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889A - 유리물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물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889A
KR20130024889A KR1020127024813A KR20127024813A KR20130024889A KR 20130024889 A KR20130024889 A KR 20130024889A KR 1020127024813 A KR1020127024813 A KR 1020127024813A KR 20127024813 A KR20127024813 A KR 20127024813A KR 20130024889 A KR20130024889 A KR 20130024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glass
smelting chamber
glass
post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8101B1 (ko
Inventor
윌리암 거네이 도펠드
랜디 로즈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2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1Forming glass sheets by lateral drawing or extr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7Forming glass sheets combined with thermal conditioning of the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18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 C03B5/187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with moving elements
    • C03B5/1875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with moving elements of the screw or pump-action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25Ref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35Heating the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03B5/43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e.g. fire-bri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유리 물품 제조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선제련 챔버에서 용융유리를 젓기위해 제1 교반 장치를 갖는 선제련 챔버를 포함한다. 장치는 용융유리로부터 대부분의 가스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된 제반 챔버를 더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후제련 챔버에서 용융유리를 젖기 위해 제2 교반 장치를 갖는 후제련 챔버를 또한 포함한다. 유리물품 제조를 위한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선제련 챔버에서 용융유리를 젓기위한 단계, 제련 챔버에서 용융유리로부터 대부분의 가스거품을 제거하는 단계, 후제련 챔버에서 용융유리를 젓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리물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APPARATUS FOR MAKING A GLASS ARTICLE AND METHODS}
본 출원은 2010년 2월 25일에 출원한 미국 특허출원 제61/308067호에 우선권의 이점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리 물품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선제련(pre-fining) 챔버와 후제련(post-fining) 챔버에서 용융유리를 젓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 제조 시스템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시트 유리와 같은 다양한 유리 물품을 형성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용융유리가 아이소파이프(isopipe)로 흐르고 유리리본이 퓨전 다운-드로우(fusion down-draw) 공정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알려졌다. 유리리본은 그후 연속적으로 LCD 시트 유리를 제공하기 위해 분리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리 물품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선제련 챔버와 후제련 챔버에서 용융유리를 젓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 예시의 실시예에서, 유리 물품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주석 산화물을 포함하는 용융유리를 생성하기 위하여 유리 용해기에 배취(batch) 재료를 용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유리 용해기로부터 선제련 챔버로 용융유리를 통과시키고 선제련 챔버에서 용융유리를 젓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방법은 여전히 선제련 챔버로부터 제련 챔버로 용융유리를 통과시키고 제련 챔버의 용융유리로부터 가스 거품 대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련 챔버로부터 후제련 챔버까지 용융유리를 통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후제련 챔버의 용융유리의 온도는 선제련 챔버의 용융유리의 온도보다 더 낮다. 본 방법은 후제련 챔버에서 용융유리를 젓는 단계와 유리 물품을 형성하기 위해 후제련 챔버로부터 성형 용기로 많은 양의 용융유리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다른 예시의 실시예에서, 유리 물품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배취 재료를 용융유리로 용해시키도록 형성된 유리 용해기와 유리 용해기로부터 용융유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선제련 챔버를 포함한다. 선제련 챔버는 선제련 챔버에서 용융유리를 젓기위한 제1 교반 장치를 포함한다. 본 장치는 선제련 챔버로부터 용융유리를 수용하고 용융유리로부터 가스 거품의 대부분을 제거하도록 형성된 제련 챔버를 더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제련 챔버로부터 용융유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후제련 챔버를 포함한다. 후제련 챔버는 상기 후제련 챔버에서 용융유리를 젓기위한 제2 교반 장치를 포함하며, 제2 혼합 장치는 제1 교반 장치보다 더 작은 교반 셰어링(shearing)을 갖는 용융유리를 젓도록 형성된다. 본 장치는 여전히 후제련 챔버로부터 용융유리를 수용하고 유리 물품을 성형하도록 형성된 성형 용기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유리시트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3-3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4-4에 따른 단면도이다.
아래 기재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가능하다면, 같은 참조번호는 같거나 비슷한 부품들을 나타내기 위해 도면 전체에 사용된다. 그러나, 서로 다른 형태가 구체화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유리 물품을 만들기 위해 형성된 장치(101)의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유리 물품은 유리 공예 조각, 유리 용기, 유리 로드, 유리 튜브 또는 다른 유리 물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1)는 또한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유리 물품 내에 가스 거품이 없는 유리 물품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물품은 선택 장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리렌즈와 같은 선택적인 장치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유리 물품은 LCD 디스플레이에 대한 유리시트와 같은 유리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추가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장치(101)는 저장통(107)으로부터 배취 재료(105)를 용해하도록 형성된 유리 용해기(103)를 포함한다. 배취 재료는 화살표 방향(111)를 따라 유리 용해기(103)의 유입 포트를 통해 배취 이송장치(109)에 의해 유입될 수 있다. 유리 용해기(103) 안에서, 배취 재료(105)는 용융유리(113)로 용해된다. 용융유리(113)는 원하는 유리 물품 특성과 공정 고려사항들에 따라 다양한 조성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유리(113)는 가스 거품이 실질적으로 없는 유리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용융유리로부터 가스 거품의 제련을 강화하기 위해 제공된 휘발성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용융유리(113)는 주석 산화물(SnO2) 및/또는 보론 산화물(B2O3)과 같은 휘발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1)는 유리 용해기(103)로부터 용융유리(113)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선제련 챔버(115)를 더 포함한다. 도 1과 도 2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선제련 챔버(115)는 선제련 챔버(115)에서 용융유리(113)을 젓기위한 제1 교반 장치(117)를 포함한다. 제1 교반장치(117)는 비록 교반장치가 기울어진축, 수평축 등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할지라도 화살표 방향(119)를 따른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교반장치는 중심축과 같이 선제련 챔버(115)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나타난 실시예에서, 제1 교반장치(117)는 선제련 챔버(115)의 중심축을 따라 뻗어 있는 수직 샤프트(121)를 포함한다. 제1 세트의 블레이드(125)를 포함하는 제1 교반-블레이드 형상(123)은 수직 샤프트(121)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제1 모터(127)는 제1 교반-블레이드 형상(123)이 선제련 챔버(115) 내에서 용융유리(113)를 젓게 하도록 화살표 방향(119)를 따라 수직 샤프트(121)를 회전시키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제련 챔버(115)는 유리 용해기(103)로부터 용융유리를 수용하기 위한 유입구(129)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례의 유입구(129)는 상승 높이(131)를 포함한다. 유입구(129)는 원형 외주를 가질 수 있으며 상승 높이(131)는 유입구(129)의 직경을 포함한다. 비록 보이지 않지만, 유입구(129)는 다각형(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등), 곡선형 또는 다른 형상들과 같은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 더 나타난 바와 같이, 선제련 챔버(115)는 비록 서로다른 형상들이 추가적인 예시들에 제공될 수 있다 할지라도 유입구(129)의 외주와 기하학적으로 유사한 외주를 가질 수 있는 유입구(133)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제련 챔버(115)의 유입구(129)는 유출구(133)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선제련 챔버(115) 내에서 용융유리(113)의 교차흐름을 허용한다. 용융유리(113)의 교차흐름을 제공하는 것은 유출구(133)를 따라 통과하기 전에 용융유리(113)를 혼합하기 위해 제1 교반-블레이드 형상(123)과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다.
장치(101)는 선제련 챔버(115)로부터 용융유리(113)를 수용하고 용융유리(113)로부터 대부분의 가스 거품(137)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된 제련 챔버(135)를 더 포함한다. 나타난 바와 같이, 제련 챔버(135)는 비록 다른 챔버 형상들이 추가적인 예시들에 제공될 수 있다할지라도 가늘고 긴 수평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나타난 바와같이, 제련 챔버(135)는 선택적으로 대기로 배출된다. 따라서, 일례의 실시예들은 제련 챔버(135)내의 용융유리(113)에 필수적으로 아무런 진공이 부여되지 않는 제련 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필수적으로 어떠한 진공도 부여되지 않는다는 것은 제련 챔버(135)의 기압이 적어도 0.8의 기압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필수적으로 어떠한 진공도 부여되지 않는다는 것은 0.8 이하의 대기 압력이 아닌 가벼운 진공이 부여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1)는 제련 챔버(135)로부터 용융유리(113)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후제련 챔버(139)를 더 포함한다. 도 1과 도 2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후제련 챔버(139)는 상기 후제련 챔버(139)에서 용융유리(113)를 젓기 위한 제2 교반장치(141)를 포함한다. 제2 교반장치(141)는 비록 교반장치가 기울어진축, 수평축 등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할지라도 화살표 방향(143)를 따라 세로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교반장치는 중심축과 같이 후제련 챔버(139)의 축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다. 나타난 실시예에서, 제2 교반장치(141)는 후제련 챔버(139)의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수직 샤프트(145)를 포함한다.
제2 세트의 블레이드(149)를 포함하는 제2 교반-블레이드 형상(147)은 수직 샤프트(145)에 일체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제1 교반장치(117)는 제2 교반장치(141)보다 더 작은 교반 셰어링을 갖는 용융유리를 젓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교반 블레이드 형상은 제1 교반-블레이드 형상의 용융유리 셰어링 표면적보다 더 큰 용융유리 셰어링 표면적을 포함한다. 실제로, 도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2 교반-블레이드 형상(147)의 제2 세트의 블레이드(149)는 제1 교반-블레이드 형상(123)의 제1 세트의 블레이드(125)보다 더 많은 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이처럼, 제2 교반-블레이드 형상(147)은 제1 교반-블레이드 형상(123)의 용융유리 셰어링 표면적보다 더 큰 용융유리 셰어링 표면적을 포함한다.
제2 모터(151)는 후제련 챔버(139) 내에서 제2 교반-블레이드 형상(147)이 용융유리(113)를 젓도록 하는 화살표 방향(143)에 따라 수직 샤프트(145)를 회전시키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모터(151)는 제1 모터(127)보다 더 크게 및/또는 더 많은 토크를 이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교반장치(117)는 심지어 제1 교반-블레이드 형상이 제2 교반-블레이드 형상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예시일지라도 제2 교반장치(141)보다 더 작은 교반 셰어링을 갖는 용융유리(113)를 젓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제련 챔버(139)는 제련 챔버(135)로부터 용융유리를 수용하기 위한 유입구(153)와, 용융유리(113)를 이송 용기(157)(예를 들어, 보울)로 통과하게 하는 유출구(155)를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제련 챔버(139)의 유입구(153)는 유출구(155)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후제련 챔버(139) 내에 용융유리(113)의 교차흐름을 허용한다. 용융유리(113)의 교차흐름은 유출구(155)를 통과하기 전에 용융유리(113)를 혼합하도록 제2 교반-블레이드 형상(147)과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킨다.
장치(101)는 후제련 챔버로부터 용융유리를 수용하고 유리 물품을 성형하기 위해 형성된 성형 용기를 더 포함한다. 성형용기는 퓨전 다운-드로우, 슬롯 드로우, 플롯(float), 가압, 몰딩, 롤링, 주입 몰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성형 용기는 퓨전-드로우 기술에 의해 용융유리(113)로부터의 도시된 유리 리본(161)과 같은 유리 물품을 퓨전 다운-드로우하도록 형성된 아이소파이프(159)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용해기(103)는 통상적으로 내화성(예를 들어, 세라믹) 벽돌과 같은 내화성 재료로부터 만들어진다. 장치(110)는 백금 또는 백금-로듐, 백금-이리듐 및 그러한 혼합체와 같은 백금-포함 금속으로부터 통상적으로 만들어지는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또한 몰리브덴, 파라디움, 레늄, 탄탈늄, 티타늄, 텅스텐, 류데늄, 오스미움, 지르코늄 및 이러한 합금 및/또는 지르코늄 산화물과 같은 그러한 내화성 금속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백금-포함 구성요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제련 챔버(115), 제련 챔버(135), 후제련 챔버(139), 이송용기(157), 성형용기, 다운커머(163) 및 성형용기에 대한 유입구(165)를 포함할 수 있다. 백금-포함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용기들을 서로 연결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유리 물품 제조방법은 주석 산화물로 용융유리(113)를 제조하기 위해 유리 용해기에서 배취 재료(105)를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용융유리는 또한 보론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용해되면, 용융유리(113)는 유리 용해기(103)로부터 통과하고 선제련 챔버(115)의 유입구(129)를 통한 후 제1 모터(127)에 의해 선제련 챔버(115) 내에서 교반될 수 있다. 도 3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용융유리(113)는 용융유리 스트림(113)으로 선제련 챔버(115)로 주입될 수 있고 선제련 챔버로 들어가는 용융유리의 상승 높이의 적어도 상부 20%(참조번호 167로 나타남)는 선제련 챔버(115) 내에 용융유리(113)의 상승 높이(169)의 적어도 75%에 걸쳐 혼합된다. 용융유리 스트림의 상승 높이의 상부의 충분한 혼합을 제공하는 것은 유출구(133)를 통해 통과하는 용융유리에 걸쳐 주석 산화물, 보론 산화물 및 또는 다른 제련제를 분배함으로써 유리 용해를 균일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이로써 제련 챔버(135)에서 가스 거품 제거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 마크(171)에 의해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 입체 20%(참조번호 167)는 주석 산화물 및/또는 보론 산화물의 평균 분포보다 더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제1 교반장치(117)로 저은 후, 마크(171)는 유출구(133)를 통해 제련 챔버(135)까지 통과하는 현재의 유리 용해 스트림에 걸쳐 더 바람직하게 분산된다. 선제련 챔버에서 더 균일한 용해를 형성하는 것은 용융유리 스트림에서 높은 수분 함유량의 영역을 최소화하는 추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마크(171)를 갖는 도 3에 나타난 영역에서의 국부적인 높은 수분 함유량은 예를 들어 유리 용해기(1031)가 용융유리 표면을 가열하기 위해 가스-산화 버너를 이용할 때 생성될 수 있다. 용융유리와 수분이 충분한 가스-산화물 연소 대기와의 접촉은 표면영역을 물로 채운다. 만약 용해된 물이 수소로 분해될 때 백금-함유 용기면 거품을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용융유리 스트림의 수분이 충분한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면, 이것은 산소를 남기는 벽을 투과하고, 수소 투과가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다면 최종 유리 제품에서 거품과 연속적인 결함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교반장치(117)로 저은 후, 물 함유량은 일정한 농도쪽으로 더 유리하게 변한다. 선제련 챔버(115) 내의 교반 과정은 적절한 제련제의 분배를 제공하기 위해 용융유리의 비교적 낮은 교반 셰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자체로, 에너지는 절약될 수 있고 비싼 교반 구성요소는 간단화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융유리 스트림이 그후 제련 챔버로 들어가면 가스 거품(137)은 제련 챔버 내의 유리 용해의 표면(173)으로 자유롭게 올라가고 제련 챔버 내의 대기(175)로 배출된다. 필수적으로 어떠한 진공도 부여되지 않아 용융유리로부터의 가스 거품이 용아하게 제거되는 것이 보장되도록 압력 균일화 밸브(177)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필수적으로 어떠한 진공도 부여되지 않을 때, 제련 챔버(135) 내의 주석 산화물 및/또는 보론 산화물의 과도한 휘발성은 피할 수 있다.제련 챔버(135)를 통과한 후, 용융유리(113)는 필수적으로 어떠한 가스 거품도 없다. 그러나, 코드 성형 부품(179)은 용융유리의 비균질화 일부를 나타내도록 형성할 수 있다.
용융유리(113)는 그후 후제련 챔버(139)로 들어가고 용융유리는 제2 교반 장치(141)로 저어진다. 용융유리가 성형 용기(예를 들어, 아이소파이프(159))로 통과하면, 용융유리는 코드-성형 부품이 필수적으로 없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온도 게이지(181,183)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후제련 챔버의 용융유리의 온도는 선제련 챔버의 용융유리의 온도보다 더 낮다. 그 자체로 용융유리(113)는 후제련 챔버보다 선제련 챔버에서 더 낮은 점성을 포함할 수 있다. 용융유리를 충분히 젓기 위하여, 더 큰 모터(151)(모터(127)와 비교할 때)가 사용되고 후제련 챔버 내의 교반 셰어링은 선제련 챔버의 교반-셰어링보다 더 높다. 게다가, 용융유리는 성형 용기로 들어가기 전에 용융유리를 충분히 균일화하기 위해 선제련 챔버보다 후제련 챔버에서 더 잘 혼합될 수 있다.
용융유리는 그후 유리 물품을 성형하기 위해 성형 용기로 들어간다. 예를 들어, 나타난 바와 같이, 성형 용기는 아이소파이프(159)를 포함하며 유리 물품은 퓨전 다운-드로우 공정에 의해 유리리본(161)으로부터 형성된 유리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1: 장치 103: 유리 용해기
105: 배취 재료 107: 저장통
109: 이송장치 113: 용융유리
115: 선제련 챔버 117: 제1 교반장치
123: 제1 교반-블레이드 형상 125: 제1 세트의 블레이드
127: 제1 모터 129: 유입구
135: 제련 챔버 137: 가스거품
139: 후제련 챔버 141: 제2 교반장치
147: 제2 교반-블레이드 형상 149: 제2 세트의 블레이드
151: 제2 모터 153: 유입구
155: 유출구 157: 이송용기

Claims (15)

  1. (I) 주석 산화물을 포함하는 용융유리를 제조하기 위해 유리 용해기에서 배취 재료를 용해하는 단계;
    (II) 상기 용융유리를 유리 용해기에서 선제련 챔버로 통과시키는 단계;
    (III) 상기 선제련 챔버에서 용융유리를 젓는 단계;
    (IV) 상기 용융유리를 상기 선제련 챔버에서 제련 챔버로 통과시키는 단계;
    (V) 제련 챔버의 상기 용융유리로부터의 대부분의 가스 거품을 제거하는 단계;
    (VI) 제련 챔버로부터 후제련 챔버로 상기 용융유리를 통과시키는 단계;
    (VII) 후제련 챔버에서 용융유리를 젓는 단계; 및
    (VIII) 상기 유리물품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후제련 챔버로부터 성형 용기까지 많은 양의 용융유리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제련 챔버의 용융유리의 온도는 상기 선제련 챔버의 용융유리의 온도보다 더 낮은 유리물품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 용기는 아이소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물품은 퓨전 다운-드로우 공정에 의해 형성된 유리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물품 제조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용융유리는 보론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물품 제조 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유리는 후제련 챔버보다 선제련 챔버에서 더 낮은 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물품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제련 챔버에서의 상기 용융유리는 상기 후제련 챔버에서의 상기 용융유리보다 더 작은 교반 셰어링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물품 제조 방법.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유리는 단계 (III) 동안의 선제련 챔버와 단계 (VII) 동안의 후제련 챔버 둘다에서 혼합되고, 상기 용융유리는 상기 용융유리가 단계 (III) 동안 선제련 챔버에 혼합되는 것보다 단계 (VII) 동안 후제련 챔버에서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물품 제조 방법.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I) 동안, 상기 용융유리는 상승 높이를 갖는 용융유리 스트림처럼 선제련 챔버로 들어가며, 선제련 챔버로 들어가는 용융유리 스트림의 상승 높이의 적어도 20%는 단계 (III) 동안, 선제련 챔버 내의 용융유리의 상승 높이의 적어도 75%에 걸쳐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물품 제조 방법.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VII)의 끝에서, 용융유리는 본질적으로 코드-성형 부품이 없이 실질적으로 균일한 조성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물품 제조 방법.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V) 동안, 상기 용융유리로부터 가스 거품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필수적으로 어떠한 진공도 부여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물품 제조 방법.
  10. (A) 배취 재료를 용융유리로 용해하도록 형성된 유리 용해기;
    (B) 유리 용해기로부터 용융유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선제련 챔버;
    (C) 선제련 챔버로부터 용융유리를 수용하고 상기 용융유리로부터 대부분의 가스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된 제련 챔버;
    (D) 상기 제련 챔버로부터 용융유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후제련 챔버; 및
    (E) 후제련 챔버로부터 용융유리를 수용하고 유리물품을 성형하도록 형성된 성형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선제련 챔버는 선제련 챔버에서 용융유리를 젓기위한 제1 교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후제련 챔버는 상기 후제련 챔버에서 용융유리를 젓기위한 제2 교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혼합장치는 제1 교반장치보다 더 작은 교반 셰어링을 갖는 상기 용융유리를 젓기위해 형성된 유리물품 제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1 교반 장치는 제1 교반-블레이드 형상을 포함하고 제2 교반장치는 제2 교반 블레이트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교반-블레이드 형상은 제1 교반-블레이드 형상의 용융유리 셰어링 표면적보다 더 큰 용융유리 셰어링 표면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물품 제조 장치.
  12. 청구항 10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성형용기는 용융유리로부터 상기 유리 물품을 퓨전 다운-드로우하도록 형성된 아이소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물품 제조 장치.
  13. 청구항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제련 챔버는 유리 용해기로부터 상기 용융유리를 수용하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용융유리를 제련 챔버로 이송하기 위한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유출구보다 더 낮은 높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물품 제조 장치.
  14. 청구항 10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제련 챔버는 제련 챔버로부터 용융유리를 수용하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용융유리를 상기 성형용기로 이송하기 위한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후제련 챔버의 유입구는 후제련 챔버의 유출구보다 더 높은 높이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물품 제조 장치.
  15. 청구항 10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물품 제조 장치는 제련 챔버에서의 용융유리로부터 가스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진공의 보조 없이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물품 제조 장치.

KR1020127024813A 2010-02-25 2011-02-25 유리물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8481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806710P 2010-02-25 2010-02-25
US61/308,067 2010-02-25
PCT/US2011/026184 WO2011106605A2 (en) 2010-02-25 2011-02-25 Apparatus for making a glass article and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889A true KR20130024889A (ko) 2013-03-08
KR101848101B1 KR101848101B1 (ko) 2018-05-28

Family

ID=4450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813A KR101848101B1 (ko) 2010-02-25 2011-02-25 유리물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85674B2 (ko)
KR (1) KR101848101B1 (ko)
CN (1) CN102770378B (ko)
TW (1) TWI494283B (ko)
WO (1) WO201110660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619A (ko) * 2013-01-24 2015-10-02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용융 유리를 정제하기 위한 공정 및 장치
US9637406B2 (en) * 2013-03-15 2017-05-02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Apparatus for melting and refining silica-based glass
CN105377774B (zh) * 2013-12-26 2019-04-05 安瀚视特控股株式会社 玻璃基板的制造方法以及玻璃基板制造装置
JP5937704B2 (ja) * 2013-12-26 2016-06-22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製造装置
DE102014211346A1 (de) * 2014-06-13 2015-12-17 Schot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lasartikels aus einer Glasschmelze
CN109851206A (zh) * 2019-04-23 2019-06-07 蚌埠中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基板制造过程中铂金通道的多功能排泡装置
CN110655303A (zh) * 2019-10-21 2020-01-07 扬州市丰泽特种电缆材料有限公司 一种电熔窑澄清方法
CN114590994B (zh) * 2020-12-02 2023-09-05 苏州市灵通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弧形玻璃的生产工艺
US11773006B1 (en) * 2022-11-10 2023-10-03 Corning Incorporated Glasses for high performance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2093D0 (en) * 1988-09-20 1988-10-19 Toledo Eng Co Inc Improvements relating to melting of glass
JP3252975B2 (ja) * 1992-01-30 2002-02-04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444628B1 (ko) 1995-11-21 2004-11-03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용융유리의정제방법및장치
JP4183202B2 (ja) * 1995-11-21 2008-11-19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製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11139833A (ja) * 1997-11-05 1999-05-25 Asahi Glass Co Ltd ガラスの製造方法
US20060042318A1 (en) * 2004-08-31 2006-03-02 Burdette Steven R Method and apparatus for homogenizing a glass melt
US7584632B2 (en) * 2005-07-28 2009-09-08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a fining agent in a glass melt
US7854144B2 (en) * 2005-07-28 2010-12-21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reducing gaseous inclusions in a glass making process
CN102173560A (zh) * 2006-01-05 2011-09-07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熔融玻璃供给装置及玻璃成形品的制造方法
JP4720777B2 (ja) * 2007-04-24 2011-07-13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85674B2 (ja) 2016-03-15
WO2011106605A2 (en) 2011-09-01
TW201134773A (en) 2011-10-16
KR101848101B1 (ko) 2018-05-28
WO2011106605A3 (en) 2011-12-29
CN102770378A (zh) 2012-11-07
CN102770378B (zh) 2016-08-31
TWI494283B (zh) 2015-08-01
JP2013521205A (ja)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4889A (ko) 유리물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5390608B2 (ja) ガラス溶融物内へのガスのバブリング方法
KR101217369B1 (ko) 용융 유리 제조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용융 유리 제조 방법
US20060101859A1 (en) Glass melting gurnace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
JP6418455B2 (ja) 溶融ガラスを清澄化するためのプロセス及び装置
KR101761457B1 (ko) 유리 물품 제조 장치 및 방법
JP5763538B2 (ja) ガラス板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446283B2 (ja) ガラス溶融炉
WO2012011419A1 (ja) 溶融ガラスの搬送装置、および溶融ガラスの搬送装置を用いたガラス製造方法
JP5730806B2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101778377B1 (ko)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JP2006232560A (ja) 熔融ガラス中の気泡形成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KR20180075696A (ko) 증가된 배치 용해 및 유리 균질성을 위한 유리 용융 시스템 및 방법
JP2020522455A (ja) ガラス製造システムの再調整方法
CN105481231B (zh) 玻璃基板的制造方法及搅拌装置
TW200800819A (en) Melting apparatus
CN113226999B (zh) 在玻璃制作过程中控制气泡的方法
JP2012036063A (ja) 溶融ガラスの撹拌装置及び撹拌方法
CN204958704U (zh) 光学玻璃生产用搅拌器
JP2005067960A (ja) ガラス溶融用スターラー
JP2016033099A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攪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