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412A - 전지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전지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412A
KR20130029412A KR20127032883A KR20127032883A KR20130029412A KR 20130029412 A KR20130029412 A KR 20130029412A KR 20127032883 A KR20127032883 A KR 20127032883A KR 20127032883 A KR20127032883 A KR 20127032883A KR 20130029412 A KR20130029412 A KR 20130029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s
temperature
fluid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3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233B1 (ko
Inventor
데츠오 하리이
사다노리 이시하라
츠토무 가와노
신야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7Types of temperature control for achieving uniformity or desired distribution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전지검사장치는, 전지지지부(42)를 통해 온도조절유체를 공급하고, 인접한 전지(40) 사이를 전지측면을 따라 그 유체를 흘리고, 접촉자지지부(46)를 통해 그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각 전지(40)를 온도조절하는 온도조절계통(60)을 구비한다. 접촉자지지부(46)는, 전지지지부(42)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접촉자(44)를 지지한다. 온도조절계통(60)은, 복수의 전지(40)의 각각을 향하는 에어플로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지(40)의 배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송풍구가 복수의 전지(40)에 대향하여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플로우팬(50)을 구비해도 된다.

Description

전지검사장치{Battery testing device}
본 발명은, 충방전 가능한 전지를 검사하기 위한 전지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편평(flat)형 전지의 충방전 및 검사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다수의 이차전지를 전지수납용기에 나열하여 배치하여 각 전지에 전극을 접속하고, 충방전 및 검사를 일괄하여 행한다. 이 충방전검사시스템은, 리튬폴리머전지의 냉각을 위하여, 지주의 상부에 장착한 천정판에 4개의 팬이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4-319334호 공보
전지검사장치에 있어서는, 검사중에 각 전지를 가능한 한 균일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검사중에 각 전지의 온도의 편차가 큰 경우에는, 정상적이지만 단지 방열이 불충분하여 승온되고 있는지, 그렇지 않으면 전지의 이상에 의하여 발열하고 있는지를 정밀도 좋게 판별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방전 가능한 복수의 전지를 일괄하여 검사할 때에 각 전지의 온도균일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지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느 양태는, 복수의 충방전 가능한 전지를 검사하기 위한 전지검사장치이다. 이 전지검사장치는, 전극을 가지는 제1 단면과, 제1 단면에 대향하는 제2 단면과, 제1 단면과 제2 단면을 접속하는 측면을 가지는 복수의 전지를, 인접한 전지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 적어도 일렬로 배열하기 위한 전지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전지의 배열에 대응하는 배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전지 각각의 전극에 접촉하여 각 전지에 전압을 주기 위한 복수의 접촉자와, 상기 전지지지부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접촉자를 지지하는 접촉자지지부와, 상기 전지지지부를 통해 온도조절유체를 공급하고, 인접한 전지 간에 전지측면을 따라 그 유체를 흘리고, 상기 접촉자지지부를 통해 그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각 전지를 온도조절하는 온도조절계통을 구비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전지지지부로부터 접촉자지지부로 전지측면을 따라 직선적으로 온도조절유체를 흘릴 수 있다. 흐름의 속도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해져서, 전지와 흐름의 열전달의 결과 얻어지는 온도분포의 균일성도 향상된다. 또한, 전극과 접촉자의 접촉부분을 통과한 흐름이 그대로 접촉자지지부를 통해 배출되므로, 전극에서의 접촉저항에 의한 발열의 영향을 억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복수의 충방전 가능한 전지를 적어도 일렬로 배열한 상태로 검사하는 전지검사장치이다. 이 장치는, 복수의 전지의 각각을 향하는 에어플로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지의 배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송풍구가 상기 복수의 전지에 대향하여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플로우팬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전지는, 전지 간에 상기 에어플로우를 흘리기 위한 유로를 가지도록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고,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송풍구로부터 송출되어 각 유로를 통과하는 에어플로우가 직선경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방전 가능한 복수의 전지를 일괄하여 검사할 때의 각 전지의 온도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검사장치의 전체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검사장치의 전력계통 및 통신제어계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검사대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검사대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검사대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검사대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검사대의 온도조절계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크로스플로우팬의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에어플로우 속도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플로우 속도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한 실시예에 관한 전지검사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검사장치(10)의 전체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검사장치(10)의 전력계통 및 통신제어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지검사장치(10)는, 다수의 이차전지를 일괄하여 검사하기 위하여 이들 다수의 이차전지의 충전 및 방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방전시험장치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전지검사장치(10)의 전력계통 및 통신제어계통이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면에 있어서, 각 요소를 접속하는 실선으로 전력선을 나타내고, 파선으로 통신제어선을 나타낸다.
전지검사장치(10)는, 전원장치(11)와 전지검사대(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원장치(11)와 전지검사대(12)는 각각 별개의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고, 접속케이블로 접속된다. 접속케이블에는 전력선과 제어선이 포함된다. 전원장치(11)와 전지검사대(12)는 예컨대 인접 또는 근접하여 설치되어도 된다. 혹은, 전원장치(11)는, 전지검사대(12)로부터 떨어져 설치되어도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원장치(11)와 전지검사대(12)의 접속배선량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전원장치(11)와 전지검사대(12)를 떨어뜨려 설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로 인하여, 전지검사장치(10)의 설치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전원장치(11)는, 전원회생컨버터(13), 정전압전원(14), 및 컨트롤러(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원회생컨버터(13)는, 외부전원(도시하지 않음)과 정전압전원(14)을 중계하고 있다. 외부전원은 예컨대, 공업용으로 공급되는 교류전원 등의 상용전원이다. 전원회생컨버터(13)는, 검사대(12)에 있어서 검사되는 전지를 충전할 때는 외부전원으로부터의 수전회로로서 기능하고, 전지를 방전할 때는 외부전원으로 전력을 되돌리도록 기능한다. 전원회생컨버터(13)는, 복수의 정전압전원(14)에 공통의 전원회생컨버터로서 설치되어 있다.
정전압전원(14)은,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회생컨버터(13)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조정해 출력한다. 정전압전원(14)의 출력을 이하에서는 편의상, 중간출력이라고 부른다. 정전압전원(14)은, 복수의 중간출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정전압전원(14)은, 복수의 채널(예컨대 수 채널 이상)을 가진다. 개개의 채널에, 승강압유닛(17)의 개개의 승강압컨버터(28)(도 2 참조)가 접속된다. 중간출력은, 검사대(12)에 탑재되어 있는 승강압유닛(17)에 공급된다. 중간출력은, 전지의 검사사양에 적합한 전압 및 전류보다 높은 전압 및 전류를 가진다. 정전압전원(14)은 예컨대 DC-DC컨버터이며, 바람직하게는 절연쌍방향 DC-DC컨버터이다.
정전압전원(14)은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정전압전원(14)이 전원회생컨버터(13)에 DC링크선(18)으로 접속되어 있다. 정전압전원(14)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DC링크선(18)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전압전원(14)이 5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것과 동수인 5개의 DC링크선(18)이 설치되어 있다. 각 정전압전원(14)은, 검사되는 전지를 충전할 때는 전원회생컨버터(13)로부터 DC링크선(18)을 통해서 전력의 공급을 받고, 전지를 방전할 때는 DC링크선(18)을 통해서 전원회생컨버터(13)로 전력을 공급한다.
컨트롤러(15)는, 전지검사대(12), 전원회생컨버터(13) 및 정전압전원(14)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15)와 전원회생컨버터(13)는 제1 통신제어선(19)에 의하여 접속되고, 컨트롤러(15)와 정전압전원(14)은 제2 통신제어선(21)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정전압전원(14)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제2 통신제어선(21)이 설치되어 있다. 제1 통신제어선(19) 및 제2 통신제어선(21)은, DC링크선(18)과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
전원회생컨버터(13), 정전압전원(14), 및 컨트롤러(15)는, 전원장치 인클로저(도시하지 않음)에 수용되어 있다. 전원장치 인클로저는, 예컨대 랙이나 프레임구조를 가지며, 전원회생컨버터(13), 정전압전원(14), 및 컨트롤러(15)를 수용하는 직육면체형상의 내부공간을 획정한다.
전원장치 인클로저는, 하부에 전원회생컨버터(13)를 수용하고, 상부에 컨트롤러(15)를 수용하며, 전원회생컨버터(13)와 컨트롤러(15) 사이에 복수의 정전압전원(14)을 수용하고 있다. 전원회생컨버터(13), 정전압전원(14), 및 컨트롤러(15)는, 전원장치 인클로저의 내부에 있어서 연직방향(즉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수용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전원장치(11)의 점유바닥면적(이른바 풋프린트)을 작게 할 수 있다. 전원장치(11)의 풋프린트는, 검사대(12)의 풋프린트와 동일한 정도나 그것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다만, 전원회생컨버터(13), 정전압전원(14), 및 컨트롤러(15)의 전원장치 인클로저 내부에 있어서 도시된 순서와는 상이한 순서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15)에는, 데이터처리유닛(16)이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처리유닛(16)은, 검사대(12)에서 얻어진 전지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의 측정데이터를 컨트롤러(15)를 통해 수집하여 기억한다. 데이터처리유닛(16)은,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부수되는 디스플레이나 프린터 등의 출력수단에 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처리유닛(16)은 예컨대 공지의 PC이다. 컨트롤러(15)와 데이터처리유닛(16)은, 예컨대 LAN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접속된다.
검사대(12)는, 검사대상인 다수의 전지를 매트릭스형상으로 나열하여 배치하기 위한 검사스테이지와, 전지를 검사하기 위한 접촉자 예컨대 프로브를 구비하는 프로브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브기구는, 검사부의 매트릭스 배열에 대응하는 배열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프로브를 구비한다. 즉, 전지검사대(12)는, 다수의 전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재치(載置)부가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검사스테이지와, 재치부의 매트릭스형상 배열에 대응하는 배열로 접촉자가 배열되어 있는 접촉자어레이를 구비한다.
전지검사대의 검사부에는, 전지의 재치위치가 재치부로서 획정되어 있다. 검사부의 각각은, 검사대상인 전지에 접촉하기 위한 검사용의 프로브와, 그 프로브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계측하여 아날로그 계측신호를 생성하는 계측회로(34)를 포함한다. 전지검사대(12)에 있어서 통신유닛(예컨대 리모트 I/O(92))은, 접촉자어레이를 사이에 두고 검사스테이지(예컨대 후술하는 전지지지부(42))와는 반대측에 설치된다. 검사스테이지로부터 보아 통신유닛 및 접촉자어레이는 동일한 측에 배치된다. 즉, 통신유닛은, 검사스테이지로부터 보아 프로브기구의 배후에 배치된다. 계측회로(34)는 접촉자어레이와 통신유닛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전지검사대(12)에 있어서의 기기의 배치는 검사스테이지로부터 접촉자어레이, 계측회로(34), 통신유닛의 순서가 된다. 이렇게 하여 계측회로(34)를 통신유닛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유닛과 계측회로(34)를 탑재하고 통신유닛과 계측회로(34)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어반(90)을 전지검사대(12)에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계측회로(34)와 통신유닛과의 배선길이를 극소로 할 수 있다.
검사대(12)는, 전지에 프로브를 접속 분리시키도록 검사스테이지와 프로브기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해도 된다. 검사스테이지는, 연직방향에 수직인 평면(예컨대 바닥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다수(예컨대 수십 개 이상)의 전지를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한다. 이 경우, 이동기구는 검사스테이지와 프로브기구의 연직방향의 상대이동을 제공한다.
검사대(12)의 케이싱(22)은, 검사스테이지 및 프로브기구를 수용한다. 또한, 케이싱(22)은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에 비상정지스위치(23)가 설치되어 있다. 긴급시에 조작자가 비상정지스위치(23)를 조작함으로써, 전지검사장치(1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비상정지스위치(23)는 전원장치(11)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전원장치(11)와 검사대(12)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검사대(12)에는, 복수(도면에 있어서는 5개)의 승강압유닛(17) 및 제어반(90)이 탑재되어 있다. 승강압유닛(17) 및 제어반(90)은, 케이싱(2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케이싱(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반(90)에는 리모트 I/O(92)(도 2 참조)가 수용되어 있다. 리모트 I/O(92)는 통신케이블(25)에 의하여 컨트롤러(15)에 접속되어 있다. 리모트 I/O 자체는 공지의 디바이스이므로, 그 구성의 상세는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케이블(25)은 다채널의 동기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통신선이다. 전원장치(11)로부터 검사대(12)로의 제어지령의 송수신, 및 검사대(12)로부터 전원장치(11)로의 측정데이터의 송신이 통신케이블(25)을 통해서 행해진다.
승강압유닛(17)의 각각은, 전력케이블(24)에 의하여 정전압전원(14)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전력케이블(24)은 예컨대, 어스선을 포함한 4심의 케이블이다. 승강압유닛(17)의 각각은, 통신선(26)에 의하여 리모트 I/O(92)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압유닛(17)의 수는, 정전압전원(14)의 수와 동일하고, 전력케이블(24)도 정전압전원(14)과 동수 설치되어 있다. 승강압유닛(17)이 제어반(90)에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다만, 제어반(90)에는, 승강압유닛(17)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전원모듈(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승강압유닛(17)은, 검사대(12)의 케이싱(22)에 있어서 검사스테이지가 배치되는 검사스테이지 구획과는 상이한 배치구획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압유닛(17)은 비교적 큰 전력을 취급하므로, 검사대(12)의 검사부로부터 떨어뜨려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승강압유닛(17)은, 검사대(12)의 단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사대상 중 불량의 전지로부터 가연성가스가 누출될 가능성을 상정한 대책으로서 유효할 것이다. 이 경우, 검사대(12)의 풋프린트를 유지하기 위하여, 승강압유닛(17)은 검사대(12)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검사스테이지가 배치되는 검사스테이지 구획에, 가연성가스를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팬 등의 배기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케이싱(22)은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외부공간으로부터 폐쇄하여, 수용물을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유지하는 구조이다. 케이싱(22)는, 내부공간을 획정하기 위한 벽부 및 도어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또한, 케이싱(22)은, 수용물이 외부에 개방되어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구조이어도 된다. 케이싱(22)은 예컨대, 랙, 틀체, 또는 프레임구조이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검사대(12)에 탑재된 승강압유닛(17)은, 복수의 승강압컨버터(28)와, 이들 승강압컨버터(28)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29)를 구비한다. 승강압유닛(17)은 예컨대, 복수의 승강압컨버터(28)와 제어회로(29)에 상당하는 전자회로가 구축되어 있는 전자기판을 구비한다. 제어회로(29)는, 통신선(26)을 통해서 리모트 I/O(92)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압유닛(17)은, 최대로 정전압전원(14)의 채널 수와 동일한 수의 승강압컨버터(28)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압유닛(17)은, 정전압전원(14)의 채널수에 동일한 수의 승강압컨버터(28)를 구비한다. 승강압유닛(17)에 포함되는 복수의 승강압컨버터(28)는, 공통의 전력케이블(24)로 대응하는 정전압전원(14)에 접속되어 있다.
검사대(12)에 있어서는, 합계하면, 검사스테이지의 검사부에 대응하는 수의 승강압컨버터(28)가 설치되어 있다. 즉, 검사부마다 하나의 승강압컨버터(28)가 대응지어져 있고, 검사부와 동수의 승강압컨버터(28)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압컨버터(28)는, 정전압전원(14)으로부터 전력케이블(24)을 통해서 입력되는 중간출력을, 검사사양에 적합한 전압 및 전류로 조정한다. 승강압컨버터(28)의 출력은 프로브기구의 각 프로브를 통해서 부하(35)에 부여되어, 검사를 위하여 사용된다. 부하(35)는 예컨대, 검사대상인 이차전지(40)(도 3 참조)이다.
또한, 각 검사부에 대응하여 계측회로(34)가 설치되어 있다. 계측회로(34)는 검사부에 부수되어, 검사부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계측회로(34)는, 각 프로브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하여 부하(35)의 상태를 계측한다. 계측회로(34)는, 예컨대 온도계측회로, 전압계측회로, 및 전류계측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부하(35)의 온도, 전압,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계측한다. 계측회로(34)는 부하(35)의 상태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계측신호를 생성하는 아날로그 센서로서 구성되어 있다.
계측회로(34)와 리모트 I/O(92)는 아날로그 통신선(27)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개개의 계측회로(34)에 대응하여 아날로그 통신선(27)이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계측회로(34)의 출력이 리모트 I/O(92)에 입력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검사대(12)에 하나의 리모트 I/O(92)가 설치되고, 모든 계측회로(34)의 출력이 그 리모트 I/O(92)에 입력되어도 된다. 혹은, 복수의 리모트 I/O(92)가 설치되고, 각 리모트 I/O(92)에 대응하는 복수의 계측회로(34)의 출력이 입력되어도 된다. 리모트 I/O(92)는, 통신케이블(25)을 통해 측정데이터를 전원장치(11)의 컨트롤러(15)로 송신한다. 측정데이터는 컨트롤러(15)에 의하여 중계되고, 다시 데이터처리유닛(16)으로 보내진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검사대(12)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검사를 위하여 전지(40)가 반입(또는 검사 후에 반출)될 때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검사 중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6은 각각,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의 주요부를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시한 바와 같이 XYZ직교좌표계를 정한다. 즉, 전지(40)의 배열방향을 X방향, 연직방향을 Y방향, 양자에 직교하는 방향을 Z방향으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지검사대(12)는, 전지지지부(42)와, 접촉자(44)와, 접촉자지지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은 케이싱(22)에 수용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지지지부(42)와 접촉자지지부(46)는 대향하고, 양자간에 전지배열공간(48)이 형성된다. 전지지지부(42)는, 접촉자지지부(46)의 연직방향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전지지지부(42)의 하측에는, 전지(40)의 온도조정을 하기 위한 크로스플로우팬(50)이 장착되어 있다.
전지(40)는, 전극(41)을 가지는 제1 단면과, 제1 단면에 대향하는 제2 단면과, 제1 단면과 제2 단면을 접속하는 측면을 가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전지(40)는 직육면체형상을 가지며, 제1 단면을 상측으로 하고 제2 단면을 하측으로 하고, 측면을 서로 대향시켜 각 전지(40)가 수평방향(X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전지(40)는, 인접한 전지(40)와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전지(40)의 측면은 연직방향(Y방향)에 평행한 평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지(40)는, 팔레트(52)에 지지된 상태로 전지검사대(12)에 반입되고 검사되고 반출된다.
도 3에 있어서는 팔레트(52)의 반입출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팔레트(52) 및 거기에 탑재된 전지(40)의 전지지지부(42)에 반입되었을 때의 위치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팔레트(52) 및 전지(40)는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팔레트 자동반입장치에 의하여 전지검사대(12)에 반입 또는 반출된다. 그로 인하여, 전지검사대(12)의 측벽의 일부가 개폐 가능한 도어(54)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어(54)는, 전지(40)의 반입출시에는 개폐되고, 전지(40)의 검사시에는 폐쇄된다. 도어(54)를 닫음으로써, 전지배열공간(48)은 검사 중에 외부공간으로부터 구획된다.
전지지지부(42)는, 검사대상이 되는 복수의 전지를 재치하고 지지하기 위한 지지테이블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전지지지부(42)는 전지(40)를 직접 지지하는 대신에, 전지(40)를 탑재한 팔레트(52)를 지지함으로써 전지(40)를 지지한다. 전지지지부(42)는 연직방향의 이동기구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된다(도 5 참조). 전지지지부(42)의 이동에 따라 팔레트(52)와 함께 전지(40)가 이동되어, 전지(40)의 전극(41)과 접촉자(44)가 접속 분리된다.
지지테이블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은, 크로스플로우팬(50)으로부터 송출되어 각 전지(40)를 향하는 에어플로우를 정류하기 위한 정류공간으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이 공간을 외부로부터 구획하기 위하여, 지지테이블은, 전지(40)를 지지하기 위한 전지지지플레이트와, 크로스플로우팬(5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플레이트와, 전지지지플레이트와 장착플레이트를 양자의 단부끼리 접속하는 측면플레이트를 구비해도 된다.
접촉자(44)는, 각 전지(40)의 전극(41)에 접촉하여 각 전지(40)에 전압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지(40)의 온도, 전압, 전류 등을 측정하기 위한 접촉자(도시하지 않음)도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접촉자(44)는, 복수의 전지(40)의 배열에 대응하는 배열로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6개의 전지가 서로 측면을 대향시켜 일렬로 나열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6세트의 접촉자(44)가 동일하게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한 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전지(40)에 2개의 전극(41)이 설치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2개의 접촉자(44)가 설치되어 있다(도 4, 도 6 참조).
각 접촉자(44)는 접촉자지지부(46)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접촉자지지부(46)는 예컨대 접촉자(4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이고, 전지지지부(42)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플레이트로부터 각 접촉자(44)는 전지지지부(42)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전지지지부(42)와는 반대측에는, 상기 서술한 계측회로(34)나 승강압유닛(17), 리모트 I/O(92) 등의 각종 전장(電裝)품(56)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도 4 참조). X방향에 관하여 도어(54)와 반대측에서, 전지검사대(12)를 전원장치(11)에 접속하는 전력케이블(24) 및 통신케이블(25)이 뻗어 있다.
이 전장품 수용공간은 접촉자지지부(46)에 의하여 전지배열공간(48)으로부터 구획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지배열공간(48)으로부터 배기되는 에어플로우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공간으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이 배기공간도 또한, 상기 서술한 정류공간 및 전지배열공간(48)과 마찬가지로 외부공간으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도 4,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지(40)는 1열로 배열되고, 6개의 전지(40)를 전지검사대(12)에 수용 가능하다. 전지검사대(12)에 더욱 다수의(또는 소수의) 전지를 수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배열방향(X방향)의 개수를 보다 많이 해도 되고, 전지(40)의 열수를 2열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전지지지부(42)와, 접촉자(44)와, 접촉자지지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지검사유닛을 연직방향으로 복수 적층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일괄하여 검사 가능한 전지의 수를 늘릴 수 있다.
각각의 전지열마다 전지배열공간(48)이 형성되고, 크로스플로우팬(50)도 전지열마다 장착되어 있다. 크로스플로우팬(50)은, 전지(40)의 배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크로스플로우팬(50)은 송풍구가 전지(40)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방향(Z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전지(40)를 향하여 상방(Y방향)으로 송풍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플로우팬(50)의 배열방향의 길이는 전지(40)의 배열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각 전지의 바로 아래에 팬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각 전지 주위의 공기흐름 속도분포를 공통으로 할 수 있다. 다만, 하나의 전지열에 대하여 복수의 크로스플로우팬(50)을 전지배열방향을 따라 설치해도 되고, 복수의 전지열이 하나의 크로스플로우팬(50)을 공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온도조절유체의 공급원은 크로스플로우팬에 한정되지 않는다. 크로스플로우팬 대신에, 예컨대 팬, 서큘레이터, 블로어 등의 송풍기가 전지(40)의 배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송풍기는 전지배열방향으로 뻗는 길고 가는 송풍구를 구비하고, 이 송풍구는 각 전지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구와 전지 사이에 정류판을 병용하여 흐름의 균일성을 높여도 된다. 이렇게 하여 인접하는 전지 사이의 유로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에어플로우 속도분포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온도조절유체의 공급원은, 환경공기 이외의 온도조절기체, 혹은 액체를 전지표면을 따라 흘려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검사대(12)의 온도조절계통(6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온도조절계통(60)은, 온도조절유체와 전지표면과의 대류열전달에 의한 온도조절을 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지(40)가 배열되는 전지배열공간(48)에 온도조절유체를 공급하고 전지배열공간(48)으로부터 온도조절유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온도조절유체는 크로스플로우팬(5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이고, 온도조절계통(60)은, 크로스플로우팬(5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최종적으로는 배기덕트(62)로 배기한다. 온도조절계통(60)은, 전지지지부(42)를 통해 크로스플로우팬(50)으로부터 에어플로우를 공급하여, 접촉자지지부(46)를 통해 에어플로우를 배기덕트(62)로 배출한다. 에어플로우가 인접한 전지(40) 사이를 전지측면을 따라 흐름으로써 각 전지(40)가 온도조절된다. 검사중에는 통상 각 전지(40)로부터의 발열이 생기므로, 에어플로우에 의하여 각 전지(40)가 원하는 온도범위로 냉각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플로우팬(50)으로부터, 서로 인접한 정류공간(70), 전지배열공간(48), 및 배기공간(72)으로 에어플로우가 흘러, 배기덕트(62)로부터 배출된다. 정류공간(70)은 예컨대 전지지지부(42)의 내부공간이고, 배기공간(72)은 접촉자지지부(46)의 상방의 공간이다. 배기공간(72)에 배기덕트(62)가 접속되어 있다. 다만, 복수의 전지열을 수용 가능하게 전지검사대(12)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온도조절계통(60)은 전지열마다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전지(40)는, 배열방향에 인접한 다른 전지(40)와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지표면을 따라 온도조절유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온도조절유로(64)를 가지도록 배열되어 있다. 즉, 인접한 2개의 전지(40)의 측면에 따라 온도조절유로(64)가 획정되고, 배열방향으로 전지(40)와 온도조절유로(64)가 교대로 나열되어 있다.
온도조절유로(64)에 온도조절유체를 흘리기 위한 복수의 공급구(66)가 유로배치에 대응하는 배열로 전지지지부(42)에 형성되고, 온도조절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기구(68)가 동일한 배열로 접촉자지지부(46)에 형성되어 있다. 즉, 각 공급구(66)는 인접한 전지(40)의 지지위치 사이에 형성되고, 각 배기구(68)는 인접한 접촉자(4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인접한 전지(40) 간의 온도조절유로(64)와, 각 공급구(66)와, 각 배기구(68)가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크로스플로우팬(50)의 송풍구가 각 공급구(66)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크로스플로우팬(50)의 송풍구로부터 송출되어 각 유로(64)를 통과하는 에어플로우가 직선경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급구(66)가 정류공간(70)과 전지배열공간(48)을 연통하고 있다. 정류공간(70)은, 크로스플로우팬(50)으로부터 송출된 에어플로우를, 크로스플로우팬(50)의 배치방향(즉 전지배열방향) 및 에어플로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7의 Z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정류공간(70)에 의하여 에어플로우를 확산시킴으로써 전지(40)의 폭방향의 속도분포를 가능한 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 균일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정류공간(70)의 Y방향 높이를 크게 하거나, 또는 하나의 전지열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복수의 크로스플로우팬(50)을 배치해도 된다. 한편, 정류공간(70)의 Y방향 높이를 작게 함으로써, 전지검사대(12)의 높이를 작게 하는 것을 중시해도 된다.
공급구(66)에는, 정류용의 구획판(78)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구획판(78)은 예컨대 팔레트(52)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구획판(78)은 공급구(66)로부터 전지배열공간(48)의 중간부근까지 뻗어 있지만, 이보다 길거나 또는 짧아도 된다. 예컨대 구획판(78)은 공급구(66)부터 배기구(68)까지 뻗어 있어도 된다. 이 구획판(78)은, 어느 전지(40)로부터 인접한 전지(40)로의 복사열을 방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어느 전지가 이상 발열했을 때의 그 전지로부터 주위의 전지로의 가열을 억제할 수 있다.
배기구(68)가 전지배열공간(48)과 배기공간(72)을 연통하고 있다. 배기공간(72)은, 전지배열공간(48)을 흐른 에어플로우를 배기덕트(62)로 유도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장품(56)이 배기공간(72)에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에어플로우를 전장품(56)의 냉각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장품(56)은, 배기덕트(62)를 향하는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기공간(72)의 중심부분을 개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장품(56)은 예컨대, 배기공간(72)을 외부공간으로부터 구획하는 벽부를 따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온도조절계통(60)의 연직방향 최하부에 온도조절유체공급원으로서의 크로스플로우팬(50)이 설치되고, 연직방향 상방을 향하여 정류공간(70), 전지배열공간(48), 배기공간(7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크로스플로우팬(50)으로부터 송출된 에어플로우는 연직방향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흐른다. 전지(40)의 발열에 의한 자연대류도 연직방향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흐른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크로스플로우팬(50)에 의한 강제대류에 자연대류를 병용하여 전지배열공간(48)으로부터 온도조절유체를 배기할 수 있다. 전지(40)의 발열에 의한 자연대류에 기인하는 공기의 정체나 전지로의 재가열 등의 온도균일성으로의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극(41)과 접촉자(44)의 접촉부분을 통과한 흐름이 그대로 배기구(68)로 배기되므로, 접촉저항에 의한 발열의 영향을 억제할 수도 있다.
다만, 에어플로우의 흐름방향은 연직방향 하방에서 상방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자연대류나 접촉저항의 영향이 그다지 크지 않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연직방향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에어플로우를 흘리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크로스플로우팬(50)은 예컨대 전지검사대(12)의 천정플레이트에 장착된다. 혹은, 에어플로우를 수평방향으로 흘리도록 해도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크로스플로우팬(50)의 냉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로스플로우팬(50)은, 당해 팬의 길이방향말단에 장착된 모터(74)에 의하여 구동된다. 모터(74)는, 전지(40)의 배열방향(X방향)에 있어서 가장 외측의 전지(40)보다 더욱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에어플로우의 흐름방향으로부터 보아 전지(40)의 배열에 모터(74)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모터(74)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모터(74)의 발열이 전지(40)에 주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전형적인 축류(軸流)팬의 경우에는 팬의 중심부에 모터가 있으므로, 모터의 발열이 팬의 기류에 의하여 전방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축류팬으로 전지(40)로 송풍하는 경우에는, 모터(15)의 발열이 기류를 타고 전지(40)로 향하게 된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터(74)를 냉각하기 위한 송풍기(76)가 더욱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76)에 의하여 모터(74)는 냉각되어, 모터(74)의 발열의 영향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송풍기(76)는 예컨대, 크로스플로우팬(50)이 송출하는 공기흐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직교방향)의 공기흐름을 모터(74)에 송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76)는, 크로스플로우팬(50)과 동일하게 전지지지부(42)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전지검사대(12)는, 복수의 전지(40)의 배열의 주위를 둘러싸는 덮개(53)를 구비해도 된다(도 4, 도 6, 도 7 참조). 덮개(53)는, 전지(40)의 검사중에 온도조절유체가 흐르는 전지배열공간(48)을 크로스플로우팬(50)의 흡기구(55)로부터 격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덮개(53)는, 전지(40)의 배열의 사방 각각에 있어서 접촉자지지부(46)로부터 하방으로 뻗은 4장의 평판을 구비한다. 덮개(53)의 말단은, 전지지지부(42)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전지(40)가 접촉자(44)에 접속되었을 때에 전지지지부(42)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지(40)의 배열을 둘러싸는 공간이 구획된다. 덮개(53)에 의하여, 접촉자지지부(46)를 통해 배출되어야 할 온도조절유체의 유출 또는 누출이 억제된다. 전지(40)를 냉각함으로써 가열된 온도조절유체가 크로스플로우팬(50)의 흡기구(55)에 재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만, 덮개(53)는, 전지지지부(42)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접촉자지지부(46)로부터 하방으로 뻗은 상기 서술한 덮개(53) 대신, 덮개(53)는 예컨대 전지지지부(42)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9는, 비교예로서 축류팬을 사용했을 때의 에어플로우 속도분포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지배열공간(48)에 있어서의 전지(40) 주위의 에어플로우 속도분포가 그레이스케일로 나타나 있다. 백색일수록 고속이고, 흑색일수록 저속인 것을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는, 크로스플로우팬(50) 대신, 전지지지부(42)의 하측중심부에 축류팬을 하나 장착했을 때의 에어플로우 속도분포이다.
언뜻 보아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한 전지(40) 사이의 유로(a 내지 e)의 속도분포가 불균일하다. 이는, 축류팬으로부터 송출되는 흐름이 선회방향의 속도성분(즉 XZ면 내의 속도성분)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 선회흐름이 전지배열공간(48)에 진입함으로써, 전지주위의 공기흐름 속도분포가 전지의 배열위치에 따라 바뀌어 버린다. 예컨대 유로(a)에 있어서는 유로(c)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고속이다. 따라서, 유로(c)에 접하는 전지(40)의 냉각은, 유로(a)에 접하는 전지(40)보다 불충분하게 되기 쉽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플로우 속도분포의 시뮬레이션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시뮬레이션결과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서술한 바와 같이, 전지지지부(42)의 하측에 전지배열방향을 따라 크로스플로우팬(50)을 하나 장착했을 때의 에어플로우 속도분포이다. 크로스플로우팬(50)으로부터의 흐름은 직선적이고, 선회성분을 갖지 않는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접한 전지(40) 사이의 유로(a 내지 e)의 속도분포는 대략 공통되어 있다. 즉, 유로(a 내지 e)에는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분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전지도 균등하게 냉각된다고 생각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검사되어야 할 전지 각각의 바로 아래에 팬이 설치되어 있고, 그 팬으로부터 공기가 전지주위를 직선적으로 흐르도록 공급된다. 검사중인 전지표면과의 대류열전달에 의하여 데워진 공기는 상방의 배기구로부터 배기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전지의 위치에 관계없이 전지주위에는 실질적으로 공통의 공기흐름 속도분포가 형성되므로, 각 전지를 균일하게 온도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크로스플로우팬(50)을 채용함으로써, 일렬로 나열된 전지 각각의 바로 아래에 팬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흐름의 선회성분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도 없다. 또한, 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전지배열공간의 외부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모터발열의 영향도 억제된다. 모터냉각용의 팬도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지주위의 에어플로우 속도분포 나아가서는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또한 팬구동용 모터의 열이 전지검사에 주는 영향을 실질적으로 없앤 전지검사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1은, 한 실시예에 관한 전지검사대(12)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덮개(153)의 구성이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개소에 대해서는 장황함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덮개(153)는, 전지(40)의 검사중에 온도조절유체가 흐르는 전지배열공간(48)을 크로스플로우팬(50)의 흡기구(55)로부터 격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덮개(153)는, 전지(40)의 배열의 전체둘레를 둘러싼다. 덮개(153)는, 전지(40)의 배열의 주위에 있어서 접촉자지지부(46)로부터 하방으로 뻗어 있다. 도 4,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덮개(53)의 말단이 곧게 뻗어 있는 것과는 상이하게, 덮개(153)의 말단에는, 전지배열공간(48)의 내방으로 뻗은 굴곡부(94)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153)는 예컨대, 금속의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94)는, 덮개(153)의 전체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94)의 선단은, 전지지지부(42)의 상하이동에 따라 전지(40)가 접촉자(44)에 접속되었을 때에 팔레트(52)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굴곡부(94)의 선단이 팔레트(52)의 측면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굴곡부(94)의 선단이 팔레트(52)의 상면에 맞닿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지(40)의 배열을 둘러싸는 공간이 구획된다. 따라서, 전지(40)의 배열을 둘러싸는 공간은, 덮개(153)에 의하여 크로스플로우팬(50)의 흡기구(55)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전지(40)로부터 접촉자지지부(46)로 향하는 온도조절유체는, 전지(40)를 냉각함으로써 가열되고 있다. 덮개(153)에 의하여, 접촉자지지부(46)를 통해 배출되어야 할 온도조절유체의 유출 또는 누출이 억제된다. 이렇게 하여 온도조절유체가 크로스플로우팬(50)의 흡기구(55)에 재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크로스플로우팬(50)의 주위의 기체가 정밀하게 온도조절되고 있는 경우에는, 전지(40)를 냉각하여 가열된 유체에 의한 온도변동을 막기 위하여, 덮개(15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부(94)의 선단에는 씰(96)이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씰(96)은, 덮개(153)의 전체둘레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씰(96)은 예컨대 고무로 되어 있다. 덮개(153)와 팔레트(52)가 씰(96)을 통해 맞닿음으로써, 온도조절유체의 누출을 보다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전지지지부(42)의 이동방향(즉 Y방향)에 있어서의 덮개(153)의 말단위치(굴곡부(94)의 위치)는, 전지(40)를 탑재한 팔레트(52)를 반송할 때에 덮개(153)와 전지(40)(또는 팔레트(52))가 간섭되지 않도록 설계된다. 즉, 전지지지부(42)가 팔레트(52)를 반송하기 위한 위치에 있을 경우에, 덮개(153)의 말단이 전지(40)(또는 팔레트(52))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설계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덮개(53)에 비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덮개(153)의 말단(굴곡부(94))은 높은 위치(Y방향 상방)에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덮개(153)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팔레트(52)를 전지검사대(12)에 반송할 때의 전지지지부(42)의 위치도 높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지지지부(42)의 이동스트로크가 짧아져, 전지검사대(12)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 설계변경이 가능하며,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점이다.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지(40)는 전극(41)을 상향으로 하여(말하자면 세로로) 팔레트(52)에 놓여져 있지만, 전지(40)를 놓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지(40)는 전극(41)을 가로로 향하도록 하여 팔레트(52)에 놓여져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덮개(153)는 접촉자지지부(46)로부터 하방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지만, 덮개(153)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덮개(153)는, 전지지지부(42)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덮개(153)는, 전지지지부(42)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덮개(153)는 판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덮개(153)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덮개(153)는 막(膜)형상의 부재이어도 된다. 이 경우, 덮개(153)는, 예컨대, 전지(40)의 배열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달려 있는 커튼이어도 된다.
10 전지검사장치
11 전원장치
12 전지검사대
13 전원회생컨버터
14 정전압전원
15 컨트롤러
16 데이터처리유닛
17 승강압유닛
18 DC링크선
19 제1 통신제어선
21 제2 통신제어선
22 케이싱
23 비상정지스위치
24 전력케이블
25 통신케이블
26 통신선
27 아날로그 통신선
28 승강압컨버터
29 제어회로
34 계측회로
35 부하
40 전지
41 전극
42 전지지지부
44 접촉자
46 접촉자지지부
48 전지배열공간
50 크로스플로우팬
52 팔레트
53 덮개
54 도어
56 전장품
60 온도조절계통
62 배기덕트
64 온도조절유로
66 공급구
68 배기구
70 정류공간
72 배기공간
74 모터
76 송풍기
90 제어반
92 리모트 I/O

Claims (9)

  1. 복수의 충방전 가능한 전지를 검사하기 위한 전지검사장치로서,
    전극을 가지는 제1 단면과, 제1 단면에 대향하는 제2 단면과, 제1 단면과 제2 단면을 접속하는 측면을 가지는 복수의 전지를, 인접한 전지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 적어도 일렬로 배열하기 위한 전지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전지의 배열에 대응하는 배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전지 각각의 전극에 접촉하여 각 전지에 전압을 부여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자와,
    상기 전지지지부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접촉자를 지지하는 접촉자지지부와,
    상기 전지지지부를 통해 온도조절유체를 공급하고, 인접한 전지 사이에 전지측면을 따라 상기 유체를 흘리고, 상기 접촉자지지부를 통해 상기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각 전지를 온도조절하는 온도조절계통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지지지부에는 온도조절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복수의 공급구가 형성되고, 각 공급구는 인접한 전지의 지지위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자지지부에는 온도조절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되고, 각 배출구는 인접한 접촉자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인접한 전지 사이의 온도조절유체유로와, 각 공급구와, 각 배출구가 직선적으로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검사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지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전지를 수평방향으로 배열하고,
    상기 온도조절계통은, 상기 전지지지부의 연직방향 하방에 설치된 온도조절유체의 공급원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자지지부는, 상기 전지지지부의 연직방향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검사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계통은, 온도조절유체로서의 환경공기를 전지에 송풍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지의 배열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플로우팬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검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상기 배열방향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전지의 배열의 길이보다 길고, 실질적으로 공통의 공기흐름 속도분포가 각 전지의 주위에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검사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상기 배열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지의 배열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검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냉각하기 위한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검사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지지부를 통해 배출되어야 할 상기 온도조절유체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지의 배열의 주위를 둘러싸는 덮개를 더욱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검사장치.
  9. 복수의 충방전 가능한 전지를 적어도 일렬로 배열한 상태로 검사하는 전지검사장치로서,
    복수의 전지의 각각을 향하는 에어플로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전지의 배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송풍구가 상기 복수의 전지에 대향하여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플로우팬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전지는, 전지 사이에 상기 에어플로우를 흘리기 위한 유로를 가지도록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고, 상기 크로스플로우팬의 송풍구로부터 송출되어 각 유로를 통과하는 에어플로우가 직선경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검사장치.
KR1020127032883A 2010-08-23 2011-08-22 전지검사장치 KR101411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86393 2010-08-23
JPJP-P-2010-186393 2010-08-23
PCT/JP2011/004656 WO2012026105A1 (ja) 2010-08-23 2011-08-22 電池検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412A true KR20130029412A (ko) 2013-03-22
KR101411233B1 KR101411233B1 (ko) 2014-06-24

Family

ID=4572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883A KR101411233B1 (ko) 2010-08-23 2011-08-22 전지검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66861B2 (ko)
JP (1) JP5468140B2 (ko)
KR (1) KR101411233B1 (ko)
CN (1) CN103069293B (ko)
TW (1) TWI466359B (ko)
WO (1) WO201202610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685A (ko) * 2013-08-30 2015-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방전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의 활성화 방법
WO2019240379A1 (ko) * 2018-06-12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이동형 온도측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충방전 장치
WO2020130372A1 (ko) * 2018-12-21 2020-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이동형 온도측정기구 및 냉각팬을 포함하는 충방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1369A (ja) * 2014-04-09 2015-11-12 株式会社東芝 バッテリ冷却装置
JP6571359B2 (ja) * 2015-03-24 2019-09-04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充放電検査装置
CN106970335A (zh) * 2017-05-15 2017-07-21 惠州市忠邦电子有限公司 电流电压平衡测试仪
TWI653456B (zh) 2017-08-23 2019-03-11 致茂電子股份有限公司 電池化成裝置及其針盤結構
JP6470804B1 (ja) * 2017-08-31 2019-02-13 株式会社ソフトエナジーコントロールズ コンタクト機能付きマルチチャンネル充放電電源
CN109713385B (zh) * 2017-10-25 2021-08-06 致茂电子(苏州)有限公司 电池化成系统及其针盘
TWI643375B (zh) * 2017-10-25 2018-12-01 Chroma Ate Inc. 電池化成系統及其針盤
CN109752661A (zh) * 2019-01-29 2019-05-14 深圳鼎阳智能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方形锂电池测试的化成柜
WO2021171709A1 (ja) * 2020-02-26 2021-09-02 村田機械株式会社 電池検査システム
JP7441765B2 (ja) 2020-09-15 2024-03-01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二次電池の検査方法
JP7015026B1 (ja) 2020-12-23 2022-02-02 東洋システム株式会社 二次電池充放電試験装置
WO2022189012A1 (de) * 2021-03-08 2022-09-15 Smartiq Innovation Technology Gmbh Messzelle für batteriemodule, batteriemodul und batterie
CN113093009B (zh) * 2021-03-31 2022-05-27 朗屹环保科技(山东)有限公司 一种铅酸电池内部极板检查设备
CN117599865B (zh) * 2024-01-23 2024-04-26 宁德博发正昱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电芯环境测试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338A (ko) * 1995-06-30 1997-01-24 김광호 전지잔존용량 측정방법 및 장치
JPH10308242A (ja) * 1997-05-07 1998-11-17 Fuji Photo Film Co Ltd 電池の充放電設備
JP2001291531A (ja) * 2000-04-05 2001-10-19 Nec Machinery Corp 充放電装置
JP4121793B2 (ja) * 2002-07-15 2008-07-23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電源装置
JP2004319334A (ja) 2003-04-17 2004-11-11 Nittetsu Elex Co Ltd 扁平型電池の充放電及び検査システム
TW200905946A (en) * 2007-07-20 2009-02-01 shun-chang Zhang Method of testing batteries and device used thereby
JP4153021B1 (ja) * 2007-10-22 2008-09-17 日清紡績株式会社 太陽電池の検査装置
CN201174410Y (zh) * 2008-03-25 2008-12-31 广州蓝奇电子实业有限公司 一种电池检测设备的电池散热结构
TWI443850B (zh) * 2008-05-09 2014-07-01 Ind Tech Res Inst 太陽能電池檢測機台
JP4235685B1 (ja) * 2008-07-01 2009-03-11 日清紡績株式会社 太陽電池の検査装置及び太陽電池の欠陥判定方法
CN201290013Y (zh) * 2008-10-28 2009-08-12 无锡斯达四方电气有限公司 蓄电池放电电流监控装置
TWM376915U (en) * 2009-08-13 2010-03-21 Ome Technology Co Ltd Battery inspection and detection device
CN101699307A (zh) * 2009-10-23 2010-04-28 广州蓝奇电子实业有限公司 模块式动力电池检测装置
CN201611385U (zh) * 2009-11-19 2010-10-20 辽宁省电力有限公司鞍山供电公司 通信蓄电池自动检测装置
CN201589853U (zh) * 2009-11-27 2010-09-22 天津市双源津瑞科技有限公司 智能型电池容量测试装置
CN201765315U (zh) * 2010-08-03 2011-03-16 广州蓝奇电子实业有限公司 分层结构的电池测试设备
CN102121971B (zh) * 2010-12-28 2013-01-23 毛广甫 一体式具有电池仓的检测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685A (ko) * 2013-08-30 2015-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방전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의 활성화 방법
WO2019240379A1 (ko) * 2018-06-12 2019-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이동형 온도측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충방전 장치
US11473977B2 (en) 2018-06-12 2022-10-18 Lg Energy Solution, Ltd. Movable 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and charge/discharge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WO2020130372A1 (ko) * 2018-12-21 2020-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이동형 온도측정기구 및 냉각팬을 포함하는 충방전 장치
US11329496B2 (en) 2018-12-21 2022-05-10 Lg Energy Solution, Ltd. Charg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including cooling fan and movabl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64579A1 (en) 2013-06-27
TWI466359B (zh) 2014-12-21
CN103069293B (zh) 2016-01-27
TW201222923A (en) 2012-06-01
US9466861B2 (en) 2016-10-11
WO2012026105A1 (ja) 2012-03-01
JP5468140B2 (ja) 2014-04-09
JPWO2012026105A1 (ja) 2013-10-28
KR101411233B1 (ko) 2014-06-24
CN103069293A (zh)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233B1 (ko) 전지검사장치
KR101403737B1 (ko) 전지검사장치
KR101241334B1 (ko) 전지검사장치
JP5832450B2 (ja) 充放電検査システム、充放電検査装置のための校正システム及び校正装置
US11740139B2 (en) Flow guiding and heat dissipating type dry block temperature calibrator
JP7117464B1 (ja) 充放電検査設備
KR20120118418A (ko)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
JP2012128983A (ja) 電池モジュール
KR0180025B1 (ko) 번인용 복합체 및 복합체 사용 번인장치
KR20130062874A (ko) 전력용 반도체 디바이스 검사용 프로브 집합체 및 그것을 이용한 검사장치
TW201830041A (zh) 電子零件搬送裝置及電子零件檢查裝置
KR20110089916A (ko) 메모리 모듈 온도 검사장치
JP5655040B2 (ja) 環境試験装置
JP2021132098A (ja) 検査装置
KR101013520B1 (ko) 테스트 핸들러 챔버 급속온도 제어장치
JP6571359B2 (ja) 充放電検査装置
JPH0333023Y2 (ko)
US10670651B2 (en) Device testing using dual-fan cooling with ambient air
CN117289057A (zh) 一种开关电源恒温老化测试设备
CN112198440A (zh) 针床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