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807A -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807A
KR20130027807A KR1020110091262A KR20110091262A KR20130027807A KR 20130027807 A KR20130027807 A KR 20130027807A KR 1020110091262 A KR1020110091262 A KR 1020110091262A KR 20110091262 A KR20110091262 A KR 20110091262A KR 20130027807 A KR20130027807 A KR 20130027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vehicle
user
linear spring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1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7807A/ko
Publication of KR2013002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8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8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elbow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3Posture, e.g. hand, foot, or seat position, turned or inclined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팔의 상부와 하부에 리니어스프링의 양단을 각각 고정시키고, 사용자의 손의 각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리니어스프링의 일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회전사판과 링크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의 각도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이 서로 다르게 제공되도록 하여 장애인에게 동작에 필요한 보조힘을 제공하는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System For Supporting Movement For Disabled Person's Drive}
본 발명은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팔의 상부와 하부에 리니어스프링의 양단을 각각 고정시키고, 사용자의 손의 각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리니어스프링의 일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회전사판과 링크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의 각도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이 서로 다르게 제공되도록 하여 장애인에게 동작에 필요한 보조힘을 제공하는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장애인들의 자동차 사용률이 증가함에 따라서, 장애인을 위한 차량용 편의 시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장애인용 편의 시설에는 장애인들의 신체 조건에 맞게 스티어링 휠, 브레이크 페달 등의 다양한 조작수단이 변경된 장애인용 운전석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반신 장애로 인하여 다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들은 일반적인 브레이크 페달 및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아닌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브레이크 또는 액셀러레이터 제어수단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장애인용 운전석이 발전함에 따라 장애인들의 차량 운전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장애인들은 상기와 같은 장애인용 운전석에 의하여 불편 없이 차량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차량의 탑승, 하차 등의 과정은 여전히 대단히 불편할 수밖에 없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하반신이 자유롭지 못하여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들은 차량 탑승 시 휠체어에서 차량에 옮겨 탑승하는 것과 탑승 후에 휠체어를 차량에 적재하는 것이 가장 불편한 사항으로 꼽히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의 불편사항은 조사한 도 1의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들의 불편사항은 차량 탑승 후 차량에 휠체어를 적재해야 하기 위해서 휠체어를 옮길 때 휠체어가 무거운 것이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 꼽히고 있다. 이러한 불편함은 하반신이 자유롭지 못하여 더욱 휠체어가 무겁게 느껴질 수가 있으므로, 장애인들에게는 큰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장애인들은 차량에 탑승한 후 무거운 휠체어를 들어서 옮겨야 하며, 운전석 공간이 좁기 때문에 휠체어 적재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에 휠체어를 적재 및 하역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들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팔의 상부와 하부에 리니어스프링의 양단을 각각 고정시키고, 사용자의 손의 각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리니어스프링의 일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회전사판과 링크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의 각도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이 서로 다르게 제공되도록 하여 장애인에게 동작에 필요한 보조힘을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제공하는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완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자형의 홈을 포함하는 핀인슬롯구조로 이루어지는 상부고정부; 사용자의 하완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자형의 홈을 포함하는 핀인슬롯 구조로 이루어지는 하부고정부; 형태가 변환되면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니어스프링; 상기 리니어스프링의 일단을 상기 상부고정부에 고정시키는 제1핀; 및 상기 리니어스프링의 타단을 상기 하부고정부에 고정시키는 제2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사판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손의 회전에 대응되어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사판부; 및 상기 하부고정부의 일자형 홈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한 유동링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링크부의 일단은 상기 회전사판부와 접촉하고, 상기 유동링크부의 타단은 상기 제2핀에 의하여 상기 리니어스프링의 타단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톱니를 배치한 한쌍의 스토퍼몸체부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상기상부고정부의 일자형 홈을 따라 유동하는 상기 제1핀을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제1링크부; 상기 하부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제2링크부; 및 상기 제1링크부의 일단과 상기 제2링크부의 일단을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제3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의 좌석의 일측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핀인슬롯 구조로 이루어지는 암레스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핀은 상기 암레스트부에 삽입되어 상기 암레스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레스트부의 타단은 좌석의 전방의 대각선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원 발명은,
하반신이 자유롭지 못하여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차량에 탑승하고, 탑승 후 휠체어를 차량에 적재하는 동안 사용되는 팔의 동작에 보조힘을 제공함으로써, 장애인 운전자의 이동과 휠체어의 적재를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애인 운전자의 차량 탑승 후에도 차량의 암레스트에 팔을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팔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은 장애인, 예를 들어 편측마비 뇌병변 환자들의 운전 및 센터페시아의 각종 장치 조작에 직접적인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암레스트를 사용자의 측방으로 대각선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팔이 상기 암레스트에 고정된 상태로도 센터페시아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장애인의 불편사항은 조사한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따른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의 물건을 들어올릴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따른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의 물건을 아래로 밀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스토퍼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이 차량의 좌석과 연계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암레스트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따른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의 물건을 들어올릴때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따른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의 물건을 아래로 밀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은 리니어스프링(10), 상부고정부(20), 하부고정부(30), 회전사판부(40), 유동링크부(50), 하나이상의 링크부 및 하나 이상의 핀 들을 포함한다.
리니어스프링(10)(linear spring)은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인장되거나 압축되었다가 가해지는 힘이 중단되면 다시 원래의 모양으로 복귀하는 공지의 수단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은 복원력에 의하여 모양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리니어스프링(10)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조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의 양단은 운전자의 팔의 상부와 하부, 즉 상완과 전완에 각각 고정되고, 사용자가 팔을 폄에 따라 상기 리니어 스프링이 인장되면, 복원력에 의하여 사용자의 팔에 상기 사용자의 팔이 다시 접히도록 하는 보조힘을 제공하고, 또는, 사용자가 팔을 굽힘에 따라 상기 리니어 스프링이 압축되면, 복원력에 의하여 사용자의 팔에 상기 사용자의 팔이 다시 펴지도록 하는 보조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의 양단은 각각 후술할 상부고정부(20) 및 하부고정부(30)에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상부고정부(20)는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의 상단(일단)을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팔의 상부, 즉 상완의 일측에 위치되되도록 이루어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완의 측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고정부(20)는 핀인슬롯(pin in slot)구조로 이루어져 후술할 리니어스프링(10)의 일단(상단)을 제1핀(60)에 의하여 핀조인트(pin joint)되어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핀인슬롯 구조는 핀을 삽입할 수 있는 소정의 두께(핀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로 이루어진 판 형상의 몸체부에 일자형으로 이루어진 홀이 중심부에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일자형 홀에 핀이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일자형의 홀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때, 상기 핀은 상기 일자형의 홀을 따라 홀의 길이방향으로만 움직이고, 그 외의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판 형상의 몸체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구조이다.
본 발명의 상부고정부(20)는 상기와 같은 핀인슬롯 구조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핀(60)에 의하여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의 일단(상단)을 고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고정부(20)는 스토퍼(8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80)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80)는 톱니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돌기부(이하 톱니로 통칭함)를 일측에 배치한 스토퍼몸체부(81, 82)를 상기 상부고정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으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상기 톱니의 맞물림에 의하여 상기 상부고정부(20)에 삽입된 제1핀(60)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톱니를 형성한 한쌍의 스토퍼몸체부(81, 82)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고 스프링 등의 탄성을 갖는 수단으로 상기 한쌍의 스토퍼몸체부(81, 82)의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힘을 가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한쌍의 스토퍼몸체부(81, 82)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단(공지의 어떠한 수단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으로 상기 스토퍼(80)의 위치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한쌍의 스토퍼몸체부(81, 82)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핀(60)이 상기 스토퍼(80)의 톱니에 걸려 더이상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핀(60)은 상기 스토퍼(80)에 의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80)의 톱니에 의하여 위치가 일정 단위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리니어스프링(10)에 의하여 가해지는 보조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하부고정부(30)는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의 하단(타단)을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팔의 하부(전완)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전완의 측면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부고정부(30)는 상기 상부고정부(20)와 마찬가지로 핀인슬롯(pin in slot)구조로 이루어져 그내부의 일자홈으로 삽입되는 제2핀(61)에 의하여 고정되어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의 타단을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상부고정부(20)와 상기 하부고정부(30)에 의하여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의 양단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의 복원력에 의하여 사용자의 팔에 보조 힘이 가해지고, 무거운 물건을 들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하부고정부(30)의 일단에는 후술할 유동링크부(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자홈이 말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말단부를 통하여 후술할 유동링크부(50)가 일자홈으로 삽입될 수 있다.
회전사판부(40)는 사용자의 손목의 측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손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회전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사판은 사용자의 팔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중심축의 수직으로 사선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사판부(4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 그 일측면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계속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바닥이 위쪽을 향해 있을 때와, 사용자의 손바닥이 아래쪽을 향해있을 때, 동일 부분에서 상기 회전사판부(40)의 일측면의 위치는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회전사판부(40)의 구조에 의하여 물건을 들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이 위쪽을 향해 있을 때와, 물건을 내려놓거나, 휠체어에서 시트로 이동하는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는 상황에서의 리니어스프링(10)의 복원력을 다르게 함으로써, 상황별로 사용자의 팔에 가해지는 보조력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사판부(40)의 일측에 연결되는 후술할 유동링크부(50)는 상기 회전사판부(40)의 회전에 의하여 말단의 위치가 변하게 되며, 이러한 사항은 후술한다.
유동링크부(50)는 상기 하부고정부(30)의 일자홈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바 형상의 수단으로서, 그 일단은 상기 회전사판부(40)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이루어지고 그 타단은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의 타단과 제2핀(61)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때, 상기 유동링크부(50)는 상기 하부고정부(30)의 일자홈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고정되며, 따라서, 상기 유동링크부(50)의 타단에 상기 리니어스프링(10)으로부터 가해지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회전사판부(40)의 일면에 항상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상기 유동링크부(50)의 타단은 상기 회전사판부(40)의 회전시 일면의 위치가 게속 변하는 상기 회전사판부(40)의 구조에 의하여 그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의 타단 역시 위치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링크부(50)의 위치변화는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의 길이를 변화시키며, 상기 리니어스프링(10)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도 2는 물건을 들어올릴때의 상황을 나타내는데, 이때, 사용자의 손바닥은 위를 향해있게 되며, 상기 유동링크부(50)가 사용자의 손쪽 방향으로 많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은 양단의 거리가 멀어지게 됨에 따라 복원력을 발생시켜 그 양단의 길이를 원래의 길이로 돌아오게 하려는 보조힘을 제공한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팔을 구부리는방향으로 보조힘을 받게되어 물건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
반대로 도 3은 손으로 바닥을 미는 경우의 상황을 나타내는데, 이때, 사용자의 손바닥은 아래를 향해있게 되며, 상기 유동링크부(50)가 사용자의 팔꿈치 방향으로 많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은 양단의 거리가 좁아짐에 따라 압축되어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양단의 사이 거리를 멀어지게 하는 보조힘을 제공한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팔을 펴는 방향으로 보조힘을 받게 되어 쉽게 바닥을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회전사판과 유동링크부(50)에 의하여 상황에 따라 보조힘이 가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하나 이상의 링크부는 상기 상부고정부(20)와 하부고정부(3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고정부(20)와 하부고정부(30)를 지지하는 수단이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부(70)가 상부고정부(20)를 지지하고, 제2링크부(71)가 하부고정부(30) 및 회전사판을 지지하며, 상기 제1링크부(70)와 제2링크부(71)는 제3핀(62)에 의하여 각각의 일단이 서로 핀조인트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고정부(20)와 하부고정부(30)는 사용자의 팔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하나 이상의 링크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더 많은 갯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고정부(20), 하부고정부(30)를 사용자의 팔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지대 또는 하우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항은 공지의 어떠한 수단이라도 사용될 수 있으며,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이 차량의 좌석과 연계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은 운전자의 차량 탑승시 좌석에 구비된 암레스트(90)와 핀조인트된다. 이때, 상기 암레스트(90)는 상기 제1핀(60)과 핀조인트되기 위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형의 홈을 형성한 핀인슬롯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은 종래의 공지의 암레스트(90)와 동일하게 차량의 좌석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암레스트(90)는 상기 제1핀(60)과 핀조인트 된 후에도 일단을 축으로 회전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와 같은 암레스트(90)의 핀인슬롯 구조는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와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을 안정되게 함으로써, 팔의 정밀한 사용이 어려운 장애인들, 특히, 뇌병변 환자의 부자연스러운 팔의 동작을 상기 암레스트(90)에 고정함으로써 차량의 운전 및 조작을 보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차량 조작 범위가 종래의 암레스트(90)를 넘어선 범위까지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암레스트(90)는 좌석의 측면에 좌석으로부터 90°를 넘는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암레스트(90)에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을 고정시킨 후에도 차량 내부의 전자장비 등과 같은 수단의 제어장치가 배치된 차량의 센터페시아의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리니어스프링 20: 상부고정부
30: 하부고정부 40: 회전사판부
50: 유동링크부 60: 제1핀
61: 제2핀 62: 제3핀
70: 제1링크 71: 제2링크
80: 스토퍼 81, 82: 스토퍼몸체부
90: 암레스트

Claims (6)

  1.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완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자형의 홈을 포함하는 핀인슬롯구조로 이루어지는 상부고정부(20);
    사용자의 하완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자형의 홈을 포함하는 핀인슬롯 구조로 이루어지는 하부고정부(30);
    형태가 변환되면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니어스프링(10);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의 일단을 상기 상부고정부(20)에 고정시키는 제1핀(60); 및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의 타단을 상기 하부고정부(30)에 고정시키는 제2핀(61)을 포함하는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사판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손의 회전에 대응되어 회전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사판부(40); 및
    상기 하부고정부(30)의 일자형 홈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한 유동링크부(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링크부(50)의 일단은 상기 회전사판부(40)와 접촉하고, 상기 유동링크부(50)의 타단은 상기 제2핀(61)에 의하여 상기 리니어스프링(10)의 타단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톱니를 배치한 한쌍의 스토퍼몸체부(81, 82)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상기 상부고정부(20)의 일자형 홈을 따라 유동하는 상기 제1핀(60)을 고정시키는 스토퍼(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20)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고정부(20)를 고정시키는 제1링크부(70);
    상기 하부고정부(30)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고정부(30)를 고정시키는 제2링크부(71); 및
    상기 제1링크부(70)의 일단과 상기 제2링크부(71)의 일단을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제3핀(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의 좌석의 일측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핀인슬롯 구조로 이루어지는 암레스트(90)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핀(60)은 상기 암레스트(90)부에 삽입되어 상기 암레스트(90)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90)부의 타단은 좌석의 전방의 대각선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KR1020110091262A 2011-09-08 2011-09-08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KR201300278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262A KR20130027807A (ko) 2011-09-08 2011-09-08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262A KR20130027807A (ko) 2011-09-08 2011-09-08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807A true KR20130027807A (ko) 2013-03-18

Family

ID=4817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262A KR20130027807A (ko) 2011-09-08 2011-09-08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780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238B1 (ko) * 2015-10-22 2017-02-22 이정우 근력 강화 또는 중량물 이동 장치
CN109985359A (zh) * 2019-04-26 2019-07-09 南昌航空大学 一种便携式俯卧撑辅助器
US20200001135A1 (en) * 2018-06-27 2020-01-02 Dhiren Rajagopal Brace for preventing finger injuries
WO2020162666A1 (ko) * 2019-02-07 2020-08-13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플라이휠을 이용한 상지운동기구
US11911266B2 (en) 2017-04-05 2024-02-27 Opus Medical Therapies, LLC Transcatheter atrial sealing skirt, anchor, and tether and methods of implanta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238B1 (ko) * 2015-10-22 2017-02-22 이정우 근력 강화 또는 중량물 이동 장치
US11911266B2 (en) 2017-04-05 2024-02-27 Opus Medical Therapies, LLC Transcatheter atrial sealing skirt, anchor, and tether and methods of implantation
US20200001135A1 (en) * 2018-06-27 2020-01-02 Dhiren Rajagopal Brace for preventing finger injuries
WO2020162666A1 (ko) * 2019-02-07 2020-08-13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플라이휠을 이용한 상지운동기구
KR20200097154A (ko) * 2019-02-07 2020-08-1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플라이휠을 이용한 상지운동기구
CN109985359A (zh) * 2019-04-26 2019-07-09 南昌航空大学 一种便携式俯卧撑辅助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7807A (ko)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EP2818149A1 (en) Wheelchair and bed incorporating same
WO2018167856A1 (ja) 介助装置
US20200150709A1 (en)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transport vehicle
KR102268100B1 (ko) 휠체어 사용자용 이동 보조장치
WO2020034734A1 (zh) 一种护理床椅
JP2014140435A (ja) 起立着座支援椅子
KR101492587B1 (ko) 슬라이딩 팔걸이로 구동되는 전동 휠체어
KR20190031963A (ko) 휠체어에 장착되는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휠체어
JP2016144628A (ja) 介護者補助装置
JP4955135B1 (ja) ベッド車椅子間移動補助装置
JPH11253492A (ja) 車椅子シート移送装置
KR102043149B1 (ko) 이동 보조 시스템
JP3709522B2 (ja) 介助機能付車椅子
JP3182010U (ja) 移動補助車
TWI785813B (zh) 具有輔助站立功能的椅子
KR102045459B1 (ko) 센서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JP4353325B2 (ja) 入浴用車椅子
JP2014054320A (ja) ベッド車椅子間移動補助装置
KR200408128Y1 (ko) 휠체어용 틸팅장치
JP4960842B2 (ja) 介護用の移乗介助装置
JP6664794B2 (ja) 介助用車いす
JP2006181105A (ja) 横移動手段を有する車椅子
JP3204218U (ja) 移乗機
TWI481395B (zh) 手扶式移位坐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