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405A - 이동식 급유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급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405A
KR20130027405A KR1020120022165A KR20120022165A KR20130027405A KR 20130027405 A KR20130027405 A KR 20130027405A KR 1020120022165 A KR1020120022165 A KR 1020120022165A KR 20120022165 A KR20120022165 A KR 20120022165A KR 20130027405 A KR20130027405 A KR 20130027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mobile
supply device
refuel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히로 코쿠라
아츠시 타카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Publication of KR2013002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18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emergency shut-off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84Casings, cabinets or frameworks; Trolleys or like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등의 재해 발생 시에 급유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안전하고 또한 신속하게 차량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취급도 용이한 이동식 급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연료유를 흡입하는 흡입구(24)를 통하는 관로(20)에 급유펌프(22) 및 유량펄스발신기를 연결한 유량계(23)를 순차 배설하고, 관로의 선단에 급유노즐(7)을 갖는 급유호스(6)를 접속하며, 상기 유량펄스발신기로부터의 급유량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급유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9)와,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이동식 급유장치에 있어서, 외부보다 상기 이동식 급유장치에 전력을 공급하여 그 이동식 급유장치를 구동한다. 진동감지센서(32) 또는 기울기 센서를 설치하고, 이동식 급유장치에 의해 급유를 하고 있을 시에 진동감지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가 소정의 진동 또는 경사를 검지했을 때에, 이동식 급유장치에 의한 급유를 정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동식 급유장치{Portable typed oil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진 등의 재해 발생 시 등에 급유장치가 손상된 경우에 차량 등에 연료유를 급유하는 이동식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등에 가솔린 등의 연료유를 공급하는 급유소에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지하탱크가 매설되어, 이 지하탱크와 지상에 설치된 급유장치를 급유관에 접속하여 급유장치에서 차량 등에 연료유를 급유한다. 이러한 급유소에서 예를 들면 지진 등의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급유관 또는 급유장치가 손상되어 지하탱크 내의 연료유를 급유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1에 지진 등의 재해로 인해 급유장치에서의 급유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었을 경우에도 지하탱크 내의 연료유를 차량 등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정확한 급유량을 파악할 수 있는 이동식 급유장치를 제안한다.
일본국 특개평 10-114400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이동식 급유장치는 급유장치에서의 급유작업이 불가능하게 되어도, 정확한 급유량을 파악하면서 지하탱크 내의 연료유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으나, 이러한 이동식 급유장치를 구동하는 원동기에 사전에 급유하지 않으면, 원동기를 실제로 사용할 때에 지하탱크로부터 원동기 그 자체에 연료유를 공급할 수 없게 되어 급유작업을 행할 수 없게 되는 우려가 있다. 또, 이러한 이동식 급유장치는 원동기 등을 구비하기 때문에 중량이 커지고, 급유 대상이 되는 차량 등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번거로운 문제도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이동식 급유장치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지진 등의 재해 발생 시에 급유장치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에도 안전하고 또한 신속하게 차량 등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취급도 용이한 이동식 급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료유를 흡입하는 흡입구에 연통하는 관로에 급유펌프 및 유량펄스발신기를 연결한 유량계를 순차 배설하고, 상기 배관의 선단에 급유노즐을 갖는 급유호스를 접속하며, 상기 유량펄스발신기로부터의 급유량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급유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장치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이동식 급유장치에 있어서, 외부보다 해당하는 이동식 급유장치에 전력을 공급하여 그 해당하는 이동식 급유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보다 해당하는 이동식 급유장치에 전력을 공급하여 그 이동식 급유장치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진 등의 재해 발생 시에 급유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안전하고 또한 신속하게 차량 등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원동기 등을 구비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경량으로 취급도 용이한 이동식 급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식 급유장치에는 또한 진동감지센서 또는 기울기센서를 설치하여, 해당 이동식 급유장치에 의해 급유를 하고 있을 때에 그 진동감지센서 또는 기울기센서가 소정의 진동 또는 경사를 검지했을 때 이동식 급유장치에 의한 급유를 정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급유중에 지진이 일어난 것 같은 경우나, 재해가 일어난 지역 등에서 지면이 경사져서 불안정한 자세가 되거나, 급유중인 차량 등이 이동하여 이동식 급유장치가 차량 등에 끌려가는 경우 등에 급유를 정지하고, 이동식 급유장치가 전복되거나 하여 연료유가 주위에 유출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식 급유장치에는 또한 상기 흡입구의 근처에 물검지센서를 설치하여, 그 이동식 급유장치에 의해 급유를 하고 있을 때에 그 물검지센서가 수분을 검지했을 때에 이동식 급유장치에 의한 급유를 정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지진 등에 지하탱크가 파손되어 주변의 물이 지하탱크에 침입한 경우에도 연료유에 물이 혼입되는 것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물이 혼입된 연료유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차량 트러블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식 급유장치에는 또한 상기 급유펌프에 공기검지센서를 설치하여, 그 이동식 급유장치에 의해 급유를 하고 있을 때에 상기 공기검지센서가 공기를 검지했을 때 이동식 급유장치에 의한 급유를 정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재해 시의 배관 손상 등에 의한 펌프에의 공기 혼입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연료유의 정확한 계량 및 원활한 급유동작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진 등의 재해 발생 시에 급유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안전하고 또한 신속하게 차량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취급도 용이한 이동식 급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급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도로,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이동식 급유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단면도, (b)는 상부 케이스의 경사면을 나타내는 외관도, (c)는 좌측단면도, (d)는 우측단면도(외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이동식 급유장치의 표시부 및 각 스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이동식 급유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급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급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급유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며, 이 이동식 급유장치(1)는 보통(레귤러) 가솔린, 고-옥탄 가솔린, 경유 등을 급유하는 지상설치형의 장치로서 표시장치(9), 조작 스위치(12),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 생략함) 등이 배치된 상부 케이스(2)와 흡입 호스(4), 전원 케이블(5), 선단에 급유 노즐(7)을 갖는 토출 호스(6), 접지용 케이블 릴(8), 검지봉(13) 등을 유지하는 하부 케이스(3) 등으로 구성된다. 하부 케이스(3)의 저부에는 지지다리부(10)와 캐스터(11)가 장착되고, 하부 케이스(3)의 상부에는 운반용 손잡이(14)가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부 케이스(3)의 내부에는 모터(21)로 구동되는 급유펌프(22)와 유량펄스발신기를 갖는 유량계(23)가 순차적으로 흡입구(24)를 하단부에 구비한 급유관(20)에 접속된다. 급유펌프(22)는 공기검지센서를 구비하며, 급유펌프(22) 내에 혼입된 공기를 검지한다. 모터(21)와 급유펌프(22)와의 사이에는 V벨트(25)가 가설된다. 또 모터(21)는 원웨이 베어링(21a)을 구비하여 수동이라도 회전가능하다.
흡입구(24)는 커플링(4b)을 사이에 두고 흡입 호스(4)에 접속가능하며, 유량계(23)의 토출구(26)는 커플링(6a)을 사이에 두고 토출 호스(6)에 접속가능하게 구성된다.
상부 케이스(2)의 정면 측에는 도 2(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자 카운터(기판)(27)가 배치되고, 그 위에 도 2(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표시장치(9)와 조작 스위치(12) 등이 배치된다.
접지용 케이블 릴(8)에 말려 감겨 있는 케이블의 일단은 급유펌프(22)의 프레임에 고정된다. 또한 접지용 케이블 릴(8)을 대신하여 간단하게 접지용 코드를 하부 케이스(3)에 감아 놓는 것만으로도 무방하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시장치(9)는 급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9a)와, 리모콘의 수광부(受光部)(9b)를 구비하며, 리모콘에서 1회의 급유량을 60L 또는 70L로 설정하거나, 급유 적산량을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 스위치(12)는 좌측으로부터 이동식 급유장치(1)의 전원 스위치(12a)와, 급유량을 가득 채우거나 20L 등의 정량 급유의 어느 쪽에든 전환되는 전환 스위치(12b)와, 급유를 개시하는 스타트 스위치(12c)와, 급유를 정지하는 정지 스위치(12d)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갖는 이동식 급유장치(1)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도 4를 중심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운반용 손잡이(14) 및 캐스터(11)(도 1 참조)를 이용하여 연료유를 공급하는 차량(28)에 근접하게 이동식 급유장치(1)를 이동시켜 흡입 호스(4)의 선단부(4a)(도 1 참조)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검척구(29)를 사이에 두고 지하탱크의 내부에 삽입하고 연료유 레벨의 아래 방향으로 유지한다. 한편, 전원 케이블(5)의 단자(5a)를 전원 공급 차량(30)의 밧데리(30a)에 접속하여 밧데리(30a)로부터 이동식 급유장치(1)에 전력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전원 공급 차량(30)은 이동식 급유장치(1)로부터 안전한 거리를 갖는 장소에 정차시킨다. 또한, 케이블 릴(8)을 사용하여 이동식 급유장치(1)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급유장치의 틀체나, 탱크로리(원통형의 탱크를 갖춘 대형 트럭)로부터 연료유를 공급하는 주유관 등에 접지한다.
다음으로, 이동식 급유장치(1)의 전원 스위치(12a)(도 3 참조)를 ON하여 리모콘에 의해 초기설정을 행한다. 리모콘을 조작하여 수광부(9b)에 신호를 보내 1회의 급유량을 60L 또는 70L로 설정한다.
그 후에, 통상의 급유장치와 마찬가지로 급유 노즐(7)의 노즐부(7a)를 급유 대상 차량(28)의 급유구에 삽입하고, 전환 스위치(12b)(도 3 참조)를 기름을 가득 채우도록 하거나 20L 정량 급유의 어느 쪽에든 전환하도록 한 후 스타트 스위치(12c)를 누른다. 이에 의해 모터(21)의 제어 스위치가 ON되어 급유 펌프(22)의 운전이 개시되며, 유량계(23)의 유량펄스발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유량펄스신호를 적산하여 표시장치(9)의 표시부(9a)에 급유량으로 표시하고, 정지 스위치(12d)가 내리 눌려지면 급유정지신호에 의해 모터(21)의 제어 스위치가 ON되어 일련의 저기공급동작이 완료된다. 더욱이, 정지 스위치(12d)는 통상의 급유동작을 정지하는 경우에 더하여 이동식 급유장치(1)를 긴급 정지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또한, 상기 이동식 급유장치(1)에 의한 급유중에, 급유 펌프(22)의 공기검지센서가 공기를 검지했을 때에는 이동식 급유장치(1)에 의한 급유를 정지하고, 그 취지를 표시장치(9)의 표시부(9a)에 표시하거나, 별도 설치한 경고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급유가 여러 번 행해져, 급유 적산량을 알고 싶을 경우에는, 리모콘을 사용하여 표시장치(9)의 수광부(9b)로 명령을 보내어 표시부(9a)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급유가 완료되어 이동식 급유장치(1)을 보관할 때에는, 방수포를 덮어서 해일(쓰나미)의 영향을 회피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식 급유장치(1)의 기본 구성으로 여러 가지 재해 관련 기능을 갖춘 이동식 급유장치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이동식 급유장치(1)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기본 구성에 한층 더하여 상부 케이스(2)와 하부 케이스(3)의 사이에 판상의 솔리드 증기 차단재(31)를 개재시켜 솔리드 증기 차단재(31)의 위쪽 방향으로 진동감지센서(32)를 배치하고, 급유 펌프(22)의 흡입구에 자석(34)(35)을 구비한 스트레이너(여과기)(33)를 설치하며, 흡입구(24)에 근접하게 T자관(36)을 사이에 두고 물검지센서(37)를 구비한다.
솔리드 증기 차단재(31)는 전기 부품에의 인화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어지며, 지면으로부터의 거리(L)가 600mm 이상의 장소에 배설된다. 이 솔리드 증기 차단재(31)에 의해 급유에 따라 발생하는, 모터(21), 급유 펌프(22), 유량계(23) 등으로 된 급유기구로부터 증기의 상승을 억제하여, 상부 케이스(2) 내부에 존재하는 표시장치(9)나 제어장치 등에 증기가 칩입하지 않도록 한다. 또, 솔리드 증기 차단재(31)를 관통하는 각 케이블은 패킹에 의해 봉인되어, 상부 케이스(2)에의 증기 침입을 방지한다.
진동감지센서(32)는 지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검지하기 위해 구비되고, 볼(32a)의 이동에 따른 접점(32b)의 ON, OFF가 소정시간 반복되어지는 것을 검지하여 진동의 유무를 판단함과 동시에, 이동식 급유장치(1)가 기울어져 볼(32a)이 이동한 상태로 되어 접점(32b)이 소정시간 이상 OFF 되었을 경우에 이동식 급유장치(1)의 경사를 검지한다. 이 진동감지센서(32) 대신에 자이로 센서(전자식 경사센서)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트레이너(33)는 지진으로 흔들려 낙하한 배관이나 탱크 내부의 녹을 연료유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며, 낙하한 녹이 연료유에 혼입된 경우에도 자석(34)(35)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검지센서(37)는 지진에 의한 지하 탱크의 손상, 해일에 의한 침수 등에 의해 지하 탱크에 물이 들어오기도 하기 때문에 빨아올린 연료유 중에 물이 혼입되어 있는 것을 검지한다.
상기 이동식 급유장치(1)에 의한 급유중에, 진동감지센서(32)가 진동이나 기울기를 검지하거나, 물검지센서(37)가 빨아올린 연료유 중에 물이 혼입되어 있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이동식 급유장치(1)에 의한 급유를 정지하고 그 취지를 표시장치(9)의 표시부(9a)에 표시하거나, 별도 설치된 경고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도 6에 도시된 이동식 급유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기본 구성에 한층 더하여 수준기(41)와, 레벨 조절기(42)를 구비하여 항상 수평으로 급유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준기(41)는 이동식 급유장치(1)의 지면에 대한 경사를 확인하기 위해 구비되어 수준기(41)에 의해 이동식 급유장치(1)가 기울어져 있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레벨 조절기(42)로 이동식 급유장치(1)의 자세를 수정한다.
레벨 조절기(42)는 경사면이나 재해에 의해 손상을 받은 지반 표면에서도 안전한 자세로 이동식 급유장치(1)를 설치하여, 이동식 급유장치(1)에 의한 급유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비되어지며,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요철이 심한 지면(43)에 있어서도 레벨 조절기(42)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으로 이동식 급유장치(1)의 자세를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원 공급 차량(30)의 밧데리(30a)로부터 이동식 급유장치(1)로 급전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설명했는데, 차량 이외에도 여러 가지 장치로부터 이동식 급유장치(1)로 급전하는 것이 가능하며, 외부보다 이동식 급유장치(1)에 급전하여 구동하는 것이 가능한 어떠한 것이라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1 : 이동식 급유장치 2 : 상부 케이스
3 : 하부 케이스 4 : 흡입 호스
4a : 선단부 4b : 커플링
5 : 전원 케이블 5a : 단자
6 : 토출 호스 6a : 커플링
7 : 급유 노즐 7a : 노즐부
8 : 케이블 릴 9 : 표시장치
9a : 표시부 9b : 수광부
10 : 지지다리부 11 : 캐스터
12 : 조작 스위치 12a : 전원 스위치
12b : 전환 스위치 12c : 스타트 스위치
12d : 정지 스위치 13 : 검지봉
14 :운반용 손잡이 20 : 급유관
21 : 모터 21a : 원웨이 베어링
22 : 급유펌프 23 : 유량계
24 : 흡입구 25 : V벨트
26 : 토출구 27 : 전자 카운터
28 : (연료유를 공급하는)차량 29 : 검척구
30a : 밧데리 31 : 솔리드 증기 차단재
32 : 진동감지센서 32a : 볼
32b : 접점 33 : 스트레이너
34,35 : 자석 36 : T자관
37 : 물검지센서 41 : 수준기
42 : 레벨 조절기 43 : 지면

Claims (4)

  1. 연료유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통하는 관로에, 급유펌프 및 유량펄스발신기를 연결한 유량계를 순차 배설하고, 상기 배관의 선단에 급유노즐을 갖는 급유호스를 접속하며, 상기 유량펄스발신기로부터의 급유량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급유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이동식 급유장치에 있어서, 외부보다 상기 이동식 급유장치에 전력을 공급하여 그 이동식 급유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급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진동감지센서 또는 기울기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이동식 급유장치에 의해 급유를 하고 있을 때에 그 진동감지센서 또는 기울기센서가 소정의 진동 또는 경사를 검지했을 때, 당해 이동식 급유장치에 의한 급유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급유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근처에 물검지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이동식 급유장치에 의해 급유를 하고 있을 시에 그 물검지센서가 수분을 검지했을 때, 당해 이동식 급유장치에 의한 급유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급유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펌프에 공기검지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이동식 급유장치에 의해 급유를 하고 있을 시에 상기 공기검지센서가 공기를 검지했을 때, 이동식 급유장치에 의한 급유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급유장치.
KR1020120022165A 2011-09-07 2012-03-05 이동식 급유장치 KR201300274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94778 2011-09-07
JP2011194778A JP2013056674A (ja) 2011-09-07 2011-09-07 可搬式給油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405A true KR20130027405A (ko) 2013-03-15

Family

ID=4813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165A KR20130027405A (ko) 2011-09-07 2012-03-05 이동식 급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056674A (ko)
KR (1) KR201300274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1598B2 (ja) * 2013-08-01 2017-06-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メジャメント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6265825B2 (ja) * 2014-04-30 2018-01-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メジャメント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6424023B2 (ja) * 2014-06-20 2018-11-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メジャメント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6532263B2 (ja) * 2015-03-31 2019-06-1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メジャメント株式会社 液体燃料供給装置
CN107720678A (zh) * 2017-10-25 2018-02-23 湖北省电力装备有限公司 一种中央空调专用电动加油泵
KR102216042B1 (ko) * 2020-08-31 2021-02-16 주식회사 보고피아 페트병 냉온수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1A (en) * 1849-01-02 Manufacture of lampblack and colophane
JPS5195610A (ko) * 1975-02-20 1976-08-21
JPH08258900A (ja) * 1995-03-23 1996-10-08 Tatsuno Co Ltd 給油装置用感振電源遮断装置
JP3404666B2 (ja) * 1997-05-16 2003-05-12 オムロン株式会社 地震計
JPH112562A (ja) * 1997-06-11 1999-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感震器
JP3642163B2 (ja) * 1997-10-17 2005-04-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検出装置
JP4149275B2 (ja) * 2003-01-23 2008-09-10 株式会社富永製作所 給油所の水検知システム
JP4282382B2 (ja) * 2003-06-23 2009-06-17 トキコテクノ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56674A (ja)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7405A (ko) 이동식 급유장치
US88786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phase separation in storage tanks using a float sensor
JP5015655B2 (ja) 液体材料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体材料供給方法
US11111128B2 (en) Remote filling system
JP5221039B2 (ja) 燃料ディスペンサにおける二次格納部漏れ防止および検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80083136A (ko) 탱크 충전용 펌프 장치
JP7013155B2 (ja) 液体燃料供給装置
JP2017029104A (ja) サイホン式取水システム
KR20070007708A (ko) 이동용 주유 장치
CN110857677A (zh) 具有车载流体存储罐的移动分配站
KR200397665Y1 (ko) 휴대용 주유 장치
KR20070007707A (ko) 휴대용 주유 장치
JP6942410B2 (ja) 液体燃料供給装置
JP5385829B2 (ja) 燃料補給装置および作業機械
JPH1077098A (ja) 懸垂式給油装置
JP5004463B2 (ja) 油タンクからの油の抜き取り方法
JPH0615918Y2 (ja) 配管漏洩検知機能付給油システム
KR102033000B1 (ko) 유종 선택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846635B2 (ja) 燃料供給所
JP6256863B2 (ja) 給油装置
JP2004284612A (ja) タンクローリー車用液体供給制御装置
KR20140080853A (ko) 건설기계용 연료 주입장치
KR960007966B1 (ko) 엔진오일 자동 주유장치
JP5516559B2 (ja) 可搬式給油装置
JP2008037451A (ja) オイル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