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318A - 연속 제품 주조 장비 및 연속 제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제품 주조 장비 및 연속 제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318A
KR20130025318A KR1020120003572A KR20120003572A KR20130025318A KR 20130025318 A KR20130025318 A KR 20130025318A KR 1020120003572 A KR1020120003572 A KR 1020120003572A KR 20120003572 A KR20120003572 A KR 20120003572A KR 20130025318 A KR20130025318 A KR 20130025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mold core
lower mold
station
upp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5181B1 (ko
Inventor
시앙-룽 시아
유-웬 리
펭 첸
젱 시빈
Original Assignee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2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6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12Cooling, heating, or insulating the plunger, the mould, or the glass-pressing machine; cooling or heating of the glass in the mould
    • C03B11/122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12Cooling, heating, or insulating the plunger, the mould, or the glass-pressing machine; cooling or heating of the glass in the mould
    • C03B11/125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5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in machines with reciprocating mou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제조 장비 및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 제품 주조 장비 및 연속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 상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와,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 상에서 상기 상부 금형 코어들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의 작동에 의해 서로 다른 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하나의 하부 금형 코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연속된 제품의 생산을 위한 주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연속 제품 주조 장비 및 주조 방법의 적용, 그리고 고정된 상부 금형 코어 및 이동가능한 하부 금형 코어의 적용은 금형 조립 및 금형 보수 공정을 단순화하고, 본 발명의 장비는 생산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품을 연속적으로 주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제품 주조 장비 및 연속 제품의 제조 방법{CONTINUOUS WORK PIECE MOLD EQUIPME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품을 제조하는 장비 및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 제품 주조 장비 및 연속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 제품의 전통적인 주조 방법은 주형 공극부(mold cavity)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금형 코어가 결합된 주형 또는 슬리브를 사용한다. 이 방법은 또한 상부 금형 코어 및 하부 금형 코어의 고압 밀봉(pressurization) 공정을 통해 주형 공극부 내에 유리 소재를 압입하고 형상화하기 위해 유리 소재의 고온 연화 특성을 이용한다. 이는 유리 제품의 형상을 엉망으로 만들고, 예상된 반성형 제품(semi-molded product)의 형상 및 두께에 가깝다. 이후, 반성형 제품은 점착 공정을 증가시킴에 따라 유리 소재의 냉각 및 수축 공정 동안 적절한 제2 고압 밀봉 공정에 노출된다. 상부 및 하부 금형 코어의 표면 형상은 이어서 유리 소재 위로 이송되고, 유리 제품의 주조 생산에 필요한 표면 형상이 최종 완성된다.
유리 주조 공정의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유리 산업에서는 흔히들 다수의 공극부를 구비한 단일 금형을 채용한다. 다중 공극부 타입의 유리 주조 장비에 사용되는 단일 금형의 기본 구조는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포함한다. 각각의 상부 기판은 동시에 다수의 상부 금형 코어가 설치되고, 각각의 하부 기판은 동시에 다수의 하부 금형 코어가 설치된다. 각각의 하부 기판의 수량 및 위치는 하부 금형 코어와 일치한다. 상부 금형 코어, 하부 금형 코어, 및 상부 기판 사이에서, 하부 기판은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 내 상부 금형 코어 및 하부 금형 코어의 설치 깊이를 조정하기 위한 가스켓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은 각각의 형태의 공극부 균일도에 의해 주조되는 제품의 두께를 결정한다. 제조 공정 동안,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은 이들 위에 설치 고정되는 상부 금형 코어 및 하부 금형 코어를 제조하기 위해 이송 장치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고, 금형 폐쇄, 금형 개방 등과 같은 작업이 이루어진다. 최종 단계에서 유리 제품의 주조가 끝난다.
공지된 주조 장비의 상부 및 하부 금형 코어는 상부 및 하부 기판 내에 개별적으로 그리고 고정된 상태로 각각 형성된다. 어떤 한 금형 코어가 결함이 있는 경우, 부품 교체는 모든 기판이 해체되어진 경우에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생산을 지연시킨다. 대안적으로, 부품 교체는 공극부 삽입(cavity inserting)법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공극부의 수가 증가될 경우, 생산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각각의 쌍으로 된 금형 코어는 각각의 금형 공극부에 의해 주조된 유리 제품의 두께 및 크기가 균일하게 되도록 가스켓에 의해 상대 높이를 조정하기 때문에, 각각의 금형 코어의 높이를 통일하기 위한 고정밀도의 설치 및 조정의 수행과 함께 모든 가스켓의 정확한 계산 및 크기 제어가 필요하다. 이것은 금형 조립 및 금형 수리 공정과 같은 긴 시간과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 번거롭고 긴 공정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공지의 주조 장비의 금형 조립 및 금형 수리를 위한 작업 시간이 길고 공정은 상당히 지루하므로 생산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상술한 단점들로 인해 연속 제품 주조 장비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빌트인(built-in) 형태의 각각의 상부 금형 코어는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작동되며, 동일한 상부 기판 상에 동시에 작동하도록 설치되지는 않는다. 또한, 각각의 하부 금형 코어는 상부 기판 코어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작동된다. 어떤 한 금형 코어가 결함이 있는 경우, 전체 기판을 해체하지 않고 부품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한 각각의 금형 코어의 고 정밀 설치 및 높이 조절은 필요치 않다.
연속 제품 금형 장비는,
복수의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 상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 및
상기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들 사이의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 상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에 의해 서로 다른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단일의 하부 금형 코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은 예열 및 예압(pre-pressing) 스테이션, 고온 가열 및 가압 스테이션, 및 어닐링(annealing)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예열 및 예압 스테이션과 상기 어닐링 스테이션은 각각 제품에 저온 가열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금형 코어는 상기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는 외부 덮개, 상기 외부 덮개 상에 고정된 단열 플레이트, 상기 단열 플레이트의 일 면 상에 고르게 배치된 복수의 적외선 가열 램프, 상기 외부 덮개와 상기 단열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단열 면사, 및 상기 단열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가열 램프의 표면에 밀착하여 설치된 온도계를 포함한다.
고온 가열 및 가압 스테이션은 제품 상에 고온 가열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된 유도 가열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유도 가열 수단은 구리 유도 코일로 만들어지고, 고주파 전원 공급장치와 연결된다.
예열 및 예압 스테이션, 고온 가열 및 가압 스테이션, 그리고 어닐링 스테이션은 각각 상기 상부 금형 코어 및 하부 금형 코어를 가압하기 위해 사용된 가압 수단을 포함한다. 각각의 가압 수단은 상부 압력 헤드, 하부 압력 헤드 및 2개의 단열 패드를 포함한다. 2개의 단열 패드는 상부 압력 헤드 및 하부 압력 헤드 상에 개별적으로 고정된다. 상부 금형 코어는 상부 압력 헤드의 단열 패드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는 하부 압력 헤드의 단열 패드 상에 고정된다.
연속 제품 주조 장비는 로딩 및 언로딩 반송 수단을 더 포함한다. 로딩 및 언로딩 반송 수단은 모든 하부 금형 코어 및 제품들을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연속 제품 주조 장비는 또한 주조된 제품을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된 냉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상부 금형 코어와 하부 금형 코어는 각각 곡면을 가진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곡선형으로 주조된 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 제품 주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속된 제품의 몰딩하는 방법으로서, (a)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 상에 고정된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 및 상기 제품이 배치되는 이동가능한 하부 금형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의 작업 공정에 의해 상기 제품에 서로 다른 처리 공정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하부 금형 코어 및 상기 제품을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연속 제품 주조 장비에 형성된 각각의 상부 금형 코어는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동시에 작동되나, 동일한 기판 상에 설치되지 않는다. 이는 다중 공극부 타입의 주조 장비에서 긴 금형 보수 작업 시간과 지루한 주조 공정의 문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연속 제품 주조 장비가 가스켓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지루한 가스켓 조정 공정이 없어지게 된다. 동시에, 상술한 연속 주조 장비는 분리된 금형들 상에, 복수의 고정된 상부 금형 코어 및 이동 가능한 하부 금형 코어를 포함하는 상부 및 하부 금형 코어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테이션 상에 고정된 모든 상부 금형 코어는 제품의 연속 성형을 실행하기 위해 각각의 이동가능한 하부 금형 코어와 결합된 상태로 주조될 수 있다. 어떤 한 금형 코어가 소정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 전체 성형 공정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신속히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연속 제품 주조 장비의 금형 보수 작업 시간은 보다 짧아지고 공정은 비교적 단순해진다. 이것은 생산 효율을 개선함으로써 전통적인 제품 주조 장비의 결점을 극복한다. 연속 제품 주조 방법은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제품 주조 장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속 제품 주조 장비의 예열 및 예압 스테이션의 구조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속 제품 주조 장비의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의 구조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속 제품 주조 장비의 고온 가열 및 가압 스테이션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연속 제품 주조 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제품 주조 장비의 처리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130), 하부 금형 코어(180), 및 복수의 서로 다른 스테이션으로 구성된 연속 제품 주조 장비(100)를 나타낸다. 작업 스테이션은 예열 및 예압(pre-pressing) 스테이션(1), 고온 가열 및 가압 스테이션(2) 및 어닐링 스테이션(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금형 코어(130)는 예열 및 예압 스테이션(1), 고온 가열 및 가압 스테이션(2), 및 어닐링 스테이션(3) 상과 같이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 상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제품(4)은 하부 금형 코어(180) 상에 배치된다. 하부 금형 코어(180)는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 상에서 적절한 순서로 이동하며, 또한 제품(4)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 상에서 금형 개방(mold opening) 및 금형 폐쇄(mold closing) 작용이 나란히 병행된다.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의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아래의 단락들에서 설명된다.
도 2는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110), 상부 금형 코어(130), 및 가압 수단(140)을 포함하는 예열 및 예압 스테이션(1)을 나타낸다. 가압 수단(140)은 또한 상부 압력 헤드(141), 하부 압력 헤드(143), 구동 실린더(145), 및 2개의 단열 패드(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2개의 단열 패드는 상부 압력 헤드(141)와 하부 압력 헤드(143) 상에 개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부 금형 코어(130)는 상부 압력 헤드(141)의 단열 패드 상에 고정되고,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110)는 하부 압력 헤드(143)의 단열 패드 상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압력 헤드(143)는 베어링 플레이트로서, 하부 금형 코어(180)는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110)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품(4)은 하부 금형 코어(18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품(4)은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110)를 통해 가열될 수 있다. 구동 실린더(145)는 제품(4)의 예비 성형을 위해 제품 상에 낮은 압력을 인가하도록, 상부 압력 헤드(141) 및 상부 금형 코어(130)를 구동시켜 하부 금형 코어(180) 쪽으로 이동한다. 예비 성형 후, 제품(4)과 하부 금형 코어(180)는 다음 스테이션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세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예열 및 예압 스테이션(1)은 통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테이션(1)은 제품에 대한 예열 및 예압 처리를 개별적으로 수행한다.
도 3은 복수의 적외선 가열 램프(111), 단열 플레이트(113), 외부 덮개, 보온 패드(117), 및 온도계(119)를 포함하는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110)를 나타낸다. 적외선 가열 램프(111)는 열원으로서 작용하는 단파 자외선 가열 램프를 제조하기 위한 양질의 재료들을 선택한다. 적외선 가열 램프(111)는 가열 온도 및 가열량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열손실없이 900℃로 급속 가열할 수 있다. 복수의 적외선 가열 램프(111)는 내열성의 단열 플레이트(113)의 일 면 상에 고르게 배치된다. 적외선 가열 램프(111)의 차가운 단부들은 단열 플레이트(110)를 통과할 수 있으며, 단열 플레이트(113) 내 와이어에 연결된다. 단열 플레이트(113)는 외부 덮개(115) 상에 고정되고, 외부 덮개는 스테인레스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보온 패드(117)는 외부 커버(115)와 단열 패드(113) 사이에 채워질 수 있다. 온도계(119)는 적외선 가열 램프(111)에 인접한 단열 플레이트(113)의 표면에 고정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온도계(119)는 열전대(thermocouple)이다. 열전대는 가열된 물체에 의해 조사(irradiated)된 부분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가열된 물체의 표면에 밀착된다. 온도계(119)는 지능 온도 및 전원 제어장치로 전송된 온도 신호를 검출한 후, 즉각적인 제어 조정을 위해 실리콘 전원 제어장치에 지시하여 적외선 가열 램프(111)의 전원 공급장치에의 전압, 전류, 또는 전원 인가를 수행하도록 하고, 그로부터 가열된 물체의 급속하고 일정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제품에 의한 자기 흡수열(heat self-absorbed)의 파장대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최상의 에너지 절약 방법 중 하나로 제품의 기본 흡수 파장(base absorbed wavelength)을 해당 적외선 가열 램프(111)에 맞출 필요가 있다.
도 4에 따르면, 고온 가열 및 가압 스테이션(2)은 유도 가열 수단(120), 상부 금형 코어(130), 및 가압 수단(140)을 포함한다. 상부 금형 코어(130)는 가압 수단의 상부 압력 헤드(141)의 단열 패드 상에 고정되고, 하부 금형 코어(180) 및 제품(4)은 서로 연결되어 가압 수단(140)의 하부 압력 헤드(143)의 단열 패드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하부 금형 코어(180)와 제품(4)은 고온 가열을 수행하기 위해 유도 가열 수단(120) 안으로 동시에 상승될 수 있다. 가압 수단(140)은 상부 금형 코어(130) 상에 고압의 압력을 가하고, 상부 금형 코어(130)와 하부 금형 코어(180)는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나란히 정렬된다.
상부 금형 코어(130)와 하부 금형 코어(180) 사이에 개재된 유도 가열 수단(140)은 구리 유도 코일로 만들어지고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고주파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며, 유도 전류는 상부 금형 코어(130)와 하부 금형 코어(180) 간에 저항 때문에 열을 발생시키고, 열은 제품을 요구 온도로 순차적으로 상승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닐링 스테이션(3)은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110), 상부 금형 코어(130), 및 가압 수단(140)을 포함한다. 상부 금형 코어(130)는 가압 수단(140)의 상부 압력 헤드(141) 상에 고정되고, 하부 금형 코어(180)는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110) 상에 배치되며,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110)는 가압 수단(140)의 하부 압력 헤드(143) 상에 고정된다. 제품(4)은 하부 금형 코어(180) 상에 위치되고, 가압 수단(140)은 제품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금형 코어 상에 저압의 압력을 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제품 주조 장비(100)는 또한 로딩 및 언로딩(loading and unloading ) 반송 수단(150)을 포함한다.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130)는 복수의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 상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하부 금형 코어(180)와 제품(4)은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130)의 작동에 의해 서로 다른 처리 작업이 수행되도록, 로딩 및 언로딩 반송 수단(150)의 이송 작용에 의해 예열 및 예압 스테이션(1), 고온 가열 및 가압 스테이션(2), 및 어닐링 스테이션(3)의 서로 다른 처리 위치 상에서 동시에 이동한다. 물론, 로딩 및 언로딩 반송 수단(150)은 소정의 다른 반송 수단, 예를 들어 구동 풀리 또는 지능형 기계식 아암 기반의 장치일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상부 금형 코어(130)와 하부 금형 코어(180)는 곡면을 가진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곡선형으로 주조된 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제품 주조 장비(100)는 또한 공급 플레이트(181), 배출 플레이트(183), 냉각 플레이트(185)를 포함한다. 공급 플레이트(181)는 처리를 위해 대기된 제품을 위치시키는데 사용된다. 배출 플레이트(183)는 처리 및 냉각된 제품을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냉각 플레이트(185)는 처리 및 주조된 제품을 냉각시키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냉각 플레이트(185)는 냉각 속도를 보장하기 위해 수냉식 구조를 가진다.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연속 제품 주조 장비는 또한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110), 유도 가압 수단(120), 상부 금형 코어(130), 하부 금형 코어(180), 가압 수단(140) 및 로딩 및 언로딩 반송 수단(150)을 수용하는 고정형 캐리어(170)를 포함한다. 고정형 캐리어(170)는 가열 온도의 한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석영관을 구비한다. 고정형 캐리어(170)의 외벽은 질소 가스 유입구에 개방된다. 전자 밸브는 자동 통기(aeration)를 수행하기 위해 가스 유입구 전방에 설치된다. 배기구와 감압 포트는 플랜지의 위치에 설치되고 전자 밸브를 구비하며, 공정 요구에 기초한 석영관 상에서의 예비 진공 펌핑을 수행하기 위해 배기구 측에 있는 기계식 펌프(171)에 연결된 다음, 보호된 질소에 연결된다. 제품의 성형이 끝난 후, 보호된 질소는 배기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예비 진공 펌핑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간단히 밸브를 잠글 수 있다. 고정형 캐리어(170)의 외벽은 또한 이송 도어(172), 배출 도어(도면에 미도시) 및 관측창(173)에 개방된다.
전술한 연속 제품 주조 장비에 구성된 각각의 상부 금형 코어는 개별적으로 설치 및 작동되고, 동일 기판상에 설치되어 동시에 작동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다중 공극부 형태의 주조 장비에 의한 단일 금형의 긴 금형 보수 작업 시간 및 지루한 공정의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연속 제품 주조 장비로 인해 사람들은 가스켓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가스켓 조정의 지루한 공정을 건너뛰게 한다. 동시에, 전술한 연속 주조 장비는 복수의 고정된 상부 금형 코어 및 이동가능한 하부 금형 코어를 또한 포함하는 상부 및 하부 금형 코어들을 채용하며, 서로 다른 스테이션 상에 고정된 모든 상부 금형 코어는 연속적인 제품 형성을 수행하기위해 각각의 이동가능한 하부 금형 코어와 결합된 상태로 주조될 수 있다. 어떤 한 금형 코어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날 경우, 전체 성형 공정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신속히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연속 제품 주조 장비의 금형 보수 작업 시간은 보다 짧아지고 공정은 비교적 단순해지며, 그에 따라 실제 제품 주조 장비의 단점이 극복되고 생산 효율이 개선된다. 연속 제품 주조 방법은 다수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주조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제품 주조 장비(100)에 의한,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품 주조 공정을 나타낸다:
단계 S201: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 상에 고정된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 및 이동가능한 하부 금형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제품은 하부 금형 코어 상에 배치된다.
하부 금형 코어 및 제품은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의 작동에 의해 서로 다른 제품 처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에 설명된 단계 S202~S205를 포함한다. 작업 스테이션들은 예열 및 예압 스테이션, 고온 가열 및 가압 스테이션, 어닐링 스테이션 및 냉각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2: 제품을 예열 및 예압하는 단계로서, 예열 및 예압에 의한 성형이 마무리된 후에는 하부 금형 코어를 따라 제품을 다음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예열 및 예압 스테이션에서의 공정은 제품을 예열하기 위해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의 사용을 채택하거나, 제품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 구조의 사용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 구성 후에는 하부 금형 코어를 따라 제품을 고온 가열 및 가압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킨다. 처리를 위해 기다리는 제품은 유리 제품일 수 있으며, 유리 제품에의 예열 및 예압은 갑작스런 과도한 온도 및 압력으로 인한 유리 제품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단계 203: 제품을 고온 가열 및 가압하는 단계로서, 주조 후에 하부 금형 코어를 따라 제품을 다음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온 가열 및 가압 스테이션에서의 공정은 제품을 고온 가열하기 위한 유도 가열 수단의 사용을 채택할 수 있으며, 유도 가열 수단은 상부 금형 코어와 하부 금형 코어 사이에 개재된 고주파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되고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구리 유도 코일로 만들어진다. 교번되는 유도 전류는 상부 금형 코어와 하부 금형 코어 사이에 흐르는 저항 때문에 열을 발생시켜 제품을 요구 온도로 상승시킨다. 이 구성 후, 하우 금형 코어를 따라 어닐링 스테이션으로 제품을 이동시킨다.
단계 204: 제품을 어닐링하는 단계로서, 어닐링 후 하부 금형 코어를 따라 제품을 다음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어닐링 스테이션에서의 공정은 제품을 어닐링하기 위한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를 채용하거나 제품의 변형을 유지하기 위해 주조된 제품에 저압의 압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제품이 어닐링된 후, 이 공정은 제품의 규모적인 성장을 보장할 수 있으며, 열 굽힘(thermal bending)된 후의 제품의 내부 응력을 제거할 수 있다.
단계 205: 제품을 냉각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공정은 제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플레이트를 채용할 수 있으며, 냉각 플레이트는 수냉식 구조를 적용한다.
전술한 연속 제품 주조 방법은 복수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주조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들 및 대체품들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Claims (9)

  1. 복수의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 상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 및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 상에서 이동하는 단일의 하부 금형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는, 상기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의 작동에 의해 서로 다른 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연속 제품 주조 장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은 차례로 설치된 예열 및 예압 스테이션, 고온 가열 및 가압 스테이션, 및 어닐링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연속 제품 주조 장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 및 예압 스테이션과 상기 어닐링 스테이션은 각각 제품에 저온 가열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된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금형 코어는 상기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는 외부 덮개, 온도계, 단열 면사, 복수의 적외선 가열 램프, 및 단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 플레이트는 외부 덮개 상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가열 램프는 상기 단열 플레이트의 일 면 상에 고르게 배치되고,
    상기 단열 면사는 상기 외부 덮개와 상기 단열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온도계는, 상기 단열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적외선 가열 램프의 표면에 밀착된 연속 제품 주조 장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열 및 가압 스테이션은 제품에 고온 가열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된 유도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연속 제품 주조 장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 및 예압 스테이션, 고온 가열 및 가압 스테이션, 및 어닐링 스테이션은 각각 상기 상부 금형 코어 및 하부 금형 코어를 가압하기 위해 사용된 가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수단은 상부 압력 헤드, 하부 압력 헤드 및 2개의 단열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단열 패드는 상기 상부 압력 헤드 및 상기 하부 압력 헤드 상에 개별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상부 금형 코어는 상기 상부 압력 헤드의 단열 패드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압력 헤드의 단열 패드 상에 고정되는 연속 제품 주조 장비.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 코어 및 제품들을 복수의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으로 차례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로딩 및 언로딩 반송 수단, 및
    상기 주조된 제품을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된 냉각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형 코어와 하부 금형 코어는 곡면을 가진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곡선형으로 주조된 면으로 이루어지는 연속 제품 주조 장비.
  7. 연속된 제품을 위한 주조 방법으로서,
    (a)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 상에 고정된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 및, 상기 제품이 배치되는 하나의 이동가능한 하부 금형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복수의 상부 금형 코어의 작동에 의해 제품에 서로 다른 처리 공정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하부 금형 코어 및 상기 제품을 서로 다른 작업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 제품 주조 방법.
  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1) 상기 형성 단계 후 상기 제품을 예열 및 예압하고, 예열 및 예압이 끝나면 상기 하부 금형 코어를 따라 상기 제품을 첫번째 다음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2) 고온에서 상기 제품을 가열 및 가압하고, 가열 및 가압 후에 상기 하부 금형 코어를 따라 상기 제품을 두번째 다음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3) 상기 제품을 어닐링하고, 어닐링 후에 상기 하부 금형 코어를 따라 상기 제품을 세번째 다음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제품을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속 제품 주조 방법.
  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상기 제품을 예열하기 위한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를 채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3)은 상기 제품을 어닐링하기 위한 적외선 가열 플레이트를 채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2)는 고온에서 상기 제품을 가열하기 위한 유도 가열 수단을 채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도 가열 수단은 구리 유도 코일로 만들어지고, 또한 상기 유도 가열 수단은 상기 상부 금형 코어와 상기 하부 금형 코어 사이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고주파 전원 공급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유도 전류는 상기 상부 금형 코어와 상기 하부 금형 코어 간에 저항 때문에 열을 발생시켜 상기 제품을 요구 온도로 상승시키며,
    상기 단계 (4)는 상기 제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플레이트를 채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냉각 플레이트는 수냉식 구조를 갖는 연속 제품 주조 방법.
KR1020120003572A 2011-09-01 2012-01-11 연속 제품 주조 장비 및 연속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365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269448.X 2011-09-01
CN201110269448.XA CN102964056B (zh) 2011-09-01 2011-09-01 连续式工件模造设备及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318A true KR20130025318A (ko) 2013-03-11
KR101365181B1 KR101365181B1 (ko) 2014-02-21

Family

ID=4771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572A KR101365181B1 (ko) 2011-09-01 2012-01-11 연속 제품 주조 장비 및 연속 제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65181B1 (ko)
CN (1) CN102964056B (ko)
TW (2) TWM43848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3815A (zh) * 2016-05-25 2016-10-12 深圳市联得自动化装备股份有限公司 压头及热压成型设备
CN106946441B (zh) * 2017-03-03 2019-08-09 深圳大学 一种光学非球面玻璃模压成型设备
TWI663130B (zh) * 2018-06-11 2019-06-21 揚明光學股份有限公司 熱壓成型模具及玻璃光學元件的製造方法
CN111546613B (zh) * 2020-04-30 2022-02-08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软排线加热折多角度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9290A1 (en) * 2001-06-19 2002-12-19 Glasstech, Inc.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nd quenching glass sheets
CN100400445C (zh) * 2004-12-15 2008-07-09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连续式玻璃模造成形系统
JP4559315B2 (ja) * 2005-05-17 2010-10-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学素子の成形方法
JP2007153647A (ja) * 2005-12-02 2007-06-21 Asahi Glass Co Ltd 光学素子の成型装置及び成型方法
KR100757966B1 (ko) * 2006-04-05 2007-09-11 주식회사 성신신소재 다양한 컬러, 비중, 경도를 갖는 신발솔의 제조방법
JP2008056502A (ja) 2006-08-29 2008-03-13 Toshiba Mach Co Ltd 光学素子成形装置
JP2009091200A (ja) 2007-10-09 2009-04-30 Fujinon Corp 光学素子用成形型
CN101450835A (zh) * 2007-12-06 2009-06-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模造装置及模压成型方法
TW200936346A (en) * 2008-02-29 2009-09-01 Hon Hai Prec Ind Co Ltd Mold for molding optical lens
CN202214289U (zh) * 2011-09-01 2012-05-09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连续式工件模造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181B1 (ko) 2014-02-21
TW201311580A (zh) 2013-03-16
CN102964056B (zh) 2015-04-01
TWM438480U (en) 2012-10-01
CN102964056A (zh) 2013-03-13
TWI481570B (zh)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4801B2 (ja) 成形装置
US9987671B2 (en) Sheet metal member shape forming system and method
KR101365181B1 (ko) 연속 제품 주조 장비 및 연속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750261B1 (ko) 곡면 윈도우 글라스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글라스 제조방법
US201102655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bending glass sheets with complex curvatures
CN107473573A (zh) 一种曲面成型加工设备
TW202039379A (zh) 玻璃板之成形裝置
JP2014227317A (ja) 金型組
CN100418657C (zh) 链板片加工工艺
JP2006255900A (ja) 熱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0118486A (zh) 薄板加热用多功能及小型化红外复合箱式加热炉及方法
JP2007131466A (ja) 光学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レンズの製造装置
KR101778232B1 (ko) 성형 장치
JP4825494B2 (ja) ガラス成形装置
KR101804394B1 (ko) 유리 성형 장치
JP2008069019A (ja) 光学素子成形装置
TWM545272U (zh) 氣密式連續熱壓成型裝置
JPH06305744A (ja) 光学素子製造装置
TW202039380A (zh) 玻璃板之成形方法
CN108821550A (zh) 一种智能车载用大尺寸3d玻璃热弯机
JP7212872B1 (ja) 成形金型部品の製造方法
CN202214289U (zh) 连续式工件模造设备
CN107511427A (zh) 一种三工位热态高温成型机及成型方法
TWM560387U (zh) 氣密式連續熱壓成型裝置之支撐裝置
TW201831412A (zh) 氣密式連續熱壓成型裝置之氣密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