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655A -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 및 그 보조 방법 - Google Patents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 및 그 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655A
KR20130022655A KR1020110085405A KR20110085405A KR20130022655A KR 20130022655 A KR20130022655 A KR 20130022655A KR 1020110085405 A KR1020110085405 A KR 1020110085405A KR 20110085405 A KR20110085405 A KR 20110085405A KR 20130022655 A KR20130022655 A KR 20130022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brake
module
speed
neu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3215B1 (ko
Inventor
김한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10085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2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10Automatic or semi-automatic parking ai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입력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 또는 경음기 작동 모듈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활성화 모듈, 및 차량의 중립 주차시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활성화 모듈로 출력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고 중립 주차하더라도 사고의 발생이 예측되면 자동으로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킴으로써, 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 및 그 보조 방법{Assistance device for neutral parking safet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중립 주차 중 제동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 주차시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은 채 중립 주차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경사지에 전자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은 채 중립 주차가 된 경우는 사고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또한 대형 마트 등에서는 주차 공간의 부족함으로 인해 차량을 중립 주차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차량을 직접 전방 혹은 후방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전방 혹은 후방의 장애물을 인식하지 못하여 차량이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중립 주차시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한편, 중립기어단 자동 브레이크용 주차 기어 작동구조에 관한 발명이 특허공개 제10-2006-81957호를 통해 알려져 있다. 이 작동구조는 주차 기어의 내측면에 마찰 부재를 형성하고, 이 마찰 부재와 마주하도록 브레이크 패드를 형성하되, 파킹기어 내부에 기어변속 매뉴얼이 중립 단일 때 공급되는 유압으로 작동하여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여 마찰 부재에 밀착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를 형성하며, 기어 변속 매뉴얼이 중립 단일 때 오일펌프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액추에이터로 공급하는 제어밸브를 밸브 바디에 형성한다. 이에 따라 기어변속 매뉴얼이 중립 단에 위치해 있을 때 자동으로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별도의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필요를 없게 한다. 그러나 이는 중립 주차시에는 자동으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대형 마트 등에서와 같이 비좁은 주차 공간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말아야 하는 경우까지도 주차 브레이크 작동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중립 주차시 주차 브레이크가 요구되는 상황에서만 선택적으로 그리고 자동으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는 입력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 또는 경음기 작동 모듈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활성화 모듈, 및 차량의 중립 주차시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활성화 모듈로 출력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거나 상기 차량의 주차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기울기가 기준치 이상이거나 상기 차량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일 방향의 일정범위 이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에 의해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이 활성화된 후, 상기 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일정 속도 미만으로 감소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기울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의 비활성화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활성화 모듈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이 활성화된 후, 상기 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감소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경음기 작동 모듈의 활성화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활성화 모듈로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중립 주차 안전 보조 방법은 차량의 중립 주차 여부 및 전자 주차 브레이크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립 주차 상태 및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가 비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거나 상기 차량의 주차 기울기가 기준치 이상이거나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의 일정범위 내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이상이거나 상기 차량의 주차 기울기가 상기 기준치 이상이거나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의 일정범위 내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중립 주차 안전 보조 방법은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활성화 후에 상기 차량 속도가 감소 및 상기 차량의 주차 기울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고 중립 주차하는 경우에 주차 차량의 움직임으로 인해 사고의 발생이 예측되면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나아가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차량 움직임 속도가 감소하지 않으면 경고음을 작동시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고 인명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립 주차 안전 보조를 위한 전체 시스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립 주차 안전 보조 방법 흐름도.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립 주차 안전 보조를 위한 전체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800)는 차량 배터리(100), 작동 스위치(200), 전자 주차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300), 속도 센서(400), 근접 센서(500), 경음기 작동 모듈(700), 및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과 연결된다. 차량 배터리(100)는 차량 전반의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800)는 차량 배터리(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 가능하다. 작동 스위치(200)는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8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며, 전자 주차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300)는 차량의 중립 주차시 전자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이다. 속도 센서(400)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며, 근접 센서(500)는 차량의 전방 혹은 후방의 근접 거리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바람직하게, 차량의 전단과 후단에 모두 근접 센서(500)가 장착된다.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은 전자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및 해제를 위한 모듈이며, 경음기 작동 모듈(700)은 경음기를 작동시켜 경보를 울리기 위한 모듈이다.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800)는 활성화 모듈(820) 및 제어 유닛(810)을 포함한다. 또한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800)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내부 배터리(830)와 차량의 주차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울기 센서(840)는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800)의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활성화 모듈(820)은 후술할 제어 유닛(8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며, 또한 경음기 작동 모듈(700)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한 모듈이다. 활성화 모듈(820)을 웨이크업(wakeup) 모듈이라 할 수도 있다. 제어 유닛(810)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일 수 있다. 제어 유닛(810)은 차량의 중립 주차시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이 비활성화 상태일 경우, 기설정된 조건이 달성되는 경우에 활성화 모듈(820)로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어 유닛(810)은 차량의 시동 상태 정보 및 변속 레버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810)은 시동 센서 및 변속 레버 센서로부터 차량의 시동 상태 정보와 변속 레버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아니면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으로부터 차량의 시동 상태 정보와 변속 레버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 유닛(810)은 차량의 시동 상태 정보와 변속 레버 위치 정보를 통해 차량의 중립 주차 여부를 판단한다. 중립 주차 상태일 경우, 제어 유닛(810)은 전자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가 온(on) 상태인지 아니면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즉, 제어 유닛(810)은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이 활성화 상태인지 아니면 비활성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이 비활성화 상태이면, 제어 유닛(810)은 속도 센서(400)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거나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기울기가 기준치 이상이거나 근접 센서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치는 지면의 기울기에 의해 중립 주차된 차량이 움직이게 될 최소의 값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준 속도는 적절한 값이 정해질 수 있으며, 근접 센서(500)에 의해 감지 범위 또한 적절한 값이 정해질 수 있다. 위 세 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면, 제어 유닛(810)은 활성화 모듈(820)로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활성화 모듈(820)은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로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이 활성화된다.
한편,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이 활성화된 이후에, 제어 유닛(810)은 속도 센서(400)에 의해 감지된 차량 속도가 일정 속도 미만으로 감소하고 기울기 센서(840)에 의해 감지된 기울기가 기준치 미만인지를 판단한다. 이를 만족하면, 제어 유닛(810)은 활성화 모듈(820)로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활성화 모듈(820)은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로 슬립(sleep) 신호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이 비활성화된다. 만일 속도 센서(400)에 의해 감지된 차량 속도가 감소하지 않는 경우, 제어 유닛(810)은 활성화 모듈(820)로 경음기 작동 모듈(700)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활성화 모듈(820)은 경음기 작동 모듈(700)로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경음기 작동 모듈(700)이 활성화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립 주차 안전 보조 방법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 유닛(810)은 작동 스위치(200)가 온 되었는지 확인한다(S100). 확인 결과 작동 스위치가 온 되었으면, 제어 유닛(810)은 차량 시동의 온/오프 여부와 기어 중립 여부 및 전자 주차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300)의 온/오프 여부를 판단한다(S200)(S210)(S220). 판단 결과 차량 시동이 온 상태이고 기어가 중립이며 전자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 유닛(810)은 속도 센서(400)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거나 기울기 센서(840)에 의해 감지된 기울기가 기준치 이상이거나 근접 센서(500)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 일정 범위 내에 장애물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300)(S310)(S320). 위 세 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면, 제어 유닛(810)은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S400).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810)은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활성화 모듈(820)로 출력하며, 활성화 모듈(820)은 이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로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이 활성화된다.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이 활성화된 후에, 제어 유닛(810)은 속도 센서(400)에 의해 감지된 차량 속도가 일정 속도 미만으로 감소하는지, 그리고 기울기 센서(840)에 의해 감지된 차량 주차 기울기가 기준치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500)(S510). 판단 결과 차량 속도가 감소하며 차량 주차 기울기가 기준치 미만이면, 제어 유닛(810)은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S600).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810)은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활성화 모듈(820)로 출력하며, 활성화 모듈(820)은 이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로 슬립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600)이 비활성화된다. S500에서의 판단 결과 차량 속도가 감소하지 않으면, 제어 유닛(810)은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610).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810)은 경음기 작동 모듈(700)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활성화 모듈(820)로 출력하며, 활성화 모듈(820)은 이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경음기 작동 모듈(700)로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경음기 작동 모듈(700)이 활성화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차량 배터리 200 : 작동 스위치
300 : 전자 주차 브레이크 작동 스위치
400 : 속도 센서 500 : 근접 센서
600 :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
700 : 경음기 작동 모듈
800 :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
810 : 제어 유닛 820 : 활성화 모듈
830 : 내부 배터리 840 : 기울기 센서

Claims (7)

  1. 입력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 또는 경음기 작동 모듈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활성화 모듈; 및
    차량의 중립 주차시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이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활성화 모듈로 출력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거나 상기 차량의 주차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기울기가 기준치 이상이거나 상기 차량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일 방향의 일정범위 이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에 의해 상기 장애물이 감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이 활성화된 후, 상기 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일정 속도 미만으로 감소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기울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의 비활성화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활성화 모듈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모듈이 활성화된 후, 상기 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속도가 감소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경음기 작동 모듈의 활성화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활성화 모듈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
  5. 차량의 중립 주차 여부 및 전자 주차 브레이크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립 주차 상태 및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가 비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이거나 상기 차량의 주차 기울기가 기준치 이상이거나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의 일정범위 내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이상이거나 상기 차량의 주차 기울기가 상기 기준치 이상이거나 상기 차량의 진행 방향의 일정범위 내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주차 안전 보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활성화 후에 상기 차량 속도가 감소 및 상기 차량의 주차 기울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주차 안전 보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주차 브레이크 활성화 후에 상기 차량 속도가 감소하지 않으면 경고음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립 주차 안전 보조 방법.
KR1020110085405A 2011-08-26 2011-08-26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 및 그 보조 방법 KR101273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405A KR101273215B1 (ko) 2011-08-26 2011-08-26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 및 그 보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405A KR101273215B1 (ko) 2011-08-26 2011-08-26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 및 그 보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655A true KR20130022655A (ko) 2013-03-07
KR101273215B1 KR101273215B1 (ko) 2013-06-12

Family

ID=4817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405A KR101273215B1 (ko) 2011-08-26 2011-08-26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 및 그 보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2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694B1 (ko) * 2013-03-29 2014-11-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주차차량 이동시 차량사고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480913B1 (ko) * 2013-04-18 2015-01-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이동주차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80068759A (ko)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토 파킹 제어방법 및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893U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주차 브레이크 작동 경고음 장치
DE102005061909A1 (de) * 2005-12-23 2007-07-05 Volkswagen Ag Parklenkassistenz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Parklenkassistenzsystems
KR101221732B1 (ko) * 2007-12-21 2013-01-11 주식회사 만도 노면의 상태에 따라 주차 보조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전환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074948A (ko)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만도 지능형 주차보조장치 및 지능형 주차보조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694B1 (ko) * 2013-03-29 2014-11-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주차차량 이동시 차량사고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480913B1 (ko) * 2013-04-18 2015-01-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이동주차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80068759A (ko)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토 파킹 제어방법 및 시프트 바이 와이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215B1 (ko)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35535A (ja) 低速衝突回避システム
KR101294163B1 (ko)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밀림방지 제어방법
US10578069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vehicle an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vehicle
JP6384503B2 (ja) 車両用制御装置
KR20070068945A (ko) 엔진지게차의 안전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2005186936A (ja) 車両の自動制動制御装置
JP2004351992A (ja) 車両の障害物検知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
KR101273215B1 (ko) 중립 주차 안전용 보조 장치 및 그 보조 방법
JP4918847B2 (ja) 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US10252728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vehicle an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vehicle
JP4613520B2 (ja) 駐車補助制御装置、駐車補助制御システムおよび駐車補助プログラム
JP2010120444A (ja) 車輌横転抑制用の警報装置
JP2005343248A (ja) 駐車補助ブレーキ制御装置
KR20120015548A (ko) 급제동 경보 시스템
JP2006123853A (ja) 追従走行制御方法及び追従走行制御装置
JPH08150910A (ja) 自動ブレーキ装置の制御装置
JP5217265B2 (ja) 車両走行制御手段
JP6183613B2 (ja) 自動ブレーキ制御装置
JP2012236487A (ja) 無人走行防止装置
JP2003019951A (ja)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KR20090016298A (ko) 엔진식 지게차용 모노 액셀페달의 안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1126403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005170311A (ja) 車両のハザードランプ制御装置
JP6206038B2 (ja) ブレーキランプの制御装置
JP2008049784A (ja) 車両の制動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動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