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825A -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825A
KR20130029825A KR1020110093162A KR20110093162A KR20130029825A KR 20130029825 A KR20130029825 A KR 20130029825A KR 1020110093162 A KR1020110093162 A KR 1020110093162A KR 20110093162 A KR20110093162 A KR 20110093162A KR 20130029825 A KR20130029825 A KR 20130029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height
information
section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975B1 (ko
Inventor
강성규
이승환
김수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3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975B1/ko
Priority to DE102012205915A priority patent/DE102012205915A1/de
Priority to US13/448,568 priority patent/US8682537B2/en
Priority to CN201210135520.4A priority patent/CN102991442B/zh
Priority to JP2012150422A priority patent/JP6184666B2/ja
Publication of KR2013002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시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자세를 제어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자세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성별과 신장과 앉은키와 체형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운전자의 성별, 키, 앉은키, 체중을 입력받는 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받은 운전자의 키와 앉은키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앉은키 구간을 결정하는 앉은키 구간 결정수단; 상기 입력받은 성별과 키 및 체중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체형 구간을 결정하는 체형 구간 결정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성별, 신장, 앉은키 구간, 체형 구간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POSTURE OF DRIVER}
본 발명은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DAS(Intelligent Driver Accommodation System)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차량에 고정 설치된 기구 및 부속물들을 활용하여 차량을 운전한다. 즉, 운전자는 손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고, 발로 액셀레이터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및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며, 눈으로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룸미러와 사이드미러를 활용한다.
그러나, 운전하는 사람마다 신체조건이 다르므로, 액셀레이터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및 클러치 페달을 조작할 수 있는 위치가 달라져야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는바, 이를 위하여 운전석의 시트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조정하도록 되어 있고, 시트 등받이는 그 기울기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후방으로부터 충돌을 당할 때 머리가 뒤로 젖혀져 목에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머리받이도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룸미러와 사이드미러 또한 전후 좌우로 일정 각도씩 회전이 가능하여 반사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을 출발시키기 전에 반드시 편안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운전자세를 취하기 위해 운전석의 위치와 룸미러 및 사이드미러의 반사각도를 자신의 체위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바른 자세로 운전하는 운전자는 많지 않다. 특히, 스티어링 휠과 운전석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경직된 자세로 운전하는 운전자는 물론, 스티어링 휠과 운전석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 거의 누운 자세로 운전하는 운전자가 상당수 존재한다.
이러한 운전자세는 장기적으로 운전자의 건강을 해치는 원인으로 작용하는바, 운전자가 바람직한 운전자세를 갖도록 도와주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다.
아울러, 차량의 주행환경(도로종류, 교통상황 등)을 반영하여,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운전자의 운전자세를 변경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몸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주행환경에 적응적인 운전자세를 갖게 하는 방안이 추가로 요구된다.
또한, 차량의 주행환경(도로종류, 교통상황 등) 및 운전자의 건강상태를 반영하여,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운전자의 운전자세를 변경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몸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운전자의 건강상태에 적응적인 운전자세를 갖게 하는 방안이 추가로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시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자세를 제어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시트의 위치정보 및 주행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자세를 제어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시트의 위치정보 및 주행환경정보와 운전자의 건강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자세를 제어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자세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성별과 신장과 앉은키와 체형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운전자의 성별, 키, 앉은키, 체중을 입력받는 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받은 운전자의 키와 앉은키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앉은키 구간을 결정하는 앉은키 구간 결정수단; 상기 입력받은 성별과 키 및 체중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체형 구간을 결정하는 체형 구간 결정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성별, 신장, 앉은키 구간, 체형 구간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자세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성별과 신장과 앉은키와 체형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운전자의 성별, 키, 앉은키, 체중을 입력받는 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받은 운전자의 키와 앉은키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앉은키 구간을 결정하는 앉은키 구간 결정수단; 상기 입력받은 성별과 키 및 체중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체형 구간을 결정하는 체형 구간 결정수단; 주행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성별, 신장, 앉은키 구간, 체형 구간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를 검출하되, 상기 검출한 시트의 위치에 상기 정보 수집수단이 수집한 주행환경정보를 부가하여 최종 시트의 위치와 높이를 결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자세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성별과 신장과 앉은키와 체형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운전자의 성별, 키, 앉은키, 체중을 입력받는 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받은 운전자의 키와 앉은키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앉은키 구간을 결정하는 앉은키 구간 결정수단; 상기 입력받은 성별과 키 및 체중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체형 구간을 결정하는 체형 구간 결정수단; 차종정보와 건강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성별, 신장, 앉은키 구간, 체형 구간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를 검출한 후 상기 정보 수집수단이 수집한 주행환경정보를 부가하여 최종 시트의 위치와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정보 수집수단이 수집한 건강정보를 부가하여 등받이의 각도를 결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시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자세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바른 운전자세를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시트의 위치정보 및 주행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자세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환경에 적응적인 운전자세를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시트의 위치정보 및 주행환경정보와 운전자의 건강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자세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건강상태에 적응적인 운전자세를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성별 및 신체정보에 따른 시트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차량 내 ECU(Electronic Control Units)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로서 시트, 미러, 스티어링 휠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시스템은, 자세제어장치(10), ECU(20), 시트 구동장치(30), 미러 구동장치(40), 스티어링 휠 구동장치(50)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세제어장치(10)는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시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시트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트의 위치에 상응하는 미러의 위치와 스티어링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ECU(20)를 통해 시트 구동장치(30), 미러 구동장치(40), 스티어링 휠 구동장치(50)를 제어한다. 이때, 시트의 위치에 따른 시트의 높이와 등받이의 각도 그리고 미러의 위치와 스티어링 휠의 위치는 사전 테스트를 통해 테이블 형태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자세제어장치(10)는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시트의 위치정보에 주행환경정보를 부가하여 최종 시트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트의 위치에 상응하는 시트의 높이와 미러의 위치 및 스티어링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ECU(20)를 통해 시트 구동장치(30), 미러 구동장치(40), 스티어링 휠 구동장치(50)를 제어한다.
또한, 자세제어장치(10)는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시트의 위치정보에 주행환경정보 및 운전자의 건강정보를 부가하여 최종 시트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트의 위치에 상응하는 시트의 높이와 등받이 각도 그리고 미러의 위치 및 스티어링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ECU(20)를 통해 시트 구동장치(30), 미러 구동장치(40), 스티어링 휠 구동장치(50)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ECU(20)는 차량 내 모든 전자장치를 컨트롤하는 전자제어장치로서,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플렉스레이(Flexray) 통신 등을 통해 자세제어장치(10)로부터 획득한 장치별 제어값에 따라 해당 전자장치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ECU(20)는 자세제어장치(10)로부터 획득한 제어값에 따른 구동신호를 기반으로 전자장치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ECU(20)는 제 1 내지 제 n 구동신호(A)를 기반으로 시트의 위치와 높이 및 등받이 각도 등을 조절하도록 시트 구동장치(30)를 제어한다. 이때 A는 시트 구동장치(30)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임을 나타낸다.
또한, ECU(20)는 제 1 내지 제 n 구동신호(B)를 기반으로 룸미러, 좌측 사이드미러, 우측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미러 구동장치(40)를 제어한다. 이때 B는 미러 구동장치(40)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임을 나타낸다.
또한, ECU(20)는 제 1 내지 제 n 구동신호(C)를 기반으로 스티어링 휠의 지지축 길이를 조절하도록 스티어링 휠 구동장치(50)를 제어한다. 이때 C는 스티어링 휠 구동장치(50)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임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시트 구동장치(30)는 ECU(20)로부터의 구동신호(A)를 기반으로 시트의 위치와 높이 및 등받이 각도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미러 구동장치(40)는 ECU(20)로부터의 구동신호(B)를 기반으로 룸미러, 좌측 사이드미러, 우측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스티어링 휠 구동장치(50)는 ECU(20)로부터의 구동신호(C)를 기반으로 스티어링 휠의 지지축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10)는, 저장부(11), 정보 입력부(12), 앉은키 구간 결정부(13), 체형 구간 결정부(14), 정보 수집부(15), 및 제어부(16)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저장부(11)는 성별(Sex)과 신장(Stature)과 앉은키(Sitting Stature)와 체형(BMI : Body Mass Index)에 따른 시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저장하고 있다. 즉, 저장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별과 신장과 다리길이를 유추하기 위한 앉은키 구간과 체형에 따른 시트의 위치로서, 브레이크 페달 또는 액셀레이터 페달의 중심(Center)으로부터 시트의 좌부와 등받이가 교차하는 지점까지의 직선거리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그래프는 운전자의 성별, 신장, 앉은키, 체형을 상호 유기적으로 적용하여 매우 정교하게 생성된 그래프로서, 그 정확성이 매우 높음을 일견(一見)에 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장부(11)는 시트의 위치에 따른 미러의 위치 및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기록한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
다음으로, 정보 입력부(12)는 차량 내 운전자로부터 운전자의 성별, 신장, 앉은키, 체중(Weight)을 입력받는다. 이때, 제어부(16)에 의해 정보 입력을 위한 안내화면이 화면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성별을 입력받기 위한 남/여 선택버튼을 제공하여 운전자로부터 성별을 입력받고, 키, 앉은키, 체중은 직접 수치로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앉은키 구간 결정부(13)는 정보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받은 운전자의 앉은키를 키로 나눈 결과값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앉은키 구간을 결정한다. 이때 앉은키 구간은 운전자의 다리 길이를 유추하기 위한 구간으로서, 일예로 A1 구간(0.551 이상), A2 구간(0.550~0.521), A3 구간(0.520 이하)으로 구분하며,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하기의 도 3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체형 구간 결정부(14)는 정보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받은 성별과 신장 및 체중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체형 구간을 결정한다. 즉, 체형 구간 결정부(14)는 운전자가 여성인 경우와 남성인 경우 각각에 대해서 일예로 비만구간(BMI 24 이상), 정상구간(BMI 24 미만 18.5 이상), 마른구간(BMI 18.5 미만)의 3구간으로 구분하며,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하기의 도 3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기로 한다.
이때, BMI 산출 방식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BMI = 체중 / (키)2
이때, 체중의 단위는 kg이고, 키의 단위는 m이다.
다음으로, 정보 수집부(15)는 차종정보, 주행환경정보(도로정보, 교통정보 등), 및 건강정보를 수집한다.
즉, 정보 수집부(15)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플렉스레이(Flexray) 통신 등을 통해 차종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정보 수집부(15)는 차량 내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연동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도로정보와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고, 이동통신이나 무선랜통신(와이브로, 와이파이 등)을 통해 외부의 서버(일예로 모젠(Mozen) 서버)로부터 현재 위치에서의 도로정보와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때, 도로정보는 고속도로, 일반도로 등을 포함하고, 교통정보는 현재 도로상황정보로서 정체정보(예를 들어, 전방 10Km 구간 정체 등)를 의미한다.
또한, 정보 수집부(15)는 이동통신이나 무선랜통신(와이브로, 와이파이 등)을 통해 외부의 서버(일예로 모젠(Mozen) 서버)로부터 운전자의 건강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때 모젠 서버는 운전자로부터 건강정보를 직접 입력받아 관리할 수도 있고, 운전자의 동의하에 병원 내 환자 관리 서버로부터 운전자의 건강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아울러 건강정보는 운전과 관련된 건강정보로서 일예로 허리 디스크 여부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는 저장부(11)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에 따른 시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시트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트의 위치에 상응하는 미러의 위치와 스티어링의 위치를 설정한다.
즉, 제어부(16)는 저장부(11)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에 따른 그래프를 기반으로, 상기 정보 입력부(12)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운전자의 성별 및 신장과, 상기 앉은키 구간 결정부(13)가 결정한 운전자의 앉은키 구간, 그리고 상기 체형 구간 결정부(14)가 결정한 운전자의 체형 구간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여성이고, 키가 168Cm, 앉은키가 75Cm, 체중이 48Kg인 경우, BMI가 17로 마른구간(330)에 해당되고, 앉은키 구간은 0.446으로서 A3 구간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조건에 맞는 시트의 위치 구간에서 그 중심값을 시트의 위치로 결정한다. 일예로 시트의 위치 구간이 950~970라고 할 때 시트의 위치는 960이 된다.
또한, 제어부(16)는 저장부(11)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에 따른 시트의 위치에 주행환경정보를 부가하여 최종 시트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트의 위치에 상응하는 시트의 높이를 설정한다.
즉, 제어부(16)는 저장부(11)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에 따른 그래프를 기반으로, 상기 정보 입력부(12)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운전자의 성별 및 신장과, 상기 앉은키 구간 결정부(13)가 결정한 운전자의 앉은키 구간, 그리고 상기 체형 구간 결정부(14)가 결정한 운전자의 체형 구간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를 검출하되, 상기 검출한 시트의 위치에 상기 정보 수집부(15)가 수집한 주행환경정보를 부가하여 최종 시트의 위치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시트의 높이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정체구간에 위치한 경우, 시트의 위치를 스티어링 휠 방향으로 소정 거리(일예로 9mm) 이동시키고, 시트의 높이를 기준치만큼(일예로 15mm) 높인다. 이때 정체구간은 도로의 종류에 따라 다른 기준을 적용한다. 즉, 시속 60Km의 속도제한이 있는 일반도로의 경우 일예로 시속 30Km 이하이면 정체구간으로 판단하고, 시속 80Km의 속도제한이 있는 자동차전용도로의 경우 일예로 40Km 이하이면 정체구간으로 판단하며, 시속 100Km 이상의 고속도로의 경우 일예로 50Km 이하이면 정체구간으로 판단한다.
이렇게 정체구간에서 시트의 위치를 전방(차량의 전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시트의 높이를 높이는 이유는, 저속구간에서의 전방 주시 시간이 고속구간에서의 전방 주시 시간보다 길게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운전자는 저속구간에서 주변의 경치나 차량의 전/후 및 좌/우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에 신경을 쓰려 하기 때문에 이를 돕기 위해 시트의 위치와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6)는 저장부(11)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에 따른 시트의 위치에 주행환경정보를 부가하여 최종 시트의 위치와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트의 위치와 높이에 건강정보를 부가하여 등받이의 각도를 결정한다.
즉, 제어부(16)는 저장부(11)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의 성별과 신체정보에 따른 그래프를 기반으로, 상기 정보 입력부(12)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운전자의 성별 및 신장과, 상기 앉은키 구간 결정부(13)가 결정한 운전자의 앉은키 구간, 그리고 상기 체형 구간 결정부(14)가 결정한 운전자의 체형 구간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를 검출한 후 상기 정보 수집부(15)가 수집한 주행환경정보를 부가하여 최종 시트의 위치와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정보 수집부(15)가 수집한 건강정보를 부가하여 등받이의 각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허리 디스크가 있는 경우, 시트의 등받이를 소정 각도 앞으로 제쳐 하체와 상체가 이루는 각을 좁힌다. 이때 등받이의 조절각도는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비만상태 > 정상상태 > 마른상태"를 만족한다.
일반적으로 허리디스크를 앓고 있는 운전자는 허리를 펴는 행동이 굉장히 불편하다. 이는 허리를 펼 때 디스크가 신경을 누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허리 디스크 환자의 운전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해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심혈관계질환(고혈압, 심근경색증, 협심증 등)을 앓고 있는 운전자의 경우에는, 혈액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등받이를 소정 각도 뒤로 제쳐 하체와 상체가 이루는 각을 넓힌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성별 및 신체정보에 따른 시트의 위치 범위를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도 3에서, x축은 운전자의 신장(단위 : Cm)을 나타내고, y축은 브레이크 페달의 중심으로부터 시트의 좌부와 등받이가 교차하는 지점까지의 직선거리(단위 : mm)를 나타낸다.
또한, A1은 앉은키를 신장(키)으로 나눈 값(신장 대비 앉은키의 비율)이 0.551 이상인 운전자가 속하는 구간을 나타내고, A2는 앉은키를 신장으로 나눈 값이 0.521~0.550인 운전자가 속하는 구간을 나타내며, A3는 앉은키를 신장으로 나눈 값이 0.520 이하인 운전자가 속하는 구간을 나타낸다.
이때, 각 구간은 "300"과 같이 구간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은 여성구간을 나타내고, 우측은 남성구간을 나타내며, 여성구간과 남성구간은 또다시 각각 3구간으로 구분하여 여성구간의 경우, 비만구간(310), 정상구간(320), 및 마른구간(330)을 포함하고, 남성구간의 경우 역시 비만구간(340), 정상구간(350), 및 마른구간(360)을 포함한다. 여기서 비만구간과 정상구간 및 마른구간은 균등 분할이 바람직하나, 가중치를 부여하여 분할 비율이 서로 다른 구간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여기서, "310" 구간에서 "360" 구간까지의 x축에 수평한 직선거리는 일예로 20mm 이고, 브레이크 페달의 중심으로부터 시트의 좌부와 등받이가 교차하는 지점까지의 직선거리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이는 170mm 이다.
결국, A1, A2, A3 구간 각각은 이러한 "300"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B1, B2는 한계선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 : 저장부 12 : 정보 입력부
13 : 앉은키 구간 결정부 14 : 체형 구간 결정부
15 : 정보 수집부 16 : 제어부

Claims (15)

  1. 차량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자세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성별과 신장(키)과 앉은키와 체형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운전자의 성별, 키, 앉은키, 체중을 입력받는 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받은 운전자의 키와 앉은키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앉은키 구간을 결정하는 앉은키 구간 결정수단;
    상기 입력받은 성별과 키 및 체중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체형 구간을 결정하는 체형 구간 결정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성별, 신장, 앉은키 구간, 체형 구간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위치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시트의 좌부와 등받이가 교차하는 지점까지의 직선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위치는,
    소정의 구간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앉은키 구간 결정수단은,
    상기 입력받은 운전자의 앉은키를 신장으로 나눈 결과값을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앉은키 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성별, 신장, 앉은키 구간, 체형 구간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시트의 위치에 상응하는 미러의 위치 및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6. 차량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자세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성별과 신장(키)과 앉은키와 체형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운전자의 성별, 키, 앉은키, 체중을 입력받는 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받은 운전자의 키와 앉은키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앉은키 구간을 결정하는 앉은키 구간 결정수단;
    상기 입력받은 성별과 키 및 체중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체형 구간을 결정하는 체형 구간 결정수단;
    주행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성별, 신장, 앉은키 구간, 체형 구간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를 검출하되, 상기 검출한 시트의 위치에 상기 정보 수집수단이 수집한 주행환경정보를 부가하여 최종 시트의 위치와 높이를 결정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위치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시트의 좌부와 등받이가 교차하는 지점까지의 직선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위치는,
    소정의 구간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앉은키 구간 결정수단은,
    상기 입력받은 운전자의 앉은키를 신장으로 나눈 결과값을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앉은키 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차량이 정체구간에 위치한 경우, 상기 시트의 위치를 전방(주행방향)으로 제1 기준치 이동시키고 상기 시트의 높이를 제2 기준치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11. 차량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자세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성별과 신장(키)과 앉은키와 체형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
    운전자의 성별, 키, 앉은키, 체중을 입력받는 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받은 운전자의 키와 앉은키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앉은키 구간을 결정하는 앉은키 구간 결정수단;
    상기 입력받은 성별과 키 및 체중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체형 구간을 결정하는 체형 구간 결정수단;
    차종정보와 건강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시트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성별, 신장, 앉은키 구간, 체형 구간에 상응하는 시트의 위치를 검출한 후 상기 정보 수집수단이 수집한 주행환경정보를 부가하여 최종 시트의 위치와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정보 수집수단이 수집한 건강정보를 부가하여 등받이의 각도를 결정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위치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시트의 좌부와 등받이가 교차하는 지점까지의 직선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위치는,
    소정의 구간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앉은키 구간 결정수단은,
    상기 입력받은 운전자의 앉은키를 신장으로 나눈 결과값을 기반으로 상기 운전자의 앉은키 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차량이 정체구간에 위치한 경우, 상기 시트의 위치를 전방(주행방향)으로 제1 기준치 이동시키고 상기 시트의 높이를 제2 기준치 높이며, 상기 시트의 등받이를 제3 기준치 각도 앞으로 제쳐 운전자의 하체와 상체가 이루는 각을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KR1020110093162A 2011-09-16 2011-09-16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KR101371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162A KR101371975B1 (ko) 2011-09-16 2011-09-16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DE102012205915A DE102012205915A1 (de) 2011-09-16 2012-04-11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Körperhaltung eines Fahrers
US13/448,568 US8682537B2 (en) 2011-09-16 2012-04-17 Posture control apparatus for driver
CN201210135520.4A CN102991442B (zh) 2011-09-16 2012-05-03 驾驶者姿势控制装置
JP2012150422A JP6184666B2 (ja) 2011-09-16 2012-07-04 運転者の姿勢制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162A KR101371975B1 (ko) 2011-09-16 2011-09-16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825A true KR20130029825A (ko) 2013-03-26
KR101371975B1 KR101371975B1 (ko) 2014-03-07

Family

ID=4775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162A KR101371975B1 (ko) 2011-09-16 2011-09-16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82537B2 (ko)
JP (1) JP6184666B2 (ko)
KR (1) KR101371975B1 (ko)
CN (1) CN102991442B (ko)
DE (1) DE1020122059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573B1 (ko) * 2013-04-05 2014-12-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시트의 압력 감지기를 통한 스마트형 운전자 인식장치
KR101520472B1 (ko) * 2013-10-18 2015-05-1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눈 위치 보정을 위한 차량 좌석 조절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842B1 (ko) * 2010-01-28 2010-12-17 팅크웨어(주) 차량용 내비게이션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블랙박스 정상 위치 유도 방법
CN103552489A (zh) * 2013-11-20 2014-02-05 广汽吉奥汽车有限公司 调节座椅的方法及装置
CN103612632B (zh) * 2013-11-29 2016-06-0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驾驶操作系统的调节方法和装置
US10328823B2 (en) 2014-06-09 2019-06-25 Lear Corporation Adjustable seat assembly
CN104118371A (zh) * 2014-08-10 2014-10-29 胡达广 用体重设置汽车系统
CN105774703A (zh) * 2014-12-25 2016-07-20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舒适度调节方法及系统
US10829072B2 (en) * 2015-04-10 2020-11-10 Robert Bosch Gmbh Detection of occupant size and pose with a vehicle interior camera
DE102015212451A1 (de) * 2015-07-02 2017-01-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r Festlegung einer Sitzposition in einem Fahrzeug
CN106004736B (zh) * 2016-06-30 2019-04-05 大连楼兰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调节汽车电动座椅的方法及系统
DE102016219165A1 (de) * 2016-10-04 2018-04-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Fortbewegungsmittel und Verfahren zur Auswertung eines Nutzungsverhaltens eines Anwenders bezüglich eines Sitzes eines Fortbewegungsmittels
CN108248460A (zh) * 2016-12-29 2018-07-06 乐视汽车(北京)有限公司 用于调整汽车座椅位置的方法、系统和汽车
CN107097739B (zh) * 2017-04-26 2020-06-09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座椅调整系统和方法
US10376068B2 (en) * 2017-04-28 2019-08-13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 Seat cushion
CN108784124A (zh) * 2017-05-04 2018-11-13 洪荣昭 椅垫倾斜度自动调整系统
CN106994915B (zh) * 2017-05-17 2023-01-24 合肥工业大学 一种基于驾驶人身体特征的驾驶座椅自适应调节装置
GB2566687A (en) * 2017-09-15 2019-03-27 Detroit Electric Ev Tech Zhejiang Limited System for arranging driving-position for driver of vehicle
CN110271506A (zh) * 2018-03-13 2019-09-24 蔚来汽车有限公司 用于自动调节车辆座椅的方法和装置
CN111071187A (zh) * 2018-10-19 2020-04-28 上海商汤智能科技有限公司 驾驶环境智能调整及驾驶员注册方法和装置、车辆、设备
KR102282348B1 (ko) * 2018-12-04 2021-07-27 주식회사 하이로닉 피부 미용 시술을 위한 시술 정보 제공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9664708A (zh) * 2019-01-31 2019-04-23 爱驰汽车有限公司 车辆及车身高度调整方法、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660965A (zh) * 2019-03-07 2020-09-15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车辆及其基于座椅调整的方向盘智能调节方法和装置
CN113795396B (zh) * 2019-05-09 2024-04-1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空调
CN112046428A (zh) * 2020-09-14 2020-12-08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车辆、调整驾驶座椅和后视镜的控制方法及装置
KR20220042886A (ko) 2020-09-28 2022-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운전 자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2339622B (zh) * 2020-11-10 2022-03-29 宁波均联智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座椅的调整方法、装置及车载系统
CN113415217B (zh) * 2021-07-21 2023-04-07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基于人体模型的自适应调节驾驶员座椅位置的控制方法
CN116101135A (zh) * 2023-02-24 2023-05-1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基于重量感应的座椅调整方法、系统、介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33613B (en) * 1978-09-27 1983-01-19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Vehicle seat adjusting apparatus
JPS5591428A (en) * 1978-12-28 1980-07-11 Tokyo Seat Kk Adjuster system for car seat
JP2768089B2 (ja) * 1991-10-31 1998-06-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KR970036390A (ko) * 1995-12-22 1997-07-22 배순훈 차량의 시트 및 미러위치 자동조절장치
KR19980066748U (ko) * 1997-05-20 1998-12-05 홍종만 자동차 시트의 조정장치
JP4085500B2 (ja) * 1999-01-29 2008-05-14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車両状況把握装置、エージェント装置、および、車両制御装置
US7167796B2 (en) * 2000-03-09 2007-01-23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navigation system for use with a telematics system
JP4599696B2 (ja) 2000-09-21 2010-12-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車の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調整装置
KR20040029210A (ko) 2002-09-25 2004-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능형 운전 환경 조정 시스템
JP2004182150A (ja) * 2002-12-05 2004-07-0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US7465272B2 (en) * 2004-02-12 2008-12-16 Yefim Kriger Vehicle with on-board dieters' self-acquiring overweight preventive system and method
JP4296963B2 (ja) * 2004-02-26 2009-07-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用健康診断装置および車載用健康診断方法
JP4367320B2 (ja) * 2004-11-15 2009-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上備品制御装置
JP4586507B2 (ja) * 2004-11-22 2010-1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運転姿勢制御装置
JP2006213150A (ja) 2005-02-03 2006-08-17 Calsonic Kansei Corp 運転位置設定装置
JP2007001500A (ja) * 2005-06-27 2007-01-11 Nissan Motor Co Ltd 運転姿勢調節装置
JP2007216751A (ja) * 2006-02-15 2007-08-30 Mazda Motor Corp 運転姿勢調節装置
JP4907443B2 (ja) * 2007-06-13 2012-03-28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車両用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制御装置
JP2009046026A (ja) * 2007-08-21 2009-03-05 Calsonic Kansei Corp 運転席調整システム
CN101393433B (zh) * 2007-09-21 2011-08-03 浙江天成座椅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舒适性安全性监测控制方法
KR20100033624A (ko) 2008-09-22 2010-03-3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블루투스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DE102008057861B4 (de) * 2008-11-18 2010-09-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automatischen Sitzverstellung und dessen Anwendung
US8958955B2 (en) * 2010-10-07 2015-02-17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System, methodologies, and components acquiring, analyzing, and using occupant body specifications for improved seating structures and environment configuration
TWI440573B (zh) * 2011-06-23 2014-06-11 Altek Corp 多模組辨識系統及其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573B1 (ko) * 2013-04-05 2014-12-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시트의 압력 감지기를 통한 스마트형 운전자 인식장치
KR101520472B1 (ko) * 2013-10-18 2015-05-1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눈 위치 보정을 위한 차량 좌석 조절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91442A (zh) 2013-03-27
US8682537B2 (en) 2014-03-25
DE102012205915A1 (de) 2013-03-21
US20130069402A1 (en) 2013-03-21
JP2013063761A (ja) 2013-04-11
JP6184666B2 (ja) 2017-08-23
CN102991442B (zh) 2016-06-08
KR101371975B1 (ko)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975B1 (ko) 운전자의 자세 제어 장치
CA2840981C (en) Systems, computer mediu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monitoring health and ergonomic status of drivers of vehicles
RU149358U1 (ru) Массаж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кресл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589427B1 (ko) 운전자 피로도 기반 차량운행 제어장치 및 방법
JP4846499B2 (ja) 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調整システム
US20190337521A1 (en) Method and control unit for operating a self-driving car
US201200537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 pedal map
MX2013009434A (es) Sistema y método de respuesta al comportamiento del conductor.
US20170202501A1 (en) Driving assistance system
CN112339622B (zh) 一种座椅的调整方法、装置及车载系统
US20220258771A1 (en) Method to detect driver readiness for vehicle takeover requests
CN109716411A (zh) 用以监测驾驶员的活动水平的方法和设备
CN110271506A (zh) 用于自动调节车辆座椅的方法和装置
JP2015194798A (ja) 運転支援制御装置
CN106740284B (zh) 一种座位调整方法及汽车
JP2009254544A (ja) 乗員情報取得装置及び乗員情報取得システ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WO2020039530A1 (ja) 運転者選定装置および運転者選定方法
WO2023084664A1 (ja) 運転技能評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車両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7117221B2 (ja) 睡眠提案方法及び睡眠提案装置
JP2012128654A (ja) 運転支援装置
WO2020065940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69754A (ja) 自動運転車両を運転するためのマップを作成し、供給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7549962B (zh) 一种电动助力转向系统的控制方法和电动助力转向系统
JP2019012299A (ja) 覚醒支援装置、覚醒支援方法、及び、覚醒支援プログラム
US20220315024A1 (en) System matching driver intent with forward-reverse gear se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