 과정과, 상기 UV 글루가 도포된 상기 접촉물의 상부에 제3계층을 접촉시켜 제2접촉물을 생성하는 제2접촉 과정과, 상기 제2접촉물을 상기 UV 경화로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UV 글루를 경화시키는 제2 경화 과정과, 상기 일부 절단되고 남은 상기 마스킹 필름을 제거하는 마스킹 필름 제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접촉 과정 후, 상기 제2접촉물을 흠착포를 포함하는 가압롤러에 통과시키면서 상기 제2UV 글루의 두께를 조절하면서 오버플로우 되는 제2UV 글루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제2 UV 글루 제거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계층부는 윈도우 글라스이고, 상기 제1계층부의 비 도포 영역은 상기 윈도우 글라스에 포함되어 있는 블랙 매트릭스(BM)부가 형성된 영역이고, 상기 도포 영역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며, 제2계층은 ITO 필름 또는 ITO 글라스이고 제3계층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계층과 제2계층을 각각 배치할 수 있고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번진 UV 글루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마스킹 필름을 상기 제1계층과 제2계층 사이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지그를 제공하고, 그 지그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공정을 수행하므로 제1계층과 제2계층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마스킹 필름에 의해 UV 글루가 원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계층과 제2계층들이 각각 배치되고, 결합 시의 제1계층, 제2계층 및 마스킹 필름 등이 배치될 영역들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지그를 이용하므로 결합 시 제1계층 및 제2계층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아 터치 센서 패널(Touch Sensor Panel: TSP) 또는 TSP에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LCM)이 접착된 라미네이션 접착물의 얼라인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SVR 방식의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네오센스 방식의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V 글루의 번짐 및 얼라인먼트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UV 글루의 번짐 및 얼라인먼트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자외선 라미네이션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한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을 추가적으로 접착하는 경우의 절차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V 글루의 번짐 및 얼라인먼트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UV 글루의 번짐 및 얼라인먼트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자외선 라미네이션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자외선 라미네이션 공정을 수행하는 주체는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에 따라 라미네이션을 수행하는 자동화 장치인 지그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그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장치는 컨베이어벨트 등과 같이 지그를 후술할 각 구성들 사이를 고정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에 지그를 배치하는 배치 수단, 상기 지그의 제1계층 배치부(401), 제2계층 배치부(402) 및 가이드 핀(403)에 제1계층 및 제2계층 및 마스킹 필름을 각각 배치하는 배치 수단, 상기 배치된 제1계층의 UV 글루 도포 영역에 UV 글루를 도포하는 UV 글루 도포수단, 지그로부터 제2계층을 분리하여 상기 제1계층의 상부에 놓는 접촉 수단, 상기 접촉된 접촉물을 분리하는 제거수단, 상기 제1계층부 상부에 UV글루를 특정 패턴으로 도포하는 UV 글루 도포부, 상기 분리된 접촉물을 압착하여 UV 글루의 두께를 조절하고 상기 압착 시 오버플로우(Over flow) 되는 UV 글루를 흡착하는 흡착포를 구비하는 압착 롤러, 상기 제2계층이 제1계층에 접속된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UV 글루를 경화시키는 UV 경화로, 및 상기 접착물의 제1계층에 접착된 마스킹 필름을 제거하는 마스킹 필름 제거 수단을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우선, 도 4의 (가)와 같은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400)를 제작하여 배치한다(S311).
상기 지그(40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부에 홈 형태로 제1계층 배치부(401)와 제2계층 배치부(402)를 구비하고, 상기 제1계층 배치부(401)의 주변에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 핀(403)을 포함한다.
제1계층 배치부(401)는 놓여 질 객체의 평면 형상에 따라 그 홈 모양이 형성되며,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식으로 접합할 두 개의 대상 객체 중 제1객체인 제1계층부(410)가 배치되는 곳이다. 상기 제1계층 배치부(401)는 상기 제1계층부(410)의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상하 또는 좌우 양측으로 착탈홈(4011)을 구비한다. 상기 착탈홈(4011)은 마스킹 필름(420)이 배치되면 가려지나 제1계층부(410)와 제2계층(430)이 UV 글루를 사이에 두고 접속된 상태의 접속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계층부(410)는 윈도우 글라스(Windows Glass) 등이 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1계층부(410)가 윈도우 글라스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윈도우 글라스는 글라스와, 상기 글라스의 일면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BM)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BM부는 제2계층(430)에 의해 일부가 가려지게 되고 나머지 일부분은 노출된다. 상기 노출된 BM부에는 UV 글루가 묻으면 안 된다.
가이드 핀(403)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계층 배치부(401)의 홈 주변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도 4와 같이 상기 홈의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상하좌우 각각에 2개씩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2계층 배치부(402)는 제1계층 배치부(402)의 측부에 배치되어 노여 질 객체의 평면 형상에 따라 그 홈 모양이 형성되며,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식으로 상기 제1객체에 접합할 제2객체인 제2계층이 배치되는 곳이다. 상기 제2계층은 터치센서용 ITO(Indium Tin Oxide) 필름 또는 ITO 글라스(Glass) 등이 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2계층이 ITO 필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지그(400)의 제1계층 배치부(401)에 (나)와 같이 글라스 윈도우(410)를 배치한다(S313). 이때 윈도우 글라스(410)에 포함되는 BM부가 위쪽을 향하도록 제1계층 배치부(401)에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글라스 윈도우(410)가 지그(400)의 제1계층 배치부(401)에 삽입되면 (다)와 같이 가이드 핀(403)들에 맞추어 마스킹 필름(420)을 조립한다(S315). 상기 마스킹 필름(420)은 투명 필름, 페이퍼(Paper), 메탈시트(Metal Sheet)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마스킹 필름(420)은 상기 제1계층 배치부(401)에 놓인 글라스 윈도우(410)의 BM부를 일부 또는 전체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BM부 전체를 커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마스킹 필름(20)이 가이드 핀(403)에 가이드 되어 조립되면, 도 4의 (라)에서와 같이 지그(400)의 제1계층 배치부(402)에 ITO 필름(430)을 배치하고, 상기 마스킹 필름(420)이 조립된 내측의 윈도우 글라스(410) 상부 영역(이하 "UV 글루 도포 영역"이라 함)에 UV 글루를 도포한다(S317). 이때 UV 글루는 특정 패턴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계층부(410)에 제2계층(430)가 놓여질 때 자중에 의해 제1계층부(410)에 도포된 UV 글루가 퍼지게 된다. 이때 UV 글루가 자중에 의해 대상 영역에 잘 퍼지면서도 버블이 발생하지 않도록 UV 글루를 특정 패턴으로 도포해야 한다.
상기 UV 글루의 도포 후, (마)와 같이 제2계층 배치부(402)에 배치되어 있는 ITO 필름(430)을 상기 UV 글루가 도포된 윈도우 글라스(410) 위에 배치한다(S319). 이때, 마스킹 지그를 별도로 사용하여 제1계층부(410)와 마스킹 필름(420)이 조립된 것을 상부에 UV 글루가 도포된 제2계층(430)에 올려 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ITO필름(430)이 배치되면, (바)와 같이 윈도우 글라스(410)와 UV 글루 및 ITO 필름(430)이 접촉된 접촉물(이하 "패널"이라 함)을 지그(400)로부터 제거한다(S320).
상기 패널을 지그(400)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패널을 흡착포가 붙어 있는 압착 롤러(미도시)를 통과시켜 UV 글루의 두께를 스펙(Spec)에 맞추고, 압축 시 오버플로우 되는 UV 글루를 흡착포에 의해 1차 흡착하여 제거한다(S321).
상기 1차적으로 오버플로우 된 UV 글루가 1차 제거된 패널을 UV 경화로를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윈도우 글라스(410)와 ITO 필름(430) 사이에 있는 UV 글루가 상기 UV 경화로에서 조사되는 UV에 의해 경화되어 윈도우 글라스와 ITO 필름을 접합시킨다(S323). 이 과정에서 마스킹 필름에는 경화된 UV 글루가 붙어 있을 수 있다.
상기 UV 경화 후 (사)와 같이 패널로부터, 즉 윈도우 글라스(410)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있는 마스킹 필름을 제거하여 마스킹 필름에 경화되어 붙어 있는 오버 플로우 된 UV 글루를 2차 제거한다(S325).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한 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을 추가적으로 접착하는 경우의 절차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5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윈도우 글라스(410), 마스킹 필름(420) 및 ITO 필름(430)의 각 구성 및 ITO 및 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LCD) 모듈(Module)의 접착 과정을 설명한다.
윈도우 글라스(410)는 제1계층인 글라스(411)와 상기 글라스(411) 상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BM부(412)와 상기 글라스(411)의 하부 전체를 덮어 글라스(411)를 보호하는 보호 테이프(413)로 구성된다.
그리고 마스킹 필름(420)은 상기 지그의 가이드 핀(403)이 관통하는 가이드 홀(422)을 포함하는 마스킹 테이프(421)와 상기 마스킹 테이프(421)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2이형지(426), 및 하부에 부착되는 제1이형지(423)와 탈피 이형지(425)로 구성된다. 상기 탈피 이형지(423)는 도 5의 (나)에서 BM부(412)에 접착 시 탈피되는 이형지이다.
상기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 시, 윈도우 글라스(410) 위에 마스킹 필름(420)을 올려놓을 때, (가)의 탈피 이형지(425)를 제거한 후, 지그(400)의 가이드 핀(403)들에 마스킹 필름의 가이드 홀(422)을 맞춰 마스킹 필름을 윈도우 글라스(410)에 붙이고, 상술한 도 3 및 도 4의 과정들과 동일하게 (다)와 같이 상기 마스킹 필름 위에 ITO 필름(430)을 접착시킨다.
그러나 LCD 모듈(450)을 ITO 필름(430) 위에 접착하는 경우, ITO 필름(430) 위에 UV 글루(440)를 도포해야 하므로 상기 ITO 필름(430) 상부에 도포되는 UV 글루(440)가 윈도우 글라스(410)의 BM부로 떨어질 수 있으므로 (라)와 같이 윈도우 글라스(410)를 벗어난 마스킹 필름(420)만을 제거하고 윈도우 글라스(410)에 붙어 있는 부분을 그대로 남겨둔다. 상기 남겨진 부분은 상기 LCD 모듈(450)의 접착 후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남겨진 부분은 LCD 모듈(또는 "LCM"이라 함)을 조립하는 마스킹 테이프로 이용되는 것이다.
LCM 라미네이션을 위해 상기 지그에는 제3계층이 배치되는 제3계층 배치부를 더 구성할 수도 있고, 제3계층 배치부 없이 바로 제1계층 배치부에 제3계층인 LCM을 올려 접촉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LCM 라미네이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도 3 및 도 4의 경화 과정까지는 동일하게 수행한다. 그러나 LCM 라미네이션의 경우, 상기 경화된 접촉물로부터 마스킹 필름을 전부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제1계층부를 벗어난 마스킹 필름만을 절단한다.
상기 마스킹 필름의 절단 후, 제3계층을 상기 제3계층 배치부에 배치하고, 상기 마스킹 필름의 일부가 절단된 접촉물의 상부에 UV 글루를 도포하며, 상기 UV 글루가 도포된 상기 접촉물의 상부에 제3계층을 접촉시켜 제2접촉물을 생성한다.
그런 후, 다시 상기 제2접촉물을 상기 UV 경화로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UV 글루를 경화시킨 후, 상기 일부 절단되고 남은 상기 마스킹 필름을 제거하여 최종 LCM 터치 패널을 생성한다.
상기 제2접촉물을 다시 흡착포를 포함하는 가압롤러에 통과시키면서 오버플로우 되는 제2UV 글루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제2 UV 글루 제거 과정을 더 수행하여 상기 제2UV 글루의 두께를 조절하고, 경화 전의 UV 글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400: 지그 401: 제1계층 배치부
402: 제2계층 배치부 403: 가이드 핀
410: 제1계층부(윈도우 글라스) 411: 제1계층(글라스)
412: 블랙 매트릭스부(BM부) 413: 보호테이프
420: 마스킹 필름 421: 마스킹 테이프
422: 가이드 홀 423, 425: 하부 이형지
426: 상부 이형지 430: 제2계층부
440: UV 글루 450: LCD 모듈

Claims (10)

  1. UV 글루가 도포되는 도포 영역과 상기 UV 글루가 도포되지 않는 비 도포 영역을 포함하는 제1계층이 고정되도록 놓이는 제1계층 배치부와,
    상기 제1계층 배치부의 외각을 따라 상기 비 도포 영역을 커버하는 마스킹 필름이 배치되도록 가이드 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핀과,
    상기 제1계층 배치부에 배치된 제1계층의 비 도포 영역에 상기 마스킹 필름의 배치 후 상기 도포 영역에 UV 글루를 도포 후, 그 위에 놓여 접착될 제2계층이 상기 접착 전까지 고정되도록 놓이는 제2계층 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층부는 윈도우 글라스이고, 상기 제1계층부의 비 도포 영역은 상기 윈도우 글라스에 포함되어 있는 블랙 매트릭스(BM)부가 형성된 영역이고, 상기 도포 영역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계층은 터치스크린용 ITO 필름 또는 ITO 글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층 배치부는,
    상기 제1계층부 또는 제1계층부와 제2계층부의 접촉물의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상하 또는 좌우 양측으로 착탈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5. 제1계층 배치부와, 상기 제1계층 배치부의 외각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핀과, 제2계층 배치부를 포함하는 지그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그를 배치하는 지그 배치 과정과,
    상기 지그의 UV 글루가 도포되는 도포 영역과 UV 글루가 도포되면 안 되는 비 도포 영역을 가지는 제1계층 배치부에 제1계층부를 배치하는 제1계층 배치 과정과,
    상기 가이드 핀을 따라 상기 제1계층부의 비 도포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하는 마스킹 필름을 배치하는 마스킹 필름 조립 과정과,
    상기 제2계층 배치부에 제2계층을 배치하고 상기 제1계층부의 도포 영역에 UV 글루를 도포하는 UV 글루 도포 과정과,
    상기 UV 글루가 도포된 제1계층부 상부에 상기 제2계층을 배치하는 접촉 과정과,
    상기 제1계층부와 제2계층이 접촉된 접촉물을 상기 지그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과정과,
    상기 분리된 접촉물을 흡착포가 부착된 가압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제1계층부와 제2계층 사이에 도포된 UV 글루의 두께를 조절하면서 상기 흡착포에 의해 상기 제1계층부와 제1계층사이를 오버 플로우하는 UV 글루를 1차 제거하는 제1 제거 과정과,
    상기 가압된 접촉물을 UV 경화로를 통과시키면서 UV에 노출시켜 상기 UV 글루를 경화시키는 경화 과정과,
    상기 경화된 접촉물로부터 상기 마스킹 필름을 제거하는 마스킹 필름 제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층부는 윈도우 글라스이고, 상기 제1계층부의 비 도포 영역은 상기 윈도우 글라스에 포함되어 있는 블랙 매트릭스부가 형성된 영역이고, 상기 도포 영역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계층은 터치스크린용 ITO 필름 또는 ITO 글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계층부가 배치되는 제1계층 배치부와, 상기 제1계층 배치부의 외각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핀과, 제2계층이 배치되는 제2계층 배치부와 제3계층이 배치되는 제3계층 배치부를 포함하는 지그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그를 배치하는 지그 배치 과정과,
    상기 지그의 UV 글루가 도포되는 도포 영역과 UV 글루가 도포되면 안 되는 비 도포 영역을 가지는 제1계층 배치부에 제1계층부를 배치하는 제1계층 배치 과정과,
    상기 가이드 핀을 따라 상기 제1계층부의 비 도포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하는 마스킹 필름을 배치하는 마스킹 필름 조립 과정과,
    상기 제2계층 배치부에 제2계층을 배치하고 상기 제1계층부의 도포 영역에 UV 글루를 도포하는 UV 글루 도포 과정과,
    상기 UV 글루가 도포된 제1계층부 상부에 상기 제2계층을 배치하는 접촉 과정과,
    상기 제1계층부와 제2계층이 접촉된 접촉물을 상기 지그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과정과,
    상기 분리된 접촉물을 흡착포가 부착된 가압롤러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제1계층부와 제2계층 사이에 도포된 UV 글루의 두께를 조절하면서 상기 흡착포에 의해 상기 제1계층부와 제1계층사이를 오버 플로우하는 UV 글루를 1차 제거하는 제1 제거 과정과,
    상기 가압된 접촉물을 UV 경화로를 통과시키면서 UV에 노출시켜 상기 UV 글루를 경화시키는 경화 과정과,
    상기 경화된 접촉물의 제1계층부를 벗어난 마스킹 필름만을 절단하는 마스킹 필름 절단 과정과,
    제3계층을 상기 제3계층 배치부에 배치하고, 상기 마스킹 필름의 일부가 절단된 접촉물의 상부에 UV 글루를 도포하는 제2UV 글루 도포 과정과,
    상기 UV 글루가 도포된 상기 접촉물의 상부에 제3계층을 접촉시켜 제2접촉물을 생성하는 제2접촉 과정과,
    상기 제2접촉물을 상기 UV 경화로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UV 글루를 경화시키는 제2 경화 과정과,
    상기 일부 절단되고 남은 상기 마스킹 필름을 제거하는 마스킹 필름 제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 과정 후, 상기 제2접촉물을 흡착포를 포함하는 가압롤러에 통과시키면서 상기 제2UV 글루의 두께를 조절하면서 오버플로우 되는 제2UV 글루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제2 UV 글루 제거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층부는 윈도우 글라스이고, 상기 제1계층부의 비 도포 영역은 상기 윈도우 글라스에 포함되어 있는 블랙 매트릭스(BM)부가 형성된 영역이고, 상기 도포 영역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며, 제2계층은 ITO 필름 또는 ITO 글라스이고 제3계층은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096339A 2011-09-23 2011-09-23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 KR20130032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339A KR20130032626A (ko) 2011-09-23 2011-09-23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339A KR20130032626A (ko) 2011-09-23 2011-09-23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626A true KR20130032626A (ko) 2013-04-02

Family

ID=4843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339A KR20130032626A (ko) 2011-09-23 2011-09-23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262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455B1 (ko) * 2013-06-10 2014-12-10 안성룡 레진 합착 방법
CN104553286A (zh) * 2014-12-01 2015-04-29 东莞市源铁印刷机械有限公司 一种复合印刷装置以及印刷方法
CN113050391A (zh) * 2021-03-18 2021-06-29 歌尔股份有限公司 涂覆有uv胶的元器件的回收方法
US11472170B2 (en) 2020-04-22 2022-10-18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jig complex structur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display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455B1 (ko) * 2013-06-10 2014-12-10 안성룡 레진 합착 방법
CN104553286A (zh) * 2014-12-01 2015-04-29 东莞市源铁印刷机械有限公司 一种复合印刷装置以及印刷方法
US11472170B2 (en) 2020-04-22 2022-10-18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jig complex structur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display device
CN113050391A (zh) * 2021-03-18 2021-06-29 歌尔股份有限公司 涂覆有uv胶的元器件的回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808B1 (ko) 완전 밀폐 액정 일체형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EP3196018B1 (en) Substrate bonding method
KR101969597B1 (ko) 접합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TWI431340B (zh) 具有觸控功能的顯示結構、偏光結構以及黏貼觸控面板於液晶面板的方法
EP3264236B1 (en) Integrated fully-sealed liquid crystal screen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same
TWI592720B (zh)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onding device and manufacturing device for the bonding device
JP2015232656A (ja) 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065802A1 (zh) 将第一面板与第二面板相贴合的方法和显示装置
TWI549830B (z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yered body
KR20010021475A (ko) 기판의 본딩 방법과 본딩 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30032626A (ko) 자외선 라미네이션용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자외선 라미네이션 방법
TWI390293B (zh) 顯示器保護板之製造方法
KR20160026908A (ko) 접합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JP6425119B2 (ja) 機器および機器の製造方法
TW201535180A (zh) 觸控面板及其貼合方法
CN113547831A (zh) 光学胶贴合方法、显示屏及其制备方法
CN101702402B (zh) 防溢胶装置及使用该防溢胶装置的基板贴合方法
CN108091256A (zh) 显示器模块及其制造方法
KR101467734B1 (ko) 패널 간의 직접 접합 방법
KR1014350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페어 방법
KR20110094618A (ko)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2148170B (zh) 一种基板贴合方法
TWI414429B (zh) 防溢膠裝置及使用其之基板貼合方法
TW201625422A (zh) 印刷用樹脂原版的製造方法及柔版印刷版
CN205498229U (zh) 一种便于贴合的弧面保护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