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464A - 지능형 도로 시스템에서 led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도로 시스템에서 led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464A
KR20130020464A KR1020110083120A KR20110083120A KR20130020464A KR 20130020464 A KR20130020464 A KR 20130020464A KR 1020110083120 A KR1020110083120 A KR 1020110083120A KR 20110083120 A KR20110083120 A KR 20110083120A KR 20130020464 A KR20130020464 A KR 20130020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information
unit
led
l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4088B1 (ko
Inventor
안강일
이창호
정성윤
권재균
임해용
장자순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8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08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6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using wind power, e.g. using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1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명세서에서의 개시에 따르면, 지능형 도로 시스템에 사용되는 LED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LED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며, 도로 이용 정보를 가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발광부와; 도로 상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정보 수집부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정보 수집부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적어도 하나의 LED를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도로 시스템에서 LED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ED MODULE IN A INTELLIGENT SYSTEM}
본 발명은 지능형 도로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LED 조명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상황 및 도로 이용 정보를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증가에 따른 교통 정체가 매년 급증하고 있다. 관계 기관에서는 반복되는 교통 정체를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으로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혼잡 구간에서의 가변 차선 운영, 기상상태 및 도로 조건을 나타내는 도로표지의 설치로 병목 구간을 해소하는 것 등이다. 또한, 교통 방송 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도로 상황 및 도로 정보를 전달하여 혼잡 구간을 피해가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그러나, 돌발적으로 사고가 발생하거나, 특정 구간의 차량 통행량이 변동하는 경우에 빨리 대처하여 상기 방안들을 운영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차량 운전자에게 즉각적으로 교통 정보가 전달된다고 보기도 어렵다.
한편, 운전자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을 통해 전달받는 교통 정보를 근거로 정체 구간을 피해 운행 경로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로 상황이 수집되고 종합되어 운전자까지 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부정확한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정체 구간을 알더라도 우회할 수 없는 피치 못할 사정도 있기 때문에, 교통 정체를 더 가중시키는 일도 발생할 수 있다.
교통 정체를 일으키는 여러 요인 중에서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도로환경적 요인은 적절한 교통 통제에 의해 충분히 개선될 수 있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차량 증가에 따른 정체, 도로상의 위험 요인에 따른 구간 정체, 기상 악화에 따른 도로 정체 등은 그 때마다 차선 증감과 유도 차선 생성으로 완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른 도로 표시의 변경 및 도로 상황 및 이용 정보를 실시간에 가깝게 제공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도로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지능형 도로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의 일 개시에 따르면, 지능형 도로 시스템에 사용되는 LED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LED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며, 도로 이용 정보를 가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발광부와; 도로 상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정보 수집부와;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정보 수집부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적어도 하나의 LED를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는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통행 차량과의 가시광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는 차량의 통행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동안 감지되는 차량의 빈도 수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 상황 정보를 수집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LED 모듈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태양열, 지열, 차량 통행시 발생하는 압력 또는 전력선을 통해 공급되며; 상기 제어부는 일조 시간에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일조 시간 이외에는 상기 지열 및 상기 압력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로 이용 정보는 도로의 차선을 변경시키는 신호, 제한 속도를 변경시키는 신호 또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도로 상황 정보는 현재 도로의 상태, 차량 혼잡도 또는 사고 현황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의 다른 개시에 따르면, 지능형 도로 시스템에서 도로 상에 매립된 적어도 하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 방법은 LED 모듈의 센서 및 통행 차량과의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도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도로 상황 정보와 기 저장된 도로 상황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도로 이용 정보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도로 이용 정보의 변경 여부가 결정된 경우, 상기 LED 모듈의 LED들을 점멸하여 상기 변경된 도로 이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의 또 다른 개시에 따르면, 지능형 도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지능형 도로 시스템은 도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LED 들을 점멸하여 도로 이용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 조명 모듈과; 상기 LED 조명 모듈들로부터 상기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도로 상황 정보에 따라 도로 이용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LED 조명 모듈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중앙 제어 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LED 조명 모듈에 의하면, 도로에 배치된 복수의 LED들을 이용하여 차선 정보 등과 같은 도로 이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기 쉽게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지능형 도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LED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한 속도 변경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는 지능형 도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지능형 도로 시스템(100)은 LED 모듈(110a, 110b, 110c, 110d), 중앙 제어 센터(120), 교통 감지 카메라(150), 센서(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LED 모듈은 도로에 매립되어 차선(110a), 중앙선(110b), 제한 속도(110c), 차량 진행 방향(110d) 등의 도로 이용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도로 이용 정보의 표시는 상기 LED 모듈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는 스스로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LED 모듈의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도로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LED 발광을 제어한다. 상기 도로 상황 정보는 차량 통행량, 도로상의 사고발생 여부, 기상 상태, 보행자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로 이용 정보는 차선, 중앙선, 제한 속도, 차량 진행 방향 표시, 횡단보도, 횡단보도 정지선 등 차량과 보행자를 위한 모든 표지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제어 센터(120)는 도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종합하며, 상기 도로 이용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더 많은 도로 상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외부의 교통 정보 센터(130), 교통 감지 카메라(150) 등과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교통 감지 카메라(150) 및 센서는 도로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센터(120) 또는 상기 LED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능형 도로 시스템(100)은 가변적인 도로 상황에 실시간으로 대응하여 차량 운행자 또는 보행자에게 원활하고 안전한 교통 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의 블록도이다.
상기 LED 모듈(110)은 발광부(111), 제어부(112), 정보 수집부(113), 전원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11)는 발광다이오드(LED) 및 상기 LED를 발광시키기 위한 회로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발광부(111)는 상기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특정 색의 빛을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111)는 중앙선을 표시할 경우에는 노랑색, 차선을 표시할 때는 하얀색 빛을 낸다. 또한, 상기 발광부(111)는 일시적인 교통사고 처리 등으로 차선 유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빨강색 빛을 점멸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114)는 LED 모듈의 구동과 LED의 발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14)가 제공하는 전력은 지하에 매설된 전력선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부(114)는 상기 전력선과 유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전원부(114)는 태양 전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부(114)는 상기 태양 전지를 통해 일조 시간에 전력을 충전함으로써, 상기 충전된 전력을 상기 LED 모듈(110)의 구동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114)는 지열 및/또는 차량 통행시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부(114)가 제공하는 전력을 충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LED 모듈(110)은 상기 지열 및/또는 차량 통행으로 인한 압력을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114)가 제공하는 전력은 상기 방법들을 혼합함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113)는 도로 상황에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수집부(113)는 통신부 및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로, 도로 상황 정보를 중앙 제어 센터, 통행 차량, 도로 주변의 센서 또는 카메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행 차량을 통해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 방식으로 가시광 무선 통신, RF 통신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도로 상황에 관련된 정보 즉, 도로 상황 정보는 차량 통행량, 도로상의 사고발생 여부, 기상 상태 등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중앙 제어 센터로부터 도로 이용 정보의 표시에 대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1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LED 모듈이 수집한 도로 상황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 센터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차량의 통행량 등 도로의 상황을 감지한다. 즉, 상기 센싱부는 소정 시간 동안의 통행 차량 수를 조사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통행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여러 다른 수단을 통하여 상기 도로 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수집한 도로 상황 정보를 상기 제어부(112)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정보 수집부(113)를 통해 수집된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111)의 적어도 하나의 LED를 점멸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도로 상의 도로 이용 정보를 가변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차선, 운행 최고 속도, 차량의 진행 방향 표시 등을 변경하도록 색 조절, 점멸 조절 등의 제어 명령을 상기 발광부(111)로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전원부(114)가 필요한 곳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환경에 적절한 방법으로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조 시간에는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충전하고, 그 외 시간에는 지열 또는 압력을 이용하여 충전하도록 상기 전원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도로 상황 정보 및 도로 이용 표지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LED 모듈은 도로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11). 상기 도로 상황에 관련된 정보는 차량 통행량, 도로상의 사고발생 여부, 기상 상태 등을 포함한다. 상기 도로 상황에 관한 정보의 수집은 여러 가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통행 차량과의 가시광 무선 통신 또는 RF 통신, LED 모듈에 내장된 센서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또는 중앙 제어 센터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거나 도로 주변에 설치된 카메라, 센서들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상기 LED 모듈은 상기 수집한 도로 상황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도로 이용 정보 표시의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S112).
예를 들어 한 방향의 정체가 심각한 반면 반대 방향의 교통량은 적은 경우, 정체가 심한 방향의 차선을 증가시키는 결정을 한다. 만약, 양 방향의 교통 흐름이 원활한 경우, 현재 표시 상태의 유지를 결정한다. 또 다른 예로서, 좌회전 차선은 정체되고 있지만 인접 직진 차선은 한산한 경우, 상기 직진 차선을 좌회전 차선으로 변경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이후, LED 모듈은 현재 도로 이용 정보 표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의적어도 하나의 LED를 조절하여 도로 이용정보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S113). 상기 예에 따른 변경을 결정한 경우, 한 방향의 차선을 증가시키거나, 차량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존의 도로는 양 방향으로 각각 3차선씩 왕복 6차선 도로이다. LED 모듈이 수집된 도로 상황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량을 분석한 결과 한 방향의 교통량만 많은 경우에, LED 모듈은 상기 교통량이 많은 방향의 차선을 늘리기 위해 발광부의 LED 점멸을 제어함으로써, 중앙선을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노란색의 중앙선(110b)은 흰색 차선(110a′)으로 변하여 일반 차선의 역할을 한다. 이 때 기존의 일반 차선(110a)이 중앙선(110b′)으로 변경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경 결과 정체 방향은 4차선, 비정체 방향은 2차선 도로로 운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한 속도 변경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존의 도로는 제한 최고 속도가 시속 80Km인 상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 때, 기상 악화 등 갑작스러운 도로 상황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제한 최고 속도를 표시하는 LED 모듈(110c)는 상기 도로 상황 변화를 반영하여 변경된 제한 최고 속도(110c′)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최고 속도가 시속 80km에서 시속 60Km로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변경에 대한 판단은 LED 모듈 자체에서 수집한 정보 또는 중앙 제어 센터를 통하여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에서도 살핀 것처럼 도로 이용 정보의 표시를 변경시키는 지시로서, 상기 LED 모듈의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센터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LED 모듈의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존의 도로는 양 방향으로 각각 3차선씩 왕복 6차선 도로이다. 이 때, LED 모듈이 일 방향의 한 개 차선에서 교통 사고(A)가 발생하였음을 감지하는 경우 즉, 교통 사고 발생의 도로 상황을 수집하는 경우, LED 모듈은 상기 사고 발생 차선을 우회하도록 차선을 가로지르는 도로 이용 정보를 표시하도록 발광부의 LED조명을 점멸한다(110f). 바람직하게는 사고지점 후방의 차량들이 좀 더 빨리 차선 변경을 인지할 수 있도록, 방향 지시 표지(110e)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차선 유도 표지(110e, 110f)를 통하여 급작스러운 차선 변경에 따른 혼잡을 예방하고, 연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110,110a, 110b, 110c, 110d, 110e, 110f : LED 모듈
120 : 중앙 제어 센터
130 : 교통 정보 센터
150 : 교통 감지 카메라

Claims (7)

  1. 지능형 도로 시스템에 사용되는 LED 모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며, 도로 이용 정보를 가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발광부;
    도로 상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정보 수집부; 및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정보 수집부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의 적어도 하나의 LED를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통행 차량과의 가시광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차량의 통행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동안 감지되는 차량의 빈도 수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 상황 정보를 수집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태양열, 지열, 차량 통행시 발생하는 압력 또는 전력선을 통해 공급되며,
    상기 제어부는 일조 시간에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일조 시간 이외에는 상기 지열 및 상기 압력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이용 정보는
    도로의 차선을 변경시키는 신호, 제한 속도를 변경시키는 신호 또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모듈.
  6. 지능형 도로 시스템에서 도로 상에 매립된 적어도 하나의 LED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LED 모듈의 센서 및 통행 차량과의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도로 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도로 상황 정보와 기 저장된 도로 상황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도로 이용 정보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로 이용 정보의 변경 여부가 결정된 경우, 상기 LED 모듈의 LED들을 점멸하여 상기 변경된 도로 이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도로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도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LED 들을 점멸하여 도로 이용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 조명 모듈; 및
    상기 LED 조명 모듈들로부터 상기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도로 상황 정보에 따라 도로 이용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LED 조명 모듈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중앙 제어 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도로 시스템.
KR1020110083120A 2011-08-19 2011-08-19 지능형 도로 시스템에서 led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244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120A KR101244088B1 (ko) 2011-08-19 2011-08-19 지능형 도로 시스템에서 led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120A KR101244088B1 (ko) 2011-08-19 2011-08-19 지능형 도로 시스템에서 led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464A true KR20130020464A (ko) 2013-02-27
KR101244088B1 KR101244088B1 (ko) 2013-03-18

Family

ID=4789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120A KR101244088B1 (ko) 2011-08-19 2011-08-19 지능형 도로 시스템에서 led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0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651B1 (ko) * 2013-08-09 2015-06-3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는 가변 제한속도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531485B1 (ko) * 2015-04-13 2015-07-01 장진우 차량 감속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CN116363887A (zh) * 2023-03-31 2023-06-30 上海舟塔新材料科技有限公司 路面引导系统及基于路面引导系统的交通引导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208B1 (ko) * 2013-09-09 2014-03-13 김민성 버스전용차로 표시장치
CN112150833B (zh) * 2019-06-28 2021-12-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调整路段限速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119B1 (ko) * 1999-11-12 2002-09-09 최인석 차로표시장치
KR100698041B1 (ko) * 2002-07-16 2007-03-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도광판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루브패턴 형성방법
JP4124090B2 (ja) * 2003-10-10 2008-07-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イドライト装置
KR20110035264A (ko) * 2009-09-30 2011-04-06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차선 안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651B1 (ko) * 2013-08-09 2015-06-3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는 가변 제한속도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531485B1 (ko) * 2015-04-13 2015-07-01 장진우 차량 감속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CN116363887A (zh) * 2023-03-31 2023-06-30 上海舟塔新材料科技有限公司 路面引导系统及基于路面引导系统的交通引导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088B1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019B1 (ko) 도로 상황에 따라 가로등의 점등구간을 조절하는 도로 조명 제어시스템
JP5003546B2 (ja) 交通信号制御システム、交通信号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交通指標算出装置
KR101244088B1 (ko) 지능형 도로 시스템에서 led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77113B1 (ko) 클라우드 기반의 교통신호 정보 제공 시스템
US20150310738A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in an, in particular wireless, motor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interacting in an ad-hoc manner, device for the traffic infrastructure and road user device
US20150221221A1 (en) Wireless traffic congestion and hazardous conditio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CN109403168B (zh) 一种基于多级双向预警的智能变色行人过街系统
CN206805801U (zh) 危险车辆过街警示系统
CN104021692B (zh) 基于道路监测的公路交通引导方法及公路交通引导系统
CN202889724U (zh) 带路况检测的路灯系统
KR101258326B1 (ko)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CN111223307A (zh) 一种高速公路车辆智能提示诱导系统及方法
CN201845440U (zh) 一种交通指挥系统
CN205644974U (zh) 一种智能交通信号系统
KR101547033B1 (ko) 무정차 다차로 스마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204155461U (zh) 基于道路监测的公路交通监控引导系统
CN105206074B (zh) 公路交通引导方法及公路交通引导系统
CN104157157A (zh) 一种山区连续弯道下坡双车道路段行车安全提示装置
JP4930032B2 (ja) 交通システム、交通信号制御機、及び、信号制御装置
KR101379593B1 (ko) 지능형 도로 시스템 및 단말
CN206376199U (zh) 双向车道诱导系统
KR20110055882A (ko) 도로 표지병, 교차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2087282B1 (ko) 긴급차량을 감지하는 도로 표지병과 반사판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230237902A1 (en) Visual cue system for roadways
KR101101934B1 (ko) 보행등 점등순서 정보를 제공하는 보행자 신호등 및 교통신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