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703A -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703A
KR20130023703A KR1020110086653A KR20110086653A KR20130023703A KR 20130023703 A KR20130023703 A KR 20130023703A KR 1020110086653 A KR1020110086653 A KR 1020110086653A KR 20110086653 A KR20110086653 A KR 20110086653A KR 20130023703 A KR20130023703 A KR 20130023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shaft
unit
cylinder
groo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0551B1 (ko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6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5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의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제철소에서 드럼이나 롤러 등의 부품을 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관재의 작업 대상물 테두리를 고정하고 작업 대상물에 삽입되는 축을 밀어 작업 대상물을 분리시키는 가압부와, 가압부가 지지되는 거치대와,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거치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가압부와 축 사이에 개재되어 가압부의 가압력을 축에 전달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관상제품용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SEPARATING APPARATUS FOR PIPE TYPE PRODUCT}
본 발명은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의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제철소에서 드럼이나 롤러 등의 부품을 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 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압연장치에는 대형의 롤러, 모터, 감속기 등의 구동장치가 설치되며, 고온의 대형 작업 대상물에 작업을 행하는 구동장치들은 드럼, 롤러 등의 부품을 정기적으로 분리하여 수리작업을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5-0060090호(1997년 7월 29일 공개, 발명의 명칭 : VCR 드럼의 구멍가공기용 드럼 자동 로딩/언로딩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대형의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제철소에서 드럼이나 롤러 등의 부품을 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관상제품용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부; 관재의 작업 대상물 테두리를 고정하고 작업 대상물에 삽입되는 축을 밀어 작업 대상물을 분리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가 지지되는 거치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부의 가압력을 상기 축에 전달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제품용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승강부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지지대가 연결되는 연결블록; 및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연결블록을 출몰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작업 대상물에 결합되는 지지축; 작업 대상물에 삽입되는 축을 가압하고 상기 거치대에 안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와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는 제1기둥부; 상기 제1기둥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기둥부; 및 상기 제2기둥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기둥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기둥부의 내벽에는 서로 직교되는 제1가이드홈부 및 제1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기둥부 측으로 출몰되는 제1가이드볼이 삽입되는 제1탄성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홀부에는 제1핸들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핸들부와 상기 제1가이드볼 사이에는 제1탄성체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기둥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기둥부의 내벽에는 서로 직교되는 제2가이드홈부 및 제2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기둥부 측으로 출몰되는 제2가이드볼이 삽입되는 제2탄성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홀부에는 제2핸들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2핸들부와 상기 제2가이드볼 사이에는 제2탄성체가 개재되고, 상기 제2기둥부의 외벽에는 서로 직교되는 제1수직홈부 및 제1수평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기둥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부 및 상기 제1안착홀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기둥부의 외벽에는 서로 직교되는 제2수직홈부 및 제2수평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기둥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2가이드홈부 및 상기 제2안착홀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는 대형의 드럼 또는 실린더 등의 부품을 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별도의 승강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대형의 관상제품을 분리시키는 작업 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는 축과 실린더 사이의 간격이 발생될 때에 간격조절부를 조작하여 실린더의 가압력이 축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므로 다양한 형상 또는 다양한 크기의 관상제품을 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베이스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베이스부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간격조절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간격조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간격조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간격조절부의 제2기둥부 연장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간격조절부의 제2기둥부 최대 연장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간격조절부의 제3기둥부 연장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베이스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베이스부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는, 베이스부(10)와, 관재의 작업 대상물 테두리를 고정하고 작업 대상물에 삽입되는 축(1)을 밀어 작업 대상물을 분리시키는 가압부(30)와, 가압부(30)가 지지되는 거치대(50)와, 베이스부(10)에 설치되고 거치대(5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70)와, 가압부(30)와 축(1) 사이에 개재되어 가압부(30)의 가압력을 축(1)에 전달하는 간격조절부(100)를 포함한다.
압연장치의 감속기 등과 같이 대형의 장치에 설치되는 드럼을 축(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을 행할 때에는 거치대(50)에 가압부(30)가 안착된 상태에서 승강부(70)를 조작하여 가압부(30)를 작업 대상물에 대향되는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이후에, 가압부(30)와 작업 대상물을 연결한 후에 가압부(30)를 구동시키면 가압부(30)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에 삽입된 축(1)이 작업 대상물 외측으로 가압되므로 축(1)으로부터 작업 대상물이 분리된다.
이때, 작업 대상물에는 크레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체인이나 벨트를 권취하여 축(1)으로부터 분리되는 작업 대상물을 옮기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승강장치 없이 승강부(70)의 작동에 의해 가압부(30)를 상승시켜 작업 대상물을 축(1)으로부터 분리시키므로 작업 대상물이 축(1)으로부터 분리되는 순간에 가압부(30) 또는 다른 부품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형의 관상제품을 분리하는 작업 중에 가압부(30) 또는 다른 부품의 낙하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부(10)는, 승강부(70)가 설치되는 본체(12)와, 본체(12)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지지대(14a)가 연결되는 연결블록(14)과, 본체(12)로부터 연결블록(14)을 출몰시키는 구동부(20)를 포함한다.
본체(12)는 좌우방향으로 긴 사각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개방되어 한 쌍의 연결블록(1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연결블록(14)은 본체(12)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대(14a)가 형성되고, 본체(12)는 지지대(14a)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2a)가 형성되며, 지지대(14a)와 돌출부(12a)의 저면에는 롤러(16)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체(12)로부터 연결블록(14)이 돌출되면 승강부(70), 거치대(50) 및 가압부(3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0)의 폭이 넓어지면서 승강부(70)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대형의 관상제품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구동부(20)는, 본체(12)에 설치되는 손잡이부(22)와, 손잡이부(22)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주동기어(24)와, 연결블록(14)에 삽입되는 볼트부재(26)와, 볼트부재(26)에 연결되고 주동기어(24)에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28)를 포함한다.
작업자가 손잡이부(22)를 회전시키면 손잡이부(22)의 동력이 주동기어(24) 및 종동기어(28)를 따라 볼트부재(26)에 전달되는데, 볼트부재(26)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삽입되므로 볼트부재(26)가 회전되면 연결블록(14)은 본체(12) 외측으로 돌출된다.
작업자가 손잡이부(22)를 역회전시키면 손잡이부(22)의 역회전 동력이 주동기어(24) 및 종동기어(28)를 따라 볼트부재(26)에 전달되므로 연결블록(14)이 본체(12) 내부로 삽입된다.
가압부(30)는, 작업 대상물에 결합되는 지지축(32)과, 작업 대상물에 삽입되는 축(1)을 가압하고 거치대(50)에 안착되는 실린더(34)와, 실린더(34)와 지지대(14a)를 연결하는 지그(36)를 포함한다.
거치대(50)는 지그(36)를 관통하여 실린더(34)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34)를 지지하므로 지그(36)에 의해 실린더(34)에 연결되는 지지축(32)도 거치대(50)에 의해 승강되면서 작업 대상물의 테두리에 대향되는 높이로 이동된다.
지지축(32)의 단부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홀부가 형성되므로 작업 대상물의 테두리에 한 쌍의 지지축(32)을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하면, 실린더(34)의 로드(34a)가 작업 대상물에 삽입된 축(1)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지그(36)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모양의 관상제품을 축(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을 행하 수 있게 된다.
지지축(32)과 작업 대상물을 연결한 후에 실린더(34)를 구동시키면 실린더(34)로부터 로드(34a)가 돌출되면서 작업 대상물에 삽입된 축(1)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작업 대상물은 지지축(32)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데, 실린더(34)로부터 돌출되는 로드(34a)가 축(1)을 가압하면 축(1)으로부터 작업 대상물이 이탈되어 분리작업이 진행된다.
승강부(70)는, 본체(12)에 설치되는 기둥(72)과, 기둥(7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강대(77)와, 기둥(72)에 설치되고 승강대(77)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74)와, 승강대(77)에 설치되는 레버부(75)와, 레버부(75)의 회전축에 기어연결되고 거치대(50)에 삽입되는 구동축(73)을 포함한다.
승강대(77)는 상단에 지지플레이트(79)가 설치되고 하단이 개방된 기둥(72) 모양으로 형성되고, 기둥(72)은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승강실린더(74)가 설치된다.
승강대(77)의 내경은 기둥(72)의 외경과 비교하여 크게 형성되고, 승강대(77)가 기둥(72)의 상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승강실린더(74)로부터 승강로드(74a)가 돌출되면 지지플레이트(79)를 상측으로 밀어 승강대(77)가 상승하게 된다.
승강실린더(74)의 일측에는 조작레버(76)가 설치되고, 조작레버(76)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승강실린더(74)로부터 승강로드(74a)가 돌출된다.
조작레버(76)와 본체(12) 사이에는 탄성부재(78)가 개재되므로 작업자가 조작레버(76)를 하측 방향으로 당기면 승강실린더(74) 내부에 압력이 상승되면서 승강실린더(74)로부터 승강로드(74a)가 돌출되고, 작업자가 조작레버(76)를 놓으면 탄성부재(78)의 복원력에 의해 조작레버(76)가 원상태로 복원된다.
승강실린더(74)의 일측에는 승강실린더(74) 내부의 압력을 낮추는 밸브가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밸브를 개방하여 승강실린더(74)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승강로드(74a)가 승강실린더(74) 내부로 삽입되어 승강대(77)가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조작레버(76)의 조작에 의해 승강로드(74a)가 돌출되고 밸브의 조작에 의해 승강로드(74a)가 승강실린더(74) 내부로 삽입되는 유압실린더(34)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승강실린더(74)로부터 승강로드(74a)가 최대로 돌출되어도 실린더(34)의 높이가 작업 대상물에 삽입된 축(1)의 높이보다 낮으면 작업자는 레버부(75)를 회전시켜 구동축(73)을 회전시키는데, 구동축(73)은 거치대(5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삽입되므로 거치대(50)가 승강대(77)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승강실린더(74)의 작동에 의해 승강대(77) 및 거치대(50)를 1차 상승시키고, 레버부(75)의 작동에 의해 거치대(50)를 2차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작업 대상물을 축(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거치대(50)에는 승강대(77)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홀부(54)가 형성되고, 실린더(34)가 안착되는 받침부(52)가 설치된다.
받침부(52)는 오목한 홈부가 형성되는 곡면패널 모양으로 형성되어 거치대(5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34)를 받침부(52)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실린더(34)를 받침부(52)에 고정하지 않고 안착시켜 작업 대상물의 분리작업을 행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간격조절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간격조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간격조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간격조절부의 제2기둥부 연장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간격조절부의 제2기둥부 최대 연장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간격조절부의 제3기둥부 연장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간격조절부(100)는, 실린더에 연결되는 제1기둥부(110)와, 제1기둥부(110)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기둥부(130)와, 제2기둥부(130)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기둥부(150)를 포함한다.
지지축(32)을 작업 대상물에 연결하여 실린더(34)로부터 로드(34a)를 돌출시킬 때에 로드(34a)와 축(1)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면 로드(34a)의 단부에 제1기둥부(110)를 연결하여 로드(34a)와 축(1) 사이의 간격을 줄이므로 로드(34a)의 가압력이 축(1)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모양의 작업 대상물을 축(1)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제1기둥부(110)를 로드의 단부에 연결한 후에도 간격유지부(100)와 축(1)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면, 제1기둥부(110)로부터 제2기둥부(130)를 돌출시키고, 제2기둥부(130)로부터 제3기둥부(150)를 돌출시켜 간격유지부(100)와 축(1) 사이의 간격을 줄이도록 한다.
제1기둥부(110)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기둥부(110)의 내벽에는 서로 직교되는 제1가이드홈부(115) 및 제1안착홈부(116)가 형성되고, 제2기둥부(130) 측으로 출몰되는 제1가이드볼(112)이 삽입되는 제1탄성홀부(111)가 형성되고, 제1탄성홀부(111)에는 제1핸들부(114)가 결합되며, 제1핸들부(114)와 제1가이드볼(112) 사이에는 제1탄성체(113)가 개재된다.
제2기둥부(130)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2기둥부(130)의 내벽에는 서로 직교되는 제2가이드홈부(135) 및 제2안착홈부(136)가 형성되고, 제3기둥부(150) 측으로 출몰되는 제2가이드볼(132)이 삽입되는 제2탄성홀부(131)가 형성되고, 제2탄성홀부(131)에는 제2핸들부(134)가 결합되며, 제2핸들부(134)와 제2가이드볼(132) 사이에는 제2탄성체(133)가 개재되고, 제2기둥부(130)의 외벽에는 서로 직교되는 제1수직홈부(137) 및 제1수평홈부(138)가 형성되고, 제2기둥부(130)의 단부에는 제1가이드홈부(115) 및 제1안착홀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가이드돌기(139)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기둥부(130)를 제1기둥부(110)로부터 돌출시킬 때에 제1가이드돌기(139)가 제1가이드홈부(115)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2기둥부(130)가 제1기둥부(110)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제2핸들부(134)를 회전시켜 제1가이드돌기(139)가 제1안착홈부(116)에 삽입되면 제2기둥부(130)가 구속되므로 제2기둥부(130)의 돌출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제1가이드볼(112)은 제1수직홈부(137) 및 제1수평홈부(138)를 따라 슬라이딩 하게 된다.
제3기둥부(150)의 외벽에는 서로 직교되는 제2수직홈부(157) 및 제2수평홈부(158)가 형성되고, 제3기둥부(150)의 단부에는 제2가이드홈부(135) 및 제2안착홀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가이드돌기(159)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3기둥부(150)를 제2기둥부(130)로부터 돌출시킬 때에 제2가이드돌기(159)가 제2가이드홈부(135)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3기둥부(150)가 제2기둥부(130)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제3기둥부(150)를 회전시켜 제2가이드돌기(159)가 제2안착홈부(136)에 삽입되면 제3기둥부(150)가 구속되므로 제3기둥부(150)의 돌출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제2가이드볼(132)은 제2수직홈부(157) 및 제2수평홈부(158)를 따라 슬라이딩 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134a는 제2기둥부(130)에 결합되고, 제3기둥부(150)를 가압하여 구속하는 고정부재(134a)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제품용 분리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철소에 설치되는 드럼 또는 롤러(16)와 같은 관상제품의 작업 대상물을 축(1)으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작업자가 베이스부(10)를 밀어 작업 대상물 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조작레버(76)를 당겨 승강실린더(74)로부터 승강로드(74a)를 돌출시킨다.
승강실린더(74)로부터 승강로드(74a)가 돌출되면 승강대(77)가 기둥(72)을 따라 상승되므로 승강대(77)에 설치되는 거치대(50) 및 가압부(30)가 상승된다.
승강로드(74a)가 최대로 돌출된 상태에서 실린더(34)의 높이가 작업 대상물에 삽입된 축(1)의 높이보다 낮으면 작업자는 레버부(75)를 회전시켜 구동축(73)을 회전시키므로 구동축(73)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연결된 거치대(50)가 상승되면서 실린더(34)가 상승된다.
실린더(34)가 축(1)에 대향되게 배치되면 작업자는 지지축(32)과 작업 대상물의 테두리 사이에 체결부재를 결합하여 작업 대상물과 지지축(32)을 연결하고, 실린더(34)를 구동시키면 실린더(34)로부터 로드(34a)가 돌출되면서 축(1)을 가압하므로 축(1)으로부터 작업 대상물이 돌출된다.
작업 대상물이 높은 곳에 위치하거나 대형의 작업 대상물을 분리할 때에는 작업자가 손잡이부(22)를 회전시키는데, 손잡이부(22)의 동력은 주동기어(24) 및 종동기어(28)를 따라 볼트부재(26)에 전달된다.
따라서 볼트부재(26)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삽입되는 연결블록(14)이 본체(12)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지지대(14a)와 지지대(14a) 사이의 간격을 넓히므로 승강부(70) 및 가압부(30)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축(32)을 작업 대상물에 결합하였을 때에 실린더(34)의 로드(34a)와 축(1) 사이의 간격이 발생되면 제1기둥부(110)로부터 제1마감링(117)을 분리한 후에 로드(34a)의 단부에 제1기둥부(110)를 결합한다.
제1기둥부(110)를 로드(34a)에 결합한 후에도 제3기둥부(150)의 제2마감링(156)과 축(1) 사이이 간격이 발생되면 작업자는 제2핸들부(134)를 조작하여 제2기둥부(130)를 제1기둥부(110)로부터 돌출시키고, 제3마감링(150)을 조작하여 제2기둥부(130)로부터 제3기둥부(150)를 돌출시켜 제2마감링(156)과 축(1) 사이의 간격을 줄이게 된다.
이후에,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 대상물 분리작업을 행하여 축(1)으로부터 작업 대상물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대형의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제철소에서 드럼이나 롤러 등의 부품을 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관상제품용 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관상제품용 분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관상제품용 분리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분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부 12 : 본체
12a : 돌출부 14 : 연결블록
14a : 지지대 16 : 롤러
20 : 구동부 22 : 손잡이부
24 : 주동기어 26 : 볼트부재
28 : 종동기어 30 : 가압부
32 : 지지축 34 : 실린더
34a : 로드 36 : 지그
50 : 거치대 52 : 받침부
54 : 슬라이딩홀부 70 : 승강부
72 : 기둥 73 : 구동축
74 : 승강실린더 74a : 승강로드
75 : 레버부 76 : 조작레버
77 : 승강대 78 : 탄성부재
79 : 지지플레이트 100 : 간격유지부
110 : 제1기둥부 111 : 제1탄성홀부
112 : 제1가이드볼 113 : 제1탄성체
114 : 제1핸들부 115 : 제1가이드홈부
116 : 제1안착홈부 117 : 제1마감링부
130 : 제2기둥부 131 : 제2탄성홀부
132 : 제2가이드볼 133 : 제2탄성체
134 : 제2핸들부 135 : 제2가이드홈부
136 : 제2안착홈부 137 : 제1수직홈부
138 : 제1수평홈부 139 : 제1가이드돌기
150 : 제3기둥부 156 : 제2마감링부
157 : 제2수직홈부 158 : 제2수평홈부
159 : 제2가이드돌기

Claims (7)

  1. 베이스부;
    관재의 작업 대상물 테두리를 고정하고 작업 대상물에 삽입되는 축을 밀어 작업 대상물을 분리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가 지지되는 거치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부의 가압력을 상기 축에 전달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승강부가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지지대가 연결되는 연결블록; 및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연결블록을 출몰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작업 대상물에 결합되는 지지축;
    작업 대상물에 삽입되는 축을 가압하고 상기 거치대에 안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와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는 제1기둥부;
    상기 제1기둥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기둥부; 및
    상기 제2기둥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3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둥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기둥부의 내벽에는 서로 직교되는 제1가이드홈부 및 제1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기둥부 측으로 출몰되는 제1가이드볼이 삽입되는 제1탄성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홀부에는 제1핸들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핸들부와 상기 제1가이드볼 사이에는 제1탄성체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둥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기둥부의 내벽에는 서로 직교되는 제2가이드홈부 및 제2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기둥부 측으로 출몰되는 제2가이드볼이 삽입되는 제2탄성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홀부에는 제2핸들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2핸들부와 상기 제2가이드볼 사이에는 제2탄성체가 개재되고, 상기 제2기둥부의 외벽에는 서로 직교되는 제1수직홈부 및 제1수평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기둥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부 및 상기 제1안착홀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둥부의 외벽에는 서로 직교되는 제2수직홈부 및 제2수평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기둥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2가이드홈부 및 상기 제2안착홀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KR1020110086653A 2011-08-29 2011-08-29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KR101330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653A KR101330551B1 (ko) 2011-08-29 2011-08-29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653A KR101330551B1 (ko) 2011-08-29 2011-08-29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703A true KR20130023703A (ko) 2013-03-08
KR101330551B1 KR101330551B1 (ko) 2013-11-18

Family

ID=4817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653A KR101330551B1 (ko) 2011-08-29 2011-08-29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4837A (zh) * 2019-04-11 2019-06-18 李润生 疏竣胶管法兰胶铁分离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525A (ko) * 2000-11-28 2002-06-03 이구택 폭압연 롤의 쵸크 분해 조립 및 롤 선회장치
KR100797368B1 (ko) * 2001-11-12 2008-01-22 주식회사 포스코 조질압연기의 롤 간격조정장치
KR20040087135A (ko) * 2003-04-04 2004-10-1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의 롤 조인트 조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4837A (zh) * 2019-04-11 2019-06-18 李润生 疏竣胶管法兰胶铁分离机
CN109894837B (zh) * 2019-04-11 2024-04-26 李润生 疏竣胶管法兰胶铁分离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551B1 (ko) 2013-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1609B2 (ja) カップリングの抜取装置
KR101330551B1 (ko)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KR101344309B1 (ko)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KR101254124B1 (ko)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반전장치
KR20150001693U (ko) 케이블 드럼 거치대
KR100861960B1 (ko) 열간압연기 백업롤의 스택 라이너 교환장치
KR101291545B1 (ko)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KR100861963B1 (ko) 압연용 백업롤의 하드/소프트 라이너 분해장치
KR101099682B1 (ko) 고로 출선구용 지지장치
KR100423429B1 (ko) 소둔로 롤 교체장치
JP2003301217A (ja) ロール交換装置
KR100973906B1 (ko) 후판 유도장치
KR101919536B1 (ko) 연속 주조설비의 핀치롤 교체장치 및 교체방법
KR100851876B1 (ko) 레이들의 탑렌스 투입장치
KR100622102B1 (ko) 압연롤용 쵸크 자동 착탈장치 및 그의 방법
KR101205155B1 (ko) 압연용 입구 가이드 장치
CN218049761U (zh) 一种钣金滚圆机
KR200260908Y1 (ko) 슬라브 인출장치
US2964203A (en) Coil stripping apparatus
KR100954193B1 (ko) 연속주조설비의 가이드롤 간격 조정장치
CN210549168U (zh) 一种移动式集装箱的焊接装置
CN113953910B (zh) 用于模铸钢锭的修磨装置
KR20160077801A (ko) 압연기용 작업대차
KR100467039B1 (ko) 스크랩 슬리브 코일의 슬리브 자동분리장치
KR100775229B1 (ko) 압연롤 시프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